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과 담론

        강현숙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문화는 시대의 조류(潮流)를 반영함을 전제한다. 21세기 초 과학 기술의 급격한 발전은 사회, 문화 전반의 환경과 인간의 생태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인간, 생명, 사물, 자연에 대한 반성적 성찰과 재해석으로 미래 인류의 삶을 진단하고 대응하는 사유 중 하나인 포스트휴머니즘(Posthumanism)담론이 시대의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조류는 음악에서도 새로운 경향의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음악의 개념적 의미도 진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대의 조류를 반영하는 음악 이해를 위한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과 담론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조명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포스트휴머니즘 담론과 시각예술작품에서 나타나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를‘탈중심,‘탈경계,‘상호연결로 축약한 후 이러한 특징이 음악에 투영되어 나타나는 경향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자는 포스트휴머니즘의 특징이 투영된 음악을‘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이라 명명하고 이를 음악 작품과 함께 고찰하여 그 미적 의미를 제고하였다.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탈(脫)중심적 특징은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에서 주로 확장된 소재와 감각의 음악으로 나타난다. 이는 음악의 재료가 음(音)이라는 청각적 재료를 넘어 시각과 촉각, 사념 등의 공감각으로 확장되어 창작되고 표현되고 있다. 둘째,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탈(脫)경계적 특징은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에서 현실과 가상의 지각이 교차되는 음악으로 나타난다. 이는 사운드와 신체, 어쿠스틱과 디지털 악기 등의 융합과 교차로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음악을 경험하게 한다. 셋째,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상호연결적 특징은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에서 인간과 기계·기술이 협력하고 공존하는 음악으로 나타난다. 이는 인공지능(AI)과 로봇에 의한 창작과 연주, 디지털 매체와 사람이 긴밀히 상호 소통하는 인터랙티브 음악에서 고찰된다.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은 확장된 소재와 감각으로 음악의 개념을 진화시키고 있으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사람과 기계·기술이 공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1세기 초 시대의 조류를 반영한 포스트휴머니즘 경향의 음악 연구가 역사·사회적 맥락으로 음악을 이해하는 융합적 고찰이 되기를 바란다.

      • 해운산업의 환경혁신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강현숙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속가능한 발전을 향한 혁신, 즉 환경혁신은 지금 세대와 미래 세대를 위해, 더욱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 되었다. 환경 혁신의 이해와 확산은 전 세계 여러 분야에서 촉진되고 있다. 특히, 세계 무역량의 90%가 해상 운송을 통해 이뤄지고 이로 인한 오염 배출물, 즉 황산화물과 오염수 등의 배출에 대한 문제인식이 일반화 되었다. 또한 이에 대한 배출저감을 위한 노력이 갈수록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혁신에 대한 개념과 환경혁신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고 이를 해운산업에 적용시켰다. 실증연구를 통한 해운산업의 환경혁신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해운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조사 결과 환경혁신 결정요인 세 가지 중 기업 내부요인만이 해운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운산업에 있어서 더 많은 환경혁신을 유도 하기 위해 추진해야하는 방안들과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 일본의 전다도(煎茶道)에 관한 연구

