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망막병증 발생 예측도구 개발

        강효주 고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s :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diabetic retinopathy(DR) in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o develop a tool for predicting DR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was performed. We retrieved data of 279 type 2 diabetes patients who did not have DR at their first visit to a tertiary diabetic center and we assessed them to determine whether they developed DR after their first visit from 2009 to 2010. Age, sex, underlying chronic condition, health behavior, family history of diabetes mellitus(DM), duration of DM, HbA1c and other prognostic factors of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and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Hazard ratios(HRs) for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R were obtained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 The predictive tool was scored through the HRs of risk factors. The Area under the curve(AUC) of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 was obtaine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value of the DR occurrence tool, and the Youden index was used to determine the cut-off value for the score to predict the DR risk. Results: Of the 279 patients, 73 (26.2%) developed DR. In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DR were family history of DM (HR: 1.77, 95% CI:1.07-2.95), smoking (HR: 2.39, 95% CI:1.37-4.16), duration of DM (11-20 years HR:1.48, 95% CI:0.65-3.39), (≥21 years, HR:3.71, 95% CI:1.88-11.63), high hemoglobin A1c level (7-7.9% HR:1.55, 95% CI:0.90-2.68), (≥8% HR:2.50, 95% CI:1.37-4.55) and proteinuria (≥urine albumin creatinine ratio 30mg HR: 1.98, 95% CI:1.22-3.20). A predictive tool was developed using significant variables and HRs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score of the tool was weighted by the HR of each variable, and it had a value from 0 to 13. The AUC value of the ROC curve showing the predictive power of the tool was 0.89 (95% CI: 0.79-0.97) and the cut-off point at risk of occurrence was 4.5 points. Conclusion: The predictive tool for the assessment of DR tha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select the subjects at risk for DR and to establish the eye observation plan. In addition, it can be a useful tool for customized educa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and the progress of the disease in diabetes management education. Key words: diabetic retinopathy, risk factors, predictive tool, type 2 diabetes

      • A사 구성원의 경력목표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의 조절효과

        강효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력개발이 개인에게 중요한 개념으로 인식되면서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많은 기업에서 구성원들의 직무능력 향상 및 경력성공을 위한 개발방법으로 멘토링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경력목표를 구체적, 도전적, 자율적으로 설정할수록 달성 가능성이 높고, 주관적 경력성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증명되고 있으며, 경력목표의 이러한 속성은 멘토링 기능과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강화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목표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그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A사 구성원의 경력목표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 둘째, A사 구성원의 경력목표와 주관적 경력서공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사 구성원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회수된 총 286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문제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A사 구성원의 경력목표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정(+)의 방향으로 유효하며 경력목표의 하위변인인 구체성, 도전성, 자율성 모두 주관적 경력성공에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A그룹 구성원의 경력목표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멘토링 기능의 조절효과는 미약했다. 그러나 경력목표의 구체성과 멘토링 기능의 상호작용항은 정(+)의 방향으로 유효하였으며, 도전성과 멘토링 기능의 하위요인인 역할모델링 기능의 상호작용항은 부(-)적으로 유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A사 구성원들의 주관적인 경력성공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이 스스로 경력목표를 세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공식적 멘토링의 경우 멘토의 선발, 육성, 내용설계 등에 대한 HRD 측면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비공식 멘토링의 올바로 발휘되도록 선배사원들의 리더십 과정에 후배사원의 경력성장을 도와야 하는 책임성을 포함시켜 리더역할 인지를 강화함을 제안하였다.

