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여성의 체형별 토루소 원형 설계 : 25~34세 여성을 중심으로

        강명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토루소 원형은 인체 체간부의 엉덩이둘레선까지를 피복하는 원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개인별 주문생산시대에 대응하여, 체형적합도를 높인 토루소 원형을 설계하여 다양한 아이템으로의 활용 및 엠티엠(MTM: Made-to-Measure), 이지오더시스템(Easy-Order System) 등의 의류산업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2005년 제5차 한국인 인체지수조사 자료 중 25-34세의 여성 799명으로 인체측정치를 분석하고 드롭치에 따라 체형을 분류하여 각 체형별 토루소 연구원형을 설계하였다. 연구된 토루소 원형은 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착의실험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5~34세 여성의 체형을 분석한 결과 평균키는 158.6cm, 젖가슴둘레는 84.4cm, 허리둘레는 71cm, 엉덩이둘레는 91.3cm로 나타났고, 드롭치(엉덩이둘레-젖가슴둘레)는 6.8cm로 평균체형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드롭치의 분류에 따라 분류된 M(평균)체형, A(가슴이 작은)체형, H(가슴이 큰)체형의 특징을 살펴보면 M체형은 평균체형으로 드롭치의 평균이 6이며 전체의 45.9%를 차지하고 있다. A체형은 가슴이 작고 허리가 가늘며 엉덩이가 큰 체형으로 드롭치의 평균이 12로 전체의 31.8%를 차지한다. H체형은 가슴이 크고 허리가 굵으며 상대적으로 엉덩이가 작은 체형으로 드롭치의 평균이 0으로 전체의 22.3%를 차지하고 있다. 2) 체형별 1차, 2차 착의실험을 통한 토루소 연구원형을 설계함에 있어서 세꼴리식, 에스모드식이 허리둘레를 고려하지 않고 가슴둘레와 다트량으로 원형을 설계하는 반면 연구원형은 실제 허리둘레에 따라 다트량을 산출하여 허리에 피트되도록 하여 신체적합도를 높여 주었고, 가슴다트량과 앞길이에서 젖가슴둘레의 변화에 따른 치수변화로 체형별 맞음새 만족도를 높여주었다. 전체적으로 굵은 체형인 H체형의 기능상 여유분을 고려하여 여유분이 M, A체형보다 2cm 많게 설계되었고, A체형의 엉덩이둘레 여유분의 앞, 뒤 차이를 1cm줄여서 1cm로 설정하였다. 가슴이 작은 A체형은 다트분과 앞길이를 줄이고 가슴이 큰 H체형은 다트분과 앞길이를 늘여 주었고, 다트길이를 A체형은 M체형보다 1cm 길게 하고, H체형은 M체형보다 1cm 짧게 하여 허리둘레와 배둘레의 차이에도 체형별 토루소 연구원형의 적합도를 높여주었다. 3) 착의실험을 통한 타당성 검증 결과 각 체형별로 모두 연구원형의 평균점수가 비교원형에 비해 높게 나타나 연구원형의 외관이 좋음을 알 수 있었고, H체형의 연구원형 평균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본 연구의 연구원형이 H체형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능성 관능검사 실험 결과 총 8개 항목에 대한 검사에서 모든 체형에서 연구원형의 평균점수가 비교원형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각 체형별 토루소 연구원형은 드롭치에 따른 각 체형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좋은 외관과 우수한 기능성을 얻을 수 있었다. A torso length sloper is a pattern that covers by the line around hips of the trunk of the body. This study aims to apply it as various items by designing a highly suitable torso length sloper for each body type and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clothing industries such as MTM (Made-to-Measure), Easy-Order System and etc. The subject of study, 799 women aged from 25 to 34 in 5th Korean Body Mass Index Survey in 2005, was analyzed body measurements and classified drop value and then designed study torso length sloper for each somatotype. Torso patterns were verified through a sample fitting test of 6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body types in women aged 25 to 34 showed that the average height was 158.6cm, the breast circumference was 84.4cm, the waist measurement was 71cm, and the hip circumference. Drop value .(the hip circumference - the breast circumference) was 6.8cm that were close to the average somatotype. There are 3 different somatotypes classified by drop values: M(average), A(small breast), and H(large breast). The average of the drop value of the M somatotype was 6, 45.9% of the total, the A somatotype -a small breast, a thin waist, and a large hip- was 12, 31.86 %, and the H somatotype -a big breast, a thick waist, and a relatively small hip- was 0, 22,3%. 2) For designing torso study patterns through 1st and 2nd sample fitting test, asopposed to the method of Secoli or Esmode system -the beast measurement is the only consideration for calculating estimate measurements.- applying the actual waist measurement for calculating dart degree to increase the suitability due to fit in the waist, and adjusting the amount of dart around the breast and front length -Neck Point to Breast Point to Waistline-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to the breast circumference to increase the fitness satisfaction for each body type. Considering functional ease of H somatotype, a thick somatotype, the ease was designed 2cm longer than M and A somatotypes and 1cm was selected by reducing 1cm, the differences in the ease around a hip between front and back. A somatotype that has a small breast reduced darts and front length, H somatotype that has a large breast extended darts and front length, A somatotype extended 1cm of the length of dark more than M somatotype, and H somatotype shortened 1cm of the length of dark less than M somatotype in order to increase the suitability of torso study patterns for somatotypes in the differences between a waist and an abdomen circumferences. 3) As a result of the validity of verification through sample fitting tests, the research patterns for each somatotype was observ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ative patterns therefore it recognized better outward look. It is considered that this research pattern is best suitable to H somatotype, since the H somatotype was acquired the highest average score. Based on the results of functional sensory test, the research patterns was observed higher average score by total 8 itemized examinations in all body types than comparative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s, torso study patterns for each somatotype had a good outward look and excellent function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omatotype according to drop values.

