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무용 동작 학습을 위한 스마트 매트 개발 및 활용성 연구

        강연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Considering the change in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the development of next-generation technology, there is a need to supplement the limits of existing dance movement training and implement a learning instrument with the application of next-generation technology.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a research to measure and analyze dance movement to provide feedback on movement performance, and the study problem is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stages of smart mat development for the learning of dance movement? second, how is the applicability of smart mat as a learning instrument for dance movement? The study was conducted for 14 months, from March 2019 to May 2020. The study procedure consists of planning, smart mat development, applicability evaluation and study result. In the smart mat development stage, the study conducted collaboration with technical expert and collection of reference materials, verbal feedback data from 10 participants of dance instructors, and movement data through experiment with 3 participants of dance professionals. In the applicability evaluation stag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8 participants, accompanied by a written interview. It consisted of coding the recorded material, comparing the result with reference data, extracting keyword from feedback, comparing movement performance and principle, and setting movement measurement indicator. The objective survey result was converted into percentage to provide a graphical presentation, while coding and categorizing the user evaluation data and written interview data to serve as a supporting basis. Diverse range of data was collected to secure stud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while also conducting review sessions by participants and discussions with colleague. As a study result, a smart mat equipment was manufactured in the size of length 900mm* and width 1200mm with the application of foot pressure measurement technique by the technical expert group. Three types of feedback was established as‘Balance’or physical balance, ‘Angle’or foot angle and maintenance, and‘COP move’or body center. The study established a movement measurement indicator that corresponds to each feedback to develop a prototype smart mat that enables the learning of dance movement. As the second study result, applicability of smart mat was evaluated according to 5 criteria. First, overall evaluation on convenience was revealed to be 'convenient' 58.4%, 'very convenient' 36.1% and 'average' 5.6%. Some opinions were expressed regarding the size modification and design improvement of the smart mat. Second, overall evaluation on feedback content composition was revealed to be 'yes' 50%, 'very much yes' 46.3% and 'average' 3.8%. It was impossible to generalize the feedback content, and as a result of quantification, there was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feedback, while the reliance level was defined to be low. Third, overall evaluation on educational efficiency was revealed to be 'very much yes' 54.7%, 'yes' 37% and 'average' 8.4%. The feedback on smart mat stated that it can detect a problem visually, can identify with the feedback content, enables movement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and increases the degree of exercise and function. Fourth, overall evaluation on applicability to the field was revealed to be 'very much yes' 52.8%, 'yes' 45.9% and 'average' 1.4%. It was verified that participants were satisfied in movement execution process that applies smart mat, that it consisted of appropriate feedback, and is suitable for learning movement with much interest. Finally, as for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intention of persistent use' was identified positive, with 'very much yes' 61.1% and 'yes' 38.9%.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opinions that pointed out some problems of prototype smart mat. Smart mat may be of use in the absence of teachers, and may supplement the limits of existing way of learning dance movement. Moreover, convergence with other technology is also anticipated. The study has its implication in that it developed an educational instrument that applies IOT(Internet of Things) to the learning of dance movement. 오늘날 차세대 기술의 발전으로 교육환경의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기존의 무용 동작 학습의 부족함을 보완하고 차세대 기술을 적용한 학습 도구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무용 동작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동작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시할 수 있는 첫째, 무용 동작 학습을 위한 스마트 매트 개발의 단계는 어떠한가, 둘째, 무용 동작 학습 도구로써 스마트 매트의 활용성은 어떠한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총 14개월간 진행하였다. 연구 절차는 계획 단계, 스마트 매트 개발 단계, 활용성 평가단계, 결과 단계 순으로 진행하였다. 스마트 매트 개발 단계에서 스마트 매트 개발을 위한 기술자와의 협업과 문헌 자료 수집 및 무용 지도자 10인의 언어적 피드백 자료 수집, 무용 전문가 3인의 실험을 통한 동작 자료를 수집하였다. 활용성 평가단계에서 연구참여자 18인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녹취된 자료를 코딩하고 문헌 자료와 비교하여 피드백의 핵심 키워드 도출하였으며, 동작 수행과 원리를 비교하여 동작 측정 지표를 설정하였다. 