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강슬기 차의과학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참여자는 DSM-5 기준 ADHD 진단을 받았으며 약물 복용 중인 8세에서 13세의 여아 1명과 남아 9명이며 평균 연령 10.5세다. 연구자는 2022년 1월부터 2022년 2월까지 주 1회, 70분씩 총 7회기 동안 H 지역 내 정신건강증진센터에서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연구를 위한 방법은 양적 연구로서 ADHD 아동의 정서와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SEI (자아존중감 검사), SDQ-KR (강점. 난점 검사)를 사용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로는 초기(친밀감 및 흥미 유발)-중기(자기 이해와 타인에 대한 이해)-후기(협력과 소속감을 통한 안정감 및 사회성 증진)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결과 아동들에게 지각되는 정서 완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 아동들은 프로그램 시행 전과 비교해 정서 증상이 참여 전과 비교하여 참여 후 유의미하게 감소 되었다. 둘째, 과잉행동, 정서증상, 품행문제, 또래문제로 구성된 SDQ 난점 총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세부 항목에서의 유의미한 정도는 달랐지만 총 난점의 긍정적인 변화는 사람들과 다양한 영역에서 긍정적이고 원활하며 조화로운 관계 형성을 하게 하는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ADHD 아동의 정서 및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s and soci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1 girl and 9 boys aged between 8 to 13 taking medicine after being diagnosed with ADHD based on DSM-5, and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is 10.5 years old. The research participants joined in 7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in the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 in H area once a week from January 2022 to February 2022 with each session for 70 minutes. In the case of the research method, it is a quantitative study and Self-Esteem Inventory (SEI) and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were used as the measurement tools to measure the emotions and sociability of the children with ADHD. The goal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each phase are as follows, early goals (intimacy and interest inducement)-middle goals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others)-latter goals (enhancement of stability and sociability through collaboration and affilia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alleviating the emotions perceived by the children.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the emotional symptoms declined significant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compared to the state before the program. Second, there were meaningful changes in the total of difficulties in SDQーKr including hyperactivity, emotional symptoms, conduct issue, and peer issues. The meaningful level varied depending on the detailed items, but the positive changes in the total difficulties prove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bility to form positive, amicable, and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people in various realm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motions and soci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 국내 아프리카 난민들의 장소만들기와 삶의 전략 : 경기 동두천 서아프리카 출신 난민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강슬기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s the place-making and living strategy that African refugees create through the formation of community and network in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to Dongducheon from the perspective of agency. This study focuses on the experiences of West African refugee women living in Dongducheon, Gyeonggi Province and examines their place-making and living strategies. It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issue that earlier studies portrayed refugees as passive beings internalizing the system.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and the framework of existing research on refugee migration by employing agenticity and activity in the context of specific refugee groups and social conditions of the country of settlement.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y do African refugees choose Dongducheon and what is the environment that makes them migrate to Dongducheon? Second, how are African refugee communities formulated, what influences and roles do these communities shape, and how do they enable the transnational networks? Third, how are the living strategies that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and economic conditions surrounding African refugee women embodied? By answering these questions, the study analyzes the landscape of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process of African refugees and reinterpret the process in relation to the perspective of transnational networks. This study is also an ethnography of complex and diverse forms of mobility transcending regional and national boundaries that emerges within the migration process. It pays close attention to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he identity of refugee women through appropriation, negotiation, and subversion of the place of their migration trajectory. In Chapter 2, this research provides sketches of the spatial organization in Dongducheon by analyzing the migration history in the city. The chapter also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African refugees living in Dongducheon and the trajectory of their migration and settlement. Unlike in many migrant sending countries in Asia, African countries do not have official channels to apply