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소 애착이론을 적용한 자아강화 예술심리치료캠프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강민수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장소 애착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두고 학교와 가정, 사회에서 심리적,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이 치유 과정을 통해 스스로 극복할 수 있는 힘을 키울 수 있는 자아강화 예술심리치료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장소 애착이론을 적용한 자아강화 프로그램은 목표 수립, 프로그램의 구성, 예비 연구 및 프로그램 수정, 프로그램의 완성 등 4단계의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만들었다. 프로그램 효과 검증 단계는 본 연구 개발 프로그램인 예술심리치료캠프 프로그램 <웰컴 투 마이텐트>를 1박 2일 일정으로 C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18명에게 5회기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요구를 잘 반영하는 프로그램인지를 평가하였다. 위와 같은 절차를 거쳐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장소 애착에 바탕을 둔 자아강화를 위한 예술심리치료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개발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에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고, 운영 평가, 과정 평가, 성과 평가를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예비 연구 효과 검증 결과, 운영 평가에서 캠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캠프 운영이 잘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구성에서도 아동들의 요구도를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정 평가에서는 프로그램 참여자의 효과 인식 분석 결과 개인의 내적 역량을 강화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 진행자 과정 평가에서는 질적인 측면에서 우수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끝으로 성과 평가에서는 자아 개념에 해당하는 자존감과 감정 상태를 측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본 프로그램은 자아를 강화하는 데 유용하게 개발되었다. 이는 공간이라는 주제로 장소 애착을 심어주는 활동으로 구성된 자아강화 예술심리치료캠프 프로그램이다. 본 프로그램은 치료적이면서도 교육적인 프로그램들이 만날 수 있는 캠프의 강점과 ‘텐트 만들기’라는 공간을 만드는 창작 작업을 장소 애착과 연결시킨 것이다. ‘텐트 만들기’는 텐트라는 시각적 이미지를 ‘나만의 공간’으로 상징화하고 이곳에 장소 애착을 형성하게 돕는 예술심리치료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형성된 장소 애착은 아동들에게 안정감, 만족감, 성취감, 통제감 등을 주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형성하도록 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이후의 삶 속에서 ‘회복’에 기여하며 심리적 안식처의 역할을 할 것이다. Based on the place attachment theory, this study developed an ego-strengthening arts psychotherapy camp program that enables children experiencing difficulties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at school, home and society to overcome by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healing. For the foregoing, place attachment theory-applied ego-strengthening program created a development model of a four-staged program composed of objective establishment, composition of program, preliminary research and correction of program and completion of program. As for program effect verification stage, this study conducted arts psychotherapy camp program <Welcome to my tent> developed in this study for 5 times targeting 18 children using C Community Child Center with an overnight schedule, and evaluated whether or not the program is the one that reflects participants’ demand in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the program. After going through the above procedure, this study arrived at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is study developed a place attachment-based arts psychotherapy camp program for ego-strengthening. This study carried out a preliminary research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is program and developed a final program by correcting·supplementing as well as securing validity through evaluation of operation, process and outcome. Second, as a result of the effectiveness verification of preliminary research, this study found that the camp was operated well as overall satisfaction of the camp turned out to be high in the evaluation of operation, and well reflected children’s demands in program composition. As for evaluation of process, results of analysis on participants’ recognition of effectiveness, participants recognize that the program strengthens individuals’ internal capability, and in the evaluation by the program moderator, the program was evaluated to be excellent in quality. Lastly, in the evaluation of outcome, meaningful differences came out as a result of measuring self-respect and emotional state which are applicable to the concept of ego. In other words,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be useful for strengthening ego. This is an ego-strengthening arts psychotherapy camp program composed of activities incubating place attachment based on the space. The program is the one that connects the strength of a camp where therapeutical and educational programs can meet and creative work of making a space named ‘making a tent’ with place attachment. ‘Making a tent’ is the work of an arts psychotherapy that symbolizes a visual image of tent to the ‘space of one’s own’ and helps to form place attachment therein. Place attachment formed through the work enables children to form a positive concept of ego by providing them with senses of stability, satisfaction, achievement and control, and taking a step forward, will play a role as a psychologically resting place as well as contributing to the ‘recovery’ in their later life.

