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강은진 경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 및 인성에 미치는 효과 연구 강은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 전공 본 연구는 디지털 영어동화 기반 협력학습모형을 적용한 영어수업은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며, 또 이러한 수업이 초등영어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 및 인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경기도 시흥시에 소재하는 J초등학교 3학년 2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2시간의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협력학습을 적용한 실험반과 일반 교과 교육과정에 따른 비교반의 연구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협력학습 수업 모형은 인성교육 교수·학습 모형 및 협력 전략 읽기 활동과정을 근거로 짝, 모둠, 학급 전체 협력활동들로 구안·적용 되었으며 이는 디지털 영어동화의 인성 교육적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교수방법의 연구로 이어져 초등 영어 수업 자료로써 가치가 있었다. 둘째,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협력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디지털 영어동화에 재미를 느끼고 친구들과 다양한 협력전략을 사용하며 어휘와 내용을 이해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이는 영어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디지털 영어동화를 활용한 협력학습은 초등학생들의 배려, 책임·용기, 정직의 역량을 향상 시켜 인성 함양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사전․사후 인성 역량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와 학생들의 면담 자료 및 수업 일지, 소감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초등 영어 수업을 통한 인성 교육의 가능성은 충분하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 영어 수업은 의사소통 기능 향상을 목표로 운영되므로 인성 교육적 관점으로 접근하기가 쉽지 않은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의 소재인 인성 덕목과 관련된 디지털 영어동화를 교실에서 보다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적용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담임교사로서 학생 개개인의 이해를 기반해 타교과 시간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의 실험 수업 시간을 통해 수시로 언어와 행동으로 학생들의 인성 감수성과 역량을 자극했다. 이처럼 영어교과 수업을 통한 인성 교육적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교육 현장에서 담임교사의 영어지도의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디지털 영어동화를 기반으로 한 협력학습이 인성 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적 도구로써 어떻게 활용되고 그 효과는 어떠한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디지털 영어동화의 인성 교육적 효과를 다른 디지털 영상 자료와 비교 검증하는 실험이 필요하다. 주제어 : 디지털 영어동화, 협력학습, 인성

      •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

        강은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an art therapy is considered of having three features, which are an art therapist, the art, and a client, during art therapy sessions, these features do not exist individually; they rather interact with each other. During the session, a client works on his or her art work using artwork materials with an art therapist together and the art therapist intervenes therapeutically by managing the client’s whole art producing process, which is expressed, discovered, and incorporated by the client. There are many studies regarding clients’ artworks in the art therapy research. These studies focus on finding meanings from the forms or context of artworks of a client (Kaplan, 2013), and the majority of them deal with the effectiveness, advantages, and distinctiveness of the client’s artworks have. Compared to these studies, qualitative research regarding various phenomena of a whole process that a client expresses, explores, and incorporates through his or her artworks during sessions is rather insufficient. If the art therapist, the artwork of a client, and the client form a triangular relationship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 art therapist’s process of interacting and treating the client’s artwork becomes vit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meaning the art therapist assigns to the client’s artwork and how the therapist felt toward this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therapists, who acquired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during art sessions that come from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and to explore the therapists’ diverse experiences. Therefore, the question that this study asks is “What do art therapists experience regarding the artworks of client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and what are the meaning and the nature of them?” To discover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followed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vivid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hen they work with clients’ artworks during sessions. Also, this study conducted eleven steps of research which are consisted of focusing on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itself, discovering existential experience study, and reflecting and writing in hermeneutical and phenomenological way. A total of thirteen people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all have acquired Master’s degrees or above in art therapy from six graduate schools. They are experienced art therapis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field at most seven years and are continuously working in art therapy field; this enables them to explain their diverse experience regard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a detailed manner.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May to December 2016. In addition to the interview data of the participants, writings about clients’ art works and their reactions were acquired as well and additional materials from literature and art that are related to the topic of this study are included for reference. By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Max van Manen’s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nine essential themes and twenty-six sub themes were concluded. <The art therapists guide the client to have active experience through art producing>, <The art therapists felt that the artwork was the link between the client and them>, <The art therapists noticed how the client was being expressed in many ways through the artwork>, <The art therapists discovered the powerful advantage that only could come from artwork>, <The art therapists realized how the client started to grow as the art producing sessions progress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influenced the mind of art therapists when they work with clients’ artworks>, <The art therapists are in need of care as well since they often felt overwhelmed by the artworks of the clients>, <The art therapists