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무애무(無㝵舞) 연구 : 일심사상을 중심으로

        강은숙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원효의 <무애무> 연구를 통해 <무애무>가 가지는 본질과 가치 그리고 그 의미 등을 밝혀 우리 춤에 대한 인식은 물론 한국적인 춤사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라시대의 시대적 배경, 원효의 생애, 사상(~-령템) 그리고 <무애무>와 관련된 서적 및 논문 , 원전 등의 다양한 자료를 참고하였다. 특히 <무애무>의 형성배경이 되는 윈효의 사상, 즉 진속일여와 염정불이의 일심사상을 조사·분석하기 위하여 『大乘起信論』을 주자료로 설정하였으며, 『三國遺事』, 『破閑集』, 『宋高僧傳』 등을 기본자료로 설정하여 조사·분석·논의하는 문헌분석 방법(Method of Contex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효의 일심사상의 표상인 <무애무>는 일심사상의 실천인, 무애행이었다. 삶과 죽음도 성과 속의 신분적 차별도 걸림이 없는 그의 무애행은 본체와 현상은 다르지 않다는 일심사상에서 비롯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애무>는 인간의 사상과 감정의 반영이며 생활의 반영으로 실재화되었으며, 모든 이들이 소통하고 교감할 수 있어 정신과 영혼에게 호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오늘날 예술이 가지는 가치와 동일한 의미로 이해 될 수 있다. <무애무>는 춤 자체보다는 그 배경 사상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무애무>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무애무>는 전승과정을 거치면서 <무애무>의 본질적 사상과 가치를 찾아 볼 수 없으며, 그 시대적 상황과 역사에 따라 면천하여 현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무애무>를 통해 예술은 일상을 떠나서 있지 않다는 것이다. 춤의 소재 또한 삶 속에서 찾는다. 모든 예술은 삶에서 시작한다. 삶(生) 속에서 마음(心)을 들여다보라(觀), 그리고 실천하라(行). 그러한 체·용·상의 합일(一體), 즉 그것은 일심의 상태인 것이다. 이러한 것이 진정한 춤이라 할 수 있다. 생멸하는 변화 속에서 한마음으로 생의 감각을 되살려 내는 것, 본체(體)와 상(相)의 일여(一如)로서의 의미와 상징으로 몸의 전일적 언어를 만드 는 것이야말로 춤의 진정성일 것이며 오늘날 우리 춤이 지녀야 할 본질적 사명이 될 것이다. 다섯째, 역사와의 단절, 문화취향의 다원화, 계층과 직종의 차이에 따른 개인의 고립화 등 사회적 통합의 구심점이 모호한 현대사회에서 인간은 춤과의 직접적 접촉을 잃은 듯하다. 우리의 춤 유산을 원래 정신에 필적하여 오늘의 환경으로 수렴해드리는 일과 일상과 예술의 경계가 희석되는 상황을 춤으로 승화하는 일이 우리의 과제로 남아있다. 이 시대의 <무애무>는 그 성격은 다르지만 중국의 태극권과 같이 늘 우리의 일상에서 추어져 정신과 영혼을 정화할 수 있는 현실의 춤으로 다시 태어나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garding Wonhyo's "MuaeMu" is to understand the core value and capture the essence of philosophical traditional Korean dance. I hope this would help and guide those who try to seek their way into "MuaeMu." For this research, I have used many references written during the Shila Empire; cultural, political, poets, and finally Wonhyo's ideology. Moreover, I have applied "Method of Context Analysis" to "Dae-Sung-Gi-Sin-Ron", "Sam-Guk-Yu-Sa", "Pae-Han-Jip","Song-Go-Sung_Jun" in order to interpret Wonyo's philosophy and ideology. First, one of Wonhyo's ideology represent in "MuaeMu" as to practice One Mind philosophy. The life and death, love and hate, which all can be controled by One Mind. Second, the "MuaeMu" is based on our emotion, spirit and soul, which is very close to artistic mind rather than just another form of dance. Third, the "MuaeMu" have evolved with our human history. Perhaps one can see the mirror image kingdom's history. Forth, by considering the "MuaeMu" as an art, anyone can easily adopted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 "MuaeMu" is beyond just dance; ordinary people's life and it is in their heart. Finally, as we are moving into more faster and faster life style, we have lost our true meaning of life. I truly hope that the "MuaeMe" can bring unity, calm, peace and bring back once we had in our heart.

