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

        고명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gam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ag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5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66 male and 59 female students. The research tools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youth callous-unemotional scales(K-ICU), the Korean version of child/youth game addiction tendency scales, and the Korean version of early adolescents aggression scales(K-PC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Process macro (Hays, 2013)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aggression showed that the higher callous-unemotional traits, the higher aggress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game addiction tendency through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callous-unemotional traits, the higher tendency of game addiction. Third, as a result of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ffect of game addiction tendency on aggression, the higher game addiction tendency, the higher aggression. Fourth, the result of a mediated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gam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aggression was significant. Fifth, the result of a mediated analysis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gam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four sub-factors of aggression(leading, reactive, extrovert, and relational aggression) was significant. I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effects of callous-unemotional traits on aggression and to identify th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adolescents game addiction tenden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llous-unemotional traits and aggression including four sub-factor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의 중학생 1, 2, 3학년 125명으로 남학생 66명, 여학생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한국판 청소년 정서결핍 척도(K-ICU), 한국형 아동/청소년 게임 중독 척도, 한국 초기 청소년 공격성 척도(K-PCS)를 사용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Process macro(Hayes, 2013)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냉담-무정서 특질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았다. 둘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단순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냉담-무정서 특질이 높을수록 게임중독 경향성이 높았다. 셋째, 게임중독 경향성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단순회귀분석 결과 게임중독 경향성이 높을수록 공격성이 높았다. 넷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매개분석 결과,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다섯째, 냉담-무정서 특질이 주도적, 반응적, 외현적, 관계적 공격성 등 공격성의 네 가지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냉담-무정서 특질이 공격성의 총점과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서 게임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을 규명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효율적인 미술감상 수업을 위한 방법론 :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고명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협의로서의 교육과정, 즉 교육 내용에 있어 미술과의 그것은 1차부터 7차례의 개정을 거치며 반세기 동안 주로 표현과 감상의 틀을 유지하며 변화하여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 나라의 미술 교육은 사실상 감상적 내용 보다 표현적 내용에 더 치중되었으며 이로 인해 미술을 특정인만의 재능으로 여기는 풍토가 여전히 득세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미술이란, 다같이 향유하고 생활 일선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다는 사고에 앞서 고급 취향적 난해함이 적재되어 있는 문화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짙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미술 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은 무엇보다도 그렇게 생각하는 이들에게 보통 교육으로서의 미술에 대한 이해도롤 높히는 것이다. 교육을 성립시키는 요소는 학생 교사 그리고 교육 내용이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현장에서 미술을 접하는 고등학교 청소년들이 '생활 저변에서 향유하는 미술'을 만들어 가는 데에 필요한 미술과의 교육과정 중 '감상 영역'의 내용을 살펴보고 교사가 효율적으로 그들의 인식의 틀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감상 교육 방법론에 대한 소고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감상 지도의 의의와 목적을 살며보고,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감상 영역은 이러한 취지에 잘 부합되었는지를 고찰한 후 아직 미정인 제 7차 미술과 교육 과정의 내용 체계가 나가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한다. 현행 미술과 교육 과정의 감상 영역 지도는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전라남도 여수시의 3개 학교와 경기도 지역 3개 학교 및 서울 지역 3개 학교의 학생들과 교사를 중심으로 설문 조사를 한 결과 21세기의 우리 교육 현장은 컴퓨터의 보급등으로 안과 밖으로의 개혁을 꾀하고 있으나 수업 시간에의 활용 빈도는 낮으며 기본적인 제반 여건의 열악함으로 인하여 그 내용에 있어서의 첨단화는 실질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수도권 지역과 지방의 경우를 비교해 보면 미술과의 교육이 각 지역적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데 있어 미흡한 점이 많았다. 이는 지역 특색에 대한 이해도와 더불어 미술 감상이나 체험이 미술 작품과 미술사에 편중되어 지역 문화와의 연관성 및 표현과의 관련이 적음을 나타낸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현 상황을 부축이는 근원적 요인은 고등학교 미술과의 수업 단위가 적어 오랜 기간 축적되어야 하는 미적 감수성을 마련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여러 모로 개혁을 추진하고 있는 체 7차 미술교과 교육과정의 맹점은 바로 이점에 있다고 해야겠다. 밖으로부터의 개혁적 요구는 내부적 현실을 파악하는 데 주력하여 개혁을 위한 개정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들의 특성 및 교육 현장의 요구도 충분히 반영되어야 한다. 