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화학평형과 화학반응속도 관련 그래프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들의 그래프 해석

        강윤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d the interpretation of the graph by teacher and preliminary teachers about graph on the chemical reaction rate and chemical equilibrium described in the textbook of chemical Ⅱ high school. Questionnaire were created and analyzed the four kind of 2009 educational curri Ⅱ texculum revision chemicaltbook. This study is based on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who majored in Chemistry Education in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in major city. The result of analysis on four kinds of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chemical Ⅱ textbook, indicates that the graph of free energy was difficult to understand due to lack of explanation. The graph of concentration change and the graph of speed rate change over reaction time, the graph of first order reaction and half-life graph are relevant, but there was no explanation about this in the text book. In the test book, the equilibrium is moved to either reverse reaction and xxxxxx with the temperature change, the graph associated with this didn't revealed. Exothermic reaction and endothermic reaction can be associated with distribution curve graph of kinetic energy of gas molecule. but it has not been described in conjunction. The graph shows the change in the activation energy with catalyst. But there is no explanation of why. Thus, it could b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graphs. Questionnaire consists of 6 questions regarding Gibb's free energy, the association between graph of concentration change and the graph of speed rate change over the reaction time, equilibrium change due to temperature change, the relevance of the graph of first-order reaction and the half-time graph, the distribution curve of kinetic energy of gas molecules by temperature, and the graph of activation energy change due to catalysis. Semi-constru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0 in-service and preliminary teachers with respect to their questionnaire responses. First of all,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s, it turned out that interviewees knew a reverse reaction occurs voluntarily in the free energy change graph because of ΔG>0. However, they did not know exactly which arrow (one-way or two-way) to use. Secondly, There are forward and reverse reactions because it is a reversible reaction, and the forward reaction speed net, the difference of forward and reverse reactions exists. However, because there is no explanation about this, interviewees thought forward reaction speed net was 23%. Third, interviewees applied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molecules that have energy more than activation energy and Le Chatelier's principle to explain the reaction rate change when the temperature rises rather than using Arrhenius equation. When it was explained with Arrhenius equation, they applied it by memorizing the equation without application. This is due mainly to learn about the quantitative part, but does not account for the qualitative part. Fourth, 33% of interviewees figured ou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graph of reactant concentration speed and the graph of the half-time by reactant concentration. Even if they do not know the equation or if the graph is first order reaction, the slop of tangent can be obtained by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the graphs. The textbooks do not explain the association of two graphs so that it is difficult to notice the relevance of the two graphs. However, if the concept of reaction rate is well established, the association of two graphs is easily found. Fifth, the interviewees explained the progress of reaction by looking at the energy distribution graph of kinetic energy of gas molecule due to the temperature change by the exothermic reaction and an endothermic reaction, but they could not explain the temperature change from the energy change graph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reaction. This is because although the temperature change due to the exothermic reaction and an endothermic reaction is mentioned in the textbook, but it doesn't seem to explain this by energy change graph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progress. Sixth, 84% of the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knew that it becomes two-peaks due to the intermediate when using a catalyst. However, when a catalyst is used the two-peak graph is drawn according to the reaction mechanism, and the graph that illustrates a decrease in activation energy with no change of peak is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concept. Thus, both graphs were considered correct.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observed that it would help in making distinction of usage of arrows if the meaning of one-way and two-way arrow in chemical formula is explained and distinctly used in class. In the chapter of chemical equilibrium and chemical reaction rate, description on relevance between the graphs can help understand the concept. Also Students could have a problem with interpreting the graph. Teachers need to help them to interpret the graph.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화학Ⅱ 교과서에 제시된 화학평형과 화학반응속도 관련 그래프에 대한 교사와 예비교사의 그래프 해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Ⅱ 교과서 4종을 분석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연구대상은 대도시 소재 대학교와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에 재학 중인 교사와 예비교사이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화학Ⅱ 교과서 4종을 분석한 결과, 자유에너지 그래프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웠다. 반응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 그래프와 반응 시간에 따른 속도 변화 그래프, 1차 반응 그래프와 반감기 그래프는 연관성이 있지만 교과서에서 이와 관련된 설명이 없었다. 