for working in South Korea. The lack of official policy makes many African migrant workers seek their own individual strategies to find ways to enter South Korea. Since the enactment of the Refugee Act in 2012, for example, the number of refugee applicants who choose to enter South Korea has noticeably increased. Traditional marriage migration is also another strategy many African refugees find. Most refugee applicants from Africa primarily choose to stay in Itaewon inside Seoul which serves as a spatial base for meeting fellow Africans and obtain new information about next destination, which usually is Dogducheon. Dongduche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 military presence is an English-speaking area and has less immigration controls. Many African migrants find the city attractive enough to choose as a more permanent place for living and the collective movement of similar ethnic groups leads the formation of transnational space in the city. Relatively low costs of living in Dongducheon and employment opportunities available in nearby industrial areas are also additional pull factors of the migration. Chapter 3 examines how African refugees in Dongducheon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their communities and understands the catering network created within the communities. The chapter also discovers the emergence of at-homeness created in these networks and how these networks embedded in the South Korean city enables transnational networks. In Korean society where social rights and capital are scarce for migrants and refugees, African refugees meet with people of the same language and culture and organize communities with various purposes regardless of religious affiliations, national and ethnic differences and class. Through the community relations, refugees exchange necessary information to adapt to Korean society and seek to solve problems they commonly encounter. They rely on each other and provide information and resources to supplement their lack of citizenship and social supports due to the unstable status as refugees. This kind of community practice and cooperation becomes a foundation facilitating initial stages of settling in Dongducheon which also gradually introduces them to enter South Korean society. Chapter 4 focuses on the living strategy and performativity created by refugee women who are plac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refugee identity, African race and gender experiences as a woman within the African refugee community in Dongducheon. It pays attention to how the living strategies are embodied among socio-cultural and economic conditions surrounding African refugee women. African refugee women migrate through a traditional marriage called the bride price then form and maintain households in South Korea. The patriarchal restraints resulted from the pride prices still exist in their precarious status of refugees. However, refugee women in Dongducheon show their own ways of shaping and reshaping life strategies in facing difficult challenges regardless of receiving the bride prices. The bride price is not the major factor to make them migrate to South Korea. This research finds that many refugee women decided to migrate to avoid gender-based violence frequently happening in their home societies. In addition, in their lives in Dongducheon, they create their own strategies transcending the boundaries of legal and illegal to overcome the lack of opportunities in employment and child care. This study shows that the complex and diverse experiences of networking and life strategies of African refugee women as part of the current Korean society through the ethnographic lens onto the Dongducheon refugee communities. It also emphasizes the ways in which refugees practice their own agency in the encounter of different challenges and refugee women have specific life strategies that are rooted in the gendered experiences. This study reveals the lives, voices, and experiences of African refugees who are excluded and marginalized in South Korean society. Although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on refugees and migrants in South Korea,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projects focusing on the African refugees. I hope this study can provide a foundation raising more awareness of refugee women in South Korea and enabling further research about them. Lastly, hope that it will be read as a record that reveals African refugee women who constantly reflect and make choices refusing to remain as victims in an environment where their lives are restricted continuously by the socio-economic and cultural conditions surrounding them. 본 연구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이 동두천으로의 이주와 정착과정에서 이들의 공동체와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창조하는 장소만들기와 삶의 전략을 행위주체성 관점에서 분석하는 연구다. 본 연구는 경기 동두천에 거주하는 서아프리카 출신 난민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들의 장소만들기와 삶의 전략을 이해한다. 이는 기존 연구가 난민들이 제도를 내면화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묘사된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는 난민의 특수성과 정착국의 사회적 조건 속에서 이들의 행위자성과 능동성 그리고 적극성을 통해 이주와 난민에 대한 연구의 틀을 확장하려는 의도이다.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연구 질문에 기반을 둔다. 