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요양시설 실외환경을 주제로 한 참여디자인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시립 중랑노인전문요양원을 중심으로-

        강지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A senior health center is not only the environment that the seniors live in and daily meet, but also the space that the seniors are affected by the social, psychological influences as well as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and the physical influence. So in order to design a senior health center where the seniors have to spend for a long time, it needs to reflect their demands and opinions from the seniors, its main users, and to develop appropriate participatory programs and tools to contribute in the seniors’ therapeutic effect. This study developed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for the seniors directly to design an outdoor environment that they want to have and analyzed its application process as a part of social-welfare program and its outcome. By doing so, this study eventually identified the seniors’ awareness and preference on the outdoor environment and analyzed the changes seen in the seniors through the identification process.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for a senior health center’s outdoor environment was developed in applying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s support model utilizing the logic model of a recall technique-based program, the space board, the PIC card and a model. The application of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named as the ‘Senior Health Center’s Outdoor Environment Participatory Design Project’ was applied to the Jungnang Senior Health Center of Seoul. The applied program was dividedly evaluated the design aspect and the healing aspect, and therapeutic aspect. Concerning the design aspect, this study identified the seniors’ preferring outdoo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seen in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Nursing Home Environment Assessment Procedure(NEAP)’s analysis standards. Concerning the therapeutic aspect, the seniors’ changes resulting from the their participation in the design program were dividingly evaluated in the both aspects of psychological, social influences and the satisfaction evaluation on the program process and its outcomes. As the results evaluating the program in the design aspect, it was found that the seniors secured the territoriality by composing the encirclement space and also formed the a small private space even in the public space. As the life in senior health center was developed around the group activities, so the results might be considered as the seniors’ desire for independent subject’s activities. Additionally, the seniors preferred for natural factor like the lawn, the flower bed, the three. Concerning the space’s cognitive efficiency and amenity, the seniors showed various desires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 preferences. This study could know that the spatial variability is important in designing a senior health center in order to unify the seniors’ such individual preferences. Judging results of the program’s application from the therapeutic aspect, the seniors showed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become the user to more subjectively utilize and recompose their current residency environment while they showed much changes in their social interactions with participants and their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thinking over their activities in their nursing home facility and its outdoor environment, and directly designing the outdoor environment and seeking for the way to utilize their design. Besides, it was judged that their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gotten from their participation in the senior health center’s outdoor environment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could take a role in improving their self-esteem, life energy, and overcoming the depressive feeling. If the physical therapeutic environment is continually studied in consideration with some participatory design programs having the theme of senior health center’s outdoor environment, and the seniors’ changes in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and the various user subjects in a senior health center, they can establish the foundation to construct more effective, meaningful outdoor environment in a senior health center. 노인요양시설은 노인들이 거주하며 일상적으로 접하는 환경이며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물리적 영향과 더불어 사회적·심리적 영향을 받는 공간이다. 그러므로 노인들이 오랜 시간을 지내야 하는 노인요양시설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주 사용자인 노인들의 요구와 의견을 반영하고, 노인들의 치유에 기여할 수 있는 참여 프로그램과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인들이 주체적으로 직접 원하는 실외환경을 계획해 볼 수 있는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적용한 과정과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이로써 노인들의 실외환경에 대한 인식과 선호를 파악하고, 그 과정을 통해 노인들에게서 일어나는 변화를 분석하였다. 노인요양시설 실외환경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은 회상기법을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의 논리모델과 공간보드, PIC카드, 모형 도구를 활용한 참여디자인 프로그램 지원 도구를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된 프로그램의 적용은 ‘노인요양시설 실외환경 참여디자인 프로젝트’라는 명칭으로 서울시립 중랑노인전문요양원에서 이루어졌다. 진행된 프로그램의 평가는 계획적 측면과 치유적 측면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는데, 계획적 측면의 경우 결과물에서 나타난 특성을 노인전문요양시설 환경평가도구(NEAP)의 분석기준에 맞춰 노인들이 선호하는 실외환경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치유적 측면의 경우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변화를 심리적·사회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결과평가와 프로그램 진행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 평가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계획적 측면에서의 프로그램 평가 결과, 노인들은 위요된 공간을 구성하여 영역성을 확보하고, 공적공간에서도 소규모 공간으로 개인적인 공간을 형성하였다. 노인요양시설의 생활이 단체활동을 위주로 진행되기 때문에 노인들은 독립적인 개체로 활동하고자 하는 욕구를 보여준 것이라 볼 수 있다. 또한 잔디밭, 꽃밭, 나무 등의 자연 요소를 선호하였다. 공간의 인지적 효율성·쾌적성의 경우 노인들의 개인적 선호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러한 노인들의 개인적 선호들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공간의 가변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치유적 측면에서 볼 때, 노인들은 요양시설과 그 주변 실외환경에서의 활동을 생각해보고, 직접 계획하여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을 통해 참여자들과의 사회적 교류 및 감정상태의 변화, 그리고 작업적 관심과 같은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현재의 환경을 보다 주체적으로 활용하고 재구성하는 사용자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노인요양시설의 실외환경을 직접 디자인하는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얻는 성취감과 만족감은 자아존중감의 향상과 생활의 활력, 우울감 극복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요양시설의 실외환경을 주제로 한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이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들에게 적용되는 과정을 통해 신체적·정신적 활동과 더불어 사회적 교류 경험을 제공하고 시설에 대한 친밀감을 형성하는 기대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노인들의 공간적인 선호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요양시설 실외환경 설계 시 기초자료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온라인 사이트 고객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행동적 결과에 대한 연구