      •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전이풍토의 조절효과 : D사 원자력사업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강민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on learning transfer among office workers in the nuclear power division of Company D, and to verify whether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transfer. For this stud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does informal learning activity affect learning transfer? Second, does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regul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transfer? For this study, 234 copi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office workers in Company D's nuclear power business, and a total of 214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nd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learning with others, self-reflection, and external search, learning with others and external search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transfer.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transfer,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showed some moderating effects. Among the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it was demonstrated that superior support in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with others and learning transfer. In addition, peer support and transfer opportunities in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statically regu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search and learning transfer among the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earning with others and external search, which are sub-factors of informal learning 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uperior support in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with others, and peer support and transfer opportunities in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control external exploration and learning transfer. It was shown that informal learning activity affects learning transfer, and the learning transfer climate of superior support, peer support, and transfer opportunity can reinforc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learning activity and learning transf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the nuclear industry, where opportunities for formal learning are limited, in particular, the nuclear business of Company D is important to informal learning activity. The need to establish a learning transfer climate was suggested as a suggestion. 국 문 요 약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전이풍토의 조절효과: D사 원자력사업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D사 원자력사업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형식 학습 활동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학습전이풍토가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두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무형식 학습 활동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습전이풍토는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D사 원자력사업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234부를 수집하였으며, 이중 총 214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식 학습 활동의 하부요인인 타인과의 학습, 자아성찰, 외부탐색 중 타인과의 학습과 외부탐색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무형식 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학습전이풍토는 일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무형식 학습 활동 중 타인과의 학습은 학습전이풍토의 상사지원에 따라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가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전이풍토의 동료지원과 전이기회는 무형식 학습 방법 중 외부탐색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무형식 학습 활동 중 타인과의 학습, 외부탐색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전이풍토의 상사지원은 타인과의 학습과 학습전이의 관계를 조절하고, 학습전이풍토의 동료지원과 전이기회는 외부탐색과 학습전이의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형식 학습 활동은 학습전이에 영향을 미치며, 상사지원, 동료지원, 전이기회의 학습전이풍토는 무형식 학습 활동과 학습전이의 정적 관계를 강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형식 학습 활동의 기회가 제한적인 원자력업계 특히, D사의 원자력사업부는 무형식 학습 활동이 중요하며 타인과의 학습, 외부탐색의 무형식 학습 활동을 통한 학습전이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상사의 지원, 동료의 지원, 전이기회 제공 등의 학습전이풍토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운동 중재 방법이 뇌성마비아의 횡격막 움직임과 호흡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민수 용인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compared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between normal children an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CP), using ultrasonography M-mode. And also, relation between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and respiratory function was studi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method, on diaphragm excursion range and respiration function of CP child. From May 15th, 2014 to August 31th, we compared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and respiratory function of 25 normal and CP children. 25 CP children was divided into intensive exercise group(n=9), blowing exercise group(n=10) and average exercise group(n=8) and exercise intervention was performed for 12 weeks, from June 1st to August 31st, 2014. For the intensive group, 2 hours of physical therapy and 1 hour of occupational therapy was performed daily, for 5 days, every week. 30 minutes of physical therapy, 30 minute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30 minutes of blowing exercise was performed daily for the blowing exercise group, for 3 days, every week. In average exercise group, daily 30 minutes of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was performed, 3 times in each week. Significant difference in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P group, normal function of diaphragm was observed in 9 subjects. 