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MOS/N_(2)O ICP-CVD 방법에 의한 SION 증착 연구

        강명석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CP(Inductively Coupled Plasma) 발생장치를 인가하여 플라즈마 화학기 상증착법인 PECVD(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방법을 이용하여 SION(Silicon Oxynitride)를 증착하였다. 플라즈마 형성가스로는 N_(2)및 Na_(2)O를, 반응가스로는 유기실리콘소스인 TMOS(tetramethoxysilane)가스를 이용하였다. ICP뿐만 아니라 substrate에 별도의 독립적인 RF전압을 인가하였다. 방전 중에 OES(Optical Emission Spectroscopy)를 통해서 플라즈마 구성입자들의 intensity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In-Situ Ellipsometer로 SION의 두께 및 굴절률을 실시간 측정하였고,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스펙트럼으로 SION의 화학적 bonding을 조사하였다. C-V와 I-V를 측정하여 박막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XPS(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로 원자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박막의 광 방출 특성은 Photoluminescent로 튜닝효과를 관찰하였다. 여러 실험변수들을 변화시켜가며, OES로 진단한 Plasma 상태와 박막의 전기적인 광학적인 특성사이의 관계를 이용, 최적의 증착조건과 박막성장 mechanism을 규명한다.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of SION thin films using TMOS(tetramethoxysilane) and N_(2)O plasma was investigated. Deposition were carried out in a PECVD reactor with a inductively coupled plasma source. Substrate was powered with another power supply (RF). Optical emission intensity of the plasma property is measured owing to optical emission spectroscopy. The deposited SiON layers are analyzed by In-Situ ellipsometr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layer was investigated by C-V and I-V characteristic curves. With these tools, the effects of parameters such as ICP power, substrate bias power, N_(2)O partial pressure ratio, total pressure on the properties of the film and of the plasma a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lasma composition and the quality of the deposited film was investigated.

      • BESS를 이용한 풍력발전단지의 출력 안정화

        강명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output power generation at Haeng-won wind farm in Jeju and how to control the output power of wind farm with BESS for stabilizing power by using the actual data of Haeng-won wind farm from 2009.3 to 2010.2. Output characteristics of Haeng-won wind farm is confirmed by analyzing the fluctuation rate of power for 1 min, 10 min and 30 min using the actual data. By using the moving average method, the optimal saturation time is found at 30 min. So, the 2.45 MWh is fixed for the capacity of battery, and the rated power of inverter is determined 2 MW by the histogram of battery output requirement. To control the stabilizing power, the output smoothing, SOC feedback and reference time variable control methods are used. Wind farm, batteries and inverter modeling are carried out by using PSCAD/EMTDC simulation program. As a result, the proposed control methods show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output power of wind farm.

      • 靑砂浦 海域의 波浪變形 豫測模型에 관한 硏究

        강명석 동아대학교 산업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he Nearshore zone greatly emphasis in recent years. Generally, The Phenomena of Nearshore zone is composed of three compoments. Firstly, wave deformation model, secondly Nearshore current model and bottom topography deformation model. A study on the discussion very importance wave model. We can get the wave height and wave direction using the hyperbolic mild slop equation considered the reflection wave. Radiation Stress the driving force of flow was calculated by the Watanebe and Maruyama who proposed on the partial standing wave. In the surf zone, applying the Izumiya and Horikawa's turbulent model considered the bottom friction and energy dissipation. This model is apply in the CHUNGSAPO sea area. The results obtained for agreed well with in shoal existance complex sea area. This model is expected so helpful to solve the pridiction of the wave deformation model of the Nearshore zone in the future.

