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술계 고등학교의 해금 실기교육 실태 :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강리경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금은 독주 악기로서 뿐 만 아니라 국악 관현악에서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악기로서 요사이는 대중적인 인지도도 높은 편으로 국악을 전공하려고 입문하는 학생들 사이에도 선호하는 국악기 중의 하나이다. 본고의 연구 목적은 국악교육 중에서 해금교육에 도움이 되고 효율적인 참고가 되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악 교육현장에 많은 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는 국립국악고등학교와 서울국악예술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알아보고 총 117명 중 조사에 응답한 111명의 해금 전공 학생들을 통한 설문 조사 방법을 통해 교육내용, 전문교과와의 연관성, 수업형태 등의 교육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고등학교의 전공 편성을 보면 공통적으로 가야금·거문고·대금·피리·해금·아쟁·정가·민요·판소리·국악이론·작곡·타악전공이 있으며 국악예고에는 가야금 병창 전공이 더 편성되어있다. 국악고는 360명 중 56명, 국악예고는 600명 중 61명의 학생들이 해금을 전공하고 있으며 국악고는 정악과 산조를 같은 비중으로 국악예고는 정악 보다는 산조나 민속악에 비중을 두고 교육하고 있다. 해금을 전공악기로 선택하게 된 동기를 묻는 질문에서는 독특한 ‘악기의 소리가 좋아서’가 66.7%로 가장 많았으며 해금의 실기교육 시기에 대해서는 73%가 중학교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전공 선택의 만족도를 묻는 응답에서는 국악고 77.4%, 국악예고 69%가 ‘만족’ 의외로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29.3%가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많은 만족치 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전공 선택 시기 및 실기교육 시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추측된다. 현재 해금의 전공 수업은 1:1 지도가 아닌 6인 이상의 그룹지도로 일주일에 6시간씩 수업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은 1:2정도의 지도 방법으로 심도있는 전공 수업을 원하고 있다. 정악 수업은 일주일에 국악고 3시간, 국악예고 2시간이며 가장먼저 배운 곡은 수연장지곡이다. 정악 교재는 79.3%인 88명이 곡의 해설이나 전체의 곡이 수록된 CD 같은 것이 첨가된 교재를 원하고 있다. 산조 수업은 일주일에 국악고 3시간, 국악예고 4시간이며 국악고는 한범수 류로 시작해서 지영희 류로, 국악예고는 지영희 류로만 수업하고 있으며 두 학교 모두 여러 유파 중에서 지영희 류(87.4%)를 선호하고 있다. 정악과 산조 중 어느 분야를 더 잘하고 싶은 질문에서는 국악고 77.4%, 국악예고 58.6%로 산조라고 응답하였으며 특이하게 국악예고 36.2%의 학생들이 정악을 잘 하고 싶다고 응답하고 있다. 민속기악 수업은 두 학교 모두 대풍류와 민요를 92.7%가 배운바 있으며 창작곡 역시 국악고 98.1%, 국악예고 56.9%가 경험한 바 있어 해금의 실기교육이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미리 지도나 수업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해금 실기와 전문교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시창·청음, 음악사, 음악이론, 합주, 실내악, 반주법, 음악감상, 합창·합주, 음악일반, 연주 등의 교과목은 수업효과가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반면 국악예고 1학년 국악이론, 3학년 컴퓨터와 음악 교과목은 해금실기 교육에 도움이 안 된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의 하루 평균 연습시간은 1시간에서 3시간이 가장 많으며, 반면에 30분 이내로 연습을 하는 학생들도 19%로 나타나고 있어 차이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많은 학생들이 연습을 하지 않는 이유는 전공선택 만족도와 연관지어 생각할 수 있겠다. 현재 전공 학생들이 소지하고 있는 만족한 상태의 악기는 2대 이상이며, 실기연습은 학교 연습실이 가장 잘되는 장소라고 응답하고 있어 학교의 연습실 확보나 교육환경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는 92.8% 대학진학이라고 응답하고 있으며 3.6%의 ‘인간문화재로부터 사사’ 라고 응답한 학생들은 대학진학보다는 소수이지만 인간문화재 같은 명인을 통해 보다 심도있게 공부를 하고 싶다는 소신있는 응답도 있어 이채롭다 하겠다. 고등학교나 대학 졸업 후에는 관현악단, 대학원진학, 교사, 작곡가, 지휘자, 민족음악연구, 국악 선교사, 방송연예계, 무대매니저 등 전공분야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기를 희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ot only as a musical instrument for a solo but as an essential instrument in an orchestra of Korean classical music, a haegeum(a two-stringed fiddle) which has had a high level of popular recognition these days is one of the instruments of Korean classical music preferred by the students who enter a school to major in the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the material which is helpful, efficient, and referential to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in particular, to haegeum education. For the study, I tried to explore the curricula of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that produce many talented people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examine the actual conditions of education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relevance to expert subjects, and forms of class through the survey research of 111 students majoring in a haegeum, who responded to the research, among total 117 students. The majors of the two high schools commonly consist of Gayageum(a twelve-stringed harp), Geomungo(a six-stringed harp), Daegeum(a large transverse bamboo flute), Piri(a double-reed oboe), Haegeum, Ajaeng(a bowed seven-stringed instrument), Classical Music As A Song, Folk Song, Pansori(a traditional Korean narrative song), Theories of Korean Classical Music, Composition, and Percussio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has an additional major of Gayageum Byungchang(singing playing the gayageum).