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주지역 특1급 호텔의 객실예약경로 활용의 현황과 과제

        강지운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During the last few years, electronic commerce market has been expended rapidly. The KISA(Korea Internet and Security Agency) estimates that the rate of households with computer is 80.9 percent and internet usage rate of the population ages 3 and over is 76.5 percent. Electronic commerce market is enlarged up to 630 trillion that is equivalent to 27.8 percent of total sales. It is incredibly difficult for organizations to maintain competitive advantage unless they make efficient use of this electronic commerce market. According to the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ravel and reservation service’ category dominates this electronic commerce market. However, KCTI(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estimates that only 17.6 percent of tourism enterprises implement electronic commerce and travel lodging service category achieve 4.9 percent of sales through electronic commerce.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uggest guidance to revitalize electronic commerce market and to enhance competitiveness for five star hotels in Gyeongju. In conclusion, this paper advocates that managers need to clearly understand the peculiarity of those various reservation channels and to make full use of those channels. 인터넷이 일반화되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2008년도 기준 우리나라 가구의 컴퓨터 보유율은 80.9%, 인터넷 이용률은 76.5%에 이르며, 전자상거래 시장은 전체 거래의 27.8% 수준인 630조원으로 조사되었다. 이제, 전자상거래 시장을 활용하는 것은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라 하겠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여행 및 예약 서비스’ 항목은 전자상거래시장에서 거래 액이 가장 많다. 하지만,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조사에서는 관광사업체의 17.6%만이 전자상거래를 실시하고 있으며, 관광숙박업의 경우 전자상거래를 통한 매출은 총 매출의 4.9%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경주지역 호텔기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상거래와 객실예약경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경주지역 특1급 호텔의 전자상거래 운영 실태와 객실예약경로의 활용 현황 그리고 객실예약경로에 대한 직원들의 평가를 알아보았다. 설문조사의 결과, 객실예약경로의 효과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 호텔기업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각 객실예약경로의 특성에 대하여 실무담당자들이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실예약유형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하겠다.

      • 적외선 영상을 사용한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의 위,변조 영상 판별

        강지운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수년간 국내외적으로 개인 인증 기술이 크게 발달 되어 왔다. 대표적인 생체 인식 기술(Biometrics)인 지문, 홍채, 얼굴, 서명, 음성 인식 등의 기술은 공항 및 출입국관리소, 기업의 사내 전산망 및 출입 통제 시스템 과 같이 여러 분야에 널리 퍼져 있다. 이러한 생체 인식 분야에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의 개발로 인해 인식률의 증가, 인식속도의 개선 등이 이뤄지고 있다. 이렇게 생체 인식 기술이 널리 퍼지면서 여러 문제점 또한 대두되게 되었는데, 그 중 가장 시급한 것이 생체인식 기술의 보안성일 것이다. 얼굴, 지문, 홍채 인식 시에 위, 변조 영상이 사용되어지는 예는 얼마든지 있다. 최근 미국의 한 해킹 업체에서 실시한 실험에서도 Face Recognition system 이 상당히 간단한 방법으로도 해킹이 가능한 것으로 입증 되었다. c't(해킹업체)는 현재 시판중인 모델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는데,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을 찍은 이미지나 비디오를 실행시켜 보여주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해킹이 가능했다. 좀 더 높은 보안 레벨로 제조 했다는 Live-check 장비도 사용자가 머리를 움직이는 동영상을 보여주자 해킹이 가능했다. 국내의 실정 또한 다르지 않고 이러한 위, 변조 영상 판별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초기 단계 수준이라 볼 수 있다. 현재 연구되어지는 방법으로는 Fourier spectra를 사용하는 방법[1], 눈의 깜박임(Eye Blink)을 통해 위, 변조 여부를 판별해내는 방법[2], Stereo camera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하여 동공부분의 반사 정도를 이용하여 실제 이미지와 위, 변조 이미지를 판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첫째, Ada-Boost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한다. 둘째, intensity valley와 edge 정보를 사용하여 얼굴 영상의 회전(Rotation in Plane)을 보상한다. 셋째, 가버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두 눈의 좌표를 얻는다. 넷째, 조명에 강인하도록 전처리 과정을 거친다. 다섯째, 얻어진 눈 좌표를 기준으로 일정범위를 기준으로 Roberts Mask를 씌운 후 Histogram 평균값을 계산한다. 여섯째, Histogram 평균값을 토대로 위, 변조 이미지를 판별한다. Face recognition has been one of the active research issues since it is better with user's convenience and security than other Biometric Security System. To ensure the correction of authentication, the biometric system must be able to detect and reject the use of a copy of a biometric instead of the live biometric. This technology is usually termed "Liveness detection". This paper proposed a new method for live face detection. We propose a fast and reliable method of live face detection for fac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istogram value of the pupil reflection. We use a Infrared camera. We detect eyes on input images and calculate histogram value of each eye region to determine whether the input face image is a real face or no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competitive and promising for live face detection.