        강현숙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흔히 일본의 차문화(茶文化)라고 하면 엄격한 격식에 따라 말차(抹茶)를 저어 마시는 다도(茶道) 즉 차노유(茶湯)를 연상하게 된다. 그러나 일본의 다도는 크게 나누어 차노유와 전다도(煎茶道)라는 두 갈래의 다도형식이 존재하고 있다. 일본 차문화의 역사는 헤이안(平安, 794〜1192)시대 초기 사이초(最澄, 767〜822), 구카이(空海, 774〜835), 에이추(永忠, 743〜816) 등 견당승(遣唐僧)에 의해 중국의 선진문물과 함께 들어와 선원다례(禪院茶禮)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러나 일본 차문화의 본격적인 시작은 가마쿠라(1192〜1333)시대 승려 민난 에이사이(明菴栄西, 1141〜1215)가 송(宋)에 유학 갔다가 귀국하면서 차씨와 말차 제조법을 배워 온 후 그의 제자인 묘에(明惠, 1173〜1232)에게 차씨를 보내서 교토(京都)의 도가노오(栂尾)에 심게 하면서 차문화는 꽃을 피웠다. 이후 차노유는 노아미(能阿弥, ?〜1476), 무라타 슈코(村田珠光, 1422〜1502), 다케노 조오(武野紹鷗, 1502〜1555), 센리큐(千利休, 1522〜1591)를 거치면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주요 유파만도 40여개가 넘게 발전을 거듭하는 긴 역사를 지닌다. 뿐만 아니라 일본다도계의 가장 큰 유파인 우라센케(裏千家)의 경우 2008년 7월 일본국내에 165지부와 2지소, 해외 35개국에 99개 출장소를 둘 정도로 국제적으로 성장하였음을 우라센케의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이런 성장의 원동력은 일본의 다른 전통예능과 마찬가지로 차노유도 이에모토(家元)라는 제도 하에 그 사상과 예법을 계승 발전시켜 온 데 있다. 이에모토 제도란 일본의 예도(芸道) 등을 가전(家伝)으로 계승하는 가계의 이에모토(家元)가 유파를 통솔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이에모토라 불리는 큰 스승과 말단 제자와의 사이에 예능을 전수하는 대행기관 즉, 나토리(名取)라는 사장(師匠)이 설정되어 있다는 점이다. 나토리 사장은 이에모토를 대신하여 예능을 교수(敎授)할 수는 있어도 면허장(免許狀)의 발행권한은 인정하지 않는 제도이다. 나토리를 정함으로써 아무리 많은 제자가 생겨나도 이에모토를 통해서만 면허장을 발행하기 때문에 말단 제자까지 통제가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중간 스승의 수가 늘어날수록 이에모토의 수입은 늘어나게 마련이다. 일본의 오랜 전통예능이 지금까지 온전하게 전해 온 것은 이에모토 제도가 있었기 때문이라는 긍정적인 면이 있는가 하면, 그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그 중의 하나가 다도 본연의 자세 즉 선(禪)의 세계와 다도가 동일하다는 다선일미(茶禪一味)의 정신과는 거리가 먼, 세속의 이익을 쫓는데 이에모토 제도가 일조를 한다는 점이다. 제자는 이에모토에게 교습비와 면허장을 받을 때의 공식적인 수수료와는 별도로 비공식적인 사례금과 각종행사에 드는 비용, 도구의 구입비용 등으로 상당한 지출을 해야 한다. 특히 이에모토의 싸인 하나에 물건의 평가가 급격히 높아지는 하코가키(箱書)라는 시스템도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이러한 이에모토 제도하에서 발전했던 차노유의 부패를 비판하고 부패한 선승(禪僧)계를 비판하여 생겨난 것이 전다도(煎茶道)라 할 수 있다. 이 전다도의 원류를 살펴보면 정행검덕(精行儉德)의 차정신에 바탕을 둔 육우의『다경(茶經)』에서 찾을 수 있다. 당(唐), 송(宋)에서 명(明)대에서도『다경』류의 차를 감상하면서 음다 풍습은 계속되어 문인고사(文人高士)들 사이에서 선경에 노니는 경지를 이상으로 하는 풍습이 있었다. 이 다풍은 중국 당(唐)대의 시인 노동(盧仝, 〜835)을 통하여 이어졌고 이 풍습을 일본에 전한 것은 일본의 3대 선종(禪宗)의 하나인 황벽종(黃檗宗)의 시조 은원(隱元)선사로 알려져 있다. 이 새로운 전다풍을 선승들과 지식인 사이에 유행 시킨 것은 바이사오(賣茶翁, 1675〜1763)라 불리는 인물이다. 바이사오가 전다풍의 시조로 불리며 에도(江戶, 1603〜1868)말기부터 메이지(明治, 1868〜1912)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한다. 종래의 다도에 비하여 형식면에서 자유로움을 추구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오늘날 전다도 유파의 이름에‘바이사’라는 글자가 많은 것은 그가 일본 전다도의 시조(始祖)라는 이유 때문이다. 길거리에서 차를 팔던 노인 바이사오에 의해 시작되어 전다도는 지식인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하여, 일본의 거대 예능집단으로 자리 잡게 된다. 현재 전일본전다도연맹(全日本煎茶道聯盟)에 등록된 39개의 유파와 미등록 유파를 모두 합하면 100여개의 유파가 활동하는 전다도 문화를 형성하였다. 무엇보다도 전다도의 중요성은 차의 정신이다. 차노유의 규범화된 형식은 배제하지 않았지만 문인고사(文人高士)들이 즐기던 고고한 차정신은 전다도가 지향하는 중심사상이다. 