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지중송전계통에서 시스 순환전류 특성 분석 및 저감방안

        강지원 한양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63

        최근 도심지의 증가로 인해 전력계통에서 지중송전선로의 점유율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중송전케이블을 포설할 경우 선로의 현장여건 및 포설조건에 따라 시스회로의 불평형이 발생하며, 이러한 시스 순환전류는 안전적인 측면과 송전용량의 측면에서 불리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시스 순환전류의 발생원인 및 증감현상을 규명하고, 시스 순환전류의 저감방법을 모의 및 실측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 순환전류 저감장치 및 저감방법의 가용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스 순환전류가 과다하게 흐르는 원인이 각상에 작용하는 임피던스와 각상간의 상호임피던스의 변화에 기인한다는 점을 모의를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아울러 국내의 포설조건에 따른 임피던스변화가 시스 순환전류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입증하였다. 포설조건에 따른 시스 순환전류의 모의결과와 모의 대상선로의 실측결과를 비교한 결과, 실측한 시스 순환전류와 모의한 시스 순환전류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시스 순환전류 저감장치는 이미 가용성을 증명한 모의회로를 이용하여 충분한 시스 순환전류의 저감효과를 검증한 후 실제 운전 중인 선로에 적용하여 실증시험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실증시험과 모의 결과에 의하면 시스 순환전류는 최대 97.8[%]까지 저감할 수 있었다. 결국 제안된 시스 순환전류 저감방법은 현실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지중송전케이블의 안정적인 운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시스 순환전류 저감장치 도입에도 불구하고 케이블 선로의 안전성에 문제점이 없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시스 순환전류 저감장치의 실계통 적용시 1선 지락고장 및 뇌 써지 침입으로 인한 저감장치 및 케이블 시스의 과도전압과 전류를 모의하였다. 검토한 결과, 저감장치 및 케이블 보호를 위해 방식층 보호장치(SVL : Sheath Voltage Limiter)의 결선방식을 병행하고 RDP(Reduction Device Protector)를 저감장치에 병렬로 접속하는 것이 저감장치 및 저감장치를 적용한 선로의 안전에 효과적임을 증명하였다.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수행평가와 지필평가의 상관관계 연구

        강지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인적 네트워크 인프라를 형성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속에 살아가고 있는 우리 사회는 이전보다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가치관과 다양한 능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술은 위대한 변화의 성장 동력이고, 사회를 재구조화 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자신의 삶의 문제를 생각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실생활에 필요한 능력을 길러주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교육적 지원이 절실하다. 따라서 기술⋅가정 교과는 학습자의 경험과 실생활에서의 유용성을 중시하며, 급변하는 가정생활과 산업 기술 환경에서 학습자가 주도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가치관과 다양한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주는 실천교과이다. 지금까지 기술·가정 교과의 전통적인 평가는 대부분 평가의 결과를 가지고 학생들의 우열을 가리거나 점수로 인간을 규정하여 온 측면이 강하다. 이것은 인간을 이해하고 그 다양성을 존중하기에 부족함이 많았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에 대해 폭넓은 배려가 어려웠다. ‘교육’이 학생의 잠재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고, 학생이 지니고 있는 위대한 장점을 펼치게 하는 것이 학습이라고 할 때 평가는 학생들의 숨은 보화를 캐내는 일이 분명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그 몫을 다하지 못해 왔다. 수행평가는 학교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교수⋅학습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 즉 수행평가는 고차적 사고능력을 측정하고, 수업과 평가를 연계시켜 비판적인 사고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을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를 반영하고 있다. 수행평가 지지자들은 선택형 시험을 수행평가로 전환하면 학교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상당부분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수행평가는 고질적인 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평가방식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가정 교과에서 행해지고 있는 수행평가와 학생들의 지필고사 성적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수행평가 점수가 높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요인들을 검토해봄으로써 교육현장에서 추구해야할 수행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평가는 교육목표 및 성취기준과 일관성을 가지고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기술과 교육의 특성에 따라 교수·학습과 평가의 유기적 연관성도 매우 높아야 한다. 이와 함께 중요한 것은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타당한 평가가 적용되어야 하고, 평가 과정에서 공정한 절차를 거쳐 시행해야 한다.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수행평가와 지필평가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고자 중학교 2학년 학생들 212명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기술⋅가정 교과에서 수행평가 점수가 높은 학생의 지필고사 결과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의 수행평가와 지필평가 점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런 결과가 얻어진 이유는 학생 개인마다의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인 평가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둘째, 수행평가 점수가 높은 학생은 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것이다. 수행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의 관심도나 흥미도 높은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수행평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로 하여금 풀고 싶은 문제, 흥미 있고 재미있는 문제를 개발해야하는 교사들의 과제가 주어진 것이다. 이는 또한 수행평가 문항 제작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고려하여 수행평가의 다양화, 전문화, 특성화를 추구하고자 함임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수행평가와 지필평가 이 두 영역에서 모두 높은 점수를 얻은 학생은 그렇지 못한 학생보다 그 동기가 확실할 것이다. 