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화장품 브랜드의 사회적 상징성, 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 몰입,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 경기대학교 한류문화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consumers value cosmetics brands in order to be attached to them, how they affect their attachment, commitment, and loyalty, and what correlation they actually have.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previous studies, and as a hypothesis, the symbolism and identification of the cosmetics brand would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and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commitment, and loyalty to the cosmetics brand. To this end, a total of 200 surveys were conducted for domestic resid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studie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internal consistency using the Kronbaha alpha coefficient to find out the reliability of the cosmetic brand social assumption, identification, attachment, immersion, and loyalty items. In addition,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validity between the cosmetic brand social symbolism, identification, attachment, immersion, and loyalty. Next, the validity of each observed variabl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variables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value to verify the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the research variabl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all the average variance extraction values of the discriminant validity were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a separate confidence interval (+,-) was created to confirm that there was no problem with the discriminant validity.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symbolism of the cosmetics brand acts as a sub-factor for consumers to form their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and the social symbolism of the cosmetics brand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dentification of consumers' cosmetics brands acts as a sub-factor in forming the attachment to cosmetics brands, and that the identification of cosmetics brand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attachment to cosmetics brands. Third, it was found that consumers' attachment to cosmetics brands had a positive (+) effect on cosmetics brand commit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immersion in the cosmetics brand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loyalty of the cosmetics brand. Fifth, it was found that consumers' attachment to the cosmetics brand did not affect the loyalty of the cosmetics brand. These research results have demonstrat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formation of loyal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smetics brands and consumers, and I think it will provide a positive strategy for building brand loyalty by understanding consumers' propensity for the brand through the revealed relationship. 이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에 애착을 갖기 위해 어떤 면에 가치를 두는지, 화장품 브랜드의 애착과 몰입 그리고 충성도에는 어떤 영향이 있고, 실질적으로 어떤 상관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가설로 화장품 브랜드의 상징성, 동일시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화장품 브랜드 애착, 몰입, 충성도에 정(+)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고, 화장품 브랜드 사회적 상징성, 동일시, 애착, 몰입, 충성도 문항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계수를 이용하여 내적 일관성 확인을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화장품 브랜드 사회적 상징성, 동일시, 애착, 몰입, 충성도 사이의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요인 및 신뢰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다음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각 관측 변인의 타당성 확인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변인들 간의 판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평균분산 추출 값을 측정하여 변인 간의 상관게수를 산출하였다. 다만, 판별 타당도 평균분산 추출 값이 모두 기준값보다 낮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여 별도의 신뢰구간(+,-)을 만들어 판별 타당도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브랜드의 사회적 상징성이 소비자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을 형성하는 하위 요인으로 작용하며, 화장품 브랜드의 사회적 상징성이 화장품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의 동일시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을 형성하는 하위 요인으로 작용하며, 화장품 브랜드 동일시가 화장품 브랜드 애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 애착이 화장품 브랜드 몰입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 몰입이 화장품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소비자의 화장품 브랜드 애착은 화장품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들을 통해 화장품 브랜드와 소비자의 관계에서 충성도를 형성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들이 입증되었으며, 밝혀진 관계를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성향을 잘 파악하여 브랜드 충성도 구축에 긍정적인 전략을 제공하리라 생각한다.

      • IGF1R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보인 자궁내 성장지연과 저신장을 가진 환자에 대한 임상상과 분자유전학적 특징

        강민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47

        Mutations in the IGF1R gene result i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nd postnatal growth fail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subjects with a mutation in the IGF1R gene and to evaluate the molecular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a novel IGF1R mutation. Three children with unexplained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birth weight < -1.5 SD score) and persistent short stature (< - 2.0 SD score) were included in the study. Auxological and endocrinological profiles were measured. All coding regions, including the intron-exon boundaries of the IGF1R gene, were amplified by PCR and directly sequenced. To study the functional effect of the IGF1R gene mutation on IGF-1 signaling, total IGF1R protein expression, and IGF-I-dependent Akt and ERK phosphory-lation were assessed by Western blotting. Two children and their father possessed a novel c.420del (p.A110fs*20) mutation in exon 2 of the IGF1R gene. After recombinant human GH therapy, the growth deficit decreased in these two children. Our data show that IGF-1-induced autophosphorylation of the phosphorylated tyrosine and phosphorylated Akt of IGF1R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but did less efficiently in patients.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of chromosome 15 identified a heterozygous deletion of 15q26.2 to 15qter in subject 3. The novel heterozygous mutation described in this study reduced IGF1R expression and represents haploinsufficiency of the IGF1R gen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mutation in the IGF1R gene leads to abnormalities in the function of IGF1R and also retards intrauterine and subsequent growth in humans.