      • Solanum tuberosum L. cv Hongyoung extract ameliorates DNCB-induced atopic dermatitis in NC/Nga mice

        강명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Atopic dermatitis (AD) is acute, chronic, relapsing skin inflammatory characterized by pruritus and eczema. Solanum tuberosum L. cv Hongyoung is one of widely consumed anthocyanin-rich food as well as medicinal plant having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ies. We aim to examine the inhibitory effect of SH extract on atopic dermatitis (AD)-like skin lesions induced by the topical application of 2,4 dinitrochlorobenzene(DNCB) in NC/Nga mice. SH extract was administered orally in DNCB-induced NC/Nga mice. Anti – atopic effects of SH extract were examined via measuring in symptom severity, ear thickness, scratching behavior, serum levels of IgE , Th1,Th2,Th17 cytokines in spleen and messenger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gene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in tissue. Our results showed that SH extract inhibited the development of AD-like lesions and reduced IgE level of serum, IgG1/IgG2a ratio and production of Th1, Th2, Th17 cytokines . Also, SH extract significally suppressed expression of AD-related mRNAs in lesional skin. In histopathological assay, we observed AD-like lesion’s histological changes compared to SH treated group, visualized using hematoxylin-eosin (H&E) , toluidine blue(TB) staining in DNCB-treated group, these changes were compromisd by SH treatment. We also showed that the thickening of epidermis, accumulation of inflammatory cell in DNCB-treated mice were suppressed by SH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H extract suppress the development of AD symptoms through the modulation of Th1 and Th2 responses. 아토피 피부염은 가려움, 습진에 의한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Solanum tuberosum L. cv Hongyoung 은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음식으로 항 산화, 항 염증, 항 알러지 효능을 갖고 있다. 우리는 NC/Nga mice 에 DNCB로 아토피 피부염을 유도하여 SH 추출물의 항 아토피 효과를 조사했다. 우선 DNCB로 유도된 NC/Nga mice 에 SH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다. SH의 항 아토피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피부 증상 경도, 귀 두께, 가려움 횟수, 혈청에서 IgE 정도와, 비장에서 Th1, Th2, Th17 사이토카인을 조사하고, 염증 사이토카인과 케모카인 유전자의 mRNA 발현 정도와 조직에서 염증 세포 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SH 추출물이 아토피 피부 증상을 억제하고, 혈청에서의 IgE 정도와 IgG1/IgG2a 비율을 감소시켰으며, 사이토카인의 생산 역시 감소시켰다. 또한 SH 추출물은 피부 병변 의 아토피관련 mRNA를 감소시켰고, H&E와 TB 염색된 피부 조직 검사에서 SH 처리 군이 DNCB 유도 군에 비해 피부두께와 염증세포의 축적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 SH 추출물은 Th1과 Th2의 조율을 통해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발전을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 디자인 프로모션에 관한 연구 : 프로세스 모형개발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process for model development

