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 주의 관점에서 본 전통극 영화 비교 감상 미술 수업연구

        강혜린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ulticultural age has already come. Particularly with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media and image have been either developing or regressing according to the reference of economic efficiency. Education for adolescents, however, may not be clearly decided only with economic logic because they have to form whole-person character and also learn how to live with others harmoniously. In this age when image is exerting higher ripple effect, this researcher has been stressing the point that art creating image should be practiced through diverse attempts and approaches along with the trends of this multicultural era. Therefore, now is the time that art education which has been in charge of image education originally should play initiative roles. Aside from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or not, this author has selected rather a broad range of topics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raditional theatre movies to education for cut rhythm in different movies which is rather new to people ye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education for multiculturalism in terms of cut rhythm in traditional theatre movies, for example, Korea’s Beijing opera, <Chunhyangdyeon>, no-form theatre, <Ran>, and Beijing opera, <Farewell My Concubine>, this researcher has investigated the organization and duration of cuts in them particularly and also each traditional theatre’s characteristic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rhythm in traditional theatre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cut rhythm in traditional theatre movies, too, indicates similar time intervals. Based on that, this author has reached this conclusion that traditional theatre movies produced in each of the countries are characterized by the time of cut division. There exist many elements to be considered afterwards regarding the image moving with the combination of temporality and image. If cut rhythm in traditional theatre is taught,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and acquire how the nonvisual elements of cut rhythm associated with traditional rhythm influence their sight and image. The unique images of traditional theatre produced in different countries are quite new to students, and they are not seen directly. But with training for the elements of cut rhythm having visual influence,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broader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f different images in different cultures. This study will be helpfully applied if the next revised curriculum deals with art class in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ism regarding East Asia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다문화시대는 이미 진행중이다. 특히 자본주의의 발달로 매체와 이미지는 경제적 효율에 따라 발전하고 퇴보해왔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교육은 전인적인 인격형성과 더불어 사는 것의 의미를 배우는 차원에서 경제적 논리로만 재단될 수 없다. 이에 그 사회의 미풍양식과 생활양식 관습적 담론과 고유성을 담지할 수 있는 교육과정에 미술교육은 떠오르는 대안임에도 입시제도와 취미 교양 과목 으로 단순 예체능 과목으로 치부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때문에 근래에 들어 미술교육과에서 시각문화관련 교육연구가 주춤하며 관련 연구가 소수가 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다른 과목에서 경영, 공학, 심리, 매스미디어, 사회 인문학 등등의 수많은 교과가 이미지 연구를 시작한 것은 역설적이다. 이미지의 파급력이 높아진 시대 이미지를 창조해 내는 미술이 다문화 시대에 발맞추어 다양한 시도와 접근을 통해 이루어져야 함을 본 연구자는 강조해왔다. 때문에 본래의 이미지 교육을 해왔던 미술교육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는 연구결과의 유의미함을 떠나서 다문화 교육과 전통극 영화에서 각 영화의 아직 생소한 컷리듬 교육까지 연구의 범위가 다소 넓은 논문 주제를 정하게 되었다. 다문화 주의 교육에서 전통극 영화를 통한 컷리듬 연구 내용결과 한국 경극<춘향뎐>,노형식 <란>, 경극에서는 <패왕별희>로 연구자가 영화의 컷구성 과 컷 지속 시간 의 특이점을 중점에 두고 각 전통극 마다 각각의 특징과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각 나라의 전통극영화에서 각각의 컷나눔의 시간간의 특징이 있다. 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앞으로 영상의 시간성과 이미지의 결합 으로 움직이는 이미지에 대해서 접할 상황이 많아지고 교육적으로 도 고려해야할 요소가 많다. 본 연구에서 이렇게 각각의 전통극 영화 컷 리듬을 교육함으로 지금의 학생들에게 전통적 리듬과 관련된 영상의 컷 리듬의 비시각적인 요소가 어떻게 시각과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훈련하고 배울 수 있다. 현대의 학생들에게 다소 생소한 각 나라의 개성적인 전통극 영화 이미지들에 대해서 비 시각적인 부분이 시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컷 리듬 요소에 대한 훈련으로 학생들은 다양한 문화의 다양한 이미지에 대해 더욱더 폭넓은 이해와 시각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얼굴을 통한 내면 감정 표현 연구

        강혜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에 있어서 표현의 의미와 개념은 다양하다. 그것은 극히 개인적일 수도 있고 감성적이거나 지적일 수도 있으며 사회적이거나 내면의 심리적인 상황이 그 배경이나 내용일 수도 있다. 내면 감정표현을 주제로 한 본 논문은 종이캐스팅 기법으로 얼굴을 부조적으로 만드는 조형과정을 통하여 인간의 삶과 경험 속에서 형성된 기억들과 “나”라는 자아 속에 잠재되어 있는 내면의 감정들을 얼굴이라는 이미지로서 표현하고자 하였다. 삶 그 자체가 자신의 내면 감정 형성에 있어서의 중요한 근원이며 이 같은 내면 감정이 드러나거나 때로는 충돌하고 서로 교감하는 장(場)이기도하다. 삶 속 체험들의 경험은 자의이든 타의이든지 이미지로 머릿속에 저장되어 기억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된다. 그것의 일부는 잠재적으로 기억이라는 베일 속에 감추어지기도 하지만 매순간 사람들이 경험하고 지각하는 순간적인 현실들은 뇌라는 기억의 구조에만 저장되는 것만은 아니다. 그 같은 현실과 경험들은 우리 신체를 통하여 즉각적으로 반응되고 표현된다. 이같이 반응하는 신체의 대표적인 경우가 얼굴이다. 타인의 얼굴을 보고 공감을 느끼게 되거나 자신의 내재된 기억과 감정을 떠올리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인은 인간의 얼굴을 특히 주목하였다. 본 논문의 작품 속에 전개된 얼굴의 이미지들은 삶속 경험들의 내면 감정이다. 부조적인 얼굴은 사람의 외형적인 얼굴을 자화상으로 그리거나 찍은 것이 아니라 내면 감정을 표출하기 위해 조형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작품의 전개와 종이캐스팅기법, 얼굴과 스티치, 작품설명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종이캐스팅(Paper Casting)’에서는 종이캐스팅의 표현과 재료에 대해 연구하였다. ‘얼굴과 스티치’는 부조적인 얼굴을 배치하고 견사 스티치가 의미하는 표현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작품 설명’에서는 감정으로 표현된 작품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사람들의 다양한 생각의 표정을 주제로 본인의 작업에서 관람자와의 의사소통, 감정교류 등을 가능하게 만드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There are various expression for the concepts of art, which have private, sensitive and sometimes intelligent and social as well as psychological circumstances. This paper focusing on a study upon the inner expression shows how to reflect one's memories formed within their lives and experiences. It is possible to present one's image, 'I', called face through embossed faces by modeling process in paper casting in this study. Lif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inner expression. Therefore, it has been reflected as images by one's experiences with or without one's consciousness. Sometimes, it could have been disappeared in a way of potential memory. And it is sometimes stored not only one's recollection but one's body expression, especially face. That is why people could response from others or recall their inner feeling or memory. Moreover, it is the reason why the face is focusing on this paper. Facial images showing in the works of this paper are reflected on people's emotion among their lives. Embossed faces on this paper are not just to present one's appearance but their external presentation in a formative wa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t wants to show 3 parts of artworks making procedure that is 'paper casting', 'face and stitch' and 'interpretation'. At first, in the 'paper casting' part, it has been studied upon it's expression and material. After that, in 'face and stitch', the embossed faces are exhibited and explained by the meaning of way of presenting silk stitches. At last, in the 'interpretation' part, it is displayed for analysis upon the works expressed by one's feeling and through which, it was possible to connect people's diverse external features with each other's communication as well as people's emotion that is this paper's subject.

