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외선 B 조사한 HaCaT 세포에서 세포자멸사 관련 유전자 발현

        강민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피부는 자외선에 장시간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광화상, 광노화, 색소 침착 그리고 피부암 발생이 증가하게 되는데, 이 중 유전자 손상이 심한 세포는 세포자멸사 기전에 의해 제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자멸사와 관련된 유전자에는 세포자멸사를 촉진하는 단백질로 Bax, caspase-3 및 Bad 등이 있고, Bcl-XL, Bcl₂는 세포자멸사를 억제한다. 이러한 세포자멸사과정을 조절하는 인자들 사이에 균형이 무너져 세포자멸사 억제인자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작용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세포가 피부암으로 진행하게 됨이 보고 되어 있다. 이 연구는 자외선 B에 의해 손상 받은 세포의 세포자멸사 기전을 규명하고자, 인체 각질형성 세포(HaCaT cell)에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세포자멸사를 유도하고, 세포자멸사가 유도된 세포에서 세포 증식능의 측정, FACS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분석, PI (propidium iodide) 염색, DNA 분절 분석을 통해 세포자멸사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도되는 cytochrome C, capase-3, 8 및 9의 발현양상, Bax, Bcl-XL, 및 Bcl₂의 발현양상은 Western blot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Bcl-XL 및 Bcl₂ mRNA의 발현은 RT- 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 B를 조사한 HaCaT 세포에서 200 mJ/㎠에서부터 증식능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자외선 B 400 mJ/㎠ 조사한 경우 FACS 분석에서 세포자멸사 과정 중 증가하는 sub-G1 비율의 증가, PI 염색 상 핵의 분절현상, 그리고 DNA 분절 분석에서 DNA 분절현상이 관찰 되었다. Western blot 분석 상 cytochrome C 증가 및 caspase-3, 8, 9의 전구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였다. 또한 Bax, Bcl-XL 및 Bcl₂의 발현양상을 Western blot을 통해 분석한 결과, Bax의 발현은 미미하게 증가된 발현양상을 보인 반면, Bcl-XL 은 낮은 UVB 강도인 100 mJ/㎠에서부터 현저히 발현이 감소하였고, Bcl₂ 는 300 mJ/㎠에서부터 서서히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Bcl-XL 및 Bcl₂ mRNA의 발현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Proteasome의 기능을 억제하는 억제제 (MG132)를 HaCaT 세포주에 자외선 B와 함께 처치 한 결과, 자외선 B에 의한 Bcl-XL의 발현 감소가 둔화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자외선 B 조사 시 caspase-3, 8 및 9의 활성화 및 Bcl₂ 및 Bcl-XL 발현감소를 통하여 세포자멸사 과정이 진행되며, 세포자멸사 억제 인자 중 Bcl-XL이 Bcl₂ 보다 더 현저하게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기전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 받은 세포에서 피부암 발생을 근원적으로 차단하고자 하는 세포자멸사의 분자 생물학적 조절기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Excessive ultraviolet B (UVB) radiation induces apoptosis of keratinocytes through inbalance between pro-apoptotic proteins (Bax, caspases and Bad) and anti-apoptotic proteins (Bcl₂, Bcl-XL). Failure to remove the UVB-induced apoptotic cells by apoptosis can lead to development of the skin cancer. So, to understand the carcinogenesis by UVB in skin, it is important that analyzing the expressions of apoptosis related genes in skin following UVB irradiation.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of apoptosis related genes in UVB-irradiated HaCaT keratinocytes., cells were irradiated with UVB at various doses (0, 100, 200 and 400 mJ/㎠). The apoptotic cell death was confirmed by flow cytometric analysis, detection of apoptotic nuclei, and DNA laddering assay. The expressions of genes were analyzed by RT-PCR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This study showed the DNA fragmentation concomitantwith increased Sub-G1 fraction of cells were clearly observed in UVB (400 mJ/㎠)-irradiated HaCaT cells. Increased expressionsof cytochrome C and activations of caspase-3, 8, 9 were confirmed in UVB-irradiated HaCaT cells by Western blot. The anti- apoptotic proteins, Bcl-XL and Bcl₂, were decreased by UVB irradiation at 100 mJ/㎠ and 400 mJ/㎠, respectively. Interestingly, down-regulation of Bcl-XL was partially mediated by proteasome-degradation pathway. Taken together, UVB irradiation induced the apoptosis of keratinocytes through activations of caspases and down-regulation of Bcl₂ and Bcl-XL. of Bcl-XL expression was decreased by even low irradiation power and its down-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by proteasome pathway. These data may suggest insight to understand the apoptosis mechanisms as well as carcinogenesis pathways by UVB in skin.

