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군사 일본어 교육방안에 대한 연구

        강효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일본은 자위대의 국제적 활동이 점차 왕성해지고 군사대국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려는 노력이 눈에 띄고 있다. 우리 군도 일본과 군사 교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본어 가용 자원 획득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정 수준이상의 일본 군사 전문가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일본어 학습에 대한 심도 있고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때문에 선행 연구 등의 제한으로 논문 작성에 어려움이 컸다. 군내에서 일본어 단기간 집중 교육을 통해 군이 필요로 하는 자원을 배출하는 육군 정보학교 「군사 일본어 과정」과 일본어 기초마련을 위한 교육이 시행되는 육, 해, 공군 사관학교의 교육 과정과 교재 분석을 통해 장단점 및 그 개선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특히 「군사 일본어 과정」을 그 연구대상으로 하여 교육생을 위한 보다 효율적인 교육 방안이 무엇인가 나름대로 많이 고민하였다. 물론 육, 해, 공군 사관학교와 「군사 일본어 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교육목표와 교육기간, 교과과정 등 여러 가지 상이한 점이 있어 비교가 적절치 않을 수도 있으나 이는 각 군 사관학교의 일본어 교육의 장점을 「군사 일본어 과정」에 적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더 컸기 때문이다. 「군사 일본어 과정」교육은 일본 군사 전문가 양성과 일본어 가용자원을 양성한다는 목표아래 소수인원을 대상으로 40주 동안 엄격한 규정 하에 일본어만을 집중 교육한다. 또한 초급, 중급, 고급의 수준별 교육을 통해 민간 교육기관에서 배우는 일본어와 군사 일본어로 나누어 가르치고 있으며 수준별로 학습자들의 학습 진도에 적합한 교재를 선택한다. 일본어는 기초부터 고급까지 다루고, 군사 일본어는 주로 일본어 군사 브리핑 기법이나 일본의 군 관련 정책과 방향을 소개한다. 수료이후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듣기와 말하기 위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원어민 강사는 주로 일본어 회화를, 교관은 군사 일본어와 문법 교육을 담당한다. 고급단계가 되면 시청각 매체를 활용한 교육의 일환으로 일본 뉴스, 드라마 등을 활용하며 군사 일본어를 학습한다. 그러나 「군사 일본어 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분석하면서, 외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필요한 문화교육이 비교적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고 시청각 매체 활용 학습도 좀더 효과적인 학습방법으로 개선되어야 함을 발견하였다. 이 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로써, 군사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군사 일본어 교육이 내실있게 시행되기 위해 「군사 일본어 과정」의 특성을 살리면서 효율적인 학습이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문화 교육 방안은, 외국어 학습에 있어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면서도 교육과정과 교재 분석을 통해 본 「군사 일본어 과정」은 체계적인 문화교육이 부족하기 때문에 제시하였다. 문화교육과목의 신설, 군내 타 교육기관과의 정보교류, 문화 교육용 교재 개발과 더불어 문화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설문조사를 통해 재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시청각 매체가 가지는 교육적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현 교과과정 속에서 적용할 수 있는 영화비디오 교재를 활용한 교육모델을 제시하였다. 영화를 활용한 학습 시 학습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요망수준에 도달케 하기 위해서는 원어민 강사나 교관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교육계획을 잘 작성하야 한다. 「군사 일본어 과정」은 일본 관련 군사 전문가 양성이 목표이고 과정의 특성을 살려 일본의 군사적 분야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취지에 비해 교육 내용은 일반적인 군사 정책이나 방향, 군사 브리핑 기법 등의 학습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일본 고유의 군 특성과 기능 등 실질적이고 가치 있는 내용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군사 교재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매 수료시마다 설문조사를 실시, 교육생들이 학습하기를 원하는 내용이 무엇인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일본의 군사 분야는 교육생들도 처음 접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현재 교육시간으로는 부족하다. 교과과정 중에 "일본어 능력시험"과 같이 현재 꼭 필요하지 않는 시간은 교육시간을 변경, 군사 일본어교육시간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설문 조사 결과 교육생들은 군사 일본어가 일반인들이 배우는 일본어에 비해 더 어렵지만 「군사 일본어 과정」에서 학습하기를 원하고 현재 교육내용보다는 한국군 특성과 비교할 수 있는 일본군의 조직, 기능, 특징 등에 대한 학습욕구가 강했다. 선발 시험을 통해 입교하여 자발적인 학습의욕이 강한 교육생들의 능력을 100%발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본인 뿐 아니라 교관이나 원어민 강사의 사명감과 교육 열의이다. 「군사 일본어 과정」을 통해 유능한 일본 군사전문가와 한일 군사 교류에 기여할 수 있는 우수한 자원을 더 많이 배출하기를 바라는 동기에서 본 연구를 시작하였고 「군사 일본어 과정」에서 학습하면서 느낀 생각을 토대로 이 과정의 개선 보완점을 나름대로 제시해 보았지만 아직 미비함을 느낀다. 특히 군사 교재 분야에서 처음 의도했던 만큼의 깊이 있는 연구를 하지 못했던 것이 가장 큰 아쉬움으로 남는데 이는 차후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명상활동이 유아의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만 5세아의 자기 감정인식 및 표현을 중심으로-

