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위암에서 Notch 신호전달을 통해 증가하는 SPON2의 역할에 대한 연구

        강현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세포외 기질 단백질인 Spondin-2 (SPON2)는 위암 환자의 조직에서 과발현되었으며 발현 수준이 높은 환자는 발현 수준이 낮은 환자에 비해 생존 기간이 짧았다. 하지만 SPON2의 발현과 위암의 진행 간에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SPON2의 발현이 위암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먼저 일곱 가지의 위암 세포주와 한 가지의 정상 위 내피세포에서 SPON2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위암 세포주는 위 정상 내피세포와 비교하여 높은 SPON2의 발현 수준을 보였다. 그 후 작은 간섭 RNA와 과발현 벡터를 이용해 위암 세포주의 SPON2 발현 수준을 조절한 뒤 위암의 진행과 관련된 다양한 세포 생물학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PON2 발현의 억제는 위암 세포의 세포 증식, 세포 이동 및 침투와 관련된 기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반대로 SPON2의 과발현은 세포 증식, 세포 이동 및 침투가 증가하였다. 다음으로 In vivo에서 종양 성장에 미치는 SPON2의 역할을 확인했다. 먼저 렌티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위암 세포주가 SPON2의 발현을 안정적으로 억제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Balb/c 누드 마우스의 피하지방층에 세포주를 주사한 뒤 47일간 관찰하였다. 놀랍게도 SPON2가 억제된 마우스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소한 종양 성장을 보였다. 앞서 SPON2의 발현이 위암의 진행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가로 위암에서 SPON2가 상향 조절되는 기전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microarray 자료를 이용하여 위암 환자에서 SPON2의 발현 수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신호전달을 조사했다. 그 결과 Notch 신호전달 관련 수용체 NOTCH1의 발현이 SPON2 발현 수준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Notch 신호전달 관련 전사 인자가 SPON2 프로모터 영역에 결합하는 것을 검증했다. 위암 세포주에서 활성화된 NOTCH1의 과발현은 SPON2의 발현 및 세포 증식, 이동 및 침투를 증가시켰으며 SPON2를 억제함으로써 차단되었다. 또한 Notch 신호전달 활성을 억제하는 γ-secretase 억제제를 처리하였을 때 SPON2의 발현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연구 결과에 따라 Notch 신호전달이 위암의 진행을 촉진하기 위해 SPON2의 발현을 조절한다고 결정했다. 이 연구는 Notch 신호전달에 의해 증가한 SPON2가 In vitro 및 In vivo에서 위암의 공격적인 진행과 관련이 있음을 입증했다. 따라서 SPON2 유전자를 위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표적 유전자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Extracellular matrix protein Spondin-2 (SPON2) was over-expressed in the gastric cancer patients, and higher expression levels showed shorter survivals than low expression levels. However, correlation is not known between SPON2 expression and gastric cancer progression. Therefor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PON2 in gastric cancer progression. At first, SPON2 expression levels were confirmed in seven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one gastric normal endothelial cell. Most gastric cancer cell lines showed that higher expression level of SPON2 compared to normal gastric endothelial cell. Subsequently, small interfering RNA and over-expression vector were used to regulate SPON2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cell lines, and verified various cell-biological functions related to gastric cancer progression. Silencing of SPON2 expression decreased functions of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In contrast, SPON2 over-expression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Next, the role of SPON2 in tumour growth was examined. Gastric cancer cell lines were stably suppressed SPON2 expression by lenti-virus infection. The stable cells were xenografted into the subcutaneous layer of Balb/c mice and observes for 47 days. Interestingly, silenced SPON2 expression showed reduced tumour growth in xenografted mice model. The determined that SPON2 expression correlates with gastric cancer progression was studied. Second, i studied mechanism of SPON2 up-regulation in gastric cancer. Signaling pathways associated with SPON2 expression levels were investigated using publicly available microarray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Notch signaling associated receptor (NOTCH1) expression was highly correlated with SPON2 expression levels. Notch signaling and SPON2 showed similar expression patterns in seven gastric cancer cells. Next, it was examined whether Notch signaling pathway related transcription factor binds to the promoter region of SPON2 using predictive program and a significant result confirmed through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In addition, over-expression of Notch1 receptor intracellular domain (N1ICD) increased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s well as enhanced expression levels of SPON2. However, these effects were blocked by silencing of SPON2 expression. Inhibition of Notch signaling by γ-secretase inhibitor (GSI) reduced the SPON2 expression and cell viability in gastric cancer cells. All results provided evidence that Notch signaling regulates SPON2 expression to promote gastric cancer progression. I demonstrated that increased SPON2 expression by Notch signaling is associated with aggressive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 in In vitro and In vivo.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PON2 inhibits the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 as a potential target gene.

