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질화 알루미늄 나노로드의 사이즈 컨트롤을 통한 특성 평가

        강석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Ⅲ-Nitride 반도체 재료는 넓은 밴드갭을 가지고 있어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등의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질화 알루미늄(AlN)은 넓은 밴드갭과 직접 천이형 밴드갭, 높은 열전도도, 우수한 화학적 열적 저항성을 갖고 있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질화 알루미늄의 낮은 일함수로 인해 Field Emitter로서 적용하기 위한 1차원 구조로 합성시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질화알루미늄을 Field emitter로 사용하려면 높은 종횡비를 가지는 나노구조체로 합성해야 한다. 이러한 질화 알루미늄 나노로드는 작은 전자친화도와 1차원 양자 집속 효과에 의해 전계방출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넓은 밴드갭과 직접천이형의 밴드갭을 갖고 있어 UV영역의 LED나 LD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1차원 구조를 갖는 질화 알루미늄은 주로 위와 같이 우수한 특성이 예상되는 전계방출소자나 광소자에 적용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urtzite 질화 알루미늄 나노로드를 반응성이 높은 HCl gas를 이용한 Halide Vapor Phase Epitaxy(HVPE)방법을 이용하여 700℃에서 촉매를 사용하지 않는 V-S mechanism으로 높은 종횡비를 갖는 고순도 질화 알루미늄을 합성하였다. source 물질들을 같은 Inner tube에 놓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가스유량, 온도 그리고 시간 등의 조건을 변화시킴으로서 질화 알루미늄 나노로드의 형상 변화를 관찰하였고 그에 따른 특성 평가를 하였다.

      • 월경통 환자의 임상연구를 통한 형·색·맥·증 통합진단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

        강석환 東義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월경통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연구를 통하여 形色脈證 통합진단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월경통이 있는 실험군193명과 월경통이 없는 대조군101명을 선정하여 形色脈證의 정보를 수집하였다. 형태정보는 형상의학적 정보와 사상체질의학적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색정보는 표준색상표와 환자 얼굴을 동시에 촬영하여 안색을 한의사가 분석하였고, 맥정보는 대요메디 3-D맥진기를 사용하여 월경전과 월경주기 3일내에 2회 방문하여 맥상과 맥파를 분석하였으며 증 정보는 한방진단설문지DSOM과 월경통 기초 설문지를 작성하여 증상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유효성 평가를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 2표본 t-검정, 분산분석, 윌콕슨 순위합검정, 크로스칼-왈리스검정,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形色脈證 정보를 통계분석한 결과 氣科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많았으며 精科가 대조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또한 사상체질과 형상간의 관련성에서 태음인이면서 氣科인 경우가 실험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맥파 정보 분석에서는 R-AI/HR_75, W/T(sec), T4/(T-T4)(%), VarPeriod(sec^2), EIX 지표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DSOM 병기에서는 血虛, 氣滯, 血瘀, 寒, 脾, 腎, 痰 병기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형태정보와 2원빈도분석 결과 소양인은 신, 태음인은 혈허, 소음인은 혈허, 기체, 혈어, 한, 비 병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방광체에서 혈허, 기체, 한, 비, 신 병기에 대하여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精科는 혈허, 한 병기, 氣科는 기체, 신 병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분석된 형상정보, 체질정보 그리고 증상정보를 통합하여 생리통을 예측해본 결과 193명의 실험군 중 58명(예측률 30.05%)을 생리통이 있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 녹색해운 인프라 구축 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 LNG 추진선을 중심으로