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56 among 360 students major in Haegeum, while 61 among 600 students major in Haegeum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The education of the former school deals with classical music and Sanjo equally, whereas the one of the latter places greater weight on Sanjo or folk music than classical music. In the question of why a student chose a haegeum as his or her major instrument, the response that the peculiar 'instrument sounds good'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66.7%. For the time of a practical haegeum education, 73% of the students showed the response that it is good to begin it from middle school days on. In the question of how a student is now satisfied with his or her selected major, 77.4% of student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69% of student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showed the response of 'satisfactory', while the response of 'unsatisfactory' accounted for the percentage of 29.3%. It is guessed that the response of 'unsatisfactory' accounting for a large percentage is not unrelated to the time of major choice and the time of a practical education. Now, haegeum major classes are given for six hours a week in the form of guiding a group consisting of over six people, not one-to-one guidance. However, students want in-depth major classes to be given in a way of about one-to-two guidance. Classical music classes are given for three hour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for two hour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per week. The piece that students learn first and foremost is Mittoduri. Eighty-eight students accounting for the percentage of 79.3% want the teaching materials with added explanations of pieces or something like CD including the whole pieces. Sanjo classes are given for three hour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for four hour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per week. The former school gives classes ranging from the Han Bum-su Sect to the Ji Young-hee Sect, while the latter gives classes only on the Ji Young-hee Sect. Both of schools prefer the Ji Young-hee Sect(87.4%) among various sects. In the question of which field a student wants to be good at in classical music and Sanjo, 77.4% of student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58.6% of student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showed the response of 'Sanjo'. Unusually, 36.2% of students in the latter school showed the response of 'classical music'. For folk instrumental music classes, 92.7% of students in both of schools have learnt Dae(bamboo) Pungryu and folk songs. A creative piece has been also experienced by 98.1% of students in Na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High School and 56.9% of students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which indicates that students were given guidance or classes according to their levels before a practical haegeum education. For the relevance between haegeum practice and expert subjects, they showed the response that the subjects such as Sight Singing and Ear Training, Music History, Music Theories, Ensemble, Chamber Music, Accompaniment, Music Appreciation, Chorus & Orchestra, the General of Music, and Performance were helpful to class effect, but that the subjects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ories for Grade 1 and Computer and Music for Grade 3 in Seoul Traditional Arts High School were not helpful to a practical haegeum education. The hour range from one hour to three hours accounted for the largest percentage in students' daily average exercise hours and the students practicing within half an hour accounted for 19%, which indicate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The reason why many students do not practice will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how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selected majors. Majors now possess two or more instruments in satisfactory condition. They show the response that school exercising room is the optimal place for practical exercise, which suggests the importance of exercising room secured by a school o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the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a high school, 92.8% of students showed the response of 'going on to college', whereas 3.6% of students responding with 'studying under human cultural assets' peculiarly showed the confident response that they wanted to study in more depth through the famous persons such as human cultural assets even though their number is small. I could know that after graduating from a high school or a college they hoped to be active in various fields besides their majors such as an orchestra, going on to graduate school, a teacher, a composer, a conductor, a study on national music, a missionary of Korean classical music, the broadcasting entertainment world, and a stage manager.

