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리합금그물감의 공극률 및 영각에 의한 유속 저감과 유체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강아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구리합금그물감은 강한 외부환경에 노출되어있는 외해 양식시설에 사용할 수 있는 재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구리합금그물감을 적용하여 보다 안전하며, 사육어에 친화적인 가두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그물감을 통과한 물의 흐름에 대한 특성과 그물감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 먼저 규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9가지 공극률로 제작한 구리합금그물감을 사용하여 다양한 영각과 유속에서 그물을 통과한 후의 유속 변화와 그물에 작용하는 유체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먼저 공극률에 따른 유속 변화에 대해 실험한 결과, 공극률이 커짐에 따라 그물감을 통과한 흐름에 있어서 유속감소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그물감의 영각 변화에 따른 유속 변화의 경우에는 영각이 작아짐에 따라 유속감소율이 커졌다. 또한 유속변화에 따른 그물감에 작용하는 항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항력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그물감에 작용하는 유체력 계수를 분석한 결과, 항력계수는 영각이 작아짐에 따라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양력계수는 영각 0°에서 45°까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다가 영각 45°에서 90°로 증가할 때에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영각 90°에서 0이 아닌 값이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그물감에 유체의 흐름이 있을 때 그물감의 비틀림 현상이 일어나고 프레임의 영향으로 예측 결과와 상이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레이놀즈수 변화에 따라 그물감에 작용하는 유체력 계수를 분석한 결과, 유속 0.3 m/s 이상부터 레이놀즈수 증가에도 비교적 일정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리합금그물감과 나일론그물감 사이의 유속 변화를 비교하였을 때 그물감을 통과한 후의 흐름에서 구리합금그물감의 경우 유속감소가 더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재질이 상이한 두 그물감에서의 차이의 원인은 두 그물감의 재료의 강성, 표면의 거칠기, 그물 매듭 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차후 어구나 양식시설과 같은 수중 구조물의 수치해석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구리합금으로 제작된 가두리를 이용한 추가적인 실험을 수행하여 평면그물감과 가두리 사이의 유속감소계수에 대한 일반식을 도출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성 있는 어구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copper alloy netting has been proposed as a material for aquaculture facilities can use to build in harsh offshore environments. To design a cage made of copper alloy netting,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flow of water through the netting and force of external sources on the netting. Therefore, this study measured and analyzed the current velocity redu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netting and the hydrodynamic forces acting on the netting using copper alloy netting with nine solidity ratios. As a result of the reduction rate of the flow velocity through the netting, the flow reduction rate was increased when the solidity ratio of netting was increased. The flow reduction rate was also increased when the attack angle on the netting was decreased. In analyzing the resistance on the netting, we also discovered that resistanc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flow velocity and solidity ratio. An analysis of the hydrodynamic coefficient acting on the netting is shown that the drag coefficient tends to increase as the attack angle increases. We also analyzed the hydrodynamic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Reynolds number. When the drag coefficients acting on the netting were analyzed with the different Reynolds numbers, the Reynolds number increased from over 0.3m/s to a relative constant. Finally, when comparing the flow velocity reduction rate between copper alloy nettings and nylon nettings, the copper alloy nettings had a smaller velocity reduction rate. Future research on copper alloy netting cages should seek to establish a general formula for a flow velocity reduc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lane netting and the cage to help establish a more efficient and stable design for aquaculture facilities.