      •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강혜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analyzing research trends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016 World Economic Forum (WE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defined as ‘the age of convergence of technologies that break boundaries among digital, physical, and biological fields’, and then due to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CT) humans and objects can be interconnected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fter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the convergence between virtual and real worlds and the Internet of Everything that becomes intellectual, it has been activated to have discourses on EduTech, which incorporate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to education.  After COVID-19, which is the first reported new infectious disease at the end of 2019, was spread,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was accelerated in earnest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utilizing ICT was introduced into the education sites even into the public schools.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s started having discussions on onlin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measure for face-to-face education in earnest after 2020. Based on the discourses, research on online Korean education has grown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ccording to the fact, trend analysis studies on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ppeared not only including specific areas but also covering overall topics in the field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prior studies were conducted depending on a viewpoint of trend analysis by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but they could not compose criteria, which are able to categorize and analyze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specifically and they could not research these criteria b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s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trend analysi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by selecting 149 academic papers, related to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domestic Korean language education journals from 1998 to October in 2022.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on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composing criteria with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period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tegorized the embryonic period(1998-2001), the stagnant period (2002-2011), the leaping period (2012-2015), the diversification period (2016-2019), and the expansion period (after 2020). Increasing and decreasing patterns have been repeated since 1998, bu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and examining them by the research period, they are gradually increasing.   Second,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the research subject, studies on contents, media, and learners were major. In the research on content and media, it is most conducted research that develops education materials by analyzing various contents and media such as Korean textbooks, web-based textbooks, multimedia materials, online Korean language courses, mobile video content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or develops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for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using the developed education materials.   Third,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the research topic, it is most conducted research that focused on teaching and learning, and its proportion was about 4.95 times higher than studies which covered teaching and learning tools. In specific topics of teaching and learning,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related to online class operation such as Blended Learning, Flipped Learning, and Hybrid Learning, and on teaching methods by utilizing smartphone applications or smart devices.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the research method, single method studies took 5.48 times higher proportion than mixed method studies. By research method of single method studies, there were case studies and survey studies in order of frequency. In the mixed method studies, survey and case studies, which are a sort of mixed method studies with the case study utilized in the single method studies, had the highest proport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educed conclusions as follows. Studies o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unequally distributed towards specific areas in terms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Therefore, research has to be conducted for various aspects in the case of research subject, research topic, and research method.   First,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eachers, research materials of online education, and learners more actively.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opic, it is necessary to have discussions on specific topics more actively, such as ‘research on policies or systems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on detailed subjects (grammar, vocabulary, discourse, cultur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research on correlation in online education’, ‘ research on administrative services that operate and manage online education system or that support online teaching and learning’, and ‘research on assessment that can be utilized in online education courses’.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 it is necessary for one research topic to adopt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experimental research, investigation research, case study, action research, literature research, and narrative inquiry.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duct practical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and can improve education fields by concentrating on topics that have not been covered comparatively and by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in research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of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ub-categor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a related study on tutors as direct support for learners in order to operate an online education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education field by examining aspect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online education system, by focusing on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quasi-expert quality in content knowledge by utilizing social resources or on AI tutors that utilize AI.  