      • 현악영산회상 해금선율의 분절과 구조

        강리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해금 악곡을 학습하고 연주할 때 선율의 흐름이나 구조 등 악곡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현악영산회상의 여러 악기 선율 중 해금선율을 대상으로 그 선율적 기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금선율의 구조를 재해석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피리의 악구・쉼표・숨표 및 해금의 선율형 등 음악적 요소를 기준으로 삼아 현악영산회상 해금선율의 분절(分節)을 나누고 그 분절을 통해 악곡의 선율적 기능과 구조를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악영산회상 해금선율의 분절요소 및 형태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피리의 분절요소는 악구와 쉼표・숨표의 세 가지가 있다. 이 중 악구와 쉼표는 상령산부터 가락더리까지에서, 악구와 숨표는 상현도드리부터 염불도드리까지에서 많이 나타났다. 해금선율의 분절요소는 하현도드리와 염불도드리를 제외한 나머지 7개의 악곡에서는 ‘지속형분절’이, 하현도드리와 염불도드리에서는 ‘하행형분절’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타령과 군악의 경우 ‘지속형분절’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지속+상행이나 지속+하행 또는 지속+변화 등과 같은 ‘복합형분절’이 그 다음으로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즉 피리의 분절요소는 속도가 느린 악곡의 경우 쉼표, 속도가 빠른 악곡의 경우 숨표가 많이 나타났다. 해금의 분절요소는 속도가 느린 악곡의 경우 ‘지속형분절’이 가장 높은 출현비율을 보이며, 악곡의 속도가 빨라질수록 해금의 ‘하행형분절’과 ‘복합형분절’의 순서로 출현비율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금선율의 분절 중에는 ‘연음선율’ 형태가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형태는 상령산에서 13회, 중령산에서 6회, 세령산과 가락더리에서 3회, 상현도드리에서 2회, 하현도드리에서 1회, 염불도드리에서 3회 출현하였다. 따라서 연음선율에 해당하는 분절점은 분절요소들에 의하여 분절이 나누어졌으나, 이와는 달리 연주 상에서는 피리의 연결구 역할을 하는 양상이 보이기도 하였다. 둘째, 분절과 장단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현악영산회상 구성 악곡 중 가장 느린 장단을 사용하는 상령산과 중령산의 두 곡은 모두 제1대강과 제4대강에 분절지점이 위치하였다. 그러나 상령산은 제1대강과 제4대강의 마지막 박에서 분절하는 반면, 중령산은 제4대강 두 번째 박인 16박 혹은 제4대강 네 번째 박인 18박에서 분절하기도 하였다. 상령산 제2장과 제3장에서는 5:3:5:3으로 규칙적인 대강수의 비율을 지니는 반면에, 중령산에서는 대강수의 비율이 넓고 확장된 형태로 출현하고 있어 상령산과는 다른 모습을 보인다. 세령산부터 군악까지에서는 장단이 끝나는 장구점 즉 ‘더’에서 해금선율이 분절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악절의 기능을 기・경・결・해로 구분하고, 이에 따라 현악영산회상 구성 악곡별 단락의 기본 구조를 재구성한 결과, 현악영산회상 구성 악곡의 해금선율은 ‘기-경-결’과 ‘기-경-해-결’의 두 가지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단락이 구성된다. 즉 상령산에서 가락더리까지는 ‘기-경-결’, 상현도드리부터 군악까지는 ‘기-경-해-결’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두 부분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악영산회상의 악곡별 기본구조는 ‘기-경-결-해’로 이루어진 민속음악을 포함한 전통음악의 일반적인 구조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긴 호흡의 음악이라 할 수 있는 현악영산회상을 선율적 구조를 이해하고, 그 선율을 해석함에 있어 장단이나 악장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했던 부분들을 해금선율의 분절의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관악기의 호흡을 바탕으로 악구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불어 해금과 가장 유사한 선율을 지닌 피리선율을 통하여 그 흐름을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피리와 해금 각각의 분절요소를 적용하여 해금선율의 분절점을 찾고, 분절과 분절사이의 악절을 파악한 후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악의 흐름을 고려한 분절을 근거로 현악영산회상 해금선율의 구조를 재구성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분절과 선율의 구조적 흐름을 유형화 한 결과는 앞으로 보다 더 나은 전통음악 연주를 위한 밑거름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 해금 창작 독주곡 분석 연구 : 이성천의 독주곡 50번 <어른이 된 아기 고양이> & 독주곡 57번 <여치와 달과 사슴>