endeavored to lead the art producing process to make it helpful for the clients>, <The art therapists became more comfortable with the clients’ artworks as they gained more professional experience as art therapists> Based on these essential themes, existential experience study, and writings, conclusions about the nature 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as they dealt with clients’ artworks during art therapy sessions are the followings: First, art therapists communicate with clients through their artworks, which are the language of the clients, and from this process, they acquire the experience of understanding their clients more. Second, art therapists experience the therapeutic advantages of artworks as they see the clients visualizing their psychological troubles through art and resolving inner conflicts. The art therapists apply this experience to their upcoming sessions and discover the growth of their clients. Third, the art therapists notice how their life experience influence the way they work with the clients’ artworks; in turn, the experience the therapists gained from working with the clients’ artworks influenced the lives of the art therapists. Fourth, art therapists felt the necessity of a professional training in the process of treating the clients’ artworks. As the therapists go through continuous training, they became more comfortable when dealing with clients’ artworks and became capable of leading art therapy flexibly, experiencing their growth as art therapists. This study contributes to art therapy as a discipline and art therapy as fieldwork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therapist and the artwork of the client in a triangular relationship of an art therapist, artwork of a client, and a client, which are the three features of art therap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is a lived experience study, which has discovered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rt therapist and a client’s artwork once again. Secon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which reveals the experience of the art therapists regarding the clients’ artworks that contributes to art therapy by expanding the diversity of the research about clients’ artworks. Third, for the training of a student in a Master’s degree program in art therap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educational tool for establishing one’s identity as an art therapist. It can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an artwork that is created during sessions. The following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have all acquired a Master’s degree in art therapy. However, the study did not categorize the undergraduate majors or doctorate majors of them in a strict manner when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ing other data.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with the clients’ artworks can vary depending on their undergraduate or doctorate major. The following is the proposal for this study. This study did not classify the four detailed types of an art therapy. It researched in the incorporated way to study the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with a client’s artwork. For a follow-up study, classifying clients according to the four detailed types of art therapy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lived experience of an art therapist regarding this matter is needed as well. 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 미술, 내담자 삼요소로 구성된다고 볼 때, 미술치료 회기에서 이들 각각의 요소들은 개별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서로 상호작용한다.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는 미술치료사와 한 공간에서 미술 재료를 활용하여 미술작업을 하며,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 탐색, 통합하는 전 과정에 치료적인 개입을 한다. 미술치료학 연구에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여러 연구물들이 있다. 이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의 형태 또는 내용 속에서 의미를 찾는 것에 초점을 맞춰(Kaplan, 2013),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가진 효과 및 이점 그리고 특수성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주를 이룬다. 이에 비해 미술치료 현장에서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표현, 탐색, 통합하는 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에 대한 질적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한 실정이다. 미술치료 회기 내에서 미술치료사, 내담자의 미술작업, 내담자가 삼각구도를 이루며 서로 상호작용을 한다고 볼 때,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접하고 이를 치료적으로 다루는 과정은 중요하다. 따라서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하여 어떤 의미를 부여하며 그 경험은 어떠한지 연구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학 전공의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면서 체험하는 내용들을 상세히 기술하고, 그들의 다양한 체험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해 미술치료사는 어떤 체험을 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미술치료 회기에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며 겪는 생생한 체험을 탐구하기 위하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랐으며,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 절차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이상의 취득자로 총 13명이다. 이들의 미술치료 현장 경력은 석사학위 취득 후 7년까지로, 본 연구 주제에 대해 다양한 경험을 하여 풍부한 진술을 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16년 5월부터 12월에 걸쳐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심층 면담자료 뿐만 아니라,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반응 작업과 관련된 글까지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되는 문학 및 예술 작품을 통해서도 참고자료를 수집하였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9개의 대주제와 26개의 하위주제로 도출되었다.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하여 주도적인 경험을 하도록 이끔>,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내담자와 연결되는 다리로 느껴짐>,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내담자가 입체적으로 담기는 것을 느낌>, <미술치료사는 미술작업만이 다뤄줄 수 있는 강력한 이점이 있음을 알게 됨>,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룬 회기가 진행되면서 내담자가 성장해 가는 것을 느낌>, <미술치료사의 삶에 따라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대하는 미술치료사의 마음가짐이 달라짐>,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접하며 압도적인 감정을 느끼는 미술치료사에게 돌봄이 필요함>,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에게 도움이 되는 미술작업으로 이끌기 위해 애씀>,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역량이 쌓여갈수록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뤄내는데 여유로워짐> 이와 같은 주제 도출과 실존적 체험 탐구 및 글쓰기 등을 토대로 미술치료 회기에서 다뤄진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하여 미술치료사가 한 체험의 본질과 의미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회기에서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언어인 미술작업을 접하면서 내담자와 소통하며, 그 과정에서 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점점 깊어지는 체험을 한다. 