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문계고등학교의 수학교과에 대한 공업계열 학생들의 인식 분석

        강문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전문계고등학교 중 공업계고등학교의 수학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수학에 대한 학생들의 성별에 따른 인식과 학과별 인식을 조사하여 공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학습 발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도시지역 전문계고등학교 2교개 3개 학과를 선택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두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전문계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2) 전문계고등학교 중 공업계열 학생들의 수학교과에 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춘천지역의 전문계고등학교 C고등학교와 B고등하교에서 정보통신과, 인터넷통신과, 디지털 전자과 3개 학과 전 학년을 대상인 총 3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또한 수학교육과정을 위해 C고등학교와 B고등학교의 수학교육과정과 공업계열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학과 교육과정은 주당 2-3시간정도로 운영되고 있으며 인문계열에 비해 수학교과 자체로 비교해 본다면 인문계자연계열인 경우 주당 6-7시간이 운영되고 있는 상황이며 인문계열과 같이 시행하기엔 어려움이 있지만 공업계열 전공과목에서 필요로 하는 미분이나 적분 등을 소화해 내기엔 역부족이라 생각이 들어 아쉬움이 많았다. 둘째, 설문조사에서 수학교과에 대한 인식으로는 항상 싫었다라는 응답이 62%에 이르렀고 더욱이 수학이 싫어지기 시작한 때를 보면 중학교 1학년 이후부터라는 것이다. 이에 중학교 수학교사들은 이러한 학생들이 좀 더 수학교과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동기유발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설문조사에서 남녀에 관한 분석으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들이 수학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임하였다는 것과 여학생들은 수학을 가르치는 교사에 대한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론을 정리해 보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난 기초 학력부진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른 수업시수를 증가시키거나 특별활동 수학반을 편성 또는 정규수업의 특별보충과정을 개설하여 충분한 학습기호를 제공할 것을 제언하며 무엇보다 학생들의 수학에 관한 부정적인 생각을 없애주기 위해서는 수학교과를 좀 더 색다르게 운영하거나 실생활과 관련 있는 문제를 다루거나 재미있는 게임 활동을 통하여 수학교과에 친밀감을 느끼게 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일 것이며 이로 학생들이 수학에 대한 흥미를 다시 찾고 학습결손을 해결 할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 learning with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by looking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s of math education in industry high schools out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by the students gender and department. To achieve this purpose of discovering the recognition of students, a survey was performed in 3 departments of 2 high schools and established 2 research questions. (1) How are the course of studies in the department of mathematics being compos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2) How are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s by students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industry department?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st 312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huncheon area and compared the course of studies in mathematic and the industry department between C high school and B high school. The results that showed through research process is as followed. First, the course of study in the mathematics departments that was compos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about 2-3 hours a week and 6-7 hours a week for science department in regular high schools. It is difficult to operate with the department of regular subjects but there was an inconvenience because the differential and integral calculus that is crucial in the industry departments were thought to be limited to perform. Second, as for the recognition of mathematic education, 62% showed dislike towards it and this started ever since 7th grade. Therefore, middle school math teachers should try to motivate students to become interested in mathematics. Third, according to the survey analyzing gender, female students tend to have more interest toward mathematics than male students and it showed that female students were more effected by their math teachers. To rearrange the conclusion above, class time should be increased to a necessary amount or a special activity math class should be organized and provide sufficient learn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Above all, it is an urgent issue that mathematic should deal with problems relating to daily life to shut out students negative thoughts towards it or let students become familiar with mathematics through fun games. With this, students will regain their interest in math and the academic deficiency will be solved.