첫째,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이 왜 동두천을 선택하며 이들을 동두천으로 이주하게 만드는 환경이 무엇인가? 둘째, 아프리카 난민 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며 이들 커뮤니티가 어떤 영향과 역할을 발휘하고 어떻게 초국적인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가? 셋째, 아프리카 출신 난민여성들을 둘러싼 사회문화·경제적 조건의 영향을 강하게 받으며 취하는 삶의 전략은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되는가? 이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의 이주와 정착 과정의 지형을 분석하고 초국적 네트워크 관점에서 재해석하려고 한다. 이주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과 국가의 경계를 넘는 복잡하고 다양한 움직임에 관한 에스노그래피를 수행한다. 또한 난민여성이 이주한 장소의 전유와 협상 그리고 전복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본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2장은 이주의 역사와 거주 난민의 특성 분석을 통해 동두천의 공간적 구성을 파악한다. 동두천에 거주하는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의 특성을 알고 이들이 동두천으로 이주하고 정착하는 과정을 확인한다. 이주노동정책의 도입과정에서 아프리카권은 한국정부의 관심 밖이었기 때문에 아프리카권 이주노동자들은 개별적으로 한국으로의 노동이주를 계획해야 했다. 2012년 한국에서 난민법이 제정되면서 한국을 선택하여 입국하는 난민들이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전통혼례를 통한 이주도 하나의 계기가 된다.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은 아프리카인들을 만나기 위한 거점장소의 역할을 하는 이태원에 먼저 도착하고, 이태원에서 동두천에 대한 정보를 듣고 동두천으로 이주하게 된다. 미군기지의 영향으로 영어가 통용되고 출입국 단속이 적다는 점 그리고 같은 민족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주민들의 유입으로 초국적인 공간이 형성된 조건들은 동두천에 난민들이 집중적으로 이주하게 되는 배경을 만든다. 또한 주로 저소득층인 난민들에게 유리한 저렴한 임대료, 인근에 위치한 산업단지 등의 경제적인 조건이 이들의 이주를 촉진시킨다. 3장은 동두천으로 이주하고 정착한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의 공동체 형성과정을 파악하고 그 속에서 생성되는 케이터링 네트워크를 이해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엣홈네스의 출현과 어떻게 초국적인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하는지 확인한다.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은 사회적 권리와 자본이 미미한 한국사회에서 같은 언어와 문화권의 사람들과 모임을 가지며 출신국이나 민족적으로만 국한되지 않고 종교, 계급 등을 넘어서 다양한 목적으로 공동체를 형성한다. 난민들은 이를 통해 한국사회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으며 이들이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난민과 관련한 신분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 정보와 자원들을 서로 제공하고 의지한다. 이는 정착 초기단계에 기반을 다지고 점진적으로 한국사회에 진출하는 과정을 밟을 수 있도록 한다. 4장은 아프리카 난민 공동체 내에서도 특히 난민, 인종, 젠더가 결합된 다층적인 상황에 놓인 난민여성들이 만드는 삶의 전략과 수행성에 집중한다. 비가시화된 아프리카 난민여성들을 둘러싼 사회문화·경제적 조건 속에서 취하는 삶의 전략이 어떤 방식으로 구체화되는지에 주목한다. 아프리카 난민여성들은 전통혼례의 특성인 신부값을 발판으로 이주하고 가족구성원을 재생산하면서 살아간다. 이들에게는 난민이라는 지위가 주는 불안정성과 본국으로부터 오는 가부장제 구속이 더해지지만 신부값을 받고 안 받고의 차이를 떠나 열악한 환경에서 살아가며 자기만의 방식으로 삶을 재조직화하고 있다. 신부값으로 한국으로의 이주를 결심하기보다 본국에서 일어나는 일상의 젠더폭력을 피해 구체적인 정보 없이 한국으로 오게 된다. 난민여성들은 국내 노동과 돌봄의 기회에서 박탈당하고 배제되면서 합법과 불법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들만의 전략을 만들어낸다. 이 연구는 결론적으로 아프리카 출신 난민들의 특수성을 토대로 이들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공간과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이 한국사회의 일부가 되어가고 있다는 것을 살펴본다. 열악한 위치에 놓여있는 난민들의 행위자성 그리고 난민 공동체 내에서도 난민여성들이 경험하는 젠더화된 삶의 전략이 있음을 다룬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배제되고 주변화된 아프리카 난민들의 목소리를 에스노그래피 방식으로 담아내어 이들의 삶과 경험들을 드러낸다. 국내에서 다양한 난민, 이주민에 관한 연구가 있지만, 아프리카 난민 공동체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으며, 그 중에서도 아프리카 난민여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기 때문에 이 연구는 추후 아프리카 난민여성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난민여성들은 자신들을 둘러싼 사회문화·경제적 조건으로 지속적으로 제한되는 환경 속에서 피해자로서만 머물기를 거부한 채 끊임없이 고민하고 선택하며 살아간다. 이 연구가 이들의 끊임없는 고민과 선택을 보여주는 하나의 기록으로 읽히길 기대한다.

      • 경도지적장애아동의 무의미음절과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치경마찰음의 조음오류 특성

        강슬기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적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이 증가한다고 해서 말소리 발달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고 보고된다. 치경마찰음은 일반적인 말소리 발달과정에서 가장 늦게 습득되는 말소리이며 우리나라 아동의 조음장애는 주로 치경마찰음 /ㅅ/, /ㅆ/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난다. 조음 평가와 치료에서 따라말하기 과제가 많이 사용되는데 지적장애아동의 따라말하기 수행력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있지만 따라말하기 과제 수행 시 조음오류특성을 살펴본 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지적장애 아동들이 늦게까지 조음오류를 나타내는 치경마찰음에서 따라말하기 수행력과 따라말하기과제 수행 시 조음오류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경기 지역 초등학교 1∼3학년 경도지적장애 아동과 생활연령 일치집단 및 언어연령 일치집단 각각 10명을 대상으로 무의미 음절 및 3어절 문장따라말하기 과제를 시행하였다. 각 과제는 /ㅅ/ 조음 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음운환경과 작업기억 능력의 영향을 고려하여 제작되었다. 과제 실시에 앞서 연습문항을 선행하고 이어서 무의미음절, 문장 과제 순으로 시행하였다. 검사는 소음이 없는 방 안에서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삼성 SM-N910S)을 사용하여 녹음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8.0(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 간 과제유형(무의미음절, 문장)에 따른 따라말하기, 조음오류율, 음오류형태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U-TAP(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자음정확도와 본 연구 과제 자음정확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집단 내에서 과제유형에 따른 따라말하기 과제수행력 차이와 집단 내에서 과제에 따른 조음오류를 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집단 내에서 과제에 따른 조음오류형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라말하기과제 수행력은 세 집단 간 무의미음절과 문장 과제에서 차이가 없었으며(p>.05) 집단 내에서도 세 집단 모두 과제유형 간 수행력에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과제유형에 따른 조음오류율에 대한 세 집단 간 비교에서 경도지적장애 집단이 생활연령 일치집단과 언어연령 일치집단에 비해 조음 오류율이 높았다(p<.05). 집단 내에서는 세 집단 모두 무의미음절과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집단 내 조음오류율에 차이가 없었다(p>.05). 집단 간 무의미음절 따라말하기 과제,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 U-TAP자음정확도는 세 집단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p< .01). 