미술 교과의 교육과정에서 감상영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이유중의 하나는 세계의 중심 기류로부터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는 종래의 창의성 중심의 미술 교육에서 Discipline에 기초한 미술 교육(DBAE) 및 미적 교육 흐름이 우리 교육속으로 파고 들었다는 것이 표면상으로 드러난 결과이다. 1990년대 이후에는 여러 문화가 갖는 고유적 의미파악에 중점을 두며 미술 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우리가 여기에서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은 외국 선행 연구에서의 장점은 취하되 과열된 대학 교육열, 감성적 교육이 위축된 교육 현장의 여건 등의 '교육의 실제'와 외국 사례가 적용되어 우리 교육 현장에서 보편화되기 위해 걸리는 '시간적 거리를 고려한 이론적 연구 및 검토'가 충분히 뒤따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흔히 '영상 세대'라고 일컬어지는 현재 고등학생들의 충분한 관심을 유도하는 수업으로 멀티미디어를 사용한 감상 수업 모형을 제시한다. 이 수업 모형에서는 외국 문화와 우리 문화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확대시켜 표현 영역이나 타교과의 내용과 접목시킨다. 이는 모두 제 7차 교육과정의 전체 목표에 부합하는 내용들로서 실질적으로 상용화되어 활용되는 데에는 다음의 조건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첫째,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는 시설 확충과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 웨어의 개발이다. 이를 위해서는 주로 TV, VTR과 인쇄물에 의지하는 수업 방법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공공 시설에 컴퓨터의 향상된 기종을 보급하고 주변기기도 알맞게 갖추어져야 한다. 컴퓨터의 보급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루가 다르게 증보되고 있는 컴퓨터 시설에 필요한 소프트 웨어의 구비와 관리는 실질적인 활용에 있어 더욱 중시 되어야 할 사항이다. 그리고 미술 교육 내용을 담은 양질의 소프트 웨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각 관공서 및 교육청에서의 홍보 활동이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하며 이의 실현을 위해 미술 관련 교육용 자료 목록이나 인터넷 주소의 배포 및 각 영상 단체와의 교섭도 필요하다. 둘째, 미술교사의 전공에 따른 미술과 감상 교육 내용의 편협화를 해결하기 위해 미술 교사 양성 교육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각 사범대학교의 미술교육과 교육과정과 비사범 계열의 미술과 교육과정 이수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커리큘럼 및 복수 전공의 기회폭을 넓혀 감상 수업에 필요한 제반 지식을 갖추는데 어려움을 갖지 않도록 해야한다. 셋째, 통합 교육을 위한 교사간의 협력에 필요한 시간의 확충이다. 설문조사에 응할 시간조차 여의치 않은 교육 현실에서 교사의 잡무를 덜어주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만 통합 교육의 효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 이에 덧붙여 수행 평가의 실시가 학생 개개인의 과정 평가라는 장점을 높이기 위해서도 이 점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안책 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교사의 각종 연수 및 재교육의 기회를 통해 타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 및 미술 교사의 자질 향상에 필요한 정보 전달이 이루어져야한다. 전문적이지만 세분화되어 있어 미술 교과는 다른 교사의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능동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 가기 위해 미술 교사는 각 영역별로 심화된 미술과 교육과정의 연수와 더불어 타교과 교육 과정의 활동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다섯째,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이 효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미술만이 지니고 있는 특수 여건에 대한 사회 저변의 이해가 요구된다. 여기에는 미술과 설비 시설 및 시간 배당률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미술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는 데에는 생활속에서 자연스럽게 영향을 받아야 한다. 효율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위해서는 환경과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교사의 끊임없는 자기 개발이 우선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와 더불어 가정의 관심과 학교 및 국가적 배려 위에서 그들이 체험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학습을 위한 기초적 작업에는 체계적 교육과정 개발에 따른 미술 교과 각 영역의 알맞은 배당 비율, 초·중·고등학교의 연계성 있는 내용 구성, 내용에 알맞은 교파서의 외적 구성 - 교과서의 크기나 레이아웃등의 편집에 대한 자율성 확보, 우리 실정과 학생 수준에 맞는 언론 및 영상 단체의 교육 프로그램 편성, 학교 및 가정의 벽면을 활용한 감상 공간의 확충, 지역 특성을 찾는 데 필요한 교사 및 지역 교육청의 홍보, 평생 교육의 기회를 통한 가족 구성원의 미술 재교육 둥이다. 미술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 대한 교육적 효율성을 높여 주변 환경속에서 미를 향유하며, 미술 문화를 이해, 계승, 발전 시키는 주체로서의 학습자를 위한 교육은 앞으로 더 구체화 되고 객관화 되어야 할 것이다. Curriculum in a narrow sense, that is, that of art in contents has been changing reforms from the 1st to seventh for the past half century, maintaining the frame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However, oue art education so far has been more focused on expression then appreciation, and it is still more prevalent that art is considered only some special talents. In other words, art is thought as high level culture rather than something all can enjoy together and approach easily. In this reality,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should elevate understanding of art as normal education. The elements of education axe students, teachers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appreciation area in the part of art education curriculum needed in making art more popular and familiar in real life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suggest methods for teachers to make students frame of thought chang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appreciation teaching in a theoretical way, and reviews the dir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7th curriculum, not fixed yet after examining appreciation area in our art curriculum fits for this purpose. To find how appreciation teaching in art curriculum is being done, I took a survey with students and teachers in 3 schools in Yeosoo city, 3 in Kyuonggi, and 3 in Seoul. As the result of the survey, our education attempts for reform in and out, including the supply of computers, but it is barely applied in class, and the advancement of the contents is actually difficult for the poorness of overall conditions. Comparing capital areas and local areas, there is not much opportunity for art education to have localized art education. This shows that art appreciation or experience has little relationship with local culture and expression, limited to art work and art history. Ultimately, the basic reason of boosting this situation is that there are not many art units in