이는 이 상급학교의 진학으로 인해 고득점을 취득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여 지며 교과의 흥미나 평가 문항의 흥미도와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국은 지식적 척도를 측정하는 전통적 평가의 대안방법으로 여겨지는 수행평가도 많은 문제점을 극복하였지만 입시 위주의 우리 사회의 썩은 부분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알아본 수행평가와 지필평가의 상관관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지금의 평가방법이 정통적 평가방법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하며,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이 요구된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교육에서의 측정과 평가가 개인에 대한 차이를 극복하는 것과 수행평가와 지필평가가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환경 개선이 과제로 남았지만 열정적인 교사의 끊임없는 연구와 다양성에 대한 확보가 꾸준히 요구되도록 교육청과 학부모, 학생이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반영구 화장의 시술 기법 및 사례

        강지원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Technique and Case of Semi-Permanent Makeup Kang, Ji-Won Department of Art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Dankook University Advisor: Professor Lee, Dae-Hyun As modern women have become more active in the advancement of women's societ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ir own personality and expression, and a growing need for a competitive image with a goal of social activities. Semi-permanent make-up is emerging as a make-up technique that is very suitable for these needs, and the demand for it is rapidly increasing worldwide. The reason is due to the convenience and beauty of the semi-permanent cosmetic method, and the possibility of modification. In addition, the above factors can save women the time they spend on make-up, and they can use the time saved in a more meaningful way, so they can be mentally relaxed and enjoy a higher quality of life. This is because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to be. It is also common knowledge that the aesthetic make-up provided by beauty experts and its sustainability have aspects that make women more confident. Semi-permanent make-up is a special make-up that penetrates the pigment to the skin's epidermis and keeps 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Since semi-permanent make-up lasts for a while, make-up time can be reduced. Semi-permanent make-up is perceived as a realistic management of appearance in modern society that emphasizes efficiency and economics, beauty and style. It is accepted as a culture phenomenon that represents contemporary beauty culture and social interest is increasing, At the same time, related markets are gradually exp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concept of semi-permanent cosmetic surgery technique, basic knowledge, application techniques and case study materials to academy trainees who learn semi-permanent makeup techniques. Semi-permanent cosmetic surgery technique is a high value-added industry and professional technology that directly connects with health, so it should be able to raise safety and satisfaction to customers. The research method is proceeding with case study analysis in addition to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o this end, I studied the definition and history of semi-permanent makeup, major ingredients of semi-permanent cosmetic dyes,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and prospects of semi-permanent makeup. In addition, we examined Pen technique, Rotary machine technique, Precautions prior to semi-permanent surgery among semi-permanent cosmetic procedures. Examples of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s are eyebrows (natural eyebrows, makeup eyebrows, 3D eyebrows), eye line, lips, and hair line, and presented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existing technique program. The research directions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the semi-permanent cosmetic market to be activated, demand and supply should reach the appropriate level. Therefore,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e standard for semi-permanent makeup. Secondly,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semi-permanent make-up technique considering skin cosmetic expertise and characteristics of treatment part in order to create treatment result with high success rate and satisfaction. Third, we will explore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application range of semi-permanent make-up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market exploration. For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semi-permanent make-up is a new field of cosmetics and to carry out in-depth research on it in various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uce the qualitative level of seminar education for semi-permanent artists by positively utilizing semi-operative techniques an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Key Word : Semi-permanent makeup, Education program, Retraining and expectations (국문초록) 반영구 화장의 시술 기법 및 사례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예술경영학과 예술경영 전공 강 지 원 지도교수: 이 대 현 1) 현대에 이르러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지면서, 여성들 자신의 개성과 표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사회활동을 목표로 경쟁력 있는 이미지를 갖추고자 하는 욕구(needs)가 점증하면서 새롭고 다양한 화장법이 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반영구 화장은 이러한 니즈에 매우 적합한 화장기법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반영구화장법이 제공하는 편리함과 미(美)의 지속성, 그리고 수정가능성에 기인한다. 