      • 국내 학계의 토크빌 연구에 대한 비판적 재고찰 : '다수의 횡포'와 '민주적 전제'를 중심으로

        강효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토크빌 정치사상의 핵심 개념인 ‘다수의 횡포(majority of tyranny)'와 '민주적 전제(democratic despotism)'에 대한 재해석을 담고 있다. 토크빌에 대한 기존 국내 연구에서 보이는 흥미로운 점은 다수의 횡포와 민주적 전제에 대한 상충된 이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필자가 보기에, 이러한 상충된 이해는 국내연구자들이 각 개념의 구성요인 및 권력 작동 방식에 대한 차이점을 명확하게 포착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였다. 비록 두 개념이 민주사회에서 초래되었고 다수의 지지에 기초하여 정당성을 획득한다는 점이 유사하지만 각각의 개념에서 그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이나 권력을 구성하는 요인은 상이하다. 따라서 토크빌의 두 개념, 즉 다수의 횡포와 민주적 전제는 다른 의미를 내포한 것이기 때문에 각각의 개념은 다른 용어로 규정되어야 한다. 토크빌의 각 개념을 검토하기 전에, 우선 토크빌의 사회관과 민주주의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았다. 그는 사회가 전통과 역사에 의해 형성된 가치로 결속된 집단이라고 규정한다. 다른 한편 그는 민주주의가 정치체제가 아닌 사회상태, 즉 제 조건이 평등화되는 경향을 추구하는 사회로 정의한다. 이러한 사회관과 민주주의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그는 민주사회를 움직이는 가치가 무엇이고, 각각의 가치가 어떤 연관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토크빌은 근대의 가치들이 인민의 자유의지와 정치적 의사결정권을 축소하는 역설적인 현상을 목격한다. 그는 이러한 현상을 다수의 횡포와 민주적 전제로 개념화하면서 ‘민주사회의 문제’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다수의 횡포는 ‘다수’가 수적인 우세와 여론형성 능력에 기초하여 개인의 자유의지를 제약하는 것이다. 이 개념의 특징은 여론이 사회·정치적 규범으로 작용하면서 개인이 견해를 표명하기 전에 여론을 ‘준거’ 삼아 자신의 생각을 검열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민주사회에서 여론에 따르지 않으면 사회에서 개인은 소외당하기 때문이다. 이는 민주사회에서 인민의 권리로 표명된 권리들 - 언론의 자유, 사상의 자유 등 - 이 억압되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낳는다. 다른 한편 민주적 전제는 민주사회의 습속 -개인주의와 물질주의- 과 제도(행정의 중앙집권화)가 결합하여 인민의 정치적 결정권이 축소되는 정치 현상을 규정한 것이다. 이러한 정치체제 아래서는 정부가 개인주의에 의해 고립된 개인들에 대해, 사회전반에 관료제를 제도화하여 인민의 생활전반에 안전 및 재산을 보호해주면서 강력한 권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반면에 인민은 자유의지가 약화되고, 정치적 의사결정권 마저 축소된다. 하지만 인민들은 그들의 물질적 욕망을 충족시켜준다면, 정부의 강력한 통제가 그들의 자유의지와 정치적 의사결정권을 축소하는 것에 대해 크게 문제 삼지 않는다. 종합적으로 고찰 할 때, 토크빌은 민주주의 사회의 주요 가치들이 인민의 자유의지를 제약하고, 더 나아가 인민이 탈 정치화되는 현상을 다수의 횡포와 민주적 전제 개념을 통해 설명을 전개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토크빌의 논의가 기여하는 학문적 의의는 민주사회의 가치들이 상보적이기 보다는 길항작용을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것이 가져오는 정치·사회적 결과가 역설적이게도 ‘근대 인민’의 자유를 제약한다는 것을 설명했다는 점이다. 필자는 이러한 토크빌의 다수의 횡포와 민주적 전제를 재해석하는 작업이 토크빌의 민주주의관에 대한 새로운 면모를 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드는 시도라고 본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러한 연구는 오늘날 민주주의를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토크빌의 사상을 ‘준거 틀’로 활용하여 민주주의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연구를 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견고하게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dissertation elaborates the majority of tyranny and the democratic despotism, major concepts in the Alexis de Tocqueville’s political thought, and reinterprets them. The existing studies on the Tocqueville’s political though in Korea focus on only one concept or confuse one with the other. This misunderstanding is mainly due to the failure of Korean scholars to grasp the differences on factors and the ways of operating power in each conception. Although two concepts are similar in the respect that both are brought about in democratic society and secure the legitimacy on the basis of the majority rule, the factors that consist of power and the ways of operating power are different in each conception. Accordingly, the two concepts, the majority of tyranny and the democratic despotism, that have different implications, should be defined in a different way. Before elaborating each concept, this dissertation examines Tocqueville’s positions on society and democracy. He defines society as a group associated by values that tradition and history make. On the other hand, he defines democracy as a society, a social condition in which various conditions are pursued to be equal. Based on these definitions of society and democracy, he analyzes values that operate democratic society, and how these values are interrelated. By this analysis he observes paradoxical phenomena that modern values reduce the free will of people and the rights of political decision-making. He elaborates his explanation on the problem of democratic society by conceptualizing these phenomena as the majority of tyranny and the democratic despotism. The