        강석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해사기구의 선박배출가스 규제는 2010년부터 진행됐으며 특히 배출가스 통제해역인 ECA (Emission Control Area)에서는 선박 배출가스 규제가 더욱 강 화되고 있다. ECA 지역에서는 0.1%(질량기준) 이하의 황 함유량 연료를 사용해야 하고, 2020년부터는 전 세계 해역에서 0.5% 이하의 황 함유량 연료를 의무적으로 사 용하는 규제가 발효돼 대응이 시급한 상황이다. 2016년부터는 질소산화물 규제인 Tier Ⅲ (현재 Tier Ⅱ 보다 75% 감축 요구) 로 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적합한 엔진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온실가스 감축 관련한 EEDI (Energy Efficient Design Index, 에너지효율 설계지수)는 2013년에 발효돼 2016년부터 1단계에 돌입했다. 2005년 배출량을 기준으로 2020년 20%, 2025년 30%의 온실가스를 감축해야 한다. 이 같은 선박 배출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조선 및 해운분야에서는 다양 한 해결방안을 개발 중이나 선박용 연료를 기존 화석연료에서 LNG로 전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만약 선박 연료를 LNG로 사용할 경우 질소산화물 90% 이상, 황산화물 80% 이상, 온실 가스 20% 이상, 그리고 PM 90% 이상을 감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국제적인 환경규제에 대비하여 ‘LNG 추진선 관련 산 업 진흥위원회'를 설립하고 정부 소유 관공선부터 LNG 추진선으로 건조하여 LNG추진선의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 녹색해운 선도국가들의 LNG 추진선을 중심으로 한 인프라 구축 현황들을 살펴보고 동시에 국내의 LNG 추진선을 포함한 제반 인프라 현 황들도 조사하였다. 해외 녹색해운 선도국가들은 이미 정부와 기업 간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선제적 투자로 LNG 추진선의 안정적 운용을 위한 제반 인프라가 구축되었거나 구축 중에 있고, 또한 그러한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정책을 통해 현재의 녹색해운 인프라가 구축되었다. 하지만 한국은 LNG 벙커링 기지 및 LNG 벙커링 선이 전무한 상황이다. 지 난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한 한진 해운의 파산 이후 더욱 힘들어진 한국해운이 생존을 넘어 경쟁력을 갖추려면, 현재의 국제적 환경 규제 강화를 오히려 반전 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LNG 추진선을 중심으로 한 녹색해운 인프라 구축 우선순위 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LNG 추진선을 위한 3가지 주요평가항목의 우선순위에서는 시설투자, 인센티브 정책 및 운용시스템 구축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시설투자의 세부평가 요인 중에서는 LNG 추진선 신조가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으로 LNG 벙커링 기지 확보, LNG 벙커링 선 확보 순으로 중요한 것으 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비록 이러한 인프라들의 우선순위가 선정되었다 하더라도 글로벌 녹색해운 선도국가들이 기 구축한 사례와 동일하게 향후 LNG추진선의 안전하 고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의 역할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확인된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의미라 할 수 있다.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begun to regulate ship emissions more tightly from 2010, especially in the Emission Control Area (ECA). In the ECA region, sulfur-containing fuels should be used at less than 0.1% (by mass) from 2016, engines suitable for Tier III (currently requested to reduce 75 % less than Tier II), which is a nitrogen oxide regulator, should be used. From 2020, it is imperative to respond to regulations requiring mandatory use of less than 0.5% sulfur-containing fuel in the world's waters. And EEDI (Energy Efficient Design Index)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went into effect in 2013 and already entered the first stage from 2016. As of 2005, 20% CO2 emissions by 2020 and 30% by 2025 should be reduced. In order to respond to such ship exhaust gas emission regulations, various solutions are being developed in the shipbuilding and shipping Industries, but conversion of marine fuels from existing fossil fuels to LNG is considered as the most obvious alternative. If ship fuel is used as LNG, it can reduce sulfur oxides more than 80%, nitrogen oxides more than 90%, green house gases more than 20%, PM more than 90%. In response, the Korean government established an LNG fuel propulsion vessels related industry promotion committee in preparation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and to build LNG fuel propulsion vessels for the government owned vessels to promote LNG fuel propulsion vessels.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status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cused on LNG fuel propulsion vessels in the global leading green shipping countries as well as the current status of infrastructure including domestic LNG fuel propulsion vessels. Overseas green shipping leading countries have already established or ar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r constructing infrastructure for stable operation of LNG fuel propulsion vessels. In order to induce such investment, Green shipping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preemptive investment by the organic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and shipping industries. However, there are no LNG bunkering bases and LNG bunkering vessels in Korea. Nevertheless, in order for Korean shipping companies to become more competitive after the collapse of Hanjin Shipping Company Limited due to the world economic crisis, the current strengthening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ulations should be an opportunity for reversal.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to ascertain the priority of establishing a green shipping infrastructure focusing on LNG fuel propulsion vessel. As a result, the three main evaluation items for LNG fuel propulsion vessel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the order of facility investment, incentive policy, and operation system. In addition, among the detailed factors of facility investment, it i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build LNG fuel propulsion vessels, followed by securing LNG bunkering bases and securing LNG bunkering vessels. Finally, even if these infrastructure priorities are selecte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ole of the governmen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stablishing infrastructure for safe and stable operation of LNG fuel propulsion vessels in future, as is the case with global green shipping leading countries.