      • 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의 복부전산단층촬영 예비판독의 정확성에 대한 평가

        강문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응급실에 내원하는 급성 복통 환자에서 복부 전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는 정확하고 빠른 진단을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응급실에서 복부 CT의 정확한 판독능력은 응급의학과 의사에게 필요한 것 중의 하나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비외상성 복통을 주소로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에서 시행한 복부 CT의 임시 판독문의 정확성을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영상의학과 전공의와 비교하여 응급의학과 전공의의 복부 CT판독의 정확성에 대해 평가해 보았다. 방법: 2008년 11월 16일부터 2009년 6월 30일까지 본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전향적 관찰연구를 시행하였고 이 기간 동안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영상의학과 전공의에 의해 시행된 복부 임시 판독문을 수집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응급의학과 전공의와 영상의학과 전공의에 의해 시행된 복부 임시 판독문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에 의해 판독된 최종 판독문과 비교하여 판독오류 정도를 평가하였다. 복부 CT의 판독오류는 환자의 진단, 치료, 퇴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총 884명의 환자들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복부 CT의 판독오류는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16.7%, 영상의학과 전공의는 12.2%였고, 여성 생식계와 기타장기(복막, 부신, 근골격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응급의학과 레지던트에서 임시 판독문의 판독오류가 더 높았다. 결론: 비외상성 복통 환자에게 시행된 복부 CT에서 응급의학과 전공의는 영상의학과 전공의에 비해 여성 생식계, 복막, 부신, 근골격계의 장기들의 판독오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is widely used as a diagnostic tool in emergency medicine to accurately diagnose abdominal pain. Emergency medicine residents must be able to offer preliminary interpretations of CT imaging.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reliminary interpretation ability of a sample of emergency residents presented with adult abdominal CT images, and compared their results with those of radiology resid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from November 16, 2008 to June 30, 2009. During this time, we gathered preliminary interpretations of consecutive abdominal CT made by emergency and radiology residents. We assessed the discrepancy rates of both samples by comparing their findings to the final reports from attending radiologists. A discrepancy was defined as a change in diagnosis, treatment, or disposition of the patient. Results: A total of 884 case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The discrepancy rates of emergency and radiology residents were 16.7% and 12.2%, respectively. For CT images of female genital organs and miscellaneous organs (peritoneum, adrenal gland and musculoskeletal system), the difference in rat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p=0.01). Conclusion: When female genital organs, peritoneum, adrenal glands, or the musculoskeletal system were abnormal, we found that emergency residents’ preliminary interpretations of CT images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ose of radiology residents. Key words: Abdominal pain; CT Scan, X-Ray; Emergency Medicine; Radiology; Radiographic Image Interpretation;

