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日 FTA 추진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 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강민성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오늘날 국제통상 환경은 세계화와 지역화의 추세가 공존하고 있는 이율배 반적인 특성을 갖고 있다. 지역주의 추세가 진전됨에 따라서 경제적 이해관계 를 같이 하는 국가들 간의 경제협력이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그 동안 지역무역협정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음으로서 지역주의 추세에 뒤 늦게 참여한 한국은 동시다발적 전략으로 FTA를 추진하면서 세계 통상환경 의 변화에 빠르게 동참하고 있다. 한·일 양국의 많은 연구가들은 양국 간에 자유무역의 필요성에 대해서 언 급했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진척이 없다 우리나라 입장에서 한국과 일본의 자유무역협정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은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상호간에 이득을 취하기 위해서 는 비교우위에 있는 제품을 선택해야 한다. 둘째, 한국과 일본은 자유무역협정의 효과에서 양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최선의 외국인 직접투자 정책에 대해서 추진해야 한다. 셋째, 한·일 양국은 외국인직접투자를 늘이기 위해서 외국인 직접투자환경 을 개선해야한다. 이에 따라, 한·일 FTA의 체결 협상에 있어 우리나라는 외부적으로는 FDI 유입의 증대가 확보되는 내용의 FTA의 체결을 확대하고, 내부적으로는 FDI 유치를 위한 정부·민간의 투자환경 개선이 뒷받침 될 때 우리나라의 FDI 유 입은 그 잠재력 지수를 상회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ternational commerce environment of today is on the horns of a dilemma over bot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Nevertheless,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countries in a similar economic interests, is going faster, which is supposed to be due to the growing localization in the recent world. Korea, on late participant in the localization policy, which seems to have been caused by indifference to the regional trade agreement, in trying to cope with the international commence environmental shift. Many people of Korea and Japan have mentioned frequently about the necessity for so-called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two nation, but there have been no great progress these on by now. Now we are on the right time to conclude the Korea-Japan FTA as follow: First, the two countries have to select proper items for the mutual benefit through the FTA. Second, we think that the FTA between these two nation would go with good policies for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to maximize the effect from the FTA. Third, the foreign investment environment in two countries have to be reformed to expand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respectively.

      • 심폐소생술 교육 후 수행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민성 한양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역사회에서 심폐소생술 교육 경험률이 10% 증가할 때,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1.4배 증가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재 소방서, 대한심폐소생협회, 대한적십자사 등과 같은 다양한 기관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교육하기 때문에 교육 대상자들의 특성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획일화된 단발성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해 교육이 실제로 목격자 심폐소생술 향상에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6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9세 이상 성인 중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대상자에서 심폐소생술 수행 가능성이 있는 집단과 수행 가능성이 없는 집단을 나누어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수행 가능성이 없는 이유를 밝혀내기 위해 교육 모형 중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하여 변수들을 선정하고 각 특성에 따라 수행 가능성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심폐소생술 수행 가능성 취약 계층을 밝혀내고, 취약 계층의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 목격자 심폐소생술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도록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2016년 지역사회 건강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건강신념모형에서 제안한 수정 요인에 해당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구조적 특성, 개인의 지각에 해당하는 지각된 위협성, 행동의 계기에 부합하는 독립변수들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대상자 특성에 따른 수행 가능성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수행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건강신념모형에서 수정요인을 참고한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경우 성별, 직업에 따른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의 수행 가능성(OR 2.89, 95% CI 2.56-3.27)이 유의하게 높았고, 직업에서는 직능수준이 높은 전문·행정관리에 비해 군인(OR 4.97, 95% CI 2.04-12.14)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주부 또는 무직(OR 0.63, 95% CI 0.52-0.77)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연령에서는 65세 미만과 이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건강신념모형에서 수정요인 중 구조적 특성에 해당하는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에 대한 지식은 남성에서만 심근경색증 조기 증상 지식 인지율이 없음에 비해 있음(OR 1.58, 95% CI 1.07-2.34)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세 번째로, 건강신념모형에서 지각된 위협성에 해당하는 이환/ 사고 중독/ 주관 적 건강 수준 인지율의 경우 심근경색증 또는 협심증 진단 경험 여부에서 진단 받은 적이 있는 사람(OR 1.98, 95% CI 1.23-3.18)의 수행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뇌졸중 진단 경험 여부에서는 오히려 진단받은 적이 있는 사람(OR 0.45, 95% CI 0.23-0.88)의 수행 가능성이 유의하게 낮았다. 