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황칠나무 잎 열수추출물의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흰쥐에서의 항고지혈증 효과

        강예진 경상국립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지방 및 가공식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생체 내의 에너지 대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열량소비 저하, 지방산화 억제 및 혈액 내 유리지방산 과잉, 혈중 지질과산화 촉진, 중성지방 증가, 당대사 이상, 인슐린 분비와 감수성 약화 등과 같이, 생체 내 대사산물의 생성과 기능에 이상을 초래하고 있다 [19, 39]. 이로 인해 심장질환 등의 각종 성인병 및 만성 질환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13]. 지질을 낮추는데 효과적인 많은 합성약제들이 판매되고 있으나, 이러한 약제들은 심장질환, 뇌졸중, 체중 저하, 저지질혈증, 저혈당증, 근육통, 근육 손상, 간 손상, 기타 혈관질환 유발 등과 같은 부작용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 54]. 최근에는 기존 고지혈증 치료제를 대체하기 위해서,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없고 안전한 고지혈증 치료 약물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10, 11, 22, 27, 35, 36].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효능을 갖고 있는 황칠나무 잎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지방 식이를 섭취시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흰쥐에서 고지혈증 치료효과를 확인하였다. 황칠나무 잎 열수 추출물이 고지혈증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성 물질로 확인되었다.

      •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에서의 인성역량 분석

        강예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의 인성역량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 5종이다. 분석범주는 음악 장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역량과 성취기준, 인성역량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는 다면적인 인성의 개발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의 장르별 분석 결과 서양음악의 비중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15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역량은 음악적 감성 역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음악적 창의·융합사고 역량과 문화적 공동체 역량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은 감상의 성취기준 중 ‘음악을 듣고 작곡가나 연주자의 음악적 표현 특성에 대해 설명한다’와 비평의 성취기준 중 ‘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가치를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해석하고 평가한다’가 높게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인성역량은 개인적 차원과 관계차원으로 나뉘며 관계차원은 타인과의 관계영역, 공동체와의 관계영역, 자연과의 관계영역의 하위범주를 가진다. 개인적 차원의 인성역량은 문제해결 능력의 비중이 과반수를 차지하여 음악 감상과 비평 교과서에서의 인성역량이 비판적 사고하기, 추론하기, 판단과 결정하기 등의 인지적 부분과 연계되어 다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계차원의 인성역량은 공동체와의 관계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나 감상과 비평에서 개인 차원뿐만 아니라 공동체 차원의 인성함양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타인과의 관계차원은 의사소통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동체와의 관계영역은 공동체 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계차원의 하위범주 중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교육현장을 위한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평에서 인성이 길러지기 위해서는 심도있는 감상하기를 통해 작품의 배경과 타인의 표현을 이해하고 수용하여 소통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둘째, 교사는 음악 교과 인성요소의 특성상 나타나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연계를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학생과 상호작용해야 한다. 셋째, 감상을 바탕으로 한 비평활동에서 인성역량을 함양하기 위하여 교사는 학습자가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감상할 수 있도록 감상에 대한 수업설계 및 수업준비를 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 competencies of high school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The study targets five types of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based o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r the categories of analysis, music genre, subject competency, and achievement—criteria suggested b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character competency are chosen. The results show that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allow the development of a multifaceted personality.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by genres shows that Western music represents the highest proportion. Second, the competency of musical sensibility is the highest for the subject competencies suggested by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followed by the music creative·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y, and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Third, “listening to music and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expressions of composers or performers” from the achievement criterion of appreciation and “interpreting and evaluating the various values related to music through critical thinking” from that of criticism are high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s achievement criteria. Fourth, character competency is divided into individual dimension and relational dimension, and relational dimension has subcategories that include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relationship with nature, and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For the individual dimension’s character competency, the problem-solving skill represents the greatest proportion, indicating that character competency in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deals with cognitive aspects such as critical thinking, inferring, judging, and deciding. For the relational dimension’s character competency,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is the most relevant, indicating that it is possible to foster character competencies not only in the individual dimension but also in the community dimension of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kill of communication is the most relevant; for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it is the sense of community. For the subcategories of the relational dimension, the communication skill represents the highest proportion. Suggestions for educators are as follows. First, for character to be fostered in criticism, it is necessary to teach students to understand, accept, and communicate with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expressions of others through in-depth appreciation. Second, when designing classes and interacting with students, teachers must consider the connections in the cognitive and definitional areas that naturally appear due to the character elements of music education. Third, in order to foster character competencies in the criticism activity based on appreciation, teachers must design and prepare classes in a way that helps learners appreciate in a voluntary and active manner.