      • Furosemide의 pharmacokinetics와 pharmacodynamics에 미치는 수분제한의 영향

        강문주 숙명여자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7631

        High loop-diuretrics 중 하나인 furosemide를 48시간 수분을 제한한 rats와 control rats에 iv (8 mg/kg) 및 oral (16 mg/kg) 투여한 후 48시간 water deprivation이 furosemide의 pharmacokinetics와 pharmacodynamics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두 group 의 rats에 각각 furosemide를 iv와 oral로 투여한 후 혈장중 furosemide의 pharmacokinetic parameters률 구했으며 뇨중으로 배설된 Na^+, K^+, Cl^-의 농도를 이용해서 pharmacodynamic parameters를 구했다. IV 투여의 경우, water deprived rats에서 AUC, AUMC가 31%, 36.2% 증가했으며 CL와 CL_NR가 각각 24%, 30% 감소했다. Urine output per g kidney weight 가 20.2% 감소하였으며 g kidney weight로 나누어 준, 뇨중으로 배설된 Na^+, K^+, Cl^-의 양은 각각 22배, 4배, 24.4배가 감소했다. 뇨중으로 배설된 각 전해질의 양을 뇨중으로 배설된 furosemide의 양으로 나누어 준 natriuretic, kaluretic, chlorouretic efficiency도 4배, 2.5배, 3배씩 감소했다. Oral 투여시는 water deprived rats에서의 urine output의 현저한 감소외에는 pharmacokinetic parameters의 두 군간의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반면 pharmacodynamic parameters는 kaluretic efficiency를 제외하고는 iv에서의 data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Water deprived rats에서의 furosemide의 CL_NR의 감소는 nonrenal matabolism의 감소에 기인할 것이라고 추정되며 water deprived rats에서의 pharmacodynamics의 현저한 변화는 pharmacokinetics의 변화보다는 water deprivation 그 자체에 기인한 것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water deprivation 상태의 환자에게 furosemide를 추여할 경우 dose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effects of temporary water deprivation for 48 h on the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of furosemide were examined after intravenous (iv) administration of furosemide, 8 mg/kg body weight, and oral administration, 16 mg/kg body weight to control (n=10) and water deprived rats (n=8). After iv administration, the values of AUC and AUMC increased 31% and 36.2%, respectively, and CL and CL_NR decreased, 24% and 30%, respectively in water deprived rats. They were all significantly different. The decreased CL_NR in water deprived rats could be due to decreased nonrenal metabolism of furosemide; The contribution of biliary and GI excretion of furosemide to CL_NR after iv administration seemed to be minor, because < 5 % of the iv dose was excreted in bile or recovered in the GI tract after iv administration do furosemide to rats. The 8-h urine outputs per 100 g body weight (25.6 vs 5.18 ml) also reduced significantly in water deprived rats. It might be also due to hormonal alterations, such as aldosterone and/or antidiuretic hormone. Therefore, it suggested that the decreased pharmacodynamic effects of furosemide in dehydrated rats could not be due to the difference in pharmacokinetics. Since the renal clearances of furosemi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and water deprived rats, it might be due to the inherence of water deprived rats.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ir pharmacokinetics of furosemid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ntrol rats and water deprived rats except urine output (0-24hr). It might be due to the highly variable bioavailability of furosemide. In the case of human, the bioavailability of furosemide is reproted from 11% to 79%. The 24-h urinary excretions of sodium (Xu, _(Na^+)), potassium (Xu, _K^+) and chloride (Xu, _Cl^-) per g kidney weight also reduced significantly 3.3, 1.633 and 2.62 times, respectively. The diuretic (24.3 vs 11.3 mL/mg), natriuretic (4.74 vs 2.45 mmol/mg) and chloruretic (4.27 vs 2.58 mmol/mg) efficienc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 회귀 강화학습을 이용한 포트폴리오 자산 배분의 성능 향상 연구

        강문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산 매매 및 포트폴리오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에 제시된 회귀 강화학습(Recurrent Reinforcement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운용 모델의 성능을 향상을 위해 자산들의 미래 예측값과 인공적으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기존의 회귀 강화학습의 성능과 예측값, 인공 생성 데이터를 함께 사용한 포트폴리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여 어떤 방법을 어떻게 사용했을 때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예측값을 적용한 실험에서 낮은 예측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높은 예측 정확도에서는 더욱 향상되었다. 이 결과는 자산 예측이란 요소의 예측 성공,실패만이 중요한게 아니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해 포트폴리오 운용에 큰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실제 관측된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인공 생성 데이터를 함께 학습시켰을 때 거의 모든 경우에서 성능 향상이 되었다. 포트폴리오를 위한 회귀 강화학습에 예측값과 인공 생성 데이터가 포트폴리오 성능향상을 이끌어냄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researche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asset trading and portfolio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is paper, we use the predicted values ​​of the assets and the artificially generated data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operational model based on the existing Recurrent Reinforcement Learning. The performance of the existing regression reinforcement learning, the predictive value, and the performance of the portfolio using artificial generation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performance in spite of low prediction accuracy and high prediction accuracy. In addition, when the actual observed data and the artificial generation data were learned together, the performance was improved in almost all cases. We found that predictive and artificial creation data positively influenced portfolio performance in regression reinforcement learning for portfolios.

