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천지역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

        강승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Students spend an average of 4 to 14 hours a day in Educational Facilities. Therefore, their health is greatly affected by the Indoor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The quality of air in Educational Facilities has been deteriorated in recent years due to diversification of construction materials, increased application of chemical substances, and the lack of ventilation systems incorporated in Educational Facilities. As a result, students who spend great deal of their time in newly constructed Educational Facilities suffer from "Sick School Syndrome", a phenomenon similar to the "Sick House Syndrome". This has a potential of becoming a serious health concern, especially among young students who have not fully developed strong immune systems. Currently, the rules and regulations on the Indoor Air Quality as enfor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less strict than tha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n top of this, there are only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Air Quality of classrooms, not to mention the complete absence of study done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Facilities air quality and the building construction condition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background, this study presents some primary data based on the survey of classroom construction conditions and the measurements taken on the Air Quality of Educational Facilities. Relationships between the year of construction, the designs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density of pollutants are also analyzed and are included in this study. To summarize, there is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the year of classroom construction and the density of harmful chemicals present in Educational Facilities. 2008년 현재 전국의 교육시설(유치원,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대학교)은 19441개로, 신도시건설과 교육시설 개선사업으로 교육시설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편, 최근 건물에서는 건축자재의 화학물질 사용증대, 고기밀화 및 환기부족 등의 원인으로 실내공기질 면에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교육시설에 있어서도 학생들은 장시간(4h~14h/1day)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교실의 실내공기질은 학생들의 건강 및 쾌적성 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신체적으로 미성숙하고 면역기능이 발달되지 않은 학생들은 실내공기오염으로 심각한 피해를 볼 수 있다. 한편, 교육시설은 면적당 재실자 수가 일반 사무실보다 4배 이상이고, 교실에서 다양한 교과목의 교육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오염물질이 존재할 수 있는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보건법」은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비해서 내용이 다소 미비한 상황이며, 교육시설의 실내공기환경에 관련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교육시설의 실내공기질에 관한 기존의 연구로는, 학교 실내공기질 현장측정 및 성능평가, 친환경 자재, 환기시스템) 등에 관한 연구가 있으나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의 건축환경과 실내공기질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인천지역 교육시설을 대상으로 신개축년도와 실내마감재 및 가구 등의 건축조건에 대한 조사와 실내온열환경,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₂), 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히드(HCHO),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각종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에 대한 측정 및 결과를 바탕으로 그들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 포렌식 데이터의 분류체계와 활용방안 : 클라우드 스토리지 데이터를 중심으로

        강승아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는 장소나 기기에 제약 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양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가 단순한 데이터 저장소에서 벗어나 생성, 편집, 공동작업, 삭제, 공유, 댓글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클라우드 서버에는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관리하거나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인 파일 콘텐츠와 메타데이터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종합적인 통계 데이터 등 사용자의 활동을 추적할 수 있는 방대한 정보를 데이터 분류 체계에 따라 분류하고 체계적으로 수집 및 분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Cloud storage services are actively used because data can be used anytime, anywhere without being restricted by places or devices. Various cloud storage services are moving away from simple data stores and provid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creations, editing, collaboration, deletion, sharing, and comments. Therefore, the cloud server stores not only the data generated by the user, but also additional data for managing the user’s data or providing useful data in the cloud service.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a framework that can classify vast amounts of information, systematically collect and analyze the information that can track user’s activities such as basic file content and metadata, as well as comprehensive statistical data of cloud storage.

