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산으로 인한 기혼여성의 상실경험

        고명숙 이화여자대학교 1995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married women due to abortion and the relevance of identified lived experience of loss and grief with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The structure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involves it's meaning, patterns in relationship and reforming process of the life. A pilot study which used phenomenological analysis identified that the most significant theme of women's experiences of abortion is the loss and grief.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993 to Oct. 1994. 10 Particip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informed of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ata generation method, the possible risks and benefits of participation. They were also assured of privacy and confidentiality. The theoretical background guiding this study is Parse's human becoming theory and research methodology. Dialogical engagement was discontinued when the data were theoretically saturated. The data were analysed by extraction - synthesis and heuristic interpretation. Four structures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these participants due to spontaneous abortion are: 1.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means as a losing and a gaining paradoxically. The losing area is composed of the fetus, reproductive function and it's control and self-esteem as a woman. The gaining area is composed of functional ability of fertility and the growth of maturity. 2.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manifests grieving responces and feeling of maturity after perceiving losing and gaining. 3.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becomes closer with lost fetus and departs from the family and health personnel. 4.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struggles toward the not-yet. Five structures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these participants due to artificial abortion are: 1.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means only the losing. The losing area is composed of the fetus, physical health and self-esteem as a woman. 2.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manifests paradoxical grieving responses. 3.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leaves with closer feeling with lost fetus while distance from family. 4.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struggles toward the contraception and recovery of health. 5. The loss and grief of the lived experience affirms the reality of self. A structures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married women due to spontaneous abortions are integrated conceptually as follows: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manifests responses of losing and gaining simultaneously through accepting the facts and evaluating it paradoxically, and dwells with - aparts from in human relations, and affirms self with driving forward-standing against. A structures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married women due to artificial abortions are intergrated conceptually as follows: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manifests paradoxical emotions having taken their own decisions but devaluated, and dwells with - aparts from in human relation, affirms actual situation of life with driving forward-standing against, and recognize self reality. A structure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married women due to spontaneous abortions as specified with concepts of Parse's theory is: Powering through the revealing-concealing and connecting-separating of valuing. A structure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married women due to artificial abortions as specified with concepts of Parse's theory is: Powering transforming through the revealing - concealing and connecting - separating of valuing. In conclusion, women who experiences the loss and grief due to abortion go through process of becoming, health. Having compared with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due to spontaneous abortions and artificial abortions, 4 concepts of Parse's theory(valuing, revealing - concealing, connecting - separating, powering) were identified in the former group and 5 concepts(valuing, revealing - concealing, connecting - separating, powering, transforming) in the latter group. The meaning, in the first principle of Parse's theory, "valuing" is identified, the rhythmicity, in the second, "revealing-concealing" and "connecting-separating", the cotranscendence, in the their, "powering". But "transforming" is identified in the