네 번째로, 건강신념모형에서 행위의 계기를 참고한 심폐소생술 교육 시기는 최근에 심폐소생술 교육(OR 3.31, 95% CI 2.95-3.73)을 받은 경우에서 수행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신념모형에 근거한 대상자들의 특성은 심폐소생술 수행 가능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대상자 중에서도 여전히 여성, 주부 또는 무직의 경우 수행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고, 뇌졸중 진단 경험자는 지각된 위협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심폐소생술 수행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을 받았음에도 심폐소생술 수행 가능성 취약계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심폐소생술 수행 가능성 취약계층을 위해 맞춤형 심폐소생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령에 따른 수행 가능성에 차이가 없다는 결과를 토대로 고연령층 교육을 활성화하고, 교육 대상자들에게 심폐소생술 재교육을 권장하여 수행 가능성을 향상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수입자동차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민성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의 영업사원들은 자동차 산업에서 유통시스템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자동차라는 상품의 특성상 고객들은 구매 의사결정 과정에 있어 높은 수준의 정보와 지원을 요구하고 있으며 영업사원들은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결정 과정을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고관여 프리미엄 또는 사치품 시장의 소비자 충성도를 형성하는 직·간접 효과를 설명하는 표준화된 모형을 구축하고, 수입 자동차 시장을 중심으로 제품의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영업사원의 역량, 프로모션, 라포, 판매 후 서비스가 계산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 그리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자동차 영업사원의 개인적 역량은 자동차 판매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영업사원의 역량 이외에 프로모션이나 라포, 판매 후 서비스 등을 독립변수로 구분하여, 계산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을 매개변수를 통해 구매 의도와의 상관 관계를 측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문헌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고 검정하였으며, 전국의 수입 자동차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유효한 설문지 258부는 통계 프로그램 SPSS 25.0과 AMOS 24.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업사원의 역량, 프로모션, 라포, 판매 후 서비스는 계산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산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은 소비자의 구매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실증연구와 많은 부분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수입 자동차 시장으로 확장하여 관련 요인을 실증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입 자동차 영향요인을 종합적으로 실증하고 있으며, 계산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째, 기존 수입자동차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영업사원 역량, 라포, 서비스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수입자동차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을 밝히고 있다. 셋째, 수입자동차를 판매하는 판매회사와 영업사원 입장에서 소비자들의 몰입을 증가시키고 구매의도를 높이는 요인을 파악하는 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업사원의 역량, 프로모션을 통한 가격할인, 라포를 통한 영업사원과 고객과의 관계, 판매 후 서비스 등이 구매의도를 높이는 것을 파악함으로써 무엇에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키워드(핵심어): 영업사원의 역량, 프로모션, 라포, 판매 후 서비스, 계산적 몰입, 정서적 몰입, 구매의도 Recently salespeople have played a key role in the distribution system in the automobile industry. Due to the nature of the product called automobiles, customers demand a high level of information and support in the purchasing, decision-making process and salespeople help customers make purchase decisions by providing services according to their requir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andardized model that explains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onsumers in the high involvement of premium or luxury market and to test the effect of salespeople's capabilities, promotions, rapport, and post-sales services on their customers’ purchase intentions. Although the personal capabilities of automobile salespeople have a very important effect on improving car sales performance, this study measured the correlation between comput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through parameters by dividing promotion, rapport, and post-sales services.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tested based on existing studies and literature,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people who were willing to purchase imported cars nationwide. The 258 copies of the referenced vali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rograms SPSS 25.0 and AMOS 24.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 salesperson's competency, promotion, rapport, and post-sales service had a positive effect on comput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In turn, computational commitment and emotional commit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se results show similar outcomes in many areas to existing empirical studies and related factors are demonstrated by including the imported automobile market. Through this study, the factors influencing imported car sales are comprehensively demonstra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mputational and emotional immersion is verifi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ound to b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existing imported cars. These include such as a salesperson competency, rapport and service. Seco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imported car buyers and the factors tha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rchase intention are identified. Third, from the standpoint of a sales company and salesperson that sells imported cars,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in terms of identifying factors that increase consumer immersion and increase purchase intention. The practical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at it suggests what to spend time and money on by grasping the salesperson's capabilities, price discounts through promotions, relationships with salespeople and customers through rapport and post-sales services. Keywords: salesperson's competency, promotion, rapport, service after sales, computational commitment, emotional commitment, purchase intention.

