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상치에 강인한 다중 모달 감정 인식을 위한 모델 정규화 기법 및 사후 모달리티 억제 기법

        강도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중 모달 감정 인식(Multi-modal emotion recognition, MER)이란 피험자들의 감정 (혹은 감성)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영상 신호 뿐만 아니라 비디오로부터 얻어지는 음성 그리고 텍스트 신호들까지 함께 활용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컴퓨터 비전 연구이다. 단순히 얼굴 표정 변화만으로 피험자의 감정을 파악하는 얼굴 표정 인식과 달리, 이 MER 연구는 대상의 얼굴에서 드러나지 않는 감정 변화들을 다른 모달리티로부터 포착할 수 있다. 그래서, 자연스러운 환경에서 감정 인식에 이 MER 연구는 최근 유행하고 있다. 하지만, 멀티모달 입력 특성 상, 하나의 모달리티가 오염되거나 다른 모달리티와 다른 감정정보를 갖고 있을 때, 최종 인식 성능에 큰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모달리티 분포의 통계적 차이에 근거하여 감정 인식에 덜 유용한 모달리티를 탐지하고 억제하는 참신한 접근법을 제안한다. 오직 모달리티 융합을 위한 모델 학습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테스트 페이즈에서 모델에 입력되는 멀티모달 입력들의 영향력을 조율하는 것에 주목한다. 서로 이질적인 입력들로 구성된 MER 데이터셋 특성 상 입력들의 영향력 조율은 큰 성능 변동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각각 연속적인 감성 레이블과 이산적인 감정 레이블로 주석된 두 개의 MER 데이터셋에서, 제안된 기법은 탐지된 모달리티가 실제로 예측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이상치 억제 방식은 여러 백본 기법들에 즉석으로 부착되어 최대 21%의 MER 성능을 달성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장은 다중 모달 감정 인식 태스크 및 제안하는 기법에 대한 배경 및 개요 설명하고, 2장은 관련 연구를 소개한다. 3장은 제안 기법의 세부사항을 기술하며, 4장은 본 기법의 검증을 위한 실험 디테일 및 결과들은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5장은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결론을 제시한다.

      •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대학교육의 역할 : 부산 지역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강도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대학생들의 다문화사회인식과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제안하고자한다. 설문은 다문화사회에 대해 국내 대학생들의 인식을 세분화하여 조사하기 위해 총 다섯 종류의 항목으로 진행하였다. 각 항목은 문화다양성, 문화교류, 다문화수용성, 취업 및 고용 차원, 대학교육으로 구성되었고 5점 Likert척도와 서술형 문항으로 결과를 수집하였다. 국내 대학생들이 평소에 인지하고 있는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문화다양성 척도에 나타난 결과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구성원에 대한 인식이나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으나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및 이주민과의 관계나 교류에 대한 측정을 위한 문화교류 척도에서 응답자들은 다문화가정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관습과 문화에 더 익숙해져야한다는 조사 결과를 통해 상호문화에 대한 교류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며 다문화가정 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적응을 위해 더 노력해야한다고 생각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과 타문화에 대한 배경지식여부를 통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정도를 조사하기 위해 다문화수용성 척도를 통해 응답을 수집하였다. 응답자들은 외국인 유학생과 소통이 부재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문화차이를 느낀다고 조사되었으며 대학에서 국내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원활한 교류를 위한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국내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는 매우 높은 편이며 따라서 국내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에 대한 인식이 대학 내 인식을 넘어 다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으로 확대될 것으로 가정하고 취업 및 고용 척도를 조사하였으며 응답자들이 다문화가정 구성원들로 인해 내국민들의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내국민과 이주민 및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지원 유형이 달라야한다는 응답이 대다수였기에 국내 대학생들이 다문화가정구성원으로 인해 취업이나 고용부분에 있어 큰 위기를 느끼거나 다문화구성원과의 사회적 공존에 있어 거부감은 없지만 지원 유형에 있어 차별을 두어야 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설문 결과를 통해 다문화사회에서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대학교육의 역할을 4가지로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필요하다. 국내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선택교양과목 뿐 아니라 필수교양과목 및 전공과목을 통해 각 전공에 융합한 교과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연계가 중요하다. 둘째, 다문화수용성을 위한 전공 연계 교육과정 개발을 제안한다. 전공 연계과정을 통해 다문화가정 구성원과 공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으며 학과 뿐 아니라 대학 전체 내 학생 간 소통을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 취업 연계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한다. 취업연계프로그램을 통해 대학차원을 넘어 사회차원에서까지 다문화수용성의 증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대학 내 전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인식개선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대학생을 위한 다문화수용성 증진 교육은 학과, 학교 차원의 노력과 학교 내 구성원 간의 융합을 통해 진행되어야하며 국내 대학생들과 외국인 유학생의 의견을 수립하여 인식개선교육을 계속적으로 개발해야한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서 대학차원에서 다양한 교육적 노력이 이뤄져야하며 지속적으로 다문화연계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연구해야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강도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Based on Cooperation using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Children's Math Activity program Submitted by : Kang, Do-Hee Adviser : Chae, Young-R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developing and applying an early childhood math activity program based on cooperation using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The research questions selec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composition of the cooperative-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1-1) What is the educational purpose and goal of the cooperative-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1-2) What i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cooperative-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1-3) How i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cooperative-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1-4) How is the evaluation of the cooperation-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effect of the cooperation-based mathematical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2-1) What is the effect of cooperation-based math activity programs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on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s? 2-2) What is the effect of cooperation-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2-3) What is the effect of the cooperative-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on the social skills of young children? 2-4) What is the effect of cooperation-base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on communic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In [Research Question 1], the theoretical basis necessary for program development was prepar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analysis related to program development and a proposal for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The final program was compos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ogram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validity of the program proposal for experts and preliminary application to the educational field. The final developed program consisted of goals and objective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system. The educational purpose of developing a cooperative-based children's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was set as 'to promote holistic development by performing mathematical activities in cooperation with children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positive mathematical attitudes are formed through mathematical activities.’ ‘Solving various problems through mathematical activities and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process of achieving a common goal, interact with peers in a variety of ways to enhance social skills’, ‘Cultivate communication skills by talking with peers through math activities.’ The educational goals were set as follow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rogram consisted of content categories of math activities. The teaching-learning stage was established to explore famous paintings ⇒ find mathematical concepts in famous paintings ⇒ form a group ⇒ engage in mathematical activities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 evaluation. The role of the teacher was emphasized as a motivator, facilitator, interactor, encourager, mediator, and evaluator. Program evaluation is a program process evaluation tha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e program implementation process through teacher evaluation and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addition, the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sisted of the evaluation of program effect analysis, which evaluates the effect through the tools of mathematical attitude, problem-solving ability, socia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Research Question 2], 32 children of 5-year-old (16 experimental group, 16 comparison group) were sele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operative-based early childhoo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for total 8 weeks and it were conducted with 24 program activities from 25th of October to 17th of December, 2021. In experimental group, the cooperation-based child math activity program development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and to the comparison group, an individual math activity program for children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was applied. The dependent variables sele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operative-based early