Second,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view the direction of online-based assessment, which is different from face-to-face education,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s and models, assessment methodology, and assessment realization method. In the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discussions on assessment tools and methods, optimized for non-face-to-face Korean language education did not make any progress compared to the other research topics. It is necessary to have enough discussions on realization methods for new types of question and assessment methods that can evaluate Korean ability of learners by utilizing advantages and characteristics of online-based assessment rather than applying current offline assessment method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duct studies that utilize a single research method and various mixed research methods, which could not be highlighted as a research methodology in on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is possible to present research topics,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the past, from a new perspective by attempting to adopt various types of research methods by utilizing ‘action research’, ‘narrative inquiry’, ‘experimental research’, and ‘various mixed research methods’. 본 연구는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연구 시기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현황과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6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에서 4차 산업 혁명을‘디지털, 물리적, 생물학적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기술의 융합 시대’로 정의한 이후 ICT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장소와 관계없이 인간과 사물이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되었다. 가상과 현실 세계의 융합과 지능화된 만물 인터넷을 경험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면서 4차 산업 혁명 기술을 교육에 접목한 에듀테크(EduTech)에 대한 담론이 활성화되었다. 본격적으로 디지털 전환 시대가 앞당겨지고 ICT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이 학교 교육을 비롯한 교육현장에 도입된 시기는 2019년 말에 최초로 보고된 코로나바이러스 신종감염병(COVID-19, 이하 코로나19)이 확산된 이후이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202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대면 교육을 대체하는 방식으로서 온라인 교육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가 양적, 질적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이에 특정 영역에만 초점을 둔 것이 아닌 온라인 한국어 교육 분야의 전반적인 주제를 연구 대상의 범위에 포함하여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 분석의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 안에서 온라인 교육의 특성을 반영하여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를 분류하고 분석하는 기준을 상세하게 구성하고 연구하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였다. 이러한 기존 동향 분석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22년 10월까지 국내 주요 한국어 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관련 학술 논문 총 149편을 대상으로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동향 분류 기준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유형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는 연구 시기별로 나타나는 특징을 중심으로 태동기(1998~2001년), 정체기(2002~2011년), 도약기(2012~2015년), 다양화기(2016~2019년), 확대기(2020년 이후)로 구분되었다. 1998년 이후부터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연구 시기별로 분류하여 살펴본 결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구 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콘텐츠 및 매체 대상 연구, 학습자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콘텐츠 및 매체 대상 연구에서는 한국어 교재, 웹 기반 교재, 멀티미디어 자료, 온라인 한국어 강좌, 모바일 동영상 콘텐츠, 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콘텐츠와 매체를 분석하여 교육자료를 개발하거나 이를 활용한 온라인 한국어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연구가 가장 많이 진행되었다. 셋째, 연구 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교수학습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교수학습 도구보다 약 4.95배 더 높은 연구의 비중을 차지하였다. 교수학습 영역의 세부 주제에서는 블렌디드 러닝, 플립 러닝, 하이브리드러닝 등 온라인 수업 운영 방식과 관련된 수업 방안 연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또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수업 방안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 분석 결과 혼합 연구보다 단일 연구의 비중이 5.48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단일 연구의 연구방법 유형별로는 사례연구, 조사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혼합 연구에서는 단일 연구에서 많이 사용된 사례연구와 혼합연구방법인 [조사, 사례] 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는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있다. 그렇기에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다양한 방면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첫째, 연구 대상 중에서 교사, 온라인 교육 연구용 자료, 교사와 학습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 주제에서는 ‘온라인 한국어 교육 관련 정책이나 제도를 다룬 연구’, ‘교육 내용 관련 세부 주제(문법, 어휘, 화용(담화), 문화, 통·번역)를 다룬 연구’, ‘온라인 교육에서의 상호작용 관련 연구’, ‘온라인 교육 시스템을 운영하고 관리하거나 온라인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행정 서비스 관련 연구’, ‘온라인 교육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평가 관련 연구’ 등 세부 주제에서 다양한 논의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하나의 연구 주제에 대하여 연구방법론적으로 실험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 실행연구, 문헌연구, 내러티브탐구 등 다양한 연구방법의 유형을 적용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대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주제에 주목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고 교육현장을 개선할 수 있는 실제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의 하위 분야로서 온라인 한국어 교육 분야의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이러한 결론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온라인 교육과정 운영을 위하여 학습자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으로서 튜터(tutor)를 대상으로 하는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양한 인적,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여 내용 지식의 준전문가로서 자질을 갖춘 예비 한국어 교원이나 인공지능을 활용한 AI 튜터 등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시스템 운영과 관리 측면에서 탐색하여 온라인 교육현장의 특성을 반영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면 교육과 차별화되는 온라인 기반 평가의 방향성, 평가 도구 및 모형 개발, 평가 방법론, 평가 구현 방안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비대면 한국어 교육현장에 최적화된 평가 도구 및 방안과 관련한 논의는 다른 연구 주제보다 특별한 진전이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오프라인 평가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온라인 기반 평가의 장점과 특징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문항 유형과 평가 방식의 구현 방안에 대해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온라인 한국어 교육 연구에서 연구방법론으로 많이 주목하지 않은 단일 연구방법과 다양한 혼합연구방법 유형을 사용한 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실행연구’, ‘내러티브탐구’, ‘실험연구’유형과 여러 혼합 연구방법 유형을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방법의 유형을 적용하는 시도를 통해 기존에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연구 주제를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할 수 있다.