        강효경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명상활동이 자기 감정인식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명상활동의 영향을 인성 특성 중에서 감성지수 구성요소의 하나인 자기 감정인식 및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명상활동이 유아의 다른 교육활동과 유치원 생활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며, 또한 유아의 감성지수 향상을 위한 감성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명상활동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의정부시 소재의 Y유치원 17명과 J유치원 22명 의 만 5세 유아 총 3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매일 30분씩 38회 1140분(19시간) 명상실험을 하였다.정규프로그램에 명상활동 시간을 선택하여 좌선, 행선, 와선을 응용한 명상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0)의 교사 평정에 의한 ‘유아용 정서 지능 평가도구’ 중에서 ‘정서인식 및 표현’ 부분에 해당하는 평가도구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검사 문항은 모두 3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을 4단계 평정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PS/PC Version 12.0에 의해 통계 처리한 후 분석하였고, 질적 분석에 대한 내용은 지속적 비교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 감정인식 및 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상활동이 감성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실험집단 유아17명과 통제집단 유아 22명으로 나누어 8 주간에 걸쳐 시행한 후 두 집단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명상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 집단 내에서 언어 표현과 관련한 내용을 지속적 비교방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ology)을 사용하여 내용 분석한 결과,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언어 표현과 함께 긍정적인 자기감정을 표현하였다. 명상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기 감정인식 및 표현에 영향을 준 결과와 마음 나누기 표현에 대한 내용분석에 근거하여, 유치원 교육활동의 심리적인 측면과 생활적인 측면에서 감성교육 프로그램으로 명상활동이 유용함과 유치원 교육과정 내의 삽입이 강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ditation activities on the awareness of self-emotion and self-expression of 5 year-old children.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mediation activities based on the awareness of self-emotion and self-expression, to measure the effects of these on preschool activities and routines of 5 year-old Childre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program to facilitate the emotional quotient of children by the mediation activities. 39 children were selected at this experiment, 17 from Y kindergart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22 from J kindergarten for the control group in Uijeongbu,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38 sessions per 30 minutes form March to June, 2004. The mediation activities were implemented in preschool routines, with forms of sitting, lying, and walking. This study carried out design of pretest and post-test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qualitative study. The awareness of self-emotion and self-expression was measured by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quotient scale by teacher rating' developed by Lee, Lee, and Shin (2000)', with 4-Likert scale. The experiment data were analyzed through SPPS/PC Version 12.0, and children's emotion and expression by mediation activities were categori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ology.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diation activities affected the awareness of self-emotion and self-expression of 5 year-old Children. Second, after carrying out to analyze contents the linguistic express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on positive self-emotion and various linguistic expressions by analysis of constant comparative methodology. This showed The mediation activities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ositive emotion and expressional diversity. Based on the these, the usefulness of meditation activities as an emotional education program and the necessity of embedding them on a kindergarten curriculum was emphasized.