셋째, 과제유형에 따른 조음오류형태에 대한 세 집단 간 비교에서 경도지적장애 집단이 생활연령 일치집단과 언어연령 일치집단에 비해 무의미 음절과 문장 따라말하기 과제에서 대치와 왜곡오류가 많았다(p<.05). 집단 내에서는 경도지적장애 집단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p<.05) 대치가 왜곡보다 더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경도지적장애 아동들의 조음오류는 단순히 따라말하기과제 유형의 차이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말하기 수행에서 세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은 경도지적장애로 인한 작업기억 제한이 가져오는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이를 고려하여 과제를 구성하였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조음측면에서는 경도지적장애 아동이 생활연령 일치집단 및 언어연령 일치집단 모두에 비해 높은 /ㅅ/ 조음 오류율을 보였다. 이는 경도지적장애 아동에게 /ㅅ/ 말소리는 연령 및 언어 발달을 이루어감과 달리 숙달이 원활하지 않음을 반증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음 훈련 시 무의미음절 과제에서 음절 길이를 통제하여 접근하고 문장 수준에서는 문장에 포함되는 의미단서를 고려하여 과제를 구성한다면 조음치료에 보다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된다. It is said that speech-sound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does not develop naturally along with chronological age. Alveolar fricative is acquired at the last moment among speech-sound developments and articulation disorder in Korean children is frequently seen in alveolar fricative such as /ㅅ/ and /ㅆ/. repetition tasks are often used in evaluating and curing articulation. Though there are many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the repetition tasks capability of children with mental disabilities, there are not many studies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errors in repetition tasks. So this study aims to explain not only repetition tasks capability in alveolar fricative where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uffers from articulation error, but also characteristics of articulation errors in such tasks. repetition tasks regarding syllables with no meaning and sentences consisted of 3 words were launched against 1st to 3rd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long with groups with the same chronological age and language age (10 people in each group). Each task was configured regarding phonological environment and working memory capacity in order to examine articulation capability of /ㅅ/. Before conducting the actual task, practice tasks were done followed by tasks regarding syllables with no meaning and sentences.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a quiet room and smart phones(Samsung SM-N910S) were used for recording. Also, SPSS 18.0(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8.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o examine the difference among groups in regards to repetition, rate and types of articulation error in two task types(syllables with no meaning, sentences), repeated and dispersion analysis were done. Also, in order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accuracy of consonants in U-TAP(Urimal-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and that of this stud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Further, t-test as an independent sample was done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ask performance regarding repetition and articulation error according to types of tasks inside a group. Repeated and disper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ypes articulation errors regarding tasks in each group. The following was the result of this analysi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petition task performance regarding no meaning and sentences among three groups(p>.05) and no difference of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tasks types inside each group(p>.05). Second, in regards to articulation error according to task types, the rate of error was slightly higher i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the other two groups(p<.05). In all three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articulation error regarding repetition tasks of no meaning and sentence(p>.05). There was correlation in regards to repetition tasks of no meaning and sentence, accuracy of consonants in U-TAP among three groups(p<.01). Third, in comparing the groups regarding types of articulation error, more confrontation and distorted errors were seen in the tasks of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the others(p<.05).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the only one with difference inside the group(p<.05), where there were more confrontations than distortions. Through this analysis, one could understand that the articulation errors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not simply be attributed to the types of repetition tasks. The reason three groups did not display significant gap was because the examination was conducted in a way to minimize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limitations due to mental disabilities. However, in regards to articulation,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howed higher articulation error rate in /ㅅ/ than the other two groups. This signifies that /ㅅ/ sound does not develop along with age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it will be more effective in conducting a task by controlling the length of syllables in the no-meaning syllable task and considering the meaning of words used in the sentence task when training for articulation.