      • 카할 사이질 세포에서 ANO1 차단제의 효과

        강현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Anoctamine1 (ANO1)는 Ca2+에 의해 활성화되는 Cl- 통로(Ca2+-activated Cl- channel, ANO1)로 위장관 향도잡이인 카할 사이질 세포(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를 확인하는 선택적 표적이며 자발적인 세포막 전압의 변화를 발생시키는 향도잡이 이온 통로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선택적으로 ANO1통로를 차단하는 약물이 보고되어 Ca2+에 의해 활성화되는 Cl- 통로를 연구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장 및 대장 ICC에서 발생되는 향도잡이 전압에 대한 ANO1 통로 차단제의 효과와 ANO1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포막 전압 기록법 (patch clamp 기법) 및 분자 실험 기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들을 얻었다. 1. 소장과 대장 ICC에서 기록된 향도잡이 전압차이는 소장의 경우 발생 빈도수가 매우 규칙적이고 많은 반면, 대장의 경우 빈도수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반대로 향도잡이 전압의 크기는 대장에서 더 크게 기록되었다. 2. ANO1 통로 차단제인 T16Ainh-A01, CaCCinh-A01 및 MONNA는 소장 ICC의 향도잡이 전압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반면 대장 ICC의 향도잡이 전압 발생을 억제하였다. 3. 비선택성 Ca2+-의존성 Cl- 통로 차단제인 nifulmic acid와 DIDS 또한 소장 ICC의 향도잡이 전압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반면 대장 ICC에서는 향도잡이 전압의 발생을 억제하였다. 4. T-type Ca2+ 통로 차단제인 mibefradil과 Ni2+은 소장 ICC의 향도잡이 전압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 반면 대장 ICC의 향도잡이 전압 발생을 억제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들로부터 소장 ICC에서는 ANO1이 향도잡이 전압의 시작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는 반면 대장 ICC에서는 기초적으로 ANO1이 활성화 되어 T-형 Ca2+ 통로와 협력하여 자발적인 향도잡이 전압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장과 대장의 향도잡이 전압 발생기전이 서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한다.

      • FMECA 기법을 활용한 DL 견인전동기 신뢰성 평가

        강현구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디젤전기기관차(DL, Diesel Locomotive)이 열차운행 시 운행 중단 등 중대고장을 발생하는 장치들은 다양하지만, 이중에서 중점적인 운행장애로 연결이 되는 것은 추진을 담당하는 장치인 견인전동기이다. 그런데 최근 10년간 운행장애 데이터 분석결과 견인전동기에서 발생된 고장이 DL에서 발생하는 전체 고장의 약 23%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주요고장에 대한 목표치 관리는 차량을 유지보수하는 각 사업소에서 정량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 하지만, 고장율에 대한 목표치를 정하고 관리를 아무리 철저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현실적인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조금은 부족해 보인다. 최근에는 여객열차 분야에서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열차의 운행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열차를 운영하는 부서로부터의 요구사항은 점차적으로 많아지고 있다. 만약 이러한 시점에서 DL이 고장으로 운행장애가 발생한다면 차량 가용성 측면에서는 매우 치명적일 것이다. 지금까지는 DL에 대한 신뢰성 분석이 주로 고장 통계분석 위주의 단순한 방식으로 수행하여 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 철도시스템에 대한 신뢰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FMECA와 Weibull 수명예측과 같은 신뢰성 기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DL의 견인전동기에 대해 운행적인 관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모드와 고장원인, 그리고 해당 고장모드가 철도운행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하여 FMECA 기법을 활용하여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또한 DL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철도 운행선에서 운행 중 발생시킨 운행장애 데이터를 대상으로 Weibull 수명예측 기법을 활용하여 견인전동기의 수명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FMECA 분석을 통해 견인전동기 구성부품의 정비 우선순위를 고정자, 치차부, 회전자 순으로 선정하였으며, 와이블 수명예측 분석을 통해 견인전동기의 수명값을 주행키로 기준으로 469,804 km로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 공동주택의 하자담보책임 : 재판 실무상 쟁점을 중심으로