11 had functional insufficiency and 5 had absence of function in diaphragm. Diaphragm of the normal group showed normal function in 16 subjects, functional insufficiency in 7 and no movement in 2. And results showed that excursion range of the diaphragm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espiratory function. Significant change in diaphragm's excursion range and respiratory function was observed within each exercise group after applying exercise intervention. Significant change between the groups, was observed between the intensive group and the blowing group, and between the intensive and the average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blowing exercise group and the average exercise group. The peak expiratory flow, the forced expiratory volume within 1 second,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aximal expiratory pressure and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were most improved in the intensive exercise group(p<.05). In this stud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and respiratory function between normal children and the CP group was observed.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excursion range of diaphragm is related to the respiratory function and that the intensive exercise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method to improve diaphragm movement and respiratory function in CP children. 본 연구는 초음파 M-mode를 이용하여 뇌성마비 아동과 정상 아동의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Excursion) 비교와 뇌성마비 아동의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와 호흡 기능과의 관계를 알아보았고. 운동 중재 방법이 뇌성마비 아동의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와 호흡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4년 5월 15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뇌성마비아동과 정상아동 25명을 대상으로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와 호흡기능을 비교하였고 2014년 5월 15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뇌성마비아동 25명을 대상으로 집중 운동군 9명, 불기운동군 10명, 일반 운동군 8명으로 나누어 총 12주간, 집중 운동군 주 5회, 1일 물리치료 2시간, 작업치료 1시간, 불기 운동군 주 3회, 1일 물리치료 30분, 작업치료 30분, 불기 운동 30분, 일반 운동군 주 3회, 1일 물리치료 30분, 작업치료 30분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뇌성마비아동과 정상아동의 비교에서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는 차이가 있었고 뇌성마비아동의 정상 횡격막은 9명, 횡격막 기능부전은 11명, 횡격막 마비는 5명으로 나타났고 정상아동의 정상 횡격막은 16명, 횡격막 기능부전 7명, 횡격막 마비는 2명으로 나타 났으며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와 호흡 기능과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중재 적용 후 뇌성마비아동의 횡격막 움직임 크기와 호흡기능의 변화는 군 내 전,후의 차이에서는 집중운동군, 불기운동군, 일반운동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룹간의 차이에서는 집중운동군과 불기운동군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집중 운동과 일반 운동군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불기운동군과 일반 운동군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최대호기속도(PEF),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 흡기압(MIP), 호기압(MEP),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Excursion)는 집중 운동군에서 가장 많은 증가를 보였다(p<0.05). 본 연구를 통해 뇌성마비아동의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와 호흡 기능은 정상 아동과 비교 하였을 때 많은 차이를 보였고 횡격막 움직임의 크기는 호흡 기능과 연관성이 있으며 뇌성마비아동의 횡격막 움직임과 호흡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집중 운동이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홍삼가공품 중 잔류농약 동시분석법 개발

        강민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통식품인 홍삼가공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많아지고 안전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홍삼가공품에 잔류하는 농약에 대한 안전성의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가 차원에서 홍삼가공품에 잔류하는 농약을 분석할 수 있는 고감도의 동시분석법이 고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가지 홍삼가공품(홍삼차, 홍삼농축액, 홍삼추출액, 홍삼환, 홍삼고 및 홍삼정)을 이용하여 63종 농약에 대해 안전성을 관리하기 위한 동시분석법을 개발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다종농약 동시분석법인 MFDS법과 미국과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는 동시분석법인 QuEChERS법을 이용하여 홍삼가공품의 잔류농약을 분석할 가능성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MFDS법의 경우 시험농약에 대해 회수율 시험을 실시 한 결과 단 6종만이 70 ∼ 120%의 회수율을 만족하였고 나머지 농약은 분석할 수 없었다. 그리고 분석시간이 길어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QuEChERS법의 경우도 회수율이 낮으며 높은 ME를 나타내어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소량의 시료(3 g)를 사용하고 추출용매인 acetonitrile의 양을 조절하여 희석효과를 주어 ME를 줄이고 정제과정에서 50 mg의 PSA 및 150 mg magnesium sulfate를 사용함으로써 정제효율을 높여 주었으며, 최종적으로 LC-MS/MS와 GC-MS를 사용하여 감도 높은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분석법을 이용하여 각 시료에 대한 회수율 시험을 2수준 6반복 실시한 결과, 다성분 분석법의 회수율 기준인 70 ∼120%를 만족하는 농약의 수는 홍삼차에서 60종, 홍삼농축액에서56종, 홍삼추출액은 57종, 홍삼환은 59종, 홍삼고는 54종, 홍삼정에서는 56종의 농약이 회수율 범위를 만족하였다. 또한, ME를 적게 받는 기준인 50 ∼ 150%의 ME값을 만족하는 농약의 수는 최대 57종으로 나타나 ME에 대한 개선도 나타난 분석법으로 홍삼가공품에 대한 잔류농약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법으로 적합하였다. 따라서 본연구에서 개발된 분석법은 홍삼가공품에 대한 잔류농약의 안전성을 관리할 수 있는 다성분 동시분석법으로 적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 金海地域 老人大學의 利用滿足度에 關한 硏究

        강민수 仁濟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사회는 산업화, 도시화로 대변되는 현대화 과정에서 파생된 가족구조의 변화와 가치관 몇 생활양식의 변화로 다양한 유형의 노인과 관련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의해 노인들이 겪어야 하는 심리적 불안 및 경제적 고통 등 제반 문제들을 이해하고 이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해주는 노인교육과 노년기 여가활동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여가의 개념 및 필요성, 유형 및 실태, 평생교육의 필요성, 목표 및 특성 그리고 관련이론을 살펴보았다. 또한 노인대학의 개념 및 필요성과 김해지역 노인대학의 운영실태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노인대학이 노인들의 삶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조사대상 노인들은 생활비와 용돈을 자녀들에게 의존하고 있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대학에 나오게 된 동기로는 대다수의 노인들이 자신의 발전을 위해서라고 응답했고, 참석 이유로는 지식 및 교양습득 그리고 건강증진을 위해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현재 참여하고 있는 노인대학 프로그램의 교육방법, 교육환경, 교육내용에 대한 이용만족도를 조사 대상자의 성별, 결혼상태, 직업유무, 교육정도에 따라 알아본 결과 대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대학 프로그램이 노인들에게 상당히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또한 노인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연구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활성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는 상태라고 판단된다. 노인은 우리 사회에서 존중의 대상인 동시에 새로운 자원이다. 