structure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of married women due to artificial abortion only. Women who had artificial abortion affirms of the reality of self through perceiving self, actual situation of life and difference of sex role. And the concepts, "valuing", "revealing - concealing", "connecting - separating" and "powering" were found in both group. On the structure wise, "connecting - separating" is the only concept similar in both group but rest of concepts are dissimilar. This study will contribute nurses' understanding of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due to abortion. Further research on the loss and grief as the lived experience due to abortion with husband, their family, unmarried woman and adolescent using Parse's research methology were recommended. 상실은 인간이 살아가면서 겪는 중요한 경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유산과 인공유산으로 인한 기혼여성의 상실 경험을 연구하여 상실 경험의 구조를 서술하고, 확인된 상실 경험의 구조와 human becoming 이론과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상실(喪失) 은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잃은 것에 대해 슬퍼하면서 그 슬픔을 해결해 가는 과정인 loss and grief의 개념을 의미한다. 사전 연구(이경혜와 고명숙, 1994)를 통하여 유산 경험에 나타나는 주된 개념이 상실이라는 것과 자연유산과 인공유산의 상실경험이 다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실 경험의 구조를 확인하고 이를 자연유산과 인공유산으로 나누어 분석,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기간은 1993년 5월 ~ 1994년 10월이었으며, 참여자는 10명이고 35 ~ 67세 사이이며 총 20회의 면담을 하였다. 남편과 정상적인 결혼생활을 했거나 현재하고 있으며, 자녀가 있는 경우를 선택하였고, 인공유산은 자녀를 더 이상 낳지 않기 위하여 중절수술을 한 경우만을 선택하였다. 연구방법은 parse의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연구자와 참여자의 <너와 나>의 관계과정(dialogical engagement)을 통하여 충분하다고 판단될 때까지 수집하였고, 참여자의 언어에서 추출 - 연구자의 언어로 종합하는 단계와 발견적 해석 단계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Guba & Lincoln(1985)의 기준에 따라 확실성, 적합성, 감사가능성, 확증성을 높이기 위한 절차를 거쳤다. 분석과정을 거쳐 밝혀진 상실경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A. 구조 1. 자연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의 구조 1) 잃음과 얻음의 의미를 역설적으로 부여 2) 잃음과 얻음 인식후 슬픔반응과 성숙감이 나타남. 3) 유산한 태아와는 심리적으로 가까워지고, 가족, 의료인과는 멀어짐. 4) 자연유산의 예방과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 노력. 2. 인공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의 구조 1) 잃음의 의미를 부여 2) 역설적인 슬픔 반응이 나타남 3) 유산한 태아와는 심리적으로 가까워지고, 가족과는 멀어짐. 4) 피임과 건강회복을 위해 노력. 5) 자신의 실체에 대한 확인. 이러한 상실 경험의 구조를 통합하면 다음과 같다. 1. 자연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은 사실을 인정하고 역설적인 평가를 함으로써 잃음과 얻음에 대한 반응이 동시에 나타나며, 인간관계에서는 함께 있음 - 홀로 있음을 거쳐 추진 - 저항하면서 자신을 긍정하는 경험이다. 2. 인공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은 자신의 선택을 인정하나 낮게 평가하므로 역설적인 정서를 나타내며, 인간관계에서는 함께 있음 - 홀로 있음을 거쳐 추진 - 저항하면서 현실을 긍정하고, 자신의 실체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경험이다. B. 발견적 해석 이렇게 통합된 구조를 human becoming이론과 관련시켜 보면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1. 자연유산으로 인한 상실경험은 가치가 노출 - 은폐, 연결 - 분리의 과정을 거쳐 변화하면서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 강화하는 과정이다. 2. 인공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은 가치가 노출 - 은폐, 연결 - 분리의 과정을 거쳐 변화하면서 가능성을 향해 강화하고 인식이 변형되는 과정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요약하면, 자연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에서는 Parse이론의 4가지 개념(valuing, revealing - concealing, connecting - separating, powering), 인공유산의 경우는 5가지 개념(valuing, revealing - concealing, connecting - separating, powering, transforming)이 관련되었다. Parse 이론 중 의미(meaning)에 관한 첫번째 원리에서는 '가치 변화'가 관련되었고, 관계양상(rhythmicity)에 관한 두번째 원리에서는 '노출 - 은폐'와 '연결 - 분리', 삶의 재형성 과정(cotranscendence)에 관한 세번째 원리에서는 '강화'가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공유산에서는 자연유산에서 확인되지 않은 '변형'이 나타났다. '변형'은 Parse이론의 세번째 원리에 있는 개념으로서, 인공유산을 경험한 여성이 유산이라는 경험을 통해 자신, 자신의 현실 그리고 성역할의 차이를 확인하면서 자신의 실체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확인된 '가치변화', '노출 - 은폐', '연결 - 분리', 그리고 '강화'도 '연결 - 분리'만 그 구조가 같을 뿐, 나머지 세 개념은 구조가 다르다. 이는 자연유산과 인공유산의 경험이 똑같이 상실이기는 하지만 그 구조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자연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은 잃었다는 부정적인 의미 뿐만 아니라 얻음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도 역설적으로 부여하고 있었고, 잃음과 얻음이라는 인식에 따른 반응을 인간과 우주와의 관계에서 나타내면서 자연유산 예방과 자신의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 열심히 노력하는 과정이었고, 인공유산으로 인한 상실 경험은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선택하였으나 잃음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만을 부여하고 있으므로, 인간, 우주와의 관계에서 역설적인 반응을 나타내어 자연유산의 경우보다 힘든 경험을 하고 있었으나 피임과 건강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그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실체를 확인하면서 인식이 증가해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따라서 유산으로 인해 상실을 경험한 여성은 되어감, 즉 건강의 과정을 밟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산으로 인해 여성이 느끼는 상실감을 가족과 의료인의 무관심 속에 마치 없었던 일처럼 지나칠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삶을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다.