온도 변화에 따라 정반응과 역반응 중 어느 쪽으로 평형이 이동하는지 설명하지만, 이와 관련된 그래프는 제시하지 않았다.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을 온도에 따른 기체분자의 운동 에너지 분포 곡선 그래프와 연관시킬 수 있지만, 연관시켜 설명하지 않고 따로 설명하였다. 촉매에 의한 활성화 에너지 변화 그래프를 보여주지만, 그 이유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따라서 그래프를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설문지는 6문항으로 자유에너지 변화 그래프, 반응시간에 따른 농도 변화 그래프와 반응 시간에 따른 속도 변화 그래프의 연관성, 온도 변화에 의한 화학평형의 이동, 1차 반응 그래프와 반감기 그래프의 연관성, 온도에 따른 기체분자의 운동 에너지 분포 곡선, 촉매에 의한 활성화 에너지 변화 그래프로 구성되었다. 교사와 예비교사 10명을 선정하여 설문지 응답에 대한 반구조화 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첫째, 자유에너지 변화 그래프에서 ΔG>0이므로 역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은 알지만, 화학 반응식에서 단 방향 화살표를 사용해야하는지 양쪽 화살표를 사용해야하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였다. 둘째, 가역반응에서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가 있으며, 정반응 속도와 역반응 속도 차인 알짜 정반응 속도가 존재한다. 그러나 교과서에서 이를 설명하지 않아 알짜 정반응 속도를 23%가 알고 있었다. 셋째, 온도를 높였을 때 반응 속도의 변화를 아레니우스 식을 사용하여 설명하기 보다는 활성화 에너지 이상의 에너지를 가지는 분자수의 변화와 르샤틀리에의 원리를 적용하여 설명하였다. 아레니우스 식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경우 수식을 외우고 있지만, 이를 적용하지 못하였다. 이는 정량적인 부분에 대해 주로 배우지만, 정성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기 때문이다. 넷째, 반응물의 농도와 반응 속도 그래프와 반응물의 농도에 따른 반감기 그래프의 연관성을 33%가 알았다. 그래프가 1차 반응이라는 사실을 모르거나, 수식을 모르더라도 그래프의 연관성을 이해한다면 접선의 기울기를 알 수 있다. 교과서에서 두 그래프의 연관성에 대해 설명하지 않아, 두 그래프가 연관성이 있는지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반응속도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면 두 그래프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낼 수 있다. 다섯째,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에 따른 온도 변화로 기체 분자의 운동 에너지 분포 그래프를 보고 반응의 진행을 설명하였지만, 반응 진행에 따른 에너지 변화 그래프로 온도의 변화를 설명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교과서에서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에 따른 온도변화를 언급하지만, 반응 진행에 따른 에너지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설명하지 않기 때문에 연결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여섯째, 84%의 교사와 예비교사들이 촉매를 사용했을 때 중간체에 의해 봉우리가 2개로 변하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촉매를 사용했을 때 봉우리가 2개인 그래프는 반응 메커니즘에 맞게 그린 것이고, 촉매를 사용했을 때 봉우리의 변화 없이 활성화 에너지만 감소한 그래프는 개념이해에 도움이 되도록 쉽게 만든 것이므로 두 그래프 모두 타당하다고 생각하였다. 연구결과로 부터 화학 반응식에 대해 배울 때 단 방향 화살표와 양쪽 화살표의 의미에 대해 설명해 주고 이를 구분해 준다면 화살표를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화학평형과 화학반응속도 단원에서 사용하는 그래프 사이에 연관성에 대해 설명을 해준다면,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학생이 그래프를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교사가 그래프를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 의료기관 보건관리자의 감정노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강윤서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의료기관 보건관리자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감정노동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 30병상 이상의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보건관리자 234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3년 2월 1일부터 2월 15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 Version 21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aron과 Kenny의 3단계 매개효과, Sobel test, Bootstrapping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감정노동은 평균 3.28±0.72점(5점 만점), 하위영역별 평균은 표면행위 3.30±0.83점(5점 만점), 내면행위 3.26±0.84점(5점 만점,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2.40±0.39점(4점 만점), 삶의 질은 평균 3.56±0.57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삶의 질 차이는 최종학력(F=3.04, p=.05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직무관련 특성에 대한 삶의 질 차이는 고용형태(t=-2.07, p=.040), 승진기회(t=2.77, p=.006), 코로나19 전·후 스트레스 증가(t=-3.52, p=.001), 코로나19 전·후 업무량 증가(t=-2.90, 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삶의 질은 감정노동(r=-.298, p<.001), 표면행위(r=-.310, p<.001), 내면행위(r=-.178, p=.006), 직무스트레스(r=-.476, p<.001)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노동은 하위영역인 표면행위(r=.925, p<.001), 내면행위(r=.782, p<.001) 그리고 직무스트레스(r=.296, p<.001)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표면행위은 내면행위(r=.487, p<.001)와 직무스트레스는 표면행위(r=.281, p<.001)와 내면행위(r=.219, p=.001)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노동(β=-.171, p<.001)과 직무스트레스(β=-.387, p<.001)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3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감정노동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1%였다. 표면행위(β=-.197, p<.001)와 직무스트레스(β=-.379, p<.001)이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부(-)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단계에서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변수로 하였을 때 표면행위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31.9%였다. 마지막으로 3단계에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내면행위(β=-.065, p=.271)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β=-.425, p<.001)는 삶의 질에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가 삶의 질을 설명하는 정도는 26.2%로 나타났다. 다섯째, Sobel test를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과 삶의 질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변수로 확인되었으며(Z=-3.597, p<.001)., 표면행위와 삶의 질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변수로 확인되었고(Z=-3.657, p<.001), 내면행위와 삶의 질 관계에서는 직무스트레스가 완전매개변수로 확인되었다(Z=-2.550, p=.010). 여섯째, 부트스트래핑 실시한 결과, 감정노동과 표면행위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접효과 크기가 각각 -.08, 0.7이었고,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0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하지만 내면행위의 삶의 질에 대한 직접효과 크기가 -.04이었고 하한값과 상한값 사이에 0을 포함하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attempte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health managers in medical institutions, and to grasp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in the process of emotional labor affecting quality of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34 health managers working in medical institutions with more than 30 beds nationwide,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 to February 15,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Baron and Kenny's three-step mediating effect, Sobel test, and bootstrapping using IBM SPSS Statistic Version 21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emotional labor of the subjects averaged 3.28±0.72 points(out of 5 points). The average scores by subcategory were 3.30±0.83 points(out of 5 points) for surface acting, and 3.26±0.84 points(out of 5 points) for deep acting. Job stress averaged 2.40±0.39 points(out of 4 points), and the quality of life was 3.56±0.57 points(out of 5 points). Second, the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F=3.04, p=.050).