수년내에 전체 인구의 10% 이상을 차지할 노인 인구의 인권과 행복추구권의 확보차원에서 노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평생교육과 여가프로그램이 개발 및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In today's society there are many types of problems regarding the elderly population due to the changes to the family structure, senses of value, and lifestyles derived from the industrialization,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Thus it's increasingly necessary to provide elderly education and leisure activitie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uneasiness and economic hardship of senior citizen in the changed environment and to equip them with the ability to make proper responses to it. This study presents results of an investigation of elderly leisure in terms of concept, necessity, types, and current state, as well as lifelong education in the aspect of necessity, goal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elderly learning centers in general were examined in concept and necessity, which was followed by another investigation of the elderly learning centers in the Gimhae region for their current operations. Finally, the research efforts were invested into finding out what impacts elderly learning centers would have on the lives of senior citizens. The specific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ed senior citizens were highly dependent on their children for the living expenses and allowances. Second, the majority of them said they attended the elderly learning center in order to improve themselves. The other reasons were to acquire knowledge and culture and better their health. Thir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methods, environment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provided at the elderly learning center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ir gender, marital status, occupation,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as high. It turned out that the programs offered at the elderly learning centers had very positive impacts on the senior citizens. But there's a long way to go until they are activated even though the number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researches is on the growing curve. Senior citizens are to be respected and regarded as a new resource in the society. In trying to guarantee the elderly population that will account for more than 10% of the entire population in a near future the much deserved human rights and right to pursue happiness,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vitalize the lifelong education and leisure programs for better elderly welfare.

      • 태양광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최적 용량산출 모델을 통한 경제성 분석

        강민수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power load management and they are promoting support policies to foster converged industry of energy storage system(ESS) with solar energy generation(PV) based on power generation industry. However, the uncertainty about the economics of linking energy storage system(ESS) with solar energy generation(PV) is the main reason to constrain the spread of energy storage devices. Thus, the study of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the optimal capacity calculation model of energy storage system(ESS) connected with solar power generation(PV) is required. It is paramount important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profit when energy storage system(ESS) connected with solar power generation(PV) and select the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system(ESS). In this paper, the optimum capacity of battery and PCS of energy storage system (ESS) is calculated and economic analysis is conducted to suggest the optimal facility standard applying government support plan. In addition, changes in the power generation pattern will be examined when the energy storage system(ESS) and solar power generation(PV) are connected in order to verify the power peak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Moreover, we tried to confirm the effect of ESS support policy through comparing economical efficiency of single facility with solar power generation(PV) and connected energy storage system (ESS) by the internal rate of return. We will analyze the internal rate of return energy storage system(ESS) facility cost and SMP/REC price, which is a sales factor, and will utilize them to the economic forecasting of energy storage system(ESS). To do this, LG Hausys Ulsan plant, which is currently in operation, convert the solar power plant's 2015 power generation output data(daily average 3.69 hour power generation) to small solar power(3MW) and large-scale solar power(10MW) and then built a model that calculates utilization rate of battery and PCS capacity of the energy storage system(ESS). Furthermore, the selected battery capacity and PCS capacity are separately analyzed by economic analysis to propose energy storage system (ESS) facility standard which can guarantee the best economical efficiency. Lastly, the profit model applied to the economic analysis is limited to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charging time from 10:00 to 16:00, and for the amount of electric power discharged in other time zones based on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Guideline for Manag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Supply Mandatory System, the REC factor 5.0 was applied and analyzed by the internal rate of return method. Key words : energy storage system(ESS), economic forecasting of energy storage system(ESS) 정부는 전력 부하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태양광발전(PV)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발전 산업육성을 위해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태양광발전(PV)에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를 연계하는데 대한 경제성 확보의 불확실성은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을 제약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따라서 태양광발전(PV)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발전에 대한 구체적인 경제성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설비도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태양광발전(PV)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연계하였을 때 발생하는 수익구조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최적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용량을 선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저장장치(ESS) 보급 및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의 