      • 용도발명에 대한 고찰 : 기능성 식품 용도발명을 중심으로

        고명숙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기능성 식품에 관한 특허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기능성 식품을 이용한 용도발명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심ㆍ판결례가 부족하고, 심사기준이 명확하게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 용도발명을 특허로서 보호받기 위한 특허명세서의 기재정도 및 특허성 인정요건에 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물질특허와 용도발명의 관계와 용도발명의 이론적 배경을 먼저 검토한 후, 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와 특허성 판단에 대한 일반적 태도에 대하여 살펴본 다음, 식품의 용도발명의 명세서 기재의 정도와 특허성 판단기준에 관하여 사례를 중심으로 탐구한다.용도발명은 이미 알려져 있는 물(物)의 속성으로서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성질, 효과, 작용의 발견에 기인한 신규 용도를 요체로 하는 것에 관한 발명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1987년 특허법의 개정으로 물질특허를 도입함에 따라 화학물질의 발명 및 용도발명도 특허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심사지침서, 각 산업부문별 심사기준에 의하여 용도발명을 독립된 유형의 특허로서 보호하고 있다. 다만, 현행 특허법은 제2조 제3호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발명의 카테고리가 物, 方法, 製法으로 한정됨을 규정하고 있어 별도의 카테고리로서 용도를 인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그 용도를 구체적으로 한정하여 물, 방법, 또는 제법으로 청구범위를 기재하여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물질이 갖는 성질을 바탕으로 그 물질의 특정한 용도에 사용할 경우에 유용하다는 것이 제3자에게도 판단되도록 당업자의 수준에서 충분히 납득할 만한 자료를 제시하여야 하며, 그 용도가 종래 공지되지 않은 새로운 용도이거나 공지되었더라도 그 작용효과가 종래 알려진 것보다 현저하게 우수한 경우에 신규성 및 진보성이 인정될 수 있다.또한, 기능성 식품은 식품성분이 갖고 있는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인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성식품은 질병에 직접적인 효능, 효과를 주지 않는다는 면에서 의약과는 확연한 차이가 있으면서도,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가져 건강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의약과 다소 유사한 용도를 가진다. 따라서 기능성 식품이 갖고 있는 이러한 용도에 관한 발명은 식품의 용도발명으로서 특허법상 보호될 수 있다. 즉, 식품의 용도발명은 식품성분의 특정성질을 사용하고 이를 특정분야의 용도로 이용한 식품에 관한 발명을 말하는 것이다.따라서 식품의 용도발명의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있어서 식품으로서의 구체적인 용도한정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하고, 그 용도가 명세서 기재를 통하여 충분히 뒷받침될 수 있도록 명세서에 기재되어야 하며, 의약의 용도발명과 같이 반드시 구체적인 시험예, 약리데이터 등으로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와 같이 명세서에 의해 뒷받침되는 식품의 용도가 신규하거나 종래 공지된 것보다 질적 또는 양적으로 우수한 경우에 특허성을 인정받을 수 있다. 다만, 식품성분의 특정성질을 특정분야의 용도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용클레임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국내 관광학 연구에서 사용되는 이미지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고명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정 분야의 학문이 제대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연구 주제의 다양화와 더불어 연구 방법론의 확대적용이 필요하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관광 학 분야에서도 이에 발맞추어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는 관광 학 논문의 이론정립이 필요한 시점에 직면하였다. 사실 관광 학 연구 결과가 상당기간 축적되어온 상태이므로 관광 학 관련 메타 분석은 향후 연구방향 제시할 수 있다. 이에 우리나라의 관광 학 관련 메타분석을 통하여 연구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메타 분석은 연구 질문에 대해 개개의 연구로부터 연구 결과를 통합하여 총괄적인 결론을 유도할 수 있는 통계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들의 분석을 의미한다. 기존의 전통적인 문헌 연구와 달리 기존의 실증적인 연구 결과들을 정량적인 방법을 통하여 체계적인 방법으로 조명하여 보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다양한 분석 기법에도 불구하고 메타분석의결과는 분석을 위한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서 크게 결과들이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메타분석의 한계 속에서 기존의 관광 학 연구에서 수집된 이미지에 대한 효과를 탐색적인 방법을 통하여 적용하려 한다. 국내 관광 학에서 이미지 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각각의 대상에 대한 개념과 내용에 대한 접근이 다른 결정 요인들에 의해서 접근되어, 각각 다른 결과를 도출하게 되었고, 이미지의 성과에 대한 이론의 정립에서 일관성이 부족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의 성과에 대한 메타 분석을 실시하였다. 1988년에서 2010년까지 국내 관광 학 주요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이미지의 성과에 대한 연구를 검토하며, 효과 크기로의 통계 변화 후에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해석하여 장래 관광지 이미지 효과 성과측정에 관한 미래의 연구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Basically, for the better development of study, the more various research theme should be, the broader methodology need to be adopted. In the case of the field of tourism studies as well, it has been accumulated on the academic focused results of studies on tourism, therefore, the trend of research needs to be arranged through meta-analysis. Meta-analysis is dependent on statistic methods which is based on quantitive method on the related themes. In this paper, we focus on the image in tourism field, which is collected by previous researches. In previous researches, each construct and context depends on the other factors, which means each of the researches can lead different results from the context. Therefore, identical research results are hard to be found on it. In this paper, we focus on image performance through meta-analysis. So, we researched the main papers about image performances on the tourism from 1988 to 2010. Finally, the analysis was done after the statistic changes by the impact of the effects, and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do better understanding on the image performance.