둘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가 미술작업을 통해 심리적인 어려움을 시각화하여 탐색할 수 있고, 내면의 쌓인 감정을 해소하는 등 미술작업이 가지고 있는 치료적인 이점들을 생생하게 체험하며, 이를 통해 내담자가 성장해가는 것을 느낀다. 셋째, 미술치료사는 자신의 삶의 경험이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 영향을 주며, 역으로 미술치료사가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 또한 미술치료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것을 체험한다. 넷째,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루는데 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함을 느낀다. 미술치료사는 지속적인 훈련을 받으면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을 다룰 때 여유로워지고, 내담자와 미술치료 환경에 따라 유연하게 미술치료를 이끌어 가며 미술치료사로서 성숙되어 감을 체험한다. 본 연구가 미술치료학 및 미술치료 현장에 대해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삼요소인 미술치료사, 내담자의 미술작업, 내담자가 이루는 삼각구도 내에서 미술치료사와 내담자의 미술작업 간의 관계를 미술치료 현장을 경험하는 미술치료사의 목소리를 통해 조망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치료에서 미술치료사와 내담자의 미술작업이 맺는 관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밝혀낸 체험연구로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질적 연구로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을 드러내어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연구의 다양성을 확장하여 미술치료학에 기여한다. 셋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이 미술치료사가 되기 위한 훈련 과정에서, 미술작업의 중요성을 가지고 미술치료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적인 교육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모두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이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의 학부 전공 또는 박사 전공은 엄격하게 구분하지 않고 심층면담 및 기타 자료수집을 하였다.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를 취득한 미술치료사의 학부 전공 또는 박사 전공에 따라서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이 다를 수 있겠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4가지 세부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포괄하는 내담자가 창작한 미술작업에 대하여 미술치료사가 어떤 체험을 하는지 연구하였다. 이후의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의 4가지 세부유형을 따라 내담자를 구분하여, 그에 따른 내담자의 미술작업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체험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어휘력 및 이야기 구조 개념 비교연구

        강은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어휘력 및 이야기 구조 개념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어휘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1)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어휘력은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에는 차이가 있는가? 1)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은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유아로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서울시내 S 유치원 유아25명과 영어교육기관을 1년 이상 다니고 있는 서울시내 C 영어교육기관 유아25명으로 총 50명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절차는 예비검사, 연구 보조자 훈련, 본 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으며 8주동안 1:1로 개별 면접하였으며 어휘력, 이야기 구조개념 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도구는 이야기 구조 개념 검사용 글 없는 그림책 1권, 어휘력 검사 도구, 이야기 구조 개념 검사 도구이다. 어휘력 검사 도구로는 김영태(1995) 등이 제작한 그림 어휘력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야기 구조 개념은 Applebee(1978)의 이야기 구조 개념발달단계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두 집단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어휘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어휘력은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유치원 유아가 영어교육기관 유아보다 이야기 구조 개념에서 상위단계에 있음을 의미한다. 유치원과 영어교육기관 유아의 이야기 구조 개념은 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This study is for examining whether there is difference between the young children's vocabulary and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at kindergarten which executes the program for general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executes the English education and the program of kindergarten education together. This researcher estatablished following study issues in accordance with this purpose.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of young children's in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of young children's in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gender?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at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1)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at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total 50 5-year-old children who were 25 children at S kindergarten in Seoul that English education is not being executed and 25 children at C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in Seoul who atte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for 1 year or more. Study procedure was made in the order of preliminary test, training of study assistant, and main test, and this researcher executed individual interview with 1:1 for 8 weeks, and it was made in the order of vocabulary and test of concept of story structure. Study tools are 1 volume of drawing book that there is not writing for testing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the tool for testing vocabulary, and the tool for testing the concept of story concept. As for the tool for testing vocabulary, this researcher used the drawing test of vocabulary that Kim, Young Dae(1995) etc. manufactured. As for the tool for testing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this researcher used the development stage of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Applebee(1978). As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his researcher executed t-test. This findings is as follows: 1. There was not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at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There was not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at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gender.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at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In another word,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at kindergarte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of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There was not difference in the concept of story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at kindergarten and English educational institution according to gender.