childhoo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were mathematical attitude, problem-solving ability, socia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test using the SPSS 22.0 program. Here is a summary of the effect of validating the field application feasi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f a cooperative-based early childhoo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First, the result of the post-test on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s, 'total mathematical attitude' and sub-domains of mathematical attitude, 'interest in mathematics', 'self-concept of mathematics', 'perception of tasks', 'encouragement and in 'expectation', it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Second, the result of the post-test on the child's problem-solving ability,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in 'classification', 'pattern', 'number', 'measurement', 'figure', and 'statistics' scor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Third, the result of the post-test on the sociality of infants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in ‘Total sociality’ and ‘Cooperation’, ‘understanding others’, ‘interaction between peers’ which are sub-domains of socia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n 'autonomy' a sub-domain of sociality. Fourth, the result of the post-test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infants, it was found that the scores of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hildren in the comparison group in 'Vocabulary', 'Language Expression', and 'Language Comprehension', which are sub-domains of 'total communication ability' and creativ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based children's math activit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was effective in improving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s, problem-solving skills, soci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It can be said that the cooperative-based early childhoo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can be applied to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s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 am expecting the cooperative-based early childhood math activity program through appreciation of famous paintings will be actively used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목표는 어떠한가? 1-2)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교수-학습방법은 어떠한가? 1-4)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2-1)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3)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4)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에서는 프로그램의 개발 관련 선행연구 및 문헌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를 통해 도출된 시사점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시안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시안에 대한 전문가 대상 타당도 검증 및 교육현장 예비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최종 개발한 프로그램은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방법, 평가의 체계로 구성하였다.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교육목적은 ‘명화감상을 통해 유아들이 함께 협력하여 수학활동을 실행해봄으로써 전인적 발달을 도모한다.’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학활동을 통해 긍정적인 수학적 태도를 형성한다.’, ‘수학활동을 통해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며 문제해결력을 증진한다.’, ‘공동의 목표를 이루는 과정에서 또래와 함께 다양한 상호작용을 하며 사회성을 증진한다.’, ‘수학활동을 통해 또래와 이야기 나누며 의사소통능력을 기른다.’를 교육목표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수학활동의 내용범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단계는 명화 탐색하기⇒ 명화 속에서 수학적 개념 찾기⇒ 집단 구성하기⇒ 협력 및 의사소통을 통한 수학활동하기⇒ 평가하기로 구축하였다. 교사의 역할은 동기유발자, 촉진자, 상호작용자, 격려자, 중재자, 평가자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교사평가와 유아평가를 통해 프로그램 실시과정에서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프로그램 과정평가와 수학적 태도, 문제해결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 검사도구를 통해 효과를 평가하는 프로그램 효과분석 평가로 구성하였다. [연구문제 2]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만 5세 유아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2021년 10월 25일부터 12월 17일까지 총 8주에 걸쳐 실시되었고, 총 24차시의 프로그램 활동이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에는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 개별 수학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유아교육현장에서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타당한지 검증하기 위해 선정된 종속변인은 수학적 태도, 문제해결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이었다. 