      • 폐소형가전의 효율적인 재활용을 위한 해체 및 물리적 성상분석에 관한 연구

        강석환 수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oductio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EEE) is still one of fastest growing global manufacturing activities, fast growth also results in creating more e-waste. Since EEE is an important source of waste plastic. However, recycling plastics from used small household appliances is still unusual. In this study, the characterization of plastics from used small household appliances is reviewed. Recycling of WEEE is important, not only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requiring treatment, but also to promote the recovery of valuable materials as well as the responsible elimination of its hazardous and environmentally objectionable components and compounds. The amount and internal composition of plastics in small e-wastes depends on the type of appliance. The highest plastic concentration in small e-wastes is upto 60% in case of electric heater. Even small appliances can contain up to six different plastic resins such as PP, HIPS and ABS, etc. The recycling flow consists of collection, manual dismantling, crushing and sorting processes. The overall recycling rate of small e-wastes is about below 70%. The present communication gives a brief review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plastics recycling in Korea and the limitation of sorting processes for plastics recycling in used small household appliances.

      • 플래시 메모리 배드 블록 검출을 위한 기계학습 기반 페어와이즈 테스팅 연구

        강석환 고려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래시 메모리 검증단계에서 발생하는 결함 중에서 배드 블록은 중요한 문제로 인식된다. 배드 블록이란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적 손상을 말하는데 이로 인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가 지워질 수 있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그 중요도는 매우 높다. 배드 블록은 반도체 공정 전후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데 이를 관리하여 빠르게 결함을 발견해내는 것은 생산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반도체 생산 기업에서는 배드 블록의 효율적 검출을 위한 다양한 테스트 방법을 고안하고 있다. 페어와이즈 테스팅 기법은 조합 테스팅의 종류 중 하나로 전체 조합 테스트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여준다. 조합이 최적화 될 경우 전체 조합을 테스트하는 것과 비교하여 테스트 커버리지는 약 98% 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보장되면서 테스트 시간 또한 조합에 따라 50% 이상으로 줄일 수 있는 등 많은 이점이 있으므로 기업들이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의 복잡도로 인하여 페어와이즈 테스팅으로 데이터 셋의 조합을 개선했음에도 여전히 장시간의 테스트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페어와이즈 테스팅 기법을 개선하고자 기계학습을 적용하였으며, 논문이 기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 째, 페어와이즈된 테스트 조합 결과에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적용하여 샘플 데이터의 테스트 데이터 셋 단위별 결함을 예측하는 모델을 설계하였다. 둘 째, 예측된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결함 발생률이 높은 데이터 셋 우선순위에 따라서 테스트 초기에 배드 블록을 검출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기대효과로는 배드 블록을 조기에 검출하면서 이에 대한 수정 및 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진다면 반도체 테스트 프로세스의 생산성을 개선한것으로 볼 수 있다. 테스트는 반복된 프로세스를 따르기 때문에 결함 검출의 시점이 빠를수록 전체 생산시간이 줄어든다.

      • 국내 비철금속기업의 선물시장을 이용한 위험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강석환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fficiency of a corporate depends on the way it controls facing risks in the circumstances of rising uncertainty. The risk that enterprises have is what to be managed and diversified if not to be overcome entirely. Commodity futures market is risk management technique which forecast and mange effectively the enterprises' facing risk of fluctuation in prices. A small number of domestic nonferrous enterprises are understood to make use of regulation function of demand and supply, that of stabilization in prices, risk transfer, mobility increase and competition promotion which are the economic functions of futures market. This paper revealed that only 14 of 69 enterprises of asset scale over 7 billion Korean Won(\) of which the audit report can be referred to utilize futures transaction and also it was analyzed that merely few enterprises of 1.3% of some 680 nonferrous metal enterprises in total are making use of futures transaction. Especially, non of enterprises which come to the ones of yearly sales volume below 50 billion Won utilize futures transaction at all and they are presumed not to get ready for making good use of active risk management technique. In fact instances that futures transaction caused more risk in management led enterprises to have preconceived idea that futures market is speculative. So it should be examined throughly that they will make used of futures market aware firmly of its being usual and important means of management control with institutional complement rather than avoid. The trend of LME that functions to foreshadow the prices of global nonferrous market and effort to utilize the market can make the enterprises react rapidly in obtaining market information and diversification of risk. It facilitated for domestic enterprises to obtain law material to set up LME storage house home and taking this opportunity it is required for them to make use of future market actively. The difficulties for the enterprises to procure overseas law material lies in the fluctuation in the prices and separate exchange risk management as well. Consequently, the positive examination should be made to solve the problem enabling them to deal in aluminum and electric copper of nonferrous which come to 87%(in the year 1999) of overseas commodity futures transaction listing them on the Korean Futures Market and more specialized and complementary study is required for such growth capability of futures market. There was limit to analysis whether or not futures transaction help risk management actually the material for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in this paper bing based on the public announcement report of electronic public announcement system. (DART :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by Korea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The significance lies however in extracting the partial result of investigation attempting analysis of actual utilization conditions of futures transaction (derivative commodities) by individual enterprise in spite of the limitation. It is expected for further research to make closer study on what influence a risk management though futures transaction have had directly or indirectly on individual enterprise based on this study.