      • 핵심감정상담의 태아기 재경험기법에서 내담자의 교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문화기술적 연구

        강민성 창원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핵심감정상담의 태아기 재경험기법에 참여한 내담자들은 교정적 정서경험에서 어떠한 질적 경험을 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핵심감정상담 태아기 재경험기법에 참가를 신청 하였고 본 연구에 동의한 10대에서 50대까지의 남녀 20명을 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사전 면접 후 프로그램에 참여 관찰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사후 면접과 수시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절차는 면접 녹취록과 태아기 재경험 녹취록을 축어록으로 풀이 한 후 영역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후 분류 분석을 하여 498개 표현, 64개 특성, 16개 핵심감정, 4개 유형, 2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영역을 사전·사후로 나누어 표로 작성하여 내담자의 변화를 기입한 후 20개 사례에서 핵심감정과 파생감정이 나타나고 해소되는 것을 도표로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변화에 대한 의미를 발견 하고 보고서를 작성 하였다. 핵심감정상담의 태아기 재경험기법에서 내담자들은 태아기에 형성된 핵심감정을 자각하고 표현하였으며 상담자의 공감적 응답과 한국 전통 태교기법에 의해 교정적 정서경험을 하였다. 공격성을 나타내는 핵심감정 영역에서 사전에 105개의 감정 특성이 검출되었으며 사후에 61개가 해소되어 58.09%의 해소율을 나타냈다. 우울감을 나태내는 핵심감정 영역에서 사전 48개의 감정 특성이 검출되었으며 사후에 16개가 해소되어 33.33%의 해소율을 나타냈다. 공포와 공황상태를 나타내는 핵심감정 유형에서 사전에 103개의 감정 특성이 검출되었으며 사후에 55개가 해소되어 53.39%의 해소율을 나타냈다. 불안상태를 나타내는 핵심감정유형에서 사전에 209개의 감정 특성이 검출되었으며 사후에 97개가 해소되어 46.41%의 해소율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20명의 사례 전체에서 사전에 465개의 핵심감정 특성이 검출되었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에 229개가 해소되어 핵심감정상담의 태아기 재경험기법에서 49.24%의 해소율이 나타났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qualitative experience the clients who participated in fetal life re-experience technique of nuclear feelings counseling had in the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For this, 20 men at age 10s~50s who agreed on this study and applied for the participation in nuclear feelings counseling fetal life re-experience technique were selected as a subject. The program participation was observed after prior interview and the posthumous interview and frequent interview were carried out after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domain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interpreting the interview-recorded tape and fetal life re-experience recorded tape as a script in the material analysis procedure of this study. Afterwards, it was classified into 498 expressions, 64 natures, 16 nuclear feelings, 4 types, and 2 groups through the classification analysis. The classified domain was divided into the advance/post and written as a table and the clients' change was written and the appearance and dissolution of nuclear feelings and deriving feelings in 20 cases were written as a diagram.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 was finally discovered and the report was written. The clients perceived and expressed the nuclear feelings that were formed during the fetal life in the fetal life re-experience technique of nuclear feelings counseling, and they had the corrective emotional experience by the empathic response of clients and Korean traditional prenatal education technique. 105 feeling natures were detected in advance in the nuclear feelings domain that represented the aggression and 61 ones were dissolved hereafter which showed the dissolution rate of 58.09%. In the nuclear feelings domain that represented the melancholy, 48 feeling natures were detected in advance and 16 ones were dissolved hereafter to show the dissolution rate of 33.33%. In the nuclear feelings type which represented the fear and state of panic, 103 feeling natures were detected in advance and 55 ones were dissolved hereafter to show the dissolution rate of 53.39%. In the nuclear feelings type representing the anxiety state, 209 feeling natures were detected in advance and 97 ones were dissolved hereafter to show the dissolution rate of 46.41%.