사전 및 사후검사 결과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해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의 유아교육 현장적용 타당성 검증 효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전체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에 대한 흥미’, ‘수학에 대한 자아개념’, ‘과제에 대한 지각’, ‘주위의 격려와 기대’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문제해결력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전체 문제해결력’과 문제해결력의 하위영역인 ‘분류’, ‘패턴’, ‘수’, ‘측정’, ‘도형’, ‘통계’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사회성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전체 사회성’과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협동성’, ‘타인 이해성’, ‘또래 간 상호작용’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자율성’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 간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전체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어휘력’, ‘언어표현력’, ‘언어이해력’에서 실험집단 유아들의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들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 문제해결력, 사회성, 의사소통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하며, 유아의 발달에 실질적으로 기여한 것이라 하겠다. 앞으로 명화감상을 통한 협력기반 유아 수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교육 현장에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1980년대 아동 생활글 연구 : 이오덕의 글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강도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1980년대 문학장이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들의 생활글을 살펴봄으로써 글쓰기 주체로서 아동이 담론 속에서 어떻게 표상되고 그것을 초과하여 갖는 정치적 힘은 무엇이었는지를 분석한다. 1980년대 문학을 설명하는 열쇠어로 민중을 들 때 흔히 상상되는 남성-노동자의 틀을 벗어나려는 시도가 상당히 축적된 것에 비해, 민중의 구성원으로서 아동·청소년은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다. 본고는 ‘민중적 글쓰기’ 안에 분명히 존재했던 아동 생활글이라는 장르와 이를 둘러싼 여러 담론을 재조명해 아동에게 부여된 민중으로서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고찰한다. 그리하여 민중이나 노동자 글쓰기의 역사 안에 아동 생활글을 단순히 복원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담론으로부터 이탈하는 아동의 텍스트를 통해 민중문학의 규정적 잣대였던 리얼리즘과 노동자 주체성을 넘어 아동의 글쓰기가 구축한 창조와 관계성의 공통 지대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 작업에 앞서 2장에서는 근대 교육과 문학의 제도적 발전 속에서 아동이 글쓰기 주체로 자리 잡았던 양상을 개괄적으로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문예글과 생활글 두 양식의 발달을 살펴본다. 아동의 문예글이 현상모집이라는 문예 제도 속에서 생산되어 초기 한국 아동문학의 형성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면, 생활글은 통신이나 교육 제도의 영향을 받으며 아동 전반의 글쓰기 능력을 보여주었다. 두 양식은 얼마간의 접점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구분이 뚜렷해진 것은 1960년대 초등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생활글을 하나의 문학이자 장르로 인식하는 움직임이 일어나면서였다. 여기엔 『안네의 일기』나 『저 하늘에도 슬픔이』와 같은 전후 아동 생활글 출판물이 대중적 인기를 끌었던 문화 현상도 한몫했다. 3장에서는 이러한 생활글쓰기 교육 운동의 중심부에 있었던 이오덕의 글쓰기론과 출판 활동을 통해 아동 생활글 담론을 살펴본다. 1970년대 말부터 노동자, 농민, 도시 빈민 등 기왕에 ‘저자’로 여겨지지 않았던 이들의 글쓰기가 주목받으면서, 아동 생활글 교육 역시 여러 글쓰기 단체와 출판물의 범람으로 이어지며 하나의 운동으로 모였다. 이 과정에서 이론적 구심점이 됐던 이오덕의 생활글쓰기론은 “진실한 생활의 창조”로 요약되는데, 이 진실한 생활은 사실만을 쓰는 윤리적 자세에 관한 교육적 규범(nomos)이자 실제 그대로 재현된 대상이라는 점에서 리얼리즘의 미학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규범들은 아동들의 실제 적용에서 기존의 ‘훌륭한 아동’ 형상화 전략과 유사해지면서 맹점이 드러나며, 오히려 일부 아동 생활글에서 보이는 상상과 변형, 자기증언의 세계에서 생활글의 창조성과 수행적 진실성(veracity)은 발견된다. 또 아동 생활글의 이상적 저자를 일컫는 ‘일하는 아이들’ 개념은 생활글의 수행적 창조 주체이기보다는 민중문학이 설정한 서민적 계급 주체에 가까웠다. 이는 기존의 이데올로기로 설명되지 않는 생산자이자 소비자로서 아동만이 갖는 특이한 위치를 노동계급(가족) 안에서 희석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그뿐만 아니라 일하는 삶에 대해 말하는 그 현재적 행위보다 그 결과인 계급 정체성에만 초점이 가중된다. 아동의 생활글쓰기는 주어진 환경의 재현적 결과이기보다 그 자체로 환경을 재구성하는 행위였다. 가령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노동자의 정체성을 탈피하는 일기쓰기를 통해 윤복이 학생 주체성(혹은 탈-노동자적인 프롤레타리아 주체성)을 욕망하면서 삶을 긍정성을 얻었던 데에 의의가 있었다. 그런 점에서 생활글의 공간은 현실과는 다른 주체의 타자성들이 공존하는 공간이었다. 4장은 아동이 생활글의 세계에서 발견한 자신의 타자성을 현실의 타자들에 적용하며 관계를 맺어 나가는 양상을 탐구한다. 하나의 생활글이 쓰이고 그것이 다른 글들과 만나 모음집으로 출간되는 과정에는 다양한 관계들이 개입하는데, 그 출발점으로 본고는 아동과 글쓰기 교사와의 만남에 주목한다. 민중교육운동의 자장 안에서 활성화된 80년대 생활글 교육은 프레이리식의 ‘억압된 자의 해방’으로 생활글 교사의 특수한 역할을 설명했으나, 생활글 교육의 의의는 진실한 노동자로서의 가치를 알려줌으로써 농촌 아동의 ‘열등감’을 해소한 것이 아니라 아동이 그 어떤 특수성과도 관계없이 본래적으로 무언가를 배우고 말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음을 스스로 깨닫게 한 데에 있었다. 이러한 지적해방은 교사가 ‘대화’ 이전에 ‘경청’을 통해서 그 말이 소음이 아니란 것을 알려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와 같은 신뢰 속에서 가치와 관점을 독자적으로 형성할 수 있게 된 아동은 타인의 창조성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특유의 ‘놀이 정신’에서 발동한 상상력, 그리고 학급이나 학교와 같은 공동체에서 터득한 우연성과 개방성은 아동이 낯선 개체의 감정, 특히 외로움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에 쉽게 감화될 수 있는 토대가 된다. 여기엔 아직 그 신체의 한계를 ‘모르는’ 아동의 잠재성이 작용하는바, 그 잠재성은 전혀 다른 공간이나 시간의 글, 그림, 음악 등과 묶여 또 다른 관계를 맺는 한편의 아동 생활글에도 똑같이 적용되었다. 