      • Program Annotation :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6 in F Major, Op.10-2』, R. Schumann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 F. Liszt 『Rhapsodie Espagnole, S.254』, M. Ravel 『Sonatine』

        강혜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L. v. Beethoven의 『Piano Sonata No.6 in F Major, Op.10-2』, R. Schumann의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 F. Liszt의 『Rhapsodie Espagnole, S.254』그리고 M. Ravel의 『Sonatine』에 대한 작품 형식과 음악적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실제 졸업 연주회에서는 베토벤, 슈만, 라벨, 리스트 순으로 연주하였지만 본 논문에서는 작곡가 시대 순으로 작성하였다. 고전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작곡가인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총 32개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했다. 그 중 작품 번호 10에 속하는 3곡의 피아노 소나타(5번, 6번, 7번 소나타)는 베토벤의 후원자이자 음악애호가인 안나 마르가레테(Countess Anna Margarete von Browne)에게 헌정되었다. 두 번째 곡에 해당되는 『Piano Sonata No.6 in F Major, Op.10-2』는 총 3악장 구성으로 제 2악장에 느린 악장이 오는 일반적인 소나타와는 달리 느린 악장을 생략하고 있다. 각 악장은 소나타 형식–복합 3부 형식–소나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F장조–f단조–F장조의 조성을 지닌다. 로베르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은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손꼽힌다. 그는 피아노 음악과 가곡에 관심이 많았으며, 음악과 문학을 결합한 성격소품이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적인 장르로 자리매김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1839-1840년에 작곡된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은 5악장으로 나뉘며, B♭장조의 Allegro, g단조의 Romanze, B♭장조의 Scherzino, e♭단조의 Intermezzo, 그리고 B♭장조의 Finale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의 형식은 제 1악장과 제 3악장은 론도(Rondo) 형식으로 작곡되었으며, 제 2악장과 제 4악장은 3부분 형식, 마지막 제 5악장은 소나타 악장(Sonata Allegro) 형식을 사용하였다.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는 헝가리 출신으로 19세기의 가장 뛰어난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로 인정받는 작곡가이다. 그는 파리로 이주 후 주로 파리에서 활동하였으나, 민속 음악에 관심이 많아 민속춤이나 민속 리듬 등의 민속적인 소재를 사용해 많은 작품을 남겼다. 1863년 로마에 거주할 당시 작곡된 『Rhapsodie Espagnole, S.254』는 스페인의 민속 음악의 소재를 사용하여 작곡된 것이다. 이 곡에 제시된 민속음악의 소재는 대조 성격을 가진 춤곡인 폴리아 데스파뉴(Folies d′Espagne)와 호타 아라고네사(Jota aragonesa)이다. 『Rhapsodie Espagnole, S.254』는 카덴차 풍의 서주부와 폴리아 데스파뉴와 호타 아라고네사를 토대로 한 제 1부분과 제 2부분, 그리고 마지막의 코다(Coda)로 구성되어 있다. 모리스 라벨은(Maurice Ravel, 1875-1937)은 드뷔시와 함께 20세기 인상주의 음악을 대표하는 프랑스 작곡가로 알려져 있다. 라벨의 『Sonatine』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고전적인 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인상주의의 음악적 특징이 잘 나타나는 곡이다. 총 3악장으로 구성된 이 곡은 1악장과 3악장은 소나타 형식, 2악장은 3부분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각 악장은 동기를 반복하고 변형시킴으로써 곡 전체에 통일성을 지닌다. This thesis is a program annotation of 『Piano Sonata No.6 in F Major, Op.10-2』by L. v. Beethoven,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by R. Schumann, 『Rhapsodie Espagnole, S.254』by F. Liszt, 『Sonatine』by M. Ravel, which were performed in the author’s graduation recital for the master degree. L. v. Beethoven(1770-1827) is a composer representing classical music. He composed 32 piano sonatas, 『Piano Sonata No.6 in F Major, Op.10-2』was composed in the early period. This sonata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and the third movement are in the sonata form, and the second movement is in compound ternary forms. Most sonatas have slow movements in the second movement, but the slow movements are omitted in this sonata. R. Schumann(1810-1856) is a composer representing romantic music in the early 19th century. He made the Character Piece, which combines music and literature, a representative romantic music genre. 『Faschingsschwank aus Wien, Op.26』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 Piece of Schumann, showing his extroverted and pleasant appearance, and depicting the carnival's appearance and atmosphere in Vienna. Schumann called this song a romantic sonata and composed five movements. The first and third movements are in the form of rondo, the second and fourth movements are in ternary form, and finally the fifth movement is in sonata form. F. Liszt(1811-1886) is known as the best virtuoso pianist among 19th-century musicians. He was mainly active in Paris, but was also interested in various folk music. 『Rhapsodie Espagnole, S.254』was inspired by Spanish folk music and used two contrasting dance songs of Spain as material. The song consists of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Cadenza style, a first part made of Folies d′Espagne, a second part made of Jota aragonesa, and a coda. M. Ravel(1875-1937)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osers of the 20th-century French Impressionist music. He is known as a composer who showed not only impressionistic tendencies but also classical tendencies, and his representative work is 『Sonatine』. This work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following the classical form, the first movement and the third movement are in sonata form, and the second movement is in ternary form. The same motive is repeated and transformed in all movements, which shows unity between movements.

