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양광 배터리 하이브리드 시스템 운영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고석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V battery hybrid systems can mitigate destabilizing effects of renewable intermittency and can level the loads on traditional utility grids. The increasing penetration of these types of generation systems are expected in the future power grid, i.e., Smart Grid. The objective of this system is to supply the predetermined or utility controllable active and reactive power to the power grid.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ntrol algorithm of the PV battery hybrid systems to improve the total system efficiency. PSCAD/EMTDC(Power System Computer Aided Design /Electro Magnetic Transients including DC Program) model of the PV battery hybrid systems are presented in this thesis. The dynamic modeling of the PV array, battery, MPPT algorithms, and bi-directional converter are presented. The operation algorithm of the PV battery hybrid systems is proposed. The algorithm aims to reduce the peak load of the system by using the estimated load and the estimated PV generation of the next day. The algorithm is to maximize system operation efficiency by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battery. The effectiveness of the operation algorithm was validated by PSCAD/EMTDC simulation.

      • Rhodotorula glutinis K-87에 依한 菌體外 Protease의 生産

        고석일 慶北大學校 1988 국내석사

        RANK : 1855

        菌體外 protease 生産能이 優秀한 酵母菌珠를 大邱近郊의 土壤과 下水로부터 分離하여 Rhodotorula glutinis K- 87 로 同定하고 本 酵素의 生産條件을 檢討하였다. 分離된 酵母의 酵素生産用 培地로는 炭素源으로 glucose, 窒素源으로 casein, 無機監으로서 KH₂PO₄와 CaCi₂添加시 酵素生産量이 높았다. 培地의 初期 最適pH는 6.0, 酵素素生産의 最適溫度는 25∼30℃였으며 生成 酵素量은 培養 48時閒에 最大에 達했다. 本 酵素의 最適pH는 2.5와 6.0으로 酸性과 中性 protease로 생각되며 pH 安定性은 2.5∼7.0까지 酸性쪽에서 比較的 安定하였다. A yeast(K-87) which produced extracellular protease potently was isolated from soil and sewage in Taegu and identified as Rhodotorula glutinis K-87. Culture conditions for extracellular protease production was investigated. Results are as follows. The culture broth giving maximum protease yields was found to consist of glucose as carbon source, casein as nitrogen source and potassium phosphate, calcium chloride as mineral source. Optimal initial pH of culture broth was 6.0 and the enzyme excretion in the culture broth usually reaches a maximum after 48 hours of cultivation at 25-30℃. Optimal pH for enzyme activity was 2.5 and 6.0. Stable pH range of the enzyme was from 2.5 to 7.0.