      •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근육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합병증에 따른 영양상태 분석

        강민지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on skeletal muscle mass index, and the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with or without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March to October 2019 at hospitals specializing in colorectal-anal diseases in Daegu, Korea. Sixty-one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main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1. Among the study participants, the ratio of men was higher (78.7%), and the ratio of participants aged 19-39 was highest (67.2%). Regarding typ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crohn’s disease was 52.5% and the participants who were more than overweight were 41.0%. At the time of survey, there were more participants who were in remission state (59.0%), and the participants who had intestinal/extra-intestinal complications were 49.2%. Among intestinal complications, abscess was the most common, and extra-intestinal complications were in order of malnutrition, articular diseases, liver/biliary diseases, anemia and pulmonary embolism. 2.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participants with or without complic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and type of disease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y anthropometric results. Metabolic equivalents, which is a variable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with or without complications, but when categorized into low/middle/high level,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3. Regarding the participants’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uration of diagnosis and the ratio of participants using of biological agents. In the laboratory measurements, only the albumin was significant. 4. The participants’ frequency of breakfast, regular meals, overeating and eating ou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aversion food. 5. Mean servings per week of ramen and fruit juice were higher in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mean sevings per week of sunsik/powder made of mixed grains and vegetables (cabbage and on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rticipants without complications. Regarding intake of nutrie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itamin E, vitamin B6,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and all of them were lower in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A.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nd skeletal muscle mass index, it was shown that lean mass and hand grip strength (HGS) affected positively, and that female, presence of family history, and higher body mass index (BMI) affected negatively. In the main results,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had a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of diagnosis and lower serum albumin than participants without complications, which shows the necessity of individualizing the management of disease as the duration of diagnosis gets longer. Participants with complications had a higher intake frequency of ramen and fruit juice and lower intake frequency of vegetables. In the participants with the complications, intake of vitamin E, vitamin B6,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was also low, so it is also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icro nutrient intake. The presence of complication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keletal muscle mass index but there is a potential possibility of low skeletal muscle mass index due to other factors, so it is important for patients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to have continuous nutrition management.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근육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합병증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를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3월부터 10월까지 대구지역의 대장·항문전문병원에서 실시되었고 최종적으로 61명의 대상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 분포는 남성의 비율이 더 높았고(78.7%), 연령의 분포는 19-29세의 젊은 연령층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44.3%). 질환의 종류는 크론병이 52.5%로 나타났고 과체중 이상인 대상자는 41.0%로 조사되었다. 설문조사 시점에서 관해상태인 대상자의 비율이 더욱 높았으며(59.0%) 장내 및/또는 장외 합병증을 보유한 대상자는 49.2%로 조사되었다. 장내 합병증의 분포는 농양이 가장 많았고, 장외 합병증은 영양불량, 관절질환, 간/담관질환, 빈혈, 폐색전증 순으로 조사되었다. 2. 합병증에 따른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과 질환의 종류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신체 계측치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활동 관련 변수인 주당 대사당량의 수준은 합병증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낮음, 보통, 높음의 수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3. 합병증에 따른 대상자들의 질환 관련 특성에서는 질병 이환기간과 생물학적제제의 사용자 비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혈액성분 분석치에서는 알부민만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4. 합병증에 따른 연구대상자들의 아침식사, 규칙적인 식사, 과식 및 외식의 빈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식품 거부감에 있어서도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5. 합병증에 따른 식품(음식)의 주당 섭취빈도를 비교하였을 때, 라면과 과일주스의 주당 섭취빈도는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높았고, 선식/미숫가루/생식과 일부 채소류의 주당 섭취빈도는 합병증이 없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영양소 섭취량은 비타민 E, 비타민 B6,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6. 