        강명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e product selection of today, a consensus has been formed in the definition of time of 'design competition era' in which the external factors of product such as design and service become the basis of differentiation and competitiveness. Accordingly, the birth of low-variety, small-quantity production of designer brand has made it necessary for the term 'design promotion' and clear definition of the concept. However, the situation is that the concept, role and process of design promotion have yet to be clearly defined despite the increasing social demand for design promotion through which new design key words that correspond to such era of design competition and the capability of designers can be well utilized. This is limiting the designers that seek social success and form the foundation of advancement in their establishment of design promotion concept relevant to the social change or the application of the process. Accordingly, the changes in the design promotion paradigm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extended area of design promotion into corporate designer brand marketing, design consulting and designer company and designer group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The first element of change in design promotion paradigm is the 'change in the meaning of design' of the design value expansively changing from aesthetical things into strategic business measure. Second, it is the 'change in design competition element' of providing design from service perspective than design for production at the appearance of new concept of liver from consumer that resulted from the social trend of considering quality of life important. Lastly, the task management capability and marketing capability of designers, in addition to the visual creative capability, are being considered important at the increase in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designer resulting from the 'change in the role of designer'. A clear concept of design promotion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changes in the design promotion paradigm according to design business changes of time. What is design promo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designer being in charge of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to design, marketing, promotion and sales through the use of freelancer designer and the upper network rather than a form of company managed by an individual with the precondition for performing the role of forming a long-term relationship between client and designer. To actually utilize such design promotion, one-stop environment needs to be established in which the capabilities of designer can be utilized. In this study, the steps of design promotion are divided into 6 steps Step 1. Market Research, Step 2. Brand Development and Product Planning, Step 3. Design Development Process, Step 4. Promotion Line Establishment, Step 5. Distribution/Sales and Feedback and Step 6. Development of Succeeding Model. It is providing directions according to steps and their fram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detailed steps of each step. Also, based on the field process study through the existing common process and interview with practical work designer, the following comprehensive conclusion can be made for the analysis result of design promotion process. As the according analysis result, design promotion process allows the designer to understand the entire design process and increase the detailed quality of product design through a clear setting of design concept, and the quality of final mass production product can be increased by minimizing the trial and error that can occur in the mass production process. Also, i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entire development cycle and lead tim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role of designer in addition to the product development time and overall cost reduction through organic process. Lastly, designer is able to flexibly manage the tasks and activities of corresponding project through the selection of design project and setting of design promotion process steps by applying the design promotion process by the researcher in the living product brand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proposal of forecast model.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in assisting in the spread of designer brand and various business model development by providing more expanded concept on design promotion and establishing business capabilities of designer. 오늘날 제품 선택에 있어 디자인과 서비스 등 상품 외제적인 요소가 차별화와 경쟁력의 기초가 되는 ‘디자인 경쟁 시대’라는 시대적 정의에 공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품종 소량생산이라는 디자이너 브랜드가 생겨남으로 디자인 프로모션이란 용어와 개념의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디자인 경쟁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디자인 키워드에 주목하고 디자이너의 역량을 풀어나갈 수 있는 디자인 프로모션의 사회적 요구가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인 프로모션의 개념, 역할 및 프로세스 등이 아직 정확하게 정의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사회적 성공과 발전기반을 형성하고자 하는 디자이너들에게 시대적 변화에 적합한 디자인 프로모션 개념구축이나 프로세스 적용에 한계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프로모션이라는 확장영역에서 기업의 디자이너 브랜드 마케팅, 디자인 컨설팅, 디자이너 기업 및 디자이너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함으로써 디자인 프로모션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디자인 프로모션 패러다임의 변화의 첫 번째 요소는 디자인의 가치가 미학전인 것에서 전략적 비즈니스 수단으로 확대 변화되는 ‘디자인 의미 변화’이다. 둘째, 생활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적 경향으로 인해 소비자에서 생활자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여 생산을 위한 디자인 보다는 서비스 관점에서 디자인을 제공해야 한다는 ‘디자인 경쟁요소 변화’이다. 마지막으로 ‘디자이너 역할변화’로 인해 디자이너 역할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시각적 크리에이티브 능력뿐만 아니라 디자이너의 과업 관리 능력과 마케팅 능력도 중시되고 있다. 시대적 디자인 비즈니스 변화에 따른 디자인 프로모션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디자인 프로모션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립을 하였다. 디자인 프로모션이란? 클라이언트와 디자이너의 장기적인 관계(Long-term relationship) 형성이라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전제조건을 가지고 한 사람이 운영하는 기업의 형태가 아닌 프리랜서 디자이너와 그 위에 있는 네트워크를 함께 사용하여 디자이너가 기획부터 디자인, 마케팅, 홍보, 영업 등 개인이 모든 과정을 주도하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 프로모션의 실직적인 활용하기 위해서 디자이너의 역량을 풀어나갈 수 있는 원스톱 제반 환경을 구축을 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프로모션의 단계를 6단계로 분류하여 Step 1. 시장조사, Step 2. 브랜드 개발 및 상품기획, Step 3.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 Step 4. Promotion Line 구축, Step 5. 유통/판매 및 feedback, Step 6. 후속모델 개발로 제안한다. 이를 통한 각 단계별 세부 단계에 대한 이해 아래 단계별 방향과 그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통상적인 프로세스와 실무 디자이너 인터뷰를 통한 현장 프로세스 연구를 통해 디자인 프로모션 프로세스의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은 종합적 결론을 정립할 수 있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로 디자인 프로모션 프로세스는 디자이너로 하여금 디자인 과정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고, 디자인 컨셉을 정확하게 설정하여 제품디자인의 세부적 완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양산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시행착오들을 최소화하여 최종 양산제품의 퀄리티(Quality)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유기적인 프로세스를 통해 제품 개발 시간 및 전체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디자이너의 역할 확장으로 전체 개발 사이클과 리드타임을 축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예측 모형제안으로 본 연구자가 리빙 제품 브랜드 개발 과정에 디자인 프로모션 프로세스를 적용함으로써 디자인 프로젝트의 선정과 디자인 프로모션 프로세스 단계를 설정함으로써 디자이너는 해당 프로젝트 과업과 활동에 대한 운용을 융통성 있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프로모션에 대한 보다 확장된 개념을 제공하고 디자이너의 비즈니스 능력을 확립함으로써 디자이너브랜드의 확산과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돕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전통음식관련 무형문화재의 개념 및 육성방안