      • Polyfuse OTP IP 설계에 관한 연구

        강혜린 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나의 집적회로 안에 아날로그 회로와 디지털 회로가 모두 포함된 Mixed signal IC는 휴대폰, 모터 및 터치 센서 컨트롤러, 오디오 코덱, 센서 ROIC(Readout Integrated Circuit) 등에 사용되며, DC 오프셋 및 AC 이득과 같은 매개 변수를 조정하거나 제조 결함을 보상하기 위해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1번만 프로그램가능한 OTP(One-Time Programmable), 1K cycling이 가능한 MTP(Multi-Time Programmable), 100K 이상의 cycling이 가능한 Flash 등으로 분류된다. OTP 셀은 eFuse 방식과 antifuse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중 eFuse OTP 셀은 eFuse 양단에 과전류를 흘려 eFuse 링크를 물리적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하며, 고전압을 인가해 gate oxide를 전기적으로 절연 파괴시켜 데이터를 저장하는 antifuse OTP 셀보다 IP 설계가 간단하다. eFuse OTP 셀은 선택 소자와 기억 소자로 구성된다. eFuse OTP 셀에는 선택 소자로 1개의 MOSFET을 사용한 셀, 2개의 MOSFET을 사용한 셀과 1개의 diode를 사용한 셀이 있다. 1개의 MOSFET을 사용한 셀은 수십 ㎃ 이상의 프로그램 전류를 eFuse에 흘리기 위하여 큰 width의 MOSFET을 사용한다. 따라서 읽기 동작 시 프로그램되지 않은 eFuse에 과전류가 흘러 blowing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큰 width를 가진 프로그램용 NMOS와 작은 width를 가진 읽기용 NMOS를 사용한 듀얼 포트(dual port) 셀이 제안되었다. 듀얼 포트 셀은 width가 작은 읽기용 NMOS를 사용하여 읽기 동작 중 프로그램되지 않은 eFuse에 큰 전류가 흘러 blowing 되는 현상을 막을 수 있으나, 단위 셀 레이아웃 사이즈가 증가하므로 전체적인 OTP IP의 사이즈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1개의 diode를 사용한 셀은 듀얼 포트 셀을 사용한 IP보다 전체 IP 면적이 감소했지만, 프로그램 특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DBHiTek 90㎚ CMOS 공정을 사용한 4Kb Polyfuse OTP IP를 설계하였다. 전체 IP 사이즈를 줄이고 프로그램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1개의 isolated 3.3V NMOS 트랜지스터와 1개의 Polyfuse로 셀을 구성했으며, unit 셀 사이즈는 11.43㎛ × 2.88㎛ = 32.9184㎛2이다. 프로그램 시 열 방향 BL의 기생 저항으로 인해 Polyfuse에 충분한 전류가 흐르지 못할 수 있으므로 4Kb 메모리 어레이를 64행 × 32열로 배열한 2Kb 셀 어레이 두 개로 분할하여 BL의 기생 저항을 절반으로 줄였다. 프로그램된 Polyfuse는 읽기 횟수가 증가할수록 rupture 된 부분이 재생되면서 저항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10년의 data retention을 보장하기 위해 detection read 모드를 추가했다. Detection read 모드에서는 프로그래밍 이후 셀의 센싱 저항이 10㏀ 이상일 경우에만 프로그램된 셀로 pass 한다. 대신, 일반 사용자는 read 모드를 사용하여 data retention이 보장되는 10년 동안 센싱 저항이 5㏀까지 감소해도 프로그램된 데이터 ‘1’을 읽어낼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Polyfuse OTP IP 셀은 선택 소자로 1개의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 읽기 동작 시 프로그램되지 않은 Polyfuse에 과전류가 흘러 blowing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되지 않은 Polyfuse에 138㎂ 이하의 전류가 흐르도록 회로적으로 제한하였다. 4Kb Polyfuse OTP IP의 레이아웃 면적은 432.442㎛ × 534.600㎛(=0.231㎜2)이다.

