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미의 발아정도에 의한 SOD유사활성과 Nitrite소거작용의 변화

        강보라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55

        일반현미와 발아현미 2종(2.5mm발아, 5mm발아)의 총 methanol extract의 SOD 유사활성과 nitrite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유의성있게 활성을 가짐을 확인하고 용매의 극성차이를 이용하여 hexane, ethyl acetate, water로 분획하고 각 분획의 SOD유사활성 및 nitrite 소거작용을 측정하였다. SOD유사활성 실헝에서는 Vit.C의 EC_(50)값이 34㎍/㎖ 일 때, ethyl acetate분획의 EC_(50)값이 현미, 2.5mm발아현미, 5mm발아현미에서 각각 400㎍/㎖, 173㎍/㎖, 8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분획에 비하여 발아될수록 EC_(50)값이 현저하게 낮아져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itrite 소거능은 pH 1.5에서 Vit.C의 IC_(50)값이 23.5㎍/㎖일 때, ethyl acetate분획의 IC_(50)값이 현미, 2.5mm발아현미, 5mm발아현미에서 각각 142㎍/㎖, 67㎍/㎖, 75㎍/㎖이었다. pH 3.0에서는 Vit.C의 IC_(50)값이 27.1㎍/㎖일 때, ethyl acetate분획의 IC_(50)값이 현미, 2.5mm발아현미, 5mm발아현미에서 각각 232㎍/㎖, 84㎍/㎖, 74㎍/㎖로 다른 분획보다 IC_(50)값이 현저히 낮아져 그 활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고, pH에 대한 영향도 적게 받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2종의 발아현미가 일반현미 보다 훨씬 더 높은 소거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From the total methanolic extract of brown rice, 2.5mm-germinated brown rice and 5mm-germinated brown rice,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ere identified as antioxidative character. After successive partitioning with hexane, ethyl acetate and water, each fraction was tested for the above mentioned activities. Ethyl acetate fraction was most active among all other organic phases. The EC_(50) values of SOD-like activ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brown rice, 2.5mm-germinated brown rice and 5mm-germinated brown rice, were 400㎍/㎖, 173㎍/㎖ and 83㎍/㎖,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Vitamin C, 34㎍/㎖. The IC_(50) values of nitrite scavenging ability ethyl acetate fraction of brown rice, 2.5mm-germinated brown rice and 5mm-germinated brown rice, were 142㎍/㎖, 67㎍/㎖ and 75㎍/㎖, respectively in pH 1.5, compared with that of Vitamin C, 23.5㎍/㎖ in the same system. The IC_(50) values of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these three samples were 232㎍/㎖, 84㎍/㎖ and 74㎍/㎖, in pH 3.0, compared with that of Vitamin C, 273.1㎍/㎖. As a result,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are thought to be increased by the germination effect and the SOD-like activity and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brown rice, 2.5mm-germinated brown rice and 5mm-germinated brown rice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paper.

      •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 자가평가 도구 개발

        강보라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 자가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Lechasseur et al의 윤리적 역량(Ethical competence) 모델을 바탕으로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였으며, DeVellis의 8단계 도구개발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단계 도구의 구성 요소 확인 : 혼종모형을 기반으로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윤리적 간호역량의 구성요소를 확인하였다. 2단계 문항 구성 : 16개의 하위 요인과 76개의 속성에 따른 문항을 구성하였다. 3단계 도구 형식 결정 : 사회과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고 중립반응범주를 제시하지 않는 4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4단계 도구 검정 : 전문가 10인으로 구성하여 2차에 걸친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6개 요인에 총 32문항의 예비도구가 도출되었다. 5단계 도구검토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2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 및 안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은 없었다. 단, 모든 문항의 시작 어구에 ‘나는’을 삽입하여 문항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였다. 6단계 도구 적용 :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3개 (S, D, C)지역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430명을 대상으로 도구를 적용하였고, 불충분한 응답의 7부를 제외한 42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7단계 도구 평가 : 윤리적 간호역량 자가평가 예비도구는 EFA를 통하여 5요인의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CFA, 1~2차 문항의 수렴-판별타당도, 집단비교법과 수렴타당도를 모두 만족하였고,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검사 재검사 신뢰도를 모두 만족하였다. 8단계 도구 최적화 : 윤리적 간호역량 자가평가 도구는 5요인 20문항의 4점 Likert 척도로 역환산 문항은 없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윤리적 간호역량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대상자의 응답 고정을 막기 위하여 전체문항을 무작위로 분산하여 배열한 도구를 구성하였다. . 본 도구는 임상간호사의 윤리적 간호역량을 자가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 되었고, 임상 간호사가 윤리적 간호역량을 발휘하기 위한 목표 제시와 간호윤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간호윤리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제언한다.