majority of tyranny means that the majority, on the basis of their superior power of number and capacity to form public opinion, restricts individual free will. Following the criteria offered by the public opinion, which are social and political norms in a democratic society, an individual censors him/herself before he/she presents opinions. Unless an individual follows the public opinion, he/she should be alienated. This brings about a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freedoms represented as the rights of people—such as the freedom of speech,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so on—are op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democratic despotism defines the political phenomena in which the people’s rights to make political decision, associated with mores of democratic society—individualism and materialism—and institutions (the centralization of administration), is squeezed. Under this political system, the government has a strong power against isolated individuals by securing security and property through the centralization of administration, while people’s free will becomes weakened and the political rights to decide is reduced. If people are satisfied with their material desires, however, they become not concerned about the strong control of government that reduces their free will and the political rights to decide. In sum, what Tocqueville explains is that major values of democratic society restrict people’s free will and, furthermore, what he emphasizes is the phenomena of de-politicization by conceptualizing the majority of tyranny and the democratic deposits. This means that democratic values stand against each other rather than come together, and it brings about paradoxical socio-political results that restrict the freedom of modern people. In this way, this dissertation contributes to reinterpret the majority of tyranny and the democratic despotism. Furthermore, it provides a theoretical ground for Tocquevillian scholarship in Korea by which students of democrac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n Tocqueville’s political thought and democracy in general.

      • 청각장애 학생의 방과후 여가활동에 관한 질적분석

        강효주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after-school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hearing impaired and to help them spend their after school hours in much more of an active way as the thesis offers tips about the satisfying and restricting factors. This paper has been conducted on students with hearing impaird who go to special and public/private schools through interviewing the students, the parents and the language therapists. The results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after-school activities for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are to be watching television, surfing Internet, drawing, reading and so on. The students usually spend time with their friends who share the same conditions such as deafness and dumbness and spend time by getting involved in religious activities, hobbies and different kinds of sports. Secondly, there are factors that help the challenged teenagers to enjoy their after school hours. They feel more energetic when they feel secure and feel satisfied when they are in a stress-free condition, socially content when they belong to a group and psychologically gratified when they know they are able to have self-realization in things they do and have control over it. Thirdly, the lack of time and facilities and the high cost of after-school activities serve as limiting factors. 본 연구는 청각장애 학생의 방과 후 여가활동에 대하여 그들이 어떻게 여가를 이용하며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청각장애를 가진 학생들을 만나서 즐겨 참여하는 방과 후 여가활동은 주로 무엇인지, 그 방과 후의 여가를 만족하게 하도록 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만족하지 못했다면 그것을 제약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질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고 해석했다. 