      •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

        강은숙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김포시 K읍에 소재한 S어린이집의 만 4세 반 유아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 중 실험집단은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누리과정에 따른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실험처치는 2019년 10월 28일부터 2019년 12월 19일까지 8주 동안 총 16회에 걸쳐 주 2회 한 회기당 40분씩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예비연구, 검사자 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 관련 선행연구들(강경연, 김경란, 오재연, 2012; 권윤선, 이경화, 2010; 김규정, 최일선, 2017; 라현정, 정계숙, 2013; 신애선, 2018)을 토대로 유아발달 및 흥미를 반영한 직업주제 그림책을 일차적으로 총 14권을 선정하였다. 이후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 6인으로부터 내용 타당도를 확인받아 최종 8권의 직업주제 그림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검사도구는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조망수용능력 측정도구」를 기초로 신현옥(1996)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유아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을 수정‧보완하여 이수기(2005)가 사용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김영옥(2003)이 개발한「유아의 친사회적행동 평가 척도」를 서소정(2006)이 간편 형으로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5.0 Win. Program을 사용하였고, 독립표본 t 검증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 에 따른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조망수용능력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조망수용능력의 하위요인인, 타인인지조망수용능력, 타인사고조망수용능력, 타인감정조망수용능력 모두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누리과정 에 따른 일상적인 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행동에 있어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세부적으로는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의 하위요인인 나누기, 도움 주기, 감정이입과 조절하기, 지도성에 효과를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에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직업주제 그림책을 활용한 동극활동이 보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교사들의 노력과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역량으로서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친사회적행동 발달에 중요한 초석으로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 동양의 자연관과 관물론을 기반으로 한 모방과 창조로서의 학춤의 예술적 함의