      • 2003년-2015년 K대 교육대학원 평생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강지운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research trends of master's thesis of lifelong education major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 universit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of research subject, target and method. The total number of dissertations was 102 based on the period from 2003 to 2015. An analytic frame of 11 specific research subjects was derived from previous research review.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HRD was the most popular and activated area in recent years. Second, Workers and adult learners were mainly investigated as the research target. Third, the most applied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survey based on questionnaire. Overall analytical result showed tendencies that researches were concentrated on certain research subject, target and method. In conclusion, some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This research gives an implication for post researchers to design their researches.

      • 치과용 X-ray 장비에 대한 형상 최적화 및 자동화 Process 구축

        강지운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과용 X-ray 장비(Dental X-ray Device)는 손쉽게 관찰하기 힘든 인간의 치아 구조를 정밀하게 관찰하는 목적으로 치과 의료기기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어 악성 치아, 턱 관절의 손실 및 공동 등의 발견의 목적으로 치과 치료에 필수적인 장비이다. 엑스레이 장비로서 정밀 관찰이 목적인 해당 장비의 성능을 결정 짓는 핵심 요소는 기본적으로 촬영의 정확성이다. 추가로 상업용 장비의 설계에 있어서 비용적인 측면의 고려 역시 필수적인 핵심 요소이다. 비용 측면은 항상 마이너스 일수록 유리하지만 역으로 성능 저하를 유발하게 되는 결과도 유의해야한다. 따라서대부분의 설계는 성능적인 측면(해당 연구에서는 촬영의 정확성)을 고려함과 동시에 비용적인 이점을 고려하도록 최적의 형상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이 전 연구에서 치과용 의료 장비에 다물체 동역학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상용 소프트웨어인 Recurdyn을 활용하여 유연 다물체 동역학 모델링을 진행하였고, 실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여 동해석 검토용 모델을 구축한 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의 연구의 연장선으로 치과용 의료 장비에 대해 Simulation 관점에서 최적화프로세스를 정립한다. 초기의 정적인 상황에서의 프레임 별 최적화와 동적 해석의반복작업에 대한 자동화, 그리고 동적 해석 결과를 토대로 진행하는 동적 최적화를 통해서 성능의 향상 혹은 유지, 그리고 비용적인 이점을 도출할 수 있는 최적 모델을 도출하고 검증하여 해당 연구의 프로세스가 어느 정도 실용성이 있는지 제안하고 방법론을 제시한다. 또한 해당 최적화 프로세스를 MicroSoft 사의 Excel을 활용하여 설계 및 정의를 할 수 있도록 Platform을 구축하여 CAE Software에 익숙하지 않는 설계자의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 고관절 내전근 수축 운동이 폐기능 및 호흡보조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운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 케겔운동이 골반저근을 강화하여 폐활량이 증가에 도움이 되지만, 케겔운동은 대상자가 운동 수행여부를 인지하기가 어렵고, 운동의 정확한 수행여부와 근육의 강화 정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흥미를 잃기가 쉬워 지속적인 운동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 앞으로 골반저 근육의 평가 방법뿐만 아니라 간단하고도 실효성 있는 골반저 근육의 운동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널리 사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짐볼을 이용한 고관절 내전근 수축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폐기능 및 호흡보조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연제구에 있는 W 병원에 근무 중인 건강한 성인 남자 21명이었다. 연구대상자 모두에게 운동을 시행하기 전에 폐활량과 근전도를 이용해 폐활량과 호흡보조근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폐활량과 근활성도는 3회씩 측정하였다. 이후 케겔운동, 내전근 운동, 결합운동을 실시하였으며, 각각의 운동 후에 폐활량과 근활성도를 동일한 방법으로 재측정 하였다. 분석은 3회 측정값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케겔운동과 내전근운동, 결합운동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단기간 케겔운동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최대노력성호기폐활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안정시 폐활량에서 . 일회호흡량(TV)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근활성도에서 복직근(TrA)과 척주기립근(ES)은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2. 단기간 고관절 내전근 운동이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최대노력성호기폐활량에서 1초강제호기량(FEV1)(p<0.05), 노력성페활량/1초강제호기량(FVC/FEV1) (p<0.05), 최대호기유량(PEF)(p<0.0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안정시폐활량에서 폐활량(VC), 일회 호흡량(TV), 호기예비용적(ERV), 흡기예비용적(IRV)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활성도에서 복직근(TrA)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척주기립근(ES)은 오른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있었지만(p<0.05), 왼쪽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단기간 결합운동이 폐활량에 최대노력성호기폐활량에서 노력성페활량/1초강제호기량(FVC/FEV1)(p<0.05)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안정시폐활량에서 폐활량(VC)(p<0.05), 호기예비용적(ERV(p<0.05)), 호기용량(EC)(p<0.05), 흡기용량(IC)(p<0.05)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활성도에서 복직근(TrA)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척주기립근(ES)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보면 케겔운동보다 결합운동이, 결합운동 보다 짐볼을 이용한 고관절 내전근 운동이 케겔운동과 결합운동보다 폐활량과 호흡보조근 활성화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폐활량과 호흡보조근 근활성도를 위해 운동프로그램에 고관절 내전근 운동을 포함시켜도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ip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 program using a gym ball on pulmonary functions and respiratory muscle ac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1 healthy adult men working at a W hospital in Busan. 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program, pulmonary functions were measured using spirometry(cardio7-s, BIONET) and muscle activity of transverse abdominal (TrA) and erector spinae (ES) was measured through electromyogram (4D-MT&EMD-11, Relive). Measurement was performed three times and the average of values was used for analysis. After measurement, Kegel exercise, adductor exercise, and combine exercise were perform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Kegel exercise, hip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s, and combine exercise were as follows: 1. After Kegel exerci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tidal volume (TV)(p<0.05) among pulmonary function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uscle activity in the transverse abdominal and in erector spinae muscle after exercise. 