high schoo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ake aesthetic senses. The blind spot of the 7th art curriculum lies in this. A need of reform from outside should sufficiently reflect needs of students, teachers and education field, not limited to grasping the inner reality. One of the reasons the importance of appreciation area in art education is that it is influenced by the world main trends. This implies that Discipline-Based Art Education (DBAE) and the flow of aesthetic education is penetrated into our education. Since the 1990s, understanding the original meaning of various cultures has been emphasized and studies on art appreciation is being studied. The thing we should not overlook here is that applying the advantages of the precedent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should be followed by sufficient theoretical studies and reviews considering time distance. Accordingly, I suggest an appreciation model using multi media for inducing high school students named image generation) interest. In this class model, extended contents of art education is applied to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 or area. This, as the contents fitting in the general goals of the 7th curriculum, should be followed by these questions. First, the facilities for using media should be extended and software fo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For this, we should supply updated computer equipment in public facilities to help escape from TV it VTR-based class. Providing and maintaining software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actual use as well as computer itself. Also, publicity activities for easy access to quality software should be activated by government offices and education offices, and it is also necessary to distribute lists of art education-related data or internet address and contact image groups to achieve this goal. Second, to solve the narrowed class of art appreciation for teacher's major, systematic supplementation of art education teacher raising is needed. By expanding the opportunity of plural majoring at college and meeting with various curriculum for both art education majors and non-art majors, we should give future art teachers more chance to be equipped with overall knowledge required for art appreciation class. Third, time for teachers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reality they don't even have time for answering to surveys, there should be systematic device that can ease teachers from odd jobs to satisfy the efficiency of integrated education. Fourth, relation to other subjects and information delivery should be done through the opportunity of various trainings andre-education. Specialized but specified, art education has other subject hardly access. Accordingly, to actively solve this problem, art education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other subjects activities as well as deepened art curriculum. Fifth, to have 'appreciation area' in art curriculum more effective, understanding of special conditions of art is needed in the whole society. Here the improvement of art facilities and time allotment should go ahead. Understand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rt should be naturally affected in life. For effective art appreciation class, teachers should continuously work for self-development. In addition, we should give students chance for- appreciation based on interest at hom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school and government. Basic work for this kind of learning includes appropriate time unit of art class, correlated contents betwee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he composition if textbook proper to the contents, autonomy in editing textbook-such as size or layout, education program arrangement considering the level of students, expanding the space of appreciation using the walls of school and home, publicity of teachers and local education office to find local characteristics and re-education of family members through life time education. By elevating education efficiency of art appreciation, we can let students enjoy art in the surroundings, and education for learners as the subject who understand, succeed and develop art culture should be more specific and objective.

      • 紅樓夢과 鏡花緣 俗語의 문학적 기능 연구

        고명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설이 언어 예술로 구현되는 문학이라는 전제 하에, 작자가 의식적으로 작품 속에 사용했던 다양한 문학적 언어 장치에 집중하여 그 중 俗語라는 ‘민간에서 사람들의 입으로 구전되며 정형화된 통속적인 語句’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중국 고전 소설 발전의 정점을 이룬 明淸代 시기의 소설 중 문학 언어의 최고의 성과를 이룩해낸 曹雪芹의 ≪紅樓夢≫을 주요 텍스트로 삼았으며, 그 영향을 받아 창작된 작품 중 李汝珍의 ≪鏡花緣≫을 비교 텍스트로 선정하였다. 이 두 작품은 동 시대에 선후로 창작되어, 일부 구조와 분위기가 다소 유사하며 두 작품 모두 여성 형상을 그리는데 많은 공을 들였다는 점에서 자주 비교대상으로 거론되었지만, 본 연구는 지금까지 주로 이루어졌던 ‘여성관’이라는 키워드를 벗어나 작품 속 서사적 기능에서의 언어 장치 사용에 초점을 맞추었다. 조설근과 이여진은 모두 당시 공명의 뜻을 이루지 못한 비운의 수재들로 평가 받고 있으며, 두 사람 모두 科擧제도를 경멸하고 八股文을 배척하는 성격으로 당시의 비뚤어진 세태에 공허함을 느끼며 ≪홍루몽≫과 ≪경화연≫을 창작했음은 이미 익히 알려진 바이다. 