      • 임화 초기시 연구 : 변모 양상 및 중후기 시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강은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중요성을 간과하거나 단절적으로 파악해온 임화의 초기시를 형식과 내용 측면에서 면밀히 분석함으로써 초기시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임화 시 전반을 관통하는 시의식과 시적 특질을 발굴하여 그것이 초기시에서 촉발되어 단편서사시와 후기 전선시로 변모되어 나아갔음을 밝히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임화 시의 본격적인 출발을 &#65378;네거리 순이&#65379;를 필두로 한 단편서사시로 제한하거나, 계급주의를 노골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한 다다이즘 시 &#65378;담-1927&#65379;로 상정해왔다. 이는 프로시로의 전향과정을 생략한 채 임화를 태생적인 계급주의 시인으로 전제한다는 맹점이 있었다. 또한 임화 시의 독자적인 영역인 단편서사시의 특성과 후기 ‘혁명적 로맨티시즘’으로 명명되는 독특한 영역의 낭만성을 임화 시 내부에서 해명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임화는 1924년 &#65378;연주대&#65379;를 비롯해 6편의 민요시를 발표한 이래 낭만성 짙은 서정시 시기를 거쳐 다다이즘 시로 나아갔고 이어 단편서사시로 이행하는 급격한 변화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임화의 초기시를 1924년 &#65378;연주대&#65379;에서 1927년 &#65378;담-1927&#65379;까지 22편으로 보고 이를 크게 민요시 - 낭만적 서정시 - 다다이즘 시로 각각 구분하여 범주화했다. 각 단계를 거치면서 임화의 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고 필연적인 변화의 동인을 드러냈다. 임화의 민요시는 7·5조를 기본으로 한 전통적 율격에 따라 3/4 또는 4/4의 음수율을 준수하는 형식의 정형성을 강하게 띄고 있으며, 의성어와 의태어를 활용한 조어를 사용하거나 네 마디 구조의 율행을 반복적으로 병치시킴으로써 시의 리듬감을 극단적인 형태로 구현했다. 또한 정서적인 측면에서도 민요시 특유의 절제된 슬픔에 해학성을 가미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임화가 당대 김억을 중심으로 한 민요시 부흥 운동의 영향 아래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후 임화가 전통적 율격의 정형성의 한계를 인식하고 자유시로 나아가게 되면서 민요시의 형태는 약화된다. 그러나 3/4, 4/4의 기본 음수율과 반복 기법은 자유율로 내재화, 추상화되면서 대폭 장형화 된 단편서사시의 낭독적 리듬을 형성한다. 이는 김기진이 명명한 ‘프롤레타리아 리듬’이 된다. 즉, 추상화된 민요적 율격이 화자의 직접 발화라는 형식과 결합되면서 구술적 리듬감을 획득하게 된 것이다. 민요시에 나타난 여성 화자의 직접 발화 형식은 단편서사시의 형식적 특성인 가상 화자의 직접 발화 형식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 또한 &#65378;바람이여 전하라&#65379; 등 후기 전선시의 경우 시행이 1음보 또는 2음보 단위의 짧고 강한 호흡률을 형성하며 네 마디 구조로 회귀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초기 민요시에서 보였던 전통적 율격에 대한 관심이 단편서사시를 거쳐 전선시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임화 시의 뿌리가 서구 문예사조가 아닌 우리 시가로부터 촉발되었다는 새로운 발견이다. 민요시 시기를 거쳐 임화는 정형률에서 벗어나 근대적 의미의 자유시를 선보인다. 절제된 정서는 개인의 내밀한 고백적 발화를 통해 전면에 드러나게 되고 비탄과 탄식의 어조로 점철된다. 낭만적 서정시로 범주화된 이 시들에는 정체성에 대한 혼란과 방향성을 상실한 화자의 고뇌가 질문의 형식으로 표출되어 있다. 