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from this study that 465 nuclear feeling natures were detected in advance in all cases of 20 men and 229 ones were dissolved after the program was carried out and the dissolution of 49.24% was shown in the fetal life re-experience technique of nuclear feelings counseling.

      • 동시계면중합에 의한 나일론 610/다중벽탄소나노튜브 복합체 제조 및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복합체섬유

        강민성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두 가지 액상의 계면에서 중합반응이 일어나는 동시계면중합을 이용하여 poly(hexamethylenesebacamide) /multiwalled carbon nanotube(nylon 610/MWCNT)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동시계면중합 시 반응하는 두 가지 서로 다른 액상 중 한가지 액상은 hexamethylene-diamine이 포함된 음이온 계면활성제(Triton X-100)를 이용하여 분산시킨 MWCNTs 분산수용액이며, 다른 한가지 액상은 sebacoyl chloride가 carbon tetrachloride 내에 녹아있는 상이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MWCNTs는 열화학기상증착법에 의해 합성된 MWCNTs이며, 합성 시 사용된 금속촉매와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질산과 염산으로 정제하였다. 제조된 nylon 610/MWCNT(1.5 wt%)복합체는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nylon 610 매질 내부에 균일하게 분산된 MWCNTs가 확인되었다. 또한 필름형태로 제조된 nylon 610/MWCNT 복합체의 인장테스트측정 결과에 의하면 영률은 약 170%, 인장강도와 신도는 각각 약 40% 및 25%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복합체필름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은 nylon의 amide기와 MWCNTs의 정제과정 중 도입된 carboxyl기의 상호작용에 기인한 매질과 충진제간의 계면접착력 향상으로 판단된다. 열중량분석기에 의해 복합체필름의 열안정성향상 역시 관찰되었다. 한편, 제조된 복합체를 용액화하여 전기방사법에 의해 향상된 전기전도도(1×10^(-10) S/cm)를 나타내는 나노복합체섬유를 제조하였다. Poly(hexamethylenesebacamide) (nylon 610) nanocomposites contain-ing well dispers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were successfully produced via the in situ interfacial polymerization of two liquid phases, one containing hexamethylenediamine in the presence of MWCNTs and the other containing sebacoyl chloride. The processing consisted of dispersing acidtreated MWCNTs in an aqueous phase containing a Triton X-100 surfactant. The MWCNTs used were synthesized by a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To eliminate metallic catalyst residues in as synthesized MWCNTs, they were treated in HNO₃ and HCl.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ies showed that the individual MWCNTs were uniformly dispersed in the nylon 610 matrix. Tensile tests of the composite (1.5 wt% of MWCNTs) sheet showed a 170% increase in the Young’s modulus with slight increases in the tensil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at break (about 40 and 25%,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presence of the potential adhesion between the MWCNTs and nylon 610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mide group of nylon 6 and the oxygen-containing species on the MWCNTs such as carboxylic acid group introduced during the purification step.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composite was also enhanced by the incorporation of MWCNTs into nylon 610 matrix. Nylon 610/MWCNT nanocomposites also were applied to produce the fine electrospun nylon 610 fibers incorporating MWCNTs via an electrospinning process. We also investigated morphology of individual MWCNTs incorporating in nylon 610 fibers and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he electrospun nylon 610 fibers with MWCNTs.