2. After hip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s, forced expiratory volume at the first second (FEV1) (p<0.05) and forced vital capacity/forced expiratory volume at the first second (FVC/FEV1) (p<0.05), peak expiratory flow (PEF) (p<0.05), vital capacity (VC) (p<0.05), tidal volume (TV) (p<0.05), 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p<0.05), and inspiratory reserve volume (IRV) (p<0.05)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ght side of the ES muscl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side. 3. After combined exercise, FVC/FEV1 (p<0.05), VC (p<0.05), ERV (p<0.05), expiratory capacity (EC) (p<0.05), and inspiratory capacity (IC) (p<0.05)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A and ES muscl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mbine exercises rather than Kegel exercises alone, and hip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s with a gym ball rather than combination exercises, a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pulmonary functions.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include hip adductor contraction exercises in exercise programs for improving pulmonary functions as well as respiratory muscle activity.

      •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으로서 새마을운동의 집행과정 국제비교분석 : 몽골과 캄보디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강지운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had experienced the unusual rapid growth and development, and 1970’s government policy ‘New Community Movement’ made a great contribution. Today, the significance of the New Community Movement is highlighted by man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UN as the driving force and good ODA model that enabled Korea to reach the current developed status from the least developed status. Therefore, the demands and interests of this model are increasing by the un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Korea, as a member of DAC, needs to better recognize the position and role and further develop the New Community Movement suitable to other countries under the strategic plan to share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In this research, using case of Mongolia and Cambodia where Korea’s ODA projects had been implemented, the New Community Movement implementation process was analyzed to guide and help the model developing procedure. This research considered and analyzed three elements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implementation environment, organization and contents. These variables were onc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during the new community movement in Korea. In conclusion, Mongolian political power and NGO have advertised this movement to deliver throughout the nation, and they have implemented the education program of the new community movement to implant self-confidence in people.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the visible performance due to a lack of the community centered culture, a nomadic life, and an inclement weather. It is worth notable that most of the new community movement studies of Mongol are limited on the emphasis of mental development. However, in Cambodia, it has been proved that the visible performance of new community movement is great, regardless of their low trust and expectation. Cambodia is also a one of the poorest country that is receiving various international aids. Therefore, it is found that, in short-term, the implementation environmental factor made a great influence and contribution. In order to boost the effect of the policy, the efforts of both supporting and supported countries are crucial. As a result, there has been Paris declaration on aid effectiveness and the importance of the aiding methodologies is growing in terms of effectiveness. Therefore, at this point, Korea also needs to develop the ‘New Community Movement’ as an official policy model. 유례없는 급속한 발전이라는 독특한 경험을 가진 한국의 발전역사에서 근대화에 기여하였던 정책으로서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은 발전모델로서 그 의의가 크다. UN 등 국제기구 또한 한국의 새마을운동을 1970년대까지 최빈국이었던 한국을 근대적 국가로 도약시키는데 기여한 지역개발 운동으로 평가하고 있다. 전후 빈곤국에서 경제성장을 이끌어 낸 발전모델이라고 볼 수 있는 ‘새마을운동’에 대해 국제적인 조명과 함께 저개발국의 관심과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신흥 원조 공여국으로서 우리는 우리의 위치 및 역할과 한계를 인식하고, 전략적 원조계획 하에 우리의 개발경험을 공유차원에서 공유하고 있는 새마을운동을 하나의 원조 프로그램으로 개발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ODA 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이 시행된 국가들의 개별적인 사례에서 그 집행과정을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형은 두 가지 방법에서 변수가 되는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방법을 취하였다. 연구는 원조의 정책집행에서 집행환경, 집행조직, 집행내용, 세 가지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이 변수들은 과거 한국의 새마을운동 정책집행 경험에서 중요하게 부각되었던 부분이다. 변수는 정책의 집행 환경을 비롯하여 집행내용과 집행과정을 분석하는 것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몽골의 정치세력 및 NGO가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새마을운동을 보급하려 하고 있고 공무원과 국민들에게 ‘잘 살 수 있다’라는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한 다양한 새마을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농경사회의 마을중심 문화가 부족한 점, 유목민이 대다수인 인구구성, 열악한 기후 등의 요건으로 가시적인 성과를 내기에 어렵다. 대다수의 몽골의 새마을운동에 관한 연구가 정신적 계발을 강조하는 방면으로 끝나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반면 캄보디아는 국제사회로부터 다양한 원조를 받고 있는 최빈곤 국가이다. 새마을운동 자체에 대한 신뢰도나 기대감이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가시적인 성과부분이 뛰어났음을 증명했다. 결국 단기적으로는 집행과정상 집행환경의 요인이 다른 무엇보다 큰 변수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원조의 효과성의 제고에는 수원국의 노력뿐만 아니라 공여국의 노력 또한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노력의 결실로 파리선언이 선포되었고 그에 따라 원조의 효과성이 강조되는 등 원조에 있어서 방법론이 중요해 지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 또한 과거의 경험인 새마을운동을 집행환경에 입각한 정책모델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소프트웨어 전문가의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분석 연구 : 분류 영향요인 및 직무수행 차이 검증