        강리경 용인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해금창작곡에 있어서 표제음악이 다수를 차지하는 작곡가 이성천의 작품 중 독주곡 제 50번 <어른이 된 아기고양이>와 제 57번 <여치와 달과 사슴>을 분석하여 그 음악적 내용을 이해하고 연주하는데 있어 연주에 보다 구체적인 도움이 되기 위해 연구하였다. 이들 두 곡은 모두 각 악장별로 표제를 갖으며 선율은 장고반주를 갖는다. 각 악곡의 형식은, 독주곡 제 50번 <어른이 된 아기고양이>의 제1악장은 □-□-□-□, 제 2악장은 □-□-□, 제 3악장은 □-□-□′-□-□′로, 독주곡 제 57번 <여치와 달과 사슴>의 제 1악장은 □-□-□-□-□, 제 2악장은 □-□-□′, 제 3악장은 □-□-□″로 구성된다. 각 악곡의 특징은 첫째, 이야기에 따른 음악의 시간적 전개이다. 또 다른 표제음악의 주제가 특정대상을 묘사한 것에 비해 시간적 전개에 따라 음악이 구성된다. 둘째, 고양이, 여치, 사슴 등 이야기의 주인공을 표현한 표제적 음형이다. 이러한 음형이 각 악곡 내에 전체적으로 사용됨으로써 통일성이 부여되고 그 내용을 보다 생기있게 전달한다. 또한 이들 표제적 음형은 직접적인 소리묘사가 아닌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림을 그리는 듯한 상상력을 요구하는 표현방법이다. 셋째, 몇 가지의 주요 리듬형이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이것은 단순히 반복만 되는 것이 아니라 확대, 축소의 방식을 취하고 있다. 주요리듬형의 반복은 악곡 내에서 통일성을 부여한다. 넷째, 장고의 역할이다. 장고는 해금과 같이 표제적 음형을 형성하기도 하고 해금과 응답구조를 갖기도 할 뿐만 아니라 전통 장단 리듬을 엄격하게 요구하기도 한다. 따라서 장고는 단순히 반주의 역할만이 아니라 해금과의 상호보안의 관계를 유지하여 표현의 수법을 넓혔다. 즉, 해금만의 독주곡이라기보다 해금과 장고의 중주곡과 같은 형태를 띠고 있다. 이렇듯 독주곡 제 50번 <어른이 된 아기고양이>와 제 57번 <여치와 달과 사슴>은 표제가 갖는 내용을 소리를 통한 직접묘사가 아닌,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그 내용을 상상하도록 하는 간접적 묘사를 통한 음악동화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기존의 전통음악과 그 맥을 달리하는 표제음악이라는 또 다른 영역으로 해금 악곡의 표현의 폭을 넓혔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wo pieces of Haegum solo, composed by Lee, Sung-chun and to give concrete help for players in comprehending the musical context. Among Lees famous program musics, this study analyzes solo No. 50 <A grown kitten> and solo No. 57 <A grasshopper, the moon and a deer> These two pieces have titles for each chapter and the melody goes with Jang-go. Each piece shows its form as follows; solo #50 capt.1 □-□-□-□, capt.2 □-□-□, capt.3 □-□-□′-□-□′ solo #57 capt.1 □-□-□-□-□, capt.2 □-□-□′, capt.3 □-□-□″. There are four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se two pieces. Firstly the music flows along the story line. This is very different point considering other program musics, which usually focus on describing special objects, not moving with time. Secondly, title patterns are used to show the characters such as kitten, grasshopper, and deer. These title patterns played wholly in each piece, give a unity on a music and deliver the meaning of sound more animatedly. Moreover, the title pattern doesnt describe the sounds directly, but it requires imagination to listeners. Thirdly, several main rhythms are used repeatedly with expanding and reducing. This way of repeating similar rhythms makes a unity. Finally, Jang-go plays an important role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Jang-go harmonizes with Haegum making the title patterns and they builds ask-and-answer style. Sometimes the rhythm strictly complies with traditional way. So the compositions are rather a Haegum and Jang-go duet than a Haegum solo. In short, solo No. 50 and No. 57 can be called music tales, which describe the titles indirectly by requiring imagination to the audience. Such way of telling music-progrm music,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 broadened the area of Heagum solo.