      •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

        고명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K광역시에 위치한 M초등학교병설유치원과 S초등학교병설유치원 만 5세반 유아 40명을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각각 배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척도를 기초로 이경민(2000)이 수정&#8228;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그림표현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는 김명희 &#8228; 신화식 &#8228; 주은희(2001)에 의해 우리나라에서 타당도가 검증된 바 있는 Project Spectrum(Krechevsky, 1994)의 시각예술영역 평가척도(Chen Feinburg, 1990)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검사 및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처치는 8주 동안 1주일에 2회씩 총 16회 실시하였는데, 실험집단은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을 비교집단은 식물관련 동화듣기를 실시하였다.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그림표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및 사후검사의 결과를 SPSS 17.0 프로그램으로 t검증하여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 &#8228;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식물관련 동화듣기를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과학적 탐구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과학적 탐구능력의 하위요소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둘째,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식물관련 동화듣기를 실시한 비교집단보다 그림표현능력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그림표현능력의 하위요소인 표상수준, 탐색수준, 예술성 수준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물중심의 자연체험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그림표현능력 향상을 위해 적합하고 의미 있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용해 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 A STUDY ON THE LEADERSHIP STATUS OF MIDDLE MANAGERS AND SUBORDINATE SATISFACTION IN KOREAN ENTERPRISES : BY USING LEADERSHIP COMPETENCE ASSESSMENT TOOLS

        고명숙 Midwest University 2019 해외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한국 기업의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실태와 부하들의 만족도에 관한 조사이다. 기업이나 조직에서 리더들이 가장 관심을 갖는 것은 성과나 만족도를 개선하는 것이다. 기업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는 직원들의 만족도이다. 직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중간관리자들인데 이들은 부하들과 함께 비전과 목표를 공유하고 그것들을 성취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행을 설계하고 계획하기 때문에다. 따라서 중간관리자들은 새로운 경영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 부하들을 신뢰하고 그들과 소통을 하면서 그들에게 분명한 목표를 제시하여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중간관리자들은 또한 조직이나 기업이 경영상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구성원들의 독특한 환경에 변화의 속도를 조절함으로 새로운 환경에 변화를 불러온다. 중간 관리자는 조직의 핵심 인물로 상사와 직원들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최고 경영진은 이러한 중간 관리자의 역할이 조직에 매우 중요하며 조직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중간 관리자의 리더십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리더의 핵심 요소를 8차원으로 분류한 뒤 그것들을 20개 하위요소로 분류하고, 137개 요소(셀프 리더십과 리더십 개발, 훈련을 포함하는 리더십 요소 124개와 팔로워십 요소 13개의 추가 질문 포함)의 리더십 역량 평가 도구로 설문조사를 구성했고, 다면평가 방식을 통해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실태와 그에 대한 직원들의 사실 판단, 그리고 만족도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대다수 한국 사람들은 리더십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거나 리더의 역할을 정확히 몰라서 리더십을 잘못 적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기업이 중간관리자를 리더로 인정하지 않고, 중간관리자들은 현재 상황에 매몰되어 문제 해결에 바빠서, 직원들에 의해 가장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평가를 받은 미래에 대한 중장기적 비전과 창의적 아이디어를 생각하거나 변화추구가 어려워 보인다. 이번 연구가 한국의 경영자들과 중간관리자들이 중간 관리자 리더십의 중요성을 깨닫고, 한국 기업의 발전과 성장, 지속가능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중간 관리자의 리더십을 개발하고, 훈련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또한 이 연구가 중간 관리자의 리더십 향상을 위한 교육의 방향과 방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study is to do research on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s and satisfaction of their subordinates in Korean companies. What the leaders concern most in the organization or company is to improve performance or productivity.