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quality of life for job-related characteristics in employment type (t=-2.07, p=.040), promotion opportunities (t=2.77, p=.006), increased stress before and after COVID-19 (t=-3.52, p=.001), and increased workload before and after COVID-19 (t=-2.90, p=.004). Third, quality of lif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r=-.298, p<.001), surface behavior (r=-.310, p<.001), internal behavior (r=-.178, p=.006), and job stress (r=-.476, p<.001). In addition,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be positively (+) correlated with sub-domains of surface behavior (r=.925, p<.001), internal behavior (r=.782, p<.001) and job stress (r=.296, p<.001).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internal behavior (r=.487, p<.001) for surface behavior and surface behavior (r= .281, p<.001) and internal behavior (r=.219, p=.001) for job stress. Fourth, emotional labor (β=-.171, p<.001) and job stress (β=-.387,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when job stress was used as a parameter in step 3, emotional lab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partially mediated,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1%. Surface behavior (β=-.197, p<.001) and job stress (β=-.379, p<.001)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quality of life. In addition, when job stress was used as a parameter in stage 3, surface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quality of life and was partially mediated,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1.9%. Finally,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step 3 and found that internal behavior (β=-.065, p=.271) was not significant, and job stress (β=-.425, p<.001)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quality of life. The extent to which these variables explained quality of life was 26.2%. Fifth, as a result of the Sobel test, job stress was identified as a partial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quality of life (Z=-3.597, p<.001), job stress was identified as a partial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rface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Z=-3.657, p<.001), and job stress was identified as a complete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Z=-2.550, p=.010). Sixth, as a result of bootstrapping, the indirect effect magnitudes were -.08 and 0.7, respectively,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surface behavior on quality of life mediated by job stres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it did not contain 0 between the lower and upper limit values.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the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inner behavior was -.04 and included 0 between the lower and upper limits.

      •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한 도자디자인 공동 작업 과정 연구 : 컬처럴 프로브를 중심으로

        강윤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Digital devic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ety are affecting deep into our lives. User opinions and experiences have become more important than before, and a problem-solving method called design thinking has been created. The role of users who actually use products is starting to become more important than consumers who purchase products. As it moved to modern times, the meaning of crafts gradually expanded, and the researcher judged that research on users in the field of ceramic art, the researcher's undergraduate major, was needed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design thinking was identified and the concept of craft and the modern ceramic industry were examin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ase of collaboration with ceramic art was examined. We would like to propose a new pottery collaboration method that uses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o design the production process and to find out the needs of users through a collaborative method of collaborating with producers and user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users' needs and directions for ceramic art work can be derive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The collaborative process designed using the design thinking process consists of five stages. First, in the ‘Empathy’ stage where the daily life of the collaborator is delivered through a cultural probe. Second, it is ‘Defining’ stage to take the collaborator's insights based on the outcome at the first stage. Third, in the 'Idea derivation' stage, the design with the motif of Insight is communicated with the collaborator and the final design is confirmed. Fourth, after creating a 3D prototype in the 'prototype' stage, it begins to be produced in real life. In the final stage, the 'Test' stage, feedback on the work and process is received from the collaborator. Collaborator A preferred to consist of a regular curve in the formative part. In terms of color, white colors with an image of indifference or neatness were preferred. Collaborator B preferred traditional form and simplicity in terms of form. In the color section, the arrangement of colors with an image of splendor