객관식 설문 결과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도표로 제시하고 사용자 평가 및 서면 인터뷰 자료는 코딩과 범주화하여 결과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참여자에 의한 검토와 동료 간의 협의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구 결과로 협력업체의 족부압력 측정 기술을 적용한 가로 900mm* 세로 1200mm 크기의 스마트 매트 도구를 제작하였다. 몸의 균형을 의미하는 ‘Balance’와 발의 각도 및 유지를 의미하는 ‘Angle’, 신체 중심을 의미하는 ‘COP move’의 3가지 피드백을 설정하였다. 각 피드백에 해당하는 동작 측정 지표를 설정하여 무용 동작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매트를 프로토타입으로 개발하였다. 두 번째 연구 결과로 스마트 매트 활용성 평가했으며 5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편의성 전체 평가결과로 그렇다 58.4%, 매우 그렇다 36.1%, 보통이다 5.6%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매트 크기의 보완과 디자인개선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둘째, 피드백 내용 구성 전체 평가결과 그렇다 50%, 매우 그렇다 46.3%, 보통이다 3.8% 순으로 나타났다. 피드백 내용을 일반화할 수 없고, 수치화된 결과 피드백을 해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교육적 효과성의 전체 평가결과로 매우 그렇다 54.7%, 그렇다 37%, 보통이다 8.4%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매트의 피드백은 문제점을 시각적으로 발견 할 수 있고 피드백 내용을 공감했으며, 동작 수정과 개선이 가능했고, 운동량 및 기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되었다. 넷째, 현장 적용성 전체 평가결과로 매우 그렇다 52.8%, 그렇다 45.9%, 보통이다 1.4% 순으로 나타났다. 스마트 매트를 활용한 동작 수행 과정에 만족하고, 적절한 피드백으로 구성되었으며, 흥미를 느끼고 동작 학습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만족성에서 지속적인 사용 의사로 매우 그렇다 61.1%, 그렇다 38.9% 순으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으나 프로토타입으로 개발된 스마트 매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되어야 할 부분에 대한 의견이 나왔다. 이로써 스마트 매트는 지도자의 현장 부재와 기존의 무용 동작 학습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다른 기술과의 융합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으며, 무용 동작 학습에 사물인터넷 기술을 적용한 학습 도구를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가 내용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

        강연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가 내용교과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지의미론에서의 논의를 바탕으로, 어휘 지도가 기계적 암기와 단편적 학습에 그치는 도구적 관점에서가 아닌 인지적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에 인지적 관점의 어휘 지도 방법 중 초등학교 고학년에 적합한 것이 의미 범주화라고 판단했다. 그리고 인지적인 어휘 학습의 효과는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과목인 사회, 과학 등의 내용교과에 적용했을 때 가장 명확할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어휘력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처치를 하지 않은 통제집단은 내용교과의 학업성취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어휘 학습의 태도에 있어 사전-사후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해 연구자가 근무하는 경기도 평택시 소재 I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중 학업성취도 사전 검사와 어휘력 검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2개 학급 총 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은 장기간의 교육 활동이라는 연구의 특성상 연구자가 담임을 맡은 학급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30명 학생에게는 약 2개월(8주)에 걸쳐, 한 주 2회씩 총 16회에 걸쳐 의미 범주화 어휘 지도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의 30명 학생에게는 별다른 처치 없이 교과 지도가 이루어졌다. 총 8주의 어휘 학습이 끝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학업성취도와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고, 어휘 학습 태도 검사는 실험집단에만 실시하였다. 의미 범주화 어휘 지도의 효과 검증을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은 SPSS/WIN(Version 18.0)을 활용하여 검사지의 통계 분석을 하였다. 의미 범주화 어휘 지도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미 범주화 어휘 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어휘력 검사의 하위 항목 중 어휘 활용능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의미 범주화 어휘 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에서 사회과와 과학과 두 과목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의미 범주화 어휘 지도를 받은 실험집단은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가 어휘 학습 태도에 있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활용된 인지적 관점에 입각한 의미 범주화를 통한 어휘 지도는 초등학교 5학년의 어휘력 향상과 학업성취도 향상, 어휘 학습 태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어교과에서 내용교과의 어휘를 활용하여 어휘 학습 인지 훈련을 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로 인한 어휘력 향상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진로교육참여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연아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진로교육참여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각 변인이 진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다문화 청소년 패널 연구(MAPS :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의 8차(2018)년도 조사에 응답한 다문화 청소년 1,195명의 자료를 2차 분석하였으며, 이상의 분석을 위해 SPSS 25 for Window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부모 학력, 가정형편지각에 따른 진로태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 변인인 진로태도 준비성에 있어서는 여자의 경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태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한 변인은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학교진로교육참여로 나타나,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태도에 독립변인 모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종속변인인 진로태도와 진로태도 하위 요인인 진로태도 결정성과 준비성 모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진로태도를 하위 요인별로 결정성과 준비성으로 구분하고, 학교진로교육참여를 세 가지 하위 변인으로 나누어 진로상담, 진로교육, 진로체험으로 살펴보았을 때는 결과가 상이하였다. 즉, 진로태도 결정성에는 진로체험만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태도 준비성에는 진로상담과 진로체험이 유의미하였다. 