        강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온라인 쇼핑몰의 규모가 10조원 이상의 규모로 성장하며 중요한 인터넷 매체로 성장했다. 판매자와 구매자 간의 정보가 쉽게 교환됨에 따라, 온라인 환경에서 고객 몰입 기반의 이해에 대한 관심이 증폭하고 있는 것이다. 온라인 판매는 고객들이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가격, 상품, 서비스를 최소의 비용과 노력으로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거래에서의 몰입의 개념은 더욱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고객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유용한 정보제공, 편리성, 고객화, 상호작용, 커뮤니티, 배려, 사이트 이미지-과 그 행동적 결과들-다른 사이트 탐색의향, 구전 의향, 추가가격 지불 의향-을 노트북과 여행상품이라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구매 사이트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몰입을 계산적 정서적 몰입의 두 가지로 분류하여 몰입의 종류에 따른 고객 몰입의 요인들과 행동적 결과를 살펴보았다.본 연구 결과, 노트북 구매 사이트의 경우 편리성, 고객화, 상호작용, 커뮤니티 그리고 사이트 이미지가 사이트 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이트에 대한 고객 몰입의 결과적 행동에 있어서는 정서적 몰입이 구전 의향과 추가가격 지불 의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나타났다. 여행상품 사이트의 경우는 대부분의 가설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 온라인 사이트 고객 몰입에 있어서 고객화, 상호작용,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 이미지, 편리성, 유용한 정보제공, 배려의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끼쳤고, 구전의향과 추가가격 지불 의향의 결과적 행동에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다.기존 연구가 제시해 놓은 온라인 고객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구체적인 두 상품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시도한 본 연구는 앞으로 온라인 쇼핑몰이 고객 몰입을 유도함에 있어 추구해야 할 방향 설정에 있어서 좋은 기초 연구가 될 것이다. As competing business in the world of electronic commerce are only a few mouse clicks away, consumers are able to compare and contrast competing products and services with minimal expenditure of personal time or effort. Therefore, online commitment is more important in online environment.This study identified antecedent factors and consequent behaviors of customer commitment on the web site. It was conducted with two products, a laptop shopping site and travel site and commitment was considered as two aspects, calculative and affective commitment.As a result, in the case of the laptop site, customization, convenience, contact interactivity and character had effects on commitment on the web site and word-of-mouth and willingness to pay more were revealed as behavioral consequences. For travel web site, almost hypothesis were significant, so we could say that customization, convenience, contact interactivity, community, cultivation, care and character have influence on commitment. Word-of-mouth and willingness to pay more were revealed as behavioral consequences as well and intention to search for other site was negative.This study applied an antecedent research to two kinds of product, laptop and travel sites, and it could be the good primary study for the future research for customer commitment on the website.

      • 금융위기 전후 우리나라 환율수익률과 주가수익률의 인과관계 분석

        강지은 광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환율과 주가의 관계에 대한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두 변수사이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단순회귀분석을 통하여 알아낸 결과 환율과 주가 간에는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계열 자료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을 경우 허구적 회귀분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시계열적 안정성 검정을 실시하였으며 Augmented Dickey-Fuller 검정을 통하여 단위근 검정을 실시하였고, Granger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단위근 검정에서는 원자료의 경우 환율과 주가지수 모두 단위근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안정적인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기 위해 1차 차분한 수익률을 이용하여 단위근 검정을 실시한 결과 안정적 시계열 자료임을 확인하였다. Granger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기간동안 주가지수 수익률이 원/달러 환율수익률에 선행성을 갖고 있었다.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분석에서는 금융위기 이전에는 어떤 변수에도 선행성이 없었고, 금융위기 이후 주가지수 수익률이 원/달러 환율수익률에 선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연구와 유사한 결과로 환율수익률에 대한 주가지수 수익률의 선행성이 보다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xchange rates and stock prices. Using exchange rate returns and stock return variables before and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analyzed. The results of simple regression analysis are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exchange rate and stock price. If not ensure the stability of time series data, it is spurious regression and be conducted to test the stationary. In this paper, Augmented Dickey-Fuller test is employed to analyze unit root test and using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s suggest that unit root tests show exchange rate and KOSPI are the unstable time series. In order to use a reliable time series data, using the first difference return and conducted unit root tests confirm that the result was a stable time-series data. A Granger causality analysis from stock index return to the won/dollar exchange rate had the preceding during the sample period. According to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leading to a variable resistance which had no previously in the pre-crisis period and the stock index return is preceding won/dollar exchange rate in post-crisis. The exchange rate, which yields resul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on the yield of the leading stock index showed significantly more resisted.