또한 전다도는 유(儒)․불(佛)․도(道)의 사상이 내재되어있는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다. 문방장식으로 선비들의 애완품인 붓, 벼루 등을 다실에 갖추고 매난국죽 등 선비취향의 꽃 장식을 함으로써 차노유와 차별화했다. 또한 다양한 꽃, 나무, 과일 등 자연을 실내에 옮겨와 불로불사의 도교사상을 표현했으며 도교에서 지향하는 불로장생의 단약(丹藥)이 바로 차였기 때문에 차를 마심으로써 불로장생을 꿈꾸는 도교사상이 내재되어있다. 찻자리에 향을 피워 주위를 맑게 하는 불교사상도 전다도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다도 역시 이에모토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본래의 의미를 잃어가게 되어 비판 받게 되었다. 일정한 형식 없음을 표방하였던 전다도는 수많은 종류의 다도구를 구비해야 하는 등 형식화 되었으며, 매년 열리는 전다도 대회장은 다도구 판매장을 방불케 하는 등 형식에 얽매이기는 차노유와 별반 다를 바 없게 되었다. 일본인이 격식을 중요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에도 시대에 들어서면 신분에 따른 차별을 없애고 평등사상을 주창(主唱)하던 불교사상의 연장선상에 있던 센리큐의 와비차 정신은 약화되고, 다도의 사상은 막부의 정치이념에 맞추어 불교적 다도관에서 유교적(儒敎的) 다도관으로 변화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주자학의 형이상학적 요소를 수입하였으나 형이하학적 형태로 변화시킨 일본의 주자학은 바꾸어 말하면 성선설(性善說)적 사유형태를 수입하여 그것을 성악설(性惡說)적 사유형태로 변환시킨 모습으로 정착하게 되었으며 그것이 오늘날 격식을 중요시하는 일본의 독특한 다도 문화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 전다도는 일본의 다도문화의 한 흐름으로 당당히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과 중국의 선비들이 자연을 벗 삼아 풍류로서 즐기던 차문화와도 일맥상통하는 점이 있다. 400년 넘게 지속되어 온 일본의 전다도의 배경에는 이에모토 제도가 있으며 이 제도는 일본인의 정신의 근간(根幹)을 이루고 있다. 겉으로 보여지는 절제된 미의식 뒤에는 이에모토 제도라는 거대한 피라밋 형태의 조직체가 있어서 내면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또한 오늘날 일본의 대표적인 전통문화로 다도를 꼽는 이유도 이에모토 제도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전다도 문화를 이에모토 제도를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일본의 다도문화 발전사를 규명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一般的に日本の茶道といえば、厳格な形式に従い抹茶を点てて喫む茶の湯が思い浮かぶ。しかし、日本の茶道は“茶の湯”だけではなく“煎茶道”というもうひとつの大きな茶道形式がある。 日本の茶文化の歴史は平安時代の初め、最澄․空海․永忠など、遣唐僧たちにより先進文明とともにもたらされ、禅院茶礼として始まった。鎌倉時代の僧、明庵栄西が宋に留学し、二度目の帰国時にお茶の種と抹茶の製造方法を持ち帰った。そして弟子の明恵にお茶の種を送り京都の栂尾に植えさせたのが本格的な日本茶文化の始まりだ。 茶の湯は能阿弥、村田珠光、武野紹鷗、千利休を経て現在に至るまで、主な流派だけでも四十を超える発展を重ねた長い歴史を持つだけでなく、日本茶道会で一番大きい裏千家流派の場合、二00八年七月現在、日本国内に一六五支部と二支所、海外三十五カ国に九十九の海外支部を置く程、国際的な発展を遂げた。この成長の源は日本の他の伝統芸能と同じく、茶の湯が家元制という制度の下にその思想と作法を継承․発展させてきたからだ。 家元制度は日本の芸道を家伝として継承する家計の家元が流派を統率する制度である。家元制度の大きな特徴は、家元と呼ばれる大師匠と末端の弟子との間に家元の芸能を伝授する代行機関、つまり「名取」という師匠が置かれている点である。名取師匠は家元の代わりに芸能を教授することは出来ても、免許の発行権限は認めない制度である。名取を定めることによってどんなに多くの弟子がいても、家元を通してのみ免許状を発行するので、末端の弟子まで統制が可能なのである。従って中間の師匠の数が増える程、家元の収入が増えるのである。古い日本の伝統芸能が今まで温存されてきたのは、家元制度のおかげであるという肯定的な面がある反面、その問題点も指摘されている。その一つが茶道本来の姿、つまり禅の世界と茶道が同一であるという「茶禅一味」の精神とは遠い俗世の利益を求める部分が家元制度にはあるという点である。弟子は家元に月謝と免状の公の謝礼とは別に、非公式な謝礼金と各種行事の出費、道具の購入費用などで相当な出費を余儀なくされている。特に家元のサイン一つに茶道具の評価が高まる「箱書き」というシステムも問題点として挙げられる。このような家元制度の元で発展してきた茶の湯の腐敗を批判し、腐敗した禅宗を批判し、その反発で生まれたのが煎茶道である。この煎茶道の源流は静行倹徳のお茶の精神に基づく陸羽の『茶経』に見出せる。 唐․宋の時代、明代にも茶経流の喫茶の風流は受け継がれ、文人高士の間で仙境に遊ぶ境地を理想とする風習があった。この風習は唐代の詩人慮仝を通して受け継がれた。またこれを日本に伝えたのは、日本の三大禅宗の一つである黄檗宗の始祖隠元禅師と言われている。 禅僧たちの間で流行した煎茶風習は売茶翁という人物によって当時の知識人層に拡まり、売茶翁は煎茶道の始祖と呼ばれ、江戸末期から明治時代に全盛期を迎える。従来の茶道に比べ、形式の面で自由を追求する点が発展の契機となった。