근육지수와 일반사항, 질환 관련 사항, 신체 계측 및 혈액성분 분석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악력은 긍정적인 영향을, 성별이 여성이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합병증이 있는 군은 합병증이 없는 군에 비해 질병 이환기간이 길고 혈중 알부민 농도가 낮은 반면 염증 관련 지표가 상승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환기간이 길어질수록 질병관리를 개별화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합병증이 있는 군은 라면과 과일주스의 섭취빈도가 높고 채소류의 섭취는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비타민 E, 비타민 B6,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의 섭취량이 저하되어 있어 미량영양소 섭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합병증의 존재는 근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기타요인들에 의해 근감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잠재적으로 존재하기에 염증성장질환 환자의 지속적인 영양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책읽기 흥미유발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책읽기 흥미유발과 배려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강 민 지 지도교수 : 김 현 정 유아교육전공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유아의 책 읽기 흥미 유발과 배려적 사고 향상을 위해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 유아의 책 읽기 흥미유발과 배려적 사고 이해와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책 읽기 흥미유발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가?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절차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소재한 W유치원에 재원 중인 2학급 만5세 유아 40명이다. 두 학급 중 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 두 반을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 처치는 7주간 총 10회에 걸쳐 이루어졌다. 검사 도구는 유아의 읽기 흥미를 검사하기 위해 Askov(1973)가 고안한 PPRAI(Primary Pupil Reading Attitude Inventory)를 임원신(1994)이 재구성한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배려적사고 도구 Lipman(200 3)이 제시한 배려적 사고 유형 및 특성을 이춘희(2007)가 구안한 교사용 유아의 배려적사고 관찰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검사를 실시한 후 집단 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실험 처치 후에는 사전점수와 사후점수에 검사결과를 집단 간 독립 t검증을 실시하여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책읽기 흥미유발이 향상되었다. 둘째,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의 유아들에 비하여 배려적 사고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책읽기 흥미유발과 배려적 사고를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육활동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질문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은 유아의 자발적인 동기부여로 책읽기의 흥미를 높이고 배려적 사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활동으로 활용해볼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근거이론에 의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연구

        강민지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s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professionalism of child therapists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development process of excellent child therapists. This study used peer-nomination and snowball sampling. Domestic child therapists were asked to nominate their perceived best child therapists. Twelve therapists were nominated, and five therapists among them who were most frequently nominated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ee to four sessions of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the interviews were analysed by a ground theory approach (Strauss & Corbin, 1990, 1998). The analyses yielded 117 concepts, 44 sub-categories, 18 categories through open coding. In the process of axial co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tegories were analysed by the paradigm of Strauss & Corbin(1990), the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child therapists were identified, and the development processes were suggested by the process analysis. In the selective coding, the central category was identified as 'being a center of life of providing therapy for children and becoming true child therapists', and the story line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hild therapists were suggested.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entral phenomen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fessionalism was an emersion to become true child therapists. This emersion phenomenon had several important characteristics, including that they liked and enjoyed child therapy itself, found a meaning and value of child therapy, challenged with passion, and developed their identities as child therapists. Secondly, the casual conditions resulting i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their motivations and processes of their selections of child therapy. Excellent child therapists had special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child therapy and were fascinated about becoming child therapists. In this process, their willingness to help others, interests in human lives, and experiences in childhood influenced on their selections of child therapy. Thirdly, the contextual conditions that contributed to their excellent professionalism were their initi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frontier roles in the field of child therapy. They played the role of frontiers as the first generation, and their professionalism was fostered in the process to overcome the initial difficulties. Fourth,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ir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showed certain behavioral responses, that i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y made efforts in learning and training, continued to develop their knowledges and skills, and eagerly provided therapies to learn from their clients. Also, they challenged themselves to deepen their professionalism for their rapid growth, developed themselves through continuous self reflections, and made efforts in maintaining their emotional health and self-management. Fifth, the intervening conditions that promoted or reduced these growth strategies were examin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personal life experiences, and coping with frustrati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characteristics