      •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강효경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에 따른 장애아동가족들에게 알맞는 지역사회 중심의 맞춤 장애복지정책에 관한 사회복지 실천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유아기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기 전까지 장애아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546부의 사례가 본 연구의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사용하여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가족의 스트레스와 관련하여 장애아동에 대해서 자녀연령, 장애유형, 장애등급에 따라 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었고 장애아동가족들은 가족의 연령과 자녀와의 관계에서 가족들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높으면 사회활동 및 일상생활을 할 때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아동가족의 스트레스와 문제해결능력과의 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가 가족탄력성의 높을수록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서,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buffering effect, 완충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 실천과 관련하여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가족들의 다양한 사회적응 및 주변과의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도록 단일화된 행정 관계망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아동가족들을 지역사회의 자원과 연결시켜 경제적인 취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중증장애아동 가족들에게 전반적인 위탁서비스 및 다양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정책결정 및 집행과정에서 장애아동가족들과 장애와 관련한 전문사회복지사들의 실천 개입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제언들은 장애아동가족의 지원을 위한 정책적인 입법과 사회복지 실천에서 행정적 서비스를 강점중심으로 전환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장애아동가족에 대한 개입 단계에서 부터 강점중심의 개입을 먼저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이것은 가족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회복 시켜줄 수 있는 행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into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life cycle upon problem-solving ability centering on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ccordingly, the aim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ocial-welfare practice intervention in the customized welfare policy for the disabled centering on community in line with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families having children who are attending special school before graduating from a high school from babyhood. Altogether 546 cases were used in the analyses of this study. The data was analized by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study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by using SPSS 14.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stress depending on child's age, disability type, and disability class.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that families are being much stressed by relationship between family member's age and child.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 stress leads to negative influence upon solving diverse problems, which happen during social activity and daily life.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e in the higher family resilience. Thus, the family resilience was clarified to have buffer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policy-based suggestions are made, which are relevant to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as follows. First, the unified administration-related network needs to be formed so that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be formed diverse social adjustments and network with neighbors. Second, a policy-based plan needs to be pursued so that economic employment can be achieved by connecting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the resources of community. Third,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severe disabilities need to be offered the general commissioned services and diverse programs. Fourth, there is a need of being participated together by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professional social workers related to disabilities given establishing policy. As for these suggestions, when performing administrative services in the policy-based legislation and in the social-welfare practice for support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rength-centered intervention will be premised, not defect-centered, from the stage of intervention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a strength-centered change. This will be possibly seen as the administrative service result available for recovering family function more effectively.

      • 액션러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및 효과 연구

        강효경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Korean Education is to perform a communication which studies Korean as second languag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and situation and to extend the communication skill through the significant speech function. However a problem is happening actually in the classroom in the part in which the learners cannot induct the initiative learning magnetically while learning activity is limited to a textbook that is being led by a teacher. The problem -based learning that is learner- centered class was presented, but there was a trouble to utilized in the clas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ction Learning as the alternative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The effect of Action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improvement were reviewed and examined after conducting Action Learning to Philippines' learners. This research will be presented in the following manner.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of the study as well as the preceding research and its procedures and progress were addres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review of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oncept of Cooperative learning, PBL, Action Learning were abstracted. In the third chapte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argeting Philippines' learners covering the present learning environment of Learner- centered learning, the need and cognition of Action Learning. In this research learner could not recognized, however after learning about Action Learning. learners had the increased in learning ability. especially speaking and word expression. In the fourth chapter, design and constru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rough Action Learning as the learner centered learning for solving practical problem ability improvement was formulated. To do this 7learning fundamentals were being proposed such as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learner ,interaction between learner and learner, textbook application, utilizing Action Learning Technique (Brainstorming, Mind map, SCAMPER), task-based activity, learner -focused activity and mutual cooperation. In order to apply these learning fundamentals on practical lesson and to review effectiveness of Action Learning,5 of Action Learning lessons were conducted to 20 Philippines' learners. (12 learner of Elementary 2 and 8 learner of Intermediate 1) In the fifth chapter, Verification on the effect to the class was enforced 5 writing task and 1 writing evaluation. After analyzing ' writing about solving problem'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arners' “writing skills" has steadily improved and creative thinking, teamwork, causing motive are inducement of interest also improved. Action Learning is meaningful as 3 types of educationa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n actual educational environment are being proposed, improvement on practical communication skill as the integrated class utilizing a textbook. First is the Utilizing for 'writing' learning as improvement of the communication skill through the problem solution course. Second is the Utilizing for task as a method of self-study. Last is the Utilizing Action Learning Technique for creative thinking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Finally in the sixth chapter, a