이러한 생활글 문화는 아동이 비단 1980년대 한 시대에 한정되지 않고 더 넓은 세대와 시간을 관통하는 관개체적 공동체의 기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thesis is about children’s life-writings which mainly appeared in the 1980s when the literary field sought for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subjects. I focus on how a child as a subject of writing has been represented in the discourse of the 1980s and what was the political power of themselves exceeding the discours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until recently trying to deconstruct the male-laborer-centered image of the minjung(the people), which is a keyword of the 1980s, but few have questioned its adult-centered image and paid attention to children and young adult. By re-examining the genre of children’s life-writings located in the ‘minjung’s writing’ and the discourse surrounding it, I attempt to see the particular role of children among minjung. Howev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just to retrieve the children’s life-writings to the history of writings of the minjung or the labor, it is rather to confirm the creativity and playful aspects of children’s life-writings that cannot be explained in the normative frame of realism or labor literature. I do this by examining how children acquire agency through writing, against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modern education and literature, in Chapter 2. Children’s writings were divided into ‘literary writings’ and ‘life-writings.’ The former referred to the children’s writing produced via literary contests. This was its own system of literary production and lay the found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early stages. Life-writings, on the other hand, was composed of general writings such as diaries and letters, and these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education and communications system. The division between these two genres of writing was solidified in the 1960s whe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proposed life-writings as its own literary genre. This was also the time when the publication of children’s life-writings such as The Diary of Anne Frank or Jeo Haneuredo Seulpeumi became popular. Chapter 3 explores the discourse on children’s life-writings by focusing on the critical work of Lee Odeok, a teacher and a critic, who played a pivotal figure in furthering the life-writings. In the late 1970s, writings of factory workers, farmers, and the impoverished, those who had thus far been excluded from the literary framework as an ‘author’, started gaining footing and led a reformation of the literary field. Children’s writings and pedagogy were not immune to these changes, and educators and publishers were drawn to this genre. Lee Odeok considered children’s life-writings as the “honest creation of truthful living.” This ‘truthful living’ formed the ethos of pedagogy and was also the aesthetical foundation of realism. However, it is ironic that this ethos manufactured the representation of a ‘good child’ that children’s life-writings tried to criticize. The imagination and distortion, self-testimony witnessed in children’s life-writings reveal not literal truth but performative veracity in life-writings. Also, I argue that Lee Odeuk’s concept of ‘working children’ was less of a performative creator of life-writings and closer to the object created by Minjung literature. I rather focus on the act of the children reconstructing the world by writing about themselves, and not on the ideological discourse of their environment. Chapter 4 examines how children discovered their alterity in the world and used it to form connections with other beings. A child encountered various relations from producing a piece of writing, to eventually getting a class collection published. The teacher played a central role in their experience, and with reference to Freire’s Pedagogy, life-writings education in the 1980s established the role of a teacher as a ‘liberator of the oppressed.’ When a teacher teaches writing to a student, it is to make the child realize their own inherent ability to learn something. To accomplish this, a teacher is required to tell the student that their ‘noise’ can be a ‘word’ by ‘listening’ to them before going into ‘conversation.’ The confidence that this gives a child, allows them to form their own values and perspectives to accept the creativity of the others they encounter. The imagination activated while playing and the openness learned from the community is the foundation of many ‘affects’. Children’s life-writings related to other kinds of art forms, stretching across space and time, and the culture of life-writings constructed an emotional community expanding to other generations and time.