        강현구 전북대학교 법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definition of the “Apartment house" is a house which independently occupied and living in the building complex by each residence who is commonly used the wall and corridor, stairway by partially or wholly. The general point of view, meaning of the defect is that will not be equipped with the original function which must be have it. “Defects” has a special necessity for social protection for occupied residences due to the difficulties for unified corrective actions by variety of its features such as engineering, construction differences and naturally worn issue, wide of its occurrence area and multiple occupancies that follows judgment technique’s barrier. Nevertheless, the mutual conflict has occurred because of the discrepancies and uncertainties of related law and regulations. The defect deposit responsibility has been applied to ten (10) years and five (5) years for persistence structures, one (1) year and three (3) years for the facility works according to the “civil law” “Possession and managing related law for the gathering building (hereinafter called “gathering building”)” or “housing law” with adopting Article 667 and/or Article 671 of “civil law” but,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as of Jan.27,2004, announcement 2001 Da 24891 clearly mentioned that ‘past house building promotion law related regulation should not be affected on the exclusion period of defect liability according to the “gathering building law article 9”. As a result of above Supreme Court’s decision, gathering building’s defect liability is prior complied rather than housing laws. Despite of the different defect liability functions in between the “Housing (residential) law” and “Gathering building law”, the ‘Article 46-1 of ‘Housing law’ being understood same liabilities that comes grasped “Housing law’ is prior than ‘Gathering building law’. Therefore, it makes a result as uncertainty for acceptance classification of defect occurrence point of view and right of damage claim request. Hence, the right of damage claim given to the ‘principals of occupants committee’ ‘public housing management committee’ who are actually no right party also accepted in accordance with sentence which is ‘housing occupants etc.’ that could be a disadvantage in right of property of the owner. Also in housing law, article 46th3rd clauses that limiting the claim compensation object with only severe defect should be restricted the right of the owner. In compliance with a residential law’s supplementary provision 3rd clause, the result where the period and the scope of defect liability responsibility for security are shortened, became the retroactive legislation where the discrimination occurs which infringes a legal protection trust that’s why