      • 우리나라 매실 유전자원의 과실, 유기산 함량 및 매실 발효액의 특성

        강혜린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Agriculture Conferred in February 2020. Characteristics of Fruit, Organic Acid Contents and Fermentation Solution in Korean Prunus mume Germplasm Hye-Rin, Kang Department of Horticulture Graduate School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Hee-Kyoung, Kang)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the information of 192 Prunus mume germplasm collected in Korea, and those were evaluated to fruit size, organic acid content and fermentation solutio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weight distribution in pre-matured fruit of Prunus mume was varied from 3.0 to 35.4g, but 50.5% was distributed between 5.1 and 10.0g. Flesh color in pre-matured fruits of Prunus mume was 50.5% white green, 36.5% light orange and 12.5% orange. The soluble solid content in pre-matured fruits of Prunus mume varied from 4.45 to 8.76 °Brix,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fruit weight groups. The sugar content of fermentation solution in pre-matured fruits of Prunus mume was 55.7±1.6 °Brix, the sugar content / acidity ratio was 23.0±4.2, the harvest rate was 116.7±8.7%, and 64.6% of total resources were distributed in acidity 2.31~2.90%. The sugar content, acidity, sugar content / acidity ratio, and harvest rate of fermentation solution in pre-matured fruits of Prunus mu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lesh color and fruit weight groups. In comparison of fermentation solution of pre-mature and matured fruits of Prunus mume, the sugar content(°brix) was no difference between 56.0±1.3 °brix for pre-mature and 56.3±2.0 °brix for matured fruits, but the average acidity and sugar content(°brix) / acidity ratio were 2.50±0.24%, 23.0±3.3 for pre-mature and 2.22±0.37%, 26.8±6.3 for matured fruits, respectively, and showed difference for 1% significant level. Harvest rate were 117.9±8.0% for pre-mature and 114.8±7.5% for matured fruits, and showed difference for 5% significant level. The organic acid content in pre-mature fruit of Prunus mume was 50,888±5,978㎍/g, and that were composed of 55.5% of citric acid, 43.4% of malic acid and 1.1% of oxalic acid, and showed large difference among germplasms. Oxalic acid and malic acid showed no difference in organic acid content according to flesh color, and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orange and lowest in whitish green to flesh color. Malic acid,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s did not showed difference among fruit weight groups, but oxalic acid content was highest at fruit weight of 5.1~10.0g and lowest at more than 20.1g.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soluble solid content(°brix) of fruit, fruit weight, the sugar content(°brix) and harvest rate of fermentation solution were very low, and there were a correlation of r=-0.551** between fruit weight and oxalic acid, r=–0.767** between malic acid and citric acid, and r=0.834** between citric acid and total organic acid content in pre-matured Prunus mume.

      • 키프레이즈 데이터셋 기반 패러프레이즈 추출과 검증 연구

        강혜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wo or more sentences that convey similar meanings using different language expressions are called paraphrase, which are essential parts of learning for machines to better understand human language. Since the recognition of various paraphrase expression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NLP) application system, its importance is increasing.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application system, a good quality corpus to train the model is required. However, the currently released Korean paraphrase corpus is very insufficient, and in the case of the open-source paraphrase corpus, it is difficult to keep updated information on new paraphrase expressions. Also,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a refinement process must be continuously performed until the final paraphrase sentence pair is foun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d a new methodology called a keyphrase dataset for paraphrase extraction that can easily add various paraphrase expressions and minimize the refinement process. The keyphrase dataset combines the concept of extracting a paraphrase based on a named entity and that sentences in a paraphrase relationship will share the same or similar keyphrase. The keyphrase dataset is expressed in a hierarchical structure consisting of the first classification named entity, the second classification named entity, and the third classification keyphrase. In this paper, after selecting the article text as the named entity for the article text, the first classification named entity and the second class named entity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and TextRank, LDA, and Kr-WordRank were used to construct the third class keyphrase. Thus, a keyphrase was constructed. The paraphrase was extracted by combining the first, second, and third classifications in the keyphrase dataset, and the extracted sentence pairs were collected to construct a paraphrase corpu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keyphrase dataset methodology proposed in this paper, a paraphrase evaluation process was performed to calculate the similarity between sentences using the Doc2Vec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aphrase extraction method based on the keyphrase dataset was effective in finding sentence pairs with high semantic similarity. 다른 언어 표현을 사용하여 유사한 의미를 전달하는 두 개 이상의 문장을 패러프레이즈(paraphrase)라 하는데 이는 기계가 인간의 언어를 보다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학습용 자원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패러프레이즈 표현에 대한 인식이 자연어 처리 응용 시스템의 성능과 직결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응용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모델을 학습시킬 양질의 말뭉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어 패러프레이즈 말뭉치는 매우 부족하며 공개된 패러프레이즈 말뭉치의 경우 새로운 패러프레이즈 표현에 대한 정보가 계속해서 업데이트되기에는 어러운 점이 있다. 또한 최종 패러프레이즈 문장 쌍을 찾는 데까지 계속해서 정제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논문은 다양한 패러프레이즈 표현의 추가가 용이하며 여러 단계의 정제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러프레이즈 추출을 위한 키프레이즈 데이터셋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키프레이즈 데이터셋이란 개체명 기반의 패러프레이즈 추출과 패러프레이즈 관계에 있는 문장은 서로 유사한 키프레이즈를 공유할 것이라는 개념을 접목시킨 것이다. 키프레이즈 데이터셋은 1차 개체명 분류, 2차 개체명 분류, 3차 키프레이즈 분류로 구성된 계층 구조로 표현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사문을 대상으로 하여 개체명으로 기사문을 선정한 후에 의미 관계를 고려하여 1차 개체명 분류와 2차 개체명 분류를 선정하였으며 3차 키프레이즈 분류 구성을 위해 TextRank와 LDA, Kr-WordRank를 활용하여 키프레이즈를 구성하였다. 키프레이즈 데이터셋 내의 1차, 2차, 3차 분류를 조합하여 패러프레이즈를 추출하고 추출된 문장 쌍을 모아 패러프레이즈 자원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키프레이즈 데이터셋 방법론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Doc2Vec 모델을 이용하여 문장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는 패러프레이즈 검증의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키프레이즈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한 패러프레이즈 추출 방법이 의미적으로 유사도 높은 문장 쌍을 찾는 데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다양한 생리적 변화에 따른 랫드 malonyl-CoA decarboxylase의 세포 내 localization에 관한 비교 연구

