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캐비티를 가진 수평채널 내에서의 혼합대류에 관한 연구

        고영창 부경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Mixed convective heat transfer phenomena are studied in a channel with rectangular cavity heated from below. The parameters governing the problem are the Reynolds number (0≤Re≤50), the Rayleigh number (0≤Ra≤2×10^(5), the Prandtl number (0.7≤Pr≤909), the aspect ratio (0.5≤AR=W/D≤2) and the angle of inclination (0˚≤θ≤90˚). Finite volume method was employed for the discretization and PISO algorithm was used for calculating pressure term. Detailed velocity and temperature fields are computed, and various result for the streamline, isotherms and the heat transfer rates in terms of the average Nusselt number are presented and discussed for different parametric values.

      • 국토공간정보 생성을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

        고영창 상지대학교 경영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의 생성 및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정보는 일반적으로 항공 LiDAR 및 디지털 항공카메라 등의 최신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그러나, 항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광역지역이나 도서지역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의 하는데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특히, 국경지대나 군사지역 등은 항공기의 접근 자체가 불가능하여 공간정보의 구축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과거부터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공간정보를 구축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근래에 이르러 공간해상도(GSD)1m급 이상의 상업용 위성영상이 출현하게 되어 항공사진과 유사한 가시성과 위치정확도의 확보는 물론 공간정보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고해상도 위성영상 활용은 단영상을 기반으로 한 2차원 국토공간정보 생성 및 활용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어 GSD 1m급 이상 고해상도 입체 위성영상을 기반으로 국토공간정보 생성 및 정확도 확보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1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공간정보 제작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는 연구로 IKONOS, Geoeye 영상의 입체 영상을 이용하여 RPC와 GCP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의 기하학적 보정을 수행하고, DEM 및 정사영상의 제작 및 정확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최근 발사된 GSD 0.5m급 Geoeye 위성의 영상을 기존 1m급 위성영상과 비교함으로써 동 영상을 이용한 공간정보의 정확도 분석과 향후 활용성에 대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먼저 각 위성이 제공하는 RPC와 수치지도상의 GCP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센서모델링 수행한 결과 ±1.5m 이하의 표정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DEM을 추출한 결과 평지부에서는 정확도가 높은 반면, 산지 및 도심지에서는 정확도가 낮게 추출되어 이에 대한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이들을 이용하여 정사영상을 제작한 결과 GSD 1m급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1/5,000 공간정보의 제작은 충분히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접근자체가 불가능한 지역에 대하여는 RPC만을 이용하여 일정부분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RPC 정보를 이용한 센서모델링 결과에 위성의 궤도정보 또는 SPACE TRIANGURATION 방법 등과 접목하여 기준점 정보 없이도 일정 수준이상의 정확도를 갖는 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Recent years have witnessed the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across many different fields. It's the general trend to create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such advanced technologies as aerial LiDAR and aerial digital cameras. However, it takes much time and money to build up geo-spatial information for metropolitan areas or islands using a plane. Especially it's impossible to approach a border area or military zone with a plane, which makes it very demanding to build up geo-spatial information for those area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y have conducted constant researches on building up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satellite imagery. Lately there appeared commercial satellite images of 1m GSD(ground sample distance) or higher. They provide the visibility and location accuracy similar to aerial photos and allow for the generation of geo-spatial information. However, the current utiliz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has been limited to the 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two-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of the territory based on mono images. It's required to generate geo-spatial information and secure its accuracy based on high resolution stereo satellite images of GSD 1m or higher. This study set ou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geo-spatial information by using high resolution stereo satellite images of 1m or higher. By using three dimensional images such as IKONOS and GeoEye and further RPC and GCP, the investigator made geometric revisions to satellite images and analyzed the making and accuracy of DEM and ortho images. By comparing the satellite images of GSD 0.5m by GeoEye recently launched with the old satellite images of 1m, I analyzed the accuracy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same images and explored the potential for future uses. I conduced sensor modeling to the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with RPC of each satellite and GCP of numeric maps. As a result, the orientation accuracy recorded ±1.5m. DEM results from three dimensional images indicate that accuracy was high on level grounds and low in mountains and cities, which calls for supplementary researches. Using those data, I made ortho images and found out the geo-spatial information of 1/5,000 is a sure possibility when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of 1m. And I was able to secure certain accuracy only by using RPC for the inaccessible areas. Those results show that one can build up geo-spatial information of certain accuracy without information about datum points by incorporating sensor modeling results into the satellite orbit information or space triangulation.

      • 客體 modeling 技術을 利用한 E-mail system 設計

        고영창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O-O(Object-Oriented) techique is growing rapidly to improve the software productivity. Since the computer has been emerged, contrary to surprising growth in the technique of hardware, that of software makes no progress because of high cost in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This paper submits a decomposition and design method for object, dynamic and functional module of the methodology of a new system development life-cycle. Thus, we present a new system development life-cycle, and suggests a object-oriented design method and standards of module decomposition for the decomposition of object, dynamic, functional models due to object-oriented design procedures and specifications. In this study, I focused on the thought on the system which oriented on object and achieve process of analysis and design.