      • 한국 근대 신문소설 삽화 연구 : 1910~1920년대를 중심으로

        강민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한국 근대 초기의 신문소설 삽화에 관한 연구이다. 한국에서 신문소설 삽화가 처음으로 출현, 정착하는 시기인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의 사회, 문화적인 배경과 삽화가들 그리고 소설 삽화의 전개양상을 작품분석을 통해서 파악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신문소설 삽화는 한국과 일본에서만 보이는 시각미술이며 따라서 한국은 일본의 신문소설 삽화와 직접적인 영향관계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의 근대 성립시기에 발달한 매스미디어 가운데 신문은 연재소설이라는 기획물을 실었으며 여기에 삽입된 삽화가 한국 근대기에 그대로 수용된 것이다. 일본의 신문소설 삽화는 근세의 구사조시(草雙紙)의 형식이 계승되어 신문 발생 초창기에 니시키에 신문(錦繪新聞)과 소신문(小新聞)에서 그 초기 양태를 살펴볼 수 있다. 한국의 근대 초기에 일본을 통해 인쇄술이 도입되고 신문이 등장하면서 일본의 편집 구성을 따르게 되었으며 신문 연재소설란에 그림이 삽입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따라서 신문의 기능이 대량으로 인쇄되어 다수에게 보급된다는 것임을 고려해 볼 때 신문소설 삽화는 복제미술(複製美術)의 한 형태로 보급, 유포되었다. 한국에서의 신문소설 삽화는 1912년 <매일신보>에 연재되었던 소설『春外春』의 삽화를 그 효시로 볼 수 있는데, 1921년 한국 최초의 신문소설 삽화가인 김창환이 나타나기까지 일본인 삽화가들에 의해 제작된 특징을 지닌다. 일본인 삽화가들은 주로 사인(sign)만을 남기고 있어 실명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은데 이중 가장 많은 삽화를 그렸던 인물은 츠루타·고로우(鶴田吾郞)이다. 일본인 삽화가들은 다양한 표현기법 및 묘사방식으로 매 회마다 색다른 삽화들을 제작했었다. 이들이 선례로 남긴 제작기법들은 이후 한국인 삽화가들의 삽화제작에 있어서 많은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1920년대에 활동한 한국인 삽화가들로는 안석주, 이상범, 노수현, 이승만, 김복진, 단곡, 청사생 등이 있다. 이들 대부분은 신문의 도안이나 만화, 소설삽화를 담당했던 삽화가이면서 조선미전을 통해 창작 활동을 했던 화가들이었다. 따라서 삽화의 묘사방식에 있어서는 인물화, 누드화, 실내좌상, 여성독서도와 같은 관전양식을 따르면서도 인물표현에 있어서는 다른 형태로 그리는 등 삽화라는 장르적 특성을 부여하여 차별화 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삽화가 가운데 안석주는 서양화의 여러 양식을 다양하게 적용시킨 삽화장면을 제작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에의 시도를 하였는데 이는 신문소설 삽화를 프로문예 운동의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반영한 것이기도 하다. 소설 삽화는 이외에도 판각양식, 재료, 사진과 영화의 앵글(angle)의 활용 등에 따라 새로운 형태로 제작되어 독자들의 흥미를 돋우는데 큰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신문소설 삽화는 연재소설의 줄거리를 토대로 그려졌던 그림이므로 몇몇 특정 장면과 표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즉 사건 및 대화장면, 로맨스, 갈등 및 상념의 표현, 배경묘사 장면이 그것이다. 한국에서의 신문소설 삽화의 시작은 일본의 영향으로 인해 인쇄의 발달과 신문, 대중의 출현을 그 배경으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1910년~1920년대까지의 미술계의 현황을 반영하고 있는 삽화장면들을 유형별로 분류, 분석하여 보았는데, 이를 통해 일본인 삽화가들에 의해 제작되기 시작했던 소설 삽화가 한국인 삽화가들의 제작으로 이어지면서 표현방식의 명맥이 이어졌으며 이와 더불어 官展의 아카데믹한 묘사방식이 반영되기도 했고 삽화가 각자의 기량과 상황에 따라서 새로운 장면 제작에서의 실험들이 시도되기도 했다. This paper represents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appeared the newspaper novels in the early modern times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the illustrators and the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novel illustra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from 1910s to 1920s. The newspaper novel illustrations are visual arts found only in Korea and Japan and therefore the newspaper novel illustrations of Korea have direct relations with those of Japan. As one of the mass media developed in the formation period of the modern age in Japan, newspapers carried serial novels as features and inserted illustrations which were later adopted by Korean newspaper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newspaper novel illustrations in Japan succeeded to the 'kusazoshi(草雙紙)' of the modern times and their early forms and styles can be found in the <Nishikie shinbun(錦繪新聞)> and the <Shoshinbun(小新聞)> of the early stage of the newspapers. In the early modern age of Korea, the printing techniques were introduced from Japan and the newspapers emerg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technology. The