      • 출아효모의 세포주기 진행 결손주인 cos 변이주의 특성 분석 및 유전자 클로닝

        강문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세포주기의 진행 및 조절에 관련된 유전자들의 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변이주들의 다양한 표현형을 조사하고 관련 유전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출아효모로부터 분리된 cos1∼cos12 변이주를 대상으로 DNA 상해물질인 MMS와 HU에 대한 감수성과 함께 각 변이주의 이형 접합자를 만들어 형질조사 및 포자 형성능을 조사해봄으로써 변이주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에 따라 변이주들을 4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세포주기의 checkpoint 중 특히 S기 진행의 조절에 대한 checkpoint에 관련된 가능성을 나타내는 cos1, cos3, cos4, cos8을 포함하는 변이주군으로, 두 번째 그룹은 cos11 변이주로 세포벽 형성이 이루어지는 시기를 가지는 늦은 M기에 관련된 가능성을 보였다. 세 번째 그룹은 cos5, cos9 변이주로 단지 MMS에 약한 감수성을 보임으로써 G1 또는 G2 checkpoint에 관련된 가능성을 나타내며, 마지막 네 번째 그룹은 cos2, cos6, cos7, cos10, cos12 변이주로서 CPO에 대한 감수성 외에는 본 실험에서 조사한 방법으로는 세포분열에 관련된 어떤 표현형도 나타내지 않으므로, 이는 세포분열에 관계하지 않고 막 침투성에 관련되거나 다른 대사에 관련된 가능성이 높다고 보이는 변이주군으로 나뉘어졌다. 그리고 cos11 변이주는 다른 변이주와 다르게 이형 접합자 형질로 우·열성을 조사한 결과 우성으로 나타났고, 포자 형성능 조사에서는 결함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렇게 분리·동정된 변이주에서 결손된 유전자를 상보하는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서 gene cloning을 수행하여 cos3, cos11, cos12 변이주의 결손된 유전자를 상보하는 DNA을 얻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들 DNA 단편 내 존재하는 유전자들을 확인하였다. cos3 변이주를 상보하는 DNA 단편은 세포 내 물질수송에 관련된 유전자와 동일한 것으로 밝혀진 4개의ORF(open reading frame)와 그 기능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1개의 ORF (YIL135C)를 가지고 있었고, cos12 변이주는 세포 내 물질 대사에 관련된 유전자로 밝혀진 3개의 ORF를 가지고 있었다. cos11 변이주를 상보하는 DNA 단편은 부분적인 상보성을 보이고, 1개의 ORF (YDR260C)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이 SWM1 유전자로 확인됨으로써 cos11 유전자가 SWM1 유전자의 suppressor일 가능성을 보였다. 이에 각 변이주를 상보하는 유전자 중 그 기능이 아직 밝혀지지 않은 YIL135C와 YDR260C를 분리해 내기 위해 primer를 합성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각각 약 2.1 kb 크기와 약 1.3 kb 크기에 해당되는 증폭된 DNA을 분리해 낼 수 있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genes are related to in cell cycle progression and regulation, mutants phenotype and characterization of genes involved cell cycle were inverstigated. Which cos mutants (cos1 ~cos12)were derived from Saccharomyces cerevisiae by EMS mutagenesis, determined the sensitivity ta HU and MMS of these mutants and tested heterozygotes which were mated between wild type and mutant and tested spore form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se phenotypes, these mutants were grouped into four. Group Ⅰ mutants are cos1, cos3, cos4 and cos8 which showed HU, MMS sensitivities and might be a act at a checkpoint pathway during S phase. Group Ⅱ mutant is cos11, this mutant might be a act a late M phase which was completed cell wall formation. Group Ⅲ mutants are cos5 and cos9 which just were showed weak sensitivity of MMS and might be a act at a checkpoint pathway during G1 or G2 checkpoint. Group Ⅳ mutants are cos2, cos6, cos7, cos10 and cos12 which were independent of the cell cycle because they showed the CPO sensitivity only. Especially, cos11 mutant appeared dominant mutant and a defect in spore formation. These mutants were carried out gene cloning for the genes which were complemented the cos mutants. As a results, the DNA fragments, complemented the cos3, cos11, cos12 mutants, were cloned and sequenced. And then cloned genes were surveyed though data base analysis. cos3 gene contained five ORF which were known as related to membrane transfort and unknown function one ORF(YIL135C). cos12 gene contained three ORF which were known as related to metabolism in cell. cos11 gene was showed partial complementation and contained just one ORF(YDR260C) which was confirmed SWM1 gene. So cos11 gene might be a suppressor by SWM1 gene. For the futher understand these genes, YIL135C and YDR260C, primers of these genes were synthesized and carried out PCR, and gained the amplified DNA fragments of 2.1 kb and 1.3 kb.