      • 특허괴물(patent troll)에 대한 독점규제법상 규제에 관한 연구

        강보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55

        What are Patent trolls? (1)Patent trolls refer to non-practicing entities (2) trying to make a lot of money off a patent (3) by stacking up patents or buying patent rights from other patent right holders to create a patent wall (4) with which they claim excessive licensing fee or compensation for damages against companies or exercise patent rights to file infringement litigation. Parties exercising patent rights do not only cover patent right holders (original patent right holders, patent purchaser, and exclusive license holder) but also litigation financing firms, brokers mediating exercise of patent rights, law firms and lawyers representing patent litigations. Even large companies are parties to patent litigation as testified in the case of Kodak and Rambus, which act as patent trolls. This indicates that large companies with huge capital power can be patent trolls, which many had wrongly thought was the territory of rich individuals, small companies or patent lawyers. Cases of Overstock, Amgen and InternetAD should not mislead that only small companies are patent troll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should, however, not be perceived as patent trolls even if they are non-practicing entities. They do not produce or provide service, do not engage in R&D to demand monetary compensation for damages but to make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act fairly in ways promoting free competition. Universities serve as contributors to advancing lesser known technologies to the public and do not charge cost to beneficiaries of such technologies by stealing or claiming legal rights of others’ invention, which justify that they are not patent trolls.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patent trolls’ profit-making by exercising patent rights does not always trigger cost increase or innovation loss to ultimately undermine consumer benefits. The term ‘patent troll’ already reflects some negative value judgment but bear in mind that it is used just for the purpose of companies sued in infringement litigation attacking patent right holders. Hence, an objective view is required to assess benefits and costs patent trolls bring with them rather than single-mindedly writing them off. The rights exercised by patent trolls are exclusive ones and it is up to patent right holders to decide license of invention patents. Individual inventors or small companies, which are bound to be in a lower and disadvantageous position against large companies, can make the most use of their patent rights thank to patent trolls. Such could open ways to a new market model on patent rights trading, could help the weaker build capital with which they can file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 against large companies, cash in their inventions and eventually spur their appetite for new inventions. In other words, financial support to individual inventors and small companies provides incentives for new inventions, vibrates patent market through patent trading and favorably copes with patent infringement in litigations. These are more than enough to appreciate the positive functions of patent trolls, which some patent funds or patent firms are trying to feed and nourish as part their policies to make good use of them. Not to mention, patent trolls should not be let free because some blinded by monetary benefits could kill developers’ drive for new R&D, stand in the way of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breakthroughs, blurring purpose of patents to drive industrial advance and improve consumer’s welfare. Stacking patents with ambiguous effect, filing infringement litigations over such patents, act of unfair reconciliation and demanding unreasonably high licensing fees or charging discriminatory licensing fees when his/hers becomes standards can be in breach of Antitrust Law, and need to be regulated. This, however, does not mean that they can be clamped down immediately with Anti-trust Law. Legal regulations can only be levied when claiming non-infringement of his/her patent rights unfairly expands market control and erodes consumer benefits and when unfair practice requires oppressiveness to the extent of requiring government intervention. After all, the purpose of Antitrust Law is to “promote fair and free competition” to ensure that market economy works properly. In short, if patent trolls’ accumulation of patent rights and exercise of patent rights for excessive compensation for damages constitute an act of limit competition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anti-competitive business combination, improper collaborative act) against Antitrust Law or as unfair business practice all of which fall under all legal stipulations in the Law (e.g., Article 3-2 for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Article 7 for anti-competitive business combination, Article 19 for improper collaborative act, Article 23 for unfair business practice) shall regulate patent trolls subject to Antitrust Law. Patent trolls’ exercise of patent rights cannot be prohibited ‘in principle’ just because their acts give way to problems. Clear legal grounds, justifications for regulating patent trolls under Antitrust Law and satisfaction of all legal stipulations in Antitrust Law have to be satisfied as prerequisites to forbid exercise of patent right. After all, patent trolls which can be in violation of Antitrust Law are that run against objective of the Law that is “promoting fair and free competition”. This paper will classify acts by patent trolls that can be