보충하면, 위에 언급한 요인들로 인해 여성들이 메이크업에 소비하던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이렇게 절약된 시간을 보다 의미 있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여유로워지고, 더불어 높은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미용 전문가들에 의해 제공된 미적 수준이 높은 메이크업과 그것의 지속성은 여성들이 보다 강력한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측면이 있다고 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반영구 화장은 피부의 표피층까지 색소를 침투시켜 일정시간 지속성을 가지도록 하는 특수 메이크업이다. 반영구 화장을 하면 일정 기간 화장 상태가 지속되기 때문에 매일 메이크업에 소요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반영구 화장은 효율성과 경제성 그리고 미(美)와 스타일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실속 있는 외모 관리 차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대의 미용문화를 대변하는 문화현상으로 받아들여지면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어가고 있으며, 동시에 관련 시장도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반영구 화장기법을 학습하는 아카데미 교육생들에게 반영구 화장 시술기법에 관한 개념과 기초지식 및 응용기법, 그리고 사례를 폭넓게 수록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보급하는 바에 있다. 반영구 화장 시술 기법은 고부가가치산업이면서 건강과도 직결되는 전문적인 기술이므로 고객들에게 안전성과 만족도를 고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 고찰과 더불어 사례 분석 연구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반영구 화장의 정의와 역사, 반영구 화장 염료 주요 성분, 특징, 반영구 화장의 현황 및 전망 등에 대해 연구했다. 그리고 반영구 화장의 시술 기법 중 펜기법(Pen technique), 머신기법(머신(Rotary machine technique), 반영구 시술 전 주의 사항 등을 고찰하였으며, 반영구 화장의 시술 사례로 눈썹(자연 눈썹, 화장 눈썹, 3D 눈썹, 남자 눈썹), 아이라인(Eye line), 입술, 헤어라인(Hair line) 등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여 기존의 시술 기법 프로그램이 갖는 한계성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향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반영구 화장 마켓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려면 수요와 공급이 적정 수준에 도달해야 하는 데, 반영구 화장에 관해 표준이라고 간주할 만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 작성과 보급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한다. 둘째, 성공률과 만족도가 높은 시술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 피부 미용학적 전문 지식과 시술 부위별 특성을 고려한 반영구 화장 기법의 적용 사례에 관하여 제시한다. 셋째, 반영구 화장의 적용 범위 확대를 위한 가능성 모색과 시장개척의 가능성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후속 연구를 위해서는 반영구 화장이 새로운 미용 분야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심층 연구가 다양하게 이행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이 연구에서 제안한 반영구 시술 기법 및 다양한 사례의 교육 프로그램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반영구 아티스트들에 대한 시술 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도하는 바에 목적을 두고 있다. 주 제 어 : 반영구화장, 교육프로그램, 재교육 및 기대의도

      • 현대 도시 주거의 헤테로토피아로서 코하우징의 개념적 특성과 공간디자인

        강지원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간은 감각을 이용한 다양한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경험은 개인마다 매우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데, 공간의 해석에 있어 개인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석의 여지를 차단당한 채 획일화된 공간은 다양한 경험을 저해한다. 과거 국내의 급격한 산업화는 차분하게 공간을 가꾸어 나갈 틈을 주지 않았고, 찍어내듯 만들어진 공간의 획일성은 현대 공간의 보편적인 문제점으로 자리 잡았다. 현대에 이르러 다양한 방식으로 공간에 대한 욕구가 표출되고 있는 가운데, 인테리어 산업 시장 또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현대 도시 공간의 문제점을 기본 생활과 가장 밀접한 주거 범위에서 풀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본 논문은 거주자 참여와 공동체를 바탕으로 구성되는 코하우징을 현대 도시 주거의 헤테로토피아로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현대 도시 주거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앙리 르페브르의 헤테로토피아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작으로, 코하우징의 기본 개념과 사례 분석 등을 통하여 도출된 헤테로토피아적 프로그램을 적용한 코하우징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앙리 르페브르의 헤테로토피아 이론의 고찰: 헤테로토피아가 비주류의 공간으로서 현실의 대안이 되는 공간임을 인지하고 현대 도시 주거에 어떤 의미로 적용될 수 있는지 고찰했다. 2) 현대 도시 주거의 특성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현대 도시 주거의 특성을 파악한 뒤 르페브르의 이론을 바탕으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3) 다양한 대안 분석을 통한 헤테로토피아의 모색: 현재 제시되고 있는 현대 도시 주거에 대한 다양한 대안을 단독주택 형식과 집합주거 형식의 두 분류로 나누어 살펴보고 헤테로토피아로서 적합한 대상을 선정했다. 4) 코하우징의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특성을 바탕으로 한 사례 분석: 앞선 연구에서 선정된 코하우징의 정의를 헤테로토피아 관점에서 재정립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4가지 공간 단계인 Semipublic space, Communal space, Community space, Private space의 분류를 통해 사례 분석을 진행했다. 5) 마지막으로 앞의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도출된 공간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간디자인을 제안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 과정과 방법을 적용한 공간디자인 제안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코하우징은 개인 공간을 제외한 공유 공간으로 구성되며, 공유 공간은 다음과 같은 단계별 특성을 가진다. 1) 코하우징의 Community 공간디자인: Community 공간은 함께 사용함으로써 목적이 되는 공동의 가치를 도모하거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면서 다목적성을 가지는 공간 특성을 가진다. 2) 코하우징의 Communal 공간디자인: Communal 공간의 경우 거주민이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는 공간으로,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일상적인 교류를 할 수 있는 특성이 도드라졌다. 