      • 커피찌꺼기를 이용한 methylene blue 염료 흡착 특성에 관한 연구

        강슬기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waste coffee as waste resources are recycled to remove Methylene Blue dye wastewater by adsorption treatment. In order to know that the adsorption efficiency and adsorption mechanism, it was used that the various experiment factor of pH, initial concentration, temperature, ionic strength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SEM and FT-IR were used to know the surface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structure of the waste coffe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ny pores existed in the waste coffee and the surface was rough. The results of FT-IR showed that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waste coffee was had C = O bond, O-H bond, C-H bond, C = C bond, C-N bond, and C-O bond as same. The peak value after modification was generally lower than before modification except C = O bond and C-Hbond rang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ange of the waste coffee dosage, when the waste coffee dosage is 20 mg, the maximum unit adsorption amount is each 16.33 mg/g and 13.25 mg/g respectively, in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and the unit adsorption amount decreases as waste coffee dosage increases. As the increase of the waste coffee dosage, the adsorption efficiency increased from 26.2% to 94.1% and from 5.0% to 97.1%,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change of the adsorption efficiency was not large and the adsorption efficiency was maintained in the normally pH range except the strong acid range below pH 4. Because Methylene blue is basic dye, adsorption efficiency isdecreased in the acid range below pH 4. It is thought that the repulsive force between the waste coffee surface and Methylene Blue is the cause. The isotherm adsorption result of Methylene Blue experiments using waste coffee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showed that the Langmuir equation was better followed by r2= 0.980~0.990 and r2= 0.939~0.992, respectively. Both of the result RLis existed in the range of 0 RL 1 that the adsorption process is shown suitable. The kinetic result according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change showed that the pseudo-second equation was better fallowed than pseudo-first equation by r2= 0.997~0.999 and r2= 0.973~0.999, respectively. In the adsorption experiment before modification of waste coffe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ionic strength was not significant but after modification of waste coffee, ionic strength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ΔGo, ΔHo, and ΔSo values were found to have negative values in the experiments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of the waste coffee.ΔGo values obtaine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before modification of the waste coffee were –6.087 –6.055 -5.561kJ/mol according to increase temperature, and ΔGo of the waste coffee after modification was –9.139 –9.086 -8.958kJ/mol. As a result, in both experiments, the adsorption process is advantageous at low temperatures, and is thought the physical adsorption process because ΔGois in the range of -20 to 0kJ/mol.The values of enthalpy and entropy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of the waste coffee is -13.84 kJ/mol, -0.026 J/mol K and -12.554 kJ/mol, -0.010 J/mol K, respectively. Therefore, the adsorption study of Methylene Blue using the waste coffee is indicated the exothermic reaction and adsorption freedom is decreased.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using waste coffee as adsorbent and can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in terms of recycling of resources,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data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커피 찌꺼기를 흡착제로 이용하여 대표적인 염료 물질인 Methylene blue 수용액을 pH, 온도, 흡착제 양, 초기 농도 및 이온 강도 등의 실험적 변수들에 대한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열역학적으로 분석하여 흡착제로서의 사용이 적합한지에 대해 판별하고 커피 찌꺼기의 표면 특성을 파악하여 흡착 메커니즘을 고찰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커피 찌꺼기는 내용물이 추출되지 않을 때까지 세척하여 Dry oven 에 105℃ 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건조 후 밀봉 보관하여 사용하였으며, 전처리 과정을 걸쳐 표면을 개질 시킨 다음의 변화 양상 및 커피 찌꺼기의 특성 변화에 대해 고찰 하였다. 커피 찌꺼기의 표면 개질을 위해 대표적인 염기성 물질인 NaOH 를 사용하였다. 커피 찌꺼기의 표면을 SEM을 통해 촬영한 결과 많은 기공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표면이 거칠어 흡착제로 사용되기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GME 방법을 이용한 비표면적 분석을 통해 약 3496 m2/g 비표면적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흡착제로 가장 많이 쓰이는 활성탄의 비표면적은 1100 m2/g 이상으로 개질 전, 후 커피 찌꺼기는 흡착제로서 흡착능이 좋아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것으로 사료된다. FT-IR 분석을 통해 정성적으로 커피 찌꺼기의 구조를 파악한 결과, 개질 전과 후의 커피 찌꺼기는 신축 진동을 통한 C=O 결합, O-H 결합, C-H 결합, C=C 결합, C-N 결합, C-O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개질 후의 피크 값이 신축 진동에 의한 C=O 의 결합과 C-H 결합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내는 범위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흡착 실험은 UV/Vis Spectrometer 를 이용한 분광 분석법을 통해 농도 값을 도출하였으며, 예비 실험을 통해 Methylene Blue 염료의 최대 흡수 파장을 조사한 결과를 반영하였다. 이후에 흡착제 양, pH, 온도, 초기 농도 등의 변수에 따른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고 120 rpm 의 속도로 24시간 동안 교반을 진행하였다. 