was preferred and harmony was emphasized. Finally, collaborator A derived my own time, freedom, and collaborator B derived my own and immersion as insights. The shape was made by spinning wheel molding, and the handle was molded by pushing the plate. There is a shrinkage rate in the soil. The white clay used in this study showed a shrinkage rate of 13% to 15%. In order to calculate the shrinkage rate, the dimension of the finished product was first set, and then the manufacturing drawing was designed by 1.15 times. The manufactured work was completely dried and then cut at a temperature of about 850 degrees in a 0.14-cubic meter electric kiln. After initialization, Task A was colored with a combination of white and woodtone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the collaborator. The body part was colored using colored clay, and the handle was colored using brown clay. Work B colored the background color except for the pattern to give it a grayish-blue-powdered celadon-like look, and the pattern was colored with white clay. Secondary firing (chivalry) was fired at a temperature of about 1250 degrees in the same kil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ed material was smoothly polished with diamond sand. Through this study, we wanted to get an answer to the essential question of "Why do you do art?" beyond the analog appearance and digital application of ceramic art. The user's needs could be understood through the design thinking proces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discussions could be drawn. First, through the collaborative process, I was able to immerse myself in the work by deeply understanding the insights of a consumer. Second, communication with collaborators increases the satisfaction of consumers (co-workers) and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Third, due to the uncertainty of the ceramic work results, additional production processes through feedback are required.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develop into ceramic design production processes, platforms, and services in the future. In addition, if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ors A and B and the insights through cultural probes could be applied to a persona, it would be benefitted to identify, categorize, and segment the user group for ceramic industry. If there are much more images, photos, other way of collecting user preference at the image preference survey, it could be also helpful for suggesting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not only for ceramic but also for other crafts such as metal, wood, paper, jewelry, etc. In the changing modern society, the direction of ceramic design should be prioritized by customers. In addition to the concept of consumers, the insights provided as users and producers will present a new direction in the field of ceramic design. 4차 산업혁명 사회 속 디지털 기기들은 우리의 삶 속에 깊은 곳까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전보다 사용자의 의견 및 경험이 중요해졌고 디자인 씽킹이라는 문제 해결 방법이 만들어졌다. 제품을 구매를 하는 소비자보다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역할이 중요해지기 시작했다. 현대로 넘어오며 공예의 의미가 점차 확대되었고 연구자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의 흐름 속에서 연구자의 학부전공인 도자예술분야의 사용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디자인 씽킹의 개념을 알아보고 공예의 개념 및 현대 도예 산업을 살펴봄으로써 이론적인 배경으로 제시하였고 도자 예술과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살펴보았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제작과정을 디자인하고 제작자와 사용자와의 협업하는 공동 작업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를 알아내는 새로운 도예 공동 작업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자예술 작업에 대한 사용자의 니즈와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활용하여 디자인한 공동 작업 과정은 디자인 씽킹 5단계 구성처럼 다섯 가지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첫번째, ‘공감하기’ 단계에서 컬처럴 프로브를 통해 공동작업자의 일상을 전달받는다. 두번째, ‘정의하기’ 단계에서 공동작업자의 인사이트를 도출한다. 세번째, ‘아이디어 도출’ 단계에서는 인사이트를 모티브로 한 디자인에 대해 공동작업자와 소통하고 최종디자인을 확정한다. 네번째,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3D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후 실물제작에 들어간다. 마지막 단계인 ‘테스트’ 단계에서 공동작업자에게 작업 및 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받는다. 공동작업자 A는 형태적인 부분에서 정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선호했다. 색상 부분에서는 난색계열 또는 깔끔함의 이미지를 가진 화이트 색상을 선호했다. 공동작업자 B는 형태적인 부분에서 전통적인 형태와 심플함을 선호했다. 색상 부분에서는 화려함의 이미지를 가진 색상의 배열을 선호했고 조화로움을 강조했다. 최종적으로 공동작업자 A는 나만의 시간, 자유, 공동작업자 B는 나만의 것, 몰입을 인사이트로 도출하였다. 물레성형으로 형태를 제작했으며 손잡이의 경우 판을 밀어 성형하였다. 흙(소지)에는 수축률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 사용한 백자토의 경우 13%~15%정도의 수축률를 보인다. 수축률을 계산하기 위해 완성품에 대한 치수를 먼저 설정한 다음 1.15배를 하여 제작도면을 설계하였다. 제작이 완료된 작업물은 완전 건조시킨 뒤 0.14루베 전기가마에서 약 850도의 온도로 초벌하였다. 초벌 후, 작업 A는 공동작업자의 의견에 따라 흰색과 우드톤의 조합으로 채색되었다. 색화장토를 이용해 몸통 부분을 채색하였고 손잡이는 갈색 화장토를 이용해 채색하였다. 작업 B는 무늬를 제외한 배경색을 작업 A보다 어두운 갈색으로 분청사기와 같은 느낌을 주기 위해 채색하였고 무늬는 흰색 화장토로 채색하였다. 2차 소성(재벌)은 같은 가마에서 약 1250도의 온도로 소성하였다. 소성이 끝난 기물의 바닥면은 다이아몬드 사포로 부드럽게 연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자예술의 아날로그적인 모습과 디지털적인 응용을 넘어서 궁극적으로 ‘왜 예술을 하는가?’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사용자의 니즈를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를 통해 이해할 수 있었고 다음과 같은 결론 및 논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공동작업과정으로 한 소비자의 인사이트를 깊이 있게 이해하여 작업물에 몰입할 수 있었다. 둘째, 공동작업자와의 소통은 소비자(공동작업자)의 만족도와 작업물의 완성도를 높인다. 셋째, 도예작업 결과물의 불확실성 때문에 피드백을 통한 추가적인 제작과정 반복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과정 및 결과는 추후 도자디자인 제작 프로세스, 플랫폼, 서비스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공동작업자 A와 B의 특성과 컬처럴 프로브를 통해 도출된 인사이트를 페르소나에 적용시킨다면 도자기 작업물에 대한 사용자층을 파악할 수 있고 이미지 선호도 조사에서 다양한 이미지의 사진을 선정하여 진행한다면 도자기를 비롯한 다양한 공예분야 제작 과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변화하는 현대사회에서 도자디자인의 방향성은 고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소비자의 개념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제작자로서 제공해주는 인사이트는 도자디자인분야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해 줄 것이다.