      • 특고압 실시간 계측기반 전압 및 무효전력 제어에 관한 연구

        고석일 전남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855

        The customers’ electric and electronic applicancies are designed to properly operate at the specified voltage level, i.e nominal supply voltage. Thus, electric utilities should try to keep customers’ terminal voltage with the permissible range of the nominal voltage. In practice, LTC (load Tap Chaning) transformer at distribution substation, SVR( Series Voltage Regulator) at HV distribution feeder, SC (Shunt Capacitor) banks at HV/LV distribution lines are widely used to regulate customers’ terminal voltage within permissible limits. However, as the increasing penetration of DG (Distributed Generation) at distribution system, the voltage regulation and control practices has become challenging issue. The volt/var control of existing 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 operates incorrectly because it can’t receiving information, i.e. real-time operation status, of the distributed interconnected DGs. In addition, volt/var control becomes more complicated problems due to the instantaneous fluctuations and changes in voltage profiles of distribution system with the interconnection operations of DGs. In this dissertation, a real-time measurement-based voltage control scheme using MIQP (Mixed-Integer Quadratic Programming) are proposed. The volt/var control problems for multiple control devices at distribution system, i.e. LTC transformer, SVR, SC banks, reactive power of DGs, are nonlinear optimization problems because the voltage profiles change characteristics are nonlinear with the changes in their control value. In order to omit the load flow calculation that complicates the voltage control optimization formulation, the simplified linearized formulations for voltage profiles estimation at distribution systems with the changes in control values of the voltage control devices and reactive power of DGs are proposed. Then, the generalized QP (Quadratic Programming) formulations by using proposed linearized voltage estimation formula are represented. Therefore, the continuous optimal control values of the voltage control devices and reactive power of DGs could be obtained from the proposed QP formulations. However, the LTC transformer, SVR, and SC banks must be controlled discretel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e rounding-off techniques are adopted to find the discrete optimal control values of the voltage control devices, i.e. LTC transformer, SVR, SC banks. In the proposed method, the continuous optimal solution of the voltage control devices was found using proposed QP formulations. And then, the optimal discrete control values of these control devices are obtained from combinations of the nearest integer solutions. From the simulation results of proposed measurement based volt/var control method using simplified linearized formulations,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f the proposed methods were found to be similar to result of the global optimal values. Also, it needs less computational tim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In practice, voltage information at all points in the distribution system should be measured by RTU(Remote Terminal Unit) for achieving required volt/var control performances. However, the installations of RTUs and it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very points of electric nodes at distribution systems are requires high costs. Therefore, a cost-effective partial measurement based volt/var control scheme is also proposed. In the proposed partial measurement scheme, branching nodes, end nodes, nodes that are installed control devices and DGs are only measured. Thus, the voltage profiles estimation of nodes between the two measurement points are required to ensure the proper level of performance of the partial measurement volt/var control scheme. The three different voltage profile estimation methods as the measuring elements or available loads informations are represented: 1) the voltage and current at measurement point, 2) the voltage measurement point and historical load patterns of the nodes between the two measurement points, 3) the voltage and current at measurement point and historical load patterns of the nodes between the two measurement points. From the proposed voltage profiles estimation methods of nodes between the two measurement points, the approximated voltage profiles of all nodes could be obtained. Then, in a same manner, the above mentioned proposed MIQP can be applied to find optimal control values of the voltage control devices for volt/var control. From the simulation results of partial measurement based volt/var control method for three different voltage estimation methods, it can be seen that the results of the three proposed methods were found to be similar to result of the global measurements. Especially, the third method was the closest to the results of global measurements.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for real-time control because it requires less computation time by using simplified linearized formulation. The partial measurement based schemes are expected to reduce the cost of designing the voltage control system due to the cost reduction of installation measurement units and communication network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optimal voltage control is possible in the distribution system connected with the DG.

      •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Schottky Diodes Fabricated Using Various Metals on SiC Thin Film Grown by ICP-CVD