in violation of Antitrust Law and determine those that can be subject to regulations under the Law. Acts by patent trolls are legitimate as long as patents are valid since they exercis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cknowledged by law. But there are some patent rights being ‘abused’ beyond legitimate patent rights that can be exercised as mentioned earlier, which give rise to all the discussions on ideas to put legal regulations against them. These ‘ill-minded’ patent trolls abuse legislation ‘loopholes’ or rights permitted by law to file infringement litigations against counterparties who use their patent rights and get away with huge compensation or licensing fee. This could trigger controversial discussions on whether such act is against Antitrust Law or not since such a business strategy by patent trolls unfairly bring counterparty to the negotiation table, demand ridiculous licensing fee to them whose business cannot sustain without patent trolls’ patents and create ‘holdup situation’. Licensing at a fair arms-length pricing through preliminary negoti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prior to production and on a level playing field would not have caused any trouble. Patent trolls go into post-negotiations to get away with a large licensing fee from companies who do not have alternative technology or rely on means that cannot be easily converted with an alternative technology in their manufacturing process. Moreover, their right to claim permanent injunction, which is acknowledged in Patent Law, boosts their bargaining power. Matters get more complicated patent trolls’ technologies are standard ones. ‘Holdup act’ could constitute as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disturbing price abuse in Clause 1, interfering other companies’ business activities in Clause 3 and impeding participation of new competitors in Clause 4 of Article 3-2(1) of Antitrust Law if patent trolls have a dominant market power and restriction of competition is acknowledged. Even if dominant market position or restriction of competition are not acknowledged, they can also be regulated subject to unfair luring of customers (Clause 3, Article 23(1)) in unfair trade act of Article 23 or interfering other companies’ business activities (Clause 5, Article 23(1)) if an act is acknowledged to be oppressive. Patent trolls sometimes unreasonably reject license to stand in the way of others’ business activities or demand indiscriminately high percentage of licensing fee. They take advantage of their dominant position and demand licensees to tap into patent technologies beyond their required scope to show the effect of such technologies. Such being the case, licensee companies have no choice but to give into patent trolls’ acts and suffer heightened production cost, which spills over to consumers. This could also serve as a source of breach in abuse of dominant market position in Article 3-2 or unfair business practice in Article 23 of Antitrust Law. Patent trolls make patent thicket or put up patent wall of filing for patent applications one after another just for the purpose of attacking companies. In doing so, they desert the original objective of protec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use patents to maximize their monetary benefits. An act of building patent wall and unfairly reinforcing position in the market to restrict competition could be interpreted as an anti-competitive business combination regulated in Article 7 of Antitrust Law. Waste of litigations is another source of exhaustion as some use invalid patents or others falsely acquired to file patent infringement litigations or just start off with litigations even when his/her patents are obviously not infringed. Such an illegal act of intentional litigations to boost their market position can be counteracted or filed for compensation for damages. It could also be abuse of dominant market position in Article 3-2 of Antitrust Law or regulated as unfair business practices in Article 23 if there is no dominant position or no restriction of competition. Unfair settlement among litigants to sustain exclusivity of an invalid patent and to obstruct entry of new competitors could be improper collaborative act regulated in Article 19 of Antitrust Law. This clearly indicates that there are numerous anti-competition acts by patent trolls in potential violation of Antitrust Law, which is why they need to be subject to regulation in the Law. Their acts could be a legitimate exercise of rights since patent right is all about exercis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but they can still be regulated under Antitrust Law if trolls unfairly exercise their rights in ways of triggering anti-competition. It is an abuse of patent rights and an unfair exercise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mposing regulations under Antitrust Law, which is concrete in its interpretation with clear application requirement should be a fairer option than by just expanding the legal principle of ‘abuse of right’, which is a vague concept and complementally applied to regulate patent trolls’ act of abuse. In addition, restricting patent trolls from exercising right to claim permanent injunction, which is their powerful weapon, and only permitting them to claim compensation for damages or any discussions to acknowledge compulsory licensing to infringers goes against Patent Law and do not have any legal ground. Antitrust Law already offers a legal ground allowing compulsory licensing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In this sense, Antitrust Law can be the most effective regulatory tool against restriction of competition.