연구의 결과 및 해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 학생들이 즐겨 참여하는 방과 후 여가활동으로는 주중이나 주말이나 TV시청이나 인터넷(게임, 쇼핑, 웹서핑)하기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독서나 그림그리기, 공부 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 활용을 좀 더 많이 할 수 있는 주말에는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농아인 협회에서 영어수화나 친구들과의 교제 등을 가지며 수영이나 종교 활동, 마술 그리고 다양한 스포츠 활동 등을 각 개인의 개성에 따라 특성 있게 자신의 여가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 학생의 방과 후 여가를 만족하도록 하는 요인으로는 TV시청이나 인터넷 등을 즐김으로써 편안함과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할 수 있는 휴식적 만족감이 모든 아이들에게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고 싶은, 그들과 같은 문화를 공유하고 그들에게 소속되고 싶어 하는 사회적인 만족감 역시 그들이 여가를 지속하도록 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C 학생에게서 나타나는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고 생활의 활력이 생기도록 하는 신체적인 만족감과 그리고 그림을 그리거나 마술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여줌으로 다른 이들에게 인정받고 싶어 하는 사회적인 만족도 있지만 하나씩 작품을 이뤄냄으로서 자신에 대한 자아상이 높아지고 자기를 실현하고 재능을 펼침으로써 느껴지는 심리적인 만족감 역시 방과 후 여가생활을 유지하도록 해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 학생의 방과 후 여가활동을 제약하는 요인으로는 크게 내적 제약(여가 동기, 심리적 상태 등)과 외적 제약(시간, 비용, 시설 등)으로 분류해보았을 때 A, B, C학생 모두 외적제약이 더 큰 부분을 차지함으로 나타났다. 방과 후 여가를 할 수 있는 시간, 여가를 이용함에 드는 비용, 그 외 개인적인 환경적 요인(가정구성원적 환경, 인공와우 수술 등)들이 더 많이 작용하였고, 장애를 쳐다보는 사람들의 시선에 대한 움츠림, 개인의 소극적인 성격 등의 내적인 요인들도 여가를 제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각장애를 가지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혼자 할 수 있는 활동, 소리와 관련된 활동에 있어서는 절대적으로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 유아의 기질에 따른 또래 갈등상황과 해결전략

        강효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 문 초 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일어나는 또래 간의 갈등과 갈등을 해결하는 전략이 기질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기질에 따른 유아 지도 전략에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H유치원 만5세 유아 15명으로 기질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김용희(1991)의 번안과 김성민(2001)의 수정․보완된 Thomas & Chess(1977)의 부모용 유아 기질 검사(PTQ)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Gordon(1981)의 기질분류기준에 근거하여 순한 기질 5명, 까다로운 기질 5명, 느린 기질 5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6월 1일부터 7월 22일 까지 총 30회를 관찰하였다. 유아들의 또래 갈등상황과 해결전략을 알아보기 위해 자유선택놀이시간에 참여관찰을 실시하였고, 비디오촬영, 음성녹음, 관찰노트를 사용하여 집중적인 관찰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에 따른 갈등상황은 기질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기질에 따른 또래 갈등상황에서의 해결전략은 기질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순한 기질의 유아는 설명붙이기, 순응, 부탁하기, 자기중심적고집, 정당화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는 정당화하기, 언어적위협, 명령하기, 자기중심적 고집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느린 기질의 유아는 자기중심적 고집, 설명붙이기, 부정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셋째, 동일한 갈등상황에서의 해결전략은 기질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소유분쟁 갈등상황에서 순한기질의 유아들은 순응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들은 정당화하기 전략을, 느린기질의 유아들은 설명붙이기와 순응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놀이에 끼여들기 상황에서 순한기질의 유아는 부탁하기의 전략을,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들은 자기중심적 고집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느린기질의 유아들은 명령하기와 자기중심적 고집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의견차이 갈등상황에서 순한기질의 유아는 자기중심적고집, 설명하기, 정당화하기 전략을, 까다로운 기질의 유아들은 명령하기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느린기질의 유아들은 자기중심적 고집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규칙위반 갈등상황에서 순한기질의 유아들은 설명붙이기 전략을, 까다로운 유아들은 정당화하기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느린기질의 유아들은 언어적 위협과 순응의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 <흙> 프로젝트를 통한 유아의 환경보전의식 함양

        강효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흙>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유아가 흙에 대한 지식과 환경보전의식을 어떻게 함양하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화 기술적 연구이다. A시에 소재한 B유치원에서 2014년 3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두 번의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활동 과정에서 참여 관찰, 심층 면담, 학부모와 교사의 면담, 녹음 및 녹취록, 사진 및 동영상, 프로젝트 활동 결과물, 교사일지 등을 통하여 유아의 흙에 대한 지식과 환경보전의식 함양에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흙>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흙의 특성에 관하여 탐구함으로써 흙의 성질과 흙이 우리 생활에 주는 이로움에 대한 지식이 형성되었다. 둘째, 유아들은 <흙>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흙 속 개미를 관찰함으로써 흙과 함께 살아가는 생명체에 대한 지식이 형성되었다. 셋째, 유아들은 <흙>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흙에 대한 고마움을 느끼고 흙을 소중히 하는 태도가 형성되었다. 넷째, 유아들은 <흙> 프로젝트 활동을 통하여 흙이 오염되는 원인을 알고 흙에서 쓰레기를 수거하는 태도를 형성하였다. 결론적으로 <흙> 프로젝트 활동은 유아가 흙에 대한 지식과 환경보전의식을 함양하는데 효과적이다.