3) 코하우징의 Semipublic 공간디자인: Semipublic의 경우 외부 환경에 개방성을 가지거나, 도시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 3가지의 공간은 단계적으로 프라이버시의 조절에 있어 차이를 가지지만, 모두 연결되어 유기적으로 배치될 때에 비로소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코하우징을 구현했다고 할 수 있다. Space enables a variety of experiences in which senses are used. The experience can be interpreted very differently from individual to individual because individual autonomy and diversity are involved in the interpretation of space. However, space that is uniformly blocked with no room for interpretation hinders various experiences. In the past, rapid industrialization in Korea has given no room for space to be calmly cultivated, and the uniformity of the space created as if it were printed has become a universal problem in modern space. In modern times, the desire for space in various ways is expressed, and the market for interior industry is also expanding.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s of modern urban space within the range of housing most closely related to basic life. In this paper, Cohousing, which consists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community, is intended to be presented as a Heterotopia of modern urban housing. Therefore, the purpose is to start wit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Heterotopia of Henri Lefèbvre so that the problems of housing in modern cities are to be identified and an alternative is to be proposed, and the co-hosing spatial design, which is applied with the Heterotopic program, which i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basic concepts and examples of housing, is to be proposed. The specific method of research is as follows. 1) Contemplation of Henri Lefèbvre's Heterotopia Theory: It examined that Heterotopia was recognized as a non-mainstream space that has become an alternative to reality, and how it can be applied to the housing of modern cities. 2)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Urban Housing: This is based on data, and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urban housing were identified, problems were looked at based on Lefevre's theory. 3) Search of Heterotopia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Alternatives: The various alternatives to the housing of the modern city currently being proposed were divided into two types of single-family housing and collective housing, and the appropriate target was selected as Heterotopia. 4) A Case Analysi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s Heterotopic Space: The definition of Cohousing selected in the previous study was redefined from Heterotopia's perspective, and based on its content, it was classified into four spatial stages: Semipublic space, communal space, community space, and private space. 5) Finally, space design applied with space programs derived from the prior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case analysis was propos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proposal of spatial design to which the process and method of such research were applied. Cohousing consists of shared spaces excluding individual spaces, and the space of sharing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step-by-step characteristics. 1) Community Spatial Design of Cohousing: The space of community is characterized by a multi-purposed space as the shared value is promoted by being used together or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2) Communal Spatial Design of Cohousing: Communal In the case of space, it is a space that is naturally accessible to residents as they live, and as it is used jointly, the characteristics of daily exchanges have emerged. 3) Semipublic Spatial Design of Cohousing: In the case of Semipublic,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re was openness to the external environment or a system that harmonized with the urban environment was introduced. The 3 spaces above differ in stages in the control of privacy, but it can be said that co-hosing as Heterotopia is only realized when they are all connected and deployed organically.