개질 개선하기 전과 후의 커피 찌꺼기는 모두 흡착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흡착 효율이 높아지며 단위 흡착량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흡착이 진행됨에 따라 흡착 부위의 겹침이나 집단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오히려 전체 표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질 전, 후 실험에서 공통적으로 pH 4-11 범위에서는 흡착 효율이 크게 변화하지 않으며, 강산성의 영역에서는 효율이 눈에 띄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산성 영역에서의 커피 찌꺼기 표면이 + 전하를 띠게 되면서 Methylene Blue 염료와의 반발력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는 실제 흡착 처리 공정에 적용 시 pH 조절이 크게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인 측면에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등온 흡착 실험을 통한 분석 결과를 통해서 개질 전, 후의 모든 실험에서 Langmuir 흡착식을 더 잘 따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공정의 적합함을 판별하는 무차원 분리 계수 (RL) 이 모두 0< RL <1 인 것을 통해서 적합한 처리 공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KCl 을 이용한 이온 강도 실험에서는 개질 전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흡착 실험에서는 흡착 효율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개질 후의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실험의 경우 흡착 효율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농도 변화에 따른 속도론적 해석의 결과 개질 전, 후의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Methylene Blue 흡착 실험은 유사이차반응속도식을 더 잘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변수에 따른 속도론적 해석의 결과 개질 전, 후의 커피 찌꺼기를 이용한 흡착 실험에서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흡착 효율의 변화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사이차반응속도식을 더 잘 따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열역학적 파라미터들을 분석한 결과 두 실험 모두 Gibbs 자유에너지 (ΔG), 엔탈피 변화 (ΔH), 엔트로피 변화 (ΔS) 는 모두 음수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Gibbs 자유에너지 (ΔG) 가 음수의 값을 가지는 것을 통해 커피 찌꺼기를 Methylene Blue 흡착 반응은 자발적임을 알 수 있으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값이 감소하는 것을 통해 자발성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 에너지가 -20 ~ 0 kJ/mol 범위에 존재하는 바, 물리적 흡착에 속하며 엔탈피 값이 음의 값을 가지는 것을 통해 커피 찌꺼기에 대한 Methylene blue 흡착 반응은 발열 반응임을 알 수 있고, 엔트로피 값이 음수의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바, 이 흡착 공정의 자유도가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통해 커피 찌꺼기의 흡착제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여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실제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유의미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성인 남녀의 '혼밥' 행위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2차년도(2017) 자료분석

        강슬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Hon-Bab", a term short for eating alone, is now a popular culture due to the increase of one-person households. A number of research have been publishe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e of eating alone and health issues, which includes increased depression prevalence, limited nutrition intake  and increased obesity prevalence. There are already prior studie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which shows that eating alone i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but there is a limitation since they are not focused on the recent situation. Also, prior studies are based on basic groups, such as the number of eating alone in a day, marital status, and age group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onnec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MetS using the most recently publishe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ANES), and to perform subgroup analysis by specific groups and to compare them.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eventh year (2017) data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73 adult males and females aged 19 years or older, excluding outliers and missing values​​. SAS version 9.4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descriptive analysis, Rao-Scott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at reflects the survey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Then subgroup analyse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were conducted to compare to significant association by group. No significant relations occurred between eating alone and MetS for the participants over the age of 19. However, the risk of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as statistically low (AOR 0.65, 95%CI=0.46-0.92) for the women who eat alone twice a day and on the contrary, the risk of low HDL cholesterolemia was significantly higher (AOR 1.33, 95%CI=1.03-1.73, AOR 1.63, 95%CI=1.07-2.49) for the groups who eat lunch alone once a day or  eat alone 3 times a day. The risk of abdominal obesity was significantly high (AOR 1.57, 95%CI=1.04-2.39) for men who eat alone and eating lunch and dinner alone a day showed significant high risk of low HDL cholesterolemia (AOR 1.68, 95%CI=1.02-2.77). Other resul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Later, after studying the results of socio-demographic, health behavior and nutrition subgroup analysis conducted to metabolic syndrome associated with eating alone, it was possible to observe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degree of risk for metabolic syndrome and detailed diseases. In conclu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metabolic syndrome for Korean adults aged 19 and older. But eating alone had a different effect on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depending on gender and through subgroup analysis, eating alone had different effects on metabolic syndrome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lifestyles. Therefore, the further prospective study to find out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eating alone will be needed . 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함께 혼자서 밥을 먹는 혼밥은 이미 우리사회에 대중화가 된지 오래이다. 