private property right being infringed. And as a result have been generated that general (not categorized in severe) defect can not be protect due to the only severe defects are in the coverage of contract for responsibility of defect liability with both of the defect recovering security company “DaeHan Housing Security Bond Co., Ltd” and “ an association of deductions”. This revised law allowed only for the ‘Housing Law article 46” but excluded the complying of deposit liability and defect recovering related gathering building law. Hence, scope of defect and defect deposit liability period has been restricted. As a result of unconstitutional decision, the new law establishment is urgently necessary. And revision of law which will be unified disciplines is necessary after rearranging, set up the defect liability deposit related with Civil law and housing (residential) law, various right use principals and its method. Especially the legislation for a reasonable legal interpretation and a legal execution is urgent which have to be detailed rules for scope of defect liability deposit and period on the ‘gathering building law’. “공동주택”이란 건축물의 벽·복도·계단 그 밖의 설비 등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각 세대주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건축에 있어서의 하자란 건축물이 본래 가져야 할 기능을 갖지 못한 것을 의미한다. 하자는 설계와 시공상 또는 자연적마모 등의 원인으로 형태가 다양하고 발생범위가 광범위하여 감정기술상 판단의 어려움이 많고 구분소유자가 다수 존재하여 통일적 처리가 힘들어 입주자를 위한 특별한 사회적 보호필요성이 크다. 그러함에도 불구 관련법규의 내용이 불분명하여 상호모순이 생겨나게 된다. 하자보수책임은 “민법”, “집합건축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집합건물법’이라 한다)” 또는 “주택법”에 규정하여 내력구조는 10년과 5년, 시설공사는 1년과 3년으로 하고, 민법 제667조 내지 제671조를 준용하여 적용시켰으나, 대법원이 2004. 1. 27 판결(2001다24891)을 통해 ‘구 주택건설촉진법의 관련규정은 집합건물법 제9조에 의한 분양자의 구분소유자에 대한 하자보수의무의 제척기간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다’고 판시하여 공동주택의 경우 집합건물법의 하자담보책임이 주택법상의 하자담보책임에 우선하여 적용되게 되었다. 주택법과 집합건물법의 하자담보책임이 다른 성질임에도 주택법 제46조 제1항은 양자를 동일성질로 보고 주택법이 집합건물법보다 앞선 규정으로 파악 하자발생시점, 기간의 성격, 손해배상청구권을 인정기준구분이 불분명해졌다. 또한 하자보수청구권자를 ‘공동주택의 입주자 등’으로 하여 입주자뿐만 아니라 입주자대표회의, 관리주체, 공동주택의 관리단 등 실체적인 권리가 없는 자에게까지 하자보수청구권을 인정하여 경우에 따라 서는 이 기관들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는 경우에는 소유자의 재산권에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여지를 두게 되었다. 또한 주택법 제46조 제3항에 손해배상대상을 중대한하자만으로 한정한 것은 소유자의 권리를 제한하며, 주택법 부칙 제3항에 의해 하자담보책임의 기간과 범위 등이 단축되는 결과, 법적보호신뢰를 침해한 차별이 발생하는 소급입법이 되어 사유재산권을 침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하자보수 보증회사인 대한주택보증보험 또는 공제조합과 체결한 하자보수보증계약상 보증대상하자도 중대한 하자만 하자담보책임을 부담하게 되어 일반적 하자는 보호받지 못하는 결과가 생겼다. 이 개정 법률은 공동주택의 담보책임 및 하자보수에 관한 집합건물법의 적용을 배제하고 주택법 제46조 만을 따르게 함으로서 하자의 범위와 하자담보기간을 제한하게 만들었다. 이제 위헌판결로 인하여 새로운 법률의 제정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주택법령과 민법의 하자담보책임관계 그리고 각종 권리의 행사주체 및 방법을 정비·정립하여, 통일적으로 규율하는 법령의 개정이 필요하다. 특히 집합건물법에 하자담보책임범위 및 기간에 대하여 상세하게 규정하여 합리적 법해석과 법집행을 위한 입법이 시급하다.