summary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presented along with an analysis of the potential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s to design a practical Korea communication development plan utilizing Action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who haven't had enough opportunity to improve themselves in the past in the classroom. It is especially meaningful for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that supplement the problem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an attempt to approach a Integrative instruction and simultaneous practical language skill improvement. This research teaching guide is based on Integrative instruction. speaking, reading, listening are connected to writing at last. The writing of this research is of a self study through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the Korean class is giving attention to the Integrative instruction. However, a follow-up study is to be anticipated on Action Learning in order for it to become an effective learning technique, enable to advance the background knowledge for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and to improve Teaching-learning plan so that the various class activities be included. Key word :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Lerner interaction, Communication skill, Integrative instruction, Effective use of Textbook, Problem-solving ability, Self study and Task, Action Learning Technique (Brainstorming, Mind-map, SCAMPER)

      • 아트 프로펠(Arts PROPEL)을 활용한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강효경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아트 프로펠(Arts PROPEL)의 교수 방법을 활용하여 중학교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포트폴리오 개발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포트폴리오는 완성도 높은 작품을 모아놓거나 취업활동에서 채용담당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취업에 관련된 작품을 엮어 제작하기도 한다. 이런 포트폴리오는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학습 내용의 평가를 위해서 활용하거나 학습자의 상위 교육기관 진학을 위해 입시 용도로 제작하는 것으로 주요 사용된다. 포트폴리오는 파일형식, 디지털형식 등의 양식으로 내용을 취합하여 학습자의 작품에 대해 기록하고, 표현 능력의 변천 과정을 이해하는데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포트폴리오 형식 중 학습자의 작품 과정을 취합하는 프로세스-포트폴리오를 아트 프로펠 방법을 활용하여 중학생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아트 프로펠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미술교육현황을 알아보기 위해 2009개정․2015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12종 교과서 분석과 설문지를 통해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표현능력을 자가 진단하기 위해 프로세스-포트폴리오제작 수업이 필요하지만, 수업시간 안에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사와 학습자의 프로세스-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포트폴리오 수업의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장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2009개정 교육과정의 체험․표현․감상과 아트 프로펠의 창작․지각․반성을 연계하여 ‘창작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 ‘창작․지각중심의 영역별 프로젝트 활용 프로그램’, ‘지각과 반성’을 중심으로 한 ‘반성중심의 프로세스폴리오법 활용 프로그램’, ‘창작․지각․반성’의 종합적 주제를 중심으로 한 ‘창작․지각․반성의 종합적 프로그램’으로 총 3가지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분석 결과 학습자들에게 자료 수집을 통해 미술에 대한 사고를 확장하고 주제를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었으며, 프로세스-포트폴리오를 통해 표현능력을 자가 진단해 표현에 대해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할 수 있게 되었다. 4장에서는 3장의 내용을 토대로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와 그에 대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교육적 효과로는 첫째, 작품 활동에 있어 주제에 맞는 표현 방법을 선택하는 것에 어려움을 가진 학습자들이 자료 수집을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작품의 주제와 그에 맞는 재료를 선택하였다. 둘째, 학습자 간의 작품 토의․토론 과정에서 체계적인 비평을 통해 학습자의 표현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프로세스-포트폴리오를 통해 작품의 과정을 기록하면서 학습자는 자신의 작품에 대한 자가 진단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수행평가의 신뢰성 및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서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세스-포트폴리오제작을 위한 학습교구가 지원되어야 한다. 둘째, 교과서 상의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수업 자료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교수방법은 창작․지각․감상이 하나의 수업 안에서 골고루 연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미술과 영역 안의 연계성이 강화가 필요하다. 아트 프로펠을 활용한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은 학습자에게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미술개념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더 나아가 표현능력 향상을 돕는 과정이므로 다각적인 아트 프로펠의 연구와 그에 맞는 프로세스-포트폴리오 제작 수업의 개발로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돼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develop a process-portfolio which can be applied to middle school field by using teaching method of Arts PROPEL. The portfolio are sometimes made up of best-quality works or works related with job employment. These portfolio is mainly used for enter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of learner or evaluating learning contents of teacher. The portfolio is easy way to record learner's work in file, digital form and understand learner's changes of expression ability. This article studie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middle school student by using Arts PROPEL method from portfolio format which is gathering learner's process of work. In chapter 2, This article studies theoretical background, fundamental notion, and feature of Arts PROPEL, to find out art education's present condition of portfolio produce program, art educational curriculum 2009, 2015 revision and 12 textbooks are analyzed, and also surveyed middle school teachers by using questionnaire. A survey of these ways have indicatied that process-portfolio making class is needed for self-diagnosis of learner's expression ability, but lack of class time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earner make portfolio class progress hard. In chapter 3, This article applied and analyzed process-portfolio making program by using Arts PROPEL based on 2009 revised education courses. This article make a connection between experience, expression, appreciation of 2009 revised education courses and production, perception, reflection of Arts PROPEL. From this, three programs : Domain project application program focusing on production and perception, Processfolio application program focusing on perception and reflection, Overall program based on overall subject are developed and applied. Program application analysis seeks for direction of improvement to express by self-diagnosis of expression ability based on process-portfolio, expand the scope of learner's thinking through data collecting, and also select subject effectively. In chapter 4, Educational effect of process-portfolio making program and its activation plan based on chapter 3 are drawed. After completing this research, three educational effects are found out. First,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choosing proper expression method in work activity, become able to choose work subject and optimum material for that. Second, Learner's expression ability are improved through systematic reviewing in work discussion process between learners. Third, By recording work process through process-portfolio, learner can do self-diagnosis, and it secure reliability and objectiv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Although these educational effects exist, this article suggest activation plan to overcome process-portfolio making program's weaknesses in school field. First, Teaching aids for process-portfolio must be supported. Second, Process-portfolio teaching material in the textbook must be developed. Third, Production, perception, reflection must be connected evenly through a one class by using Arts PROPEL applied teaching method. Therefore, Connectivity between art and the domain should be enhanced. Process-Portfolio making program by using Arts PROPEL is a process which supports learner's understanding extension about art notion by autodidacticism and expression ability improvement. Therefore, In-depth study should be continued by developing matched process-portfolio making class and researching diversified Arts PROPEL.