        강지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력의 전문성이 연구‧개발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높은 소프트웨어 전문가를 대상으로 직원몰입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집단의 수를 결정하고 각 집단의 유형을 식별하는 데 있다. 나아가, 도출된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분류 영향요인과 직무수행 유형별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통해 그간 제안되어 온 주요 직원몰입 개념들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직무몰입의 하위차원인 인지적 몰입, 정서적 몰입, 그리고 신체적 몰입과 일몰입의 하위차원인 활력, 헌신, 그리고 몰두, ISA몰입의 하위차원 중 하나인 사회적 몰입을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구성요인으로 하였다.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인구통계 요인 중 전체 경력과 경력정체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직무수행 유형으로 맥락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 그리고 적응수행에 대해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 차이를 식별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국내 조직에 종사하는 소프트웨어 전문가이다. 전문가에 대한 선행 연구의 정의와 기준, 그리고 소프트웨어 기술자에 대한 관련법을 참고하여 연구대상을 전체 경력이 3년 이상이고 현 조직에서의 경력이 최소 1년 이상인 자로 하였다. 2024년 4월 11일부터 30일까지 20일 간 직접 및 전문 조사업체를 이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수집된 1,034부의 응답표본 중 불성실한 응답 95부와 설정한 경력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응답표본 185부를 제외한 754부를 최종적으로 본 연구분석에 활용하였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내 체계적 번안과 신뢰도, 타당도를 확보한 측정도구를 선정하였으며, 직무몰입의 측정도구인 JES-9(Houle et al., 2022)는 본 연구를 통해 번역-역번역 절차에 따라 직접 번안 하였다. 분석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타당도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성타당도, 집중타당도, 그리고 AVE와 HTMT 지수를 통해 판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Cronbach’s α와 McDonald’s ω 지수를 측정하였으며, 기술통계, 정규성 검증 및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설정한 연구문제와 연구모델을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집단의 수 결정을 위해 정보지수, 분류의 질, 모형비교 검증 결과, 각 집단에 대한 분류율, 그리고 모형의 간명성과 해석의 용이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하였다. 각 집단의 유형 식별을 위해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구성요소의 각 수준과 패턴, 그리고 분류 확률에 따른 각 집단의 인구통계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집단의 유형을 명칭하였다. 그리고 R3STEP 보조변수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 집단의 분류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BCH 보조변수를 활용하여 결과변인에 대한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서 MPLUS, AMOS, SPSS, Jamovi, 그리고 JASP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립한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결과 소프트웨어 전문가의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의 수는 4개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출한 4개의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은 구성요인에 대한 수준, 분류확률에 따른 각 집단의 특성을 검토하여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일몰입 집단’,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직무몰입 집단’, ‘전반적 높은 직원몰입 집단’, 그리고 ‘중간 수준 직원몰입 집단’으로 명칭하였다. 분류 확률에 따른 각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의 인구통계를 살펴보면 성별은 집단별 분포 비율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일몰입 집단’과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직무몰입 집단’은 전체 집단과 비교하여 평균 나이가 40대로 높았으며, 학력은 대학교(2, 3년제) 졸업 이하의 학력 범주 비율이 높고, 경력개월 수의 평균이 높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반적 높은 직원몰입 집단’과 ‘중간 수준 직원몰입 집단’은 전체 집단과 비교하여 평균 나이가 30대로 낮았으며, 학력은 대학교(4, 5년제) 졸업 이상의 학력 범주 비율이 높고, 경력개월 수의 평균이 낮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의 전체 경력과 경력정체가 소프트웨어 전문가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 분류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전체 경력은 유의한 집단 분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경력정체는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일몰입 집단’과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직무몰입 집단’의 분류 영향을 제외한 모든 집단 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분류 영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경력정체의 수준이 낮을수록 ‘전반적 높은 직원몰입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으며, 두 번째로 ‘중간 수준 직원몰입 집단’, 세 번째로는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일몰입 집단’ 또는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직무몰입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의 직무수행 유형별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잡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맥락수행, 반생산적 업무행동, 그리고 적응수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과업수행은 타당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분석결과 맥락수행은 모든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맥락수행에 대한 수준은 ‘전반적 높은 직원몰입 집단’, ‘중간 수준 직원몰입 집단’,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일몰입 집단’, 그리고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직무몰입 집단’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생산적 업무행동 또한 모든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 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반생산적 업무행동의 수준은 맥락수행과 동일한 순서의 역순으로 나타났다. 적응수행은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일몰입 집단’과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낮은 직무몰입 집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이를 제외한 모든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으로 첫째, 소프트웨어 전문가의 직원몰입은 집단 내 구별되는 잠재집단이 존재하며 직원몰입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잡재집단별 차별화된 대책과 전략이 요구됨을 강조하였다. 