        강명아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음식분야를 중심으로 한 무형문화재에 관한 연구로서, 무형문화재 제도속에서의 음식분야에 대한 지원과 전승실태를 파악하여 그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책을 제언함으로서 우리 전통음식의 위치를 재조명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문화재 보호법 상의 무형문화재 제도의 예·기능 분야의 관계법령과 문화재 관리국이 제공하는 다양한 학술자료와 문헌자료를 토대로 실태를 조사했으며, 그리고 외국의 무형문화재 제도를 검토, 비교하였다. 현재 중요 무형문화재 총 113종 중, 음식분야는 ‘조선왕조 궁중음식’ 과 ‘향토 술 빚기’ 단 2종으로 지난 30년간 변동이 없으며, 시. 도 지정 건수까지 포함하면 총 32종목이다. 전승자로는 4명의 보유자와 하나의 보유단체가 있으며, 전수교육조교와 이수자도 각각 1명과 17명뿐이다. 한식의 다양성과 우수성이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여타의 예. 기능 분야와 비교해서 무형문화재로서 음식분야의 지정건수가 눈에 띄게 미진한 것을 이 논문에서는 크게 전통음식에 대한 연구부족과 전승교육에 문제가 있다고 분석해 보았다. 전통음식 연구의 부족함을 나타내는 근거로는 지정종목의 분류체계의 난점에서 비롯되는 지정기준의 모호성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 다양한 전통음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30년간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음식 분야는 단 2건으로 변동이 없다는 것에 있다고 하겠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글에서는 전통음식의 다각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음식 분류체계 확립과 무형문화재 전문위원회 설립의 필요성 그리고 무형문화재 음식분야의 계승과 원형보전을 위한 철저하게 기록하여 관리하는 필요성을 서술하였다. 전승교육의 실태조사를 통하여 전승교육자의 수가 적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원인으로 크게 제도적이 측면과 사회구조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다.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전승회관의 부족과 보유자의 계승활동의 부진함, 사회 구조적인 측면에서는 현대교육과 전통음식의 연관성 부족 등을 지적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통 식문화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심어주는 한편 보유자들의 공개강연 및 체험교육을 통한 전수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우리나라는 전통음식을 무형문화재 제도 하에서 보호하고 있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나라로서, 이는 전통음식을 소중히 지켜나가기 위한 노력의 일환일 것이다. 이 같은 노력은 무형문화재 제도가 실질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상을 적극 고려할 때, 현대문명과 더불어 변화하는 식생활 속에서 전통음식을 지켜 갈 수 있으며, 동시에 무형문화재의 근본목적에 부합될l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thesis, basis on the food field in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ims to reconfigure the position of the traditional foods by taking look at the problems and describing the better changes after investigat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supports and transmission system in the instituted protection system. For this study, we have examined clauses related to an art- skilled category in the cultural properties of protection law and actual conditions based on the vary scientific data and documentary records data offered by the cultural property committee. Plus, we have examined the foreign policies of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we have compared with ours. Currently, There are only two items -`Royal culinary art of Joseon Dynasty' and `Making local liquor'- in the food field out of 113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There have not been changes at all over the past 30years. And there are total 32 items including assets designated by city and province. There are 4 skill holders, one union and one teaching assistants for transmission and 17 certificate holders. Although diversity and superior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food have been recognizing internationally, the number of designated items are just a few comparing with the rest of the others. In order to find the reasons, we analyzed two aspects regarding the lack of study on the traditional foods and education system for the transmission. Insufficiency of traditional fare study comes from the ambiguities of assignment criteria that originated the crux of classification system for a designated item, also comes from that the only two intangible cultural relics appointed cases for the last 30 years though we have various traditional foods that bear incalculable cultural value. In order to improve this aspect, this study has described an establishment fare classification system, a indispensability to set up the committee of intangible cultural relic, a requisite for record management system to succeed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fare that have incalculable value. My study has confirmed that the deficiency of traditional fare educator for handling down based on the transmission educator research, and this deficiency can be divided by institutional aspect and social structural aspect. In institutional aspect, we can point out stagnancy of accession activity and lack of transmission centre. In social structural aspect, we can point out modern education system and a lack of correlation. To end those hurdles, it is much accounted of enhancing education activity to pass down through an open & experimental lecture to understand traditional fare culture.