      •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과 센터장의 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관리자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강현구 성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number of volunteers registered at nationwide volunteer service centers is over 8 million as of 2013, among whom more than 2 million are actively engaged in volunteer activities. This means one volunteer service manager has to handle 2,000~8,000 volunteers. Such shortage of personnel causes stress of excessive load, demoralization and turnover, which hinders systematic work performances and effective operation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This study aimed to figure out effect of leadership of center directors and service orientation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cognized by team managers or above level at the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was set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in order to find a practical plan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to provide basic policy resources. To achieve such goal, this study took sampling of 174 volunteer service managers whose position was managers or above level at 249 nationwide volunteer service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below. Firstly, when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it proved that service orientation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wa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ameter. And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pon busin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sub-paramete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lso confirmed. Secondly, when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etween center director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examined, it proved that the center director had an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wa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 parameter. And the mediated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upon busin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sub-paramete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as also confirm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service orientation, business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s sub-paramet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ly, the level of service which volunteer service managers pursued wa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d the effective operation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it prov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t a time when there was no higher service orientation. As such, it is very important for volunteer service managers to commit the organizations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hich was lowered by service orientation. However, it is recommended not to consider the matters of service orientation o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s personal matter or matters of relevant centers. Rather, it needs to consider those things from a perspective of a social welfare to which our society needs to pay attention.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erspective of cooperation between volunteer service managers, volunteer service center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the state and the society to improve service orientation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which also requires supports from policy perspective. Secondly, the study prov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mediating leadership of managers. Such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found a factor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t a time when there was no higher service orientation. Accordingly, if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reinforced together with leadership of managers, it may enable to respond rapid changing organizational environments proactively and it can be utilized as a useful strategy for volunteer service cent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ntervene with practical perspectives such as education or program development to reinforce leadership capacity of mangers of volunteer service cent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ey words: volunteer service center, volunteer service manager, service orientation, leadership of center director, organizational commitment 전국자원봉사센터에 등록 된 자원봉사자는 2013년 현재 8백만 이상이며 이중 활동하는 자원봉사자의 수도 2백만명을 넘고 있다. 이는 전국에 있는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관리자 1명이 2천명에서 8천명 정도의 자원봉사자들을 관리해야하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관리자들은 인력 부족에 따른 업무가중 스트레스, 사기저하, 이직 등의 문제를 야기함으로써 체계적인 업무수행과 자원봉사센터의 효과적인 운영에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봉사센터에 근무하는 팀장급 이상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관리자가 인식하는 센터장의 리더십과 서비스 지향성이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리고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설정한 조직몰입이 이들 간을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여,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향상하기 위한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있는 자원봉사센터 249개의 팀장급 이상 자원봉사관리자 174명을 표집하였으며, SPSS 19.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 지향성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서비스 지향성은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을 경유하여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사업성과와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또한 입증되었다. 둘째, 센터장 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센터장 리더십은 매개변수인 조직몰입을 경유하여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사업성과와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또한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도출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결과 조직몰입은 서비스 지향성 및 하위변수인 사업성과, 직무만족과 조직효과성 간을 매개하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자원봉사관리자들의 지향하는 서비스 정도는 자원봉사센터라는 조직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조직몰입은 서비스 지향성이 그리 높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자원봉사센터의 자원봉사관리자는 서비스 지향성으로 인해 낮아진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에 몰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이나 조직몰입의 문제를 자원봉사관리자 개인이나 그 센터만이 해결해야 하는 측면으로만 바라보는 것보다 자원봉사는 우리사회가 지향해야 할 사회복지의 한 축이라는 관점으로 생각하고, 자원봉사센터의 서비스 지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원봉사관리자, 자원봉사센터, 행정기관, 그리고 나아가 국가와 사회가 같이 협업해야하는 관점으로 인식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정책적 관점에서의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결과 조직몰입은 관리자 리더십을 매개하여 조직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임이 밝혀졌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서비스 지향성이 그리 높지 않은 현재의 상황에서 자원봉사센터의 조직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요인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관리자 리더십과 함께 조직몰입이 강화된다면, 급변하는 조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자원봉사센터에 유용한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자원봉사센터의 관리자의 리더십 역량 및 조직몰입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실천적 관점에서의 개입이 요구된다.