現在、煎茶道の流派の名前に「売茶」という文字が多いのは、彼が煎茶道の始祖であるという理由からである。一七三四年、道端で茶を売る老人․売茶翁により始まった煎茶道は、知識人․文人たちの間で流行し、日本の巨大芸能集団としてその地位を確かなものとした。現在、全日本茶道連盟に登録された三十九の流派と未登録流派を合わせ、百余りの流派が活動する煎茶道文化を形成した。 何よりも煎茶道で重要視されるのは茶の精神である。茶の湯の規範化された形式は排除しないけれども、文人高士たちが楽しんだ孤高な茶の精神は煎茶道が求める大切な中心思想である。また煎茶道は儒仏道の思想が内在する総合芸術であると言える。文房裝飾で鮮卑たちが好んだ筆, 硯などを茶室に取り揃え, 梅蘭菊竹等鮮卑の趣向の花を飾ることで茶の湯と差別化した。また、多様な花、木、果物等の自然を室内に取り入れ不老不死の道教思想を表現し、道教が目指す不老長生の丹藥がまさに茶であったがゆえに、茶を喫むことで不老長生を夢見る道教思想が内在する。又お茶席で香を焚き周りを清める仏教思想も煎茶道に見ることができる。 しかし煎茶道も家元制度を取り入れたことによって本来の意味が薄れてしまい、批判を浴びるようになった。形式に凝り固まらないことを掲げた煎茶道は、多くの茶道具の所持を強いられるなど形式化された。毎年開かれる煎茶道大会場は茶道具促販を思わせるなど、茶の湯のような形式化への道を歩むこととなった。 その思想的背景を見れば、江戸時代になると、身分による差別をなくし平等思想を主唱した仏教思想の延長線上にあった千利休の侘茶精神は薄れ、茶道の思想は幕府の政治理念にあわせ、仏教的茶道観から儒教的茶道観に変わった。そして朝鮮朱子学の形而上学的要素を取り入れたが定着せず、それを形而下学的形態に変えて日本に定着した朱子学は、言い換えれば性善説的思惟形態を取り入れ、それを性悪説的思惟形態に変えた形で定着したのだといえる。それが今日格式を重んじる日本の独特の茶道文化を形成したのである。 しかしながら煎茶道は、日本の茶道文化の一つの流れとして堂々と受け継がれ、韓国と中国の鮮卑(徳の高い文人層)が自然と共に風流として楽しんだ茶文化と相通ずる面がある。 日本の四百年も受け継がれてきた煎茶道の背景には家元制度があり、日本の思想の根幹を成している。外部から見る整った美意識の裏には家元制度という巨大なピラミッド型の組織体があって、組織内部の人々は多かれ少なかれ気付かぬうちに本来の茶の精神から遠ざかり、形式化された茶道に陥っていくのである。また今日、日本の代表的文化として茶道が挙げられるのも家元制度のおかげであるといえる。 本硏究では日本の煎茶道文化を家元制度を中心に考察することによって、日本の茶道文化発展の背景を究明するのに役立てたい。 The term Japanese tea culture often brings to mind chanoyu, a tea ceremony of preparing and drinking matcha with strict formalities. But Japanese tea ceremony is composed of largely two types, which are chanoyu and senchado. The history of Japanese tea culture traces back to tea rituals brought in along with other Chinese civilizations by Buddhist priests such as Saich?(767-822), K?kai(774-835) and Eich?(743-835) in the early Heian period(794-1192), which took root as tea ceremony within Buddhist temples. But Japanese tea culture took off on a full scale when My?an Eisai(1141-1215), a Buddhist priest of the Kamakura period returned from China during the Song Dynasty after studying tea seeds and the making of matcha and sent a batch of tea seeds to his disciple My?e(1173-1232) so that he may plant them in Togano'o in Kyoto. Since then, chanoyu has continued a long history, developing over 40 main schools including Noami(?-1476), Murata Shuko(1422-1502), Takeno Jo-o(1502-1555) and Sen Rikyu(1522-1591). As of July 2008, Urasenke, the largest school of Japanese tea ceremony, has 165 branches and 2 regional offices within Japan and 99 overseas offices in 35 countries, as is explained in the Urasenke homepage. The driving force behind this growth lies in the system of iemoto, within which chanoyu, same as other traditional art forms of Japan, has succeeded and developed itself. Iemoto refers to the system of familial generations of a school of traditional Japanese art, led by iemoto, who is the head of the family or house through which the art is preserved and handed down. A