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se uncertain times. One of the key factors affecting the company’s productivity is employee satisfaction. It is middle managers who can play a key role in influencing the subordinates’ satisfaction level by sharing their vision and goals with their subordinates, planning and designing specific practices to achieve them. Thus, middle managers must trust subordinates and present them with clear goals to achieve new management goals, and improve productivity by efficiently operating the organiz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ir subordinates. The middle managers also bring about changes to a new environment by generating variety of ideas and adjusting the speed of change to the members’ unique circumstances so that the organization or company is not exposed to managerial hazard. The middle manager is also a key figure in the organization and serves as a link between his/her superior and employees. The top management considers the role of these middle managers to be very important to the organization and contributive to its growth and development. Nevertheless, the research to improve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s is not many. For th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middle managers’ leadership, the survey was organized by classifying the key elements of the leader into eight dimensions, and then classifying them into 20 sub-factors, and developing a leadership competency assessment tool with 137 elements (124 elements of leadership including self leadership and a leadership development and training, 13 additional questions for followership elements) to derive the leadership status of middle managers, fact judgement of employee and employee satisfaction level through 360 degree feedback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ndicates that most people in Korea misunderstand the concept of leadership or don’t know the role exactly and they apply it wrongly. Especially, since the company does not recognize middle managers as leaders and they are busy solving the problem stuck in the current situation, it seems difficult for them to think of a mid-to long-term vision and creative idea for the future, or pursue change which were satisfied least by employees. I hope this research will help Korean managers and middle managers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middle managers’ leadership, develop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s who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growth and sustainability of Korean companies, and be helpful in providing training and education program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irection and method of education to improve the leadership of middle managers.

      •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가 편마비 아동의 손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명숙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dified Constraint-Induced Therapy(MCIT) on fine-motor function, or the sensory and functional use of an affected upper extremity in daily activities. Four children with hemiparetic upper extremity caused by brain injuries were trained by MCIT for ten weeks. During the same period, all the subjects were also involved in thirty-minute regular physical therapy and occupational therapy.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y of the subjects was restrained by a specially designed hand splint or a mitten for five hours a day, five days per week. For two hours of the five-hour restraint period, the affected upper extremity was intensively trained by performing various functional tasks, which were individually structured to emphasize use of the affected arm. A single-subject design with A-B-A reversal was employed in this study. The affected limbs motor ability was evaluated by Melbourne assessment, measuring the time to grasp and release nine pegs, and measuring grasping power. Sensory abilities of the hemiparetic upper limb were assessed, using monofilaments and two-point discrimination tests. As a consequence of this study, the affected limb motor test scores of all four subjects in the baseline period were respectively improv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Furthermore, the treatment effect was maintained during a one-month follow-up period. The sensibility of two-point discrimination and light touch and pressure was also improved after MCIT. In addition, the parents of all four children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began to use the paretic upper extremity more frequently in daily functional activities at home.