      • 충돌회피를 위한 가속도를 고려한 차선변경 시스템 개발

        강현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presents the lane change system for collision avoidance.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a making collision avoidance path and automated path following. Using a calculation of TTC (Time to Collision), partial braking is operated and collision avoidance path is generated considering relative distance, velocity and acceleration. After that, desired yaw angle and yaw rate are calculated from collision avoidance path for an automated path following. In order to automate path following, lateral controller is needed. So the lateral controller is developed by control-lyapunov function using 3 D.O.F vehicle model and vehicle parameter. The controller use yaw angle, yaw rate, wheel velocity, longitudinal and lateral velocity to generate required steering angle to follow the desired yaw angle and yaw rate. This system is developed MATLAB/Simulink and its performance is evaluated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CarSim.

      • 腦機能의 偏向性과 學業成績과의 關係 硏究 : 認知的機能과 認知的選好를 中心으로

        강현구 全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chool Curriculum is weighted toward students that utiliza linear, sequential modes of thinking. Achievement tests are designed to measure analytical processing skills. In short, schooling tends to emphasize the cognitive functions usually attributed to the lefted hemisphere of the brain while schooling neglects those attributed to the right. Students whose hemisphere bias favors cognitive of right hemisphere would have predictable difficulty in school carriculum. This study was tasted to determine where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cognitive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measured by the Cognitive Laterality Battery(C.L.B) and Your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Y.S.O.L.T). It was hypothesized that 1) there were difference between right or lefte perform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2) the difference between brain dominance favoring the left or right brain and academic achievement. 3) the difference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of brain dominance favoring the left or right brai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whole achievement brain. In order to test three hypotheses, the subjects were 200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as tast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profil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measured by Cognitive Laterality Battery and Your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 This study adapted ANOVA, standard deviation and law score to test hypothese. The Cognitive Laterality Battery has six subtests, three that assess Visuospatial skills attributed to right brian dominance and three that assess Verbosequential abilities attributed to Left brain dominance. Right hemisphere dominance studentis that cognitive laterality quotient was greater then zero. Left hemisphere dominance student is that Cognitive Laterality quotient was less zero. F-test used to determine difference between Left hemisphere dominance studen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right hemishpere dominance studen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academic achievement that performed better on tests attributed to the Left cerebral hemisphere(See table 6.7 fig 6) Your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 Consists of 40 items. For some statements, the choice is interpreted as preference for Left-brain function :other statement suggest right-brain functioning, while the rest indicate a neutral position which is interpreted as intergrated. The fallowing ar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 ① There is difference between whole brain dominance favoring the left and right brain(see table 9) ② The difference between right or Left dominance and intergrated dominance brain(see table 11,12) This result supports the hypothesis.

      • 접목 밀도를 조절한 블록 공중합체 브러시의 합성 및 특성 연구

        강현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Block copolymer (BCP) brushes are surface-anchored BCP chains, which have been widely utilized for controlling surface properties in nanoscale and for creating complex surface structures by self-assembly or lithographic patterning. Since the properties of polymer brushes are governed by grafting density, the synthetic method for its effective control and its effect to surface behaviors of resulting BCP brushes should be comprehended. Herein, we demonstrate the synthesis of poly(styrene-b-methyl methacrylate) (P(S-b-MMA)) using a crosslinkable random copolymers, compositionally varied poly(styrene-r-glycidyl methacrylate) (P(S-r-GMA)), which can be further functionalized with a molecule having initiator group upon crosslinking process. With careful optimizations, P(S-b-MMA) brushes were successfully grown from the surfaces via atom transfer radical polymerization (ATRP). The final grafting density of the BCP brushes were controlled in three different regimes: low, moderate and high density. Phase behaviors of synthesized brushes were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examined, elucidating the significance of controlling grafting density in BCP brushes.