      • 중국 맥주 라벨과 도시 브랜드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칭다오 맥주 라벨을 중심으로

        강윤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사회에 유행하고 있는 광고와 달리, 라벨은 일반적으로 작은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라벨과 광고는 사이즈와 형식에 있어 많은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 제품의 가치를 홍보하기 위한 것인 만큼 내포한 의미가 유사하다. 우선 차이점을 먼저 살펴보면, 라벨보다는 광고가 더 개방적으로 나타나며, 광고는 소비자로 하여금 상상하도록 만들곤 한다. 반면 라벨은 광고보다 함축적이며, 직접적으로 브랜드의 핵심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종종 광고와 라벨을 두고 “곡(曲)이 달라도 교묘한 솜씨는 똑같다”라는 말을 들을 수 있다. 현대의 맥주 라벨은 더 많은 부호 의미를 부여받았으며, 단순히 제품과 기업의 정보를 소비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넘어, 일정한 사회적 특성 그리고 문화 전달 기능과 경제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라벨은 판촉효과 및 판매업체와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상품의 신뢰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자는 라벨이 아주 큰 연구 가치를 갖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현재까지 맥주 라벨과 도시 브랜드 간의 상호작용을 논의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운 경향이 있었다. 본 연구는 이를 고려하여, 칭다오 맥주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Unlike advertisements popular in modern society, labels come in small sizes from beginning to end, usually in rectangular or oval shap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size and format between labels and advertisements, but both are meant to promote the value of the product, and the meaning is the same. There is more open advertising than labels and more space to imagine. In contrast, labels are more implicit and direct than advertising. It is said that the meaning of advertisements and labels is like “Even if the songs are different, the craftsmanship is the same.” Beer labels not only record and deliver product and company information, but also beer labels in the modern consumer market are given more sign meaning. Beer labels have certain social characteristics, cultural transfer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In addition to the ability to describe and communicate these products, label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motional effects and communication with vendors and consumers. Furthermor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is also greatly influenced. So I think labels have a lot of research value. Since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the interaction of beer label and city brand, this paper will focus on Tsingtao beer.

      •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위한 실금관리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강윤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test the effect of an incontinence care education program for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t conceptualized the provision of the education program as a way to improve incontinence care knowledge and attitudes and to actively induce the practice of incontinence care. The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ADDIE model, and consists of six sessions, two group sessions on theory education and four individual sessions on practical training. Subjects were caregivers and elderly people with incontinence at long-term care facilities located in C province, each with fewer than 100 resi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made up of 22 caregivers and 22 elderly people with incontinence, and the control group 24 caregivers and 23 elderly people with incontinence. The effect of the education program was measured by caregivers’ incontinence care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performance of care techniques and diaper hygiene care). The effect on the elderly with incontinence was measured by skin moisture, skin pH, and severity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22.0.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hile homogeneity tests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using X²,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effect of the incontinence care education program over time was tested using repeated measures ANOVA. Paired t-tests were used to test the intertemporal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test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at each time point.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time such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caregivers who experienced the incontinence care education program, differed over time from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caregivers who did not receive incontinence care education, in their scores for incontinence care knowledge (F=33.655, p<.001), attitude (F=16.427, p<.001), care techniques (F=33.554, p<.001), and diaper hygiene care performance (F=32.313, p<.001). There wa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roup-by-time interaction for the elderly subjects such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elderly people with incontinence cared for by the experimental group of caregivers, differed over time from the control group, consisting of elderly people with incontinence cared for by the control group of caregivers, in skin moisture at the coccyx (F=14.313, p<.001) and average skin moisture (F=5.271, p=.009).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s below the buttocks. The group-by-time inter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skin pH, which differed over time on average(F=48.782, p<.001), at the coccyx (F=19.139, p<.001), and below the buttocks on the left (F=49.677, p<.001) and right (F=30.030, p<.001), as well as for severity of incontinence-associated dermatitis (F=5.444, p=.019). The above results show that systematic incontinence care education for caregiv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leads to an increase in incontinence care knowledge, positive attitudes toward incontinence care, and ultimately contributes to an improvement in the skin conditions of the elderly with incontinence through an active intervention of incontinence care behavior. In order to facilitate more effective incontinence care,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not only the implementation of systematic incontinence care education, but also systematic reporting of incontinence, establishment of incontinence management systems, allocation of caregivers based on the severity of elderly residents’ conditions, and improvement of the bathroom environment for more convenient excretion care.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실금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위한 실금관리 교육프로그램 제공이 요양보호사의 실금관리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고 실금관리 행위를 적극적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개념화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ADDIE모형을 토대로 개발하였으며, 집단 이론교육 2회기와 개별 실습교육 4회기의 총 6회기로 구성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소재한 100인 미만의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와 실금노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군은 요양보호사 22명과 실금노인 22명, 대조군은 요양보호사 24명과 실금노인 23명이었다. 