oriented to self-development and change, attitudes toward life such as positiveness, faithfulness, and fulfillment, human affection toward children,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such as high functioning cognitive processing and contemplative but simple thinking. Personal life experiences included the influences of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and others before they became therapists, the growth and maturity according to ag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important objects such as their families, colleagues, assistants, and clients. Coping with frustration meant that they obtained certain strengths through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ir frustration rather than being overwhelmed by their frustration, that their frustration and burn-out in therapy declined their growths but in result promoted their individuation and maturity, and that they actively resolved their frustrating situations by their objective perception of the situation and self-reflection and accepted the results. Sixth, the development strategies to become a genuine child therapist led to the consequences of the development of excellent professionalism. Excellent professionalism was confirmed by the aspec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 In the aspects of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y dealt with the therapy processes and therapeutic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ir increasing knowledges and experiences, effectively functioned in utilizing their knowledges and skills about therapy and play, expanded their therapy areas while acknowledging the limits of their abilities, and were oriented toward individuation to develop their own therapy styles. In the aspects of personal development, they deepened their understandings of human beings and were balanced between their personal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Seventh, the process analysis showed the processes of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xcellent child therapists included 'selection and initiation', 'training and challenges', and 'individuation and integratio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become child therapists had not only some common characteristics but also individual characteristics due to their differences in their strategies and behaviors in the transitions of each process. Especially, the continuity of each participants existed in the process of individuation after the middle of the process of development. Eighth,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 therapists c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general therapists, but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hild therapy were reflected. Especi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clients of therapy were children, they showed differences in their specific therapeutic approaches, attitudes, and interventions. In addition, the important characteristic was that the role of therapists changed because the domestic clinical environment of child therapy actively utilized the help of parents. This study was noteworthy in that it examined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child therapy by empirical study. This study also attempted to explore the result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as well as various topics and influential factor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a integrative perspectiv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rapists in the field of child therapy. 본 연구는 탁월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적 특성과 발달과정을 탐색하여 아동상담자의 전문성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료추천-눈덩이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국내 아동상담자들에게 그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아동상담자를 추천하게 하였다. 총 12명의 아동상담자가 지명되었고, 이 중 가장 높은 빈도로 추천받은 최상위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3-4회에 걸친 개별 면담을 실시하고, 면담 자료를 근거이론 방법(Strauss & Corbin, 1990, 1998)에 따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117개의 개념, 44개의 하위범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과정에서는 Strauss와 Corbin(1990)의 패러다임을 통해 범주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탁월한 아동상담자의 특성과 전문성을 설명하였고, 과정 분석을 통해 아동상담자의 발달과정을 제시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아동상담이 삶의 중심이 되며 진정한 아동상담자가 되어감'으로 핵심범주를 명명하고,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대한 이야기 윤곽(story line)을 전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탁월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서 드러나는 중심 현상은 진정한 아동상담자가 되기 위한 몰입이었다. 이러한 몰입 현상은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아동상담 그 자체를 좋아하고 재미있게 느끼며,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면서, 열정을 가지고 도전하고, 아동상담자로서의 자기 자신을 찾아나간다는 것이다. 둘째, 중심 현상을 유발하는 인과적 조건으로는 아동상담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과정이었다. 탁월한 아동상담자들에게는 처음 아동상담을 접하고 아동상담자가 되는 것에 이끌리게 되는 특별한 기회가 있었다. 이 과정에서 타인을 돕고자 하는 마음, 인간의 삶에 대한 관심, 아동기 경험이 아동상담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주었다. 셋째, 탁월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기여한 맥락적 조건으로는 전문가로서의 초기 발달 특성과 아동상담 영역에서의 선구적 역할이 드러났다. 국내 아동상담의 1세대로서 개척자 역할을 하였고 초기의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전문성 발달이 촉진되었다. 넷째, 전문성 발달의 중심 현상은 특정한 행동 반응을 유발하는데, 전문적 성장을 위해 취해진 작용/상호작용 전략이다. 탁월한 아동상담자들은 배움과 수련에 정진하고 지속적으로 지식과 기술을 발전시켜나갔으며, 열정적으로 상담하면서 내담자로부터 배우고자 노력했다. 또한 전문성을 심화하는 비약적 성장을 위해 도전하기도 했고, 끊임없는 자기성찰을 통해 자기 발전을 이끌었으며, 정서적 건강을 유지하고 자기 관리 하는데 힘을 쏟았다. 다섯째, 이러한 성장 전략을 촉진하거나 경감시키는 중재적 조건들은, 개인내적 특성, 개인적 삶의 경험, 좌절과 대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개인내적 특성으로는 자기 성장과 변화를 지향하는 특성, 긍정적, 성실함, 투철함과 같은 인생을 살아가는 태도, 아동을 향한 인간애, 고기능의 인지 처리와 숙고하면서도 단순하게 사고하는 인지적 특성이 있었다. 