혼밥문화는 우울감의 증가, 영양섭취의 제한, 비만유병증가 등 건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혼밥이 대사증후군에 관련성이 있다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선행연구들이 있으나 최근상황을 반영하지 않고, 일 혼밥횟수, 배우자유무, 연령대의 기초 분야별집단에서의 관련성에만 초점을 두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장 최근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혼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특정집단별 하부그룹분석을 시행, 집단별로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특성을 대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KNHANES) 제 7기 2차년도(2017)자료를 이용한 단면조사연구이다. 만 19세이상 성인남녀 중 대상자 제외기준에 해당되거나 선정한 변수의 이상치 및 결측치를 제외한 총 4,673명을 대상으로 성별 혼밥행위와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 대사증후군점수의 관련성에 대해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인구사회학적, 건강행동적, 식생활관련 하부그룹분석을 시행하여 집단별 유의한 관련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남녀 연구대상자 모두 혼밥과 대사증후군간 관련성은 없었다. 그러나 여자에서 하루 2끼혼밥 하는 경우 고혈압 유병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반면(AOR 0.65, 95%CI=0.46-0.92), 점심 1끼 혼밥하는 경우, 하루 3끼혼밥하는 경우에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AOR 1.33, 95%CI=1.03-1.73, AOR 1.63, 95%CI=1.07-2.49). 남자에서 점심 1끼혼밥하는 경우 복부비만 유병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AOR 1.57, 95%CI=1.04-2.39), 점심-저녁 2끼 혼밥하는 경우 저 HDL콜레스테롤혈증 유병위험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AOR 1.68, 95%CI=1.02-2.77). 그 외 다른 결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후 인구사회학적, 건강행동적, 식생활관련 하부집단별 혼밥과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별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각 집단별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의 유병위험성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다름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만 19세이상 한국 성인의 혼밥과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혼밥이 성별에 따라 대사증후군 세부질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하부그룹 분석을 통해 다양한 생활양식에 따른 혼밥이 대사증후군 및 세부질환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식생활습관을 고려한 혼밥행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19세기 초 西敎 禁令과 邪獄

        강슬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서교의 유입에 따른 조선 정부의 서교 금지방안과 정책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19세기 집권자들은 서교 수용의 다양한 층위에 있어 가장 극단적ㆍ보수적 형태인 척사를 서교 정책의 기조로 채택하고, 邪獄이라는 형정을 도입하여 서교도들을 징치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조선후기 나아가 개항 이후 서구 문명에 대한 척사론이 강경하게 유지되었던 연원을 밝히기 위해 서교 금지방안의 단계적 변화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정조는 서교를 이단 사상으로 인식하여, 진산사건 이후 서교 금령의 필요성에 대한 정부 관료들의 강력한 요구에 부딪히게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이단 대응방안으로 활용되어왔던 교화정책을 당면한 서교 문제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는 남인의 실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민중들 사이에 퍼져있는 사상이나 신앙을 국가가 무리하게 탄압하고 처벌함으로써 생겨나는 각종 폐단의 발생 및 민중 소요에 대한 우려, 정조 개인의 대민 인식 및 형정관이 반영된 정치적 선택이었다. 한편 순조 초 정부는 서교 집단의 확산이 체제 전복에 대한 불안을 가중 시키자 이를 범죄행위로 인식하고, 전통적인 이단 교화정책을 포기한 형정 위주의 징치를 합리화 하기위해 서교를 형정이 불가피한 대상으로 개념화하며 척사의 논리를 세워나갔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사옥은 이후 항상적인 서교 징치 규범으로서 衛正의 방안으로 재활용되었다. 순조대 서교 대응은 제도적 측면에서 상당 부분 합리성을 가지고 효율적으로 시행되었으나, 결과적으로 민의식의 성장과 사회의 변화를 수용하지는 못하였다는 한계를 노정한다.

      • 3명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환자에 대한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사례연구

        강슬기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PTSD증상을 보이는 내담자들에 대한 EMDR치료과정의 서술을 통해, EMDR의 PTSD환자들에 대한 치료의 효과성 입증과 더불어 EMDR에 직면, 명료화, 해석 등의 상담기법을 적용함에 따른 치료적 상승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한 한 소방서에서 극심한 심리적 후유증을 보고하는 소방관에 한해 심리치료를 자원 받았으며, 서울시내의 정신과의원, 병원에서 저자에 의해 성인종합심리검사를 받았던 PTSD환자 중 에서치료대상자를 선정하였다. EMDR치료시작 1주일 전, 종결 1주일 후, 종결 3개월 후에 내담자들에게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 사건 충격 척도, 벡 우울척도, 상태-특성불안척도 등의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3명의 내담자 모두 PTSD을 의미하는 2가지 척도에서 평균 58.2~66.1%의 가장 큰 점수감소를 보였다. 또한, EMDR치료회기 중 재처리단계에는 주관적 불편감척도(SUDS)와 인지적 타당도(VoC)를 탐색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안구 운동을 3세트 정도 시행하였을 때, 내담자들의 VoC가 평균 1-1.5점 변화하였던 것과 비교하여, 직면과 해석을 통한 부정적인 신념의 근본적 원인에 대한 통찰이 있고 난 직후의 VoC의 변화는 평균 2-3.5점의 변화를 보였고, SUDS 역시 함께 감소하였다. 또한 주입단계에서 단지 긍정적인 인지를 강화 했을 때와 비교했을 때에도, 명확한 내적발견 직후에 탐색한 VoC가 다음 번 회기에서 재평가 했을 때 변동의 폭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서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이 교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슬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도서관 선진국과는 달리 아직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으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도 사서교사가 담당하지 못하고 정보활용에 대한 전문성과 거리감이 있는 교과교사가 부수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서교사가 가지고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공통역량에 대한 인식이 실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역량을 확보하는 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서교사가 미디어 리터러시를 교육하기 위한 환경 구축과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연구, 설문연구,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의 발전 및 지식정보의 응용 방식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미디어를 활용하여 제공되는 정보에 효율적, 효과적으로 접근하여 이를 이해⋅분석⋅종합⋅평가할 수 있고 이를 다른 미디어 이용자들과 공유하면서 소통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가 종합적인 리터러시 교육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왔다는 점을 확인하고 사서교사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역량을 고루 갖추고 교육을 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인지하였다. 셋째, 교사-학생 미디어 리터러시 공통역량으로는 크게 ‘미디어에 대한 지식 및 이해’, ‘비판적 사고’, ‘미디어 활용’, ‘윤리적 실천’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여 하위 역량을 구성하였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역량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참여 교육역량’, ‘교육학 및 교육문화기술 역량’, ‘교육환경 변화 대응 역량’, ‘윤리적 실천 교육역량’, ‘미디어 정보 교육역량’, ‘미디어 사용법 인지 교육역량’, ‘미디어 정보 선택·수집 교육역량’을 도출하였다. 