      • 유산가·제비가·소춘향가·십장가 창법 연구 : 유개동, 김순태, 안비취 창을 중심으로

        강효주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경기12잡가는 남성 가창자 주도로 전승되던 환경에서 20세기 후반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여성 중심의 소리라는 인식이 확대되었다. 게다가 12잡가에 대한 연구가 특정 악곡을 중심으로 음악적 특징을 밝히거나 가창자 간의 선율 비교 연구가 주로 진행되면서 음악적 차이나 변화양상은 거의 논의되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서 출발하여 12잡가 중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 4곡을 중심으로 선율과 창법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가창자에 따라 잡가가 갖는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경기12잡가의 형성과 발전 과정을 파악하고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전승 계보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본고에서 중요하게 다루고자 하는 것으로서 경기12잡가와 선소리산타령 전승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경기12잡가와 선소리산타령은 본래 그 전승의 주체가 구분되었던 것이 아니라, 한 사람의 창자가 경기12잡가와 선소리산타령을 포함한 다양한 영역을 넘나들며 각 장르의 전승에 기여하였던 정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경기12잡가의 내용과 음악적 구조를 개괄하고, 호흡과 자세, 발성 및 발음, 시김새 등 창법에 속하는 다양한 요소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여 분석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제3장에서는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의 선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가창자별로 선율 분석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드러났다. 유개동은 꾸밈음 사용에서 <제비가>의 경우 한 두 음을 추가하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였으며, <소춘향가>의 경우 b음으로 a음을 꾸며주는 양상이 보였다. 사설 끝 처리에서는 <제비가>의 경우 한 음으로 끝내는 양상을 보였으나, <소춘향가>에서는 a→c′→a로 마디의 끝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았다. 김순태는 꾸밈음 사용에서 b음 혹은 b♭음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징을 보였다. <유산가>에서는 b음이 a음을 꾸며주는 역할과 더불어 독립음으로도 쓰였는데, b음을 독립음으로 사용하는 지점에서 안비취가 c′음을 쓰고 있었기 때문에 김순태가 c′음을 반음 낮은 b음으로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십장가>에서는 b♭음이 a음을 꾸며주는 역할과 더불어 독립음으로 쓰였다. b♭음의 활용 양상은 <유산가>와 동일하였기 때문에 김순태가 c′음을 반음 낮은 b음으로 처리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특히 김순태는 <십장가>에서 f음도 b♭음처럼 활용하고 있었다. 이로 보건대 c′음은 b♭음으로 낮춰 부르고 e음은 f음으로 높여 부르는 점은 김순태의 선율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안비취는 유개동과 김순태에 비해 음을 추가하거나 꾸밈음을 사용하는 빈도가 현저하게 높았다. 꾸밈음 사용에서 안비취는 다양하게 꾸밈음을 추가하여 순차 상행하거나 하행하는 선율선을 도드라지게 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c′음을 추가하여 a음을 꾸며주는 양상이 자주 나타났다. 사설 끝 처리에서는 <제비가>의 경우 꾸밈음을 추가하여 하행하는 특징을 보였고, <소춘향가>에서는 a→c′로 상행하거나 c′→a로 하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주요 구성음 위주로 선율을 구사하고 순차 상‧하행 선율이 많은 안비취의 특징은 경기음악어법의 특징이라고 해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유산가>, <제비가>, <소춘향가>, <십장가>을 악곡별로 창법을 비교하였고, 이를 토대로 창법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먼저 악곡별로 창법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동일한 악곡임에도 가창자마다 사용하는 창법의 종류와 빈도수에 차이를 있음을 확인하였다. <제비가>에서 유개동은 자연요성을, 안비취는 제음에서 떠는목을 가장 자주 사용하였고, <소춘향가>에서 유개동은 곡선목을, 안비취는 제음에서 떠는목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유산가>에서 김순태는 뻗는목을, 안비취는 걸치는목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십장가>에서 김순태는 걸치는목을, 안비취는 뻗는목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다. 다음으로 경기12잡가의 창법 유형과 특징을 검토한 결과 떠는목이 다양한 종류로 빈번하게 쓰이면서 특징적인 창법임을 확인하였고, 감는목과 놓는목, 뻗는목 등이 주로 쓰이는 창법임을 알 수 있었다. 유개동은 1회 떠는목과 자연요성으로 섬세하면서도 힘 있게 느껴지는 분위기를 표현하였고, 김순태는 감는목과 걸치는목, 뻗는목 등을 자주 활용하였으며, 안비취는 떠는목을 다양하게 사용하며 전체적으로 창법을 다양하게 구사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유개동, 김순태, 안비취 잡가가 지닌 음악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면서, 유개동과 김순태를 통해 살펴본 ‘남성의 소리’와 안비취를 통해 살펴본 ‘여성의 소리’가 어떻게 대비되는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성의 잡가에는 남성의 잡가에 비하여 조금 더 섬세한 표현이 가미되었고, 이는 잡가의 전체적인 속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경기민요의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이후, 잡가 전승의 공식적인 주체가 남성에서 여성으로 전환되었을 뿐 아니라, 전승 과정은 보다 전문화되고 정형화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을 고려할 때, 문화재 지정 이전에는 주로 남성에 의해 전승되던 경기12잡가와 비교해 현재 경기12잡가 전승을 담당하는 여성의 소리가 어떤 변화를 내포하고 있는가를 확인하는 것은 경기12잡가의 통시적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절차 가운데 하나였다. 