셋째, 진로태도와 진로태도의 하위 변인 각각에 성별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남자의 경우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그리고 학교진로교육참여에서는 진로체험이 진로태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공통적으로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체험 변인은 남자의 경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태도 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여자의 경우 이중문화 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 결정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 결정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남녀 공통적으로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 결정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였다. 이중문화 수용태도는 여자의 경우 진로태도 결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태도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을 때, 남자의 경우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진로체험이 진로태도 준비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공통적으로 이중문화 수용태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의 경우에는 이중문화 수용태도 외에 자아존중감, 진로체험이 진로태도 준비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관련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심리・상담 분야에서 진로관련 변인에 관심을 두어 연구가 이루어졌다는데 의의가 있다. 특히 연구대상자의 연령이 주로 17세로 진로에 대한 선택과 결정이 중요한 시기로 볼 수 있으며, 이들이 실질적으로 이 사회의 일원으로 나아가는데 있어 중요한 발판인 진로태도를 살펴본 점이 중요하다 하겠다. 또한 진로태도 증진에 있어 이중문화 수용태도, 자아존중감 및 학교진로교육참여가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점과 다문화 청소년 남자와 여자의 진로태도 성숙에 있어 이들 변인의 다른 영향력을 파악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진로상담과 진로교육에 있어서 이들 변인들의 고려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한글 활자체(typography)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연구 : 인쇄매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가독성을 중심으로

        강연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인쇄매체 광고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종류에 따라 읽는 속도, 이해도, 회상도가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가를 실험연구를 통해 검증해보고, 이를 통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실용화와 대중화를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를 실행하기 위해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은 첫째, 인쇄매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종류에 따라 읽는 속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 둘째, 인쇄매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종류에 따라 광고의 이해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 셋째 인쇄매체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종류에 따라 광고의 회상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인가, 마지막으로 위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들에서 광고의 효과(읽는 속도, 이해도, 회상도)가 각자 다르게 나타났다면, 제품 관여도의 영향에 의해서는 그 효과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분석 결과, 지면광고 본문용 글자체로 선정된 명조체, 고딕체, 샘물체의 읽혀지는 속도의 측정에서는 고관여 광고물과 저관여 광고물에서 모두 명조체로된 광고 본문의 읽혀지는 속도가 고딕체, 샘물체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몇몇 한글 타이포그래피의 가독성에 관한 연구에서처럼 광고 본문에서도 사람들에게 친숙하고 오래동안 사용되어온 네모틀 글자인 명조체가 가장 빨리 읽혀진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최근에는 지면 광고 본문용 글자체로 샘물체나 필기체, 그밖에 다른 신종 글자체들을 사용하는 추세가 늘고 있는 실정인데, 헤드라인용 글자체나 본문의 양이 적은 광고물일 때를 제외하고 본문의 양이 비교적 긴 경우에는 명조체에서 파생된 네모틀 글자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독성에서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다. 지면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종류에 따른 광고의 이해도 측정은 실험광고물을 읽고 질문지의 질문에 응답한 정답의 개수로 하였다. 검증 결과, 읽는 속도에서 가장 빨리 읽혀졌던 명조체가 고관여 광고물의 이해도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명조체 다음으로 이해도가 높은 글자체로는 고딕체, 샘물체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저관여 광고물에서 가장 이해도가 높은 글자체는 샘물체로 나타났고 명조체는 가장 이해도가 낮은 글자체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 추론할 수 있는 것은 관여도에 따라서도 글자체가 적절하게 선택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고관여 광고물에서는 소비자들의 주목(attention)이 집중되기 때문에 명조체와 같은 친숙한 글자체를 사용했을 때 빨리 읽히고 이해도도 높게 나타났지만, 저관여 광고물에서는 사람들에게 친숙하지는 않지만 독특한 글자체인 샘물체가 더 높은 이해도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즉, 저관여 광고물에서 독특하고 개성이 있는 그림이나 사진이 있는 광고가 소비자들에게 더 오래 기억되고 의미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처럼 광고 본문에서의 글자체도 친숙하지 않은 독특한 글자체가 소비자의 동기를 고양시키고 차후의 정보 처리 수준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독특함(novelty), 시각적 두드러짐(visual prominence)이 광고에 대한 주목(attention)을 높인다는 일반적인 논리가 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선택에 있어서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지면광고 본문용 글자체의 종류에 따른 광고의 회상도 측정은 이해도 측정에서와 마찬가지로 광고 본문을 읽은 후에 질문지에 응답한 정답의 개수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측정된 값이 95%의 유의수준에서 검증되지 않았고 90%로 낮게 책정했을 경우에만 유의미하게 나왔기 때문에 글자체가 광고의 회상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예측은 설명력이 없었다. 본 실험연구에서 제시된 실험광고물이 1회성 노출광고였고, 가상의 광고물이었기 때문에 글자체만으로 광고의 회상도를 검증하기에는 무리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관여도에 따라서는 회상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이 실험에서의 독립변인인 글자체와 관여도가 상호작용효과를 보여 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쳤는지 아니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해 본 결과, 두 변인이 각각 읽는 속도, 이해도, 회상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상호작용효과를 일으켜 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광고는 100년이라는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그 시작은 인쇄매체 광고로부터 시작되었다. 초기의 광고는 광고문안 전체가 한문으로만 이루어졌다. 그 후 한문과 한글을 혼용하던 시기를 거쳐, 지금은 대부분 한글을 위주로 광고 본문을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한글이 본격적으로 사용된 것은 1945년 이후부터인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광고학 이라는 학문이 근래에 등장한 탓인지 광고 본문에 대한 한글 글자체의 가독성에 관해서는 연구가 되어오지 않았다. 