      • 사용자 경험 관점의 삶 구조화를 통한 삶 여정 지도 (Life Journey Map) 모델 연구 : 하루, 일 년, 일생을 중심으로

        강예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삶(Life)이란 사람이 태어나서 죽기에 이르는 동안 행하거나 겪는 의미 있는 경험의 전체로 사회학, 심리학 등 다수의 학문에서 개인과 사회 공동체 전반을 이해하기 위해 삶의 경험이나 태도를 연구되어왔다. UX(User Experience) 디자인에서도 좋은 경험을 설계하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과 생각의 기초가 되는 삶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제품, 서비스의 경험에 한정된 삶이 아닌 다각적으로 전체적인 삶을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와 모델을 연구하였다. 경험적 관점의 삶 구조는 하루, 일 년, 일생의 세 가지 생활 범주로 나뉘어 지며 일상에 대해 미시적인 관점 및 거시적인 관점으로 조망하여 삶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이 가능하다. 또 각 삶의 범주에서 경험이 발생하는 기준을 주요한 사건 중심의 명목적 관점, 시간 흐름 중심의 명시적 관점으로 정립하였다. 이후 FGI(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해 하루, 일 년, 일생의 경험을 수집하였고 통계청의 국민 생활시간 조사, 국민 삶의 질 조사, 생애 사건의 선행연구를 각각 참고하여 하루 8개, 일 년 11개, 일생 10개의 경험 지표를 구축하고 경험 관점에서 정의하였다. 삶 여정 지도(Life Journey Map)모델은 삶 구조에 기반한 방법론으로 사용자의 삶의 경험과 그 감정, 중요도, 시간을 시각화하여 개인의 바탕과 삶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이다. 사용자 여정 지도 모델을 확장한 개념이며 조사 목적에 적합한 삶의 범주, 경험의 유형에 맞춰 제작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적용 사례를 통해 모델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사용자 경험 관점의 삶 구조화를 통한 삶 여정 지도 모델 연구는 세 가지 의의가 있다. 첫째, 삶의 범주와 경험 기준을 정의해 삶의 구조를 정립하였다. 둘째, 삶의 구조를 적용한 시각적 모델, 삶 여정 지도 모델을 제작하였다. 셋째, 경험의 감정, 중요도, 시간을 조사하여 맥락적으로 삶을 분석하였다. 삶 여정 지도 및 삶 구조는 사용자를 근본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다각적인 시각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삶의 여정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 및 응용 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의 모델은 초기 제안단계로 추후 검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Life is the whole of the meaningful experiences that a person experiences from birth to death. Many studies, such as sociology and psychology, have studied life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and the community in general. Since human actions and thoughts are based on the life,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the overall life to design a good experience. This thesis studied new life structures and models that can be expanded from life limited to product and service experience. The structure of life from the experience perspective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of life: a day, a year, a lifetime, and a through a microscopic and macroscopic view of life a multi-faceted approach is possible. Besides, the experience is divided into event perspective and hours perspective and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criteria in which the experience occurs. After then, a day, year, and lifetime experiences gathered through FGI. Refer to Statistics Korea, the experience points of life are constructed into eight for a day, eleven for a year, and ten for a lifetime and defined on experience perspective. The Life Journey Map model is a tool for understanding the individual's background and life by visualizing the user's life experience, emotions, importance, and time as a methodology based on life structure. It is an extension of the customer journey map and can be produc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life and the type of experience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In this thesis,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presented in two cases. The study on the life journey map model through a structured life from a user experience perspective has three meanings. First, the life structure and experience criteria defined. Second, a life journey map model that applying the structure of life with visualizing is produced. Third, analyzed the life in context by examining emotion, importance, and time of experience. The life journey map and life structure presented a multifaceted perspective for fundamentally understanding the user. Based on this, various follow-up studi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the life journey can be discussed. However, the model of this study is an initial proposal stage and needs further study for further verification.