      • 로이 애스콧의 모이스트 미디어 개념에서 바라본 인간과 기계의 공생 관계 연구

        강아림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로이 애스콧(Roy Ascott, 1934-)의 모이스트 미디어(moist media) 개념에서 드러나는 인간과 기계의 관계 변화를 공생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모이스트 미디어는 건조한(dry) 기계 매체 구성에 촉촉한(moist) 생물학적 요소를 대입하여 생물과 기계의 본질적 간극을 좁히는 개념이다. 이 개념을 기반하여 애스콧은 기계 인터페이스 안에서 생물학적인 견해를 발굴함으로써 인간과의 유기적인 연결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모이스트 미디어를 기반으로 로이 애스콧과 에두아르도 칵(Eduardo Kac, 1962-)의 작품 안에서 드러나는 인간과 기계의 공생적 관계성을 주목한다. 로이 애스콧은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텔레매틱스(telematics)’를 제창했다. 그는 네트워크 속 분산된 사용자들이 서로 연결되고 참여하면서 작품을 완성해나갈 수 있는 상호작용성에 주목했다. 그리고 이를 분산된 저자성(distributed authorship)이라는 단어로 정의했다. 나아가 애스콧은 사이버지각(cyberception)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의식을 제시해 물리적인 제약을 벗어나는 원격현전(telepresence) 속 활동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애스콧은 물질과 비물질의 경계가 흐려짐에 따라 기계의 능력을 포용하는 인간의 새로운 관계성을 제시한다. 모이스트 미디어는 기계 속에서 생물과 유사한 성질을 발굴함으로써 기계가 인간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될 수 있음을 연구하는 애스콧의 개념이다. 모이스트 선언문을 공표하면서 시작된 이 개념은 뉴런(neurons), 유전자(genes) 등 생물의 구성요소들을 기계에 새롭게 대입한다. 자연과 인공이 서로의 차이를 완화함으로써 공존할 것은 예견한 애스콧은 둘 사이를 엮는 모이스트 미디어가 실행될 새로운 정신적 현실로 식물 현실(vegetal reality)을 제시한다. 이 현실은 동시에 두 가지 공간에서 활동하는 의식이 공존한다는 애스콧의 이중 의식(double consciousness) 논의의 시초인 원주민 쿠이쿠로(kuikuro)의 환각 식물을 활용한 제례에서 파생되었다. 이와 함께 애스콧은 기계의 능력을 긍정적으로 포용하여 인간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협력하는 공생적 타자로 변화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애스콧이 모이스트 선언문 중 가장 마지막으로 예술에 관하여 공표한 점에서 알 수 있듯 그의 모이스트 미디어 연구는 기계와의 소통과 공존을 통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그려내는 예술의 전이를 중점적으로 고찰한다. 애스콧은 예술가 활동을 연구와 병행함으로써 이러한 자신의 주장을 실천하고자 하였다. 애스콧의 작업은 기계를 활용한 인간과 인간의 연결에서 인공생명과 인간의 상호작용으로 확장함으로써 모이스트 미디어의 실천을 표현하였다. 이와 함께 분석하는 에두아르도 칵은 초기 작업에서 원격현전(telepresence) 기술을 통해 ‘텔레로봇(tele-robot)’을 개발하여 인간 사이를 연결하는 기계 인터페이스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동물, 식물 등 인간과 다른 종간의 대화 가능성을 이끌어내었다. 바이오 아트(bio art)로 발전한 칵은 인간 신체에 직접적으로 기계를 결합함으로써 공존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이후 유전자 이식 기술로 발전하며 모이스트 미디어와는 또 다른 측면으로 생물과 무생물의 관계를 전개하는 방식을 드러낸다. 애스콧의 모이스트 미디어는 새로운 미래를 예견하는 형식을 갖추어 여러 연구자들에게 유토피아주의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기술과학의 발전에 대한 통찰을 기반하여 기계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발굴하고 이를 인간과 연결함으로써 긍정적인 관계 변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둘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애스콧의 모이스트 미디어 개념 속 인간과 기계의 연결성에 초점을 맞추어 공생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는 미디어 아트를 제고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machine based on the concept of moist media proposed by by Roy Ascott’s(1934-) moist media concept. Moist media is a concept that narrows the essential gap between living things and machines by substituting moist biological elements into machine. Based on this concept, Ascot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organic connection with humans by excavating biological views within machine interfaces. Based on such moist media,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achine revealed in the works of Roy Ascott and Eduardo Kac (1962-). Roy Ascott advocated 'Telematics', that communication can take place through a network system. He paid attention to the interactivity in which distributed users in the network can connect and participate in each other and complete the artwork. And he defined it as the word distributed authorship. Furthermore, Ascott proposed a new type of consciousness called cyberception to examine activities in telepresence that escape physical constraints. Ascot presents a new human and machine relationship that embraces the capabilities of machines as the boundaries between matter and non-materials become blurred. Moist media is Ascott's concept of studying that it can become a new interface closely connects with humans by discovering biological-like properties in machines. This concept, which started with the publication of the Moist Manifesto, newly put the components of living things, such as neurons and genes, into machines. Foreseeing that nature and artificiality would coexist by mitiga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pace, Ascott presents vegetal reality as a new spiritual reality in which the moist media linking the nature and artificiality will be implemented. This reality was derived from the ritual using hallucinogenic plants of the indigenous kuikuro, which was the beginning of Ascott's discussion of double consciousness, which states that consciousness that is active in two spaces at the same time coexists. Therefore, Ascott positively accepts the capabilities of machines and argues that machines can be transformed into symbiotic others who cooperate with humans.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Ascott made the last announcement about art in the Moist Manifesto, his study on moist media focuses on the transfer of art that draws a new paradigm through communication and coexistence with machines. Ascott tried to put this argument into practice by combining artist activities with study. Ascott's work expresses the practice of moist media to symbiosis with machines by expanding from the human-human connection using machines to the interaction between artificial life and humans. In his early work, Eduardo Kac developed a tele-robot through telepresence technology to examine machine interfaces connecting humans, which led to the possibility of conversation between humans and other species such as animals and plants. Developed into bio art, Kac tried to symbiosis by combining machines with the human body, and later developed into gene transplant technology, revealing a way of developing a relationship between organism and nonliving things in another aspect from moist media. Ascott's moist media has been criticized as being utopian by many theorists because it has a form that predicts a new future. However, his study can be valuable in that it discovers new possibilities for machines based on insights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science and induces positive change in relationships by connecting them with human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ymbiosis by focusing on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n Ascott's moist media concept, and improves media art that practices it.