      • Hepatoprotective Effects of Dieckol Isolated from Ecklonia cava against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vitro and in vivo

        강민철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5위 안에 속할 정도로 높은 술 소비량을 보이고 있으며, 습관성 음주자의 수는 약 100~200 만 명 정도로 추산되고 있다. 술을 과잉 섭취하여 체내에 혈중 알코올농도가 높아졌을 경우, 활성 산소 종의 유리라디칼을 생성하게 되어, 지질과산화물을 형성하고 이로 인해, 두뇌와 소화기관 및 심혈관 등의 신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많은 국내외에서 여러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간은 알코올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알코올성 지방간과 알코올성 간염 및 알코올성 간질환과 간에 치명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되어 왔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들은 알코올성 질병의 치료를 위해 다양한 육상식물의 간 보호효과를 연구해왔고, 지금도 간 보호효과를 보이는 새로운 천연 소재를 연구하고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해조류는 풍부한 미네랄과 비타민, 다당류 및 polyphenol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특히 해조류 중, 갈조류에 속하는 감태 (Ecklonia cava)는 다당류와 polyphenol 성분이 주로 함유되어 있고, 그 중, polyphenol 성분인 phlorotannin이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균 및 항바이러스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해양유래의 유용성분을 이용한 간 보호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단계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20여종의 갈조류로부터 에탄올로 유도된 간 독성에 대해 가장 높은 Chang cell 보호효과를 보인 감태 (Ecklonia cava)를 가지는 in vitro와 in vivo상에서 간 보호효과를 밝히고 그 기전을 밝히고자 했다. 먼저, Part 1에서는 20여종의 갈조류로부터 제조된 70% 에탄올 추출물이 인간 유래 간 세포 Chang cell에 대한 에탄올 보호효과를 가지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감태의 phlorotanin 성분인 dieckol과 4% 에탄올이 처리된 Chang cell에서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의 활성화를 유도하면서, apoptosis를 조절하여 세포의 DNA 손상을 감소시켜 세포를 보호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art 2에서는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에서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간 보호효과를 가지는 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을 투여한 마우스의 생존율과 체중이 에탄올을 처리하지 않은 마우스에 비해 상당히 감소하였는데, 감태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는 생존율과 체중이 상당히 증가하였다. 또한 간 손상 척도로 사용되는 Glutarn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와 Glutarnic pyruvic transminase (GPT) 및 콜레스테롤 함량은 에탄올 투여 마우스에 비해, 감태 에탄올 추출물 투여 마우스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서도 에탄올 투여 시, 지방이 증가하였으며 세포의 손상이 다소 관찰되었으나 감태 에탄올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감태 에탄올 추출물에서 분리한 phlorotanin 계열의 성분인 dieckol이 Chang cell 의 보호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에탄올로 간손상을 유발한 Balb/c 마우스에서도 간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볼 때,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간보호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Single Phase Line-Start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의 특성 향상을 위한 최적화 설계

        강민철 창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LSPM(Line_Start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은 유도 전동기의 회전자에 영구자석을 매입한 구조로 이루어진 전동기로써 기동 시에는 유도전동기로, 정상상태에서 동기전동기로 구동하는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별도의 구동장치 없이 기동이 가능하며, 동기 속도에서 운전 시 2차측 농형바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유도 전동기에 비해 고효율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동 시 영구자석으로 인하하여 코깅 토크가 발생하여 기동특성이 저하되며, 기동 시에만 필요한 농형 알루미늄 바는 회전자 내부 공간의 제약은 물론 정상 상태 특성저하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SPM의 특성 향상을 위하여 회전자 형상 최적화 설계와 고정자 Winding 최적화설계를 FEM(Finite Element Method)을 통해 수행하였고 기본 모델과 최적화 모델의 기동 특성 및 정상 특성 비교, 분석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녹색실천과 경영을 통한 그린캠퍼스 구현방안 연구 : 대학원대학교를 대상으로