      • 은닉층 특징정보 양자화를 통한 고속 다층 신경회로망 설계

        강명아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1855

        The multi-layer neural network structure that uses back-propagation algorithm to learning algorithm is often utilized for solving complicated problems of artificial perception such as pattern recognition, computer vision, and phonetic recognition. However, these calculation amounts should design a suitable optimum neural network structure to solve a big problem. Especially, in the case of multi-layer neural network structure, the decision of the number of hidden layer and hidden node is very important. The hidden node plays a role of the functional units that classifies the features of input pattern in the given question.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decides the number of hidden nodes based on back-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If the number of hidden nodes is designated very small, perfect learning is not done because the input pattern given cannot be classified enough. On the other hand, if designated a lot, overfitting occurs due to the unnecessary execution of operation and extravagance of memory point. So, the recognition rate is been law and the generality is fallen. Therefore, a neural network that consists of the number of a suitable optimum hidden node has be on the rise as a factor that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a result. The existing neural network structure design process is a field that a fixed principle does not exist, so it has depended entirely upon subjective experiencing knowledge and trial and error of neural network development experts. According to this, various researches were progressed for the optimum neural network structure design, this method decides the number of hidden node using the error sum of spreading information during attending the study.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liminates an available hidden node because this method only uses output value of hidden layers for pruning hidden node. The power of neural network is dominated by parameters of learning algorithm, especially, influenced by weights, the number of article of hidden layers, and the number of article of nodes. Therefore, this monograph suggests a method that decides the number of neural network node with feature information consisted of the parameter of learning algorithm. This method uses for the parameter of learning algorithm that improves weight and offset that were come to the front as a problem of existing back-propagation learning algorithm. When looks for new weight, the improved weight reflects the changing rate of the error about output value of hidden node used in error function, and although the output value of hidden node changes, the improved weight prevents the error changing. The improved offset rule can restrain vibrating phenomenon reaching at the global minimum value as reflecting total errors changed by h e in offset, which uses sigmoid function for the threshold function. It can seek for the feature information of hidden layer using the improved weight, offset, and output value of hidden layer, and the feature information is used for the estimated value pruning the hidden node. It excludes a node in the pruning target, that has a maximum value among the feature value obtained and compares the average of the rest of hidden node feature value with the feature value of each hidden node, and then would like to improve the learning speed of neural network deciding the optimum structure of the multi-layer neural network as pruning the hidden node that has the feature value smaller than the average.