      •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별 내용 및 UX 차이분석

        강지은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최근 업데이트된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선호도별 내용과 UX의 차이를 분석하고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바람직한 선택 및 활용을 위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제기 하였다. 첫째.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내용 및 UX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선호도에 따른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내용과 UX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2015년 6월 안드로이드기반 애플리케이션 마켓인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애플리케이션 60개이다. 분석대상 선정기준은 ‘유아’와 ‘유아교육’이란 key word로 검색된 자료 중 다운로드의 수가 100만 명, 50만 명, 10만 명에 해당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각각 20개씩 총 60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분석도구는 다음과 같다. 내용분석은 유구종, 김민경, 김은아(2002)의 ‘유아교육용 애플리케이션 내용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분석’, 정수정, 임걸, 고유정, 심현애, 김경연(2010)의 ‘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유형’, ‘3-5세 누리과정(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2)’을 참고하여 본 연구자가 총 12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내용분석 하위 항목은 애플리케이션명, 개발자, 버전, 대상연령, 누리과정 영역, 누리과정 내용범주, 누리과정 내용, 애플리케이션 유형, 크기, 리뷰점수, 인앱 구매비용, 소개내용이며 유아교육전문가 5인(유아교육전공교수)으로부터 안면타당도 검증을 받았다. UX 분석은 손영민(2014)이 개발하고 타당화한 ‘유아교육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UX 평가표’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은 첫째, 유아교육의 내용 및 UX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선호도별 유아교육용 애플리케이션의 내용과 UX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집단 간의 통계적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후 검증(scheffé)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분석결과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명, 개발자, 버전, 대상연령, 크기, 리뷰평가점수, 인앱 구매비용의 정보를 밝히고 있다. 대상연령은 모두 만 3세 이상이고 크기는 최소 874KB에서 최대 48.73MB이다. 리뷰평가점수는 최소 3.3점, 최대 4.6점을 받았고 인앱 구매비용은 무료에서 최대 220,000원이다. 또한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누리과정영역은 의사소통 24개(40%), 자연탐구 23개(38.3%), 예술경험 9개(15%), 신체 운동·건강 2개(3.3%), 사회관계 2개(3.3%)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은 자료제시형 23개(38.3%), 시뮬레이션형 13개(21.7%), 게임형 12개(20%), 반복연습형 8개(13.3%), 개인교수형 3개(5%), 문제해결형 1개(1.7%), 평가형과 도구형 0개(0%)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UX는 평가영역의 경우 디자인(M=3.63, SD=.22), 기술(M=3.31, SD=.33), 교육(M=3.22, SD=.17)의 순으로 높게 평가되었고, 평가요소는 제스처(M=3.95, SD=.22)가 가장 높고 모바일센서(M=2.68, SD=.63)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선호도에 따른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은 애플리케이션명, 개발자, 버전, 대상연령, 크기, 리뷰점수, 인앱 구매비용, 소개내용의 정보를 모두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는 선호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리영역은 A(다운로드 수 100만 명)의 경우 자연탐구 11개(50%), 예술경험 6개(30%), 의사소통 3개(15%), 사회관계 1개(5%)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B(다운로드 수 50만 명)의 경우 자연탐구 11개(55%), 의사소통 5개(25%), 신체운동건강2개 (10%), 예술경험 2개(10%)개 순으로, 그리고 C(다운로드 수 10만 명)의 경우는 의사소통 16개(80%), 자연탐구 2개(10%), 사회관계 1개(5%), 예술경험 1개(5%)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와 B는 자연탐구 영역이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고 C는 의사소통 영역이 8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A는 자연탐구, 예술경험, 의사소통, 사회관계 등 4개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B는 자연탐구, 예술경험, 의사소통 등 3개의 영역을, 그리고 C는 자연탐구, 예술경험, 의사소통, 사회관계, 그리고 신체운동·건강 등 누리과정의 5개 영역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다. 선호도에 따른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유형을 살펴보면, A는 시뮬레이션형 6개(30%), 게임형 5개(25%), 자료제시형 5개(25%), 반복연습형 2개(10%), 개인교수형 1개(5%), 문제해결형 1개(5%) 순으로, B는 게임형 7개(35%), 시뮬레이션형 6개(30%), 자료제시형 4개(25%), 개인교수형 2개(10%), 반복연습형 1개(5%) 순으로, 그리고 C는 자료제시형 14개(70%), 반복연습형 5개(25%), 시뮬레이션형 1개(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A는 시뮬레이션형, 자료제시형, 반복연습형, 게임형, 개인교수형, 문제해결형 등 6개의 유형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B는 시뮬레이션형, 자료제시형, 반복연습형, 게임형, 개인교수형 등 5개의 유형을, 그리고 C는 시뮬레이션형,

      • 학교 밖 인권교육 교사학습공동체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에 대한 사례연구

        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chieved through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pseudonym), a teacher learning community for human rights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 study sought ways to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of general teachers for human rights education by explor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and by ascertaining the area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quired by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se activitie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chosen. First, what kinds of activities were conducted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and what are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what kind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did teachers achieve through the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a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y established in May 2015, as the case subject. Eight teachers were interviewed as participants in this research, with supplementary written materials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teachers in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included human rights lectures, reading discussions, textbook analysis and development of lesson plan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human rights teaching demonstrations, and collaborative human rights instructional practices in the classroom. Teache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able to accumulate basic human rights knowledge through lectures on human rights and reading discussions, establish a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and clearly define the direction of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 knowledge developed through these activities, the teachers analyze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for human rights-related subjects, developed lesson plans, and created instructional materials. In order to disseminate and proliferate the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the teachers also produced a human rights song. In addition, they held two teaching demonstrations to see whether it was possible to apply to the classroom a lesson with the correct concept of human rights, and four teachers put a collaboratively developed lesson plan into practice during their respective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lasse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for teacher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included voluntary initiative and participation of teachers with a common vision, cooperation based on close, horizontal relationships,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that could be of practical use in the classroom, and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ollective knowledg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cont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was established by teachers with an awareness for the issue of human rights in the teaching field,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being achieved through all activities being led and participated in by the teachers themselves. Teachers achieved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reciprocal and organic cooperation based o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an emotional connectedness which enabled them to respect each other’s human rights.