      •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지향 공간 디자인 연구

        강석환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외식 산업은 성숙기로 접어드는 동안 연매출 45조원 규모의 거대산업으로 성장해 왔다.최근 외식업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걸친 가장 강력한 화두는'웰빙(well- being)'이다. '잘먹고 잘사는 법'이 우리 생활 깊숙히 파고드는 것이다.먹고 사는 것 자체가 어려웠던 시절에는 비싸든 싸든 외식을 한다는 것은 사치였다. 그런 시절에 분위기 좋은 식당 에서 종업원들의 친절한 서비스를 받으면서 한끼 외식을 한다면 그것은 각별한 체험이고 행사였다. 경제가 성장하고 질을 찾는 의식이 확산되면서 사람들은 단순히 먹고 마시는 자체로 만족하지 않게 되었다.특히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새롭게 등장하여 패밀리레스토랑의 주요 고객으로 자리잡은 이른바 P세대들은 음식을 즐긴다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면서 단순히 식사만 하기 위해서 패밀리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이상의 무엇(communication)을 위하여 패밀리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시대가 되었다.패밀리레스토랑이 원초적 욕구를 해결하는 행위와 더불어 의미 있는 체험 행위와 기타 이에 수반되는 퍼포먼스를 통한 소통의 장으로써 역할을 할 수 있는 공간의 역할을 하도록 요구 받고있다.이것은 바로 음식을 먹는 과정에 수반되는 연출과 새로운 공간의 제공을 요구한다. 한 예로 힙 레스토랑과 바는 레스토랑과 바 자체를 쇼로 변화시켰다. 그렇게 함으로써이벤트와 먹고 마시는 일을 한 자리에 모아 놓았다. 새로운 취미 트렌드로써 남성들이 직접요리를 하는 것에 대한 관심 증대, 외식 관련 TV 프로그램 시청률 향상, 유기농산물 소비증대 및 관심고조 등 현재까지 메인 테마로 인식되지 않던 부분이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등장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렌드와 요구를 적극 수용할 수 있고 디지털 인터랙티브 미디어가 접목된 제3의공간을 연구해보고자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관하여 서술하고있다. 제2장 패밀리 레스토랑의이론적 고찰에서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개념,역사, 분류,한국에서의 발전형태를 고찰하였다. 제3장의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라이프 스타일 분석에서는 P세대 라이프 스타일, 분석과 디지털 인터렉티브 미디어의 이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제4장 외식산업 현황 및 사례분석에서는 국내외식산업현황, 업계현황, 업계영업장 및 매출현황,인구변화에 따른 외식 소비형태분석, 외식 소비성향 분석, 외식 트랜드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제5장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 지향적 공간디자인 계획은 제3공간의 개념, 구성요소, 기능별 공간구성, 디자인 컨셉트, 디자인 전략, 공간구성계획, 각층의 평면, 입면, 3D와 모형 등을 고찰하였다. 제6장 결론에서는 각 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종합하여 디지털 시대를 풍미하며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 P세대 고객의 Need 와 Trend 가 반영된 제3의 공간을 모색한다. While entering an age of maturity, domestic food service industry generated giant-industry with its annual sale of 45 trillion won. 'Well-being' is latest trend not only for the food service industry, but for whole society. How would we eating well and living well involves in our daily life. In poor economic times, dining out was just a luxury. In those days if you eat out in a nice-mood place with dedicated staff for outstanding service, it should be a extraordinary experience. But, economic growth made us seek for a quality and we are not satisfied with humble dish no more. Especially, P-generation newly emerged on 2002 world cup enjoys family restaurant for not just fabulous food, further factor communication. Family restaurants are oppressed to act as a place of communication through valuable adventure and performances, naturally with its primary role, which require various displays and novel spaces. For example, fusion-restaurant and bar transformed themselves into show. By doing so, they assemble performance and eating in one place. As a new hobby, cooking is in the limelight of males. TV programs relating restaurants are popular. And consumption of organic food enlarges. This thesis can accommodate new trends and requirements and is organized to make a study of a third-space engrafted with digital interactive media as follows. Chapter 1 in an introduction, it describes about background, object, range and method of study. Chapter 2 it considers concept, history, category and development in Korea of family restaurant. Chapter 3 it analyzes P-generation life style and digital interactive media. Chapter 4 it considers a present condition of the domestic food service industry, business circles, lodging properties and the sales, and consumption patterns influenced by population change, pattern of eating out, change of eating out trends. Chapter 5 it considers a concept, element, functional space-organization, design concept, strategy of design, plan of space-organization of a third-space and plane, elevation, 3D and model of each floor. Chapter 6 in conclusion it seeks a third-space reflecting needs and trends of P-generation who dominate digital age and create paradigms.