      •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명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국문초록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심리전공 강명아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동의 읽기 지도의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로서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 방법을 적용한 후 그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초등부 정신지체 아동 14명을 선발하여 각각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를 적용하고, 비교집단에는 일상적인 읽기 지도를 적용한 후 낱말 및 문장 읽기 평가지에 의해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두 집단의 읽기 능력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정신지체아동의 낱말 읽기에 있어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를 적용한 실험집단과 일상적인 읽기 지도를 적용한 비교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문장 읽기에 있어서도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를 적용한 실험 집단과 일상적인 읽기 지도를 적용한 비교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김미녀(2001)의 연구에서도 나타났는데, 즉 동요를 통한 읽기 교수전략을 실시한 유아가 동요를 통한 읽기 교수전략을 실시하지 않은 유아들보다 읽기 발달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동요와 같이 간단한 멜로디를 가진 노래들은 아동의 읽기 자료로 매우 효과적이라고 한 연구결과(Kuhmerker,1969; Cardarelli,1979; Lamme,1979; Harp,1988; Renegar,1990; Barclay & Walwer,1992; Kolb,1996)와 일치한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과정 중에서 나타난 정신지체 아동들의 학습태도에서도 전통적 읽기 지도법을 적용한 비교집단의 정신지체아동은 읽기 학습에 자신감을 보이지 않고, 반복학습에 지겨워하며 학습과제 수행에 있어서도 회피하는 태도를 보였던 반면에,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정신지체 아동은 수업에 흥미를 가지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동요 노랫말에 나타나는 낱말과 문장을 익히는데 리듬과 멜로디를 흥얼거리며 자유스러운 분위기에서 낱말과 문장을 읽을 수 있었고, 수업에 집중하는 시간 또한 길어짐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아동이 동시나 동요를 읊어보는 동안 낱말과 문장 등을 저절로 알게 된다는 이경우· 이은화(1994)의 연구와, 아동의 읽기 학습은 어떠한 압박감 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이기숙(1985)의 연구, 학습에 있어 아동들의 능동적 참여와 자발성을 강조하는 Chomsky(1972), Vygosky(1982), Smith(1984), 김영실(1991), 조정숙(1997)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그리고, 아동이 낱말과 문장을 익히는 과정에서 동요의 리듬과 운율, 노랫말의 재미있는 표현이 읽기 학습의 단조로움과 반복의 지루함을 피하고, 즐거움으로 글자에 관심을 가지게 하는 촉진제의 역할을 하지 않았나 생각된다. 이것은 노랫말을 읽기 자료로서 인쇄물의 형태로 제시하면 아동들은 그 노래의 단어나 문장구조에 더 쉽게 접근하고 익히며, 이것은 읽기의 학습뿐 아니라 읽기를 좋아하도록 강화할 것이라는 Kolb(1996)의 연구에서도 밝히고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다음의 결론과 같다. 첫째,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낱말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일상적인 읽기 지도를 적용한 비교집단과 동요 읽기 교수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낱말 읽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일상적인 읽기 교수법보다 동요 읽기 교수법이 정신지체아동의 낱말 읽기 지도에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둘째,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문장 읽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낱말 읽기 능력에서와 마찬가지로 일상적인 읽기 지도를 적용한 비교집단과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를 적용한 실험집단의 문장 읽기 능력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일상적인 읽기 지도보다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문장 읽기 지도에 효과적인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정신지체아동의 흥미와 자발적인 학습 참여유도, 지적 수준에 맞는 운율, 쉬운 줄거리로 이루어진 다양한 장점을 지닌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법이 정신지체아동들의 읽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그 효과가 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실험처치 기간 중 방학을 맞이하게 되어 실험시작일과 종료일까지 같은 환경과 조건에서 실험을 하지 못하고 방학동안 실험이 중지되었다가 개학과 동시에 다시 시작한 실정이었으므로 실험결과에 있어 정신지체아동의 학습내용에 대한 망각과 혼잡정도 등이 반영되는 등 약간의 오류는 있을 수 있다고 본다. 또한 읽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지로서 실험동요 노랫말의 낱말과 문장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이는 정신지체아동의 지적특성상, 정해진 짧은 기간동안의 읽기 교수방법에 의한 읽기 능력의 향상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부득이하게 실험기간 중 학습된 내용을 검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정신지체 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법의 적용에 대한 추후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가 정신지체아동의 읽기 능력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으므로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정신지체아동의 지적수준에 맞는 선율과 노랫말의 내용 선별이 중요하므로 정신지체아동에게 적합한 음악 선정을 연구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연구 기간의 제한으로 동요 노랫말의 낱말과 문장으로 평가하여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법이 효과적이었음을 입증하였으나 추후에는 객관화 할 수 있는 읽기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동요를 이용한 읽기 지도법이 읽기 지도에 효과적임을 밝힐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The Effects of the Reading Instruction using Children's Songs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ading Proficiency Kang, Myung-a Major in Educational psychology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Lee, Young-jae,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 reading instrucion methods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reading instruction with children's songs on a mentally retarded child's reading proficiency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a traditional reading instruction.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set up in this study.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ho are taught reading with children's songs would get a higher score in reading words than the control group who are taught reading in a traditional method.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 who are taught reading with children's songs would get a higher score in reading sentences than the control group who are taught reading in a traditional method. The subjects were 14 mentally retarded students (graded 3 to 5) at 2 special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G city, Chungnam province and O city, Junbook province respectively. They were equally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reading instruction method with children's song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reading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The effects of two methods were evaluated by means of a post-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ding instruction with children's songs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s word reading. Statistically,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o whom a traditional reading teaching method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reading instruction with children's songs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s sentence reading. As with word reading,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ading proficiency degrees of both groups. We can tell from these results that children's songs are helpful in improv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ading abilities, when considering that they prompt the children to interest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consist of rhythms and lyrics suitable for their intelligence. Consequently I'd like to suggest these with subsequent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the reading teaching method with children's songs to facilitate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ading proficiency. First, it is true the reading instruction method with children's songs which proved effective to mentally retarded children should be applied in a real situation, but more important is the selection of rhythms and lyrics suitable for their intelligence. So I'd like to suggest subsequent studies on the selection of songs suitable for mentally retarded children. Second,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research period, this study proved only through the tests of words and sentences that children's songs are effective in a reading instruction. So I expect to conduct subsequent researches, using an objectifiable reading test sheet, to prove the above fact.