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were conducted in such a way that produced knowledge for practical use in the classroom, and through its practice and reflection, the knowledge was developed into a more applicable form for the classroom. In addition,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was produc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high-standard materials in order to provide general teachers with content for human rights education. In fact,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being achieved by sharing these materials with other teachers.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acquire knowledge about human rights, develop curriculum expertise, improve their teaching abilities, and form their identities as human rights teachers through the activities at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Upon examining these accomplishments in detail,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were able to establish a concept of universal human rights based on the expansion of their knowledge of human rights. In terms of curriculum expertise development, teachers acquired the ability to see the sequence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ed the ability to reconstruct the human rights curricula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addition, their teaching ability was improved; they saw improvement in their teaching method for human rights, and through reflective introspection on previous lessons, their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were enhanced not only for human rights instruction, but instructional practices overall. They also became enabled to utilize and develop various instructional materials. Finally, the teachers of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formed an identity as human rights teachers. They became aware of, and came to respect, the rights of students. They also came t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beyond the classroom as teachers for the nation. By examining in detail the domai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in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activities at the Inkwunsarang Research Associa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teacher learning community is effective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the following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in human rights education. First, education policy develop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make various mean available that can change the closed and isolated school culture for human rights education expertise developed in out-of-school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o be proliferated within the school.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fficial online space where teaching materials, practical cases,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eachers with expertise in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shared and transferred to other teachers at the level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r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present not only the objectives, necessity, content, and methods of human rights education to the national curriculum, but also the basic information on human rights and the sequence of the human rights education curriculum, which has been dispersed throughout various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밖 인권교육 교사학습공동체인‘인권사랑연구회(가명)’에서의 활동을 통한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인권사랑연구회에서 이루어진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활동과 그 특징을 탐색하고, 활동에 참여한 교사들의 전문성 발달 영역을 확인함으로써 일반 교사들의 인권교육 전문성 개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사랑연구회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활동은 어떤 것이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인권사랑연구회의 활동을 통해 교사들은 어떠한 전문성이 개발되었는가? 연구 문제에 따라 2015년 5월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로 설립된 인권사랑연구회를 연구 사례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 교사 8인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고, 보조적으로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사랑연구회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어떤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인권 강의와 독서 토론, 교과서 분석 및 지도안 개발과 교수 학습 자료 개발, 인권 공개 수업과 인권 수업 공동 실천이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연구 참여 교사들은 인권 강의와 독서 토론을 통하여 인권에 관한 기본 지식을 쌓을 수 있었고, 보편적 인권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인권사랑연구회가 나아갈 방향을 뚜렷하게 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형성된 전문적 지식을 토대로 교사들은 초․중등학교 인권 관련 교과의 교과서를 분석했고, 학습 지도안을 개발했으며, 이에 따른 학습 자료를 만들었다. 그리고 보편적 인권 개념의 보급과 확산을 위해 인권송을 제작했다. 또한 올바른 인권 개념을 토대로 하는 수업이 실제로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두 번의 공개 수업을 하였고,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는 공동으로 개발한 학습 지도안으로 4명의 교사가 공동으로 인권 수업을 실시하였다. 인권사랑연구회에서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해 이루어지고 있는 활동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공동의 비전을 가진 교사들의 자발적인 주도와 참여, 수평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바탕으로 한 협력,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의 생성과 발전, 인권교육 콘텐츠 제공을 위한 집단 지식의 구축과 확산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인권사랑연구회는 교육 현장에서의 인권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진 교사들이 모여서 만든 모임으로 모든 활동을 교사들이 직접 주도하고 참여함으로써 전문성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교사들이 서로의 인권을 존중하는 수평적 관계와 정서적 유대감을 바탕으로 상호호혜적이며 유기적으로 협력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었다. 인권사랑연구회에서의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은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생성하고, 이러한 지식을 실천하고 반성함으로써 교육 현장에 더욱 적합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또한 인권사랑연구회는 일반 교사들에게 인권교육 콘텐츠를 제공하기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료들을 다량으로 제작하고 있었고, 주변 교사들에게 자료를 공유하면서 그들의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었다. 둘째,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개발된 교사 전문성의 영역을 살펴본 결과, 연구 참여 교사들은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인권에 관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었고, 교육과정 전문성이 개발되었으며, 수업 지도 능력이 증진되었고, 인권교사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들은 인권에 관한 지식의 습득과 관련하여 인권에 관한 내용 지식이 확장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보편적 인권에 관한 개념을 정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 전문성 개발의 측면에 있어서 교사들은 인권교육과정의 계열성을 보는 안목이 형성되었고, 초중등학교 인권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재구성할 수 있는 능력이 개발되었다. 또한 수업 지도 능력도 증진이 되었는데, 인권 수업 방법이 개선되었고, 인권 수업뿐만 아니라 자신의 기존 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을 함으로써 수업 실천 개선에 토대가 되었다. 그리고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고, 이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인권사랑연구회 교사들은 인권교사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었는데, 학생의 인권을 자각하고 존중하게 되었고, 인권교육을 통한 국가의 미래까지 생각하는 교사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인권사랑연구회 활동을 통해 개발된 교사들의 인권교육의 전문성의 영역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학습공동체가 교사 전문성 개발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들의 인권교육 전문성 개발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정책 개발자들이나 학교 관리자들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개발된 인권교육 전문성이 학교 안에서도 확산될 수 있도록 폐쇄적이고 고립적인 학교 문화를 바꾸는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둘째, 교육부나 시․도 교육청 주관으로 인권교육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교사들의 노하우와 실천 사례, 학습 자료들을 공유하고 전수할 수 있는 공식적인 온라인 사이트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셋째, 국가교육과정에 인권교육의 목표나 필요성, 내용, 방법뿐만 아니라 인권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 및 각 교과로 흩어져 있는 인권교육과정의 계열성에 대해서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 다문화가정 대상 한국어 교재의 성인지 요소 분석 연구 :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를 중심으로 -