개인적 삶의 경험으로는 상담자가 되기 이전의 부모와 대인관계 경험의 영향, 연령에 따른 변화와 성숙, 가족&#8228;동료&#8228;조력자&#8228;내담자와 같은 중요한 대상과의 관계가 있었다. 좌절과 대처에서는 좌절에 압도되기보다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내적인 힘을 키워냈다는 점, 상담 장면에서의 좌절감이나 상담자의 소진이 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도 되었지만 결과적으로 개별화와 성숙을 촉진시켰다는 점, 좌절 상황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자기를 돌아보며 적극 해결한 후 결과를 수용하는 태도가 특징적이었다. 여섯째, 진정한 아동상담자가 되기 위한 성장 전략들은 전문성의 발달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탁월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은 전문적 발달의 측면에서뿐 아니라 인간적 발달의 측면에서도 확인되었다. 전문적 발달의 측면에서는, 지식과 경험의 축적에 따라 상담 과정과 치료관계를 다루고 상담의 지식과 기술 및 놀이를 활용하는데 효과적으로 기능하며, 상담의 영역이 확장되면서도 자신의 능력 범위를 인식하고, 자기만의 상담 방식을 형성해가는 개별화로 향하고 있었다. 인간적 발달의 측면에서는 인간 이해가 심화되고, 인간적 발달과 전문적 발달이 균형을 이루어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과정분석을 통해 탁월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을 '선택과 시작', '숙련과 도전', '개별화와 통합'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이 아동상담자로서 발달해온 과정을 살펴보면 공통적 특성들을 지니기도 하지만, 각 과정의 전환에서 취한 전략과 행동의 차이로 인해 개별적 특성도 드러났는데, 특히 발달과정의 중간 이후 개별화 과정으로 이행하는데 참여자 각각의 지향성이 존재했다. 여덟째,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은 보편적인 상담자 발달의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으나 아동상담이라는 특수성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특히 상담의 대상이 아동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구체적인 상담의 접근이나 상담자의 태도 및 개입에서 차이가 드러났고, 국내 아동상담의 임상적 환경이 부모의 조력을 상담에 적극 활용하기 때문에 상담자의 역할이 달라진다는 점이 주요한 특징이었다. 본 연구는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을 경험적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전문성 발달의 결과뿐 아니라 발달과정상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주제와 영향 요인을 탐색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에 관한 연구는 아동상담 영역에서의 상담자 교육과 훈련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나노 구조체가 함유된 Bi-Sb-Te계 복합체의 열전특성에 관한 연구

        강민지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report the thermoelectric properties of p-type Bi0.44Sb1.56Te3 (BST) by incorporating nanostructures (2D MoS2 and Ag nanoparticle). The hybrid powders were prepared by mixing the nanostructures with melt-spun BST powder, and they were consolidated into the bulk composites (BST-x wt% MoS2 composites(x = 0, 0.1, 0.25, 0.5, 1), BST-x wt% Ag composites (x = 0, 0.025, 0.05, 0.075, 0.1, 0.2)) by a spark plasma sintering process (480°C, 60 MPa, 3 min). The incorporated nanostructures were uniformly dispersed at grain boundaries of the BST matrix. First, in the case of the BST-MoS2 composites, the incorporation of MoS2 decreased the hole concentration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the Seebeck coefficient and the power factor. In addition, MoS2 incorporation in the BST matrix decrease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leading to decreasing electronic thermal conductivity. The highest dimensionless figure of merit (ZT) at room-temperature of 1.14 was obtained in the BST-0.1 wt% MoS2 composite. Second, in the case of the BST-Ag composites, the hole concentration of the composites increased with increasing Ag content, resulting in suppressing bipolar conduction behavior and optimizing power factor. Furthermore, phonon could be effectively scatter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g related secondary phase and BST matrix, leading to decreasing lattice thermal conductivity in the composites. Consequently, a dimensionless thermoelectric figure of merit ZT of the composites was significantly enhanced due to simultaneous control of charge and phonon conductions by incorporating Ag nanoparticles, a maximum ZT of 1.34 was obtained from the BST-0.025 wt% Ag composite at 400 K. Moreover, the temperature of maximum ZT was shifted up to the higher temperature ran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ST composites of incorporated nanostructures are very promising for thermoelectric power generation.

      •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헤어미용교육이 직업기초능력 습득에 미치는 영향

        강민지 동덕여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헤어미용교육이 직업기초능력 습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NCS 헤어미용교육이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만족도와 활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NCS 헤어미용교육의 세부 항목이 NCS활용성과 NCS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는 SPSS window for 21.0 프로그램으로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신뢰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Cronbach’s 의 값을 구했다. 둘째, 측정변수인 NCS만족도와 , NCS활용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등을 파악할 목적으로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 등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현장실습 만족도와 NCS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현장실습도가 NCS만족도와 활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만족도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일원분산분석 결과, 성별에는 여성(M=3.22)이 남성(M=3.1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20대(M=3.72), 10대(M=3.36), 30대(M=3.11), 40대(M=2.98), 50대(M=2.88)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지역에서는 수도권(M=3.32), 서울(M=3.25), 기타(M=3.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 운영형태는 프랜차이즈(M=3.01), 개인(M=2.76)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기관 직원 수에는 5명 이상(M=3.42), 10-15(M=3.33), 15명 이상(M=2.98), 5명 미만(M=2.92)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 기간에서는 2달 미만(M=3.24), 1달 미만(M=3.16), 2달 이상(M=2.96)의 순으로 나타났다. NCS교육기간에서는 12개월-18개월 미만(M=3.84), 6개월-12개월 미만(M=3.81), 24개월 이상(M=3.16), 18개월-24개월 미만(M=3.02)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 활용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한 일원분산분석 결과에서는 성별에는 여성(M=3.01)이 남성(M=2.9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30대(M=3.04), 20대(M=2.99), 10대(M=2.76), 40대(M=2.72), 50대(M=2.61)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지역에서는 기타(M=3.01), 수도권(M=2.81), 서울(M=2.71)의 순으로 나타났다. 