Korean newspapers followed the editing and formation of the Japanese newspapers and this led to the insertion of drawings in the serial novels of the newspaper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ewspapers are printed in large quantities and distributed to a great number of people, it can be said that the illustrations of the newspaper novels were spread and disseminated in the form of reprinted art. In Korea, the first instance of the newspaper novel illustration can be found in the illustrations of the novel 『Choonoichoon(春外春)』 published serially in the <Maeil Shinbo(每日申報)> in 1912. The illustrations in the Korean newspapers were created by Japanese illustrators until 1921 when Kim Chang-hwan, the first newspaper novel illustrator in Korea, appeared. In many cases, the Japanese illustrators left their signatures only in their illustrations and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real names of the illustrators. Tsuruta Gorou(鶴田吾郞) is one of the illustrators who drew the most illustrations. The Japanese illustrators produced different illustrations each time employing a variety of expressive techniques and drawing methods. It appears that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Japanese illustrators were later used as references by the Korean illustrators in their works. The Korean illustrators who were active in the 1920s include Ahn Seok-joo, Lee Sang-beom, Noh Soo-hyun, Lee Seung-man, Kim Bok-jin, Dangok, and Cheong-Sa saeng. Most of the illustrators were engaged in the design, cartoon and novel illustration of the newspapers while carrying out creative activities through the Chosun Art Exhibition as painters. Accordingly, their representation of illustrations followed the observation styles like figure painting, nude painting, indoor sedentary figure, book-reading women while expressing figures in other forms, thus attempting to differentiate the illustrations by providing them with the genre's characteristics. Ahn Seok-joo attempted new ideas by applying diverse styles of Western paintings to his illustrations and this reflects his intention to employ the newspaper novel illustrations as a means of professional literary art movement. Besides, the novel illustrations were produced in new forms with the adoption of woodblock styles, materials and photo and film angles, playing a great role in evoking the reader's interests. However, the illustrations in the newspaper novels were created based on the plots of the serial novels and therefore they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characteristic scenes and expressions that include conversation scenes, expression of romance, conflicts and notions, and background-depicting scenes. The illustrations of the newspaper novels in Korea began with the development of printing influenced by Japan and the emergence of the newspapers and the masses. The study analyzed and classified the illustrations into several types that reflected the situations of the art circles between 1910s and 1920s. In so doing, this study showed that the Korean illustrators succeeded to the production of the novel illustrations by the Japanese illustrators and helped the expression methods remain alive. In addition, the Korean illustrations reflected the academic methods of description characteristic to the government-led exhibitions while attempting to produce new scenes depending upon the skills and abilities of the illustrators and their situations.