      • 문자도의 조형성을 활용한 레터링디자인 수업방안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강예진 전남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문화 향유와 창조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는 보다 다채로운 미술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미술 문화의 홍수 속에서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과 주체적인 태도로 우리의 것을 발전시켜 나아가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전통이란 곧 한 민족의 뿌리와 정체성을 담고 있기에 그 자체로도 뛰어나지만 현대 사회와 적합한 관계에서 지속해갈 때 더욱 빛을 발할 수 있다. 전통미술 중에서도 민화의 문자도는 우리 민족의 정서를 바탕으로 뚜렷한 개성과 독창성을 드러내는 미술이다. 일반적으로 산수화나 문인화에 비해 다소 소박한 형태를 지녔으나, 대담하고 현란한 색채와 구성 양식은 한국적인 미의식을 강하게 나타낸다. 문자도의 종류에는 윤리(효제)문자도, 기원문자도, 길상문자도 등이 있다. 초기에는 조선시대의 유교적 덕목을 널리 알리기 위해 제작되었다가, 이후 민중들의 생활 속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러한 문자도는 문자와 그림이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표현 방식과 조형성이 나타나는데 이는 곧 레터링디자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레터링디자인은 문자를 조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문자가 나타내는 선이나 형태, 색의 조형 이미지는 시각적 의사소통의 수단으로서 그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준다. 또한 레터링디자인은 문자에 기능과 동시에 아름다움을 갖춰야 하며 이는 글자의 색채, 구도, 배열 등 조형성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러한 독창성과 차별성을 지닌 글자를 만드는 레터링디자인은 기업, 상품, 단체의 상징이 되기도 한다. 문자의 이미지가 지닌 시각적인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하여 광고나 브랜드 상품에 긍정적 영향을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전통미술의 현대적 표현을 통한 디자인 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일깨워 주며 다양한 생각과 느낌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도록 한다. 진부하게 느꼈던 전통미술을 새로운 시각에서 받아들이게 하며, 학습 내용을 토대로 각자 창의적인 방법을 시도하고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효과적인 미술 활동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적 조형미를 가진 문자도의 양식을 현대의 생활과 연결하고자 한다. 과거에 이루어진 문자도의 전통적인 표현 방식을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친숙한 레터링디자인으로 표현될 수 있다. 문자도의 조형적 특성을 레터링디자인에 접목시켜 독특한 미감을 발현하는 미술 수업 방안을 제시하고, 나아가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와 옛것을 새롭게 창조하는 태도 및 능력을 개발하는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 Versatile culture of art is spreading in modern society called the age of cultural enjoyment and creation. Therefore, it requires an effort to develop and renew the value and uniqueness of traditional art in flood of culture of art. Tradition by itself is important in that it includes its national root and identity but it becomes even more valuable when it maintains a proper relationship with the present society. Munjado is especially popular among Korean traditional arts because it displays character and originality with the national sentiments of Koreans. It generally has simple shape than does landscape painting and literary painting, but the use of bold and flashy color and configuration in Munjado strongly expresses Korean aesthetics. Such a Munjado symbolically represents ordinary people's life customs and a wish to achieve daily life goals. And having this practicality as its basis, it has a lot of similarities as modern art. Lettering design forms the shape of letters. The lines, shape, and color of letters work to show its meaning more effectively. Lettering design creates a creative and unique form of letters that sometimes becomes a symbol for a company or organization. It can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advertisement or brand goods through visual uniqueness of the letter image. A lesson on the use of traditional art by modern means awakes students to learn the identity of Korean culture of art and to creativel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Students can learn about the excellence and value of Korean culture of art. They are able to accept this seemingly difficult art in a new perspective. This lesson can also be very effective in helping them express their character and try creative methods based on what they learned. Thus this study intends to connect Munjado which have Korean aesthetic quality with modern life. This study will suggest a lesson on design that integrates lettering design with feature of Munjado to reflect an unusual aesthetic sense. Furthermore, I hope this study will become a chance to get self-esteem about Korean culture of art and develop the ability and attitude to recreate the old things. In this study, I analyzed content and formative feature of Munjado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n I researched general understanding about lettering design and various cases of lesson of design using former result. I studied the application of formativeness of Munjado in particular, including application of lines, composition and color to lettering design.