이로서 된 연구가 지금까지 연구 되어오지 않았던 광고 부분의 글자체 선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리라 본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reading speed, degree of understanding, and of recalling according to the kinds of typography for text of an article operating key role in printing media, and with which to provide the possibilities to put to practice and popularize typography for text of an article in printing media.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subjects are set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reading speed according to the kinds of typography for text of an article in printing media? Secon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degree of understanding according to the kinds of typography for text of an article in printing media? Thirdly,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degree of recalling according to the kinds of typography for text of an article in printing media? Lastly, If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effects of advertisement(such as reading speed, degree of understanding, and of recalling), what would be the effect by the degree of involvement in product ? According to this analysis, the written by Ming style is more readable in speed than Gothic style or 'Saem-moo1 style'(a kind of character style written like spring water) regardless of degree of product involvement. These differences also are represented meaningfully in statistics. Therefore it proves that the Ming-style typography which has square shape and been used for years is intimate for people and most readable in speed for text of an article in printing media. Recently, there are some tendencies to use Saem-moo1 character style, hand-written character style, or any other new character styles, but it is more effective for speed readability to use square-shape character style derived from Ming style in long text advertisement except for the case of headline typography or for the advertisement with a few text. By the numbers of right answers for the questions of advertisement reaction, we can measur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represents that the Ming style which is most readable in speed, also has high score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dvertisement of highly involved, followed by Gothic and Saem-mool. But as for low involved advertisement which means they show low interests in advertisement, the highest scored character style in understanding is Saem-mool, and Ming-style has the lowest scores. As you know from thi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volvement, the character style has to be chosen properly. In the highly involved advertisement, consumer's attention being focusing on the advertisement, so the intimate character style like Mine can be readily read and understandable easily. But for the low involvement, Saem-moo1 style which is not intimate but unique for people, is highly scored in understanding. That is, like in the low involved advertisements, those with unique and of marked personality photos and pictures are counted for the easy reminding and meaningful advertisement for a long time to the consumer, the character style in the body text which is not intimate but unique can promote consumers' motives and improve the level of next information process. The general theory that novelty and visual prominence promote the attention of advertisement is adopted in the choice of character style for text of an article. As for the measurement of understanding, by the numbers of right answers for the questions of advertisement reaction, we can measure the degree of recalling advertisement. As that result, the measured value did not be proved to be meaningful at the attention level of 95%, but notable at the level of 95%.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character styles may affect degree of recalling proved not to be persuasive. Because the test advertisement for this study was just one-time exposed and virtual advertisement, it was a little difficult to prove the degree of reminding only by character styles. But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there are notable differences in degree of recalling. Lastly. we have tried to prove whether the effect of advertisement by the character style and involvement is independent or mutual by the interaction. As a result, the two valuables did not have mutual effects though they respectively affects reading spee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recalling. Korean advertisement has one hundred of long history and it began with the printing media advertisement. The initial text of advertisement consisted of whole Chinese characters, then they used together with both Korean and Chinese characters, at present most advertisement texts are Korean character, Hangul- oriented. It is since 1945 that Korea has been Hangul-oriented in full scale. Nevertheless the study on the readability of Hangul-characters in advertisement text has not been carried on, because science of advertisement is modem study recently came into being. So, I hop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basic research in this field and is helpful to choose character style in advertisement text which has not been studied yet.