      • Progression of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and pristine bone : A preclinical in vivo study

        고영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골유도재생술은 치조골의 폭과 높이 부족을 극복하기 위한 외과적 술식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골유도재생술 부위에서의 임플란트 주위염 진행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려진 바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골유도재생술 부위와 자연골에서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 진행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여섯 마리 비글견의 양측 하악 제1 대구치 발거 후, 무작위 배정을 통해 한쪽에는 표준화된 치조제 결손부를 형성, 반대측에는 자연치유를 유도하였다. 발치 8주 후, 치조제 결손부에 탈단백 우골 및 비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하여 골유도재생술을 시행하였고, 16주 후 양측 발치 부위에 Φ 3.6 × 8.0 mm 임플란트를 식립 하였다. 12주의 골유착 기간 후,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 유도를 단계적으로 시행하였다 (12주 활동성 조직파괴 & 추가 12주 자발적 진행 기간).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 종료 후 개체들을 희생하고, 방사선, 조직학, 면역조직화학, 편광현미경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골유도재생술 부위와 자연골에서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의 진행을 비교하였다. 방사선학적 분석 결과 자발적 진행 기간 동안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의 소실은 골유도재생술 부위와 자연골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면역조직화학 분석 결과 임플란트 주위염 이환 부위에서는 염증 및 면역 관련 세포들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편광현미경 분석에서도 임플란트 주위염 이환 부위에서 교원질의 양과 두께의 상당한 감소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골유도재생술과 자연골 부위의 비교에 있어서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의 진행은 조직학, 면역조직화학, 편광현미경 분석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골유도재생술 부위에서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 진행은 자연골과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방사선, 조직학, 면역조직화학, 편광현미경 분석 결과를 보였으며, 임플란트 식립 부위에 시행된 골이식은 실험적 임플란트 주위염의 진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is the most widely used technique for overcoming the deficiency of alveolar bone. However, the progression of peri-implantitis in regenerative and pristine bone sites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around implants placed in pristine bone and GBR sites. Bilateral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extracted from six beagle dogs, and standardized horizontal ridge defect was simultaneously created at predetermined site in unilateral mandible. After 8 weeks, guided bone regeneration procedure was conducted at the defect site. After 16 weeks, implants (ϕ 3.6×8.0 mm) were placed at both extracted sites. This study included 3 months of active breakdown and another 3 months of spontaneous progression period. Radiographs were taken at each phase and specimens were obtained for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polarized light microscopic analysis.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 did not show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istine bone and GBR sites during spontaneous progression period. I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inflammatory and immune-related cells were predominantly detected in peri-implantitis‒affected area rather than unaffected area. In the polarized light microscopic analysis, substantial reductions in the amount and thickness of collagen fibers were observed in peri-implantitis‒affected area compared with unaffected tissu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polarized light microscopic outcomes between pristine bone and GBR sites. Previous hard tissue grafting at the implant sites did not affect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and exhibited similar radiographic,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polarized light microscopic outcomes compared with those of pristine bone sites.

      • Experiment on the Core Heat Removal Performance of Research Reactor in the Natural Circulation Condition

        고영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experimental study aimed to identif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flow characteristics inside the pool during core cooling through the natural circulation of the pool, and to identify safety performance during the loss of flow accident (LOFA). The integrated experimental apparatus designed and constructed for the Jordan research and training reactor (JRTR) by applying the Ishii single phase natural circulation scale law. Various measurement techniques such as a BiFlow flowmeter for measuring the natural circulation flow rate an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RTD) sensors for measur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nine sub-channels of 2.35 mm gap in the plate heater assembly were applied in the apparatus. In the pool natural circulation te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circulation flow that is formed inside the pool were confirmed, and the water in the pool below the UGS outlet was stagnant where the temperature stratification occurred. In addition, three-dimensional flow was observed in which the low-temperature water in the pool reversed into the upper guide structure (UGS) depending to the natural circulation flow conditions. Through the LOFA simulation tests, The change of major thermal hydraulic variables in the transient state of accident was confirmed, and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mplex mixing inside the UGS caused by the three-dimensional flow lowers the fluid temperature inside the UGS and may affect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core. 본 실험적 연구는 연구용원자로 사고시 형성되는 수조 자연순환을 통한 노심냉각 과정에서 수조내부의 온도분포 및 유동특성을 파악하고, 유량상실사고(LOFA)시 노심의 안전성능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요르단연구용원자로(JRTR)를 대상으로 Ishii 단상자연순환 척도법을 적용하여 축소 설계 및 제작된 연구용원자로 통합모의 실험장치에는 자연순환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BiFlow 유량계, 판형히터 집합체의 2.35 mm의 간격을 갖는 9개의 부수로 내 표면온도를 측정하기위한 RTD센서 등의 측정기법이 적용되었다. 수조 자연순환실험에서 수조내부에 형성되는 자연순환유동의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UGS출구 보다 아래에 존재하는 수조의 물이 정체되고 온도성층화가 발생함을 확인했다. 또한, 자연순환 형성시 유동조건에 따라 수조내 저온의 물이 UGS내부로 역류하는 3차원 유동이 관찰되었다. LOFA모의실험을 통하여 사고시 과도상태에서의 주요 열수력변수들의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3차원 유동에 의한 UGS 내부의 복잡한 혼합이 UGS 내부 유체온도를 낮추며, 노심의 표면온도에도 영향을 줄 수도 있음을 확인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