그러나 淸代에 시행되었던 강력한 文字獄은 당시 작자들의 자유로운 창작을 제한하였고, 두 작자 역시 이를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우회적 장치를 소설 속에 최대한 차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제도의 눈을 피하기 위해 차용 되었던 이 장치들은 오히려 서사 구조를 단순함에서 벗어나게 하고, 문학적 예술성을 제고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동시에 작가의 풍부한 지식을 뽐내는 도구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두 사람은 풍부한 학식과 타고난 글재주로 속어라는 언어 장치를 작품 속에 자유롭고 폭넓게 운용하여, 문학 언어로서 속어가 갖고 있는 여러 가지 기능을 십분 발휘시키는데 성공하였다. 그러나 두 사람의 작품 속 속어 운용 양상과 그 성과는 여러 가지 차이점이 존재한다. 기본적으로 조설근이 당시 중국 사회 각계각층을 망라하는 폭넓은 어휘력을 갖고 있던 탁월한 이야기꾼이었다면, 이여진은 音韻學이라는 한 학문에 깊이 빠져 연구를 즐겼던 박식한 언어학자라고 할 수 있다. 글쓰기에 있어 재능은 내면으로부터 피어나고 학식은 외부로부터 완성되며, 완벽한 문장은 재능과 학식이 겸비되었을 때 비로소 이루어진다. 조설근과 이여진의 작품의 완성도와 질을 놓고 보았을 때 확연히 드러나는 수준의 차이는 바로 이것에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것이 두 사람의 속어라는 언어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도 비슷한 결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본 논문에서 두 작품을 동시에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홍루몽≫이나 ≪경화연≫ 중 한 작품만 독립적으로 다루었을 때는 드러나지 않는 여러 가지 사항들을 비교를 통해 대조하여 새로운 특징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先秦시기 이전부터 각 문헌에 사용되어온 속어는 그 문학성과 가치를 이미 오래전부터 인정받았다고 할 수 있다. 명·청대에 이르러 소설이라는 통속 문학 장르의 특성과 그 궁합을 자랑하며 활발하게 사용되어, 현대 문학에 이르기까지 속어의 운용은 계속되어 왔으며 지금도 여전히 살아 숨 쉬고 있는 진행형의 언어이다. 때문에 ≪홍루몽≫을 비롯한 여러 문학 작품은 속어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처럼 이미 그 가치와 특수성을 인정받은 속어를 연구 대상으로 삼기에 충분하다고 판단,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작가의 속어 사용에 미친 여러 가지 요인들 중 시대적 배경과 개인의 생애, 그리고 고전 소설사에서의 속어에 대해 고찰해 본 뒤, 작품 내부로 시선을 옮겨 하나의 문학 작품에서 인물 형상과 서사 전개, 그리고 修辭 기법의 다양화를 구현해 내는 데 있어 속어가 어떻게 사용 되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작품을 통한 속어가 궁극적으로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주제 의식의 심화, 부당한 사회에 대한 문제 제기, 그리고 인생의 지혜와 교훈 전달 효과로 분류하여 분석해보았다. 모든 작가는 자신만의 고유한 특수한 글쓰기 습관이나 패턴을 갖고 있으며, 창작 소설은 작품 그 자체가 작가 의식의 집결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작품 곳곳에 작가가 나타내고자 하는 의식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숨어있기도 하고 직접적으로 표현 되어 있기도 하다. ≪홍루몽≫이나 ≪경화연≫ 모두 작가가 자신의 지식과 능력을 총동원해 심혈을 기울여 창작한 작품으로, 그 안에 이용된 언어 장치는 셀 수 없이 많으며, 그 많은 장치 중 속어 하나만으로 작가의 모든 의도와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파악해 내기에는 분명 한계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일차적으로 속어 자체가 갖고 있는 문학적 운용과 효과에 포커스를 맞춰, 속어라는 언어 장치의 문학 언어로서의 효용성을 증명하고자 했으며, 나아가 청대의 대표적인 창작 소설인 ≪홍루몽≫과 ≪경화연≫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해 두 작가의 소설 창작 방법에 있어 속어 운용 패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혀내고자 했다.

      • 孫溫 紅樓夢 畵冊의 서사성 연구

        고명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국 청대(淸代) 시기의 화가 손온(孫溫)이 그린 ≪홍루몽(紅樓夢)≫ 화책(畵冊)에 나타난 서사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대 조설근(曹雪芹)이 창작한 백화 장편 소설 ≪홍루몽≫의 메타 텍스트인 손온 ≪홍루몽≫ 화책은, 문자 텍스트의 서술이 완전히 배제된 순수한 이미지 텍스트로서, 오직 그림 언어로 원작의 서사를 표현해 내고 있다. 원 텍스트가 분명하게 존재하는 이미지 텍스트의 장점이자 단점은 원작의 내용과 직접적인 대조가 가능하다는 것인데, 감상자가 원작의 도움을 받아 그림 서사를 한결 순조롭게 해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원작의 다채롭고 심오한 서사가 이미지 텍스트에 얼마나 완전하게 재현되었는지 여실히 재단된다는 것은 화가의 입장에서는 분명 단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손온 ≪홍루몽≫ 화책은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그 예술성과 작품성을 인정받아 온 바, 이미지 텍스트로서 과연 얼마나 완성도 있게 원작의 서사를 재탄생 시켰는지, 그 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본 논문을 구상하게 되었다. 손온이 그린 것으로 알려진 이 ≪홍루몽≫ 화책은, 청대에 창작되었으나 오랜 기간 박물관에 비장되어 오다가 2004년에 이르러 유광당 관장에 의해 요녕여순박물관(遼寧旅順博物館)에 공개 전시 되었다는 특수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창작 시기로부터 이미 긴 시간이 흘렀기에 화가와 작품의 창작 배경에 대해 연구자들이 정확하게 고찰해 내기 어렵다는 연구의 한계를 지니고 있으나, 본고의 논의는 이미지 텍스트의 그림 서사에 집중하여 화폭 안에 표현된 그림 기호를 해체하고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지금까지의 ≪홍루몽≫ 회화와 손온 화책에 대한 연구 현황, 그리고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Ⅱ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청대 ≪홍루몽≫ 회화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역대 ≪홍루몽≫ 회화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또, ≪홍루몽≫의 회화본을 인물 수상 위주의 그림과 고사 위주의 그림으로 유형을 나누고, 그중 대표적인 작품들을 선택하여 간략한 소개를 진행한다. 나아가 화책의 창작자인 손온과 손윤모에 대해 알려진 정보들을 정리하고, 화책의 기본적인 서지 사항과 판본 형식, 그리고 미술적 풍격과 내용적 특징에 대해 설명하며 본격적인 분석에 앞선 초석으로 마련한다. Ⅲ장에서는 메타텍스트로서 화책이 창작되는 과정을 면밀히 분석하며, 화폭에 남아있는 흔적을 따라 원작에 대한 손온의 창작 의도와 여정을 엿본다. 또한 이미지로 이루어진 메타텍스트인 손온의 화책이 원작의 문자 텍스트로부터 벗어나면서 발생한 여러 가지 결핍과 공백에 대해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비문자적 언어들의 필요성과 목표의식을 제안한다. 더불어 이미지 텍스트로서 자체적으로 서사성을 완성하기 위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는 화책의 미학적 가치와 예술성에 대해 살펴본다. Ⅳ장에서는 본격적인 이미지 텍스트 분석이 이루어지며, 이미지 텍스트의 내용을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화폭에 담긴 여러 가지 그림 기호들에 대해 주목한다. 이미지화(visualization)된 텍스트 안에서 손온이 배열해 놓은 기호들을 찾아내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각 기호들의 서사적 특성과 역할을 살펴본다. 그를 위해 먼저 그림을 구성하는 기호를 크게 인물 기호, 사물 기호, 그리고 배경 기호로 분류하고, 각각의 기호화 과정과 기호의 사용 방식, 효과 등을 분석하며, 더불어 그림 서사에서 기호의 외시 의미(denotation)와 함축 의미(connotation)의 독해 방법을 제시한다. Ⅴ장에서는 앞서 Ⅳ장에서 분석한 그림 기호들과 그를 통해 완성된 그림 서사의 풍부한 내용이 정태(靜態)로부터 동태(動態)의 성질을 갖기 위해 필요한 서사 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공간 예술이라 여겨지는 이미지 텍스트에서도 충분히 서사성을 발견 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손온의 화책이 자체적으로 그림 서사를 구현 할 수 있다는 주장을 증명하는 최종적인 과정이 된다. 