        高錫一 명지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ICP-CVD 증착 장비를 이용하여 실리콘 위에 실리콘 카바이드를 증착시키고 다양한 금속 (Al, Ni, Ti)을 이용하여 Schottky다이오드를 제작하고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박막의 화학적 조성 및 구조적 특성은 TEM, FT-IR 및 AES을 통해 분석하였다. TEM을 통해서 탄소화(Carbonization)의 실시 유·무에 따라서 박막의 결정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탄소화를 실시하지 않았을 때의 박막은 비정질상이 나타났으며, 탄소화를 실시하고 시간을 증가시킨 것은 실리콘과 실리콘 카바이드의 격자 부정합을 줄일 수 있는 버퍼층이 형성되므로 박막 특성이 단결정으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T-IR 분석으로 소스 가스인 SiH₄과 CH₄ 유량의 변화에 따라서 실리콘과 탄소의 결합 에너지의 변화를 통해 CH₄/SiH₄의 가스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Si-C bonding에 해당하는 peak의 세기가 큰 것을 알 수 있었고, 유량비가 약 2배에 해당하는 조건에서 가장 peak이 크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Schottky diode 제작을 위한 SiC 박막을 증착하였다. AES을 이용하여 니켈과 실리콘 사이의 온도에 따른 계면 특성을 살펴 보았다. 온도를 600℃에서 열처리를 했을 때 증착 직후의 계면 특성과 거의 차이가 없게 나타났고 접촉은 Schottky 특성을 보인 반면, 900℃에서 열처리 해주었을 때는 계면에서 니켈과 실리콘이 반응하여 니켈 실리사이드가 생성되어 옴성 접촉으로 변화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제작된 SiC Schottky diode의 전기적 특성을 전류-전압(I-V), 커패시턴스-전압(C-V) 특성을 통해 Ideality factor와 Schottky barrier height를 구하였다. Ideality factor는 Al(1.16), Ni(1.07), Ti(1.05)이고, Schottky barrier height는 Al(1.85eV), Ni(1.63eV), Ti(0.97eV)로 측정되었으며, 온도 변화에 따른 전류-전압 특성을 측정해 본 결과 온도가 증가할수록 Ideality factor와 Schottky barrier height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항복 전압은 Al(593V), Ni(615V), Ti(718V)순으로 측정이 되었다. 또한 커패시턴스-전압 특성을 통해서 증착된 SiC 박막의 불순물 농도를 알 수 있었으며, 전류-전압 특성으로부터 나온 값과 비교하였다. 온도에 대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온도를 100∼600℃까지 변화시켰을 때 안정한 Schottky 특성을 보였으며, Ni을 증착한 Schottky diode가 가장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have deposited and investigated the 3C-SiC thin film on (111) Si in order to obtain large area. Single crystalline 3C-SiC can be grown reproducibly on a carbonized layer in which a Si surface was chemically converted to very thin 3C-SiC has been achieved by a ICP-CVD method at 1100℃. In order to fabricate high power and temperature Schottky diod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ohmic contact and Schottky contact metallization that can withstand elevated temperatures. A variety of Schottky diodes were fabricated by Al, Ni and Ti metallizations.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SiC/Si and metal/SiC were investigated by employing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ES(Auger Electron Spectroscopy), respectively. The Schottky barrier heights of Al, Ni and Ti/3C-SiC were evaluated in detail. High-voltage 3C-SiC Schottky diodes were successfully fabricated with edge termination. The dependence of barrier height on the temperature variation was observed, and the barrier heights at C-V higher than those at I-V. The highest breakdown voltage of Ti/SiC (718V) could be realized. Stable device performance is observed after being subjected to thermal stress at the temperature as high as 600℃. In addition, a high voltage, low leakage, and thermally stable metal/SiC contact system will also lay a goo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gh power, high temperature SiC MESFET applications.

      • 스포츠 지도자 및 관리자의 안전인식이 안전문화 환경에 미치는 영향 : 어린이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경험을 중심으로

        고석 경기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safety awareness of sports instructors and managers on a sports safety environment. Specifically,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among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manage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lso,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on manage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and the influence of managers’ safety awareness on sports safety environment. Ultimately, it reveals goodness of fit for model. To this end, 300 samples of sports instructors who teach children throughout the country were collected. The sample size used in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final sample size, which excluded insincere materials was 286 out of 300. This study puts to use a questionnaire as a measurement instrument. Propriety of the questionnaires was inspected by the experts’ conference, preliminary inspection, and confirmative and inquisitive primary factor analysi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shows =.744~=.927 which is relatively high. Statistical methods used in analysis are reliability,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corelation, multiple regression, covariance analysis, etc. Through thes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manage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ha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manage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ha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of the accident in the sports. Third,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had an influence on manage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Fourth, managers’ safety awareness had an influence on sports safety environment. Fifth, there was causal relationship among the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manage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and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managers’ safety awareness is a very important parameter that connects with sports instructors’ safety awareness and sports safety environment. 본 연구는 스포츠 지도자와 관리자의 안전인식이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스포츠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과 어린이 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경험에 따른 스포츠 지도자의 안전인식, 관리자의 안전인식,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다음, 스포츠 지도자의 안전인식이 관리자의 안전인식과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에 미치는 영향, 관리자의 안전인식이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2014년 현재 서울 및 광역도시를 포함한 전국지역에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스포츠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3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이 중에서 질문 문항에 불일치하는 자료 및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4부의 자료를 제외한 후, 실제 분석에 사용한 유효 설문지는 총 286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설문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체육학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협의를 진행하였고, 전문가협의의 결과를 토대로 구성한 설문지의 예비검사와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는 =.744~=.92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 20.0과 AMO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한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변량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공변량구조분석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지도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 지도자의 안전인식, 관리자의 안전인식,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스포츠 안전사고 경험에 따라 스포츠 지도자의 안전인식, 관리자의 안전인식,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은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포츠 지도자의 안전인식은 관리자의 안전인식과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리자의 안전인식은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스포츠 지도자의 안전인식, 관리자의 안전인식,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 간에 직·간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었으며, 상호 영향을 미쳤다. 뿐만 아니라, 관리자의 안전인식은 스포츠 지도자 안전인식과 스포츠 안전문화 환경 사이를 연결해 주는 매우 중요한 매개변수이다.