        강은숙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춤은 조류모방무로 학의 생태와 동작을 모방하고 창조하여 예술로 승화시킨 것으로 예술적 가치를 지닌 춤이다. 본 연구는 동양의 자연관과 관물론을 토대로‘조류모방무’로 지칭되는 학춤의 예술적 의미와 미적 가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학춤에 담긴 동양적 사유와 예술적 함의에 주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학춤은 천인합일이라는 동양의 자연관과 인간의 사유방식에 기초한 예술적 표현이다. 여기서 자연은 인간의 사유의 대상이자 인식의 근원이며, 인간과의 조화를 이루는 무위의 정신과 해탈 등과 같은 동양적 사유가 집약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학춤은 인간과 자연의 접화에 따른 것으로 자연에 존재하는 학의 실재적인 모습을 모방함으로써 또 하나의 자연인‘현상으로서의 자연’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학춤은 ‘인간의 자연화’, ‘자연의 인간화’로, 자연과 동일성을 추구하는 인식의 확장에서 발현된 ‘미적 산물’이라 하겠다. 이러한 학춤에서의 공간은 인간의 현상의 세계가 아닌 추상화되고 이상화된 초월적 자연의 세계상(世界像)이다. 이는 초탈한 허정(虛靜)을 지닌 가시적인 현상의 자연으로 인간의 공간형식으로 존재한다. 이때의 감상자는 이상향적 자연인 복제된 자연을 통해 현실의 삶이 아닌 현상화 된 초월적 자연의 세계를 노닐게 된다. 그러므로 학춤에서 자연은 모방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내적인 인식의 대상으로 존재하며 궁극적으로는 내면의 발견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자연에 담긴‘스스로 그러함’이라는 삼라만상의 원리를 형상화한 학춤은 자연의 순환적 사유방식을 근원으로 하는 한국춤의 미학과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얻게 된 모방과 창조로서의 학춤의 예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와 같이 자연에 담긴‘스스로 그러함’이라는 삼라만상의 원리를 형상화한 학춤은 자연의 순환과 생성의 순환적 사유방식을 근원으로 하는 한국춤의 미학과 일맥상통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 얻게 된 모방과 창조로서의 학춤의 예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류모방무로 학춤은‘학’과‘인간’의 결합으로 물아일체이다. 둘째, 학춤은 인간의 자기 정체적 사유와 존재 기반의 세계관에 대한 표출로서 ‘아’가 투입된 자연이다. 셋째, 학춤은 이물관물과 이아관물을 통한 이치관물의 심미적 실천이다. 넷째, 모방으로서의 학춤은 완전성을 향한 인간의 욕구에서 기인한다. 다섯째, 학춤은 인식대상의 객관과 인식주체의 주관이 융합된 창조이다. 학춤은 자연의 체험을 통해 축적된 직관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연을 상징화하여 인간의 본질 및 생명력 등을 예술적인 감각으로 수용하여 창작된 작품이다. 이러한 학춤의 핵심 가치는 자연의 모방과 창조에 있다. 이러한 학춤이 지닌 창조적 해석의 가치는 전통춤으로서의 복원과 재현뿐만 아니라, 이 시대의 새로운 춤으로 재해석되고 재창조되어야 하며 한국 춤 창조의 기반이 되어야 할 것이다. Crane dance is a bird imitation dance with artistic value that imitate and create the ecology and movement of cranes and sublimates them into art. This study is aimed at examining the artistic meaning and aesthetic value of Crane dance, that is ‘Bird imitation dance’, based on the oriental nature view and Kwan-mul theory. Through this, it will be focused on Crane dance which contains the oriental thoughts and artistic implications and discussed it. Crane dance is an artistic expression based on the oriental nature view and human thinking that is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Here, nature is the object of human thought and the source of recognition, and it can be said that oriental thoughts such as the idleness spirit and nirvana in harmony with human beings are concentrated. Crane dance can be interpreted as 'nature as a phenomenon' as another nature by imitating the actual state of crane in nature according to graft human and nature. In other words, Crane dance is ‘naturalization of human’ and ‘humanization of nature, and it can be said ‘aesthetic fruits’ manifested in the expansion of perception seeking identity with nature. Such space of Crane dance is not the world of human phenomena but it is abstracted, and it is the idealized world picture of transcendental nature. This is the nature of visible phenomena with disinterested deceptive appearance and it exists in the form of human space. At this time, an appreciator will stroll in the transcendental nature world not in real life through replicated nature that is ideal nature. Therefore, the nature in Crane dance is not only an object of imitation, but it exists as an object of inner awareness and leads to inner discovery ultimately. Like this, Crane dance that embodies the principle of all nature that is ‘It is so of itself)’containing in nature is in line with the aesthetics of Korean dance based on the way of thinking in circulation of nature. First, Crane dance is a bird imitation dance and unity of the ego and the outside world in combining with ‘crane’ and ‘human’. Second, Crane dance is nature in which 'A' was put into the expression human self-identical reason and existence-based world view. Third, Crane dance is an aesthetic practice of Ichigwanmul through Imulgwanmul and Iagwanmul. Fourth, Crane dance as an imitation is coming from human desire for completeness. Fifth, Crane dance is a creation fused the objectivity of awareness and the subjectivity of awareness. Crane dance is an art work that symbolizing nature based on accumulated intuition and imagin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nature and accommodating with artistic senses for human nature and vitality. These core value of Crane dance lies on imitation and creation of nature. The creative interpretational value of Crane dance is a restoration and reappearance as a traditional dance, and also it should be reinterpreted as a new dance of these times and be a basis for Korean dance creation.