      • 腐蝕形成에 따른 供用中인 無塗裝 耐候性綱僑의 擧動分析

        강명석 서울産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도장 내후성강은 도장과 재도장이라는 강재의 최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강재로서 도장을 실시하지 않아도 강재 자체의 성분 변화에 의해 도장의 도학 역할을 하는 층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무도장 내후성강의 성능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내후성강재의 재료적 성질을 잘 이해하여 이에 적합한 설계, 상세, 시공 및 유지관리를 실시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별도의 무도장 내후성강교량의 점검기준이 미흡하여, 장기간의 모니터링에 의한 현장측정 및 구조거동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하천에 위치한 내후성 강교량이 상대적으로 안정녹 형성이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연결부에 필연적으로 발생한 틈새로의 습기(안개) 유입으로 분석되며 이에 대한 설계 및 시공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하학적 변단면을 가지는 내후성 강교량의 경우 지점부의 퇴적된 토사 및 부식 가루가 안정녹 형성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무도장 내후성 강교량은 가급적으로 기하학적 변단면 형상을 회피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현장 조사 결과 흑피(mill scale) 제거 유무가 안정녹 형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시공시 표면처리(blasting)의 중요성이 분석되었다. 무도장 내후성강 안정녹 형성에 따른 공용기간중의 단면 감소는 교량의 구조거동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적으로 분석되었으며, 단면 감소에 따른 임계좌굴하중은 비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층상박리녹에 의한 부분단면 감소는 임계좌굴하중에 크게 영향이 미치지 않을 것으로 분석 되었다. 하지만 공식(pitting)발생시에는 응력집중 현상으로 비선형 좌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servicing weathering steel was developed for overcome its the greatest defect which should be coating and re-coating it. This material is form the layer which act on a membrane according to the unstable rust progress. However, very few applications of this technique can be found in steel structures, therefore the field test and analytical study by using the monitoring of a long period of time a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behavior of the servicing weathering steel bridge. From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weathering steel bridge in placed on waterways underestimate the stable rust progress, it caused by an inflow of humidity into crevice at the splice. Also, the accumulation of sand and rust dust is interfere with the stable rust progress in case of the weathering steel bridge with variable section, and with the comparing the results of field test which carried out before don't remove mill scale with the results of field test which carried out after remove mill scale, it is investigated that blasting can be effective increase the stable rust progres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crease of section according to the stable rust progress is little affect the structural behavior and the critical buckling load decrease proportionally with decrease in section. And it is investigated that the decrease of partial section according to the unstable rust progress is scarcely affect the critical buckling load. However, in case of pitting occurred, it is need to analyze the nonlinear buckling because of stress concentration.

      • 팀制 類型이 組織成果에 미치는 影響 : 은행 사례를 중심으로

        강명석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체제 이후 은행 조직은 지속적인 인수합병, 외국계 대주주 은행등장 등으로 과거와 다른 경영환경에 노출되었고 영업환경 또한 저성장기 시대로 접어들면서 조직내 관리직의 비대현상, 노령화, 항아리형 조직구조 등으로 유연한 조직 운영방식이 필요하기 시작하였다. 환경변화 속에서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조직의 역량 구축방안으로 팀 조직이 시행 및 활용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일부 부정적인 결과가 왜 발생하는지, 팀제 조직 도입운영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 것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S, I 은행 사례를 통하여 첫째 팀 조직의 개념 및 특성과 중요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함으로써 팀제 유형이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기존 연구논문은 개별 팀 조직 도입 및 운영실태, 경영성과 등에 관한 부분별 연구만 이루어졌다. 둘째 은행조직의 특성을 고려한 팀 조직의 유형이 조직성과의 다양한 변수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 셋째 글로벌/개방화된 금융시장 여건 및 규모/범위의 경제가 적용되는 현실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최적의 팀 조직은 어떠한 것을 고려하여야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S, I은행 조직구성원 총 2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설 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받는 형식을 취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연구결과, 본 연구모형에서 설정한 독립변수인 4가지 팀제유형중에서 대부대과형과 복합기능형은 종속변수의 대부분인 업무협조정도, 조직애착도, 임금만족도, 조직몰입 등 거의 모든 조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고, 나머지의 팀제유형인 프로젝트형과 문진형은 조직성과의 어느 변수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조직성과 변수 중에 의사결정변수에는 팀제유형의 어느 것도 영향을 미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비록 서울소재 2개의 은행을 대상으로 152명에 대한 응답결과라는 제한적 특성이기는 하지만, 의미있고 비교적 새로운 연구결과라고 조심스럽게 평가해 볼 수 있으며, 앞으로 진전된 연구를 하는데 단초적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fter the IMF system, due to the union of numerical strength and the appearance of overseas banks, the bank was exposed to a management environment that was different to the past. The business environment began to need flexible systematic operating methods. due to the beginning of non growth period. In the changed environment as the organization`s extermination plans for competing position guarantee, brought awareness on what effects the team organization management has on system outcomes and why there are negative outcomes even tough the organization team is operated and used. With awareness of the problems, through the examples of S and I banks, we hope to see firstly, how the introduction of team organization has effected the development, by researching the concept of the system, characteristic, and the importance of all the team organization.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 essays only made researches on individual tea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Secondly to see how the team organization, which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nk system, is responding to the various changes of organizations development. Thirdly to see what the suitable team organization has to consider for continuous development. in the reality where economy evolution financial market conditions and size apply. This research set 200 members of S and I banks as research targets and handed out surveys and receiving the answers. The evident research result of this research, In the 4 kinds of team types whic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that was set up by this research model, it was found that lending blunder form and multi function form has considerate effects on almost all formations such as work cooperation limit, organization fondness level, wage satisfaction level and organization devotion, which are majority of subordinate variables. It could be seen that between formation and variable. nothing of team type was effecting anything in intension decision variable. Even though is a limited character which is a response result of 152 people targeted to the 2 banks positioned in Seoul, it can be carefully appraised as relatively new and meaningful research result, it is thought that there will be a foundational meaning in doing an advanced research in the future.