그를 위해 그림 서사의 구조를 시간 구조, 공간 구조 그리고 시점 구조로 분류하여 각각의 분석을 통해 그 특징과 역할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는 손온의 화책이 원작 텍스트로부터 파생되어 창작되고, 점차 문자의 제한으로부터 벗어나 이미지 텍스트로서 자체적인 서사성을 갖게 되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실현 가능케 한 다채로운 그림 기호와 입체적인 서사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narrativity shown in the picture book Hongloumeng that is drawn by the painter Sun Wen in the Qing Dynasty of China. Sun Wen's picture book Hongloumeng, a meta-text of the full-length vernacular novel created by Cao Xueqin in the Qing Dynasty, is a pure image text fully excluding the description of a letter-based text and solely expresses the narrative of the original work through the language of pictures. Both the merit and demerit of an image text with an evident existence of the original text are that a direct contrast can be made with the content of the original work. However, while there is the merit that the appreciator can decipher the picture narrative more smoothly with the help of the original work, the fact that one can clearly judge how completely the image text has reproduced the varied and profound narrative of the original work is a definite demerit from the standpoint of the painter. Nevertheless, since many researchers have recognized the artistry and literary value of Sun Wen's picture book Hongloumeng,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question of its completeness and methods of recreating the original narrative as image text. The picture book Hongloumeng known to be written by Sun Wen has an unusual history: it was created in the Qing Dynasty but was hidden at a museum for a long time until it was openly exhibited in the Liaoning Lushun Museum by the director Liu Guangtang in 2004. While there are limitations in studies for researchers to accurately contemplate the painter and the work's creative background as long time has passed since its period of creation,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focuses on deconstructing and analyzing the picture symbols expressed within the canvas by concentrating on the picture narrative of the image text. Chapter Ⅰ briefly explain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status of Hongloumeng paintings and Sun Wen's picture book so far, an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Chapter Ⅱ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how the painting version of Hongloumeng emerged in the Qing Dynasty prior to beginning a full-fledged discussion and analy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Hongloumeng paintings of all time. Moreover, the painting version of Hongloumeng is divided into the types of figure-centered pictures and story-centered pictures, and a selection of representative works among those is briefly introduced. Furthermore, information known about the picture book's creators Sun Wen and Sun Yunmo is organized, and the picture book's basic bibliography details, the edition's format, artistic style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are explained to set the foundation before moving on to serious analysis. Chapter Ⅲ closely analyzes the process of how a picture book is created as a meta-text and takes a glimpse into Sun Wen's creative intention and journey regarding the original work by following the traces left in the canvas. In addition, various deficiencies and voids that have taken place as Sun Wen's picture book, which is a meta-text consisting of images, deviated from the letter-based text of the original work are pointed out, and the necessity and a sense of goal for non-textual languages are suggested for overcoming these. Also, the aesthetic value and artistry of a picture book that must be accompanied for independently completing the narrativity as an image text are examined. Chapter Ⅳ conducts an earnest analysis of the image text and pays attention to diverse picture symbols contained in the canvas that enrich the content of the image text. Symbols that Sun Wen arranged within the visualized text are found and their meanings are interpreted, an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each symbol are investigated. To this end, first, the symbols composing the pictur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igure symbols, object symbols, and background symbols, and the respective symbolization process, the symbol's usage methods and effects, etc. are analyzed, along with proposing the methods of comprehending the denotation and connotation of symbols in the picture narrative. Chapter Ⅴ analyzes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the picture symbols analyzed in the previous Chapter Ⅳ and the enriched content of the picture narrative completed by those need in order to attain dynamic properties from a static state. This will allow an ample discovery of narrativity even in an image text that is regarded as space art and become the final process of proving the argument that Sun Wen's picture book can embody the picture narrative by itself. To achieve this, structures of the picture narrative are classified into a time structure, space structure, and viewpoint structure to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roles by respective analysis. Through this process, we can grasp the course of how Sun Wen's picture book was derived and created from the original text and acquired its own narrativity as an image text by gradually escaping the restrictions of letters, and confirm varying picture symbols and stereoscopic narrative structures that made this feasible.