        강혜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Malonyl-CoA Decarboxylase(MCD)는 malonyl-CoA를 acetyl-CoA로 decarboxylation시키는 효소로서 이에 대한 연구는 쥐 간의 mitochondria 및 거위의 uropygial gland에서 잘 연구되었다. 포유동물에서 세포질에 존재하는 malonyl-CoA는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I(CPT I)의 강력한 억제제로써 궁극적으로는 mitochondria의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malonyl-CoA를 분해하는 MCD는 지방산 대사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 산화에 관련이 있는 조절인자인 Peroxisome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s(PPARs) α가 MCD의 promoter에 붙어 MCD의 level을 조절한다고 밝혀져 있는 것을 토대로 MCD의 세포 내 발현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H4IIE 세포에 PPAR ligand를 처리하였고, 또 다른 생리적 조건을 주기 위하여 5mM glucose와 25mM glucose에서 배양한 세포내에서의 MCD위치를 비교하였다. 랫드 뇌의 cDNA library로부터 재조합한 MCD의 fulllength cDNA 배열은 거위의 uropygial gland MCD와 65.9% 유사서열을 가진다. 또한 N-말단에는 mitochondria targeting sequence를 포함하며 C-말단에는 peroxisomal targeting sequence(SKL)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 MCD를 GST::MCD인 재조합 단백질로 발현시켜 제조한 항체로 MCD 크기인 54.7kDa를 확인했으며, MALDI-TOF 질량 분석법(MALDI-TOF mass spectrometry)을 통해 동정한 결과 MCD임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PPAR ligand를 처리한 H4IIE 세포와 처리하지 않은 H4IIE 세포내에서 MCD가 발현되는 위치를 비교하기 위해서 subcellular fractionation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5mM glucose와 25mM glucose에서 배양한 세포내의 MCD가 발현되는 위치가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내에서의 MCD는 배양한 glucose농도에 의해 위치가 달라졌으며, 5mM glucose에서 배양한 세포내의 MCD는 peroxisome과 mitochondria에서 발현되었으나 25mM glucose에서 배양한 세포내의 MCD는 peroxisome과 mitochondria이외의 위치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PPAR α ligand를 처리한 경우 peroxisome과 mitochondria에서 발현되는 MCD를 확인했으며, 이는 세포를 배양한 glucose농도에 의해 발현되는 위치가 차이는 없었으나 5mM glucose에서 배양한 세포내 MCD의 발현양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PPAR γ ligand를 처리한 경우 이때 MCD는 peroxisome에서 발현되었으며, 이 역시 세포를 배양한 glucose농도에 의해 발현되는 위치에는 별 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마도 이것은 당뇨모델에서의 pioglitazone에 의한 지방산 감소효과와 비교해서 당뇨가 아닌 정상 간 세포인 H4IIE 세포에서의 MCD 발현수준과 발현위치에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 결과로 MCD는 세포내 다양한 glucose농도와 transcription수준으로 조절되는 PPAR ligand에 의해 활성도뿐만이 아니라 발현양과 발현위치도 달라짐으로써 mitochondria내에서의 지방 산화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예상된다.Malonyl-CoA decarboxylase(MCD), which catalyzes the decarboxylation of malonyl-CoA to acetyl-CoA, has been well studied in the uropygial glands of goose and rat liver mitochondria. For malonyl-CoA in the cytosol of mammalian cells, as a strong inhibitor of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 I (CPT-I), ultimately suppresses the oxidation of fatty acid in mitochondria, it can be supposed that MCD, which degrades malonyl-CoA, is closely related to fatty acid metabolism. In this study, in order to elucidate the regulated localization of the expression of MCD in the cell, PPAR ligand was treated on the cell, based on the fact that lipid oxidation related regulation factor,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s(PPARs)α is known to regulate the level of MCD by binding on the promoter of MCD. And to provide another physiological conditions, there was compared the localization of MCD in the cells cultured in 5mM glucose and 25mM glucose. The sequence of MCD full-length cDNA, which is recombinated from the cDNA library of the brain of rat, has 65.9% of similarity with the uropygial gland MCD of goose. Also, there is supposed to contain the mitochondrial targeting sequence in the N-terminus, and the peroxisomal targeting sequence(SKL) in the C-terminus. This MCD protein was identified at the size of 54.7kDa by using the antibody made by the expression of the GST::MCD recombinant protein, and was confirmed as MCD by the MALDI-TOF mass spectrometry. After this, so as to compare the localization of the expression of MCD in the cell with or without the treatment of PPAR ligand, there was identified the localization of endogenous MCD in the cell through subcellular fractionation. As a result, there was confirmed that the localization of the expression of MCD in the cell which was cultured with 5mM glucose and 25mM glucose differs. The localization of MCD in the cell cultured without any treatment was altered by the glucose concentration of the medium, the MCD expression in the cell cultured with 5mM glucose was detected in peroxisome and mitochondria, while it was detected in other places besides peroxisome and mitochondria when cultured in 25mM glucose. When the PPAR α ligand was treated on the cell, the expression of MCD was shifted to peroxisome and mitochondria, showing that the localization doesn''t shift by the glucose concentration, but the expression level of MCD is greater in the cell cultured in 5mM glucose. When the PPAR γ ligand was treated on the cell, MCD was expressed in peroxisome, and the localization of MCD wasn''t altered by the glucose concentration also. This seems to be that compared to the decline of fatty acid occurred by PPAR γ ligand in the diabetic model, the expression level and localization of MCD in the cell, which is the non-diabetic cell, has not been effected particularly. Therefor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predicted that MCD can participate in the fatty acid oxidation in mitochondria by the various intercellular glucose concentrations and by the treatment of PPAR ligand, not by only the changes of it''s activity, but with the changes of expression level and localization also.