      • 「-면서」에 對應하는 「-ながら」의 誤用에 관한 硏究

        강승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日 本 語 抄 錄> 「-면서」に対応する「-ながら」の誤用に関する研究 韓国外国語大学 教育大学院 日本語教育専攻 姜 昇 我 本稿の目的は、韓国語の接続語尾の「-면서」と、これに対応する日本語の接続助詞の「-ながら」を対照研究し相違点について考察して、韓国人の日本語の学習者に対する教育的な効率性を高めることにある。 文法的な特徴および意味にあたって、韓国語の接続語尾の「-면서」と日本語の接続助詞の「ながら」は酷似すると思われる。しかし、実例においては使用上の違いが表れる。したがって、本稿では、このような相違点が表れる原因について、文法的な特徴と意味分類に分けて考察した。また、対照考察の方法として、韓国語「-면서」の意味分類を中心に「-ながら」との対応関係について探ってみた。考察した結果を次のようにまとめてみよう。 まず、「-면서」と「-ながら」との文法的な特徴によって対照してみたら、両者は同時進行の意味を持つ時、「 -고 있- 」と「-ている」は、各々「-면서」と「-ながら」に結合するのが不可能であるが、「-면서」と「-ながら」が両方とも逆接の意味を持つ場合には、変えることができた。また、「-면서」と「-ながら」が同時進行の意味の場合、「-면서」は前に付く動詞による制約がほとんどないとも言えるのに対し、「-ながら」は結合する動詞によって制約される。 次は、「-면서」が同時進行の意味を表す場合、「-면서」はほとんど「-ながら」に対応する。しかし、同時進行の「-ながら」には瞬間動詞が接続できないが、「-면서」には先行成分に対する制約がないため、「-면서」の先行成分が日本語の瞬間動詞に当たる場合には、「-ながら」と対応しない。また、先行文の述語の先行成分が「-くなる」となっており、後行文が無意志的な性格を持つ動詞になされた場合は、同時進行の意味を持つ「-ながら」とは結合できないが、「-면서」は先行文と後行文の述語の種類だけが同一であれば、同時進行の意味を持つ文が成り立つ。そして、「-ながら」は打ち消しと繋がると逆接の意味になるため、同時進行の意味を表す時は、打ち消しの「-면서」に対応しない。しかし、「-면서」はこのような制約はないので、「-면서」と「-ながら」しない。また、先行文の動詞が自動詞の場合も制約のない同時進行の「-면서」と比べて、同時進行の「-ながら」は先行文の動詞において動作性を持つ動詞に限られるので、「-면서」と「-ながら」は対応しない。 なお、「-면서」が逆接の意味を表す場合には、「-ながら」と文法的な特徴がほとんど類似するため、調査した範囲内では対応した。この時、「-면서도」と「-ながらも」の形態を持つのが特徴であるとも言える。 最後に「-면서」が継起の意味を表す場合、これに対する意味は日本語「-ながら」にはない意味になるので、この時、誤用が頻繁に起こると思われる。継起の意味を表す「-면서」は基本的に先行文と後行文の同時関係である意味を表しているが、先行文は後行文の動作や様態の起点となっている。こういう先行文に「-부터」を付けてみると、その意味の違いが確実にわかる。継起の意味を持つ「-면서」は前述した通り、'起点'の意味を内包しているため、先行文無しに、後行文の出来事は生じることができないという特性を有している。そこで、同時進行と逆接の意味を持つ「-면서」と区別できる。 本稿では研究対象を韓国語の接続語尾中、「-면서」と日本語の接続助詞の「-ながら」の対照考察に限定して探ってみたが、今後はそれ以外の接続助詞などにも注目して対照研究を進めたい。

      • 민주주의 위기론에 관한 이론적 재검토: 한국 위기론을 중심으로 : 규범화된 최소민주주의와 그 효과

        강승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은 2016년 이후 대두된 민주주의 위기론을 통해 민주주의를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민주주의 위기론을 제기함에 있어서의 이론적 난점을 살펴보고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위기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논문은 민주주의 위기론이 다음과 같은 점에서 현실의 민주주의를 파악하기 어렵거나 한계를 보인다고 주장한다. 첫째, 민주주의의 최소주의적 정의에서 출발할 경우 선거와 그와 관련된 최소한의 제도와 규칙들의 작동에 대해서만 말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이를 보완하기 위해 민주주의의 정의를 확장할 경우 민주주의의 여러 구성 요소들과 가치들의 경합을 발견하게 되고 특히 민주주의를 어떻게 바라보는지에 있어서의 관점차가 드러나게 된다. 이에 따라 여기에서는 한국 민주주의 위기론은 민주주의를 무엇으로 바라보는지, 그곳에서는 어떤 가치들이 경합하는지 살펴본다.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를 논하는 문헌들은 주로 자유주의적 민주주의관에 입각해 논의를 진행하는데, 그와 같은 틀에서 시민을 동원하는 민주주의는 지나치게 부정적으로만 이해되어왔다. 특히 최장집으로 대표되는 시각은 최소주의적 민주주의 정의를 규범화시킨 것으로, 이는 민주주의에 있어 시민이 참여하는 여러 일상적 활동들을 지나치게 병리적으로 파악하게 만든다. 이러한 시각은 오늘날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위기론의 특징에서, 또 한국 정치를 둘러싼 ‘반정치적 담론’에서 특징에서 기원한다. 그러나 민주주의의 대표 과정뿐 아니라 진행과 전개에 있어 시민 동원을 백안시하거나 외면할 수 있는 방법은 바람직하지도, 존재하기도 어렵다. 이 같은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하나의 결론은 민주주의는 제도들이나, 도달해야 할 목표일 수 있지만, 또한 끝나지 않는 과정 그 자체라는 것이다.