실금관리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는 요양보호사의 실금관리 지식, 태도 및 행위(요양기술과 기저귀위생간호 수행능력)로 측정하였고, 실금노인에 대한 효과는 피부수분, 피부산도, 실금관련피부염의 중증도를 측정하였다. 실금관리 지식과 태도 및 요양기술은 설문조사를 하였고, 기저귀위생간호 수행능력은 연구보조원의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그리고 실금노인의 피부수분과 피부산도는 측정기계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실금관련피부염의 중증도는 Incontinence Associated Skin Damage And Its Severity Instrument(IASD.D2)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22.0 version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X²와 t-test 및 Fisher’s exact test, 실금관리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시간 경과에 따른 효과검증은 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다. 시점간의 종속변수 차이검증은 paired t-test, 각 시점에서 집단 간 종속변수 차이검정은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실금관리 교육프로그램을 교육받은 요양보호사실험군은 교육을 받지 않은 요양보호사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금관리 지식(F=33.655, p<.001), 태도(F=16.427, p<.001), 요양기술(F=33.554, p<.001) 및 기저귀위생간호 수행능력(F=32.313, p<.001)의 점수가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 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요양보호사실험군이 관리한 실금노인실험군은 요양보호사대조군이 관리한 실금노인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골과(F=14.313, p<.001) 평균 피부수분에서(F=5.271, p=.009)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다만, 둔부아래 좌측과 우측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피부산도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평균 피부산도(F=48.782, p<.001), 미골(F=19.139, p<.001), 둔부아래 좌측과(F=49.677, p<.001) 우측(F=30.030, p<.001)에서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금관련피부염의 중증도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개선되었으며, 집단과 시점간의 교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5.444, p=.019). 이상의 연구결과, 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에 대한 체계적 실금관리 교육은 실금관리 지식의 향상과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하며, 궁극적으로 실금관리 행위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실금노인의 피부상태 개선을 도모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체계적 실금관리 교육의 시행과 더 나아가 효과적인 실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실금 보고와 관리체계 수립과 입소노인 중증도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인력배치 및 배설관리의 편의성을 위한 화장실 환경의 개선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컨셉스토어의 감성디자인을 위한 공간연출 표현요소 연구 : J 패션 디자이너 브랜드를 중심으로

        강윤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사회적, 문화적 패러다임의 변화로 이성보다는 감성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풍조의 변화는 소비자 가치관에도 영향을 주어 이성중심의 소비에서 가치소비로 소비자의 가치관이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판매공간 또한 단순히 판매만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에서 벗어나 소비자와 소통하고 적극적인 유입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 속에서 등장한 판매공간이 컨셉스토어이다. 소비자는 감성을 중시하고, 그러한 것을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형성된 컨셉스토어는 개성있는 판매공간이다. 거대자본의 대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한 소매상들의 판매공간이며 그 속에서 다양한 컨셉들의 공간연출은 소비자들의 흥미와 감성을 자극한다. 일관적인 컨셉을 통하여 공간에서 브랜드의 이미지를 제공하고 소비자에게 흥미와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인 컨셉스토어는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시키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진다. 이러한 공간을 체험하는 과정을 통하여 소비자는 브랜드를 인식하고 감성충족을 실현한다. 컨셉스토어가 가진 공간의 특성을 강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공간의 감성디자인 연출이 요구되어 진다. 공간의 감성디자인 연출은 컨셉스토어의 컨셉을 공간에 구현하고 공간 이미지를 브랜드 이미지화하여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감성을 자극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컨셉을 공간에 구현하고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도구로써 사용되는 감성디자인 공간연출은 기업의 경영상의 목표에 도달하게 해주고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하는 강력한 수단으로 사용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현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컨셉스토어의 감성디자인을 위한 공간연출의 많은 활용에 앞서 컨셉스토어에 감성디자인을 접목한 공간연출의 표현요소을 연구해 보는데 의의가 있다. 감성디자인이 접목된 공간연출은 공간의 컨셉구현과 이를 통해 브랜드의 이미지를 강화하고 소비자의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컨셉스토어 공간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 1 장 본 논문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내용을 서술한다. 제 2 장 컨셉스토어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컨셉스토어의 개념 및 특징을 알아본다. 제 3 장 감성디자인 유형과 특징, 공간에 나타나는 감성디자인의 표현방법을 알아보고 도출된 내용을 바탕을 사례분석의 틀로 활용하여 국내외 성공한 컨셉스토어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감성디자인 표현특징 및 표현요소들을 알아보고 컨셉스토어에 적용 가능한 감성디자인 연출방법을 연구한다. 연구된 감성디자인 표현특징과 연출요소를 본 연구의 공간 디자인 전개의 기본 틀로 사용한다. 제 4 장 앞선 연구를 통해 도출한 감성디자인 표현특징과 표현요소를 기본 근거로 디자인 전개를 한다. 사례분석을 통해 도출된 디자인 특징들을 공간에 적용하여 감성디자인이 접목된 컨셉스토어의 공간디자인을 제안한다. 제 5 장 에서는 본 연구에서 이론적 고찰 및 사례분석 및 디자인 전개를 통해 결론을 도출한 후 본 연구의 의의를 알아보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The changes to the social and cultural paradigms have put an emphasis on emotion rather than reason. This changing trend of the times has also influenced the values of consumers, who are making a shift from reason-based consumption to value-based consumption. As a result, the spaces of sales are also changing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nd induce their active engagement beyond simple sales. Concept stores have emerged in these changing patterns. Consumers put an emphasis on emotions, and concept stores were established as individual sales spaces to meet their needs. Retailers use these sales spaces to compete against large corporations with vast amounts of capital. In these stores, space presentation based on various concepts stimulates the interest and emotions of consumers. Offering brand images in space and stimulating the interest and emotions of consumers with a consistent concept, concept stores are used as means of reinforcing brand images and stimulating consumers' emotions. In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se spaces, consumers recognize a brand and have their emotional needs met. Space should be based on the direction of emotional design in order to highligh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ncept stores. The direction of emotional design in space helps to realize the concept of a concept store in the space and turns the space image into a brand image, thus delivering it to consumers and stimulating their emotions. Used as a tool of realizing a concept in the space and stimulating consumers' emotions, space presentations based on emotional design will serve as a powerful means for corporations to achieve their management goals and meet consumers' emotional need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xpressive elements of space presentation with emotional