본고는 연구의 시작 단계에서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한 결과, 유개동과 김순태가 취입한 잡가의 악보 자료가 부족함은 물론이고, 경기민요의 보유자로서 생존 당시 경기소리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안비취의 음원 및 악보 자료 또한 귀중한 것이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물 가운데 무엇보다 본고에 수록된 세 명창의 악보 자료가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충하고 보다 진전된 연구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안비취의 계보를 잇는 사람으로서 이 자료가 경기12잡가의 연구 뿐 아니라 보존과 전승, 연행 등 다양한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Gyeonggi 12-japga had been passed down primarily as a male singer focused environment but after it was selec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rt, its public awareness shifted to being a voice of the female. Moreover, the emphasis of the research on 12-japga has been around a particular piece of music to show its musical aspects or comparison between singers, so differences and changes in musical aspects have not been discussed. Therefore for these reasons above, the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aspects of individual singer’s japga by comparing their melodies and singing methods from four of japga songs <Yoosan-ga>, <Jaebi-ga>, <Sochunhyang-ga>, and <Sipjang-ga>. Firstly, the second chapter analyzed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Gyeonggi 12-japga and examined its heritage after being selec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rt. And the emphasis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heritage between Gyeonggi 12-japga and Seonsori-taryeong (Folk tune). It was identified that one particular singer influenced the heritage of various genres including Gyeonggi 12-japga and Seonsori-taryeong, not because their heritages were outright different. On another note, contents and musical structures of the Gyeonggi 12-japga were summarized, and concepts and contents of various aspects of breathing/posture, vocalization/pronunciation, vibrato and etc. were examined and provided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nalysis. The third chapter comparatively analyzed the melodies of <Yoosan-ga>, <Jaebi-ga>, <Sochunhyang-ga> and <Sipjang-ga>.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identified from analyzing each singers’ melodies: Gaedong Yoo’s embellishment notes were simple method of adding one or two notes according to <Jaebi-ga>, and <Sochunhyang-ga> showed the aspects of how he embellished note A with B. <Jaebi-ga> was identified to end with one single note, but <Sochunhyang-ga> was often ended with a conclusion of notes A to C to A. Soontae Kim’s usage of embellishment notes showed how he often used note B and Bb. In <Yoosan-ga> note B was used to embellish A as well as an individual note, but it was analyzed that Soontae Kim lowered the note C to B which is a half step down because Bichoe An was using the note C at the point where Soontae Kim was using B as an individual note. Also in <Sipjang-ga>, Bb was not only used as an embellishment note for A but also as an individual note. The usage of Bb was same as <Yoosan-ga> so it is supposed that Soontae Kim lowered C to B which is a half step down. Especially in <Sipjang-ga>, Soontae Kim used F as Bb. Therefore lowering C to Bb and raising E to F can be observed as characteristics of Soontae Kim’s melodies. Bichoe An’s frequent use of embellishment and addition of notes were noticeably higher compared to Gaedong Yoo and Soontae Kim. Bichoe An showed characteristics of subsequently lowering and raising dynamics by adding embellishment notes in various ways. Especially it was often shown how he added the note C to embellish A. In <Jaebi-ga> his characteristic of gradually ending the song by adding embellishment notes was shown, and <Sochunhyang-ga> showed how he gradually inclined from A to C or declining from C to A. Bichoe An’s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melodies around