      • 대나무 재료를 이용한 홈퍼니싱 제품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 -호남성 지역 특색을 중심으로-

        강승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생태 디자인의 개념 아래 홈퍼니싱 디자인에 대나무 소재를 합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시대의 발전에 부합하고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있어 미적 요구를 충족시키며 환경오염, 자원부족, 생태불균형 등 일련의 심각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나무 사용의 오랜 역사와 풍부한 지역 문화 자원을 가지고 있는 중국 호남성 지역을 대표 대상으로 삼고, 이 지역의 특징적인 홈퍼니싱 디자인에 대나무 소재를 적용하는 것을 주요 논제로 논의하고자 했다. 이 논문은 먼저 대나무의 재료 연구 및 응용 현황, 홈퍼니싱 디자인에 사용되는 대나무 소재의 사용 현황을 분석하고, 대나무 소재의 특성과 홈퍼니싱 디자인 경향을 명확히 하였다. 동시에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대나무 재료’, ‘홈퍼니싱 제품’ 및 ‘호남성 지역문화’의 세 가지 주제어를 설명하고 정의했다. 그런 다음 ‘탄두연화(滩头年画)’, ‘통족직금(侗族织锦)’ 및 ‘보경죽각(宝庆竹刻)’을 예로 들어 호남성 지역의 문화적 특성을 소개하고 기존 호남성 지역의 특색을 지닌 대나무 소재 홈퍼니싱 제품 디자인 사례를 나열하고 기존 사례의 미학적 특징과 디자인의 한계점을 요약했다. 대나무 소재의 특성, 홈퍼니싱 디자인 트렌드 및 기존 제품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파악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호남성 지역의 특색인 홈퍼니싱 디자인에서 대나무 소재의 기본 원칙, 즉 인간 중심 원칙, 친환경 원칙 및 지역 특색 원칙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이 3가지 원칙에 따라 호남성 지역의 특색을 지닌 홈퍼니싱 제품 디자인에 적용할 대나무 소재의 실행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에는 대나무 소재 CMF 디자인에 기반한 적용 방법, 대나무 소재 공정 혁신에 기반한 적용 방법, 지역 문화 요소의 표현에 기반한 적용 방법 등이 있으며, 제안된 방법의 실효성은 디자인 실습을 통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전체 내용에 기초하여 호남성 특유의 홈퍼니싱 제품은 지역성과 실용성을 가지고 있으며 생태 환경 보호 및 대나무 재료의 자연미를 보존한 디자인적 특성도 가지고 있다는 결론을 지었다. 그리고 후속 디자인을 위해 "플라스틱 대신 대나무", "문화 이식" 및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홈퍼니싱 제품에 대한 호남성 지역의 특색인 대나무 재료를 디자인할 것을 제안했다. 본 연구는 ‘호남민속화’, ‘소수민족 전통 도안’, ‘무형문화유산 프로젝트’ 등 호남성 지역의 문화적 특색에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여 호남성 지역의 특색인 대나무 소재의 홈퍼니싱 제품을 디자인해야 한다. 이것은 특징적인 홈퍼니싱 제품의 디자인에서 대나무 재료의 더 나은 응용과 혁신을 위해 특정한 참고 의의를 가지고 있다.

      • 성 프란치스코의 영성이 한국 교회에 주는 시사점

        강승 호남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23

        본 논문의 목적은 사회적 공신력을 잃어버린 한국교회가 사회와 사람들의 존경과 신뢰를 받지 못하고 정신적 지주역할을 하지 못하며 오히려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있다. 또한 지난날 국난극복을 위해 또한 정치, 경제, 사회적 상황 속에서 한국교회는 과연 빛과 소금의 역할을 제대로 감당했는가의 물음과 시대의 고통을 당한 이 나라와 국민에게 희망과 용기와 믿음을 심어 주지 못하고, 사랑과 평화를 실천하는 책임을 감당했는가에 물음을 가져보는데 있다. 그리고 오늘날 한국교회의 위상이 크게 실추되고 있는 이유가 바로 교회의 ‘정체성의 결여’ 즉 도덕성과 공동체성 그리고 더 나아가서 바른 영성을 상실하고 있는 이때에 한국교회의 성장과 발전 및 부흥의 뒤에 현실로 직면해 있는 위기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을 기초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한국교회가 직면하고 있는 위기를 통하여 오히려 희망을 말할 수 있다는 것과, 위기극복을 도울 수 있는 한 방안으로 제시된 성 프란치스코의 영성은 한국교회의 변화를 이끌어 내어 올바른 신앙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비판적 성찰을 통하여 한국교회의 성장은 이제 신학적이며 윤리적이며 실천적인 영적 성숙을 통하여 그 방향성이 새롭게 전환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것이다. 그 동안 양적 성장, 물질주의적 가치관, 기복주의적 기도와 세속화에서 벗어나 본질적인 교회의 역할을 회복하고 일상생활에서 선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그리스도인을 양성하는 과제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오늘의 한국교회가 바른 영적성숙으로 나아가도록 성 프란치스코의 영성에서 그리스도의 수난과 기도의 영성과 교회의 영성을 통해 한층 성숙한 하나님 나라의 삶을 살아가는 핵심 공동체로서의 교회와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의 진정한 가치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성 프란치스코의 영성은 오늘날 편의주의적인 신앙생활과 무분별한 기도와 대형교회만을 추구하던 인간적 관점의 신앙생활에서 벗어나 성 프란치스코가 따르고자 했던 그리스도의 수난과 교회의 영성과 기도를 본받아 그리스도인다움을 회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도록 하는 것이다.