둘째, 경력정체는 소프트웨어 전문가의 직원몰입 잠재프로파일 집단의 분류에 주요한 영향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소프트웨어 전문가로서의 시작과 함께 고경력자로 성장해 나감에 대한 체계적인 경력경로와 전문지식‧기술의 개발에 대한 조직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수행을 위해 직원몰입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반생산적 업무행동은 전반적 높은 직원몰입 수준을 보이는 집단외 모든 집단에서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집단에 대해 직원몰입을 높임과 함께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생산적 업무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로 그간 제안되어 온 주요 직원몰입 개념들의 하위차원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구성요인으로 포함하여 소프트웨어 전문가에 대한 직원몰입의 수준과 집단을 식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Houle 등(2022)에 의해 제안된 JES-9 측정도구를 체계적으로 번안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함에 따라 국내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최근 제안된 직무수행 모델에 포함하고자 하는 네 가지 직무수행 유형에 대해 국내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 사례로서 참고점을 제시하였다. 실천적 측면으로 전반적 낮은 직원몰입 집단의 존재와 차지하는 비율을 확인함에 따라 조직에서의 수행 및 성과의 효과적 개선을 위한 참고점을 제시하였으며, 경력정체에 대한 조직차원의 관심의 필요성, 조직 내 잠재적 집단을 식별하고자 하는 노력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직원몰입과 직무수행의 이론적, 실천적 발전을 위한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number of groups and identify the types of each group through latent profile analysis of employee engagement among software professional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factors influencing the identified latent profile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and the differences in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groups by job performance typ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subdimensions of job engagement, including cognitive engagement, emotional engagement, and physical engagement; the subdimensions of work engagement, including vigor, dedication, and absorption; and one of the subdimensions of ISA engagement, social engagement, were established as components of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groups, objective career and career plateau were set as imfact factors. Moreover, differences among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group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ontextual performan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adaptive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oftware professionals employed in domestic organizations. Based on the definitions and criteria of experts from previous research and relevant laws concerning software professionals, the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s individuals with a total career of at least three years and a minimum of one year in the current organization.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using direct and specialized survey agencies over a 20-day period from April 11 to April 30, 2024. Out of 1,034 collected responses, 95 insincere responses and 185 responses that did not meet the career criteria were excluded, resulting in 754 responses being used for the final analysis of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research, measurement tools that were systematically adapted, and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secured in Korea, were selected. The JES-9 (Houle et al., 2022), a measurement tool for job engagement, was directly adapted through a back-translation procedure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s. For valid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using AVE and HTMT indices. Reliability was assessed by measuring Cronbach’s α and McDonald’s ω indic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tests,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established research model and questions,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he number of groups was determin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information criteria, classification quality, model comparison test results, classification rates for each group, and the parsimonious and ease of interpretation of the model. To identify the types of each group, the levels and patterns of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components 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classification probabilities were analyzed, and each group was named accordingly. Furthermore, the influence of latent profile group classification was examined using the R3STEP auxiliary variable, and group differences in outcome variables were tested using the BCH auxiliary variable. For the research analysis,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MPLUS, AMOS, SPSS, Jamovi, and JASP were applied. The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1 establish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four latent profile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among software professionals were deemed appropriate. The four derived latent profile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were named based on their component leve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according to classification probabilities: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Work Engagement Group,'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Job Engagement Group,' 'Overall High Employee Engagement Group,' and 'Medium Level Employee Engagement Group.' Examining the demographics of each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group according to classification