      • 우쿨렐레연주 중심의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강문주 경기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악치료가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E시 J 장애인 거주 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 중 연구목적에 동의하고 참여하기를 원하는 9명의 사회복지사들이며 단일 실험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음악치료는 2013년 7월부터 6주간에 걸쳐 주 2회로 1회 60분씩 총 12회기로 시행하였고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우쿨렐레 연주를 중심으로 노래 부르기, 음악과 미술, 음악과 동작, 토의 등의 활동이 포함되었다. 우쿨렐레는 기타와 같은 발현악기로 기타의 장점을 모두 갖추고 있으면서 기타보다 배우기 쉬운 실용적인 악기이다. 음악치료 결과 분석을 위한 평가 도구로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척도(KOSS)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척도(K-CSI)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에 실시한 후 t검증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대상자들의 전체스트레스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다(p=0.008). 특히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물리환경(p=0.016), 직무요구(p=0.02), 직무자율성결여(p=0.366), 관계갈등(p=0.01 9), 직무불안정(p=0.155), 조직체계(p=0.013)의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 보상부적절, 직장문화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서는 하위요인으로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p=0.045), 문제해결중심 대처(p=0.005)의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였고, 회피 중심 대처는 근소하게 높았으나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본 연구 결과로 음악치료가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음악치료가 직무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효과적인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kulele-based music therapy on the job stress and the coping mechanism for the social workers. Within a single experimental study design, nine social workers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were assigned to a music therapy treatment group. The social workers were working at the J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disabled people located in E city. The music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o days per week for six weeks starting from July of 2013, consisting of 12 sessions in total.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ukulele playing, including various activities, such as song singing, music and art, music and movements, and discussion. Ukulele is a string instrument and has every merit like guitar. It is easy to learn and a practical instru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music therapy, this study utilized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KOSS) and Korean Coping Strategy Indicator (K-CSI). The outcome measurements were undertaken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total job stress figu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8). Especially, the figures of the job stress sub-factors: 1) job stress of physical environment(p=0.016), 2) job demand(p=0.020), 3) insufficient job control(p=0.366), 4) interpersonal conflict(p=0.019), 5) job insecurity(p=0.155), and 6) organizational system (p=0.366)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ddition, the figures of lack of reward and occupational climate were decreased but it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stress coping mechanis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total figures of pursuit of social support seeking(p=0.045), and problem solving (p=0.005). Although the degree of figure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also some increase in the figure of avoidance based mechanism. This study shows that music therapy program reduces job stress and gives positive influences on coping mechanism against stress and it also indicates that music therapy could be a viable intervention in job stress reduction and stress coping mechanism.