      • 北·日關係가 韓國에 미치는 影響 硏究

        고명주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North Korea­Japan relation improv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by analyzing the negotiation between the two states, and the process of their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 unfolded. In introduction, it examines each state's standpoint raised as this process proceeds, considers how they develop their arguments as they understand each other's perception, and explains the issues and methods of the study. In the second part, it observes the structure of the Northeast Asia after in the post­cold war era, and explains the Northeast Asia order, characterized by "change" and "continuance". It explains "continuance" by emphasizing that cold war­like military and ideological conflict still remains, and that bilateral security relationship continues to be the most fundamental and strongest structure which determines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ates. On the other hand, it explains that states in the region are approaching multilateral cooperation and dialogue channel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lso that ARF, CSCAP, or NEACD's building multilateral dialogue channel, started in Asia shows noticeable improvement, despite their short history. There was lack of noticeable exchange or relationship between Japan and North Korea after the end of the World War II. Their relation improvement started when for the first time, Kanemaru Shin and Tanabe Makodo met Kim Il Sung in September, 1990. The third part compares the cold war era and post­cold war era, as well as explores the eight meetings between January 1991 and November 1992. The part four explains the pending problems and the prospects for North Korea­Japan relationship. It starts by explaining each state's standpoint, then explains the pending problem in the relationship, and finally forecasts the relationship. The important pending problem in the eight meetings that the two states disagreed are followings. The first is settlement of Japan's imperial history. The second is related to the range and the principles of the compensation. North Korea wants compensation from Japan as a hostile, and imperial state. The third arises from the nuclear problem of North Korea. And finally, the fourth include issues on the legal prestige of Korean residence in Japan and comfort women, brought up by North Korea, and also that on visiting Japan of Japanese wives in North Korea. There is only little possibility for the two state's immediate relation improvement, because the distrust between the two is embedded, and also the issues raised are hard to solve. Observing the sudden cancelations of the meetings for normaliz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in the past despite the pre­agreements on them, due to some unexpected incidents, one can never expect what variables might come up. Hence, this part of the study prospects in stages and gradual dialogue and exchange cooperation between th two, depending on the response of North Korea, only after some what like Japan's partial supporting North Korea precedes. The part five explains the influences of North Korea­Japan relationship on the Korean peninsula. As the cross­recognition completes with North Korea­Japan and North Korea­U.S. treaty of amity, the four Northeast Asian major powers will enforce two on­Korea­policies that deal with the two Koreas equally, and this will have considerable effects on the North­South relationship. In fact, it is not inappropriate to say that the two on­Korea­policies have already started with South Korea­China treaty of amity, South Korea­Russia treaty of amity, denunciation of North Korea­Russia treaty, and China and Russia's applying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al matters from economic matters on South and North Korea. This study concludes by explaining that North Korea­Japan treaty of amity will have two opposing effect on us. The positive effect is that by liquidating North Korea's fear of system's destruction, it can turn North Korea interest to keeping status­quo based on peaceful coexistence, rather than breaking it. The negative one, however, is that through the four major powers cross­recognition, the issue of th Korean peninsula will be more international.