      • 고등학생을 위한 학업소진 예방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강도희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업소진을 겪고 있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소진 개선 및 재발방지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학업문제, 학업소진을 진단하고, Maslach & Jackson(1981)이 정의한 ‘소진’과, 희망이론(Snyder, 2002)의 토대에 Seligman(1995)의 낙관성 훈련 프로그램의 상담기법을 융합하여, 총 10회기 프로그램으로 새롭게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64명이다. 이들은 프로그램에 참여의사를 밝힌 실험집단 33명과 2학년 한 반 31명의 통제집단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개발, 효과검증 결과, 사전, 사후 자기보고 측정치에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인 무능감, 반감, 탈진 그리고 냉담이 감소하여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 자신감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프로그램 개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소진을 감소시키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미와 시사점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주요어 : 학업소진, 학습희망, 학업적 자기효능감, 비합리적 신념, 고등학생

      •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아동 불안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자녀 애착의 조절효과

        강도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이 겪는 불안의 원인은 다양하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기, 노년기에 이르는 전 생애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불안은 어느 시점에서나 발생할 수 있고 비교적 이른 연령대에서 시작하는 불안문제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이 아동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아동 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애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5세부터 만 6세까지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8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아동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우리나라 아동의 실정에 맞게 제작된 한국아동인성검사(KPI-C)를 부분적으로 수정보완하고 타당화한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KPRC; 조선미, 박혜연, 김지혜, 홍창희, 황순택, 2006)의 하위척도인 ‘불안 척도’(Anxiety, ANX)를 사용하였다. 거부민감성을 측정하기 위해 성인용 거부민감성 척도(A-RSQ; Downey, Berenson, & Kang, 2006)를 곽지혜(2016)가 개발자의 승인을 받아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성인용 거부민감성 척도(K-A-RSQ)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자녀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적 상황에서 애착을 측정할 수 있도록 황현주(2006)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먼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Pearson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다음으로 Process Macro 3.5 ver.의 Model 1을 이용해 조절효과 그래프, 단순기울기 검증을 실시하였고, Johnson-Neyman 방법에 따른 유의성 영역을 표와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어머니-자녀 애착, 아동 불안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자녀 애착은 대체로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아동 불안은 보통의 수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거부민감성, 어머니-자녀 애착, 아동 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인구학적 배경 변인 중 월평균 가구소득과 어머니-자녀 애착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그리고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아동 불안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반면 어머니-자녀 애착과 아동 불안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그리고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 간에도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월평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애착이 높다. 그리고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은 어머니의 아동은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자녀 애착이 높은 경우 아동 불안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부민감성이 수준이 높은 어머니는 자녀에 대한 애착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어머니-자녀 애착이 아동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유아연령, 유아 성별, 월평균 가구소득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거부민감성은 유의미한 정적영향을, 어머니-자녀 애착은 유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어머니-자녀 애착은 낮을수록 아동 불안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아동 불안 간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자녀 애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연령, 유아 성별, 월평균 가구소득을 통제한 상태에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아동 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애착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보였다. 다섯째, 그래프를 통해 조절효과가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방향과 강도(Strength)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낮을 때에는 어머니-자녀 애착을 통해 아동 불안이 낮았지만,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 경우 어머니-자녀 애착을 통해 아동 불안을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여섯째, 단순기울기 검증과 Johnson-Neyman 분석을 하였을 때 오히려 어머니-자녀 애착의 수준이 높을수록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아동 불안에 미치는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과 아동 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자녀 애착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낮을 때의 역할이며, 어머니의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아동 불안을 낮추는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미루어 아동 불안을 낮추기 위한 대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 상담 및 부모교육, 아동의 놀이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nxiety can occur at any time of life, from early childhood to adulthood, and even in old age, due to a variety of caus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examine early childhood anxiety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o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mother-child attachment on child anxiety.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how mother-child attachment ma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A total of 280 mothers and children aged 5 to 6 living in Gyeonggi-do were examined for this purpose. A subscale of the Korean Child Personality Rating Scale (KPRC; Cho Sun Mi, Park Hye yeon, Kim Ji hye, Hong Chang hee, Hwang Soon Taek, 2006) was used to measure child anxiety. Kwak Ji-hye (2016) developed a Korean version of th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K-A-RSQ) that was approved by the developer. Additionally, Korean mothers'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was measured using a scale developed and validated by Hwang Hyun-joo (2006). First,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es, reliability analyse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A simple slope graph and moderatting effect graph were verified using Model 1 of Process Macro 3.5 ver., and the significance areas were presented in tables and graphs based on the Johnson-Neyman model.