      •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강보라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To this end, I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oes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have on improving anxiety/depressive behavior in high school girls? Second, what effect does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have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ed/depresse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Third, what effect does the emotion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 have on improving the physical symptoms of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emotiona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competence-enhancing program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anxiety/depressive behaviors of high school girls. Second, the emotional competence-enhanc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ed/depressed behaviors of the high school girls. Third, emotional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physical symptoms of high school girls. In the group counseling process for enhancing emotional competenc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atrophy/depression domain. The students learned the emotional and emotional control skills, deeply explored their lives and emotions, And the process of eruption.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cooperative work among group members can accept more emotions of others, and positive emotional support and positive self image are obtained through positive mutual feedback and empathy. On the other ha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nts in the anxiety/depression domain and the somatic symptom domain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even though they showed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This is because of the limit of operating the short program of 8 weeks for 4 weeks for each group of 6 people, and the anxiety/depression, the body which should be considered the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o change the system of thinking as well as the expressive approach And is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mptom reg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motional competence-enhancing program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the atrophy/depressive behaviors in the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of the high school girls.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small-scale students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In addition, although the same program was provide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ffect of each individua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with various designs for more objective effectiveness verifi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불안/우울 행동 개선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둘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위축/우울 행동 개선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셋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신체증상 행동 개선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가? 이 연구의 연구 대상은 J시 J고등학교에 재학하는 1학년 여학생 중 정서행동 관심군 학생들이다. 연구 참여자는 총 12명으로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6명에 무선배치 되었다. 연구자는 송재홍(2015, 2016b)의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총 8회기로 구안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2017년 8월 29일부터 2017년 9월 28일까지 주 2회, 120분씩 총 8회기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도구는 Achenbach와 Edelbrock이 개발하여 오경자 등이 표준화한 한국판 청소년 행동 평가척도(K-YSR)이다. 연구자는 프로그램 실시 전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후에 두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사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독립 표본에 의한 독립 t-검정을 실시하여 사후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의 변화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임상, 준임상, 정상 각 수준별 변화의 정도에 따라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유형에 따른 빈도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양적 연구의 한계를 보안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연구자의 관찰 내용과 실험집단 연구 참여자의 경험 보고서 등을 토대로 내재화 문제의 하위 요인별 변화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불안/우울 행동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위축/우울 행동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신체증상 개선에 의미 있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서유능성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과정에서 위축/우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난 것은 정서 및 정서 조절, 자해행동과 자살생각에 대한 의미를 익히고 자신의 삶과 정서를 깊이 탐색함과 동시에 따뜻하고 수용적인 분위기에서 자신의 감정을 안전하고 충분하게 분출하는 과정을 통해 비롯되었다. 또한, 집단원간의 협동 작업을 통해 타인의 정서까지 좀 더 수용할 수 있게 되고, 긍정적인 상호 피드백과 공감 등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얻고 긍정적인 자아상이 확보된 것도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불안/우울 영역과 신체증상 영역에서 실험집단 참가자들은 통제집단 참가자들보다 높은 점수의 변화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이는 각 6명씩의 집단원을 대상으로 4주간 8회기라는 단기 프로그램을 운영한데 따른 한계로 보여지며, 불안/우울 영역과 신체증상 영역의 특성상 정서표현적 접근뿐만 아니라 사고의 체계를 바꾸는 훈련을 하는 인지행동적 접근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데서 기인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정서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이 정서행동 관심군 여고생의 내재화 문제행동 중 위축/우울 문제행동 개선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 연구는 소규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짧은 기간 안에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를 보인다. 또한 같은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나 개인별로 그 효과의 정도에 차이가 나는 데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좀 더 객관적인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다양한 설계를 통한 활발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보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적용한 후 유아의 음악성과 창의성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2.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음악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3.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문헌연구, 요구분석, 프로그램 시안개발, 예비연구의 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이 구성되었다. 문헌연구 단계에서는 유아음악교육과 유아 창의성 관련 문헌과 논문을 분석하였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음악교육 실태와 창의적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협의와 예비연구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서울시에 소재한 K유치원과 P유치원 만 5세 유아 52명을 대상으로(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7명)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2011년 3월 31일부터 2011년 7월 4일까지 실험집단 유아들에게 15주 동안 주 2회씩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일반적인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악표현력, 음악 인지력, 음악적 태도, 창의성 발달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대상으로 음악적 표현력(MCSM), 음악적 인지력(PMMA), 음악적 태도, 창의성(TTCT)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집단별 사전, 사후 평균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하여 음악적 요소를 탐색하고 창의적 표현력을 증진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교육목표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표현 방식에 관심을 갖고 탐색한다', '다양한 음악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표현한다', '다양한 예술적 표현방식을 존중하고 즐기는 태도를 기른다'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창의적 음악표현하기',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하기', '음악을 즐기며 몰입하기'로 구성되었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 '창의적 음악 표현하기'는 주제에 따라 다양한 음악적 아이디어 제시하기,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소리를 상상하여 음악으로 표현하기 이야기와 그림을 보고 독창적 음악 만들기, 시각적 이미지에 소리 입히기로 구성하였다.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적용하기'는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단어와 이미지를 청각적 표현에 활용하기, 그림책에서 발견한 음악적 요소를 분류하고 분석하기, 그림책에서 음악적 요소를 찾아 음악에 적용하기였다. 그리고 '음악을 즐기며 몰입하기'는 창작의 즐거움 느끼며 몰입하기, 다양한 감각을 통한 독특한 표현방법 모색하기, 자발적으로 탐색하고 집중하여 참여하기, 시각적 이미지와 소리의 다양한 결합 관찰하기, 다르게 듣고 다르게 표현하는 창의적 표현에 관심 갖기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탐색하기, 그림책 읽기, 음악적 의사소통, 음악적 표상활동, 공유 및 평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로 구분하였으며, 소집단 및 대집단, 개별적인 관찰 평가로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음악성의 세 개 하위영역인 음악적 표현력, 음악적 인지력, 음악적 태도와 창의성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표현력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음악적 유창성, 음악적 독창성, 음악적 상상력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표현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인지력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인지력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음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리듬감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인지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셋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음악적 태도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음악적 태도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악적 태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넷째, 프로그램을 실시한 이후에 유아의 창의성 점수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창의성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요인을 살펴보면,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 상호문화영화의 의의와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강보라 건국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1855