      •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아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치료사는 음악치료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나 장애를 가진 클라이언트를 만나게 되는데 이러한 업무 과정에서 크고 작은 스트레스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직무로 인한 스트레스를 지나치게 받게 되면 결국 소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정도를 파악하고 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를 통하여 음악치료사의 근무환경 개선과 음악치료세션의 질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 임상 실습과 인턴십을 거쳐 석사 과정을 수료 혹은 졸업한 후 음악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음악치료사 11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주 근무지, 근무형태, 근무시간, 월 평균수입, 전체적 직업만족도는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 임상경력, 클라이언트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음악치료사의 일반적 변인에 따른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임상경력, 주 근무지, 클라이언트는 음악치료사의 소진에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 근무형태, 근무시간, 평균 수입, 전체적 직업만족도에 따른 소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의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성이 가장 높은 항목은 정서적 탈진과 근무환경으로서 상관계수가 61.8%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즉, 근무환경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으면 정서적 탈진에 대한 소진도 높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음악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약 41.5%이며 유의한 설명변인 중 가장 크게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대인관계요인이고, 다음으로는 근무환경, 전문성신장 요인 순으로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usic therapists used to be faced with various stress caused by the work that the therapists have to meet the clients with various problems and obstacles. Excessive job stress has an effect on burn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knowledges that are needed to develop the therapist's work environment and the quality of session by researching job stress, burnout and relationship among those facts. This study was progressed by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the 112 subjects of a master's degree who are therapists providing the music therapy service 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udy about job stress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herapists's general variables is, there were job stress differences in facts of primary workplace, work patterns, working hours, monthly income, and job satisfaction. While, there were not job stress differences in facts of experience, clients between groups. Second, the result of study about burnou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herapists's general variables is, there were burnout differences in facts of burnout age, experience, share locations, clients. While, There were not burnout differences in facts of work type, work hours, average income, job satisfaction between groups. Third, the study said there is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rapists's job stress and variables of burnout. The factors of the highest correlation are emotional exhaustion and therapist's work environment, its correlation coefficient is approximately 61.8%. In other words, if the stress on the working environment is high, burnout on the emotional exhaustion is high, too. Finally, influence caused by therapists’s job stress has an effect on burnout, its feature is approximately 41.5%, it's the most influential one of variables. Followed b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factor, work environ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factor.