일환으로 정부가 추진중인 태양광발전(PV)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발전 설비와 관련해서 에너지저장장치(ESS)의 배터리와 PCS의 최적 용량을 산출하고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정부 지원방안을 적용한 최적의 설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에너지저장장치(ESS)의 전력 피크관리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태양광발전(PV)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 발전시 발전패턴의 변화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태양광발전(PV) 단독설비 경제성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발전 설비 경제성을 내부수익률법으로 비교하여 에너지저장장치(ESS) 지원정책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했으며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비와 매출인자인 SMP/REC 가격 변동에 따른 내부수익률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여 에너지저장장치(ESS) 경제성 예측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가동중인 LG하우시스 울산 공장내 태양광 발전소 2015년 발전실적(일평균 3.69시간 발전)을 소규모 태양광(3MW)과 대규모 태양광(10MW) 발전실적으로 전환시켜 배터리와 PCS 용량별 에너지저장장치(ESS) 이용률을 산출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산출된 에너지저장장치(ESS) 이용률로 선정한 배터리 용량과 PCS 용량을 개별적으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여 최적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기준을 제시하였다. 경제성 분석에 적용된 태양광발전(PV)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발전 설비 수익모델은 산업통산자원부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관리운영지침에 제시된 바와같이 에너지저장장치(ESS) 충전시간은 10시부터 16시까지로 한정하고 그 외 시간대에 방전하는 전력량에 한하여 REC 가중치 5.0을 적용하여 내부수익률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어 : 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발전, 에너지저장장치(ESS) 경제성

      • 호텔 서비스 회복의 공정성 지각이 고객만족과 긍정적 구전,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과 고객과의 관계수준을 조절변수로 하여

        강민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서비스 회복(Service Recovery)의 공정성 지각(Procedural justice, Interactio 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이 고객과의 관계수준을 조절변수로 하여 고객만족(Customer Satisfaction)과 긍정적 구전(Word of mouth), 재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에 대하여 SPSS K 12.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포함하여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14개의 가설 중에서 14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기존의 연구 자료를 검토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였으며,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 서비스 회복의 공정성 지각은 고객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차의 공정성, 상호작용의 공정성, 분배의 공정성에 대한 차이를 고객이 뚜렷이 구분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체 회복의 공정성 지각의 고객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서비스 실패에 대한 서비스 회복 공정성은 고객만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고객 만족도는 구매 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성 지각에 따른 고객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 후 행동인 긍정적 구전과 재 구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 구전과 재 구매는 각 호텔의 궁극적 목적인 매출증대와 직결되는 문제로 서비스 실패의 회복은 호텔서비스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을 알 수 있다. 셋째, 기업과 고객과의 관계는 서비스 회복 공정성 지각에 따른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고객과의 관계 수준은 공정성 지각을 통한 고객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인 조절 변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과 고객과의 관계는 고객만족과 구매 후 행동의도와의 관계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고객과의 관계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 만족도가 높으며, 만족도 수준이 높은 고객일수록 구매 후 행동에 있어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각 기업은 고객과의 관계수준을 보다 밀접하고 친밀한 관계수준으로 끌어 올릴수록 고객 만족도와 긍정적 구전, 구매 후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justice perception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Distributive justice) of service recovery on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using the corporation-customer relations as a moderate variable. Using the SPSS K 12.0 for Window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gainst the survey data. All of the planned 14 hypotheses were adopted. For this research and analysis, existing research data were studied, their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explored, and the outcome was verified through established hypotheses. The following major implications were drawn from this research. First, the procedural justice of hotel service recovery had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s could not distinctively distinguish between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but the whole justice perception on recovery had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Thus, service recovery justice on service failure is deemed to have import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satisfaction had effects on behavior intention after purchase. The higher the customer satisfaction was according to justice perception, the more positive effects it had on the behavioral positive word of mouth and repurchase after purchase. Positive mouth of word and repurchase are directly linked to hotels' ultimate goal of sales expansion; as such, the recovery of service failure is deemed to be very important in hotel service. Third,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ions and customers functioned to modulat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ccording to justice perception of service recovery. Overall, levels of corporate relations with customers can ha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through justice perception, and the higher levels of such relations can function as a more positive modulating variable. Fourth, the relations between corporations and customers functioned to modulate the relations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after purchase. Overall, the higher levels of corporate relations with customers bring higher levels of customer satisfaction; the more satisfied a customer is, the more positive effect this has effect on his behavior after purchase. This study found that as corporations boost their relations with customers to closer and more friendly levels, this has more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positive word of mouth, and behavioral intention after purchase.