넷째, 미디어 리터러시 세부 공통역량에 대한 인지 정도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역량 사이에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공통역량에 대한 인지도와 학교 및 도서관 환경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업 시수를 확보 및 교육내용 선정,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담당자로서 사서교사를 인식하도록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사서교사 개인 내적으로 공통역량을 확보하는 것과는 별도로 학교 구성원들의 협력, 제도적 뒷받침 등 외부적 강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역량을 확보하려면 공통역량 중 미디어 정보 생산 능력, 미디어 정보 평가 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이 두 가지 중요 역량에 초점을 두면서도,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세부 역량들을 균형 있게 갖추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질적으로 제고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학교도서관에서 사서교사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담당할 때에 도서관 및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로서, 더 깊이 있고 포괄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갖춘다면 사서교사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전담해야 한다는 주장의 당위성이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Unlike advanced countries in school libraries, Korea has not yet high awareness of school librarians,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is conducted by subject teachers who lack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not school libraria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chool librarian's perception of common media literacy on securing media literacy educational competencies for the purpose of extracting the educational competencies of media literacy required of school librarians and creat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surveys,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flecting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the use of knowledge information, in this study, media literacy was defined as 'the ability to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ccess information provided using media, understand, analyze, comprehensively evaluate it, and share and communicate with other media users'. Seco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school librarians continue to provide comprehensive literacy education at the school library and should have competencies to teach media literacy evenly. Third, teacher-student common media literacy consists of four competenci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edia', 'critical thinking', 'media utilization', and 'ethical practice'. Regarding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media literacy, 'social participation', 'education and educational culture technology', 'response to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thical practice', 'media information', 'recognition of media usage', and 'media information selection and collection' were derived.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erception of the detailed common competency of media literacy and the educational competency of media literacy.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of common competencies and the school and library environment, 'the number of classes, selecting educational contents, and recognizing school librarians as media literacy education personnel', Apart from securing common competencies for school librarians personally, was analyzed that external reinforcement measures such as cooper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school members are needed. Fifth, In order to secure media literacy education competency, it is important to have media information production capability and media information evaluation capability among common capabilities. While focusing on these two important competencies,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sub-detailed competencies of media literacy so that media literacy education can be qualitatively improved. As library and media literacy expert when school librarians are in charg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in school libraries, if they have more in-depth and comprehensive media literacy skills, it will be justified to argue that librarians should be in charge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기업의 사업다각화를 통한 신성장산업 진출 사례연구

        강슬기 부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after deriving six types of diversification including internal diversification, external diversification, horizontal diversification, vertical diversification, complex diversification by analyzing the diversification strategy of some companies which are in the fields of photovoltaic system, rechargeable battery, we are trying to study sort of diversification in the each industry. In the case of domestic companies, these industries show the same pattern that the more they grow remarkably and have high market attractiveness & entry barrier, they usually take vertical diversification(in other words related diversification). in case of unrelated diversification, they usually take complex diversification. also many companies show external diversification in order to reduce the risk of markets. Especially major companies strongly take vertical diversification which produce all product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otal cost reduction and market preoccupancy. they select strategy which makes specialization to the market and growth higher to reduce technical risk and seek stability by taking related diversification. in this research, we were trying to study the strategy of domestic companies to take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new growth industry. but we couldn’t use statistical indicators like growth rate because these industries didn’t settle well y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