        강민철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의 그린캠퍼스에 대한 연구는 주로 대형학교 위주의 연구로 진행하고 있지만 초등학교를 비롯한 중·고등학교 등의 중소규모 학교의 그린캠퍼스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5,900여개의 초등학교와 5,500여개의 중고등학교가 있으며 140여개의 전문대학교와 42개의 대학원대학교와 같은 중소규모 대학이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학교는 특히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써 경영진의 그린경영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의 효과를 적용하기에 적합하며 이를 통해 그린캠퍼스를 구현에 나가는데 효과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 그린캠퍼스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중·소규모 학교의 그린캠퍼스 구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중·소규모 학교에서 그린캠퍼스를 구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은 친환경 학교건물 구조개선 이나 고효율 설비교체나 단열강화 등 비용위주의 방법 보다는 에너지절약 생활실천, 학생 및 교직원의 의식구조 개선이나 빈 강의실 소등, 방학기간 전기절전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중·소규모학교에 경제적이면서 쉽게 적용이 가능한 온실가스 감축 방안을 찾아보고 그러한 방법으로 도입하였을때 얼마만큼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수 있는지 또한 얼마만큼의 경제성을 갖추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선정된 중·소규모의 학교에 에너지 사용 및 온실가스 배출 현황을 파악하고 녹색실천과 경영을 통한 온실가스 잠재량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 하였다. 선정대상 학교는 중·소규모의 D대학원대학교를 선정하였고 그에 따른 에너지사용을 그린캠퍼스 실현 단계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통해 2023년까지의 각 단계별 감축 잠재량을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학교에 대하여 2011년부터 2012년에 대한 평균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하여 2014년부터 2023년 까지 추가적인 에너지 감축 노력이 없을 때의 에너지 소비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을 예측한 기준(BAU) 시나리오와 점심시간 강제소등, 전등 반등켜기 운동, LED교체, 창호단열필름설치 등 녹색생활 실천과 경영을 도입하여 그린캠퍼스 실현 단계를 설정하여 향후 10년간 배출량 산정 및 감축량을 분석해 보고 각 시나리오에서 감축수단별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시나리오에 따른 결과로는 녹색생활 실천과 녹색경영 1단계를 통한 온실가스 저감 효과는 BAU대비 20.22%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고 2단계를 적용하였을 때에는 BAU대비 26.57%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었고 최종단계인 3단계를 적용하였을 때에는 BAU대비 42.31%의 저감효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감축수단별 경제성 분석으로 투입비용대비 온실가스 절감량을 살펴 보았을 때 냉·온수기의 대기전력 차단으로 인한 온실가스 절감량이 8.30kgCO2eq/천원으로 다른 감축수단에 비해 비용대비 온실가스가 가장 많이 절감된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분석해 보면 중·소규모의 학교에서 녹색생활실천 사항으로 반등켜기를 하였을 때 각 단계별 시나이오에서 대체적으로 온실가스 저감에 많은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학교의 특성에 따라 각 단계별 자체 시나리오를 가정하여 적용하였고 그에 따른 감축효과를 산정하였지만 각 학교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에 맞도록 시나리오를 적용한다면 본 연구보다 더 좋은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FMECA 기법을 통한 군기지 입지 갈등관리에 관한 연구 : 제주 해군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강민철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39