      • 설득 목적 글쓰기의 양태 표현 교육 연구

        강효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언어 사용자들은 다양한 의미하기 방식에 따라 자신의 언어를 선택해 나간다. 언어 선택의 기반에는 해당 의미하기 방식의 전형성이 전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여러 맥락들을 고려해 가며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형성해 가는 것이다. 학습자들의 의미하기 방식은 숙련자로서의 성인 언어 공동체의 의미하기 방식과 다를 수 있다. 이는 성인의 것으로 발달할 필요가 있는 언어 운용 방식이면서 동시에 그들 나름의 언어 선택 기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하나의 의미하기 방식으로서 존중받고 인정받아야 할 부분이다. 다만, 해당 의미하기 방식이 전체 언어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고 있어야 하며, 미처 발달되지 못한 선택항 체계의 부분에 대해서는 발달시켜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전제 아래, 설득 목적 글쓰기에서의 양태 표현과 관련하여 학습자와 숙련자로서의 성인의 언어 선택 과정을 분석하고 기술함으로써 고등학생 학습자의 양태 표현 구성 방식을 탐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보다 풍성한 선택항을 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장르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사용역에 대한 고려를 중심으로 양태 표현에 대한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체계 기능 언어학에서 ‘선택항’이란 특정 언어 사용 기능에서 선택 가능한 계열적 배열에 속하는 것들을 일컫는다. 그리고 이때 하나의 입력 조건하에서 가능한 선택들의 집합을 ‘체계’라 한다. 이러한 ‘선택항’과 ‘체계’의 개념은 언어에 대한 탐구를 바탕으로 사용 가능한 언어 자원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문법 교육의 지향점과 맞닿아 있다. 이에 따라 설득이라는 특정 목적 아래 수행되는 사회적 과정에서 선택 가능한 양태 표현 구성 방식의 집합을 ‘설득 목적 글쓰기에서의 양태 표현’의 하나의 ‘체계’로 보고, 이들 체계의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학습자로 하여금 선택 가능한 언어 자원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언어 선택 기제에 따라 여러 사용 맥락을 고려하여 적극적이고 주도적으로 언어를 선택해 나가는 주체적인 학습자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공통 교육과정 내 문법을 이수한 고등학교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양태 표현을 구성하는 방식을 사례 연구를 통하여 면밀히 관찰한 후 이를 숙련자의 문장 구성 방식과 비교해 보았다. 학습자와 숙련자의 언어 선택 과정을 비교하는 이유는, 학습자의 문장 구성 방식이 숙련자에 비해 어떤 점이 미흡한지를 확인하고자 함이 아니라 숙련자와의 비교점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언어 공동체에서 구성하는 유의미한 문장 구성 방식을 확인해 보고자 함이다. 이러한 비교를 통하여 학습자와 숙련자는 ‘설득 목적 글쓰기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과 ‘필자로서 자신이 어떤 위치에 있는지에 대한 인식’이 상이하며, 이러한 서로 다른 인식을 바탕으로 문장을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숙련자 집단은 객관화 기반의 양태 표현과 주관화 기반의 양태 표현을 자유롭게 구성하였고 특별히 독자와의 민감한 교류 양상을 보인 반면, 학습자들은 독자의 변인 여부보다 주제와 해당 명제에 대한 확신 여부, 그리고 설득 목적 글쓰기라는 장르에 대한 고유한 인식을 토대로 핵심 주장 문장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주관화 기반의 양태 표현을 주로 선택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들이 보다 다양하고 풍성한 언어 체계로서 설득 목적 글쓰기에서의 양태 표현 구성 방식을 탐구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주체적인 선택 과정으로서 문장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그 교육의 방향은 언어 운용 기제에 대한 탐구로 시작하여, 각 기제에 따라 어떻게 언어를 운용해 나갈 수 있는지 다양한 운용 방식을 탐구함으로써 자신의 선택항 체계를 보다 풍성히 구축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방향이고, 이는 결국 언어에 대한 통찰과 언어 의식을 함양하는 교육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르와 언어 운용 방식에 대한 이해, 그리고 다양한 사용역 차원을 고려하여 선택항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Language users choose their own language depending on their various ways of meaning. One’s language selection is based on the prototypicality of a way of meaning and accordingly, language learners form a meaning that one wants to expres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ntexts. For this reason, language learn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may have different ways of meaning compared to that of the adult language community as skilled persons. Yet, those learners’ ways of meaning should not be corrected to the adults’ ways of meaning in order to respect the learners’ own mechanism of language selection and to recognize their ways as a new type of ways. However, it is important for the learners to fully consider how their ways of meaning are being understood within the entire language community and their immature ‘system of options’ needs to be developed through grammar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way of constructing modal express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 persuasive writing through analysis of the selection processes of language between the language learners and adults. Following the analysis, an educational content was designed and developed on