화자는 시에서 끊임없이 질문을 던짐으로써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나아갈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65378;무엇찻니&#65379;는 이러한 탐색의지를 최초로 드러낸 시로 주목된다. 이 시에서 출발한 질문은 종국에는 후기시 &#65378;너 어느곳에 있느냐&#65379;에 가닿으며 임화 시 전반을 관통한다. 이 거대한 탐색의지는 호명과 질문이라는 시적 표현의 형식으로 시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변주되어 나타난다. 임화 시에서 질문은 부정적 대답을 내포한 질문, 대답을 구할 수 없음을 화자가 인지한 상태에서 던지는 탐색형 질문, 강한 긍정의 대답을 유도하는 질문으로 나뉜다. 대답을 구할 수 없는 질문은 현실적 방황과 고뇌를 자아내고 이는 곧 시의 감상적 정조를 형성한다. &#65378;무엇찻니&#65379;나 &#65378;밤이면&#65379; 등 질문의 형식으로 종결되는 시들이 비탄과 탄식의 정조를 띄는 것은 질문의 형식과 낭만성이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임화는 사실주의와의 대척점에서 세기말적 감상주의로서 낭만주의를 위치시키고 배척해야할 대상으로 공격했다가 자신의 시를 변호하면서 낭만성을 서정성과 동일한 개념으로 보고 리얼리즘 문학의 미적 완성도를 고양하기 위해 낭만주의를 시 창작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이른바 ‘사회주의적 로맨티시즘’을 주장하였다. 즉, 임화의 낭만성 개념은 ‘낭만적 서정성’에 가깝다. 질문의 형식은 평이한 진술의 흐름을 김정적 영역으로 전이시켜 ‘낭만적 서정성’을 부여한다. 초기시에 사용된 질문의 형식이 비탄과 탄식의 어조를 띄는 협의의 낭만성을 형성했다면, 중후기시에서는 ‘사회주의적 로맨티시즘’ 형태의 낭만적 서정성으로 나타난다. 낭만적 서정시 시기를 지나 임화는 개인적 차원의 고뇌에서 나아가 나라와 민족 또는 민중을 고통으로 눈을 돌린다.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인식이 부정과 반항의 시의식으로 표출되었고 그것이 다다이즘과 결합되어 형식적으로는 미래파적인 파괴의 기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방향성에 대한 탐색의지가 계급주의 문학으로 귀결된 것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 다다이즘 시는 &#65378;지구와 빡테리아&#65379;, &#65378;탱크의 출발&#65379;, &#65378;曇-1927&#65379;로 국한되지만, 본 논문에서는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이라는 다다이즘의 내용적 측면에 근거하여 임화의 다다이즘 시의 출발을 &#65378;雪&#65379;로 보았다. 임화의 다다이즘은 하나의 경향으로 수용된 것이 아니라 다다이즘과 미래주의, 그리고 계급주의가 혼합된 상태로 받아들여진 것이었기 때문에 다다이즘 시편들은 부정의식 - 미래파적 기교 - 계급주의의 양상이 혼재되어 나타난다. 최초의 다다이즘 시인 &#65378;雪&#65379;에서는 위협적인 현실에 대한 포괄적 인식이 드러나고, &#65378;혁토&#65379;와 &#65378;초상&#65379;에서는 피폐한 나라와 민족에 대한 자각이 나타나며, &#65378;선시&#65379;를 기점으로 의지적인 행위로 변모한다. 이러한 시의식의 변화에 따라 발화 형태에도 변화가 나타나는데 의지적인 종결과 선언적 발화가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그 예이다. 특히 &#65378;혼광의 아들&#65379;은 이전 시들과 언술적 측면에서 확연한 변화를 보이는 시이다. 짧고 강한 시적 호흡, 장형화 된 시행, 대상의 호명 등 구술체의 생생한 아조를 통해 대중의 동조를 이끌어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어 단편서사시 태동의 모태로 볼 수 있다. &#65378;화가의 시&#65379;는 이러한 변화가 노골적으로 선언된 계급주의 시의 출발점이 되는 시편이다. 현실에 대한 부정의식으로 출발한 다다이즘이 마르크시즘과 결합되면서 임화 시는 본격적인 지향점을 갖게 된 것이다.