the main melody and frequent declination and inclination were interpreted to b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of Gyeonggi. The fourth chapter compared singing methods by each songs from <Yoosan-ga>, <Jaebi-ga>, <Sochunhyang-ga>, and <Sipjang-ga>, and draw conclusion on aspects of their singing methods. Firstly, by comparing singing methods from each songs, it was identified that each singers used different singing methods even for the same song. in <Jaebi-ga> Gaedong Yoo used natural vibrato while Bichoe An often used throat vibrato on a single note, and in <Sochunhyang-ga> Gaedong Yoo used curved neck while Bichoe An often used throat vibrato on a single note. In <Yoosan-ga> Soontae Kim used straight neck while Bichoe An often used slipping neck, and in <Sipjang-ga> Soontae Kim used slipping neck while Bichoe An often used straight neck. By examining singing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Gyeonggi 12-japga from the followings above, throat vibrato was indicated to be used often as the characteristic singing method used in various ways, and wrapping, dropping, and straight neck were shown to be frequently used singing methods. Gaedong Yoo showed how he used single throat vibrato and natural vibrato to express a delicate yet strong feeling, Soontae Kim frequently used wrapping, slipping, and straight neck, and Bichoe An’s various usage of throat vibrato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inging methods. As we comparatively analyzed the musical aspects of japga on Gaedong Yoo, Soontae Kim, and Bichoe An, we were able to identify how the 'Voice of males’ from observing Gaedong Yoo and Soontae Kim, and ‘Voice of females’ from observing Bichoe An contrasts. Female japga appears to be more subtle compared to the male japga, which supposedly contributed to the overall tempo of japga. After the designation of Gyeonggi folk tunes int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rt, not only the heritage of japga shifted from males to females but also the process of heritage became more professional and standardized. Therefore it was a crucial process to compare the Gyeonggi 12-japga passed down by males and the current Gyeonggi 12-japga passing down by females to understand the diachronic changes of Gyeonggi 12-japga. From examining the prerequisite materials from the start of the study, it was evident that there were not enough sheet music materials of Gaedong Yoo and Soontae Kim, and so we realized how precious and valuable the music materials of Bichoe An are, wh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und of Gyeonggi as a holder of the Gyeonggi folk tunes. Therefore out of all the possible outcomes of this study, we hope the sheet music materials of the three famous singers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oundation and basis for further research, and as the successor of Bichoe An we hope this study will not on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Gyeonggi 12-japga but also hope to be used for preservation, heritage, and other meaningful things.

      • 대인관계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강효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대인관계성향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인관계성향은 학업적응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대인관계성향은 사회적응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대인관계성향은 개인-정서적응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대인관계성향은 대학환경적응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최종 254명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대인관계성향을 측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안범희(1985)의 대인관계 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 연구라는 논문에서 제작된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Baker와 Siryk(1984)의 대학생 적응 질문지(Student Adjustment to Collage Questionnaire:SACQ)를 현진원(199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