      • 어린이 安全敎育의 效果性 檢證에 關한 硏究

        고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國文要約 산업화 이전에는 질병이 어린이의 생명을 앗아가는 가장 큰 원인이었으나, 현대는 산업화·도시화로 어린이들의 유일한 놀이공간마저 빼앗기면서 우리 어린이들의 생활환경은 점점 더 열악해지고 있다. 특히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 정보화 사회로의 발전에 따른 노동력 감소,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높은 교육열과 사교육비 부담 등으로 출산율이 현저히 낮아지면서 가정에 있어서 자녀의 비중과 관심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어린이 안전사고 사망률이 3~5배나 높음에도, 안전사고를 나와 무관한 일로 생각하는 개인주의와 사회적 무관심은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우리가 극복해야 할 가장 큰 난관이다.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안전사고 뉴스가 나오면, 왜 안전사고가 발생하였으며, 근본적인 안전사고 예방대책이 무엇인지 진지한 고민보다는 임시 처방식의 대책을 서둘러 내 놓기 바쁜 실정이다. 우리 역시 내 자식이 안전사고에 포함되지 않아 안도를 하며 사고를 당한 당사자에 대해 안쓰럽게 생각하고 운이나 운명으로 돌리지는 않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어린이 안전사고의 대부분이 어린이의 발달단계에서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무지나 부주의에서 발생하거나 보호자의 무관심에서 발생하지만, 충분히 우리 아이에게도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에 아찔한 순간의 연속이다. 어린이 특히 유아기는 신체발달 특성상 주변의 사물이나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탐구하려는 충동이 강하다. 반면에 신체 기능의 발달은 미숙하여 신체 균형 유지능력이나 운동기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고 판단능력과 자기 조절 및 상황에 대한 인식능력이 부족한 시기이기 때문에 사고로 인한 사망률이 가장 높으며 사망에 이르지 않았다 하더라도 불구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적극적인 예방대책이 요구된다. 어린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른들이 어린이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안전하고 편안한 사회적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최우선시 되어야 하고, 그 다음이 철저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통하여 어린이들에게 스스로 위험요소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것이야말로 사고를 줄이는데 최선의 방법이 아닌가 생각한다. 다행히도 어린이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대통령께서도 지난 2003년을 ‘어린이 안전 원년’으로 선포하고 정부 각 부처에서는 어린이 안전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고, 청와대 어린이안전점검단에서는 정부 부처의 대책 성과에 대한 점검활동을 하고 있으며, 각 지자체나 민간단체들도 다양한 방법으로 어린이들에게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들을 통해 얻어진 지식이나 태도는 영구적인 효과를 가지게 되므로 어린이 특히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안전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유아 때부터 안전에 관한 지식과 습관을 교육시켜 사고를 예방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실제생활에서 지식을 사용해서 대처 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체험식 안전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이에 2005년 3월 31일 서울 송파구에 개관한 국내 최초의 체험식 어린이 안전교육관에서 유아를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이 유아의 안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송파구에 위치한 M유치원 7세 38명으로 실험집단,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체험식 안전교육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안전교육을 실시하지 않았다. 안전교육 실시 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안전문제 해결사고검사와 안전지식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안전교육을 실시한 후 다시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유아 안전교육의 적용이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와 안전지식에 어떠한 효과를 나타낼 것인지에 관한 것이며,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안전교육은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사고능력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교육 실시 후 안전문제 해결사고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안전교육 실시는 안전문제 해결사고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학습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안전교육 실시 후 실험집단 유아들의 안전지식 평균점수(13.32)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평균점수(9.84)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t=7.06, p<.001). 셋째, 안전지식검사에 대한 해당문항별 정답비율 분석 결과 안전지식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 화재안전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다. 