        강지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대상 한국어 교재인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의 성인지 관계 분석을 통해 성차별적 요소를 추출하고 향후 발전된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이론적 근거 마련을 위해 연구주제와 관련된 두 가지 핵심 내용을 나누어 기술하였다. 우선 다문화 감수성과 성인지 감수성에 대한 재개념화를 통해 주요 연구 결과와 쟁점을 파악해 보았다. 이어서 한국어교육 영역에서 다루어 온 성인지 관련 담론과 주요 쟁점, 정책과 동향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 방법의 설계로 다음의 세 가지 성인지 요소 점검 기준을 설정하였다. (1) 교재 대화문 및 그림의 내용에서 나타난 성인지 상황과 맥락 (2) 교재 대화문 및 그림의 내용에서 나타난 성 역할의 평등성 (3) 교재 대화문 및 그림의 내용에서 나타난 문화적 차별 요소 이상의 점검 기준을 바탕으로 성인지 요소를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도출해 보았다. 정량적 요소의 도출을 위해 기존 유관 정책에서 제시한 성인지 요소를 중심으로 기준을 점검한 후 본 연구주제와 흐름을 같이하는 선행연구를 메타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정량적 요소의 내용 보완을 위해 정성적 요소를 탐색하고자 질적 방법론으로서 전문가 초점 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면담자들에게 교재에 관련된 생각 및 인식, 경험에 대해 질문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고, 핵심어 코딩 작업을 거쳐 해당 유형을 도출해 보았다. 이러한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 요소의 도출을 통해 해당 교재의 상황과 맥락에 맞는 최종 연구 방법의 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구 교재인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에 비해서 신 교재인 <다문화가정과 함께하는 즐거운 한국어> 교재는 어느 정도 차별적인 부분에 대해 개선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일정 부분은 성인지 측면에서 다시 논의되어야 하는 면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었다. 교재에서 여자다움이나 남자다움에 대한 고정관념 극복을 위한 노력은 발견되지만, 아직도 여자는 귀여움, 분홍색, 어려 보이면 좋은 것, 사회 활동에 있어서 보조 역할, 사회진출의 진취적인 모습보다는 집안일이나 육아 부분에 중점을 두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반면에 남자는 집안일과 아이 돌봄에 서투른 모습 혹은 도와주는 수준에 머물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시부모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실제로 교재에 등장한 여성 결혼이민자와 시부모 간의 대화문을 찾아볼 수 없었으며 그림 또한 부정적인 모습으로 표현되었다. 따라서 어느 정도 시댁과 적절한 관계를 유지하는 다문화 부부의 긍정적 모습을 대화문이나 그림에서 표현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진단하였다. 이에 교재의 분석 결과에서 도출된 성인지 요소를 바탕으로 개선안을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감수성에 입각한 한국어 교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교재 개발자와 교수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교재 개발의 내용은 편견이나 고정관념을 벗어나 상호존중과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사회의 한국어교육 관련 정책의 방향은 이주민의 한국 사회적응에만 두기보다는 상호문화에 대한 이해와 존중, 공감과 수용을 바탕으로 한 폭넓은 관점에서 논의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gender-discriminatory elements through the analysis of gender-cognitive relationships in <Joyful Korea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 Korean textbook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ome up with ways to improve them in the future. In order to prepare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study, two key content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described separately. First of all, major research results and issues were identified through reconceptualization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gender sensitivity. Subsequently, the discourse on gender awareness, major issues, policies, and trend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critically reviewed. Through this, the following three criteria for checking gender recognition factors were established by the design of the research method. (1) Gender Recognition Situation and Context in Textbook Dialogues and Figures (2) Equality of Gender Role in Textbook Conversation and Picture Contents (3) Cultural Discrimination Factors in Textbook Dialogues and Figures Based on the above inspection criteria, the gender recognition factor was derived from two aspects: quantitative factor and qualitative factor. In order to derive quantitative factors, the criteria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gender-cognitive factors suggested in the existing related policies, and then previous studies that were in line with the flow of this study were meta-considered. In addi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content of quantitative factors,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qualitative methodology to explore qualitative factor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interlocutors were asked about though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related to the textbook, and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the types were derived through core word coding work. Through the derivation of thes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lements, the framework of the final research method suitable for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textbook was prepar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pared to the old textbook <Korean with Married Immigrants>, the new textbook <Joyful Korea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some improvement in discriminatory aspects. However, it could be recognized that some parts still have to be discussed again in terms of gender awareness. Although efforts to overcome stereotypes about womanhood and manhood are found in textbooks, women are still focused on housework, child rearing, and education rather than cuteness, pink, good looking for young people, supportive roles in social activities, and progressive social advance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men remained poor at housework and child care or at the level of helping. In additio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in-law, there was no dialogue between the married immigrant woman and the parents-in-law that actually appeared in the textbook, and the picture was also expressed in a negative way. Therefore, it was diagnos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press the positive image of multicultural couples who maintain an appropriate relationship with their in-laws to some extent in conversations or pictures. Therefore, an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based on the gender recognition factors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extbook. Finally, in order to create a Korean textbook based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 following efforts are need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extbook developers and instructors. Second, the content of textbook development should focus on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beyond prejudice or stereotypes. Third, the focus of polici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be discussed from a wide perspective based on understanding, respect, empathy, and acceptance of mutual culture, rather than focusing on migrants' social adaptation to Korea.