probabiliti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distribution across groups. However,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Work Engagement Group' and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Job Engagement Group' had an average age in the 40s, higher than the overall group average, a higher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an educational level of a two- or three-year college degree or lower, and a higher average number of career months. Conversely, the 'Overall High Employee Engagement Group' and 'Medium Level Employee Engagement Group' had an average age in the 30s, lower than the overall group average, a higher proportion of individuals with a four- or five-year college degree or higher, and a lower average number of career months. The analysis of Research Question 2, which examines the impact of total career and career plateau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among software professionals, revealed that total career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group classification. In contrast, career plateau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group classification for all comparisons except for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Work Engagement Group' and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Job Engagement Grou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stagnat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Overall High Employee Engagement Group,' followed by the 'Medium Level Employee Engagement Group.' Conversely, higher levels of career stagnation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Work Engagement Group' or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Job Engagement Group.'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latent profile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by job performance types in Research Question 3, the differences among latent profile groups in contextual performance,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nd adaptive performance were analyzed. Task performance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as it did not meet the validity criteria. Th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extual performance among all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groups. The levels of contextual performance were highest in the 'Overall High Employee Engagement Group,' followed by the 'Medium Level Employee Engagement Group,'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Work Engagement Group,' and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Job Engagement Group.'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ll employee engagement latent profile groups, with levels following the reverse order of contextual performance. For adaptive performanc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Work Engagement Group' and the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 Low Job Engagement Group'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all other group comparis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emphasized that there are distinct latent groups within the employee engagement of software professionals, and differentiated measures and strategies are required for each latent group to enhance the level of employee engagement. Second, career plateau was identified as a major influencing factor i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among software professional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career paths and organization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s software professionals grow into high-experience professionals. Third, the importance of employee engagement for job performance was confirmed. Particularly,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was observed to be above average in all groups except the group with overall high employee engage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anagement should focus on increasing employee engagement and promoting positive, productive work behaviors in these group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identifying the levels and groups of employee engagement among software professionals by including the subdimensions of key employee engagement concepts proposed so far as components of the latent profile analysis. Additionally, by systematically adapting and empirically validating the JES-9 measurement tool proposed by Houle et al. (2022), this study has established a foundation for its effective use in domestic research. Furthermore, it provides a reference point as a research case targeting domestic groups for the four job performance types included in recently proposed job performance model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is study identified the existence and proportion of groups with overall low employee engagement, offering a reference point for effectively improving performance and outcomes within organizations.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organizational attention to career plateau and the need for efforts to identify latent groups within organization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address its limitations and to advance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evelopment of employee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theory.

      • Development of a hybrid ultrasound- photoacoustic imaging system and its applications to early-diagnosis of diseases and surgical Guidance