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assumption that MCIT is an effective therapeutic method to improve the sensory and motor abilities of hemiparetic children, and that it increases the frequency of functional use of the hemiparetic hands of brain-injured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also assumed that the modified CIT method is especially beneficial to these children by reducing the negative emotional effects of forceful restraint of the unaffected upper extremity. To optimize the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retic upper extremity by CIT, the restriction period per day should be decid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본 연구는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가 편마비 아동의 상지 운동 기능, 감각과 일상생활에서의 환측 상지 사용 빈도에 어떤 치료적 효과를 미치는지, 또 얻어진 치료효과가 치료 종료 후 얼마나 지속적으로 유지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뇌병변으로 인한 편마비 진단을 받고 재활치료 중인 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17주간 실시되었다. 연구 디자인은 개별사례 실험 연구 방법 중 반전연구(reversal design or ABA design)를 이용하였다. 총 17주의 연구기간은 3주의 기초선 1기간, 10주의 치료 적용기간, 4주의 기초선 2(치료 후 관찰기간)로 이루어졌다. 치료기간은 주 5회, 하루 5시간동안 건측 상지 운동을 제한하고, 이중 2시간은 환측 사용 활동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초선 2는 4주간, 4회를 측정하여 총 17회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대상자별로 측정된 상지의 운동 및 감각기능과 일상생활에서 환측 상지 사용 빈도의 평균값 을 기술 통계적으로 제시하고 시각적 그래프를 통하여 기초선, 치료기간과 치료 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멜버른 점수, 페그를 옮겨 담는 시간과 장악력의 측정으로 평가한 4명의 편마비 아동의 상지 운동 기능은 치료기간에서 기초선 1보다 향상을 보였고, 기초선 2에서도 향상된 수준으로 지속되었다. 두점 인식과 모노필라멘트 를 이용한 촉각 검사는 치료 후에 기초선 1보다 향상을 보였고, 기초선 2에서도 향상된 수준이 유지되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환측 상지의 사용 빈도는 대상자 모두 치료기간 동안 기초선 1보다 향상되었고, 대상자 1과 3을 제외하고는 기초선 2에서도 치료기간보다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편마비 아동에게 수정된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를 적용한 결과 상지 운동 및 감각기능과 일상생활에서의 상지 사용 빈도가 향상되었고, 1개월 후에도 치료효과가 유지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에 따르면 장시간의 건측 상지 운동 제한으로 인한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건측 상지 제한의 적용시간을 각 아동의 특성에 맞게 조절하여 활용한다면 건측 상지 운동 제한 치료가 편마비 아동의 기능회복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만성 주정중독환자의 전신습지찜질 적용에 관한 연구

        고명숙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nursuing of chronic alcoholics, this study was caried out to find the mental health state of chronic alcoholics who stop drinking and whether there is tranquil effect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full wet sheet pack. 7 chronic alcoholcos who have not taken any medications for tranquillization were sampled from K mental hospital in Seoul conveniently and treatment has been made in the physiotheraupeutical room of S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were gathered btween April 9, 1992 and May 19, 1992, 6 times during 2 weeks, for 2 hours at a time.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developed by Derogatis.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are as below; 1. Before the treatment, the mental health state according to 9 scales of SCL-90-R are as follow, depression(21,43) obssessive-compulsive(16,14) interpersonal sensitivity(13,14), anxuety(13,71), paranoid ideation(6,71), hostility(6,57), psychoticism(10.57), somatizations(10,71), phobic anxiety(5,15). 2. After the treatment, the mental health stater are converted into the following rate. Obssessive-compulsive(9,14), depression(11,29), interpersonal sensitivity(6,43), hostility(3,71), anxiety(6,00),paranoid ifeation(3,57), psychoticism(5,89), somatization(4,43), phobic anxiety(1,71) 3. The quite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is shown as following orders; Somatization, depression, psychoticism, obssessive-compulsive, anxiety, hostility, paranoid ide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Especially somatization, depression and psychoticism have statistically sugnficant dirrerence(p<0.01 level), and obssessive-compulsive, anxiety, hostility, paranoid ideation, interpersonal sensitivity at p<0.05 level. All seven peolpe persomally agreed that the full wet sheet pack is very affectual, especically for reducing anxiety, relaxation, and sleep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is to be said that the full wet sheet pack is highly effuctual for tranquillzation and for somatization, depression, psychoticism among 9 scales of SCL-90-R, which also with the reference book indicating the great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for tranquillization. And, the full wet sheet pack has statistically made signficant differencen also in such mental states as, obessessive-compulsive, anxietym hostility, paranoid ideantionm interpersonal sensitivity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the furthur development of the treatment will possible be used for various patients who need tranquillization as well as chronic alcoholics without harmful medications and hightly cost-expenses as a natural therapy.