      • 도시산업구조가 도시순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지은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도시산업을 육성하여 도시경제성장을 도모하는 정책들이 세워지고 있다. 도시와 산업은 산업혁명 이후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국가, 지역, 그리고 도시 내의 산업구조 또한 끊임없이 변화해가며, 그 변화는 경제, 소득, 고용, 인구 등 여러 요인들의 변화를 유도하게 된다. 따라서 산업구조의 변화에 빠르게 대처하는 도시는 인구, 고용, 소득의 증가로 도시경제발전에 긍정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도시경제발전은 도시 간 차별적 성장을 유발할 것이며, 이는 결국 도시 간 인구규모에 의해 우열관계를 나타내는 도시순위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계층별 도시산업구조의 변화가 도시순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중소도시들의 바람직한 산업정책방향을 정립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도시산업구조와 인구규모에 의한 도시순위간의 관계에서 비롯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한다. 제2장에서는 도시산업구조 변화과정을 파악하고, 도시산업구조에 대한 국내외연구동향을 감안하여, 도시산업구조 특성 파악을 위해 경쟁, 특화, 다양성변수를 선정한다. 여기서 경쟁변수는 종사자 1인당 사업체수를 측정한 것으로, 1보다 큰 값을 가질 경우 특정 도시에서 특정 산업이 경쟁적으로 발전함을 의미하며, 특화변수는 특정산업이 특정도시에 집중되어 있는 정도를 측정하는 변수로 1보다 큰 값을 가질 경우 특정산업이 특화됨을 의미한다. 다양성변수는 특정 도시에서 특정산업을 제외한 다른 사업으로의 고용 집중을 특정하며, 1보다 작을수록 도시의 산업구조가 특정산업에 집중됨을 의미한다. 제3장에서는 중소도시의 계층구분을 위해 1981년, 1991년, 2000년 각 도시들의 인구규모에 의해 군집분석 한고 그 결과를 토대로 계층구분한 뒤, 계층별 도시순위 변화를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산업구조와 도시순위 간의상호관계 파악을 위해 종속변수를 도시순위, 독립변수를 도시별 산업구조변수로 한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통하여, 도시산업구조변화가 도시순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것이 계층별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한다. 또 실제로 1981-1991년간, 1991-2000년간 순위가 상승한 도시들을 바탕으로 변수별로 산업구조의 변화를 살펴본다. 제 5장은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고 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과가 중소도시 산업정책수립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를 논의하고, 이 논문의 한계를 지적코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자면, 제 1계층에서는 제조업의 경쟁적 발전과 서비스업의 특화가, 제 2계층에서는 제조업의 특화와 서비스업의 경쟁적발전이, 제 3계층에서는 제조업의 경쟁적 발전과 서비스업의 특화, 그리고 기존의 농업, 임업, 어업, 광업 등 1차 산업 비중을 감소가, 제4계층에서는 제조업과 도시기반산업의 특화가 도시순위의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은 개별 도시들에 관한 산업구조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비하나마 중소도시들의 도시산업정책수립에 의미 있는 시사를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1981년에서 2000년까지 도시수와 산업분류의 변화를 통일시킬 수 없는 본질적 한계 때문에 도시별로 보다 구체적인 산업정책을제시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는 이러한 전국의 도시를 대상으로 하여 산업구조에 과한 연구를 보다 다각적이고 적극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industrial structure of the city on the change of urban hierarchy. In detail, frist, types of the industrial structures in Korea city are identified such as competition, specialization and diversity. In detail, frist, a value greater than one for the competition variable indicates that the industry is more competitive in this city than in other parts of Korea. Second, a value greater than one for the specialization variable means that this industry is specialized in this city. Third, the diversity variable is measured by the city's other industries' share of total city employment. Second, the population ranking of the cities is examined and then the cites are classified by using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In 1981, cities classifies as the first group have been ranked 8∼11 . Cities classifies as the second group have been ranked 12∼17. Cities classifies as the third group have been ranked 18∼36. Cities classifies as fourth group have been ranked 37∼50. ②In 1991, cities classifies as the first group have been ranked 8∼13. Cities classifies as the second group have been ranked 14∼18. Cities classifies as the third group have been ranked 19∼31. Cities classifies as fourth group have been ranked 32∼73. ③In 2000, cities classifies as the first group have been ranked 8∼11. Cities classifies as the second group have been ranked 12∼17. Cities classifies as the third group have been ranked 18∼41. Cities classifies as fourth group have been ranked 42∼79. Third, a multiplex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pulation ranking and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①cities classifies as the first group have been ranked up in population in relation to competition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sector. ②Conversely, the second group have been ranked down in population in relation to competition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sector. The second group have been ranked up in population in, relation to specialization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sector ③cities classifies as the third group have been ranked up in population in relation to specialization development service of sector. ④cities classifies as fourth group have been ranked down in population in relation to specialization development of service se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s that it seemes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variables.