design incorporated into a concept store before the active utilization of space presentation for emotional design in concept stor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resent tim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By conducting research on the expressive elements of space presentation for emotional design in concept stores, the study will embody a concept for space and propose a space design for concept stores to reinforce brand images and satisfy consumers' emotional needs. The study proceeded in the following order: Chapter 1 discussed the backgrounds, objectives, methodologies, and content of the study. Chapter 2 reviewed theories about concept stories and looked into their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Chapter 3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nd also their methods of expression found in spaces. Using the results as a framework for case analysis, the investigator analyzed successful cases of concept stores in the nation, identified the expressive features and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and investigated presentation methods for emotional design applicable to concept stores. The resulting expressive features and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were used as a basic framework to develop a space design. In Chapter 4, desig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expressive features and elements of emotional design above. The design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case analysis were applied to spaces to propose a space design for concept stores with emotional design incorporated in it. Chapter 5 reached conclusions based on theoretical examinations, case analyses, and design developments, examined its significance, and proposed future directions.

      • SNS 이미지 콘텐츠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키친 스토어를 중심으로

        강윤서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기업은 불확실성의 확대 및 무한 경쟁시대의 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과 수익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차별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특히 최근 마케팅 트렌드로 자리 잡은 SNS 마케팅 활동에 많은 비용과 인력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나 창업자나 소규모 상공인들의 경우 대기업이 집행하는 SNS 마케팅 활동을 따라가기에 급급하여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온라인 스토어 시장의 포화 상태와 함께 경제적, 기술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소상공인들이 소비자들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고 경쟁사와 차별화될 수 있도록 소규모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SNS 이미지 콘텐츠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주방용품의 자체 이미지들간의 차별성을 만들어 내기 어려운 키친 스토어를 중심으로 현실적으로 소규모 상공인들이 실행할 수 있는 SNS 이미지 콘텐츠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고 SNS 이미지 콘텐츠 유형별 선호도 조사를 바탕으로 제품과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이미지 콘텐츠와 SNS 이미지 콘텐츠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원인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주방용품을 구매할 때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선호도 차이가 없으며 대기업의 주방용품과 중소기업의 주방용품의 선호도 차이가 없다. 둘째, 제품의 사용성이나 용도에 따라 제품 카테고리에 맞는 SNS 이미지 콘텐츠 유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성별, 연령별, 혼인여부 등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이미지 콘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SNS 이미지 콘텐츠 마케팅 전략과 개발의 실행에 있어서 고객이 누구이고 무엇을 좋아하는 사람인지를 알아야 하며, 무엇을 홍보하고 어떠한 메시지를 전달해야하는지 정확한 목표를 갖고 제품을 홍보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각인시켜야 한다. 넷째, SNS에 노출하기 적절한 제품군과 이미지 콘텐츠 유형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며 SNS 이미지 콘텐츠를 통해 사이트로 직접 유입되는 고객이 정보를 파악하는 것을 도와주고 사이트 내에서 쉽게 이동하며 오래 머물 수 있도록 제품 상세페이지를 재정비해야 한다. 또한 재방문하는 소비자를 염두에 두고 이미지 콘텐츠 유형을 조절하거나 온라인몰 페이지를 구성하고 신상품 업데이트 주기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키친 스토어를 중심으로 SNS 이미지 콘텐츠 유형을 분류 및 제시하였으며 실증 사례분석을 통해 SNS 이미지 콘텐츠가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In the infinite competition society companies develop and run variety differentiation marketing strategy, particularly investing more money and manpower in SNS marketing, which have recently became a marketing trend. However, in the case of small business owners and founders, they have been unable to achieve great results,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llow the SNS marketing activities conducted by large companies, also experiencing economic and technological difficulties along with the saturation of the online store market.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NS image content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companies, hence the small business owners can communicate positive images to customers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competitors. Therefore this researcher classified the SNS image content types that can be practiced by small business owners into four categories, based on the kitchen stores, which is difficult to create a difference between images of kitchenware themselves. Based on the survey of SNS image contents type preference, the image contents for building product and brand image and the effects of SNS image contents on customer behavior were verified and the causes were sought out These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ustomers showed no preference between major companies or small businesses, nor online stores or offline stores when purchasing kitchenware. Second,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type of SNS image content that is appropriate for the product category depending on the usability or the use of the product. Third, in order to attract customers’ attention and interest in products and bran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mage conten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ustomers such as sex, age, and marital status. In the implementation of SNS image content marketing strategy and development, you should know who your customers are and what they like, promote your products with the precise goal of what to promote and what messages to convey and imprint your brand image. Lastly, It is important to select appropriate product groups and image content types to be exposed to SNS. Also SNS image contents should help the direct visitors who are coming to the site get the information, rearrange the product details pages for visitors to easily navigate within the site and stay longer. This study categorized and presented SNS image contents type focusing on the online kitchen stores, and verified the effect of SNS image contents on customer behavior through empirical case analysis. It is expected to suggest a guideline for personal business owners and small business owners’ to conduct a SNS marketing strategy and image contents that suits the company’s characteristic.