      • 대한민국 표준기상데이터를 적용한 건물에너지 저감에 관한 연구

        姜賢九 蔚山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의 표준기상데이터의 부제로 국외의 기상데이터를 적용하여 에너지 부하를 산출하였었다. 한국태양에너지학회에서는 2009년 2월부터 11개 지역의 표준기상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표준기상데이터의 사용을 통하여 건물의 냉·난방부하 산출 및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보다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실제 건물을 건축계획 요소인 단열강화, 창면적, 창호구조, 루버와 유지관리 요소인 조명, 열교환기 설치를 통한 냉난방 부하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사용량 절감 효과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표준기상데이터 및 열역학에 대한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국내 및 국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건물에너지 인증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위해 단순한 모델링을 한 뒤 이론식에 기반한 수계산의 결과값 산출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결과값 산출을 통해 냉난방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고, 열 획득 및 손실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여 정확성에 대해 검증하였으며, 실제 건물을 대상으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냉난방부하를 분석하고 에너지부하량을 비교하였다. 또한 건물에서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개선점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및 절감율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본 논문에서의 연구결과는 온도차를 이용한 방법, CLTD/CLF/SCL법, RTS법과 IES/VE 프로그램의 네 가지의 방법으로 산출된 난방부하 및 냉방부하가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냈으나 냉방부하량의 CLTD/CLF/SCL법으로 산출된 값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절기에 따른 요소별 열 획득 및 손실량 비교 결과 실내·외 온도차에 의해 산출된 값의 경우에는 온도차만을 고려하였기 때문에 축열에 의한 시간지연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으나 그 외의 방법으로 산출된 값에서는 축열에 의한 시간지연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상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연간 154.07kWh/㎡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에너지 사용량 절감을 위한 성능개선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의 분석 결과 건축계획 요소의 개선에 따른 에너지 절감은 삼중로이유리 변경이 6.27%로 절감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창면적비, 벽체단열강화, 지붕단열강화의 순으로 나타났다.건물의 유지관리 요소의 개선에 따른 에너지 절감은 필요환기횟수를 충족시키면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한 전열교환기 설치를 통해 27.44%의 절감이 이루어 졌으며 조명개선을 통해 9.66%의 절감이 이루어졌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성능개선요소를 누적에 따른 에너지 절감을 분석한 결과 건축계획 요소의 개선을 통해 연간 135.61kWh/㎡로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 할 수 있으며, 건물의 유지관리의 성능개선 요소인 조명의 개선과 전열교환기의 추가적인 개선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연간 108.32kWh/㎡로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실내온도 설정이 에너지 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내 권장온도인 난방온도 20℃, 냉방온도 26℃에서 2℃의 변화만 주어도 에너지 사용량이 크게 증가하며 6℃의 변화를 줄 경우에는 기존 에너지 사용량의 2배가 넘어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건물의 성능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도 중요하지만 실내 권장온도인 난방온도 20℃, 냉방온도 26℃를 유지하는 것이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 증가를 억제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판단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energy usage and load, improve performance and find out energy usage reduction effects by applying Korea’s typical meterological data and using a simulation program. Accurate typical meterological data is required to find out energy load but overseas meterological data was used in Korea. However, Korea’s typical meterological data provided by KSES (Korea Solar Energy Society) provided on February 2009 has ensured accurate analysis. First of all, we understood fundamental concepts of typical meterological data and thermodynamics and investigated domestic and overseas certification criteria of building energy. Specifically, based on model buildings to analyze energy usage, we compared numerical theoretical calculation results and simulation program results and analyze factors which affect cooling and heating load. We also analyze heat gain and loss components and validate accuracy. We analyzed cooling and heating loa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argeting actual buildings and compared energy load. Besides, we suggested how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and compared and analyzed energy usage and reduction percentag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Heating load and cooling load calculated from the four methods such as method of using temperature difference, CLTD/CLF/SCL, RTS and IES/VE program showed similar results but the result calculated from CLTD/CLF/SCL of cooling load recorded higher value. The comparison results of heat gain and loss of each factor based on season showed that values acquired from indoor·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considered only temperature, not causing time delay due to heat storage. However, values acquired from other methods caused time delay due to heat storage.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of actual buildings, 154.07kWh/㎡ energy was used annually. The analytical results of energy usage depending on performance improvement to reduce energy usage showed that change to Triple Low-E Glass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of reducing energy usage recording 6.27% of reduction percentage. Triple Low-E Glass was followed by window area’s rate, strengthening wall insulation and strengthening roof insulation. In addition, in terms of energy reduction through improvement of building maintenance factors, 27.44% of energy reduction was achieved by installing a heat exchanger which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satisfy necessary numbers of ventilation and 9.66% of energy reduction was achieved by improving lights. Results of analyzing energy reduction depending on accumulation of performance improvement factors based on the abov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135.61kWh/㎡ of annual energy was saved through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lan factors and 108.32kWh/㎡ of annual energy was saved through improvement of lights and heat exchangers for building maintenance. In addition, it was proven that setting indoor temperature has great effects on energy usage. That is, changing 2℃ at recommended indoor temperature (heating temperature: 20℃, cooling temperature: 26℃) could energy consumption remarkably and changing 6℃ caused the existing energy consumption to be doubled. Therefore, it is important not only to reduce energy by improving building performance but also to maintain recommended indoor temperature (heating temperature: 20℃, cooling temperature: 26℃) to control increase i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