      • 액티브러닝 기반 딥러닝을 이용한 학습콘텐츠 자동분류 모델

        강은숙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비대면 교육시스템은 사회적으로도 필수적인 인프라로 부상하였으며, 특히 공무원 교육의 경우 인사·직무정보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학습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또한 교육시스템은 한정된 공급체계의 콘텐츠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국내·외 연구기관 및 민간의 최신 자료 등 다양한 정책 자료를 연계하고 학습자가 관심 있거나 직무와 관련된 학습콘텐츠를 직접 제작하고 유용한 학습 자료를 발굴하여 동료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콘텐츠 공급자로서의 역할도 병행하게 되었다. 콘텐츠에 대한 최근 분류 및 레이블링 관련 기술은 사람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법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머신러닝을 이용한 준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형태의 학습콘텐츠 자동분류 모델이 연구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개인화 맞춤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해 액티브러닝(Active Learning) 기반의 딥러닝을 이용하여 학습콘텐츠를 자동 분류하는 기법을 연구·분석하였다. 액티브러닝은 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할 때 모델이 분류하기 어려운 데이터 등 특징적인 초기데이터를 선별하여 학습하게 함으로써 적은 훈련시간으로 더 좋은 성능의 모델을 만들기 위한 방법론이다. 즉, 사전에 레이블링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모델을 통해서 레이블링되지 않은 데이터를 선별하고 사람이 직접 레이블링한다. 새로 레이블링된 데이터를 기존 데이터 셋과 합친 후 목표 성능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때 학습데이터를 선별하는 접근법이 액티브러닝의 핵심인데, 대표적인 접근법으로 모델이 분류하기 어려운 불확실성(Uncertainty)접근법과 데이터의 실제 분포와 유사하도록 데이터를 선별하는 다양성(Diversity)접근법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액티브러닝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공무원 학습플랫폼의 학습콘텐츠 정보로부터 메타데이터를 24,227건 생성하여 학습데이터로 확보하였다. 액티브러닝의 학습콘텐츠 분류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에서 기준(Baseline)을 확보하기 위해 BERT 기반 딥러닝을 이용하는 텍스트 분류 모델에 무작위로 데이터를 선택하는 Random Sampling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SVM과 같은 머신러닝 기반 텍스트 분류모델에 비해 액티브러닝이 적용된 BERT 기반 딥러닝을 이용한 텍스트 분류 모델의 성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액티브러닝 모델의 학습콘텐츠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학습데이터 선별방법인 Uncertainty 접근법과 다양성 접근법 중 하나인 Core-set 접근법 방식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해 동일한 학습콘텐츠 분류 정확도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필요한 레이블링된 학습데이터 수가 Core-set 접근법을 적용한 액티브러닝이 Uncertainty 접근법을 적용한 액티브 러닝에 비하여 7% 적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Core-set 접근법을 적용한 액티브러닝 방식은 90.7%의 학습콘텐츠 분류 정확도를 달성하기 위하여 1,200건의 데이터만 레이블링하여도 학습콘텐츠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데이터를 16,842건을 분류하기 위한 시간(80시간)에 비해 1,200건(7시간 추정)으로 커다란 시간 절감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이 액티브러닝 기반의 딥러닝을 이용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학습콘텐츠 자동분류가 가능하다는 것을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제안 방법을 개인화 학습플랫폼에 적용할 경우 맞춤형 학습서비스에 핵심적인 기능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의 정(情)문화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 고급학습자를 대상으로