        강지운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다중 모드 영상 기법은 전임상, 임상, 및 중재적 시술 유도 등에 매우 넓은 범위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실시간 임상적 질병의 조기 진단과 수술 유도를 목적으로 하는 초음파/광음향 융합 다중모드 영상 기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인다. 첫 번째로 질병 조기 진단 및 수술 유도를 위한 초음파-광음향 영상 시스템 구현을 위한 하드웨어 플랫폼, 소프트웨어 패키지, 그리고 영상 개선 알고리즘의 개발을 보인다. 개발된 초음파/광음향 융합 영상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GPU 병렬 처리를 이용하여 55.6 ms 내에 데이터 취득 및 영상 복원을 모두 수행함으로써 10 fps의 융합 영상 프레임율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초음파/광음향 영상 시스템은 구조적인 영상과 기능적인 흡광 계수 영상에 대해 모두 100-200 μm의 공간 해상도를 최대 4 cm의 영상 깊이와 700-900 nm의 파장 대역에 대해서 수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간 합성 일치 계수 기반 적응 빔 집속 기법을 통해 초음파 영상에서 27%의 잡음 대 대조비 및 20% 의 해상도 향상을 얻을 수 있으며, 광음향 영상에서 31%의 해상도 향상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초음파/광음향 영상 시스템의 질병 조기 진단 및 수술 유도에 대한 가능성을 인체 모사 실험 및 동물 생체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두 번째로 새로운 인체 내, 인체 외 광음향 조영체 개발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먼저 새로운 인체 내 광음향 조영체로서 유방암의 조기 인자인 유방 미세 석회화 조직의 광음향 영상을 제안하고 생검 검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그 가능성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미세 석회화를 포함한 검체의 경우 700 nm ? 800 nm 간의 광음향 신호비가 0.30-0.61로 나타나는 반면 미세 석회화를 포함하지 않은 검체의 경우 0.91의 광음향 신호비를 가져 각 실험 군이 서로 구분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광음향 영상 기법을 통해 더욱 악성 조직에서 나타나는 미세 석회화 조직 구성 요소인 Hydroxyapatite에 대한 신호 대조도를 확보하여 0.68의 700-800 nm 대역 광음향 신호비를 취득할 수 있었던 반면, 양성 조직에서 나타나는 calcium oxalate의 경우 광음향 대조도를 확보할 수 없었다. 이를 통해 광음향 영상 기법을 통한 유방암 조기 진단 가능성을 보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멜라닌 나노 입자가 인체 외 주입되어 산성인 암성 세포 내에서 선택적으로 집합됨을 통해 광음향 영상 기법에 대한 최대 대조도 확보 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보통 세포에 비해 산성을 띄는 암성 세포 내부에서 선택적으로 집합됨에 따라 광음향 신호를 증폭시키는 방법을 기반으로 하며 인체 모사 실험에서 산성 용액에서 집합된 멜라닌 나노 입자는 중성 용액의 멜라닌 나노 입자 대비 8.1배의 신호 증폭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산성 헬라 암 세포 (pH 6) 를 이용한 세포 실험에서 일반 멜라닌 나노 입자 대비 2배의 신호 증폭을 보임으로써 검증될 수 있었다. 따라서, 개발된 초음파/광음향 영상 시스템을 통해 암성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수술 유도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유방 미세 석회 조직 및 멜라닌 나노 입자 등 새로운 인체 내, 외 조영체의 개발을 통해 초음파/광음향 영상 시스템의 효용성을 최대화 시킬 수 있다. The use of in vivo multimodality imaging to acquire multifunctional information is becoming more widespread for preclinical research, clinical diagnosis, interventional guidance and treatment response monitoring. In this thesis, multi-modal approach integrating ultrasound (US) and photoacoustic (PA) imaging is presented, which includes the range of considerations for both the early-diagnosis of diseases and surgical guidance. Firstly, US/PA imaging system is implemented by developing hardware platform, software package, and image enhancing algorithm. The frame rate of the combined US/PA mode can be up to 10 fps by completing the data acquisition and image reconstruction in 55.6 ms using softwar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parallel processing. Also, the US/PA imaging system supports the 100-200 μm of spatial resolution for both morphological and light absorbing information with 4 cm of the maximal imaging depth and 700-900 nm of multispectral range for PA imaging. Furthermore, for the US/PA imaging system, the adaptive beamforming method based on a spatially-smoothed coherence factor (ABF-SSCF) was developed, which can enhance 27 % and 20 % of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and spatial resolution in US imaging, respectively, and 31 % of spatial resolution in PA imaging. The feasibility of the developed US/PA imaging system for early-diagnosis of diseases and surgical guidance is verified by phantom and in vivo experiments. Secondly, new endogenous and exogenous applications are developed based on the US/PA imaging system; as a novel endogenous contrast, the feasibility of PA imaging on breast microcalcifications is proposed and indirectly validated, which is currently regarded as an important early-indicator of breast cancer. It was found that the specimens with microcalcifications can be differentiated from surrounding tissues by presenting 0.30-0.61 of the PA intensity ratio at wavelengths of 700 nm and 800 nm, while control specimens without microcalcifications indicates 0.91 for the PA intensity ratio. Also, it was shown that PA imaging only visualized the more malignant composition of microcalcifications (i.e., hydroxyapatite) with the PA intensity ratio of 0.68, while the benign composition (i.e., calcium oxalate) has a negligible PA contrast. The contrast-enhanced PA imaging using an exogenous multi-modal contrast agent, synthetic melanin nanoparticle (i.e., MelNP), is also presented. In this method, the PA signal amplification is obtained by a specific strategy of selective aggregation within cancer cells which are more acidic than healthy normal cells. From the phantom experiment, PA signal amplification by a factor of 8.1 was obtained from the aggregated MelNPs in acidic solution (pH 6) compared to those in the solution of higher pH (i.e., 7.2). Also, this strategy of PA signal amplification was verified in cell experiments: PA signal amplification ratio was 2 in Hela cancer cell (pH 6.4) compared to dispersed MelNP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arly-diagnosis of cancerous diseases and surgical guidance can be supported with the developed US/PA imaging system. Also, the efficacy of the developed US/PA imaging system can be maximized by novel endogenous and exogenous contrasts such as breast microcalcifications and selectively aggregatable MelNPs.