      • Direct exfoliation of graphite using non-ionic polymer surfactant for fabrication of transparent and conductive graphene film

        강민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 high-yielding dispersion of graphene at high concentration in solvent is critical for practical applications. Herein, we demonstrate the formation of stable dispersion of pristine graphene in ethanol by exfoliating graphite flakes into individual graphene layers using a non-ionic polymer surfactant under bath-type sonication. Oligothiophene-terminated poly(ethylene glycol) was synthesized and used as a non-ionic and amphiphilic surfactant for exfoliating graphite into graphene. High-quality graphene film was fabricated from the exfoliated graphene solution by the vacuum filtration method. TEM and SEM reveal that the size of exfoliated graphene flake is larger than 1 m. When the graphene film was treated with nitric acid and thionyl chloride after washing with solvent, the film showed high performance with a sheet resistance of 0.3 kΩ sq−1 and a transparency of 74% at 550 nm.

      • 수용자의 문화적 시청 동기와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에 대한 연구 : 국내 대학생의 시청동기, 행위, 평가의 관계를 중심으로

        강민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 간에 교역을 방해했던 각종 규제가 완화되고 초 국적 미디어 기업의 등장과 정보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커다란 글로벌 미디어 시장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해외의 영상물을 접하는 국내 수용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도 특히 미국 프로그램의 인기가 주목할 만하다. 과거와는 달리, 수용자들이 원하는 매체를 선택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영상 파일이나 자막을 공유하는 등 매우 적극적인 자세로 미국 프로그램을 수용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능동적인 수용자들을 전제로 하는 이용과 충족 이론과 해외 영상물의 수용에 있어서 중요한 관점으로 여겨지는 문화 다원주의적 시각에서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고자 했다. 문화 다원주의 관점에서는 해외 프로그램 수용 원인을 문화적 근접성 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문화적 근접성은 수용자들이 문화적으로 가깝게 느껴지는 국가의 콘 텐츠 를 선호한다는 개념이다. 이 때, 문화적 근접성은 해당 국가에 대한 체류․여행 경험, 해당 언어의 구사 능력, 국가에 대한 느낌 등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문화적 요소들을 통해서 측정한다. 또, 이용과 충족 이론은 능동적인 수용자들이 어떻게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수용하고 되는지의 과정을 설명해주고 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내 대학생 196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여 미국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 시청 행위, 그리고 시청 후의 평가에 대해서 분석하여 각각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력 분석을 실시했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문화적 근접성을 하나의 시청동기로 취급하여 ‘문화적 시청 동기’ 항목이 수용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했다. 각 항목들을 구성하고 있는 요인은 요인분석을 통해서 추출했고, 서로 간에 미치는 영향력은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분석했다. 이와 함께, 미국 프로그램의 시청 량을 조절변수로 두어 시청 동기와 행위, 시청 행위 평가 간의 관계가 시청 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분석을 했다. 그 결과, 도출된 5가지 시청 동기 중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았던 요인은 문화적 시청 동기보다도 ‘프로그램의 우수성’이었다. 실제로 시청 동기와 시청 행위의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했을 때, 거의 모든 결과에서 ‘프로그램의 우수성’ 요인이 가장 영향력이 높다는 것으로 밝혀져 국내 수용자들이 미국에 대해서 느끼는 근접성보다는 프로그램 자체가 가지는 경쟁력 때문에 미국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었다. 시청 행위의 경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시청 행위인 ‘참여적 시청 행위’와 ‘교류적 시청 행위’가 가장 설명력이 높아, 미국 프로그램의 수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시청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청 행위와 평가 간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적극적인 시청 행위가 활발한 수용자일수록 시청 후의 평가 요인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았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수용자의 프로그램에 대한 관여도가 높아질수록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또, 시청 평가 중에서 가장 설명력이 높았던 것은 ‘질적 우수성’이었는데, 한국 프로그램에 비해서 다양한 주제를 전문적으로 다루고, 철저한 사전 제작으로 완성도가 높기 때문에 국내 시청자들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연구는 미국 프로그램의 시청 동기, 행위, 평가 요인을 파악하고 각 요인들이 서로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또, 이러한 관계가 시청 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도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시청 행위에 주는 시청 동기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프로그램의 우수성’이 가장 영향력이 높았고 시청 평가에 영향을 주는 요인도 다양했지만 ‘참여적 시청 행위’가 영향력이 있었다. 장르에 따른 동기-행위, 행위-평가 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아, 국내 시청자들은 장르에 상관없이 미국 프로그램 자체의 질적인 우수성 때문에 프로그램을 시청하고 있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 량이 높을수록 문화적 시청 동기가 강하게 작용한다는 것도 알아냈다. 