        강은숙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ulture is the way humans live in the world. In there, we think, feel emotions and make relationships with others. Culturally, Korean society has a strong tendency toward collectivism in contrast with individual tendency in western society. This can be seen through the concept of ‘Woori’. Koreans give and share Jeong in ‘Woori’ Community and get attached. ‘Jeong’ that permeates Korean life is an item which is Korean emotion and belongs to Korean mental culture or value culture. This mental and abstract culture area is difficult to be conveyed enough with only teacher’s explanation. In this case, using literary works to allow learners to experience culture indirectly will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ducation. A literary work contains various and vivid cultures of its background. Therefore, it is useful for Korean learners. Because they can easily acquire daily culture and mental culture through i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relatively recent that Jeong culture which belongs to mental and value culture began to attract attention. So far, Jeong culture education has been centered on vocabularies, idioms, proverbs and discourse expressions, but in-depth Jeong culture education by using literature text has still been out of leading researcher’s mind. Thus,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he students and teachers to find out how Jeong culture had been learned in the education field. Additionally, deep personal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Through thi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necessity and validity of Jeong culture education have been confirmed. Following that, Korean textbook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it was examined how Jeong cultural contents were consisted in the learning contents. They were level 5 and 6 which had been used in Korean language institutes of 5 Korean universities where their own Korean textbooks were published. From the analysis result, it was shown that Jeong cultural contents were focused on vocabularies and discourse expressions. Unfortunately, there were few Jeong culture classes using literature text at most education field.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the education plan of Korean Jeong culture by using literature text. Class model of Jeong culture education is consist of 5 stages, ‘Introduction – General approach – Analytic approach – In-depth learning - final review’. Applying this class model, it presents a lesson plan by using「My beautiful neighbor」written by Park, wan suh that consists of 4 detailed steps. Overall class activities were planed to make the learner-centered class by applying inter-cultural approach. This Jeong culture class will be able to be completed with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nd teachers’ clear sense of culture. If this paper can be a teaching metho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which can fulfill the desire for in-depth cultural understanding of advanced Korean learners, it will be a little meaningful research. However, the fact that the proper list of literary works for Korean Jeong culture education was not made due to the circumstances i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 hope that willing researchers will do this work together in the near future.

      • REBT에 근거한 미술치료가 가출 청소년의 분노에 미치는 효과

        강은숙 대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rt therapy based on REBT that affects the anger alleviation of runaway homeless youths.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girls from runaway and homeless shelter in D city, and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arried out weekly 2 sessions for 6 weeks from March 1 to April 19, 2007. The change of the grade was examined between the pre/post Irrational Belief Test, the changes of items in each scale were compared and the change of thought was analysed in each sess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And for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nger alleviation, the changes of frequency were presented and compared as graphs after observing secondary anger thought-verbal, which is an anger behavior.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of following steps: rapport, establishing goal, explaining REBT theory, investigation track dysfunctional schema, problem solving and a close.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are indicat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rt therapy based on REBT was effective in the change of irrational belief caused by runaway and homeless youths' anger. The grades were decreased in love slobbism scale, catastrophizing scale, perfectly competence scale and self-reflective conclusion scale. Second, the art therapy based on REBT reduced and improved the anger behaviors. It was observed that the frequency of using anger thought-verbal was reduced while the subjects were talking.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scertained the fact that the art therapy based on REBT resulted in positive changes on the level of anger by applying the education and practice which change the irrational belief caused by runaway and homeless youths' anger to rational belief. It is suggested that art therapy for runaway and homeless youths has to be carried out not as an one-off performance but as a continuing program with concern and affection to them.

      • TREASURE Talk 코칭모델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상호작용기술 증진 효과