      • 통영지역 공공미술과 교육적 방안 : 중학교과정 중심으로

        강명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공미술은 미술과 일상을 연결하는 가교이며 그 역할에 따라 공공성의 확보는 물론, 일반인들의 미술에 대한 인식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미술은 사회의 여타 장르나 영역보다도 도시의 시각적 환경에 참여해 미술과 도시, 시민과의 관계를 풍요롭게 만들 수 있다는 역할 등으로 인해 공공미술에 대한 발전적 논의를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지점에 와있다. 공공미술의 설치근거인 건축물 미술장식제도는 우리나라에 공공미술을 정착시키기 위한 첫 ‘걸음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공공성을 기본으로 설치되어 지는 미술영역인 만큼 건축물 미술장식제도에서 다룰 수 없는 부분인 일반대중과의 소통 문제는 지역마다 각기 다른 양상을 띠고 나타난다. 현재 통영지역에는 다수의 벽화, 조각작품 등을 비롯한 공공미술 작품이 제작˙설치되어 있지만 모든 작품들이 대상 건축물이나 주변 환경, 시민들과의 긴밀한 상호 연관성을 갖췄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에서 시작된 본 연구는 통영지역의 도시공간을 바람직한 미적인 환경으로 조성하고 학생과의 긴밀한 소통을 위한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가 향후 통영지역 공공미술 발전을 위한 참고자료가 되어 공공미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발전적 모색이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 錦江 中?下流地域 靑銅器時代 中期 聚落 硏究