        1980년대 후반 이래의 민주화 진전과 과거 권위주의 정부 시대의 억압적 국가운영 형태의 청산이 추진되면서 우리 사회는 국가 중심적 사고에서 점차 국민 중심적 사고로 변화되는 과정에 있으며 이 과정에서 그간 발전이 위축되었던 시민사회의 두드러진 성장과 함께 개인과 집단의 권익을 보장받기 위한 적극적인 활동들이 점차 확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욱이 1995년 중반 이후 맞게 된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지방정부의 권한이 확대됨에 따라 군은 국가안보의 ‘실행’이라는 소임을 성실하고도 완벽히 수행하기 위해 종래와는 달리 지방자치단체, 각종 사회 압력집단, 심지어는 개인 레벨까지 다양해진 국내정치 행위자들과 상호작용하며 때에 따라 분출되는 갈등을 적절하고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군기지 및 시설 확보와 관련된 갈등들이 부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군기지 이전요구 및 군기지 신설 반대, 군기지의 일부 축소요구, 군이 점유 중인 사유지에 대한 보상 및 사용이 활발하지 않은 군용지에 대한 반환 요구 등이 그러하다. 제주해군기지 입지문제에서도 군기지와 관련된 민군갈등의 중심에 현재 서있다. 제주해군기지 건설공사는 장기간에 걸친 논의 끝에 민군 간에 어느 정도 갈등이 마무리 되고 제주도민과의 합의를 거쳐 2010년부터 실질적으로 건설공사가 착수되었다. 그러나 2011년 초부터 지역주민, 시민단체, 일부 정치권 등에서 해군기지 건설로 인해 환경/생태계 훼손 우려 및 심각한 절차적 하자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공사 중단을 요구하였다. 이처럼 군기지 입지 관련 갈등이 지속되고 있는 제주 해군기지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 분석을 통해 군 특성이 고려된 과학적인 갈등관리 방안의 제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질적연구 (Qualitative research)와 양적연구 (Quantitative research)를 병행하면서 진행한다. 질적 연구는 본 연구의 목적인 과학적 갈등관리 전략의 제시를 만족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양적연구는 공학적 기법을 적용하여 갈등관리를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접근하였다. 여기서 사용된 定量的 분석기법은 시스템 공학에서 사용되는 FMECA 기법과 Simulation & Modeling 기법이 활용되었다. 제주해군기지 사례에서처럼 점증하는 한국사회의 양극화와 보수-진보간 대결의 지속화 등으로 인해 찬성단체와 반대 단체간 양보 없는 대결양상이 지속되고 있고, 이익갈등, 주변여건 갈등 등 다양한 갈등요인으로 인해 갈등초기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갈등해결 지연과 갈등해결을 위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소요될 것이다. 본 논문은 군기지 입지정책에서 효과적이고 定量的이며 과학적인 갈등관리방안 수립을 지원하여 갈등관리에 대한 혁신을 이루고자 한다. 행정학적인 입장에서 주로 다루어진 입지갈등문제에 대해 시스템 공학에서 사용하는 FMECA(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기법을 처음으로 적용하여 과학적이고 定量的인 갈등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행정학적 FMECA』로 정의하였으며 총 4단계의 절차로 구성된다. 기존의 입지문제 갈등관리방안들에서는 갈등요인을 설문과 관련자료 수집/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이에 따라 갈등관리방안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갈등요인과 갈등관리방안을 연결하는 과학적이고 定量的인 연결고리가 없었다. 이로 인해 분석가의 주관을 바탕으로 갈등요인을 定性的으로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수준에 그쳤다. 그러므로 여러 갈등요인에 대해 동시에 포괄적 갈등관리를 요구하였다. 이는 한정된 제원과 역량을 가진 군의 입장에서는 적절히 대응하기가 어렵고 너무 막연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행정학적 FMECA 기법은 군의 입장에서 定量的이고 과학적인 단계로 구성되어 있어 실전적 적용이 가능하다. 행정학적 FMECA 1단계는 갈등영향분석을 실시한다. 갈등영향분석은 기존의 행정학 분석기법으로 설문과 면담, 관련자료 분석으로 구성되어진다. 갈등영향분석을 통해 갈등에 대한 정형화된 해석이나 밖으로 들어난 분쟁에 초점을 맞춘 일차적인 이해 이상의 그림을 그릴 수 있고, 그만큼 갈등 자체뿐만 아니라 해결에 대해 객관적이고 통합적인 접근이 가능하게 하여 갈등분석의 기반을 제공한다. 행정학적 FMECA 2단계는 분석전문가 그룹을 통한 갈등요인분류와 우선순위 결정과정이다. 갈등요인분류는 의사결정지원도표(식별성, 치명도, 발생률)를 근거로 결정되어지고 분류된 갈등요인에 대해 갈등우선순위를 평가하게 된다. 행정학적 FMECA 3단계는 갈등요인에 대한 AHP를 적용한 설문과 가중치 결정과정을 거친다. 행정학적 FMECA 4단계에서는 Modeling & Simulation을 통해 미래 특정시점을 기준으로 갈등양상을 예상하고 갈등대응 T/F 구성 및 인력운영, 한정된 자원에 의한 갈등관리 집중분야 분석 등을 지원한다. 이런 분석절차를 통해, 행정학적 FMECA 기법은 중요하고 시급한 갈등요인에 대해 집중 대응하고, 갈등수준이 높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효율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과학적인 갈등