실습기관 운영형태는 프랜차이즈(M=2.99), 개인(M=2.86)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기관 직원 수에는 15명 이상(M=2.96), 5명 미만(M=2.82), 5명 이상(M=2.46), 10-15명(M=2.42)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장실습 기간에서는 2달 이상(M=2.92), 2달 미만(M=2.79), 1달 미만(M=2.56)의 순으로 나타났다. NCS교육기간에서는 12개월-18개월 미만(M=3.12), 6개월-12개월 미만(M=2.94), 18개월-24개월 미만(M=2.88), 24개월 이상(M=2.73)의 순으로 나타났다. NCS 헤어과목에 따른 만족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와 인구통계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 .429, t값이 9.2666, p=.000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장실습 교과목들에 대한 만족도는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NCS 헤어과목에 따른 NCS활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와 인구통계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316, t값이 6.508, p=.000으로 나타나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현장실습 교과목들은 활용성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현재의 NCS 헤어미용교육의 프로그램이 매우 유용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헤어미용은 유행에 민감하고 인간은 항상 변화를 추구하고 새로운 것을 좋아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적어도 NCS헤어미용교육 프로그램은 소비자의 욕구에 충족할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은 항상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hairdressing education. For this we addressed two main questions: first, NCS hairdressing differ in satisfaction and usability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does the NCS hairdressing education affect NCS utilization and NCS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 for window 21.0 program, and the analysis method was first, a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and the value of Cronbach's was obtained. Second, factors were analyzed for NCS satisfaction and NCS usability. Third, a one-way analysis was conducted,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o identif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Fourth,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on-site practice and NCS satisfaction. Fifth,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the impact of on-site practice on NCS satisfaction and usability. One-way variance analysis conducted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atisfaction with demographic variable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women (M=3.22) are higher than men (M=3.13); In the age group, 20s (M=3.72) > 10s (M=3.36) > 30s (M=3.11) > 40s (M=2.98) > 50s (M=2.88); Seoul (M=3.32) > Seoul (M=3.25) > other areas (M=3.22) in the field practice area. The types of institution were found to be followed by franchises (M=3.01) and individuals (M=2.76). The number of employees at the on-site laboratory was five or more (M=3.42), 10-15 (M=3.33), 15 or more (M=2.98), and less than five (M=2.92). During the on-site exercise period, the results were less than 2 months (M=3.24), less than 1 month (M=3.16), and more than 2 months (M=2.96). The NCS education period was followed by 12 months to 18 months (M=3.84), 6 months to 12 months (M=3.81), 24 months or more (M=3.16), and 18 months to 24 months (M=3.02). A one-way ANOVA conducted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sability with demographic variables found that women (M=3.01) are higher than men (M=2.96). In terms of age group, it decreased in following order: 30s (M=3.04) > 20s (M=2.99) > teenagers (M=2.76) > 40s (M=2.72) > 50s (M=2.61), respectively. In the field practice area, other areas (M=3.01) was the highest and Seoul metropolitan area (M=2.81), and Seoul (M=2.71). The types of institution were found to be followed by franchises (M=2.99) and individuals (M=2.86). The number of employees at the institution was 15 or more (M=2.96), less than 5 (M=2.82), more than 5 (M=2.46), and 10-15 (M=2.42); for the training period, and it was shown that two months or more (M=2.92), two months less (M=2.79), and one month less (M=2.56) were seen. The NCS education period showed that 12 months to 18 months (M=3.12), 6 months to 12 months (M=2.94), 18 months to 24 months (M=2.88), and 24 months or more (M=2.73).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LR) conducted to verify satisfaction with NCS hair subjects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has shown statistical significance (β=.429, t values 9.27, p=.000). In other words, satisfaction with the fieldwork subjects can be assessed to be high. Another results of MLR analyses conducted to verify NCS utilization according to NCS hair subjects, after controlling demographic variables,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 (β=.316, t=6.508, p= .000). In other words, field practice subjects can be assessed to be highly available. We conclude that the NCS program is a very useful program for current NCS hairdressing education.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education programs can always be changed, at least to satisfy consumers' needs, considering that hair-dressing is sensitive to trends and that humans always seek change and like new things.

      • 17세기 네덜란드 연합공화국 신흥 지배계급의 예술적 취향 : 블라외 가문(Blaeu Family, c. 1571-1703)의 지도책 <아틀라스 마이오르> 연구