      • 조각에 나타난 연극성에 대한 연구

        강아림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예술은 통합적 예술을 향하여 각 매체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각 매체간의 구분은 점점 더 모호해져가고 있다. 이러한 커다란 주류에서 조각과 연극의 관계 역시 예외는 아니며 그 둘의 조각적인 요소와 연극적인 요소에서 공통점을 찾아보고 조각 안에서 발견되는 연극성에 대해 연구하여, 조각을 새로운 측면에서 바라보는 것은 의미가 있는 일이라고 생각된다. 조각에서 보이는 연극성은 조각의 시간성과 공간성을 바탕으로 한다. 연극성을 특수한 공간 안에서 관람객에게 시간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성격이라고 본 연구자가 정의한다면 연극성과 관련된 조각의 시간성은 경험의 차원에서 나눌 수 있다. 조각을 통해 경험하는 시간성은 조각의 움직임을 통해 경험하는 시간성, 우리의 신체를 통해 경험하는 시간성, 초(超)시간을 통해 경험하는 시간성, 가상적으로 경험하는 시간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조각이 키네틱 아트에서처럼 움직이는 것에서 시간적인 감각을 느낄 수 있으며,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 조각을 시시각각 다르게 보는 데서 시간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변하지 않는 조각의 물성을 통해서 조각에 함축되어 있는 초시간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조각에서 제시된 동세를 통하여 움직임이라는 가상적 시간성을 느낄 수 있다. 조각과 연극은 실재하는 공간에서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조각과 연극은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조각의 공간성은 연극성과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미술사조에 있어서는 근대 이전에는 인체의 형상화로 인하여 조각에서의 연극성이 발견되고, 근대 이후에는 다양한 예술 사조들이 다양한 연극성을 제시한다. 초현실주의에 나타난 무의식의 표현, 미래주의에 나타난 운동성과 역동성, 아방가르드에 나타난 반(反)전통성, 행위예술에서 나타나는 행위적 표현, 통합 예술적 움직임에 나타난 서로 다른 장르들을 통합하는 성격 모두가 조각과 연극이 공통적으로 지니는 성질이며 여기서 우리는 조각에 나타난 연극성을 역사적 사조를 통해 재정립할 수 있다. 또한 미니멀리즘 조각에서 직접적으로 연극성이 제기된 사실은 조각의 연극성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각과 연극에서 각자 대상이 가지고 있는 역할의 차원에서 조각과 연극의 연관성을 찾는다면 조각이나 오브제가 연극에서의 배우와 같이 제시되거나 그러한 역할을 하며, 연극에서 배우는 조각과 같은 물질적 도구의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조각과 연극은 본질적으로 조각이 연극화되며 연극이 조각화되는 성질을 이미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조각과 연극이라는 상이한 예술적 장르를 시간성과 공간성의 측면 중심으로 분석해보고 서로 상호 보완적인 면을 찾아 가면서, 조각과 연극의 통합적인 요소들을 끌어내어 그것들의 성향이 서로 관계되는 종결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두 장르의 근본적 특징과 조각의 역사에 대해 고찰하고 조각의 시간성과 공간성에서 연극을 대입하며, 조각의 역할과 연극의 배우가 가지는 역할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조각에서 나타난 연극성에 대해서 심도있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Modern Art is becoming integrated. In Modern Art, every medium i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so that classification of each medium is becoming obscure.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s are not exceptions. Therefore, discovering the commonness of sculpture and theatrical factors and founding out theatrical characteristics in sculpture can be meaningful which can create a novel view point of appreciating sculpture. Theatr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sculpture are based on time quality and spatial quality in sculpture. If we define theatrical characteristics as providing timely experience to audience in a specified place, sculptural time quality related to theatrical performance can be divided into several experiential levels. Time based quality in sculpture can be classified to time based quality through the movement of sculpture, time based qua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body, time based quality through transcendental time and time based quality through virtual experience. In other words, we can notice the time due to movement of sculpture as in Kinetic Art and different time caused by body movements. Also we can notice transcendental time implied in sculpture by unchangeable quality of sculpture and feel time based quality of virtual movement by the implied posture. In terms of being displayed in real space,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 can be said to give life to the space. This spatial quality is deeply related to the theatrical characteristics. In the view point of artistic trend, pre-modern art shows theatrical quality in sculpture caused by realization of human body whereas various trends in post modern art presents various theatrical quality. Subconsciousness in surrealism, movement in futurism, anti-tradition in Avant-guard, behavioral expressions in performance art and integrated characters in the integrated movement are commonness in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 Also, the theatricality raised in Minimalism sculpture proved theatrical characteristics in sculpture. In the terms of role of the sculpture and actor, in sculpture objects acts as actors, and the actor in theatrical performance can be a physical instrument.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 can be said to have a nature of sculpture becoming theatrical performance and theatrical performance becoming sculptu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paper is to research on the time based quality and spatial quality in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 and lead to the final destination that can meet at a point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integrated factors of them. In order to reach these goals, I will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 and history of sculpture, substitute the time and space based quality of sculpture and theatrical performance and study the role of the sculpture and actor in theatrical performance to provide theatrical characteristics in sculp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