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examining general trends in rejection sensitivity, mother-child attachment, and child anxiety indicated that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was low, and the mother-child attachment was generally high, while the anxiety level among children was moderate. A second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in mothers, mother-child attachment, and child anxie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income and mother-child attachment among sociodemographic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other-child attachment and child anxiety.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attachment to her children were also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his resulted in a higher mother's attachment to her children as a result of a higher household income. Further,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rejection sensitivity had high levels of anxiety, while child anxiety was lowwhen mother-child attachment was high. Additionally, mothers with high levels of rejection sensitivity had lower attachment to their children. As a third 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howrejection sensitivity and mother-child attachment affect child anxiety, using infant age, infant gender, and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s control variables. Asignificant positive effect was found for rejection sensitivi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was found for mother-child attachment. As a result of these findings, the higher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lower the attachment between mother and child, the higher the child's anxiety. In the fourth study, we wish to examine whether mother-child attachment mod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xiety and rejection sensitivity. We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fter setting infant age, infant gender,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s control variables. Accordingly, mother-child attachment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rejection sensitivity and child anxiety. The fifth step involved analyzing the direction and strength of the adjustment effect. Accordingly, child anxiety was decreased through mother-child attachment when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was low. Alternatively, when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is high, mother-child attachment does not significantly reduce child anxiety. Sixth, simple slope verification and Johnson-Neyma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mother-child attachment, the higher the effect of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on child anxiety.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maternal attachment might moderate the effect of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on child anxiety. In contrast, this effect becomes important when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is low. It was discovered, on the contrary, that the greater the mother's rejection sensitivity, the less she contributed to reducing child anxiety. When the influence of rejection sensitivity is substantial, there needs to be an alternative to lower child anxiety. An important aspect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basic data to facilitate mother counseling, parent education, and children's play therapy.

      •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도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scientific research skill of young children. To this end, this study establish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Research problem 1. What is the effect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of young children? Research problem 2. What is the effect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Research problem 3. What is the effect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scientific research skill of young children? 40 5 year-old young children from 2 classes in C Day Care Center located in G-si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mong them, this study selected 20 young children from 1 class as the experiment group and 20 young children from a different class as the control group. A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test’ developed by Ji Sung-Ae(2001) was used to measure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used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test tool that Huh Yoon-Jung(2001) adapted and modified and So Kyung-Hee(2007) supplemented the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 that Musser and Diamond(1999) has produced to measure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lso, to measure scientific research skill, this study used ‘a test tool for scientific research skill’ that Lee Kyung-Min(2000) has produced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Suh Yoon-Hee(2003) based on the rating scale of scientific research skill produced by Martin(1997).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experiment processing and posttest after preliminary test, preliminary experiment, teacher training, and pretest. Total 16 sessions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were conducted for 8 weeks on the experiment group. Experience sharing and drawing activity were conducted on the experiment group for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after the story sharing activity on life theme. After the story sharing activity on life theme, the control group conducted art activities related to life theme instead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This study conducted t-test using SPSS 18.0 Program on the results of preliminary 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scientific research skill of young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of young children, it was identified that the score of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of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y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s in subdomains of representation ability as ‘merge of shape and line,’ ‘a variety of colors,’ ‘detailed description,’ ‘harmonious spatial representation,’ ‘a variety of shapes,’ ‘degree of representation of subject matter,’ ‘originality of representation,’ ‘degree of completion of drawing representation,’ and ‘connection of drawing representation and verbal representation.’