      • 흰 쥐의 두개골에서 평면방사 실크 차폐막을 이용한 골 유도 재생술의 골 형성 촉진 효과에 관한 연구

        강예진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mitation of previous silk mat was that the size of silk mat was determined by the cocoon size. However, flatwise-spun silk mat (FS) has no limitation in production siz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FS to conventional silk mat (TDI) in terms of its phys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Biodegradability assay, tensile strength,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ic analysis, and FT-IR analysis were done. Bone regeneration was evaluated in the critical sized bone defect of rat model. FS group showed lower tensile strength and similar tensile strain to those of TDI group. When compared to TDI, FS group showed similar spectrum, but higher random coil and helix structures because of higher sericin contents. Biodegradability assay demonstrated similar behavior between FS group and TDI group. In animal model, FS group showed higher bone regeneration than TDI group in both micro-computerized tomogram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In conclusion, FS would have wider clinical application than TDI because of no size limitation.

      • 광고를 활용한 중학교 시각문화미술교육 방안 연구

        강예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시공간을 초월하는 방대한 시각적 인공물은 즉각적 접근이 가능하며 우리 생활 속의 일부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사회문화의 긍정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도 반영된 시각문화는 성인들은 물론 가치관과 도덕성이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에게도 많이 노출된다. 대중문화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미성숙한 청소년기에는 왜곡된 성적 표현, 반사회적, 폭력적, 반규범적인 표현을 비판적 의식 없이 그대로 수용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청소년이 무차별적으로 수용한 문화는 미래의 청소년에게 전달되기도 한다. 따라서 청소년이 사회문화적 산물인 시각문화 환경을 주체적이고 비평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시각적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야한다. 본 연구자는 청소년의 시각적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교육환경을 마련하는 방책으로 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제안한다. 특히 영상매체광고는 오늘날 청소년들에게 친숙한 시각문화로서 그들의 일상생활 속에 편재하고 있으며 시각적 문해력 향상의 효과적인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양한 시각문화양상이 생활 속에 펼쳐지는 시대를 살아가며 혼란스러운 시기를 겪고 있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장 쉽고 많이 접하는 영상매체광고를 미술교육에서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시각문화를 비평적으로 바라보고 올바르게 판단하며 바람직한 수용과 적합한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영상매체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동시에 그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업을 계획하기에 앞서 본 연구자는 수업의 체계적인 방안을 위해 중학교 학생들의 미술수업과 광고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방안을 구안하여 경기도 수원시 소재 중학교 방송부 동아리 13명의 단일집단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시각적 문해력 척도를 이용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의 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은 시각적 문해력을 신장시키는 의미에서 효과적이었다. 먼저, 학생들은 다양한 광고를 감상하고 비평함으로써 그들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하며 다른 학생들과 교사와 소통할 수 있었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올바른 시각적 문해력을 기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영상매체광고를 제작함으로써 영상매체가 가지고 있는 시각언어의 특징을 자연스럽게 깨닫게 되며 문화소비자뿐만 아니라 문화생산자로써의 입장을 경험함으로써 시각적 환경을 새롭게 마주하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따라서 광고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학생들에게 소통의 장이 될 수 있었으며 시각적 문해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문화를 향유하며 인생을 보다 윤택하게 영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었다. The massive visual artifacts to transcend time and space in the modern society allow for immediate access and are settling down as parts of human life. Reflect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social culture, the visual culture is much exposed to adolescents whose values and morality have not been established yet, as well as grown-ups. Highly dependent on the pop culture, immature adolescents are very likely to accept the distorted sexual expressions and anti-social, violent, and anti-normative expressions as they are without critical consciousness. Once accepted by adolescents indiscriminately, the culture can be passed down onto future adolescents. It is thus needed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o enhance the visual literacy of adolescents so that they can look at the visual cultural environments, the products of social culture, in an independent and critical fashion. The investigator proposed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s a way to create a systematic and desi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the visual literacy of adolescents. Image media-based advertising is part of the visual culture that is familiar to adolescents today, is ubiquitous in their daily lives, and can be an effective medium to improve their visual literacy. The investigator recommended the usage of image media-based advertising, which is the easiest and most expos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at are going through a confusing time in the age of various visual cultural patterns found in daily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propose plans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image media-based advertising and test their effects so that adolescents could look at visual culture critically, make the right judgments of it, accept it in a desirable manner, and make proper use of it. The investigator surveyed the perceptions of art classes and advertis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o devise a systematic lesson approach before making lesson plans. Based on it, the investigator made lessons plans and applied them to a single group of 13 students from the broadcasting club at a middle school in Suwon City, Gyeonggi Province. A visual literacy scale was used in a pre- and post-test, whose results were then analyzed. The findings show that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visual liter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own ideas and emotions and communicate with their mates and teachers by appreciating and criticizing various advertisements, which process helped them cultivate the right visual literacy. They also naturally realized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language found in the image media by producing image media-based advertisements and faced anew and understood their visual environments by experiencing the position of culture producer as well as culture consumer. Those findings show that advertising-base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ould be a venue of communication for students and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their visual literacy. Furthermore, it also provided them with an opportunity to enjoy culture independently and lead a life with more luster.