      • 신용보험에서 보험자 대위권 및 구상권에 관한 연구

        고명숙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erm “credit”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money in the present may be exchanged with money in the future. In the context of corporate transactions, the term “credit transaction” refers to the supply of goods on a deferred payment basis, on the premise that the counterparty would make payment after a prescribed period. Credit transactions entail the risk of default on the part of the counterparty, which risk is referred to as “credit risk”. The advancement of industry and diversification of credit-creating structures have led to an increase in the magnitude of credit required by participants in the economy, which, in turn, has also led to the increase in credit risk. To companies, a credit transaction is virtually synonymous with an open account transaction; if an event of default unexpectedly occurs on the part of a buying company, the selling company can confront serious operating risk. This risk particularly intensifies if the selling company disproportionately engaged in open account transactions with only one or a few particular buying companies. Credit insurance was devised to address credit risk arising from payment defaults and receivables payment delays. In Europe, the credit insurance market developed in response to market demands that sought to protect corporations from political and commercial risks. Since the 20th century, the three major global credit insurance companies have managed and offered protection against credit risk based on the credit insurance system through which companies stably secured their claims for payment and obtained payment. In comparison, it has been a while since Korea adopted export insurance as a form of credit insurance, but it has not been widely used; also, Korean insurance companies offering export insurance have encountered management problems due to the very high loss ratios caused by their inability to charge reasonably sufficient levels of insurance premiums. Ever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at led to the IMF bailout of Korea, Korean companies have experienced management difficulties as a result of the sharp increase in corporate bankruptcies and the instability associated with credit risk. Eventually, as market participants strove to protect themselves from risk, they cam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market for credit insur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credit insurance and credit card insurance by Seoul Guarantee Insurance Company, the credit insurance market gradually took off. Although the Korean credit insurance market is still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industrialized nations, given the growing importance of credit insurance, Korea needs to now comprehensively assess credit insurance from an insurance perspective. This is because credit insurance, which functions as an insurance for oneself, is not regulated under the Insurance Business Act, nor is it classified as a type of insurance. Nevertheless, if there occurs an insurance accident on a credit insurance policy, insurers pay out insurance proceeds and then exercise the rights of subrogation and right to indemnity. Like guarantee insurance, credit insurance is considered as a new type of insurance. However, unlike guarantee insurance, which has been widely studied in academic circles and legislated upon, there is a dearth of academic study on credit insurance, not to mention judicial precedents and theoretical frameworks. Nevertheless, many credit insurance products are currently sold in the market in Korea. Even though credit insurance functions as an insurance for oneself, it is still possible for a legal dispute to arise between an obligee and an obligor because, by its nature, credit insurance also functions as a guarantee that secures a claim owed by the obligor to the obligee. Also, since payment of insurance proceeds by the insurer entails the