      • BLAT : 플래시 메모리를 위한 비트 넘버 기반의 로그블록 재할당 기법

        강민철 아주대학교 정보통신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플래시 메모리는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매체로서 빠른 속도, 임의 데이터 접근, 저전력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다시 쓸 때 먼저 지우고 나서 다시 써야 하는 성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지우기 연산의 단위가 블록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의 수명은 지우기 연산의 숫자에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플래시 메모리는 FTL (Flash Translation Layer) 이라고 부르는 소프트웨어적인 보완 모듈을 가지고 있다. FTL은 플래시 메모리의 성능과 수명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FAST [2]는 로그 버퍼를 기반으로 한 FTL 알고리즘이다. FAST의 로그 블록은 좋은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최악의 경우 (worst-case) 합병 연산시 랜덤 로그 블록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BLAT (Bit number based Log block Allocation Technique)는 비트 넘버(Bit-number)를 사용하여 로그 블록의 사용 효율을 유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Flash memory, non-volatile data storage for embedded devices, have advantages of rapid speed, low electronic power and high performance. However, flash memory has erase before rewrite characteristics, and the unit of erase operation is block. And life cycle of flash memory was limited by erase count. So, flash memory uses FTL (Flash translation layer) for software repletion. FTL is needed for flash memory performance and life extension. FAST [2] is a log buffer based FTL scheme. The log block scheme is well known for good performance. But FAST has a weak point that is efficiency decreasing of random log block in worst-case merging operation. In this paper, the BLAT (Bit number based Log block Allocation Technique) aims at maintaining efficiency of log block by using Bit-number.

      • 장애인생활시설의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종사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철 대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has researched influences of these factors about job attitude, through these mainly factors who treated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of living facilities employees for the disabled, in former researches. And it has a purpose that they want to enhance job attitude by searching alternatives to enhance job attitude For achieving the purpose, at this study, we choose 221 people of living facilities employees for the disabled, and conclusion got in the study is as follows. It appears that the degree of overall job attitude has declined, though job attitude of living facility employees is similar to the job factor degree of social worker. And in a general feature, rate of female is higher than that of male, the married of their thirties is mainly occupied, most of employees have executed religion activity. Regular job has mainly occupied large parts of work forms I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features of living facilities, the order of job characteristics is as follows. Importance of work, feedback, task identity, skill variety, autonomy. And autonomy is relatively lower than others. The order of organization features is as follows. Facility environment, colleague, salary. About living facility employees of the disabled, in subordinate factors, implied satisfaction index and extrinsic satisfaction are similar and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x, emotional commitment, normative commitment, maintenance commitment usually have a similar index. In main factors of influencing job attitude, it appeared as important factors by the order that importance of work, task identity, skill variety, feedback and in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by the order that colleague, facility environment. And it has been also defined that autonomies and salaries are not influenceable to job attitude. On the basis of this survey, somethings are necessary for improvement of job attitude in the living facility of the disabled. There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job which could definitely grasp personal duty is necessary for efficient distribution and administration of excessive business. Second, it's necessary affair conditions that living facility employees for the disabled could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Must be ready this. Third, time of seminars and service debates is needed for accomplishing natural communication between employees of liv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Living facility for the disabled is for the disabled, so errors which could generate must be to a minimum by grasping their mental, emotional, and bodily features. Forth, in the case of policy, in living facility we must prepare the legal foundation for guarantees of a person's status, improvements of working conditions involving low pay, low quality of working conditions, overworking and overtime. Like above, we need endeavors for improving job attitude of employees as access method of systematic management of organization system than individualized access method involving job adjustment, staff welfare, personal factors for improving job attitude of the facility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