      • 여성 소득불평등과 일ㆍ가정 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 이중부담이 기혼여성의 노동참여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강은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지난 30여년 간 우리나라는 급속도로 경제가 발전하면서 여성들의 경제활동 참여수준이 향상하였으나 여성들에게 여전히 결혼 및 출산으로 인한 노동참여 단절이 발생하는 경향이 강하여 지속적인 노동시장 참여에 어려움을 겪어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여성들이 노동참여가 크게 확대되었음에도 여성들의 빈곤화 경향을 강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동시에 비정규직 여성의 증가로 다양화되고 이질화된 여성의 노동경험은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격차를 보다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외환위기 이후 활발해진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은 돌봄 노동의 문제를 발생시켰는데, 우리뿐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들은 돌봄 노동 분배에서 비롯된 새로운 사회문제들을 경험하였고 이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복지국가의 새로운 핵심이슈가 되고 있다. 무엇보다 돌봄 노동은 임금불평등과 함께 노동상의 분절로 연결되어 노년기의 불평등의 문제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속적인 노동참여의 유무가 소득의 격차를 가져오는 주된 원인이라 보고 기혼여성의 노동참여 지속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2007~8년 여성가족패널을 활용하여 확인하였다. 특히 여성의 노동참여 증가에 따라 이중부담 요인과 일·가정 갈등 요인이 기혼 여성의 지속적인 노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해보고, 이를 통해 여성이 가사노동과 지속적인 노동참여 사이에서 겪는 불평등을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혼이며 첫 직장 경험이 있는 만 19세~64세 여성 365명을 대상으로 취업 중단 경향, 특히 모성보호제도의 본인혜택 여부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로짓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사회인구학적 요인(학력, 연령), 이중부담, 일&#8231;가정 갈등요인, 모성보호제도(출산휴가, 육아휴직 본인혜택 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참여 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은 출산휴가의 본인혜택 여부에 따라 결혼 1년 이내에 직장 생활을 그만두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도 증가한다. 둘째, 기혼여성의 일&#8231;가정 갈등이 적을수록 취업 중단을 경험할 확률은 유의하게 낮아진다. 일&#8231;가정의 갈등이 여성의 노동참여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는지는 가사 도움 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취업중단 차이를 통해 알 수 있다. 셋째, 기혼여성의 학력 증가에 따라 일자리를 유지하는 경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넷째, 기혼 취업 여성 중 출산휴가의 본인 혜택이 가능하다면 일을 그만두기 보다는 취업을 지속하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출산휴가와 같은 모성보호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기혼 여성의 취업 중단 위험률은 유의하게 낮아질 수 있지만, 모성보호제도는 본인이 이용할 수 없는 여성이 이용할 수 있는 여성보다 다수를 차지해 직장 내 모성보호제도의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 분석결과, 기혼여성의 경력단절에는 가사노동의 부담(이중부담)과 모성보호제도, 출산휴가의 본인혜택 여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여성들이 출산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취업 중단을 선택하더라도 가사노동과 일과 가정의 갈등이 줄어든다면 노동시장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이중부담을 겪으면서도 일을 유지하는 경향이 높아지는 사실을 통해 여성들에게 가사보다 직업경력이 우선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성들의 노동참여는 저출산 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중요한데, 에스핑 앤더슨(Esping-Andersen)이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와 저출산의 관계를 국가의 복지와 관련하여 이야기한 것처럼 여성들의 노동참여가 높은 국가는 출산율도 높기 때문이다. 복지국가의 지지가 없이는 저출산, 저여성 노동참여로 인한 가족소득의 저하로 이어져 소득불평등이 더 심해지는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의 지원은 무엇보다 중요하다(Exping-Andersen, 2009). 기혼 여성들의 노동참여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정 내의 양성평등과 돌봄에 대한 부담을 감소할 수 있는 제도적인 뒷받침, 그리고 사회 전반적인 인식개선이 함께 이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 모성보호제도의 확대와 함께 이를 당연한 권리로 사용할 수 있는 사회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Floating catalyst 방법으로 합성한 탄소나노튜브의 구조 제어

        강은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탄소나노튜브는 그 구조적인 특징이나 물성으로 인해 많은 분야에서 관심을 받았고, 나노튜브를 제조하는 공정도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량생산과 나노튜브의 구조를 제어하여 제조하는 공정을 확립하지 못하는 한계에 직면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대량생산에 가장 가까운 방법인 화학증기증착법 중 하나인 floating catalyst 방법을 이용하여 multi-walled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할 때, 반응변수들이 나노튜브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페로센과 자일렌의 혼합용액을 25 ㎖의 실린지에 넣고, 실린지 펌프를 이용하여 이중의 석영관으로 된 반응기 내부로 다양한 유속(5.0~50 ㎖/h)에서 연속적으로 주입하였다. 운반기체로 250 sccm의 질소와 40 sccm의 수소의 혼합가스를 사용하고, 주입온도 150~270℃, 반응온도 750~850℃로 조절하여 1 시간 반응시켜 multi-walled 탄소나노튜브를 제조하였다. 주입용액의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튜브 번들이 층을 이루는 속도가 빨라지고 층의 길이 역시 길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Fe(2)N의 영향으로 확산 속도가 빨라져 층의 길이가 길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또한, 주입용액의 온도를 페로센의 승화온도 범위에서 조정했을 때, 직경이 10 nm이하의 작은 것도 생성이 되지만 직경 분포가 고르지 않는 반면, 녹는점 이상에서는 직경이 30~60 nm로 직경이 커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페로센의 끓는점 이상에서 제조된 나노튜브는 상대적으로 녹는점과 끓는점 사이에서 제조된 나노튜브보다 직경이 작아지고 분포가 균일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carbon nanotubes was discovered by Iijima, the manufacturing methods of carbon nanotub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t faced the limit to prepare carbon nanotubes in a large quantity and to control the structure of carbon nanotubes such as chirality, diameter, length and so on. So, we tri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action