primary characteristic of this system is that there is a network of instructors called natori, who take charge of the passing down of the art from iemoto to the lower level students. The natori were authorized to instruct the art in place of iemoto, but did not have the right to issue a certificate. The natori system allowed the iemoto to oversee the lowest levels of students, since certificates were only issued by the iemoto. And when the number of the middle instructors grew, so did the income of the iemoto. There are positive views of the iemoto system, such as its role in preserving Japanese traditional arts for the amount of time it has, but there are critical views as well. One criticism is that the iemoto system contributes to the pursuit of worldly benefits, which is far from the essential spirit of tea ceremony, or the idea of 'tea and Zen are one taste,' meaning that the world of Zen and the tea ceremony are the same. A student has to pay a considerable amount of money in unofficial remunerations and costs for various events and utensils, aside from official fees for lessons and certificate. The system of hakogaki, in which the value of a utensil escalates tremendously with iemoto's writing on the box is pointed out as a particular problem. Senchado was born out of criticisms of the negative aspects of chanoyu developed under the iemoto system and the corruptness of Zen monks. The source of senchado can be found in "The Classic of Tea" by Lu Yu, based on the idea of 'clean behavior and thrifty virtue.' Throughout the Tang, Song and Ming Dynasties, the tea drinking practices in "The Classic of Tea" manner continued on, and drinking tea surrounded by an enchanted scenery came to be idealized by scholars and artists. Such customs were succeeded by the Tang poet Lu Tong( -835) and passed on to Japan by the Zen priest Yinyuan Longqi who was the founder of the Obaku sect, one of the three Japanese Zen sects. This new sencha style was popularized among Zen priests and literary men by a person named Baisao(1675-1763). Baisao is said to have originated the sencha style, which reached its prime in the late Edo period(1603-1868) through the Meiji period(1868-1912). Compared with earlier tea ceremony practices, senchado has developed greater freedom in form. Today, there are many schools of senchado bearing a title that includes 'Baisa' because he was the founder of Japanese senchado. Begun by an old man who used to sell tea on the streets, senchado has spread among scholars and artists, to take root as an enormous network of arts in Japan. Adding the 39 schools registered in the National Japanese Senchado Union and all the other unregistered schools of senchado, there are currently about 100 schools which are active, manifesting the extent to