        강은숙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1. 국 문 요 약 본 연구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훈련을 통해 상호작용기술 효과가 어떠한지, 코칭접근에 따른 상호작용기술 교육‧훈련의 효과 및 현장적용의 만족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 훈련을 통한 유아교사의 상호작용기술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문제2.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 훈련과정과 교육 후 유아교사의 현장 적용 만족도는 어떠한가?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훈련은 2015년 4월 28일부터 4월 30일까지 경기도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 22명을 대상으로 총 2회에 걸쳐 10시간의 교육이 이루어졌다. 첫째,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훈련을 교사교육 과정을 동영상으로 촬영하고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를 사용하여 TREASURE Talk전문가로 박사2인 석사2인의 총 4인의 관찰자 일치도로 훈련효과를 보았다. 둘째,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훈련의 과정과 교육 후 현장에서 적용한 유아교사의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훈련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인터뷰를 위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연구자가 구성하여 TREASURE Talk전문가 박사과정 3인의 타당도를 받고 2015년 6월16∼일17일에 22인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22명 중 18명의 교사(88%)가 TTCS(TREASURE Talk Coding system)과제를 통과하고 4인의 전문가 관찰일치도에 의해 각 카테고리간의 일치도가 88%로 높은 효과가 있음을 알았다. 둘째 TREASURE Talk코칭모델 교육‧훈련교육 후 유아교사들의 인터뷰 결과 새로운 상호작용기술을 인식하고, 현장에서 사용함에 있어서 100점 만점에 평균86% 만족하다는 결과를 나타내어 TREASURE Talk 교육‧훈련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 토큰강화체제가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은숙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토큰강화체제가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업 중 문제행동으로 학습이 거의 이루지지 않 고 비사회적인 행동으로 친구들과 종종 갈등을 겪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 한 명이다. 이 연구에서는 토큰강화체제가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토큰강화체제가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 즉, 수업 중 엎드리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기, 코 후비기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토큰 강화체제의 중재효과는 투입이 종료된 이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 되는가? 이 연구를 위한 실험 설계는 행동 수정 기법 중 ABAB 모형의 반전설계법 을 이용하여 기초선Ⅰ 기간, 중재Ⅰ 기간, 기초선Ⅱ 기간, 중재Ⅱ 기간, 그리고효과가 지속되는지 알아보기 위한 유지 기간을 설정하였다. 회기는 총 32회기 로 기초선 1차 4회기, 중재 1차 7회기, 기초선 2차 4회기, 중재 2차 8회기, 그리 고 유지 4회기로 설정하였다. 중재 기간 중 토큰은 대상 학생과 합의하여 점수 로 지급하고 누적된 점수에 따라 원하는 음식물이나 문구류, 칭찬문자 등을 후 속강화물을 지급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강화체제는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 즉, 수업 중 책상에 엎드 리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기, 코 후비기 행동을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다. 특히 토큰강화를 실시하자마자 그 효과가 매우 즉각적으로 나타났는데 표적행동으로 설정한 수업 중 책상에 엎드리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기, 코 후비기 행동빈도가 기초선 기간에 비해 중재 기간에 크게 감소하였다. 둘째, 토큰강화를 통한 중재 효과는 중재가 끝난 뒤에도 유지된다. 토큰강화 를 철수한 기초선Ⅱ 기간과 유지기간에도 수업 중 문제행동은 기초선Ⅰ 기간처 럼 그 빈도수가 높게 나타나지 않고 토큰강화의 효과가 그대로 유지되었다. 셋째, 기초선Ⅰ 기간에 비해 기초선Ⅱ 기간에는 수업 중 문제행동이 크게 감 소하였다. 중재를 철수한 기초선Ⅱ 기간의 경우 기초선Ⅰ 기간과 비슷한 수준 으로 문제행동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연구자의 예상과는 달리 기 초선Ⅱ 기간에도 중재Ⅰ 기간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토큰강화체제가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을 관 리하고 수정하는 것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큰강화체제가 초등학생의 수업 중 문제행동을 다루는데 긍정적인 효 과가 있었다. 다만 실험대상 학생이 한 명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연구결과를 일 반화하는데 제한점이 따른다. 둘째, 토큰강화의 긍정적인 효과는 중재가 철수한 뒤에도 유지되었다. 이는 토큰이나 후속강화물을 통한 강화 외에도 개인의 행동을 통제하는 또 다른 심 리적인 메커니즘이 무엇인지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김소희, 정용석(2015)의 제안에 설득력이 있음을 보여준다. 학생이 보이는 행동의 변화를 객관적으로 보는 눈과 더불어 토큰강화체제로 인해 학생의 내면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관심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이 연구에서는 행동 수정이 정규 수업시 간을 통해 이루어졌으나 학생의 문제행동의 이면에는 가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가정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토큰강화체제를 연구해야 할 것이 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