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of young children,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y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s in subdomains as ‘interest and love for animals and plants,’ ‘respect for life,’ ‘preference for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e conservation.’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on scientific research skill of young children,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than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y obt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scores in subdomains as ‘to predict,’ ‘to observe,’ ‘to categorize,’ ‘to measure,’ and ‘to discuss.’ To conclude, it was identified that esthetic element exploration activity using natural materials makes effect on improving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environmentally friendly attitude, and scientific research skill of young children. The result of this study signifies that it i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that improves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 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과 자연친화적 태도 및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C어린이집 만 5세 두 학급 유아(40명)을 선정하였다. 이 중 한 학급 유아 20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유아 20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2001)가 개발한 ‘그리기표상능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Musser와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The Children's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Scale-Preschool Version)을 허윤정(2001)이 번안· 수정하고, 소경희(2007)가 보완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또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위해 Martin(1997)이 제작한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척도를 기초로 이경민(2000)이 제작하고, 서윤희(2003)가 수정. 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검사 및 예비실험, 교사훈련, 사전검사를 한 후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에서는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을 8주 동안 주 2회씩 총 16회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생활주제와 관련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한 후 자연물을 통한 미적요인탐색활동에 대한 경험 공유 및 그리기 활동이 이루어졌다. 통제집단은 생활주제와 관련된 이야기 나누기 활동을 한 후 자연물을 통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은 실시하지 않고 생활주제와 관련된 미술활동을 실시하였다. 자연물을 통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자연친화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결과를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그리기 표상능력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기 표상능력의 하위영역인 ‘기본도형과 선의 병합’, ‘다양한 색채’, ‘세부적 묘사’, ‘조화로운 구성’, ‘다양한 형체’, ‘주제 관련 표상’, ‘표상의 창의성’, ‘그림의 완성’, ‘표상과 언어의 연계성’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자연친화적 태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인 ‘동식물에 대한 관심과 애호’, ‘생명에 대한 존중’,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 ‘자연보호’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자연친화적 태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측정하기’, ‘토의하기’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연물을 활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이 유아의 그리기 표상능력, 자연친화적 태도, 과학적 탐구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연물을 이용한 미적요인탐색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교육 실제 적용면에서 큰 의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의미 있는 교수방법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고 시사한다.

      • 전자여권의 보안 운용성 강화를 위한 상호인증 모델 운영방안

        강도희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여권 도입의 기본적인 목적은 여권 소지자의 바이오정보와 칩 수록 바이오인식 정보를 대조하는 과정, 신원정보면의 기재정보와 칩 수록 정보를 대조하는 과정 그리고 칩 위·변조 및 복제 방지를 위한 별도의 보안기술을 적용함으로 강한 인증과정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강화한 것이다. 그러나, 최근 세계 곳곳에서 전자여권의 보안 취약점 사례가 보고되면서 안전성과 신뢰성의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여권 보안성과 안전성을 위한 전자여권 상호인증 모델의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MAIC와 MAMC의 개념을 적용한 상호인증모델은 IC 칩 기술에 기반을 두어 신뢰성이 높으며, 적법한 출입국 관리가 이루어짐을 보증하기 위하여 서명키 암복호화를 통한 인증 및 관리자의 신원확인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MAMC를 통하여 발급 담당자의 책임성을 강화하고, 향후 전자여권에 지문정보를 탑재하는 경우에도 MOC 기술을 사용해 등록된 지문정보를 비인가자가 읽어낼 수 없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발급자 카드와 출입국관리자 카드의 설계와 운영 방안을 적용할 경우 관리자에게 MAMC를 발급해 전자여권소지자와 사용자식별의 두 가지 요소를 복합하여 인증함으로서 인증의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으므로, 여권 판독에 범용의 단말기를 사용하더라도 인증의 신뢰성과 여권소지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of electronic passports is to strengthen the security of the authentication process. It is possible since electronic passports have separate security technology for the following: the process comparing the biometrics of a passport holder and the biometric data stored in chips; the process comparing information on the personal identification page and the equivalent information in chips; prevention of chip forging and copying. As cases showing weaknesses of electronic passports have been reported worldwide, their reliability is in question. This study presents implementation methods for a mutual authentication model for the reliability of electronic passports. The mutual authentication model with MAIC and MAMC embedded is based on the IC chip technology and thus is highly reliable. To ensure lawful immigration control, it also allows authentication through signature key encryption and decryption and the identification of immigration control employees. In addition, through MAMC, the model makes passport issuers feel more responsible. Even if fingerprint information gets stored in electronic passports in the future, with the MOC technology, the model makes it impossible for unauthorized people to read the information. This study further presents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issuer cards and immigration control employee cards. With such cards in place, the authentication process becomes more reliable with MAMC issued to the employees combining the two elements of electronic passport holder and user identification. This assures the reliability of authentication and the safety of passport holders even when an ordinary device is used for reading passpo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