      • 달항아리의 조형성을 이용한 도자연구 : 유리와의 결합을 중심으로

        강민성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달항아리는 제작시기나 용어적 정의 시기가 그리 멀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선행연 구 자료와 기존 문헌자료에서 엿볼 수 있듯 정보와 정확성이 다소 부족한 편이다. 그러한 이유에서인지 달항아리는 ‘도자’영역에서만이 아니라 수많은 매체에서 재 해석되고 새로운 모습을 보이며 한국의 미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다. 한국미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선과 소박한 맛과 담백한 미감은 달항아리가 가지고 있는 선에서 느껴지는 것으로 형태를 파악하고 조형적 미감을 이해하는 것이 목적 이다. 본 논문에서는 달항아리의 제작방법에서 오는 조형적 특징인 상. 하 접합의 방법을 통해 유리와의 결합을 진행한다. 도자와 유리의 물리적 결합만이 아니라 달항아리의 조형미를 물성과 제작상의 기법을 통해 결합하려는 시도이다. 결합에 의한 새로운 조형적 탐구를 위해서는 두 물성이 가지는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도자와 유리의 사전적 의미를 알아보고 작품제작의 바탕이 될 점토의 특징과 가공기법의 특성과 유리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시작한다. 달항아리의 조형미에서 느껴지는 아름다움에 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과거에서 현재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세계적으로 높이 평가받는 그 아름다움에 대해작품을 통해 연구하고자 했다. 본 연구자는 작품 제작 연구과정을 통해 현대 도자예술에서 전통의 조형요소를 기본으로 시대적 감각에 맞는 새로운 조형으로 표현하며 앞으로 다양한 작업 전개를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함을 깨닫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With respect to the moon jar, there is relatively little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of the available information is somewhat lacking, as noted i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despite the fact that began to be crafted not long ago. Perhaps it is based on this reason that it has been reinterpreted via countless media, not just ceramics, and is considered to represent the aesthetics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ape and understand the formative aesthetics of moon jars, based on their traditional lines and curves, simplicity, and clean aesthetics. In this study, the top-bottom joint method which is a formative characteristic arising from the method of making moon jars was applied to combine ceramic materials with glass. This was an attempt to not only physically combine ceramics and glass, but also to combine the aesthetics of the moon jar based on properties and fabrication techniques. To pursue formative inquiries based on jointing, there was a ne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materials. Thus, the process was initiated by examining the lexical definitions of “ceramic” and “g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reason many people are captivated by moon jars, which have been a widely beloved type of ceramics since long ago,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ormative aesthetics of moon jars and appreciation thereof, as well as studying their beauty, which is recognized worldwide. It is hoped that this paper on the fabrication and study of moon jars will serve as an impetus for people to realize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efforts to produce diverse works by applying traditional formative elements to contemporary ceramic art in consideration of the trends of the times.