      • A New Efficient Architecture for Dynamic Receive-Beamformer in Medical Ultrasound Imaging

        강지운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medical ultrasound imaging, the point-of-care diagnosis with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 solid state devices and communication is recently being highlighted since it can facilitate the enhanced interconnection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viders. To support this trend in medical ultrasound imaging, the efficient algorithm and corresponding system architecture, which can provide improved portability and quality information, is inevitably required for a point-of-care ultrasound imaging system.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the computational burden, e.g., multiplications and additions, of the ultrasound imaging system shows that its computational complexity highly relies on a dynamic receive beamformer (RxBF), which accounts for 92.6% and 93.0% of multiplications and additions, respectively. In this paper, cost-effective algorithms are presented to miniaturize the RxBF of the ultrasound imaging system implemented on a post-fractional filtering-based beamformer architecture, which can provide comparable image quality to the conventional delay-and-sum beamforming methods (e.g., interpolation and phase rotation) with the reduced hardware resources. For focusing delay calculation in RxBF, the time-sharing bilinear delay-interpolation method (TS-BDI) is proposed. The TS-BDI can substantially reduce the hardware complexity (>36% in overall RxBF)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Moreover, from the Field-II simulation study, it provides 2.5-dB improvements in signal-to-noise ratio (SNR) compared to the time-sharing linear delay-interpolation (TS-LDI) method with slightly-increased hardware complexity (<3.2% in overall RxBF). For efficiently supporting multi-beamforming (MBF) algorithms, time-sharing techniques previously were proposed. However, the MBF-TS method suffers from the degraded image quality due to the lowered beamforming frequency. In this thesis, we propose the new MBF method based on multi-access register (MBF-MAR) which can support the MBF without sacrificing image quality. From the phantom study, the contrast-to-noise ratio from the proposed MBF-MAR method was 2.6 compared to 2.0 from the MBF-TS method. There is a negligible difference between the MBF-MAR and the single-beamforming method as the reference (2.6 vs. 2.7). The MBF-MAR substantially lowers the hardware complex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BF method (32.6% reduction in gate counts). Furthermore, the signal-to-noise ratio from the MBF-MAR method was 15.7 dB compared to 11.0 dB from the MBF-TS method. (4.7 dB improved). Single-beamforming method is set as the reference. In summary, the proposed new methods (i.e., TS-BDI and MBF-MAR for delay calculation and multi-beamforming, respectively) on a post-fractional filtering based beamformer architectur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hardware complexity in the ultrasound dynamic receive beamformer without sacrificing the image quality so that these method can be used for enabling further miniaturization of portable ultrasound imaging systems and/or integration of a multi-dimensional beamformer into an ultrasound transducer. 송·수신 빔 집속부, 에코 신호 처리부 및 주사선 변환부를 포함하는 기존 초음파 의료 영상 시스템 전체의 곱셈, 덧셈 등의 연산량을 추정하였을 때, 곱셈 연산의 91.3%와, 덧셈 연산의 93.1%를 초음파 신호의 수신 및 집속을 수행하는 동적 수신 빔 집속부가 차지한다. 이에 하드웨어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후치 소수 지연 필터링 기반 동적 수신 빔 집속 아키텍처와 그 안에서 효율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제안된 기법들에 대해 실험을 통한 검증 및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기존 동적 수신 빔 집속부의 경우 모든 채널의 지연 시간 계산을 위해 모든 채널은 지연 시간 계산기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에 시간적으로 건너 뛰며 계산된 2개의 지연시간 값의 선형 보간을 통해 모든 집속점에 대해 지연시간을 계산하는 시간 분할 선형 지연시간 보간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경우 선형 보간 에러에 의한 영상 질의 저하가 문제되므로 본 논문은 3개의 지연시간 값을 통해 각 집속점의 지연시간을 보간해내는 시간 분할 이중 선형 지연시간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시간 분할 선형 지연시간 보간 기법과 비교하여 전체 빔 집속부에서 약 3.2%의 하드웨어 사용량 증가를 가지지만 기존 방식에 비하여 36%의 하드웨어 사용량 감소 효과가 있으며, Field-II 모사 실험에 의해 선형 지연시간 보간 알고리즘과 비교하여 신호 대 잡음비에 대해 2.5dB의 성능 향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 주사선 생성에 있어서 기존 동적 수신 빔 집속부의 경우 시간 분할 기법을 통해 하드웨어 사용량을 줄이는 시간 분할 다중 주사선 생성 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는 각 주사선을 생성하는 동작 주파수 저하를 야기하여 영상의 질이 저하되며 또한 신호 중첩 에러에 취약하여 응용이 제한되므로, 본 논문은 동작 주파수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다중 주사선 생성이 가능한 다중 접속 레지스터 구조 기반 다중 주사선 생성 기법을 제안한다. 다중 접속 레지스터 구조 기반 다중 주사선 생성 기법은 시간 분할 다중 주사선 생성 기법에 비해 5.2%의 하드웨어 증가만을 가지고 구현될 수 있으며, 팬텀 모사 실험에서 신호 대 잡음비 측면에서 4.6dB, 대조도 대 잡음비 측면에서 0.7의 성능 향상을 보인다. 더불어, 신호 중첩 에러에 대해서도 동작 주파수가 저하되는 시간분할 다중 주사선 생성 기법과는 달리 동작 주파수를 유지함에 따라 더 강건한 동작을 보이며 이를 실제 인체 갑상선 및 혈관 영상화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결과적으로 후치 소수 지연 필터링 기반 동적 수신 빔 집속 아키텍처 상에서 제안된 시간 분할 이중 선형 지연시간 보간 기법과 다중 접속 레지스터 구조 기반 다중 주사선 생성 기법을 사용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동적 수신 빔 집속부를 구현할 수 있으며 실제 구현 중에 있는 ASIC과 시스템의 사양을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