      • 디자이너를 위한 인공지능 창작 도구의 사용자 인식과 활용방안 연구

        강지원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development and sco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expands, artificial intelligence is expanding its scope to the art field, which was only thought of as a human domain. These developments allow non-professional users to produce various creations without expertise easily and quickly, as well as make profits by making Non-fungible token (NFT) that can sell or purchase results made with AI Generator Tools as digital assets. In addition, creations produced using these tools are also selected as excellent works at art competitions, attracting great interest. Amid these changes, designers, one of the main creators, felt threatened by their roles and needed the ability to cope with and utilize them. However, AI tools do not only have a negative impact on designers. On the positive side, if designers can utilize the technology of AI tools, they can make it an opportunity to increase efficiency or boost their abilities with professional help. Therefore, the first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tention to use AI Generator Tools and external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designers and non-designers through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ETAM). Based on this, the second study examines how to recognize AI Generator Tools from the designer's point of view and the perception of the expected direction, understanding, and inspiration for the resulting image derived using the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nfirm how to use AI Generator Tools based on the designer's thoughts on how designers can use them. This study will not only help to provide directions for accepting AI Generator Tools in the future, but also contribute to what AI-related companies or developers should consider and provide for non-designers, including designers. In addition, by finding a designer's awareness of AI Generator Tools and ways to utilize them, we want to help designers grow their work or capabilities, and discover new development directions for these tools in the future. 인공지능의 발전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인간의 영역이라고만 생각했던 예술 분야까지 인공지능이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비전문가인 사용자들은 쉽고 빠르게 다양한 창작물을 전문지식 없이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창작 도구로 제작한 결과물을 디지털 자산으로 판매 혹은 구입이 가능한 NFT(대체 불가능 토큰 : Non-fungible token)로 제작하여 수익을 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이러한 도구를 이용해 제작한 창작물이 미술대회에서 우수한 작품으로 선정되기도 하며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주요 창작자 중 하나인 디자이너는 자신의 역할에 대한 위협을 느끼게 되었고 이를 대처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해졌다. 그러나 인공지능 도구가 디자이너에게 부정적인 영향만 있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면에서 살펴보면 인공지능 도구가 가진 기술을 디자이너가 활용할 수 있다면 업무적으로 도움을 받아 효율을 높이거나 자신의 능력을 끌어올릴 기회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첫 번째 연구에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ETAM: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통해 인공지능 창작 도구의 사용의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요인을 확인하고 디자이너와 비디자이너의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차이를 함께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기반으로 두 번째 연구에서는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창작 도구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이를 이용해 도출된 결과 이미지에 대해 예상하는 방향이나 이해, 영감 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다. 또한 인공지능 창작 도구를 디자이너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디자이너의 생각을 바탕으로 활용 방안에 관해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인공지능 창작 도구 수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인공지능 관련 기업이나 개발자가 디자이너를 포함한 비디자이너를 위해 어떠한 부분을 고려하여 제공해야 하는지에 대해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디자이너의 인공지능 창작 도구에 대한 인식과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음으로써 디자이너의 업무나 역량을 성장시키는 것에 도움을 주고자 하며 앞으로 이러한 도구가 나아가야 하는 새로운 발전 방향을 발견하고자 한다.

      •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의 신체이미지 인식이 신체관리행동과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 교양무용 참여자의 신체이미지 인식이 신체관리행동, 무용지속의도에 어떠한 상호 관련된 영향력이 있는지 규명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현재 교양무용을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들에게 총 38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조사내용 중 일부가 누락되어진 무성의한 자료 28부를 제외한 총 352부의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신체이미지, 신체관리, 무용지속의도는 성별, 학년, 전공, 수강경험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의 신체이미지 인식이 신체관리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이미지의 신체매력, 체중조절이 신체관리의 체형관리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이미지의 체중조절이 신체관리의 다이어트관리에, 신체이미지의 외모관리·신체매력이, 신체관리의 정신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의 신체이미지 인식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이미지의 외모관리, 체중조절이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의 신체관리행동이 무용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신체관리의 체형관리, 정신관리가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의 신체이미지 인식이 신체관리행동과 무용지속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 교양무용 참여자들의 신체이미지 인식에 대해 파악하고 인지하여 그에 알맞은 신체관리행동으로 수업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신체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심어주어 무용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대학 교양무용 지도자들의 학생들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적극적인 관심이 요구되며 이러한 지속적인 노력으로 교양무용이 활성화될 것이라 사료된다.