      • 원유 저장조에서 발생하는 왁스 폐기물의 열분해 동역학 및 특성에 대한 연구

        강예진 한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유 왁스 폐기물은 석유화학단지에서 원유 저장조에 침전 또는 퇴적된 원유 왁스 폐기물을 안전관리와 정기검사를 위한 원유 저장조의 청소과정에서 발생한다. 현재 지정폐기물로 처리되고 있는 원유 왁스 폐기물 물리·화학적 특성분석과 동역학 및 열분해 특성 연구를 통하여 재활용하기 위해 원유왁스 폐기물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원유 왁스 폐기물의 공업분석결과 약 86.7%의 휘발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열량은 12,400 kcal/kg으로 연료로서 재활용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TGA(Thermogravimetric Analysis)로 분석한 결과 원유 왁스 폐기물 두 개의 온도범위에 걸쳐 열분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Stage I은 저온단계로 100℃-300℃에서 반응하며 이 구간에서 약 80%의 중량감소가 일어났고 Stage II은 고온단계로 300℃-500℃에 걸쳐 분해가 일어났다. 열중량 분석결과로 Model-free method 중 FWO method를 사용하여 원유 왁스 폐기물의 활성화 에너지를 구하면 전체 평균 활성화 에너지는 72.38kJ/mol이며 Stage I에서 68.70kJ/mol, Stage II에서 130.39kJ/mol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도에 따라 분해되는 화합물이 저분에서 고분자로 변하기 때문에 분해 온도와 활성화 에너지가 바뀌는 것을 확인하고 원유 왁스 폐기물이 다양한 분자량을 가진 화합물임을 확인했다. IMPs method를 사용하여 원유 왁스 폐기물의 반응모델을 결정하였다. 저온구간인 Stage I은 Three-diffusion 모델(D3 model)과 가장 유사하며 고온 구간인 Stage II는 n-order reacion모델(F model)과 가장 유사한 경향을 보여 구간별 반응모델을 결정하였다. py-GC/MS를 통해 원유 왁스의 열분해 부산물을 확인했으며 원유 왁스는 C3에서 C27이상에 이르는 알케인류가 생성되었다. 촉매 열분해 시 HBeta와 반응에서 방향족 탄화수소의 생성 수율이 HZSM-5와 비교하여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시료와 촉매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HBeta가 산세기는 낮으나 상대적으로 큰 기공크기에 의해 반응성이 높아져 방향족 탄화수소의 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유 왁스 폐기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 촉매의 물리적 특성이 반드시 고려되어야한다. Waste oil wax precipitated out from crude oil to the bottom of the storage tank is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cleaning the crude oil storage tank for safety control and regular inspection.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pyrolysis kinetics and characteristics of waste oil wax to produce valuable by-products or convert to stable fuel. Proximate analysis of waste oil wax reveals that it is accounted for by about 86.7 percent of volatiles, and its heating value is 12,400 kcal/k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ste oil wax offer an insight into high potential for fuel application.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confirmed that the waste oil wax is decomposed pyrolytically over two temperature regions. The first-stage decomposition is observed over the low-temperature region from 100 to 300°C, representing 80% weight loss. The second-stage happens over the temperature regions of 300 and 500°C. For pyrolysis kinetics analysis, one of the model-free method, Flynn-Wall-Ozawa (FWO) method, was introduced to estimate the activation energy of waste oil wax with respect to conversion, leading to the average activation energy is 72.38 kJ/mol. The average activation energy for low-temperature region (Stage I) is 68.70kJ/mol, while that for high-temperature region (Stage II) 130.39kJ/mol. The lower activation energy at Stage I implies that the reaction would be accounted for by evaporation process of high volatile compounds. The Integral Master Plots (IMPs)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reaction model of waste oil wax. Stage I is accounted for by Three-diffusion Model, while Stage II is responsible for n-order Model. The py-GC/MS identified the chemical forms of pyrolysis by-products of waste oil wax, indicating alkanes of various carbon numbers from C3 to C27. Owing to the larger pore size of HBeta, aromatic hydrocarbons is produced more over HBeta than HZSM-5 in spite of its low acidity of HBeta. Physical properties of catalyst play more important role in producing aromatic compounds which are regarded as high valuable compounds.