교통안전과 관련되어서는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 주위에서 노는 것은 위험하다는 항목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의 정답률이 동일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안전교육 실시가 유아의 안전문제 해결능력 및 안전지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안전지식검사에서 화재영역의 정답률은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화재안전에 관한 교육은 많이 실시되고 있으나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잘못된 교육에 의해 나타난 결과이다. 예를들어, 유아들은 화재가 발생하면 제일 먼저 119에 화재신고를 해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는 교육의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발달특성상 유아가 화재신고를 하기 위하여 전화기를 찾아 불이 난 곳을 돌아다니거나, 불이 난 곳에서 화재신고를 하기 위해 시간을 지체하는 것은 유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일이며, 유아는 화재발생시 가능한 한 빨리 밖으로 대피해야한다. 그러므로 유아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화재안전교육의 실시가 시급하다. 둘째, 교통안전지식에 대한 사전·사후검사 결과를 보면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 주위에서 노는 것은 위험하다는 문항의 정답률이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주·정차된 차량과 관련된 교통안전교육을 강화해야할 필요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셋째, 서울지역에 위치한 어린이 안전교육기관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면 7곳중 교통안전교육을 하는 곳이 5곳, 화재 및 자연재해에 관한 교육을 하는 곳이 1곳이며, 전반적 안전교육을 하는 곳이 1곳뿐이다. 어린이 사고 발생원인 1위가 교통사고이므로 교통안전교육을 통해 많은 어린이들의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지만, 그 외의 원인에 의해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어린이들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므로 전반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종합적이고 전문적인 어린이 안전교육기관이 필요할 것이다. 국민들이 안전하게 행복한 생활을 영위토록 하는 것은 국가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특히 어린이는 건강하게 출생하여 행복하고 안전하게 자랄 권리가 있고, 어린이의 복지향상은 모든 부모와 교사 가정 그리고 사회적, 우리 모두의 책무인 것이다.

      • 사회복지공무원의 공직몰입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고석 대구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investigated determinant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The study aims to increase a strategy of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The samples of this study are 251 public social workers who works in county offices ,such as "Dong"s, "Myen"s, "Eup"s "Gu"s, and the city hall in Deagu metropolitan city. The data has been analysed by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haracteristic of person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self-esteem and achievement desire had greater impact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Secondly, in the characteristic of organizational satisfaction, public servants-satisfaction and a job satisfaction had greater impact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socio-demographical perspective, age, marrige, working career, working level, working office had greater impact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However, in the characteristic of duty and rol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had not meaningfully affect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are closely relate to self-esteem, performance of job-satisfaction, working level etc. Theref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social workers progress by the strengthened determinant fators. First, It is needed to be introduced administration and system in order to improve public social worker's self-esteem Secondly, It is needed to be introduced personal administration system in order to enforce a job achievement through up grading a rank or rewards. Third, It is needed to be introduced social reorganized welfare delivery system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of job-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