      • 김정일시대 통치이데올로기에 관한 연구 : 통치담론 변화와 작동기제를 중심으로

        고명주 동국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divided structur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cold war in Korean peninsula are demanded with a new change in the rapidly developed system of politics in Northeastern Asia and international flow of the secession from the cold war. The core element of the change is the fulfillment of the peaceful system from the cold war, and moreover it's said to be the construction of a peaceful order in Northeastern Asia and achievement of unif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Not only the efforts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support from the countries nearby are needed, but also the endeavor and wisdom of South Korea for managing the North Korean system that faced with severe economic difficulties and social tensions in 1990's more stably and helping them to enter the market economy smoothly through the reformation and open policy are necessary. The most important thing to consider is that North Korea should understand the reality dispassionately with the government and recognize the logical change and traces for responding it. In other words, it's essential to comprehend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houghts of the constituent members, because those formulate the identity of North Korea and core for reproducing it. The North Korea has been expressing their identity as 'Subjective Ideology' through the official discussions. The 'Subjective Ideology' is the practice principles of the rule of the chief leader and others for reflecting the ideal and expectation of the North Korea, while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society. However, when comparing with the reality at present, the ideal and expectation for realizing the 'Subjective Ideology' have been forfeited of its meaning and power. The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n people has been changed in the collapse of the national support system that the food rationing and social welfare had been guaranteed, as they survive every day in the thoughts of their existence and unofficial economic part, which is the grim reality the 'Subjective Ideology' faces with. The 'protection' logic that had been emphasized in the 'benefit' and 'care' of the nation and governor is not existed any more, and the recognition that it's not only the unreal discussions, which the ideal and expectation of 'Subjective Ideology' are not corresponded with the reality, is surging. Though, I'd like to insist that it'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political power of North Korea at present in the 'Subjective Ideology' and identify the changes. The 'Subjective Ideology' is the road map that responding logic and self-response are connected as North Korea has accumulated in every process for solv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and it's closed with practice principles. Namely, the 'Subjective Ideology' already was planned and systemized by the intention of the chief leader and others, but it signifies the authority to formulate the system constantly in a course for selecting a policy and route. Therefore, not only we should identify the system, principles and changes of the 'Subjective Ideology', and intention of the policies and routes of North Korea, but also we should consider that the 'Subjective Ideology' limits the appointment of the leader. It's reflected in the historical moment for appointing leaders to cope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but they might be limited within the frame of the ideology that they made. Finally, this ideology has been differentiated and changed in the practices for solving the actual problems within the abstract system. After mid-1990's the period of Kim, Jung Il was the time that the 'Subjective Ideology' that was historically formulated had been tested for its double structures. It was the actual capacity or practice for responding with crisis internally or externally, but also it was a structure to interpret it newly in a selection route. In this study, I tried to sear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inuance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government ideology based on the problem-solving. It will be leaded to find out that what is the meaning regarding of the government of ideology during the period of Kim, Jung Il in the continuance and change process at present. As soon as North Korea faced with the crisis of the political power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m, they judged that it wa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period of socialistic reverse with the subjective ideology that is based on the realization of socialism renovation and communism. Then, for making the people to recognize that the socialism was necessary they formulated 'our own socialism' by reinterpreting the thoughts, theories and methods of the subjective ideology. Also, by avoiding the existing revolutionary trend for the severe food and economic difficulties according to the collapse of socialism, unfriendly foreign relationship, system disturbance and natural disasters for the long term, it was inevitable to transfer the policy route for securing the stability through military and practical trend. So that they suggested the national goal and policy plan that North Korea was strongest country, and 'Red Arms' (Rule), 'Benevolent Military'(Practice Ideology) every time for dealing with the system relax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Additionally, while they trace after the partial changes and continuance of the ideology, they aggressively use it as guidance for uniting the internal structure. At present, the authority of Kim, Jung Il is based on the internal stability through the unified movement on the 'Benevolent Military' as the practice ideology for realizing the national goal to become the strongest country, and pursues to actualize the actual socialism while having unchangeable values of 'socialism' and changes of 'actual profits' for recovering from the collapse of the economy and normalization. Even though the authority of Kim, Jung Il makes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that is rapidly changed unsustainably with the old basic system of Kim, Il Sung, he insists it in the core politic power and control. As he occasionally modifies the practices for increasing the military for the national stabilization by the condition, which can be said as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correspondence aspect, but in another hand it shows the open and practical trend in the social and economic view. Additionally, when reevaluating the socialism directly and indirectly to the North Korean ideology, recognizing the position and role of party and development process of socialism, and analyzing the view, innovative and open policy and function of the capitalism and imperialism at present, North Korea maintains the route of 'our own socialism' based on subjective ideology. Also, they attempt to change the practices from system protection to system development process for accomplishing the crisis.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party for protecting the subjective ideology and system protection have been weak when comparing with the period of Kim, Il Sung, but those are constantly changing nowadays in the period of Kim, Jung Il. Moreover, for overcoming the economic difficulties North Korean leaders recognize that it's necessary to innovate and open but determine that it's not destructive to the North Korean style socialism. As a result, they combined the actual profits and subjectivity in the ideology, and self-revival through the scientific technology and the public, and pursue the double strategy, that the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and decentralism are unified. By the innovative and open policy for the economic take-off through the actual socialism based on the market-oriented contents and direction, it's expected that they could rationalize the reality as they reinterpret the subjectivity in the change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and economy. As North Korea will consider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with the weakened cooperation and feeling of solidarity according to the innovative and open policy for overcoming the collapse of the socialism and economic difficulties, they will utilize the subjective ideology for rationalizing the rupture and closure in their own style of socialism for a while. In other words, as they maintain the subjective ideology system while progressing to rationalize the actual changes by interpreting the subjective ideology of conservative Kim, Il Sung. Also, this theoretical and rational process might be accomplished excessively before the struggle of the economic reformation and nuclear treatment between North Korea and US. In addition, for elevating the priority of 'our own socialism' in all phases while maintaining a guidance role between the chief and party, they construct report and politic communication network from lower to superior and pursue the reform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executive personnel system including separation of the party and politic that reduces the reiteration of the organization and constituent members. Moreover, for accepting the capitalism elements in the actual profits they attempt to harmonize the principles of the subjective ideology with the actual profit concepts such as market, price and competition. However, as the philosophical principles that subjectivity and creativity of the subjective ideology are not damaged, they will expand the currency and market economy by interpreting the economy management under the subjectivity flexibility. As the North Korea emphasizes that 'our own socialism' is different from the socialism of Soviet Union or China, they will point up the protection theory with the nationalism. Through this regulation North Korea will emphasize on the position of the subjective nation externally and secure the unitary leadership externally by regulating and controlling strictly for achieving it. However, when the general crisis is severe and the system collapses, they might change the theories by weakening the subjectivity that is the core of the subjective ideology for rationalizing their responses upon the reality aggressively. Even the subjective ideology is based on the priority of the determination, its practicality and flexible interpretation are possible, so by Kim, Jung Il it's possible to justify the changes with the ideology. Therefore, based on the subjectivity North Korea could attempt to change the subjective ideology newly and flexibly for restoring the system and survival by avoiding from the existing justifiable strategy. In the view of the socialism contrast, North Korea maintains the politic and economic system of the previous anti-Stalin's ideology in other socialism nations, they pursue the changes within the system which the subjectivity and actual profits are unified in the survival aspect that is 'restoration of socialism' and 'continuance of the authority of Kim, Jung Il'. However, for succeeding it the nuclear problem of North Korea should be settled smoothly and they should accept the economic changes by constructing a remarkable market system that is applicable to other foreign countries. In this aspect North Korea should suffer the system changes including the modification from the subjective ideology to practicality for introducing the market concept in the system survival. The changes of North Korea in near future could be determined by the external elements such as the intention of the other countries and policy goal due to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unique distinctiveness of North Korean system and constitutional limitations. Therefore, based on the intimate cooperation with other countries we should actively respond to the problem of North Korea by emphasizing on the strategy and policy toward North Korea for encouraging them to change.