      • 스텝박스 운동이 폐경 여성의 중심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강예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심혈관질환은 우리나라와 선진국의 주요 사망원인 중 하나이며, 심혈관질환의 주된 위험요소 중의 하나가 증가된 중심 동맥경직도이다. 특히 여성은 폐경기를 지나면서 에스트로겐이 결핍되어 혈압, 심박수, 동맥경직도가 증가한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전반적인 심혈관질환을 개선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텝박스 유산소 운동이 폐경 여성의 중심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폐경 여성 24명으로, 스텝박스 운동그룹(SBT, n=13), 통제그룹(CON, n=11)으로 무선할당 배정하였다. 스텝박스 운동그룹은 12주간 60~80% HRmax 강도로 주 3회 스텝박스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중심 동맥경직도를 평가하기 위해 대동맥 맥파전달속도와 대동맥 맥파증대지수(AIx)를 측정하였다. 12주간 스텝박스 운동은 중심 동맥경직도의 지표 중 하나인 AIx(38±3 vs 34±2 %, p=0.02)와 AIx@75(35±3 vs 28±4 %, p=0.01)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스텝박스 운동 후 Brachial SBP(122±2 vs 118±2 mmHg, p=0.02), Brachial DBP(80±3 vs 76±4 mmHg, p=0.02), Central SBP(115±2 vs 111±2 mmHg, p=0.01), Central DBP(81±2 vs 77±2 mmHg, p=0.02), Central MAP(94±3 vs 90±2 mmHg, p=0.01)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HDL-C(44±2 vs 51±2 mg/dL,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스텝박스 유산소 운동이 폐경 여성의 중심 동맥경직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Cardiovascular disease(CVD) is a leading cause of death in advanced countries, and augmented central artery stiffness is a well-know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VD. Postmenopausal women present elevated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arterial stiffness due to the estrogen deficiency and reducted elastic fibers by the aging. Regular aerobic exercise is beneficial to improve overall cardiovascular health in both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p-box aerobic training on central artery stiffness in postmenopausal women. Twenty-four postmenopausal women were randomly assigned to step-box training group (SBT, n=13) or control grouop (CON, n=11). Postmenopausal women in SBT trained at 60~80% of predicted maximal heart rate, 3 times a week, 60 minutes a day, for 12 weeks. To assess central artery stiffness, both central pulse wave velocity (Central PWV) and augmentation index (AIx) were measured by SphygmoCor Xcel system. After 12-weeks step-box aerobic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decreases in AIx (38±3 vs 34±2 %, p=0.02) and AIx@75 (35±3 vs 28±4 %, p=0.01) in SBT. In addition, Brachial SBT (122±2 vs 118±2 mmHg, p=0.02), Brachial DBP (80±3 vs 76±4 mmHg, p=0.02), Central SBP (115±2 vs 111±2 mmHg, p=0.01), Central DBP (81±2 vs 77±2 mmHg, p=0.02), and Central MAP (94±3 vs 90±2 mmHg, p=0.01) were significantly declined in the SBT, and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HDL-C (44±2 vs 51±2 mg/dL, p<0.01) in the SBT. In conclusion, twelve weeks of step-box aerobic exercise improve central artery stiffness, blood pressure and HDL-C in postmenopausal women.