      • IMO 2020 황산화물 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의 비용·편익분석을 통한 경제성 연구

        강석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Since 1 January 2020,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implemented IMO 2020, a regulation that drastically strengthens the standards for sulfur content in fuel oil from ships sailing all over the world from 3.5% to 0.5%. As of January 2015, regulations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Baltic Sea, North Sea, North America (US and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Caribbean Emission Control Areas (ECA) to reduce the sulfur content in ships' fuel oil from 1% to 0.1%. Based on the 「Special Act on the Improvement of Air Quality in Port Areas, etc.」by the Korean government, the waters near five major ports such as Busan, Incheon, Yeosu, Gwangyang, Ulsan, Pyeongtaek, and Dangjin were designated as sulfur oxides emission control areas (ECA). In connection with this, from September 1, 2020, these ports should be reduced to less than 0.1%, which is the standard for sulfur content in fuel oil required by the World Maritime Organization (IMO). Since the environmental regulations of the World Maritime Organization (IMO) that were previously implemented essentially required physical changes such as ship modification and equipment installation, it was impossible to apply such environmental regulations to existing ships. Therefore, in order to replace or modify the existing ship with a new ship, the application or scope of regulations has been expanded in a stepwise and gradual manner. However, the feature of the IMO 2020 sulfur oxides regulation is that it applies not only to new ships, but also to all ships in operation, without exception. In order to satisfy the IMO 2020 regulations, there are methods other than the physical modification or change of ships that have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so far. Shipping companies can do so without physical changes of ships to meet the regulations. The countermeasures that satisfy the IMO 2020 regulations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of converting to low-sulfur oil and using a conventional scrubber, an exhaust gas desulfurization device that can use the original sulfur oil as it is, and a method of using other alternative fuels such as LNG. Although other alternative fuels such as LNG are economical options to respond to the IMO 2020 sulfur oxides regulations that can only be secured when a new ship is built, most shipping companies are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of a scrubber as a realistic countermeasu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hipping company is to decide the most economical option in response to IMO 2020. Therefore, the shipping company has two options. One is to install the scrubber and the other is to use low-sulfur oil. It is necessary to decide the countermeasure to maximize the shipping company's economic efficiency by considering various factors such as the size, type of ship, operation pattern, and contract type. Amid the reluctance of oil refinery companies to produce reliably and supply low-sulfur fuel oil that is suitable for regulation, the prediction of the spread between low sulphur fuel oil and high sulphur fuel oil of various professional organizations was an important key for shipping companies to decide the direction to respond before 2020.