        Intercultural films present directions for existing multicultural films to take in the future. The unilateral enlightenment method led by the government has now reached its limit, and the central value of intercultural films where all centrisms are overthrown to meet and interact with others as equals is connected to the appearance of society where democracy is at its center. The report drafted based on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ultural Diversity enacted in 2014 explicate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supplemented in cultural diversity policies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Therefore, interculturalism that people may not feel familiar with has actually already taken root in the Korean society. In reality, limitations with meeting others is inevitable. What can supplement this is utilizing cultural contents made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others. Among the various types of cultural contents, films are characterized by the ease of concentration and accessibility, and it has the strongest force to the general public. Facing the cultural conflicts of immigrants through a large screen can make one think again about the stereotypes and biases of the mainstream society. Intercultural films that can be completed by finding an alienated and excluded field in the institutional system or a single aesthetic experience is an educational philosophy and material. Therefore, analyzing an intercultural film from the genre perspective of narratives, characters and cinema language has meaning that goes beyond refining materials. The narratives of Korean intercultural films can be divided into finding a foreigner or following the thing that the foreigner is in search of.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films titled after the names of foreigners once again shows the existence of foreigners buried deep in the Korean society. Furthermore, the process of the audience following the cinematic journey for that which is valuable to the foreigner asks us the question on whether the size of their efforts and what they must endure to obtain something that may be common is truly appropriate. Characters that appear in intercultural films out of necessity are foreigners who lost their way, an oppressive mainstream, and a sacrificing helper. Here, the lost foreigner character is consistent with the subject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is means that the stories of foreigners who have not entered that scope have not yet been included in the screen. The foreigner character endures hardships by coming into contact with an oppressive mainstream to fall in despair, while at times, meeting with a sacrificing helper to one again become resolved to live well. Next, cinema language communicates with mise-en-scene that only films can show. Close-up, hand-held, long-take, and deep-focus techniques use the camera to effectively show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 In particular, ‘revealing the camera’ is a mise-en-scene unique to intercultural films and it is metaphorically connected to ‘intercultural lens’. Moreover, clothing and props, which are visual expressions, and lines, background music, sound effects, etc. which are auditory expressions compressively delivers various and divided meanings. By understanding the cinema language, the audience can truly comprehend the film. Films show the world through the life of others and it sheds light on one’s self. Understanding the society surrounding me and understanding me as a member of the society is the value of educating films. The act of producing contents on one’s own initiative after watching a film can help purify one’s emotions and establish a positive self-image. Educational values of intercultural films project the educational contents planning method using intercultural films that integrate the film production system stage, nine stages of contents planning, and the ASSURE teaching model. The four classes presented as an example by adding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ourse can be applied on site immediately, and therefore, it contains the practicality of interculturalism. Watching a film through an ‘intercultural lens’, which is a perspective that projects intercultural values, can be achieved only when repeated educational experiences are accumulated. Furthermore, ‘intercultural lens’ for watching films should ultimately become the eyes for viewing the world and people of the world. Intercultural films do not end with films. It is something that creative consumers who watch films and respond with new contents complete. 상호문화영화는 기존의 다문화영화가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 미래의 방향을 제시한다. 관주도의 일방적인 계몽주의 방식은 이제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고, 모든 중심주의를 타파하고 동등한 관계에서 타자와 만나 상호작용하는 상호문화주의의 중심 가치는 민주주의가 기반이 되는 사회의 모습과 연결된다. 2014년 제정된 문화다양성 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을 바탕으로 작성된 보고서는 이미 다문화교육을 상호문화적 관점의 문화다양성 정책에서 보완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대중이 생소하다고 느끼는 상호문화주의는 사실 이미 한국 사회에 뿌리를 내린 상태이다. 현실적으로 타자와 만나는 것은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것은 결국 타자와 소통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화콘텐츠를 활용하는 것이다. 여러 문화콘텐츠의 유형 중 영화는 집중과 접근의 용이성이 특징이며, 대중에게 가장 강력한 힘을 가지고 있다. 커다란 스크린을 통해 이주민의 문화적 갈등을 마주하는 것은 주류사회의 고정관념과 편견을 다시 돌아보게 만든다. 제도권에서 소외되고 배제되었던 영역을 찾고, 하나의 미적 경험으로도 완전한 상호문화영화는 교육 철학이자 자료이다. 따라서 상호문화영화를 내러티브, 캐릭터, 영화언어의 장르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은 자료를 정제하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다. 한국 상호문화영화의 내러티브는 이방인을 찾거나 이방인이 찾는 무언가를 따라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방인의 이름이 제목으로 된 영화가 많다는 것은 한국 사회 속에 묻혀있던 이방인의 존재를 다시 상기하자는 것이다. 또한 이방인에게 소중한 것을 영화의 여정을 따라 관객이 함께 찾아가는 과정은 평범한 것을 얻기 위하여 그들이 감내해야만 했던 노력의 크기가 과연 합당했는지 질문하게 만든다. 상호문화영화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캐릭터는 길 잃은 이방인, 억압적 주류, 희생적 조력자가 있다. 여기에서 길 잃은 이방인 캐릭터는 정부의 정책 대상과 일치하는데, 이는 그 범주에 들어가지 못하는 이방인의 이야기는 아직 스크린으로 옮겨오지 못했음을 의미한다. 이방인 캐릭터는 억압적 주류를 만나 시련을 겪으며 좌절하기도 하고, 희생적 조력자 캐릭터를 만나 삶에 대한 의지를 다져나가기도 한다. 다음으로 영화언어는 미장센으로 영화만 보여줄 수 있는 의사소통을 한다. 클로즈업, 핸드헬드, 롱테이크와 디프포커스 기법은 카메라를 활용해 인물의 심리를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특히 ‘카메라 드러내기’는 상호문화영화의 독특한 미장센으로 ‘상호문화적 렌즈’와 은유적으로 연결된다. 이 외에도 시각적인 표현의 의상이나 소품, 청각적인 표현의 대사, 배경음악, 효과음 등은 다양하게 분화된 의미를 함축적으로 전달한다. 관객은 영화언어를 이해함으로써 진정으로 영화를 사유할 수 있게 된다. 영화는 타자의 삶을 통해 세상을 보여주고, 나 자신을 비춘다. 나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와 그 사회 구성원으로 존재하는 나를 이해하는 것은 영화를 교육해야 하는 가치가 된다. 영화를 관람한 후에 자기 주도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는 행위는 감정을 정화하고 긍정적인 자아상을 확립하는 것을 돕는다. 상호문화영화의 교육적 가치는 영화 제작 시스템 단계, 콘텐츠 기획의 9단계, ASSURE 수업 모형을 접목한 상호문화영화를 활용한 교육콘텐츠 기획 방법에 투영된다. 여기에 더해 2015 개정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시한 4차시 수업의 예시는 현장에 바로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호문화주의의 실용성이 담겨있다. 상호문화주의적 가치가 투영된 관점인 ‘상호문화적 렌즈’로 영화를 보는 것은 반복된 교육 경험이 누적되어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영화를 보던 ‘상호문화적 렌즈’는 최종적으로 세계와 세계인을 보는 눈이 되어야 한다. 상호문화영화는 영화에서 끝나지 않는다. 영화를 보고 새로운 콘텐츠로 응답하는 창의적인 소비자가 그것을 완성해가는 것이다.