        강명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Songgukri type of culture in the middle of Bronze Age is the period that society’s complexity increased, and rapid social changes appeared such as a differentiation of the space and function within a settlement occurred. During this period,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Guem river area was a center of Songgukri type of culture and identifies various types of settlements, but previous studies only analyzed on the settlement type and scale separately. So,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we would derive a better result by applying both factors in the analysis of the settlement site.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settlement site and studied houses, pits, tombs, and etc. that can be found in settlements and focuses on dividing settlements as a main settlement and sub-settlements and verifying it. For this purpose, in chapter 2, we divided the downstream area of the Geum River as five river system regions and studied distributions and surroundings of Songgukri type of settlements. The settlement locations were generally at the top of low hills or upper part of low hills near the river, and this geographical environment has been found the same even though the natural environment of each site was different. In chapter 3, we look at the location and type of the settlement and analyze data about dwellings and tombs. In addition, we summarize the classification of the settlement and features in accordance with the distribution. As a result, we thought the most importantly considered conditions for the settlement location were an accessibility of water and views of surrounding area, and we assumed that was why settlements were located at the top or upper part of low hills. Dwellings identified in the settlement area of the midstream of the Geum river that is considered to be the center of Songgukri type culture were mostly found each type’s A, and these A type dwellings are assumed as the Songgukri’s original form, and higher rates of other types of dwelling are found toward the outer.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Ⅰ and Ⅱ type is considered reflecting all aspects of hierarchy and regional difference since relatively type II are mainly seen in the central area. In terms of Songgukri’s tombs, we look at primarily materials of tombs; Stone cist tombs are identified mostly in almost all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Geum river area, and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re identified around the northern Jeonbuk area. The numbers of jar coffin tombs and pit tombs are few, but those are identified in all regions. These results are similar with previous studies, but there are some different results such a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We separated the pit tombs from existing pit tombs with stone covers in this paper in particularly reviewing only on the graves identified in the settlement site results. For future study, we recommend to review the existing remains of tombs to complement the study. Settlements are categorized as complex settlement eternally, special settlement, general settlement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remains and as large settlement, medium settlement, small settlement depending on the quantity of the remains In chapter 4, we verif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of Bronze period settlement. We checked how many different regions appear in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Geum river area by setting a connection between settlements based on the surrounding geographical environmen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we used to divide as a main settlement and sub-settlements in previous chapter. As a result, there are seven regions from A to G, but its sizes were not the same. Region C and E were identified as relatively larger than other regions. Also region G which is located in Samchoen is not the largest regions as two previously mentioned regions, but i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n the northern Jeonbuk area. We als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of Bronze period settlement and its change over time by comparing with earlier Bronze period’s positions of settlement, dwelling, types of settlements. In this paper, throughout the study of Songgukri type culture settlements in midstream and downstream of Geum river, we verified the then society’s complexity was increased unlike previous time and concluded that regional groups with the cultural homogeneity as Songgukri, having a padding field as a living, had close relationships. 청동기시대 중기의 송국리 유형 문화는 사회 복합도가 증가하고 취락 내에서는 공간과 기능의 분화가 발생하는 등 급격한 사회변화가 나타나던 시기로 이때의 금강 중·하류 지역은 송국리 유형 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는 취락 유적들이 확인되고 있는데 그동안의 연구에서는 취락에 대한 유형의 분석과 규모를 개별적으로 분석하는 것에만 그쳤다. 따라서 양자를 모두 적용하여 취락 유적을 분석한다면 조금 더 명확한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취락 유적을 분석하고 취락의 내부에서 확인되는 주거지, 수혈, 분묘 등을 함께 연구하여 취락 유적을 중심취락과 하위취락으로 나누고 이를 검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금강 중·하류 지역을 5개 수계지역으로 구분하고 송국리 유형 취락의 분포와 주변환경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취락은 대체로 하천의 인근에 위치한 낮은 구릉의 정상이나 구릉 상단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지형적인 환경은 각 유적이 위치한 지역의 자연환경이 다르더라도 동일하게 확인되고 있다. 3장에서는 취락의 입지와 유형을 살펴보고 주거지와 분묘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취락의 유형별 분류와 함께 분포에 따른 특징 등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입지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었던 것은 수계에 대한 접근성과 주변 지역에 대한 조망권으로 생각되며 주로 낮은 구릉의 정상이나 상단에 위치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취락에서 확인되는 주거지의 경우 송국리 유형 문화의 중심지역으로 생각되는 금강의 중류지역에서는 대부분 각 형식의 A형만이 확인되어 A형식의 주거지들이 송국리식 주거지의 원형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외각으로 갈수록 다른 형식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된다. Ⅰ형식과 Ⅱ형식 사이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Ⅱ형식이 중심 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는 양상으로 볼 때 이러한 분포 양상은 위계와 지역적인 차이를 모두 반영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송국리식 분묘에 관해서는 취락에서 확인된 묘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석관묘는 금강 중·하류의 거의 전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고 석개토광묘는 전북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확인된다. 옹관묘와 토광묘는 확인되는 수량은 적지만 역시 전 지역에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와 대부분이 비슷한 결과로 확인되지만 석개토광묘와 같이 일부 다른 결과도 나타나는데 이는 본고에서 기존의 석개토광묘에서 토광묘를 분리하였고 특히 취락유적에서 확인된 분묘만을 대상으로 검토를 진행한 결과로 생각된다. 따라서 기존의 분묘유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향후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장에서는 중기 취락의 성격에 대해 확인하였다. 앞장의 각 지역에서 중심취락과 하위취락으로 구분한 내용에 따라 이를 주변의 지리적인 환경에 따라 적용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취락 사이의 연결 구조를 설정하고 금강 중·하류 지역에서 몇 개의 권역이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A부터 G까지 총 7개의 권역이 확인되고 있는데 다만 권역 사이에 동일한 규모로 확인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C 권역이나 E 권역과 같이 규모가 큰 것으로 생각되는 권역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삼천에 위치하는 G 권역은 앞의 두 권역과 같이 가장 큰 규모의 중심권은 아니지만 다른 권역 보다는 큰 규모가 확인되고 있어 전북 북부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권역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기취락이 가지는 특징적인 점과 전기의 취락과의 입지, 주거지, 취락의 형태 등의 비교를 통하여 중기 취락의 특징과 변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결국 본고에서는 금강 중·하류 지역 송국리 유형 문화 단계의 취락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사회가 이전 시기와는 다르게 사회 복합도가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수전을 생업의 기반으로 하는 송국리 유형 문화의 특징으로 이러한 문화적 동질성을 가지고 있던 집단이 일정한 지역별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하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