      • 바닐라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 생리활성 연구

        고명주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바닐라 잎, 줄기, 빈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SOD 유사활성,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주름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elastase 저해효과, collage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항당뇨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α-glucosid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으며, 미백효과는 In vitro tyrosinase 저해효과,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에 대한 독성 및 α-MSH 유도에 의한 melanin 및 tyrosinase 저해효과를 측정하였다. H2O2에 의하여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7종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바닐라 빈 추출물 함유 크림을 제조하여 온도, pH, 점도, 온도 순환의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여 화장품소재로의 가능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닐라 잎, 줄기, 빈 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바닐라 빈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게 확인 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79.13, 43.46 μg/mL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은 83.21%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SOD 유사활성은 60.51%의 유사활성능이 확인되었으며, ABTS radical 소거능은 83.25%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Elastase 저해효과는 바닐라 빈 에탄올 추출물이 1000 μg/mL 농도에서 65.71%의 저해효과가 확인되었으며, collagenase 저해효과는 56.74%의 저해효과가 확인되었다. α-glucosidase 저해효과는 1000 μg/mL 농도에서 바닐라 빈 에탄올 추출물은 78.57%의 저해효과가 확인되었다. 바닐라 잎, 줄기, 빈 추출물의 미백효과를 측정한 결과 바닐라 빈 에탄올 추출물이 높게 확인되었다. In vitro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1000 μg/mL 농도에서 60.13%로 저해효과가 확인되었다. α-MSH (0.5 mM) 유도에 의한 melanin 생성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98%의 저해효과가 확인되었다. α-MSH (0.5 mM) 유도에 의한 tyrosinase 저해효과 측정 결과 134%의 tyrosinase 저해효과가 확인되었다. HaCaT 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는 바닐라 빈 에탄올 추출물은 83%로 세포 보호효과가 확인되었다. 항균효과를 측정한 결과 바닐라 잎, 줄기, 빈 추출물은 피부와 관련된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Propionibacterium acnes, Corynebacterium xerosis, Malassezia furfur, Candida albicans, Trichophyton mentagrophytes 에서 항균효과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바닐라 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제형의 안정성을 온도, pH, 점도, 온도 순환에 의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제형의 안정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바닐라 추출물은 항산화효과, 주름개선효과, 항당뇨효과, 미백효과, 세포 보호효과 그리고 7종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바닐라 빈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함이 확인 되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미래성장동력 종합평가시스템의 설계와 적용

        고명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전세계적 경제침체가 지속되면서 주요 선진국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한국 또한 자동차, 선박 등 기존 성장동력의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잠재성장률이 하락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새로운 미래성장동력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선점해야 하는 미래성장동력의 전략적 선정과 다각적 성과평가를 통해 미래성장동력의 지속적 발굴 및 육성을 돕는 미래성장동력 종합평가시스템을 설계한다. 먼저, 미래성장동력을 선정하기 위해 경제성, 미래전략성, 기술성을 평가요인으로 하는 미래성장동력 선정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때, 기존 연구방법에서 도출된 불확실성과 평가자 격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uzzy-Network MCDM을 개발하여 선정시스템에 적용한다. 다음으로 선정된 미래성장동력에 국가 지원이 시행된 후, 그 성과를 평가하는 미래성장동력 성과평가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때 성과를 1차에서부터 3차까지 세분화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성과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종합화한다. 이상과 같이 설계된 미래성장동력 종합평가시스템의 현장 적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이명박 정부가 추진한 미래성장동력 정책의 주요 대상인 신성장동력사업을 대상으로 미래성장동력 종합평가시스템을 적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적 차원에서 육성해야 하는 미래성장동력을 전략적으로 선정하고, 이를 대상으로 한 정부 지원에 대한 성과평가를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선정평가시스템을 위해 새롭게 개발된 평가방법은 복수의 평가대상을 비교하기 위해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야하는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가능하며, 성과평가시스템의 경우, 국가가 수행하는 다양한 연구개발사업을 대상으로 확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