      • 지면의 종류에 따른 다감각 운동이 여성노인의 발바닥 감각,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에 미치는 영향

        강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ti-sensory exercise on the plantar sensation, balance, hallux valgus angle, posture, physical strength, and multi-direction core strength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nd. The subject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more than 65 years of independent ambulant elderly women 34 people. The ground was divided into hard and soft ground. Both groups were all applying the same exercise program, and it was carried out for 50 minutes 3 times a week during eight weeks.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plantar sensation, hallux valgus angle, posture, physical strength,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Plantar sensation was measured by using monofilament (Semmes-Weinstein Monofilament, SWMT) tool, on the right and left foot toe, first metatarsal, third metatarsal, and fifth metatarsal bottom. The hallux valgus angle was measured by Harris, Matt (Harris mat) on the footprints inspection, and the posture was measured the static posture when standing, using a high-resolution camera, body style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distance and angle (M-zen, Korea). The physical strength was the Korean elderly fitnes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as cardiorespiratory endurance (2 minutes walking place), agility, balance (2.44M return), strength of lower extremity (30 seconds sit and stand up in the chair), the upper and down flexible (including the posture scratching, bending forward to sit-ups), body strength (grip strength left and right),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ody fat, muscle mass, total weight without fat, muscle volume, body fat mass, body fat, BMI, BMR). The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test was measured using a Star Excursion Balance Test(SEBT) (Earl & Hertel, 2001). Data processing was utilizing IBM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The independent t-test results for the homogeneity test in accordance with the kind of ground, were that as the results of pre-test on the plantar sensation and hallux valgus angle between two groups were not same, the impact was analyzed by covariance. By the type of ground, the physical strength, and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were measured before exercise, after 4 weeks, after 8 weeks, total three measurements were used non-parametric (MANOVA : mixed ANOVA). The posture check was measured twice with pre and post exercise,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Wilcox signed rank test, and the group-specific post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with U-validated methods (Mann Whitney U test). The plantar sensation, hallux valgus angle, posture, physical strength, and the multi-direction core strength by the ground were performed non-parametric correlations between body composition in order to take the explanatory power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by setting the p <.05. If you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plantar sensation On the soft ground and hard ground, the plantar sens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d in both. But as the improvement in the exercise of the soft ground surface than a hard was high,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of soft ground was more effective. B. hallux valgus angle The difference between each of the ground were not significant. Because the hallux valgus angle is the strain on the bone disease, the time to see the effect of the exercise was short. The duration increase was required to reduce the hallux valgus angle and it will require the concentration of the solid programs of the hallux valgus angle. C. posture alignment The posture of the group that performed multi-sense exercise in the soft floor has improved significantly on left leg flexion angle, cervical tilt angle in the statistical evaluation of left leg flexion. On the other hand, the group that performed multi-sense exercise in the hard floor was improved on the slope angle of the left calcaneus.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sensory exercise on hard ground was effective to correct a bent leg of the elderly. D. physical strength The group that performed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on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gility and balance, right and left hand grip strength, body weight, fat mass, percent body fat, BMI.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fat and the plantar sensation of the right fifth metatarsal. E.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The multidirectional core muscle strength has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In particular, the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on the soft ground all between 0 weeks to 4 weeks, 4 weeks and 8 weeks, 0 and 8 week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a group of multi-sensory exercise on hard ground was only between 0 and 4 weeks 0 and 8 weeks significantly improved statistically but between 4 and 8 weeks, the improve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can be seen that the core strength continually improved on the soft ground floor than the hard. The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has improved significantly plantar sensory, multi-direction core strength than the hard floors, and it showed a decrease in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BMI. Therefore, the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than the hard ground can be effective. The multi-sense exercise on the soft ground improved the sense of the plantar surface, cardiorespiratory endurance, agility, balance, the left and right grip, and reduced weight. This improves multidirectional core strength and posture. On the other hand the multi-sense exercise even on hard ground improved the plantar sense, cardiovascular endurance, upper and under flexibility, and core strengths. But it did not affect the weight loss.