      • 확산오류를 고려한 잉여슬라이스 선택을 통한 H.264/AVC의 효율적인 오류내성부호화 방안

        강승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23

        최근 널리 보급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는 이동통신채널의 발전에 힘입어 또 하나의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특히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신이나 동영상 서비스가 현실적인 수준의 안정성을 보임에 따라 이동통신채널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향후 더욱 다양화 될 가능성이 높음을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동통신채널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전송오류는 이러한 서비스의 다양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 휴대용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대표적인 서비스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이동통신채널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를 제공한다. DMB 서비스 표준은 전송오류를 극복하기 위해 Eureka-147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시스템 규격이 제공하는 길쌈부호화 (Convolution Coding)의 부호화율(Coding Rate)을 제어하는 방식과 RS(Reed-Solomon)(204, 188, t=8)방식을 함께 제공한다[8][9][10][11].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DMB 서비스 표준의 요건인 10^(-8)정도의 BER(Bit Error Rate)을 효율적으로 만족하기 어렵다[7]. 부호화된 영상정보는 그 고유의 특성에 의해 통신채널의 전송오류에 심각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전송오류가 빈번히 발생 할 수 있는 통신채널의 특성에 맞도록 부호화된 영상의 비트열을 특별히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H.264/AVC의 오류내성 부호화 도구 중 잉여슬라이스 부호화 방법에 확산오류를 고려한 슬라이스 선택 방법을 추가한 오류내성 부호화 방안을 제시 하고 실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 한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that offers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s, is prone to transmission errors. As techniques for preventing transmission errors, DMB transmission system provides convolution coding and Reed-Solomon (204, 188, t=8) coding.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not efficiently meet DMB standard requirements, that BER lower than 10^(-8) Encoded visual information is susceptible to transmission error due to its inher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bitstream of an encoded picture needs be composed in a way that is fitt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channel, in which transmission errors frequently occur. This paper proposes an error resilient coding method which uses redundant slice coding method of the error resilience coding tool of H.264/AVC, with the addition of slice selection method based on drift error. Afterwards, the performance of the error resilience coding method is verified through experiment.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질오염에 관한 개념조사

        강승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질오염에 관한 개념을 조사하였고 그 개념이 지역별,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환경오염에 관련된 연구 문헌들을 자료 수집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질오염에 관련된 기존 검사 문항지를 수정, 보완하여 창원의 도시지역과 남해의 면소재지 농어촌지역의 10개 초등학교 6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검사 문항지를 투입하였다. 검사 문항지를 투입하여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지역별로,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기물에 의한 물의 오염에 대한 개념과 지하수오염의 원인에 대한 개념에서 많은 학생들이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질오염에 관한 개념형성에 있어서 남녀학생간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수 처리의 원리와 관련된 물속의 유기물 분해에 대한 개념과 먹이연쇄에 의하여 생물의 몸속에 중금속 물질이 농축되는 현상에 대한 개념에서 지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도시지역의 학생들이 농어촌지역의 학생들보다 정확한 개념을 형성하고 있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6th grade student‘s conception on the water pollution for the viewpoint of sexual and regional difference. First documents on environmental pollution were collected, based on them pre-item test papers on water pollution was corrected, supplemented and distributed to ten elementary schools at urban area (Changwon area) and at some rural areas (Namhae area). After analyzing the result of distributing the test pa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gional and sexual differ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any students has misconception on the water pollution of organism and reason of underground water contamination. Second,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ir beliefs of water pollution. Third,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 is found in the conception on organic decomposition in the water related to the principle of water purification, o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organism body by food chain. And then students' conception at urban area is built up better than that at rural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