parameters of floating catalyst method on the structure of carbon nanotubes. We also studied purification conditions of carbon nanotubes synthesized by floating catalyst method. Among the reaction parameters, flow rate of feedstock, reaction and injection temperature had influence on the diameter of carbon nanotubes. As the flow rate of feedstock increased, the nanotube diameter became smaller and the length became longer. Although the growth rate also increased with the raise of flow rate, the optimum flow rate of feedstock existed for the crystallinity of carbon nanotubes. The narrowest carbon nanotubes were produced with injection temperatures in the range of the ferrocene's sublimation temperature. As the injection temperature increased up to it's boiling point, the diameters of carbon nanotubes became narrow and uniform. Among the various inorganic acids, the HCl solution was shown as a good purification agent for carbon nanotubes and 4M HCl solution was selected as the best concentration by XRD and Raman Analysis.

      • 소비자 이해도 향상을 위한 식품 기능성 정보제공 방안 연구

        강은진 德成女子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식품의 기능성을 강조한 표시로 ‘유용성 표시’와 ‘기능성표시’를 허용하고 있다. 2004년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면서 일반식품에 대한 유용성 표시가 전면 제한되었다가, 2007년부터 다시 표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모든 가공식품과 자연 농축수산 식품에 유용성 및 기능성표시가 허용 된 것은 소비자 입장에서 볼 때 제품 선택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건강교육과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것임을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현 제도상 소비자들은 기능성표시와 유용성 표시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그 경계가 모호해 질 수 있으며 소비자 오인을 유발할 수 있다. 더구나 2008년부터는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이 일반식품 형태로 확대됨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승인 받은 기능성표시와 업체에서 자율적으로 표시하는 유용성 표시의 구분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의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식품의 기능성정보제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소비자 조사 및 전문가 조사와 국외 관련 규정을 분석하여 적용대상, 함량기준, 표현범위 등이 명확한 일반식품의 유용성 표시 범위를 제안하였다. 소비자 조사결과 식품의 형태가 유사한 경우,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을 구별하기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유용성 표시․광고의 허용 대상은 ①「식품등의 표시기준」에서 정하는 일일영양소기준치가 설정된 영양소 ②잠재적 위해영양소가 저감된 제품 ③「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에서 정한 어린이 기호식품인 경우, 「어린이 고열량·저영양 식품 영양성분기준」에서 정한 고열량, 저영양 식품이 아닌 제품으로 제안하였다. 영양소의 함량 기준은 「식품등의 표시기준」영양소 함량 강조표시 세부기준에서 정한 ‘급원 또는 함유’ 이상을 제안하였다. 또한 기능 및 작용에 대한 표현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인정한 기능성 범위내의 수준으로 표현하도록 하고, 질병발생위험감소표시는 제외하도록 하였다. 반드시 최종 제품에 해당 영양소에 대한 함량을 같이 표현하도록 하고, 균형 잡힌 식생활 또는 올바른 식생활의 중요성을 강조하도록 하여, 기능적 측면이 아닌 영양적 측면에 대해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소비자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암시적 표현’, ‘실증될 수 없는 표현’ 등에 대해 유용성 표시 금지 표현으로 제안하였다. 둘째 일반식품과는 달리 사용 목적, 사용량, 사용방법 등에 대한 소비자의 이해가 필요한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이해도를 향상시키고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소비자 교육· 홍보 방안을 제안하였다.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기능성 분류체계를 확립하였고, 소비자용 교육프로그램과 전문가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효과를 조사하였다. 소비자 설문조사 결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정보는 주로 주변사람들에게 얻고 있었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의 요구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정부차원의 정보 제공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았다. 또한 가장 알고 싶어 하는 정보는 기능성 내용으로, 건강기능식품표시에 있는 영양․기능정보만으로는 소비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내용 중 특히 혈당, 활성산소, 인지능력에 관한 이해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비자 교육 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이해도가 향상되었다.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인식도(안전성, 신뢰도, 과학적 근거, 구매 의사)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였고, 기능성 내용에 대한 이해도 또한 향상되어(p<0.01 또는 p<0.05) 교육효과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홍보가 요구된다. 본 연구 내용은 향후 일반식품의 표시제도 개선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건강기능식품과 구별되는 세부표시기준 마련을 위한 과학적인 근거가 될 것이다. 또한 개발된 소비자 및 전문가 교육프로그램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이해를 높이고 건강기능식품을 다루고 있는 보건전문가의 인식 제고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Usefulness labelling’ and ‘Functionality labelling’ have been allowed, which emphasizes the functionality of the food in Korea. As「Health Functional Foods Act」implemented in 2004, ‘Usefulness labelling’ on the conventional foods was controlled completely, and it was allowed to labelling again from 2007. It will be helpful to choose the products from the standpoint of consumers as ‘Usefulness labelling’ and ‘Functionality labelling’ have been allowed on all processed foods and farm produce, livestock products and marine products, further it is certainly true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health education and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health. But, the problem is that consumers do not fully understand usefulness labelling and functionality labelling, so the boundary between two might be uncertain, in turn it might cause misunderstanding among consumers. Moreover, the shape of health functional foods was expanded to the shape of conventional foods from 2008, so the separation between functionality labelling approved by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and Usefulness labelling which labelled by the suppliers at discretion seems to be difficul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solutions for providing functionality information of foods in more scientific and efficient fashion, which is consumer-oriented.