      • 물의 특성에 따른 스페셜티 커피의 관능적 특성과 소비자 기호도에 관한 연구 : 커피 배전도를 중심으로

        강지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Water is the main component of foods and beverages. Drinking water is not composed of chemically pure H2O and contains small amounts of minerals, gasses, and organic substances. These constituents determineㄴ its chemical behaviors and give water varying tastes and odors. Drinking water is not flavorless, and people can detect variations in pH, mineral, and organic contents of drinking water.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water can react with constituents of foods and beverages and can alter their sensory properties. Coffee is one of the most popular beverage worldwide and it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sumer culture since the mid-sixteenth century. With more than 2 billion cups consumed around the globe on everyday basis, coffee is the most important beverage commodity traded in markets worldwide. Coffee consumption rates have increased 1-2% per year worldwide during the last decades, and the demand for specialty and high quality coffee has shown the sharpest increase over the last few years. Coffee sensory quality is determined by numerous factors, but the most influencing factor is the water and the degree of roasting. Water is the second essential ingredient for coffee brewing, and, from a quantitative point of view, it is the most important ingredient. It is well known that the water treatment is necessary to remove any possible off-flavors derived from the disinfection occurring from the municipal water. However, there is a little awareness of the direct effect of water composition on the quality of coffee beverages, particularly on the Specialty coffee. The flavor difference derived from the degree of coffee roasting is larger than the flavor difference comes from the variety of coff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dentify sensory attributes of three types of coffee(three roasting point: light, medium, dark) which differs in water(six different waters: WP, AS, TW, BS, AL, AP) (2) to investigate consumer preference according to 9 different coffee samples(three roasting point × three different waters: WP, TW, AL) (3)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sumer emotion lexicons while drinking and 9 different coffee sampl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sensory terms for 18 coffee samples from 8 trained panels, 9 coffee samples from 167 consumers, and define flavor characteristics and other sensory characteristics displayed in each sample. The 8 trained panelists rated intensities of 17 sensory attributes (2 appearances, 8 flavors, 3 tastes, 4 mouthfeels) for coffee samples brewed in three different roasting points (Light, Medium, and Dark) which served 80ml at 60±5°C, respectively. The descriptive analysis of light coffee sampl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10 items, excluding the caramel, chocolaty, nutty, flavor intense characteristics of flavor(p<0.05), sweet, bitter characteristics of taste(p<0.05) and persistence characteristics of mouthfeel(p<0.05). The descriptive analysis of medium coffee sampl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8 items, excluding the caramel, chocolaty, nutty, flavor intense characteristics of flavor(p<0.05), sweet characteristics of taste(p<0.05) and all characteristics of mouthfeel(p<0.05). The descriptive analysis of dark coffee sampl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8 items, excluding the citrus, caramel, nutty, woody, complexity, balance characteristics of flavor(p<0.05), sweet, bitter characteristics of taste(p<0.05) and astringent characteristics of mouthfeel(p<0.05).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showed the greater amount of data variation could be attributed to serving water(64.12%) rather than coffee variety (18.81%), much like the result of a hierarchical clustering analysis. The sample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Flavor intense, NuttyF, ChocolatyF, PersistenceMF, ChocolatyF, BitterT, BodyMF, Tub-tubMF, WoodyF, AstringentMF and BrownA are the parts of component 1, and BalanceF, ComplexityF, CaramelF and SweetT are the parts of component 2. CitrusF and SourT are located on opposite side of component 1, meaning they have opposit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onsumer analysis, the preferences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items excluding aftertaste preference. M_WP sample shows generally high preferences among consumers, while L_TW, L_AL samples shows low preferences in general. Among sensory evaluation attributes, BalanceF, ComplexityF, CaramelF shows relationship with every consumer preferences(appearance, aroma, taste, aftertaste, overall). Overall, the M_WP sample shows correlation with BalanceF, ComplexityF, CaramelF characteristics. In the CATA survey, the significant emotion lexicon derived from the coffee samples were adventurous, annoyed, disgusted, empowering, energetic, focused, independent, merry, nostalgic and quiet. The emotion lexicons such as energetic, empowering are related to D_WP, M_AL, D_AL samples and the emotion lexicon, quiet, is related to L_WP sample. The samples, D_WP, M_AL, and D_AL are on the same side while samples L_WP and L_TW ar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meaning they have opposite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e coffee brewed with lower TDS and hardness shows better balance and complexity. Also, the coffee shows much more acidic taste such as citrus and sour. The consumer preference was also higher with the lower TDS and hardness. When the coffee was brewed with alkalic water while the TDS and hardness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he coffee shows more clear differences in sensory attribu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fundamental data for the research which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water and coffee. Furthermore, this study also provides various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ESG 활동이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관광업을 중심으로