      • 映像處理를 위한 前處理 Algorithm의 種類 및 特性分析

        강명아 朝鮮大學校 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1855

        There has been no fixed rule of pre-processing course required to do image processing that it was barely possible to find the proper pre-processing course, only to process with experience till now. In this paper , lots of application method of pre-processing algorithm, only available by the non-typified and experiential method, shall quantify and the algorithm method of the algorithm according to the rule shall calculate the frequency of the value of each pixel gray level and the histogram of the image. And then average i t to all pixel number and finally set a high-ranking or optional % standardized by the average value on the standard value. The result of a experiment showed the Median filter is superior to the Mean filter in all image of the smoothing filter. The good result turned out when to the Sobel filter the above-average pixel number takes up 50%, to the Roberts filter 40%, and to the Cross filter the above average pixel number is below 40%.

      • 6·7차 교육 과정의 함수 지도 방안 비교

        강명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This thesis aims to diagnose students' understanding of a function in the 6th and 7th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improve methods of teaching a function by comparing those two curriculums. For this purpose, 66 first graders and 81 second graders of a middle school at Daejeon Metropolitan City are selected at rand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tudents learning the 7th curriculum can understand concept concerning a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better than those learning the 6th curriculum. 2. The students of 7th curriculum tend to be confused the problem such as y=x/a(a≠0) and the inverse proportion problem, y=a/x(a≠0). It shows that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eaching that kind of problems. 3. It is frequently found the students of 7th curriculum tend to think as follows. If more than two elements of X correspond to one element of Y simultaneously, they do not regard it as a function. Thus teachers should offer students that kind of problems. 4. The students of 7th curriculum know well that both direct proportion and inerse proportion are functions itself. The problem that the students stick to this concept excessively. And they do not understand that there exists a function which is neither direct proportion nor a inverse proportion. So teachers should give many examples of those fun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