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consumer surveys, experts investigations and the related regulations at home and abroad, and proposed clearly the range of usefulness labelling in the conventional foods (application targets, content standards, labelling range, etc.). As a result of consumer surveys, it was found that in the event that the food shapes are similar, consumers had a difficulty in separating health functional foods and the conventional foods. In this regard, the targets which allowed to labelling and advertise usefulness are as follows: ① Nutrients that daily value (DV) is set, which regulated in「Food labelling Standards」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② Products that the potential harmful nutrients reduced, and ③ In terms of children favorite food regulated in「Special Act on Children's Dietary Life Safety Management」, the products which are not high calories and low nutritional food, which regulated in「Nutrition Standards for High-Calorie Foods with Low Nutritional Value 」. When it comes to the nutrients content standards, over ‘source or content’ was proposed, which regulated in the specific standards on nutrient content highlight labelling (Food labelling Standards」).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hat the expression of functions and effects should be within the range of functionality, which approv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nd the disease occurrence outbreak risk reduction labelling was excluded. It was also proposed that the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consumers not based on functional aspect but nutritional one, labelling the relevant nutrient content in the finished products, and stressing the importance of balanced or right dietary life. The study proposed that ‘suggestive expression’, ‘unproven expression’, etc. should be banned regarding usefulness labelling to reduce the confusion of consumers. Second, the study improve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e.g. purpose, amount of used, how to use) regarding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consumer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foods, and proposed the consumer education and promotion solutions for the right decision making of consumers. The new functionality classification system considering the aspects of consumers was established, and the education effects were examined by developing the education programs for consumers and professionals. As a result of consumer surveys, the information on health functional foods was gained by the people around them, and consumers greatly wanted to get the reliabl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degree of recognition in terms of information provided by the government was highly low. What consumers want to know most was related to functionality, and it was found that the nutritional/functional information labelled in health functional foods could not rais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for the general public.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in blood sugar, active oxygen, cognitive powers among functionality was very low, but it was improved over the certain level after consumer educ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wareness on health functional foods (safety, reliability, scientific grounds, and desire to purchase) changed in a positive manner,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n functionality contents was improved (p<0.01 or p<0.05), which shows the education effects are significantly high. In this regard, it is required to promote the education programs at the government level. This study will be able to be applied to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labelling system of the conventional foods in the future, and will be the scientific grounds to prepare the specific labelling standard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s developed for consumers and professionals will help consumers understand health functional foods, and raise awareness of the health professionals dealing with the health functional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