        강민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examines the Atlas Maior produced in the 17th century by the Blaeu family, the most well-known and reputable family in the Dutch Republic of the time. In comparison to previous studies that have approached the Atlas Maior simply as an introductory aspect, this dissertation asserts that the Atlas Maior embodied the ideal self-image of the newly ruling clas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7th century. I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reation of the Atlas Maior in a broader social flow, analysing the atlas as a visual representation that strategically and effectively expressed the socio-political authority and status of these new ruling classes. Additionally, as the Atlas Maior was a ready-made product, I focus my analysis on the artistic taste of the emerging elite bourgeois class contained in this atlas, as well as the artistic trend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600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is. The 17th century Dutch, who were remarkably accomplished academics, developed an interest for geography due to their successful maritime trade. Hereby, the Dutch Republic became a centre of cartography, while astronomy also emerged as a national concern in terms of geocentric theory and longitude. Meanwhile, at a time when status was considered to be a direct reflection of amassed wealth, the material abundance of the newly elite ruling class, with its penchant for luxury, evolved into culture of collection, and it was fashionable to possess a collection space. The academic atmosphere brought about advances in the technology of printing and books, and so these collections soon developed into private libraries. Atlases, which were often a part of a library collection, were not only symbols of extravagance and wealth but were also collected to reveal their owner’s familiarity with contemporary intellectual fashions such as geography and astronomy; and the atlas displayed at the centre of such libraries was the costliest atlas of its day, the Atlas Maior. The atlas industry in the 17th century in the Dutch Republic was at the height of its commercial prowess with the Blaeu family. With the scientific and business talents of Willem Blaeu and Joan Blaeu's ability to wield political power, the family's rise to the throne of the atlas industry was the result of both cleverness and the desire to win. The Blaeu family, like the Hondius with whom they had a bitter rivalry, focused on elegance and grandeur to project the ideals of the emerging upper elite class onto their maps, which ultimately led to the creation of the Atlas Maior. The Blaeu family's passion for high profits rather than scientific innovation and geographic accuracy, coupled with the identity and hierarchical desire of the newly ruling class to dominate the material world, made the atlas the most suitable medium to silently guarantee their class pride and ideal self-image. In the atlas, red, blue and yellow can be seen clearly. It is understood that these three colours were popular in the 17th century Dutch Republic, given that they were the main colours used in the costumes depicted in the genre paintings of the time. This cultural preference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a colour-symbolism developed through visual media by the artists of the period, and the atlas seems to have enhanced this symbolic meaning by painting the same colours onto various iconographies. Pigments of these colours, presumed to have been vermilion, azurite and lead-tin yellow, are also found in the works of prominent Dutch painters and in previous maps of the Blaeu family, which were traded at considerably high prices. The atlas is believed to have used the best paper available in Europe at the time, a white-coloured paper manufactured in France from linen. Contemporaries were fascinated by the white colour of the French linen paper, which was considered to be of an even finer quality, in terms of raw materials, than the Japanese paper, along side which it was one of the two most prominent papers in Europe in the 1600s. The iconography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world map in the Atlas Maior takes the form of an allegory. The upper part of the painting depicts the theory of heliocentrism, which was one of the key issues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at the time, while the lower part portrays the four seasons, unlike other contemporary maps produced in the Dutch Republic. In particular, maps of England and the Dutch Republic were depicted a great deal of coats of arms to symbolise regions and ruling classes. The Atlas Maior, with the labour of the Dutch craftsmen reputed for producing high-quality bindings employing tremendous quantities of decorative gold, reigned as Europe's greatest atlas. The Blaeu family’s Atlas Maior reflects the artistic taste of the elite class of 17th century Europe and served as a visual device to display its socio-cultural ideals as well as the culture’s dominant values. This dissertation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the Atlas Maior, which has tended towards a rather superficial approach to the subject, by examining the contemporary circumstances which contributed to the atlas’s creation. I have set out to demonstrate how the Atlas Maior can be understood as a work of art that represents the Dutch Republic of the 1600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is that it approaches the Atlas Maior, which has until now received insufficient attention from art historians, as a reflection of the dominant artistic tastes of the emerging upper elite class of the Dutch Republic in the 17th century as expressed through their consumption of contemporary art. 