which the senchado culture has grown. The essence of senchado is in its spirit. Even though the formal standards of chanoyu have not been excluded, the proud spirit carried by scholars and artists is central to senchado. Senchado is also a synthetic form of art incorporating the idea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Stationery tools treasured by scholars such as brushes and ink stones were placed in the tea rooms which were decorated with patterns of flowers preferred by the scholars such as the plum, orchid, chrysanthemum and bamboo. Various elements of nature such as flowers, trees and fruits were applied on the interior to express the Taoist thought of eternal life and the drinking tea of tea was a way of seeking eternal youth, since it was considered a sacred medicine. A Buddhist idea of burning incense to purify the surroundings can also be found in senchado. Nevertheless, when senchado adopted the iemoto system, it began to lose its initial motive and came to be criticized. While it had once stood for not adhering to a set form, it became formality-driven with all sorts of utensils and the annual senchado convention became somewhat of a tea utensil market. In this way, senchado became just as bound in convention as chanoyu. Why does formality matter so much to the Japanese? In the Edo period, the wabi tea ideas of Sen Rikyu which were in accordance with Buddhist thoughts grew weak and tea ceremony came to be ruled by Confucian thoughts, following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shogunate government. Rather than accepting the metaphysical elements of the Chu-tzu doctrines it had imported from Joseon, Japan transformed them into physical dimensions, and the theory of human nature as good was converted into the theory of human nature as evil. This i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unique Japanese tea culture of emphasizing formalities was shaped. Senchado proudly continues its tradition as a stream of Japanese tea culture and has parallels with the tea practices of Korean and Chinese scholars who used to enjoy the elegance of tea in the company of nature. Behind the history of senchado of over 400 years, there is the iemoto system, which is at the basis of Japanese thought structure. And the restrained aesthetic of the Japanese that is shown on the outside is actually under the constant influence of a gigantic pyramidal organization that is the iemoto system. Japan's continuing efforts to gain recognition as the world's country of tea also derives from the iemoto system.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illuminating the history of Japanese tea cultural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Japanese senchado culture with a focus on the iemoto system.