        강지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칭으로 장기적 발전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개념과 관련이 깊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재무적 활동(ESG)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실무자와 연구자 모두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는 중요한 질문이다. 하지만 그 연구는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지만 그 결과는 일률적이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재무적 특성을 통하여 시장의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그리고 ESG 활동의 효과가 재무적·지배 구조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비재무적(ESG) 활동의 대용 변수로 한국ESG기준원(前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자료의 등급을 점수화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유엔통계위원회와 세계관광기구(WTO)가 공동 작성한 국제관광표준분류를 기초로 국내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광산업으로 분류된 기업으로 하였다. 이 중 2022년 8월 기준 유가 증권 시장에 상장되어 있으며 2012년~2021년까지 10년 동안 한국ESG기준원 ESG 등급 자료가 있는 23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속가능성을 위한 ESG 활동은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켜 재무성과 극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기업에서의 ESG 활동은 영업이익률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성숙하고 안정된 재무조건을 갖은 기업에서의 ESG 활동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1대 주주 비율과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에서의 ESG 활동은 재무적 성과에 음(-)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자의 자율재량권이 높은 회사에서의 ESG 활동 효율은 낮다는 것을 의미하며 타인자본 의존도가 높은 기업에서의 ESG 활동 효과는 부정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외국인지분율이 높은 기업의 ESG 활동은 양(+)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선진자본이 투입되고 경영진의 감시기능이 높은 기업에서의 ESG 활동은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ESG 등급과 재무적 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점을 확인한다. 이로써 기업의 재무적 특성이나 지배구조 등으로 ESG 등급에 대한 유추를 가능하게 하고 투자 의사 결정에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ESG 활동을 왕성히 하고 있거나 준비하는 기업은 특정 재무 요소 또한 함께 관리함으로써 ESG 등급 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무엇보다 ESG 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보고함으로써 ESG 등급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고 재무적 성과 및 기업 특성과의 연관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SG is an abbreviation of Environment, Social, and Governance and i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 of long-term develop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a situation wher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emphasized, how non-financial activities (ESG) affect a company's financial performance is an important question that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from both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Additionally the research is actively discussed, but the results are not uniform.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market can be evaluated through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a company and seeks to explore how the effects of ESG activities appear depending on the financial and governance characteristics. As a surrogate variable for non-financial (ESG) activities, the rating was scored using data from the KCGS (Korea Institute of Corporate Governance and Sustainabilit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mpanies classified as belonging to the tourism industr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industry based on the International Tourism Standard Classification jointly prepared by the World Tourism Organization (WTO) and the UN Statistical Commission (UNSC). Among them, 23 companies that were listed on the stock market as of August 2022 and had ESG rating data from the KCGS for 10 years from 2012 to 2021 were targe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ESG activities for sustainability generate additional costs and negatively affect the maximization of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ESG activities in large companies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when operating profit rate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It was found that ESG activities in companies with major shareholder ratio and debt ratio had a negative (-)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A positive (+) correlation was observed for the ESG activities of companies with high foreign ownership.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ESG ratings and financial performance and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e ESG rating based on the company's financial characteristics or governance structure and can reflect it in investment decisions. Above all, by reporting the correlation between ESG activities and financial performance, it is significant that the determinants of ESG ratings were identifi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financial performance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reveal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