본 논문은 17세기 네덜란드 연합공화국 지도책 제작의 명가 블라외 가문(Blaeu Family)의 지도책 <아틀라스 마이오르 Atlas Maior>(1662-1672)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연구들 대다수가 <아틀라스 마이오르>를 단순히 개론적인 측면으로 접근했던 것에 반해, 본고는 이 지도책이 17세기 네덜란드 신흥 지배계급의 이상적 자아상을 체현하는 동시에 그들의 사회, 정치적 권위와 위상을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표상하기 위한 시각적 기제로 작용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보다 광범위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아틀라스 마이오르>가 제작된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레디메이드 형식의 상품이었기 때문에, 이 지도책에 내포된 당대 신흥 엘리트 부르주아 계급의 예술적 취향과 더불어 이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 1600년대 네덜란드의 예술적 시류를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다양한 방면에서 괄목할만한 학문적 성취를 이룩한 17세기 네덜란드인들의 관심은 성공적인 해상무역으로 인해 지리학으로 이어지게 되어 네덜란드는 지도 제작의 구심점이 되는 동시에 천문학 또한 지동설 논쟁과 경도 문제로 국가적 차원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한편 부의 크기가 신분의 위계를 정하던 당대의 풍조에 의해 사치품에 경도되었던 신흥 엘리트 부르주아 계급의 물질적 풍요로움은 수집 문화로 귀결되며, 수집 공간을 갖는 것이 유행했다. 학문적 분위기는 인쇄, 서적 발전을 이끌게 되면서 이들의 수집에까지 영향을 미쳤고, 이는 개인 도서관으로 발전했다. 도서 수집가들은 극도로 화려하고 사치스러우면서도 당대의 화두였던 지리학과 천문학이 농축된 지도책을 그들의 넉넉한 부와 탁월한 지성을 과시하기 위한 과시품으로서 자신들의 도서관에 포함시켰다. 이들 도서관의 중심부에 전시되었던 지도책은 당대의 지도책들 중 가장 고가였던 <아틀라스 마이오르>였다. 17세기 네덜란드의 지도책 산업은 블라외 가문에 의해 상업적 양상의 절정을 이루었다. 과학적, 사업가적 재능을 보유한 빌렘 얀슨 블라외(Willem Janszoon Blaeu, c. 1571-1638)를 이어 정치력과 승부욕, 명민함을 지닌 요안 블라외(Joan Blaeu, 1596-1673)의 역량은 이 가문이 지도책 산업의 왕좌를 차지하게 된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첨예한 대립구도를 전개해 나간 혼디우스 가문(Hondius Family)과 블라외 가문은 신흥 상류 엘리트 계급의 이상을 지도책에 투영하고자 세련된 느낌과 기품, 웅대함의 구현에 집중했고, 이로써 지도책 역사의 정점을 이룬 역작 <아틀라스 마이오르>가 창조될 수 있었다. 과학적 혁신과 지리적 정확성 보다는 고수익을 추구한 블라외 가문의 열정은 물질세계를 지배하고자 하는 신흥 지배계급의 정체성, 계층적 욕망과 맞물려, 이 지도책은 그들만의 계급적 자긍심과 이상적 자아상을 보증하는 무언의 증언자로 작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매개체가 되었다. 이 지도책에서는 빨간색, 파란색, 노란색의 주조색을 목도할 수 있다. 당대 풍속화 속 인물의 의상들도 이 색상들이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보아 이 세 가지의 색상들이 당시 네덜란드에서 유행했던 색으로 추측된다. 이는 당대 예술가들이 제안해 시각매체들에 사용된 색상 상징주의의 결과물로 여겨지며, 이 지도책에는 다양한 도상들에 이 색상들이 채색됨으로써 상징적 의미가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버밀리안, 아줘라이트, 레틴 옐로우였을 것으로 짐작되는 이 색상들의 안료는 당시 저명한 화가들의 작품들과 블라외 가문의 이전 지도들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들 안료는 상당한 고가에 거래되었다. 한편 이 지도책은 당시 유럽 최고의 종이였던 프랑스산 화이트컬러 페이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얀빛을 띠는 프랑스산 종이의 특징은 당대인들을 매혹했고, 린넨으로 제작된 이 종이는 프랑스산과 양대산맥을 이뤘던 일본산 종이보다 원재료면에서 더 고급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이다. <아틀라스 마이오르> 속 <세계지도> 상, 하단부의 도상들은 알레고리의 형식을 띤다. 상단부에는 당시 과학혁명의 쟁점이었던 지동설과 천동설을 묘사한 도상이, 하단부에는 사계절을 표현한 도상이 새겨지며 다른 지도책들과 차별성을 보였다. 특히 네덜란드와 영국을 다룬 지도 부분에는 수많은 문장(Coat of Arms)이 묘사되었는데, 이 문장들은 해당 지역과 지배계급을 상징한다. 더구나 장정에 있어서도 당대 네덜란드 최고의 장정가가 참여하고 다량의 금박 장식이 사용되는 등 <아틀라스 마이오르>는 네덜란드를 넘어 유럽 최고의 지도책으로 군림했다. 이처럼 17세기 유럽 상류 엘리트 계층의 예술적 취향을 고스란히 투영한 블라외 가문의 <아틀라스 마이오르>는 그들의 사회문화적 이상과 지배적 가치를 체현한 시각적 장치로 기능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피상적인 논의에 머물러있던 <아틀라스 마이오르>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 지도책이 탄생될 수밖에 없었던 당대의 시대 상황을 고찰하는 동시에 이 지도책에 내재된 예술적 특수성을 분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아틀라스 마이오르>가 1600년대 네덜란드를 대표할 수 있는 예술품임을 조명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그간 미술사학계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던 <아틀라스 마이오르>를 당대 예술품 소비자들의 예술적 취향의 관점으로 분석하여 17세기 네덜란드 신흥 상류 엘리트 계급 사이에서 주류를 이루었던 예술적 취향을 고찰하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다.

      •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취업 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강민지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young adults’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before and after graduating from university on depression. In this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mutual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mindfulness to understand their influence. In order to conduct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university students and graduat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stress. Second, it was found that employment stress of young adult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indfulness. Third, it was found that mindfulness of young adult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ment str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young adults.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mindful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young adults. Seventh,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no double mediating effects of employment stress and mindfu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young adults. Therefore, it was verified that employment stress and mindfuln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aused by lack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young ad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 data to help young adults in the future employment guidance and counseling. 본 연구는 대학 졸업 전후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한 경우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과정에서 취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매개효과와 상호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그 영향력을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대학생 및 졸업생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취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들의 취업스트레스가 마음챙김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년들의 마음챙김이 우울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의 이중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청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에 따른 우울의 관계에서 취업스트레스와 마음챙김이 각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대학생들의 취업지도 및 상담에 도움을 주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