      • 국내 주얼리 브랜드 가치평가를 위한 인지도 조사 방법 연구

        강문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valuation of brand is functioning as an important element for a plan to establish and improve the brand strategy after this and for the evaluation of the consumer's recognition. However, the valuation is not being attained centering on jewelry brand. That is attributable to being unable to grasp the correctly market scale and the money supply due to the fat illicit market in light of characteristics in a market, and to the high-priced materials of products, such as gold and diamond. However, aiming to heighten the value of brand and to possess the important position in a market, the correct valuation needs to be attained, and to be taken advantage of merits and to be overcome demerits by understanding strength and weakness. As one method of exactly valuating the brand, this study is bringing forward investigation on the brand equity and recognition, and is suggesting merits and demerits, and supplements by each brand. Among diversely research methods for 「A research on a method of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iming at the valuation of brand」, this study investigated centering on the calculation of brand equity and on the survey of recognition through questionnaire research. It grasped the correlation by each factor, the recognition and brand equity by each brand, with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materials which were produced through questionnaire research. The brand equity is divided largely into the equity in brand itself and the equity by purchase factor. By changing this into numerical value, it can be known about how much the brand score and recognition are, and is available for comparison and analysis by brand. The survey of recognition is an item that evaluates on the brand products, supposing that consumers are aware of that brand. Through the stratified random sampling, it carried out questionnaire research targeting 250 consumers, and calculated the equity and recognition by each brand. The jewelry brand was indicated the higher score in the image and the product design than the brand name,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for the product called <jewelry>. In the face of the brand with high recognit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brand equity was indicated to be quite low due to being not essential goods. Also, it tried to divide into four groups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and the brand equity,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 and the position by each group. Like this, the greatest purpose and conclusion of the research can be said to be the possibility of examining the currently brand position through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nd the brand equity, and to be availability for the offer of materials which become the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a plan down the road. It will become the basic materials that can understand about what is necessary for the exploitation of a mar et in the future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brand through grasping the exact figure and a situation by each factor.

      • Z세대를 위한 실감콘텐츠 기반 SNS에 관한 연구 : 사용자 유형에 따른 퍼소나 중심으로

        강문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가상·증강현실 기술 기반으로 소셜 활동이 이루어지는 ‘실감콘텐츠 기반 SNS’가 Z세대들에게 인기를 얻고있다. 증강현실 아바타를 사용하는 제페토(Zepeto)는 Z세대들의 놀이터가 되었고, 페이스북은 차세대 SNS인 가상현실 기반의 호라이즌 서비스를 런칭하면서 점차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뉴미디어의 발전에 따라 소셜을 위한 콘텐츠 형식은 텍스트에서 실감콘텐츠로 확장되었고, 점차 소셜 VR 시대로 이행되고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HMD 기반의 가상현실 SNS 또는 증강현실 기술 위주의 연구가 각기 이루어졌고, 통합된 관점에서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Z세대가 선호하는 실감콘텐츠 기반 SNS 사용 행태 및 사용자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먼저 문헌 및 사례조사를 통해 Z세대들의 소셜 활동을 파악하였고, 사용자 인터뷰 (In-depth Interview)를 통해 주요 사용 행태 5가지인 ‘자기제시, 자기표현, 실시간소통, 집단성, 전문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후 설문조사를 통해 행태 키워드에 따라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사용자 유형을 ‘자기표현형, 소통집중형, 다목적활용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사용 목적과 콘텐츠 활용 방법을 기준으로 군집이 분류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는 더욱 구체적인 사용자 특징을 제시하기 위해, 앞서 발굴한 3가지 사용자 유형에 따라 퍼소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감콘텐츠라는 통합된 관점에서 해석했다는것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실감콘텐츠 기반 SNS의 방향성 및 사용자 경험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특성들을 모색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Realistic Content-based SNS, where social activities are conducted based on VR and AR technology, is gaining popularity with Gen Z. ZEPETO using augmented reality avatars is a playground Gen Z, and virtual reality-based SNS services are also on the rise. With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the content format for social activity has expanded from text to realistic content, and accordingly, it is gradually shifting to the era of social VR.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present realistic content-based SNS usage behavior and user types preferred by Generation Z. First of all, we grasped the social activities of Generation Z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and derived five main usage behaviors, 'self-presentation, self-expression, real-time communication, collectiveness, and expertise' through user interviews. Afterwards,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and as a result, user types could be classified into 'self-expression type, communication-intensive type, and multipurpose type'. It was also found that these typ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how the content is used. In conclusion, in order to present more specific user characteristics, persona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user types discovered earli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interpreted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realistic content, and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the direction and user experience of realistic content-based SN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