      •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에 대한 웹사이트 정보 현황 및 내용성 분석

        강보라 충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hat evaluates present status of CP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related information on Internet website and content’s appropriateness. The study aims at analyzing present status of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related information and content’s appropriateness on Internet websites, and looking into improving factors together with correct information for website’s users, and then providing a basic data required to website’s developments for guaranteeing health information’s quality including emergency treatments on Internet websites accordingly. This study searched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s a basic resuscitation information,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keyword individually at the search engine, and selected 24 websites gotten admission approvals after setting up appearances of site tables only, and then evaluated website’s properties and contents by using used tools in previous researches, and thus got results same as followings. 1. It was investigated that professional suppliers of medical devises have provided the most information among websites with 7 companies (29.2%) from respects of operators (organizations). Objects of websites were lay men mainly (30.2%), and it was investigated that 45.8% among investigated websites were providing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rom a part of websites. 2. In detailed item’s evaluations of Internet website properties related to basic resuscitations, 34 items were 18.75 points in average among perfect 34 points, and positive evaluations were appeared from purpose, pertinence, interactivity, and privacy parts, but accuracy, utility, authority, and continuance parts were evaluated as being insufficient. 3. Frequency questions of over 50% among 53 items on whether to suggest contents were investigated as 23 items from results of website contents analyses, and items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were examined to chest compression and respiratory rate (30:2) (79.2%). The content accuracy of total research object’s websites was low with 57.25 point among perfect 159 point. 4. Incorrect contents among CPR as a basic resuscitation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research object’s websites were investigated in 16 websites among 24 ones. And inaccurate procedure of CPR and detailed contents were appeared from chest compression’s depth, speed, compression’s location, and artificial respirations, and also revisions were required because website’s information providing emergency treatment’s information was not matched with its title and contents. In CPR field of content’s evaluations, educational institutions on emergency treatments showed higher significance than non-educational ones. Through above-mentioned results, conclusions are as follows. Basic resuscitation information related to domestic CPR an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as being provided from non-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most professional suppliers of medical devices, and a fact could be known that comprehensive information that had to be offered from whether to provide contents and accuracy analyses was not serviced. Also, new CPR information shall be supplemented from existing ones after being updated. When synthesizing these results, authentication methods of websites have to be prepared, and form’s standards through which correct and proper basic resuscitation information could be provided systematically are necessary as supplemental methods on suggested improvements. Key word: CPR, AED, Website, Internet information 本 硏究는 인터넷 웹사이트상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정보의 현황과 내용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관련 기본소생술 정보의 현황과 내용의 적절성을 분석하여 웹사이트 사용자에게 정확한 정보와 개선되어야 할 요인을 고찰하여, 이를 통해 인터넷 웹사이트의 응급처치를 포함한 건강정보 질 보장을 위한 웹사이트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검색엔진에서 기본소생술의 정보인 심폐소생술, CPR과 자동제세동기, AED 검색어를 개별로 검색한 뒤 사이트 목록만 나타나도록 설정하여 가입승인을 얻은 24개의 웹사이트를 선정하여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웹사이트의 속성과 내용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웹사이트는 의료기기전문업체가 7개(29.2%)로 웹사이트 중에서 가장 많이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웹사이트의 대상자는 주로 일반인(30.2%)이었으며, 조사된 웹사이트에서 45.8%가 웹사이트의 일부분에서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정보를 함께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기본소생술 관련 인터넷 웹사이트 속성의 세부 항목별 평가에서 34개의 항목에서 34점 만점에 평균 18.75점이었고, 목적성, 적절성, 환류성, 비밀 보장성 부분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나, 정확성, 용이성, 권위성, 지속성 부분에서는 부족하게 평가되었다. 3. 웹사이트의 내용성 분석 결과 내용제시 여부 항목의 53문항 중 50% 이상의 빈도의 문항이 23문항 조사되었고,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인 항목은 흉부압박과 호흡비율(30:2)(79.2%)로 조사되었다. 전체 연구대상 웹사이트의 내용 정확도는 159점 만점에 평균 57.25점으로 낮았다. 4. 연구대상의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기본소생술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정보 중 부정확한 내용이 24개의 웹사이트 중에서 16개의 웹사이트에서 조사되었으며, 심폐소생술의 부정확한 순서와 세부적인 내용으로 흉부압박깊이, 속도, 압박위치, 인공호흡방법에서 나타났으며, 응급처치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정보가 제목과 내용의 일치하지 않아 수정이 요구되었다. 내용평가의 심폐소생술분야에서는 응급처치 교육기관보다 응급처치 비교육기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국내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기본소생술 정보는 대부분 의료기기전문업체를 포함한 응급처치 비교육기관에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내용의 제시 여부와 정확도 분석에서 제공되어야 할 정보가 포괄적으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심폐소생술 방법에서 새로운 심폐소생술 정보로 업데이트되어 보완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제시한 개선점을 보완할 방법으로 웹 사이트의 인증 방법을 마련하고 제공하는 기본소생술정보의 정확하고 적절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양식의 기준이 필요하다. 중요 단어 : 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인터넷, 웹사이트 정보

      •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보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55