      •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연아 서울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능력과 학교생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스트레스 대처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스트레스 지각 수준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트레스 대처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스트레스 대처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경기도 평택시에 소재한 A초등학교 5학년 7개 반을 대상으로 진단평가 실시 후 국어과와 수학과 두 과목의 성취 수준이 각 과목 학년 전체 평균의 하위 25%인 아동을 1차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스트레스 지각 검사와 스트레스 대처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스트레스 지각 수준이 평균 이상이고,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평균 이하인 2차 대상자를 20명 선정하여 10명(남6, 여4)을 실험집단에, 실험집단과 동질성이 확보된 10명(남6, 여4)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총 9회기의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한국판 SPSS/WIN 12.0을 활용하여 검사지의 통계 분석을 하였으며, 각 회기별 아동들의 소감문과 본 연구자의 관찰 결과, 전체 프로그램 평가 설문지와 전체 소감문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지각 수준의 하위 요인인 교사, 부모, 친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지각 수준과 학업스트레스 지각 수준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스트레스 대처 능력 하위 요인 중 긍정적인 방법인 적극적, 사회지지 추구적 방법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을 받은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 하위 요인인 국어과와 수학과의 평가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한 관찰 및 소감문 분석 결과, 아동들은 역할극과 「나-전달법」등의 직접 참여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대처하는 방법을 배웠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를 잘 다룰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또한 심상훈련과 이완 훈련 등은 심신을 안정시킴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에 따른 즉각적인 반응 및 공격적 대처 행동의 감소에 도움이 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학습부진아의 스트레스 지각 수준의 감소와 스트레스 대처능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들이 스트레스 대처 상담 프로그램을 통하여 스트레스 상황을 객관적으로 직면하고, 효율적인 대처방법을 사용하여 성공경험의 기회를 갖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습부진아에게 학업관련 보충지도 및 프로그램이 아닌 스트레스대처 측면에서의 상담적 개입으로 학습부진아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effets of a stress coping counseling program on underachi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perception, cop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vement.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Question 1> Stress coping counseling program there is an effect which reduces an underachi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perception? <Question 2> Stress coping counseling program there is an effect which improves an underachi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y? <Question 3> Stress coping counseling program there is an effect which improves an underachi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vement? To verify the questions above, the 5th grade 7 classes of A elementary school in P'yongt'aek, Gyeongi were selected as subjects. And a pre-test measuring the studying evaluation was given to first object person. Then, a pre-test measuring the stress perception level test and stress coping strategy test was given to subjects. Selected 20 children are secondary object people of results. The children are the above and stress disposal ability of average are below average. 10 children(6 males and 4 females) in the experimental group, 10 children(6 males and 4 females) arranged among the rest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9 terms of counseling program during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After the experiment, a post-test was give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quantitative analysis using Korean SPSS Win(version 12.0), opinion documents for each term,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program,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ers through observation and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 First,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decreased in stress perception level and its sub-factor that stress from personnel relationship stress of parents and friend and studies stress. Second,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tress coping strategy and its sub-factors that active, the social support pursuit method. Third,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ounseling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ademic achivement that score national language and mathematics.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qualitative analysis were execut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children had help learned effective stress strategy of the direct participation activity with role play and 「I-message」etc. And this will lead and the possibility which will treat the stress well was and to make a selfconfidence gain became. Also image training and relaxation training were stabilized the body and mind and became the help in decrement of the reaction which is immediate is caused by with the stress and attack reaction. The results above prove that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ress perception level decrement and stress disposal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for underachie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which sees leads stress coping counseling program, the underachie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fronts objectively, will be able to use the disposal method which is efficient in order, there being a possibility of helping to confirm a stress situation. Also this to lead and in order to have the chance of underachie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ccess experience. And with consult intervention of the stress disposal side where are not the studies supplement map and studies program for underachiev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being a possibility of decreasing shows a help in studies improvement.