modal expressions,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genre and consideration of various registers in order to enable learners to construct a richer system of options in persuasive writing. Accordingly, the study conducted an observational case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to compare the ways of constructing modal expressions between the high school students (learner group) and the adults (skilled group). For this, writing tasks were given to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completed Korean grammar lessons in the common curriculum. By comparing the ways of constructing modal expressions in sentences (i.e. selection process of language) of the two groups the study identified those learners’ meaningful style of sentence composition in their language community. Through these comparisons it was found that the two groups construct sentences based on a different perception of genres of persuasive writing and how they perceive themselves as authors. In specific, the skilled group could freely construct sentences using objectification-based and subjectivity-based modal expressions and also be closely connected with readers. On the other hand, the learner group mainly construed sentences using subjectivity-based modal expressions. The learners seemed to consider more of their understanding of significant linguistic method as well as their own perception of the themes, propositions, and genres of persuasive writings. This also indicated that the learners are weak a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eaders in their writing. By analyzing the results of comparisons, an educational content was designed to enable learners to explore the way of constructing modal expressions as a diverse and rich language system in persuasive writing and to construct sentences with their own subjective selection process of language. The education will lead learners to first explore ‘language operating mechanisms’ and to continue exploring diverse ways of linguistic operations according to the mechanisms. As a result, the newly designed education will eventually foster learners to develop the linguistic insights and consciousness. Also, the study points out that the learning process should involve understanding of genre and language operating mechanism and consideration of various dimensions of registers to construct sentences using modal expressions in persuasive writing.

      •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교육관 및 자녀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효경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부모교육의 대안으로서 뇌교육 프로그램에 기초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부모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가설을 세웠다. 첫째,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한 학부모는 그렇지 않은 학부모보다 자녀교육관에 유의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한 학부모는 그렇지 않은 학부모보다 양육태도에 있어 유의한 변화가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한 중앙학부모교육원 두뇌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부모와 무분별 모집한 일반 학부모 총 44명이었으며, 이들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개월 동안 12시간의 뇌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에는 이원영(1983)의 자녀교육관 검사척도와 장영진(2000)의 부모양육 태도 검사지가 사용되었다. 결과 자료 분석에서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의 쌍별 t-검증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사전 및 사후 결과 점수를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의하면, 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의 프로그램 실시 전․후 비교 결과,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보였다. 실험집단은 프로그램 실시 후 성인중심 교육관에서 유아중심의 교육관을 지향하며, 흥미 및 경험, 놀이 중심의 교육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집단의 자율적-통제적 태도, 의도적 무관심-과잉 보호적 태도, 일관성-비일관성 태도의 부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의 변화가 있었다. 뇌교육 프로그램이 자녀교육관 및 자녀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자녀교육관과 양육태도에 있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뇌교육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자녀의 긍정적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서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