      • 서울지역 전담공무원의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이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현숙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공부문 통합사례관리에 대한 전담공무원의 인식 정도가 직무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통제변수인 조직의 특성 및 개인의 특성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 258명이 설문에 응답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통계량 분석과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담공무원의 사례관리 인식 정도와 직무효능감과의 관계 및 사례관리 인식 정도가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지역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의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 정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사례관리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는 5점 기준으로 4.19점이었으며, 통합사례관리 업무구조에 대한 이해도 4.18점으로 나타나 사례관리에 대한 전담공무원의 인식 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담공무원이 인식하는 직무효능감은 5점 기준으로 약 3.05점으로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직무효능감이 김혜진(2005)의 연구에서 평균 3.66점이었으며, 주은수(2002)의 연구에서는 평균 3.48점인 것과 비교해 보면, 민간기관 사회복지사의 직무효능감보다 서울지역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의 직무효능감이 낮은 수준인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전담공무원의 직무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본 결과에서는 개인학습정도, 자율성, 능률성, 그리고 사례관리 기본원리 이해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학습정도가 높을수록, 조직의 자율성이 높을수록, 조직의 능률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사례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전담공무원의 직무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서울지역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의 직무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담공무원 개인차원에서의 자기주도 학습과 조직 차원에서의 자율성과 능률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의 직무효능감 향상을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례관리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즉, 희망복지지원단 내 전담인력 뿐만 아니라 읍면동을 포함한 사회복지직공무원 전체를 대상으로 사례관리 기본교육을 필수과정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사례관리와 관련한 개인학습을 의무제로 도입하여야 한다. 사례관리 교육과정을 초급, 심화 등 단계별로 개설하고,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은 필수과정으로, 전체 사회복지직공무원은 선택과정으로 이수하도록 교육시스템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통합사례관리 전담공무원들의 직무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적인 역량 강화와 더불어 조직 차원에서의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사례관리업무 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자율성과 능률성을 도모하는 민간기관의 특성을 수용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읍면동이라는 전달체계가 전문적인 사례관리업무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다면 시군구 내 4~5개 행정동 영역을 관할하는 사례관리 거점센터 설치를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고등학교 화학 1 교육과정 탄소화합물 단원의 평가문항 분석

        강현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실시하는 지필평가를 통하여 제 7차 화학 I 교육과정이 어떻게 발현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교육과정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데 영향을 끼치는 부분이 있다면 그것의 원인을 찾아서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이 제대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화학 I을 가르친 경험이 4∼6년 정도인 화학 교사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 7차 화학 I 교육과정과 각 교사가 사용하는 화학 I 교과서를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필평가 문항을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화학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탄소화합물’ 단원의 지필평가 문항을 Klopfer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해 분석한 결과 전체 문항이 지식과 이해(A.0) 목표 영역에 해당되고 있었다. 실제 평가에서 개념 위주의 이론적인 내용을 포함하고 있거나 세부적인 암기를 요하는 경향이 많은 평가 문항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통해 평가에서 화학 I 교육과정이 제대로 발현되고 있지 않으며, 각 교사의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하여 평가 문항의 이원목적분류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가 문항을 제작할 때도 교육과정을 고려하지 못하고, 주로 수업 시간에 사용한 학습지를 중심으로 기존에 있는 기출 문제나 문제집의 문제 등을 참고하여 문항을 제작하고 있으며 실생활 적용 능력이나 탐구 능력, 화학적 소양 측면은 거의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평가에 대한 교사 전문성 함양을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이를 신장할 수 있는 연수,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심도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평가 관련 연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실시하고 있는 연수 또한 평가의 형식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교육과정 관련 연수도 교사들의 참여도가 낮고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다. 교육과정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평가가 계속 이루어지면 학생들은 평가에 맞추어서 학습을 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이 제대로 발현되지 않는 일이 계속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교사들의 심도 깊은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