exercise of the right to indemnity to recover the payment, there arises the issue of whether it is possible for a right to indemnity to be exercised in the context of credit insurance as it is generally exercised in the context of non-life insurance. Pursuant to Article 682 of the Commercial Code, it is possible for an insurer to exercise the right of subrogation in credit insurance, but neither the Commercial Code nor the Civil Code provides for any basis for the direct exercise of the right to indemnity. In this paper, I have raised issues concerning the right of subrogation and the right to indemnity in credit insurance in an effort to analyze credit insurance from an insurance perspective. I am deeply indebted to my advisor Prof. Semin Park, and Profs. Younghong Choi and Inhyun Kim, who took part in the review of my thesi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growth and change in credit insurance products which function both as insurance and a means to secure the performance of obligations. Accordingly, the times warrant a more in-depth study on related legal issues and theories on credit insurance. 신용(Credit)이란 현재의 화폐를 장래의 화폐로 교환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다. 기업간 거래에 있어서는 거래상대방에게 일정기간 후에 지불 또는 상환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물건을 납품하고 대금지급을 유예시키는 것을 신용거래라고 일컫는다. 이와 같은 신용거래에 있어서 거래 당사자간의 계약불이행의 위험이 상존하게 되는 바, 이를 신용위험이라고 지칭한다. 산업구조가 고도화되고 신용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가 다양화되면서, 경제주체들이 요구하는 신용의 범위도 커졌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신용위험도 동시에 증가하게 되었다. 기업의 경우, 신용거래를 외상거래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으며, 구매자의 예기치 못한 대금지급불능 사유 발생시, 판매 기업은 심각한 경영위험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나 판매기업의 외상매출거래가 특정한 구매기업에 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심각한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외상매출대금의 지급불능 및 지급지연으로 인한 신용위험에 대처하고자 고안된 제도가 신용보험이다. 유럽의 경우, 국가간 전쟁위험, 거래기업의 지급불능 등에 대비하여 그러한 정치적 위험과 상업적 위험으로부터 기업을 보호하고자 하는 시장의 요구에 의해 신용보험시장이 발전하였으며 20세기 이후 세계 3대 민간 신용보험사들이 신용보험제도를 통하여 기업의 안정적인 채권확보와 자금 확보로 신용위험을 스스로 보호하고 관리하여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일찍이 수출보험이 신용보험으로서 활용되어 왔으나 그 활용율이 낮고 합리적인 보험료가 책정되지 않아 손해율도 매우 높기 때문에 경영상 부실을 면치 못하여 왔다. 또한 IMF 경제위기 이후 급증한 기업의 도산과 매출채권의 신용에 대한 불안으로 기업을 경영하는데 어려움을 겪은 바 있다. 결국 자기 자신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장의 노력은 신용보험 시장 구축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고 민간 보험사인 서울보증보험(주)의 상업신용보험과 신용카드신용보험을 시작으로 점차 성장하기 시작하였다. 오늘날 선진국에 비해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신용보험 시장은 그리 크다고 볼 수 없지만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신용보험에 대한 보험으로서의 전반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시점이라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자기를 위한 보험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신용보험은 보험업법의 규정에도 없을 뿐 아니라 보험의 종류에도 구분되어 있지 않으면서 보험사고가 나면 보험금을 지급을 하고 보험자는 지급한 보험금에 대한 대위권 행사와 함께 구상권 행사 등의 법률행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결국 신용보험도 보증보험처럼 보험의 한 형태로서 채권을 담보하는 신종보험에 들게 될 터인데 보증보험에 관하여는 많은 연구가 있어왔고 입법화로 일부 정착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신용보험에 관하여는 학계는 물론이고 판례나 정립된 이론도 없는 상태에서 많은 상품들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용보험이 자기를 위한 보험이라고는 하나 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험계약자와 그의 제3자인 채무자간 채무불이행을 담보하는, 즉 채권을 담보하는 보증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채권자와 채무자간의 법률적 다툼이 있을 수 있고, 또한 보험자의 보험금 지급이 채권회수라는 구상권 행사가 동반됨에 따라 일반손해보험으로서 신용보험이 과연 구상권 행사가 가능한 것인지 등이 문제의 소지가 있다. 상법 제682조에 의해 신용보험사는 보험자대위권행사를 할 수 있지만 직접적인 구상권의 인정근거가 상법이나 민법의 규정 어디에도 명시되어 있지 않다. 점차 증가되는 상품과 계약들 속에서 신용보험이 보험의 목적에 부합한 역할로써 자리매김하는데 실무를 담당하는 담당자로서 신용보험의 대위권과 구상권에 대한 문제의 제기를 하고 신용보험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를 기대하며 본 논문을 기술하였다. 그동안 논문을 위해 지도 편달하여 주신 박세민 담당지도교수님과 부족한 글을 칭찬과 격려로 심사하여 주신 최영홍교수님, 김인현 교수님께 진정한 감사들 드린다. 앞으로 신용보험은 더 큰 성장과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보험과 채권담보로서의 기능을 하는 신용보험에 대한 법률관계와 이론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