      •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 장비를 이용한 3차원 필라 사이에 연결된 탄소나노튜브 표면 개질에 관한 연구

        강민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3차원 네트워크 탄소나노튜브 구조체는 전지의 전극, 광촉매 그리고 센서 등 다양한 곳에 응용되고 있다. 3차원 네트워크 탄소나노튜브구조체는 표면 개질을 용액상에서 진행하는 경우 건조과정에서 강한 반데르발스 힘이나, 혹은 모세관 힘에 의해서 탄소나노튜브 구조체가 뭉치거나 붕괴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3차원 네트워크 탄소나노튜브 구조체의 형태를 유지하고자, 플라즈마를 이용한 표면 개질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렌 플라즈마 및 암모니아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하여 3차원 네트워크 탄소나노튜브의 표면 개질을 수행하였다. 탄소나노튜브를 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해서 비정질 탄소로 균일하게 형성시킨 뒤, 암모니아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질소가 함유된 작용기로 개질하였다. 전자현미경, 접촉각 측정, X선 광전자 분광법 (XPS), 그리고 형광을 이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체를 분석하였다. 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한 구조체에서는 높은 소수성을 보인 반면에, 암모니아 플라즈마 처리를 한 구조체의 경우, 표면의 여러 작용기 형성으로 접촉각이 큰 폭으로 감소된 것을 관측하였다. 또한 플라즈마 처리된 구조체에 형광 이소티오시아네이트 (FITC) 용액과 반응시킨 결과, 탄소나노튜브와 암모니아 플라즈마 처리한 탄소나노튜브는 형광을 보이지 않았지만, 암모니아/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된 3차원 네트워크 구조체의 형광 강도는 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된 구조체보다 6배 높게 관측이 되었다. 또한 XPS 데이터에서도, 암모니아/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한 구조체에서 질소 함량이 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한 것보다 크게 증가한 것을 관측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세틸렌 플라즈마 처리한 탄소나노튜브의 질소를 포함한 작용기의 개질은 성공적이었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강민성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fathers with four- and five-year-olds on the peer competence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d the influence of the former two on the latter.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are pervasive trends in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fathers and in the peer competence of their preschool children? 2.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fathers to the peer competence of their preschool children? 3. What influence do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parents exert on the peer competence of their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2 preschoolers and their fathers in 18 different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Cheon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preschoolers were at the Western ages of four and fiv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respectively aimed to evaluate the parenting participation of fathers, the parenting efficacy of fathers and the peer competence of preschoolers. The fathers of the preschoolers were asked to rate their own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by filling out the given questionnaires, and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preschoolers were asked to rate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by filling out the given questionnaires as well.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was Park Joo-hee & Lee Eun-hae(2001)'s Peer Competence Scale that consisted of 15 items. In this scale, five items each were given to sociality, prosociability and initiative that were related to peer relationship.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parenting participation of the fathers was Choi Kyung-soon(1992)'s Scale that was to check the level of paternal participation in child rearing. This consisted of 30 items about leisure activities, guidance, housekeeping activities and guidance about cognitive achievement.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was Shin Sook-jae(1997)'s PSOC(Parent Sense of Competence), which was an adapted version of Gibaud Wallston & Wandersman(1978)'s Scale. This scale was composed of 16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by Shin Sook-jae(1997). Out of the 16 items, nine were to evaluate efficacy as a parent, which belonged to the cognitive dimension, and four were to assess anxiety and a sense of frustration as a parent, which belonged to the emotional domain. The other three were to investigate interest in parenting. As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al package SPSS 18 was employed.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n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instruments.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grasp the pervasive trends,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the parenting participation of the fathers and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and between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former and the peer competence of the latter. To grasp the influence of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on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wa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were respectively selec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of the first stage and that of the second stage. And then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pervasive trends in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and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the fathers got a mean of 3.34(SD=.65) in parenting participation. Among the subfactors, they got the highest mean score of 3.50(SD=.75) in leisure activities. They got a mean of 3.34(SD=.51), and got the highest mean score of 3.43(SD=.79) in the emotional dimension among the subfactors. The preschoolers got a mean of 3.34(SD=.71), and got the highest mean score of 3.51(SD=.81) in sociality. Second, when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to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ing participation total scores of the fathers and the peer competence total scores of the preschoolers(r=.15, p<.01). And the subfactors of parenting participation had a partial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er competence total scor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f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on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the emotional dimension of the parenting efficacy of the fathers was identifi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predict the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and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guidance that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parenting participation. It denotes that the children were more competent to build peer relationship when their fathers felt less anxiety and got less discouraged about child rearing and when they helped them more to cultivate basic manners and acquire good life habi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