        이 연구의 목적은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중학교 2학년 학생에게 적용하여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및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는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직접적으로 쓰기 활동에 대한 지도가 꾸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부분을 개선하고, 자유학기제의 도입으로 국어교과가 당면한 진로교육과 연계한 교육과정 생성에 대한 도움을 주고자 구안되었다. 국어교과 통합 진로교육은 진로와 직업, 창의적 체험 활동, 자유학기제 등의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학생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하여 쓰기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학교 현장에 직접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의의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안할 것인가? 둘째,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셋째,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쓰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작문이론의 흐름을 살펴보고, 쓰기 효능감에 대하여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밝혔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서 주요한 활동인 전기문 쓰기가 자서전, 자기 서사, 자기소개서와 같은 장르와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전기문 쓰기가 다른 장르로 일반화 되어 확장될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국어교과 통합 진로교육의 필요성과 수업 방법을 이 프로그램의 뼈대가 되는 쓰기 워크숍의 방식을 통해 살펴보고, 진로 성숙의 변인으로 연결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적용한 뒤 지도 과정 등에 대해 서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 프로그램이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쓰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 ․ 사후 검사의 비교를 통해 검증한 결과를 서술하였다. 진로성숙도나 쓰기 효능감이 단기간에 변화를 도모하기 어려운 점과 양적 데이터로 살펴볼 수 없는 학생들의 변화를 보완하기 위해 학습자 반응 분석 검사를 통해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사전 ․ 사후 검사 결과 진로성숙도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쓰기 효능감은 약간의 점수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첫째,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전 검사(M=3.03)와 사후 검사(M=3.14)에서 진로 성숙도 평균은 0.11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 확률은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드러냈다. 둘째,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 요인 중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향상에 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전 검사(M=2.07)와 사후 검사(M=2.48)에서 희망 직업에 대한 지식 평균은 0.41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 확률은 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드러냈다. 셋째,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은 쓰기 효능감 향상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검사(M=3.53)와 사후 검사(M=3.68)에서 쓰기 효능감 평균은 0.15점 향상되었지만, 유의 확률이 0.2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해석하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프로그램이 쓰기 과정의 전반적인 부분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과 동시에 어려운 부분에 부딪히는 경험을 하게 된 것이 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쓰기 효능감을 향상시키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체계적인 쓰기 지도를 받아본 적 없는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쓰기에 대한 막연한 자신감이 쓰기의 세부적인 과정을 실질적으로 경험하면서 부분적으로 감소되고, 자신의 쓰기 능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된 것이 원인으로 작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반면에 학습자 반응 분석 결과에서 대다수의 학생들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쓰기에 대한 흥미가 증가하였고, 쓰기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하여 동의하고 있다고 보고한 것이 긍정적인 영향 및 효과의 한 부분으로 해석될 수 있겠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진로독서지도를 통한 전기문 쓰기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활동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이 프로그램이 진로와 직업 교과와 연계한 국어교과 교육과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금융·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에 관한 연구