연구 결과 중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문화적 근접성을 시청 동기로 취급하고 분석한 결과, 문화적 근접성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었던 ‘문화적 시청 동기’보다는 ‘프로그램의 우수성’ 요인이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즉, 국내 수용자들은 미국이라는 국가가 친근하고 문화적인 이질감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 프로그램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경쟁력 때문에 이를 선호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한국 프로그램 제작자들은 탄탄한 스토리와 디테일 한 구성력, 화려한 영상미 등을 갖춘 미국 프로그램들이 국내에서 유입되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 프로그램이 이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한국 프로그램의 질적인 우수성을 높일 수밖에 없을 것이다. 해외 콘 텐츠 보다는 자국의 콘 텐츠 를 선호하게 된다는 문화적 근접성이 프로그램의 우수성보다는 약하게 작용한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서 밝혀졌기 때문에 한국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As the barriers between countries have lessened and new technology is developed, a global media market where media products can flow freely from country to country has been introduced to the world. Korea is not a exception, and the number of Koreans who enjoy watching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have increased steadily over the years. The popularity of American programs is not new; American dramas were very popular in the early 1980s. But the current popularity trend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past trend. The viewers do not rely on only television, but have access to many different kinds of media. They also download program files and make subtitles for these files, and spread these files and subtitles on the Internet. These are very active viewing habits, so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Korean viewers watch American programs by using the 'User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other important theoretical background for analyzing foreign programs is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Cultural proximity explains that viewers prefer programs that come from countries that they feel close to, cultural-wise. According to existing studies, cultural proximity is measured by the personal experiences of people, such as whether they had visited a particular country, fluent in a language, or what kinds of feelings that have toward that country, and so o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196 college students to analyze their viewing motivations, behavior, and evaluation of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After each factor was extracted b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factor. It is noted tha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used the cultural proximity concept as a condition precedent, this study included the concept as a viewing motivation called the 'cultural motivation'. Among the 5 factors of the viewing motivation, the most significant factor was the 'Quality of Programs'. Also, this particular factor had a very high influence on the viewing behaviors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So,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because of cultural proximity, Koreans watch American television programs because for the high qualities, such as strong storylines or fancy special effects. As for the viewing behavior, 'Participation' and 'Personal Exchange', which are both very active behaviors, were the notable factors. It was found that the more active viewing behavior, more positive evaluation was given toward the program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the viewing evaluation was the 'High Quality'. Unlike Korean programs, American programs tend to focus on a variety of themes and have pre-production systems to perfect the program qualities. Thus, the Korean students gave positive evaluations concerning the programs quality.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cultural motivations were not as significant as the quality of American programs. In other words, cultural proximity as a motivation was not as significant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igh quality of a media product can overcome the cultural differences. So, Korean program producers should not dwell on the thought that American programs will not be accepted by Korean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As more and more American programs come in the Korean media market, Korean producers must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programs in order to compete with American programs. Therefore, problems of the Korean program production, such as relying heavily on top stars or the lack of pre-production, should be solv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grams'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