      •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심리적 계약 위반을 매개효과로

        강리경 高麗大學校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이 조직 냉소주의를 경험하는 데 있어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 사이에서 심리적 계약 위반이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공공기관 조직도 민간기업 만큼이나 변화의 흐름에 자유로울 수 없다는 상황에 주목하여 공공기관 조직 중 하나인 우정사업본부 조직구성원이 지각하는 조직냉소주의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냉소주의와 심리적 계약 위반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냉소주의와 심리적 계약 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수립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냉소주의에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계약 위반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정사업본부 소속 우체국에 근무하는 직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응답자 중 유효한 27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냉소주의와 심리적 계약 위반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냉소주의와 심리적 계약 위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계약 위반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냉소주의와의 사이에서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그동안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않은 공공조직인 우정사업본부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냉소주의에 초점을 맞추어 무엇이 조직냉소주의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가를 일련의 과정을 통해 분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은 급속한 조직환경 변화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조직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사업성과 달성을 통한 긍정적 조직발전을 위해서는 비전을 제시하고, 상사·부하 간 상호 신뢰를 통한 활기찬 조직문화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변혁적 리더십의 발휘가 필요함을 알려주고 있다.

      • Molecular Engineering of Blue Fluorescent Molecules Based

        강리경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full-color displayapplications, efficient blue, green and red emitters are requir ed, Highly efficient and stable green OLEDs have been realized. Red, organic emitting diodes with improved efficiency and stability have been reported. Deve- loping blue light emitters is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full-color displays. Although many blue-light emitting dyes have been developed for OLEDs, there is still a clear need for further improvements in terms of efficiency and color purity. In this study, we described synthesis and electroluminescent properties of a new series of blue emitting materials based on Diarylamine Substituted fluorene having Si moiety. 1~10 exhibited a blue light emission in OLEDs. Devices using (1~10) as a dopant with a structure of ITO/DNTPD/NPB/1~10 (10%) doped in MADN/Alq3/LiF/Al wer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By using 1 as emitting layer, high-efficiency blue OLEDs were fabricated, showing a maximum luminance of 25690cd/m2 at 9 and the luminous efficiency of 11.2cd/A at 20 mA/cm2 and CIEx,y coordinates for (x=0.146,y=0.245) at 8 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