      • 연약지반토를 이용한 soil-cement의 성토재 활용 방안 연구

        강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매립지나 간척지의 개발시에 토공구조물의 시공에 필요한 성토재료를 구하기 위하여 인근의 육상토취장을 개발해여야 하나 환경파괴문제나 인근 주민들의 민원 발생으로 인하여 개발이 어렵고 운반과정에서의 각종공해문제로 인하여 공사기간의 지연과 공사비의 증가의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간척지나 매립지 등에서는 연약지반토나 준설토등을 이용한 고함수비의 성토공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연약지반토를 성토재료로 이용할 때 장비의 주생성이 불량하고 사면의 활동파괴의 발생 확률이 높고 압밀침하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재료의 성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시멘트 같은 개량재료를 첨가하여 고함수비 현장토의 성질 개량을 필요로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시멘트나 시멘트계고화재를 첨가하여 성질을 개량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지반개량을 주목적으로 하였으므로 고강도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성토재료에만 필요한 개량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배합비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 연구를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점토와 실트에 대한 다짐시험결과, O.M.C. = 20~23%, γd max = 1.60∼1.63 g/cm2로서, 저소성의 실트를 사용하여 함수비를 최적함수비 부근으로 조절하여 소요의 다짐을 실시한다면 성토재료로의 활용이 가능한 결과를 보인다. 2. 다짐을 실시하지 않은 시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배합비내에서 사용할 때 28일 양생의 경우, 시멘트 10% 는 5.96kg/cm2, 고화재 10% 는 12.04kg/cm2 로서, 초기강도는 고화재가 유리하였고, 성토재료로 사용이 가능한 비배수전단강도를 보였다. 다짐을 실시하면 시멘트 5% 첨가시, 11.89kg/cm2 의 값을 보였다. 3. 시멘트 첨가하여 지지력비를 측정한 결과, 7일 양생의 경우, 5% 첨가시는 CBR = 12.1∼12.7%, 10%첨가시는 CBR = 20.4∼24.3%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4. 내구성을 시험한 결과, 시멘트 및 고화재 5%에서는 내구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 이상의 배합비에서는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소요의 내구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When we develop a reclaimed land or soft ground, we have to develop near-by borrow-pit in land in order to look for fill-material that is needed when we carry our construction of ground-construction. But it may be difficult to develop that because of the environment problems and the complaints of near-by neighbors.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uch as the delay of construction period and an increase of construction cost, and so on, because of many pollution problems in transportation. So, in this reclaimed land or soft ground, we need the development of filling-method of high water content that uses soft or dredged soil. However, when we use soft soil as fill-material, there are some problems. Main formation of working machine is not good. The possibility of slope sliding failure is high, and the problem of consolidation settlement will happen.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character of material, it is necessary to add improvement material like cement and to improve the character of high water content ground. Until now the research is about method that we can improve the character by adding cement or additive. Its main purpose is ground improvement and it is focused on high strength. In this study, I think the research about mixing ratio that can gain good effects for only fill-material is necessar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y the result of slope stability analysis about embankment section, I considered the strength of minimum satisfactory for preventing the activity by destruction of foundation ground under construction of embankment. 2. As a result of compaction test about clay and silt, OMC is 20∼23%, and maximum γd is 1.60∼1.63g/㎤. If you control moisture content around OMC by using silt of low plastic and take satisfactory compaction, it is possible to use it as fill-material, I think. 3. As a result of non-compaction about mixing cement or additive, mixing ratio of cement 10% is 5.96kg/cm2, mixing ratio of additive is 12.04kg/cm2. Compaction about mixing cement is 11.89kg/cm2 4. As a result of CBR about mixing cement, mixing ratio 5% is CBR = 12.1∼12.7%, 10% is CBR = 20.4∼24.3% 5. In cement or additive 5%, durability tends to fall off. But over 10% of mixing ratio, I got a positive result. Therefore it shows that there issatisfactory durability. 6. If you take proper compaction although management soil is a low mixed soil about 5%, structure of particle becomes minute and the strength increase remarkably, even though γd is similar to the weight of non- compac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se as the subgrade material that needs high strength, as well as fill-mater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