        강보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55

        As national principal financial institutions are acquired by foreign capital and the pursuit of short-term marginal profits on speculation is attended by many evils, recently, the abolition of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Financial or Insurance Company Clause i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MRTFA) is under discussion. Some insist on the deregulation of the separ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industrial capital and propose the abolition of total investment system and the abolition or deregulation of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financial or insurance company as countermeasures to the menace of hostile M&A. This thesis examines the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Financial or Insurance Company Clause and focuses on its improvement in the future. First of all, considering the purpose of legislation,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corporate governance, it has been disclosed that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ownership disparity and corporate value and management result, which the Fair Trade Commission has supposed as the premise to corporate regulation, is only a hypothesis. Certainly, it is very dangerous to impose regulation just only on the basis of a hypothesis. Moreover, it is undesirable to restrict collectively the voting rights of financial or insurance companies of large business groups, in order to correct the control-ownership disparity. Such policy is against the legislative purpose of Antitrust Law, which is to regulate violation individually, and the policy also contains the problem of inefficiency of indirect and precautionary measures. In addition, reconsideration on the policy of anti-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is needed as it has been based on government-leading economy rather than scientific data. Comparing the system of other countries, this thesis reveals that our regulation of the separ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industrial capital, unlike the assertion of Fair Trade Commission, is close to U.S. type which regulates the most. It has been proved that the strict separ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industrial capital does not have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development. Moreover, balance between the expected benefits and costs is required for a justifiable regulation. The changes in economic environment can break down the justifiable basis of regulatory measures. The positive aspect should not be neglected; the inflow of industrial capital makes it easy to expand financial capital and reduces financial costs through capital share. Therefore, serious reconsideration on the separ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industrial capital policy is required. The applicable problems of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financial or insurance Company Clause are: frequent amendments caused by government-leading economy, unfairness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inefficiency of regulation and over-regulation caused through similar clauses in other law. Scrutinizing the problem that the clause obstructs to defend against hostile M&A by foreign capital and discriminates national corporate inversely, it could be concluded that it does not violate the property right and market economy order of the Constitution while the existence of such problems is consented. Accordingly, some reformations to settle the problem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re is the revitaliz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restraint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Secondly, total reconsideration on the deregulation of the separ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industrial capital is required. Thirdly, introduction of anti-M&A defense against hostile M&A has been studied. Lastly, deregulation or abolition of the Restriction on Voting Rights of financial or insurance Company Clause has been examined. Concerning the reformation of Antitrust Law. the abuse of government-leading policy should be blocked. In addition, plans to prevent financial institutions from becoming private safe and to promote competition are studied. Especially, the plan to regulate competition-restricting joint between industry and finance, for example, insurance and bank, resulting from the separation of financial capital and industrial capital has been studied. Adding or revising specific measures, such as the Restriction on Total Investment Clause, can not be a fundamental alternative to settle the problem of legal regulations. It is impossible to regulate thoroughly according to the change in economic environment. Observing the recent discussion on the regulatory measures of OECD, regulatory policy of developed countries is evolving from temporary and partial deregulation to regulatory reform and moreover, to ordinary and systematic regulatory management. Our competition-restricting regulation should also join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such regulatory reform. 최근 국내 주요 금융기관들이 외국자본에 의하여 인수됨에 따라 외국 자본의 단기적이고 투기적인 투자형태로 단기시세차익의 폐단이 심각해지면서 독점규제및공정거래에관한법률상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규정의 폐지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단기 투기적 외국자본의 부정적인 영향에 의해 일부에선 외국자본의 적대적 M&A 위협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금산분리완화를 내세우면서 출자총액제도의 폐지와 함께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제도의 완화 내지 폐지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이러한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규정이 과연 문제가 있는지, 있다면 향후 개선방향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초점을 맞췄다. 먼저 입법목적상의 문제점으로 기업소유지배구조의 왜곡방지를 살펴본 결과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규모기업집단 규제의 전제로 삼은 소유지배구조의 괴리도와 기업가치 및 경영성과의 음의 상관관계는 하나의 가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 가지 가설을 당연한 전제로 하여 규제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유지배의 괴리를 시정하기 위해서 재벌기업집단 소속의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을 일괄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경제력집중억제정책은 이미 논의가 많이 되었듯이 개별위반행위에 대한 규율을 목적으로 하는 독점규제법의 본래취지에 어긋나고 간접적ㆍ예방적 규제의 비효율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경제력집중억제정책은 과학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기보다는 정부의 관치경제의 일면으로 운영되어 온 측면이 많은 점 등을 고려해볼 때 향후 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금산분리의 문제도 각 나라별 규제의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장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규제는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엄격히 분리하고 있는 미국식 제도를 따르고 있음을 발견했다. 엄격한 금산분리는 금융발전에 별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실증연구결과도 있다. 또한 규제를 함에 있어서는 규제를 통해 얻고자 하는 이익과 규제를 통해 발생하는 비용 사이에 균형이 있어야 한다. 경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과거 정당성을 가졌던 규제도 그 정당성을 상실할 수 있다. 산업자본이 금융부문으로 유입되어 금융자본 확충이 용이해지고 산업부문과 투입요소를 공동 이용함으로써 금융부문의 비용을 절감하는 긍정적인 측면 또한 무시할 수 없는 부문이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금산분리정책을 다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규정의 운용상 문제점으로는 관치경제에 의한 잦은 개정의 문제, 법적용상의 불형평성의 문제, 규제의 비효율성의 문제, 다른 법률의 의결권 제한 규정과의 중복 내지 과잉규제 문제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외국자본의 적대적 M&A에 대한 경영권방어의 장애 내지 국내기업에 대한 역차별 여부를 검토해본 결과 경영권방어에 다소 장애가 되는 점이 있고 이에 따라 외국자본에 대한 차별적 요소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를 이유로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규정이 헌법상 재산권보장이나 시장경제질서에 위반된다고 할 수는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앞서 말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규정의 개선방향을 연구해보았다. 먼저 기업지배구조개선을 위해 내부견제시스템과 외부견제시스템 등의 활성화방안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금산분리완화와 경제력집중억제책에 대한 전면적 재고가 필요함을 살펴보았다. 또한 적대적 M&A에 대한 경영권방어제도의 도입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금융ㆍ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제도의 완화 내지 폐지를 주장하였다. 이에 따라 향후 독점규제법의 발전방향이 문제되는 바 그 대안으로 먼저 관치경제의 폐단을 단절할 것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금융기관의 사금고화 방지 및 경쟁촉진을 위한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금산분리 완화에 따른 산업과 금융(예를 들어 보험과 은행)이라는 이업종간의 경쟁 제한적 혼합결합의 규제 방안을 살펴보았다. 법적 규제의 세부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출자총액제한 규정과 같이 또 다시 세부적인 첨가와 수정을 가하는 것은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못한다. 사업 환경의 복잡성과 빠른 변화속도를 빠짐없이 구조화시켜 규율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다. 최근 OECD의 규제개혁 논의동향을 보면 선진국들의 규제정책은 일시적으로 악화된 경제상황의 타계를 위한 한시적ㆍ부분적 ‘규제 완화’(deregulation)의 차원을 넘어서 ‘규제 개혁’(regulatory reform)의 차원으로, 더 나아가 상시적ㆍ제도적인 ‘규제 관리’(regulatory management)의 차원으로 진화ㆍ발전하고 있다. 우리의 경쟁정책도 이제는 단순한 규제 완화로 머물 것이 아니라 규제개혁을 통해 세계화에 동참하는 것이 필요하다.

      • 긍정 정서 반응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의 조절효과

        강보라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긍정 정서 반응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판 긍정 정서 반응 척도(K-RPA), 자서전적 기억 검사(AMT), 및 통합적 한국판 CES-D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 정서 반응의 긍정 반추 요인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다시 말해, 긍정 반추가 높을 때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이 높으면 우울 증상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긍정 반추가 높을 때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이 낮으면 우울 증상이 감소하지 않았다. 또한, 긍정 정서 반응의 가라앉히기 요인과 우울 증상의 관계에서 자서전적 기억 특정성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