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forecast of the spread at the beginning of the announcement of the IMO 2020 regulation and the current spread of the current stage of implementation as of 2020, due to the supply and demand conditions of low sulfur fuel oil, the drop in oil prices, and the global economic contraction due to COVID 19. Prior to IMO 2020, the spread of low-sulfur oil sold from July 2019 reached a high of $ 353 per ton and remained at around $ 60 as of May 2020, making regulatory response more cautious.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lowest spread that can satisfy the regulations and secure economic efficiency under the fluctuations in oil prices that are rapidly changing due to external factors, unlike the previous studies that refer to the recoverable spread as soon as possible. This study analyzed the economic benefits between scrubber installation and usage of low-sulfur fuel oil through a mathematical modeling method using cost-benefit analysi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easily check the economic feasibility of an investment vessel even if the situation changes due to various external factors in the future. 국제해사기구(IMO)는 2020년 1월 1일부터 전 세계 모든 해역을 항행하는 선박의 연료유내 황 함유량 기준을 현행 3.5%이하에서 0.5%이하로 대폭 강화하는 규제, IMO 2020을 시행하였다. 발틱해 지역, 북해 지역, 북미 지역(미국 및 캐나다) 및 미국 카리브 지역의 배출규제해역(ECA)에서는 이미 2015년 1월부터 선박의 연료유내 황 함유량을 1%이하에서 0.1%이하로 감소시키는 규정이 발효되어 시행되어 왔다. 우리 정부도 2019년 4월에 제정된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부산, 인천, 평택·당진, 여수·광양, 울산 등 5대 대형항만 인근 해역을 황산화물 배출규제해역(ECA)으로 지정 고시를 하여 2020년 9월 1일부터 세계해사기구(IMO)가 요구하는 연료유내 황 함유량 기준인 0.1% 이하로 줄여야 한다. 과거 시행된 세계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들은 필수적으로 선박의 개조, 장비의 장착 등 물리적 변화를 요구하였기 때문에 그러한 환경규제들을 전격적으로 기존 운항선에 적용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기존선을 신조선으로 대체 또는 개조를 위하여 규제의 적용 또는 범위를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확대하여 왔다. 그러나 금번 IMO 2020 황산화물 규제의 특징은 신조선 뿐 만이 아니라 기존 운항하고 있는 모든 선박을 대상으로 예외없이 전격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다. IMO 2020 규제를 만족하기 위한 방법이 지금까지의 통상적으로 해왔던 선박의 물리적 개조 또는 변화 이외의 방법도 존재하므로, 해운선사들은 규제를 충족하기 위하여 선박의 물리적인 변화를 하지 않아도 규제에 대응이 가능하다. IMO 2020 황산화물 배출규제에 대한 대응방안은 규제를 만족하는 저유황유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방안, 기존의 고유황유를 그대로 사용가능한 배기가스 탈황 장치인 스크러버를 설치하는 방안 및 LNG 등 다른 대안 연료를 사용하는 세 가지 대응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IMO 2020 황산화물 규제에 대응해야 하는 대부분의 선사들은 LNG 등 다른 대안 연료를 사용하는 방식은 신조선을 건조할 경우에만 경제성이 확보 가능한 대안이므로, 현존선을 대상으로 한 선택지에서는 배기가스 탈황장치인 스크러버의 설치와 저유황유 사용만이 현실적인 대응방안으로 고려되고 있다. 해운선사가 IMO 2020 대응방안을 결정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어느 선택지가 가장 경제적인가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운선사는 스크러버 설치와 저유황유 사용 두 가지 선택지를 두고 보유 선박의 규모, 선종, 운항 패턴 그리고 계약 형태 등의 다양한 요인들을 감안하여 해운선사의 경제성을 극대화 하는 대응방안을 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규제에 적합한 저유황유를 안정적으로 생산·공급해야할 정유회사의 투자 주저 속에서 2020년에 전개될 스프레드에 대한 다양한 전문 기관들의 예측은 해운선사들이 대응방향을 정함에 있어하는 중요한 방향 제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IMO 2020 규제 발표 초기의 스프레드 전망치와 2020년 규제가 이미 시행단계에 진입한 현 시점의 스프레드는 저유황유 수급상황, COVID 19 등으로 인한 세계경기위축과 유가하락 등으로 많은 괴리가 생겼다. IMO 2020을 앞두고 2019년 7월부터 판매된 저유황유의 스프레드는 톤당 353불을 최고치로 한 후 2020년 5월 현재 60불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규제 대응방향이 더욱 신중해졌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IMO 2020 규제대응을 위하여 다양한 예측기관들의 큰 폭의 스프레드 전망을 기반으로 가장 빨리 투자금의 회수 가능한 기간을 고찰한 것과 달리, 2020년 이후 외부 요인들로 인하여 급변하고 있는 유가의 변동 하에서 IMO 2020이라는 규제를 만족하면서, 경제성을 확보가능한지와 만약 확보 가능하다면 해당하는 스프레드가 어느 정도의 값인지를 확인코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비용·편익분석을 이용하여 수학적 모델링 방법으로 스크러버 설치와 저유황유 전환 사용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하였고 향후 다양한 외부 요인들로 인하여 상황이 변하더라도 스크러버 투자 선박의 경제성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형을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