      • 외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 수행정도

        강혜린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외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 지식과 위생관리 수행정도을 알아보고 위생지식과 위생교육에 대한 필요성, 이해도, 만족도가 위생관리 수행도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서로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는지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대구 수성구 지역에서 250평 이상의 외식업체 24곳에 종사하는 조리종사자 1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종사자는 남성이 109명(59.2%), 연령대로는 만 25~34세이하가 84명(45.7%), 최종학력은 전문대졸(재학포함)이 126명(6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용형태로는 정규직원이 142명(77.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식품관련자격증은 소지하지 않은 조리종사자가 106명(57.6%)로 높게 나타났다. 조리업무에 종사한 총 경력은 5년미만이 126명(70.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현 직장의 근무년수는 1년~3년미만이 94명(51.1%)로 조사되었다. 위생교육에 대한 조리종사자의 인식으로는 ‘거의 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46.2%, ‘매우 잘 이해한다’37.5%, 실제적용도는 ‘대체로 적용한다’41.8% 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위생교육을 실제 실행에 적용하기 어려운 원인으로 업무과중(72.8%)을 뽑았다.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평가에서는 총 정답률(97%)의 하위영역별 정답률이 세척소독(89%), 구분사용·보관(86%), 온도시간관리(75%), 개인위생(70%) 순의 지식을 나타냈다. 고용형태에 따른 위생지식은 모든 구분에서 유의한 차이(P<0.01)를 보였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구분사용·보관 지식만 유의하였다(P<0.01). 자격증소지와 현 직장의 근무년수는 온도시간관리 지식을 제외한 나머지부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 연령에서는 개인위생 지식과 세척소독 지식 부분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최종학력에 따라서는 개인위생 지식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조리종사자의 위생관리 수행도에서는 총 평점(80.74점)에서 하위영역별로 구분사용·보관 수행도, 세척소독 수행도, 온도시간관리 수행도, 개인위생 수행도의 순서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위생관리 수행도에서는 고용형태에 따라서는 모든 구분에서 유의하였으며(P<0.01) 현직장 근무년수는 구분사용·보관과 세척소독에서 유의하였다(P<0.01). 또한 자격증소지 여부는 구분사용·보관에서만 유의하였다(P<0.05). 정규직인 조리종사자는 위생지식과 위생수행도 간에 상관성이 없었으며 비정규직에서는 세척소독 구간에서만 서로 상관성이 나타났다. 고용형태에 따른 위생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위생지식은 위생 수행도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다만 비정규직은 모든 위생수행도 구간에서 위생교육의 만족도가 증가하면 수행도가 증가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비정규직은 정규직에 비하여 교육을 통한 지식의 습득이 중요하며 위생교육이 지식의 습득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고 행동과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효과를 증대시켜야 할 것이다. 위생교육은 보다 정확한 지식전달과 그에 대한 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훈련을 통한 습득이나 다양한 시각적 자료를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This investigation was initiated to learn about "Dining corporation Food preparation employee’s knowledge of sanitation and sanitation practice completion" and how these impact each other when the process of knowledge of sanitation, the need for sanitation education, understanding, satisfaction lead into performance. A hundred and eighty four food preparation employees from 24 food corporations of over 826m2 were chosen from the Daegu Susung-gu region were chosen as test subjects. The summary of the investigation results is as follows. There were a large number of male college graduate food preparation employees between the ages of 25~34, working full time but without food handing certificates. The total number of years of employment was below 5 years, and a majority were employed at the current workplace for less than 1~3 years. The food preparation employees expressed that regular education of sanitation was ‘usually not provided’, the taught material was ‘understood very well’, and the applicability to real life was ‘usually applicable’. Heavy workload was voted as the main factor in preventing sanitary practices. The evaluation of food preparation employees’ sanitation knowledge showed that the lowest percentile (97% correct answers) was in the order of sterilization by cleansing, separate use/storage, and personal hygiene. The sanitation education based on employment form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all sections, and knowledge of separate use/storage was significant (P<0.01) based on gender. The possession of certification and the number of years employed at current workpla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all areas other than management of temperature and time, and in terms of age,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observed in the knowledge of personal hygiene and sterilization. Also,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1) in the knowledge of sanitation section only. The lower division of food preparation employee’s sanitation performance, from the total (average of 80.74 points), was in the order of separate use/storage, cleansing and disinfecting, temperature and time management, and personal hygiene. General sanitation management showed that significance (P<0.01) applied to all sections based on employment form, and years of employment at current workplace was significant in separate use/storage and cleansing and sterilization (P<0.01). Additionally, the possession of certification was only significant in terms of separate use/storage (P<0.05). Full time workers had no relation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sanitary practices, and part time workers only showed relation in the cleansing and sterilizing section. After analyzing the factors impacting sanitary practices based on employment form, knowledge of sanitation usually does not affect the performance of sanitary practices. However, part time employees showed increased performance when satisfaction of sanitation education increased in all sections of sanitation performan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knowledge through education is more important for part time employees than those working full time. Sanitation education should not stop at the learning level, but work to start a positive change in action and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