      • 건축 구조물 변위 형상의 딥러닝 기법 활용성을 위한 실제적 연구

        강예진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연재난인 지진과 구조물 노후화에 따른 구조물의 기울어짐 및 붕괴사고, 화재 등이 발생하고 있다. 안전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에서는 정책적으로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건설 분야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인공지능과 딥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인공지능기술을 균열관리와 변위 계측 등에 적용하고 있다. 따라서, 무선원격 센서와 3D 형상 스캔을 융합한 건축물 거동의 상시감시 기술이 필요하며, 기존 건축물 3D 형상 Scan-to-BIM 기술과 변위 분석기술을 연계·활용하여 중소규모 건축물의 형상 이력관리에 적합한 변위 형상 계측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대비 기술과 차이점을 두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였다. 국내외 기술 동향, 관련 연구 및 이론, 변위 형상추정을 위해 인공지능 모델 설계 및 실험결과 등을 5장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1장은 연구배경 및 목적에 서술하였고, 2장은 국내와 국외의 건축물 유지관리 관련 제도 및 법령과 노후 건축물 스톡 현황, 시설물 유지관리 시장 규모 그리고 각 나라의 건축물 유지관리에 대한 시각 비교 및 분석 등을 서술하였다. 3장은 인공지능과 딥러닝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이론과 심층 학습 그리고 변위 추정을 하기 위한 인공지능 모델, 실험에 필요한 공학용 소프트웨어 매트랩을 서술했다. 4장에서는 실제 건축물의 형상변화 추정 기술을 검증하기 전 소형 목업 시험체의 변위 데이터를 추출하여 인공지능 기술로 변위 형상을 예측한 실험결과를 서술하였고,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전체적인 실험결과에 대한 의견과 고찰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natural disasters as earthquakes and structural deterioration have resulted in structural inclination and collapse accidents and fires. As social interest in safety issues increases, the government is implementing various plans to secure safety through policy. In the construction field,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are being applied to crack management and displacement measur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technology for continuous monitoring of building behavior that combines a wireless remote sensor and 3D shape sca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splacement shape measuring system. In this paper,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as applied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xisting technology. Domestic and foreign technology trends, related studies and theorie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sign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displacement shape estimation are divided into 5 chapter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Chapter 2 describes domestic and foreign building maintenance-related systems and laws, the stock status of old buildings, the size of the facility maintenance market, and perspective comparison and analysis on building maintenance in each country did Chapter 3 described the basic theory for understan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for deep learning and displacement estimation, and the engineering software MATLAB required for experiments. Chapter 4 describ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redicting the displacement shap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y extracting the displacement data of a small mockup specimen before verifying the actual building shape change estimation technology. Finally, in Chapter 5, opinions on the overall experimental results and Conclude with a review.

      • 재난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도시재난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예진 아주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화두로 웰빙(참살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경제적 안정과 더불어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다. 삶의 질과 관련된 이슈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겠지만 특히 안전의 문제는 떼려야 뗄 수 없다. 특히 재난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규모도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있어 안전의 문제는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안전문제가 부상함에 따라 점차 행정학에서도 안전과 재난관리에 대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를 살펴보면 효율적 재난관리 수행에 필요한 강조점에 따라 행정제도 접근법, 인지학습 접근법, 의사결정 접근법, 집행과정 접근법 및 민관파트너십 접근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민관파트너십을 강조하는 연구 방향은 최근 들어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정부 정책의 보조자로서 시민참여를 강조하였으나 최근에는 정책집행의 동반자로서 시민사회의 역량강화를 강조한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재난관리의 패러다임 변화도 변화를 맞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재난관리정책의 중심이 대응 및 복구에서 예방 및 준비로 옮아가고 지역사회 내에 존재하는 취약성의 완화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에서 찾을 수 있다. 취약성이란 단순히 재난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가능성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규모의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사회&#8228;경제&#8228;지역적 특성에 따라 재난으로 인한 피해규모는 달리 나타난다. 그러므로 재난에 대처하는 지역사회 능력의 정도가 취약성에 영향을 미치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참여 및 역량 배양이 핵심적이다. 우리나라도 그간 많은 재난을 겪으면서 그때마다 재난관련 법령을 고치고 조직개편을 통해 재난대비 역량을 키우고자 하였지만 그 때마다 ‘임시처방’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다가 1990년대 중후반부터 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비롯하여 시민들의 안전의식 및 참여가 중요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2004년 6월 소방방재청이 새로 출범하면서 우리나라의 재난관리패러다임도 대응 및 복구에서 예방 및 준비 중심으로 변화는 과도기에 놓이게 되었다. 그러나 효과적인 체계만 구축되고 이에 따른 지역사회의 재난대비 능력이 함양되지 않으면 재난관리정책 수행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재난대비 능력에 대해서 고찰하기 위해서 취약성 개념을 도입하였고, 이와 관련된 소방방재청과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소방방재청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시민과 지역사회의 재난대처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안전의식 운동 전개, 한국재난안전네트워크 조직, 지역자율방재단 구성 등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이 효과적으로 재난을 대비하기 위해서 단순히 교육&#8228;훈련은 충분조건이 아니다. 미국과 일본의 “Project Impact"와 방재 마치즈쿠리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정부는 재난대응 능력과 더불어 그들이 속한 지역사회의 문제, 즉, 취약성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지역계획 및 방재계획에 지역주민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