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effect of multi-sense exercise is more diverse on the soft ground than on the hard ground.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multi-sensory exercise on the hard ground was also effective to increase the ability to balance a sense exercise of the core strength needed for the elderly. Therefore, this exercise program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fall, as well as contribute to reducing uncomfortable feeling of living of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지면에 지면의 종류에 따른 다감각 운동이 발바닥 감각, 균형,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할 의사를 밝힌 독립적인 보행이 가능한 65세 이상 여성노인 34명으로 하였다. 지면은 무른 탄성 지면과 딱딱한 지면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 모두 동일한 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8주간 주 3회 50분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발바닥 감각,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이다. 발바닥 감각은 모노 필라멘트(Semmes-Weinstein Monofilament, SWMT) 도구를 사용하여 오른쪽, 왼쪽 발의 엄지발가락, 첫 번째 중족골, 세 번째 중족골, 다섯 번째 중족골 바닥을 측정하였다. 무지외반각은 해리스 매트(Harris mat)를 이용하여 족문검사를 하였고, 자세정렬은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기립 시 정적 자세정렬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거리와 각도를 측정하는 바디 스타일(M-zen, 한국)을 사용하였다. 체력은 한국형 노인체력(문화체육관광부, 2012)으로 심폐지구력(2분 제자리 걷기), 민첩성·균형성(2.44M 돌아오기), 하지근력(30초간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나기), 상·하지 유연성(등 긁기 자세, 앉아서 윗몸 앞으로 굽히기), 전신근력(좌·우 악력), 신체구성(체중, 체지방, 근육량, 제지방량,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기초대사량)이다. 코어근력 검사는 스타 익스컬젼 발란스 테스트(Star Excursion Balance Test, SEB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Earl & Hertel, 2001). 자료 처리는 IBM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지면의 종류에 따른 두 집단의 동질성 검정을 위해 독립 t검정을 한 결과 집단 간 발바닥 감각과 무지외반각의 사전 측정 결과가 동일하지 않아 사전의 영향력을 공변량(covariance)으로 분석하였다. 지면의 종류별 체력, 코어근력은 운동 전, 4주, 8주 3회 측정하여 비모수 혼합변량분석(MANOVA : mixed ANOVA)을 이용하였다. 자세정렬 검사는 사전 사후로 2회 측정하였고, 윌콕슨의 부호 순위 검정(Wilcox signed rank test)으로 집단 간 차이를, 그리고 집단별 사후 검증은 맨 휘트니의 U 검증법(Mann Whitney U test)을 실시하였다. 지면에 따른 발바닥 감각과 무지외반각, 자세정렬, 체력, 코어근력간의 설명력을 구하기 위해 비모수 상관관계(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A. 발바닥 감각 무른 탄성 지면과 딱딱한 지면 모두에서 발바닥 감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무른 탄성 지면이 딱딱한 지면보다 운동의 향상도가 높아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운동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 무지외반각 지면에 따른 무지외반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무지외반각은 뼈의 변형으로 온 질환이기에 운동의 효과를 보기에 운동 기간과 시간이 짧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무지외반각을 줄이기 위해서는 기간의 증가가 필요하고, 무지외반각에 집중된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C. 자세정렬 실험집단은 왼다리 굴곡 각도, 경추 기울기 각도, 왼다리 굴곡 평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아졌다.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왼쪽 종골의 기울기 각도가 좋아졌다. 노인의 휜 다리를 교정하는데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D. 체력 실험집단은 심폐 지구력, 민첩성 및 평형성, 좌·우 악력,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아졌다. 체지방률은 오른쪽 다섯 번째 중족골의 발바닥 감각과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E. 코어근력 코어근력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특히 실험집단에서 코어근력이 0주에서 4주, 4주와 8주, 0주와 8주 사이에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비교집단은 0주와 4주, 0주와 8주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4주와 8주 사이는 향상은 되었지만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것은 무른 탄성 지면이 딱딱한 지면보다 코어근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은 딱딱한 지면보다 발바닥 감각, 코어근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체중과 체지방률, BMI의 감소가 나타났다. 그러므로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이 딱딱한 지면보다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은 발바닥 감각, 심폐 지구력, 민첩성·평형성, 좌우 악력을 향상시키고, 체중을 감소하게 하였다. 이것이 자세정렬과 코어근력을 향상시킨다. 반면 딱딱한 지면에서 다감각 운동도 발바닥 감각, 심폐 지구력, 상·하지 유연성, 코어근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체중 감소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따라서 무른 탄성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이 딱딱한 지면에서의 운동보다 좀 더 다양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딱딱한 지면에서의 다감각 운동도 노인에게 필요한 코어 근력에 따른 균형 능력 증가에 효과적이어서 다감각 운동이 코어근력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운동 프로그램은 넘어짐 예방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노인들의 생활 불편감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에서의 정서인식 : 시각적 Oddball 과제를 이용한 사건관련전위연구

        강지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건관련전위를 이용하여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사람들이 정서 인식에 결함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총 742명의 대학생들 중 65명이 정신병질적 성격 질문지 개정판(이수정, 박혜영, 2008)에 의해 65점 이상을 받아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 14명이 본 실험에 정신별질 경향성집단으로 선발되었으며 정신병질적 성격 질문지 개정판에서 65점 이하를 받은 나머지 학생들 중에서 15명이 통제집단으로 선발되었다. 본 연구는 총 세 가지 과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진행되었는데, 과제 1은 세모(목표자극), 네모(목표자극), 원(표준자극)으로 구성된 도형 판단 oddball 과제였다. 얼굴표정 자극으로 이루어진 과제 2와 3은 정서 인식 oddball 과제였다. 목표자극으로 공포와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 표정이 과제 2에서 사용되었고, 행복과 슬픔의 정서를 나타내는 얼굴 표정은 과제 3에서 사용되었다. 표준자극으로 중성적인 얼굴표정이 과제 2와 3 모두에서 사용되었다. 실험참가자들은 목표자극이 나타났을 때 자극을 인식한 후 가능한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을 하도록 지시를 받았고, 표준자극이 나타났을 때는 반응을 하지 않도록 지시 받았다. 세 가지 과제를 실시한 결과, 도형을 사용한 전형적인 oddball 과제에서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세모와 네모 자극에 대해 유발된 P300이 두정엽 부위에서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집단이 세모와 네모 자극을 인식하는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세모와 네모 자극을 정상적으로 인식하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얼굴 표정을 사용한 정서 인식 과제에서도 목표 자극(과제 2: 공포, 슬픔/ 과제 3: 행복, 슬픔)에 대한 P300이 나타났으며, 정신병질 경향성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과제를 수행하는 능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목표 자극에 의해 유발된 P300에서의 진폭이나 잠재기에서의 집단 간, 정서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신병질 경향성집단이 통제집단과 유사한 방식으로 정서 인식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정신병질자들의 정서 인식 결함이 정신병질 경향성을 가진 대학생들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