      • 예비부부의 결혼준비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건강가정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강연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최근 조이혼율 증가추세로 인하여 결혼준비프로그램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준비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회기 별 참여자들 반응을 관찰하고 참여경험의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질문은 “회기별 결혼준비프로그램 참여관찰에서 얻은 참여자들 반응은 어떠한가?”와 “결혼준비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참여자들의 참여경험이 지니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있다. 자료수집은 2008년 7월부터 9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참여관찰로 얻은 관찰노트와 심층면접으로 얻은 축어록 및 현장노트를 활용하여 연구를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10명이었고 의도적 표집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현상학적 방법 중에서 Giorgi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 과정에서 Atlas ti 5.0을 활용하여 156개의 의미를 추출 하였다. 그 중에서 4개의 구성요소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를 얻었고 의미를 통합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관찰을 통해서 얻은 참여자들 반응을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전체 회기를 통하여 강사와 참여커플 간 라포 형성으로 격려와 지지를 통한 나눔의 장으로써 프로그램을 경험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참여자들의 심층면접을 통해 얻은 참여경험의 의미에 대한 결론은 4개의 구성요소와 8개의 하위구성요소로 나타났다. 4개의 구성요소는 “신뢰의 시간과 공간의 장”, “상호관계 문턱 넘기”, “소통의 새로운 장”, “능동성의 힘”이었다. 8개의 하위구성요소로는 “상대에 대한 고마움”, “친밀감 증진”, “스스로를 점검하는 시간”, “표현법 통한 이해증진”, “디딤돌 역할”, “그 시간 자체의 소중함”, “자발성 증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관심 확장”이었다. 결과적으로 결혼을 결심하고 결혼준비프로그램에 참여를 결정한 그 순간부터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이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참여결정은 참여자의 자기결정으로 결혼준비프로그램에 스스로 의미를 부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것으로 프로그램 내용의 효과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참여자들이 참여결정을 한 그 순간과 과정이 프로그램의 효과성 증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참여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임파워먼트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의는 실제 참여자들에게 결혼준비프로그램이 어떠한 의미를 부여했는지를 질적인 방법으로 파악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으로 얻은 자료를 통해 후속연구에서 프로그램의 질적인 보완이 가능하리라 기대하며, 결혼준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에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본다. 본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결혼준비프로그램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는 참여자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더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향후 결혼준비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기관은 보다 많은 이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반인들에게 결혼준비프로그램의 접근이 용이해 질 수 있도록 홍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결혼준비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할 때에도 진행자나 기관의 관점이 아닌 참여자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이 능동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나갈 수 있는 새로운 기획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종단적인 연구를 통하여 질적인 보완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서 결혼하여 살고 있는 이들에게 실제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Nowadays, because of the increasing trend of the early marriages and divorce rates,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is gathering strength and it is studied at a good 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response who take part in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every sessions and get the value of this program from it.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is what the participants' response is which is given through the participate-observe of the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and what the value of the participate-observe is.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about three months from July to September, 2008. The field notes and verbatim which were made through participant-observe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in study course. Participants were 10 and purposive sampling was used. Data analysis method was Giorgi method among phenomenological methods. 156 meanings were extracted by using Atlas ti 5.0 in the course of qualitative analysis. Among them 4 higher-order component factors and 8 sub-factors were gotten and their meanings were un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ing. First, the result gotten participant-observe is that pre-martial program play a role as a sharing site by being in rapport with lecturer and participant couple. Second, as a result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through in-depth interview of the participants 4 higher-order component factors and 8 sub-factors appeared. 4 higher-order component factors were 'the site of the time and space of trust", "interrelations start", "new site for communication", "the strength of the activeness". 8 sub-factors were "thanks for the other", "increasing intimacy", "time for self-check", "increasing understanding through expression", "steeping stone role", "the importance of time in itself", "increasing spontaneity", "the expansion of education program".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pre-martial program from the moment when participants decided to marry and take part in pre-martial program had influences on them. It can be said The decision-making toward pre-marital program participation means participants thought this program is valuable to take part in. That doesn't mean exclusion of the effect in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Rather it can be said the moment when the decision-making toward this program participation increases the effect of this program. For this reason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empowerment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Thus the value of this study is to know by using qualitative method what mean pre-marital program gave participant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high confidence in that researcher directly took part in and observed this program. This study shows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of participa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ntents in pre-marital program. There the organs which will do pre-marital programs have to induce many to active participation. Besides publicity campaigns are necessary for common people to easily participate in pre-marital program. In consisting in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new plan for the program is needed for participants to voluntarily take part in the program. At last, in studying hereafter in this field the qualitative complement is needed and I expect this study will helps the crisis within family over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