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벨리댄스의 한국 정착과정과 과제

        강다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it revealed the historical changes and characteristics of belly dance, and identified the development direction in terms of leisure sports, school education, and the mass media since belly dance has been introduced to South Korea in 1998 for the first time. Also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values of belly dance in healthy effects, educational effects, and public art-oriented effects. Further, it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challenges belly dance is currently facing. This paper selected liberal arts research method to utilize the literature, the previous studies, the author’s experiences and several interview data. Belly dance has been existed in the Islamic world from West Asia to the north shore of Africa, that is, it’s a dance of Arab cultures. The ancient ritual dance was the origin of belly dance and it had been distributed to the Mediterranean region by gypsies. In the Ottoman era, professional dancers had been appeared in Turkey. Afterwards, from the late 18th century to the early 19th century, it had attracted huge interests from the US and Europe regions.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in Egypt, belly dance movement elements became more abundant. Currently, it has widely propagated to the world as leisure sports and public art revealing various personalities that suit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he dance implies aesthetic features such as sensuality, vibrant beauty, improvisatorial beauty, amusable beauty and harmonic beauty. Belly dance is practiced with bare foot and the basic dance moves include hip-push, hip-lift, hip-drop, maya, hiproll, undulation, shimmy and etc. Basic costumes are a bra, long skirts or pants and hip-scarf. Often tassels or studs are decorated bra or hip to offer auditory and visual stimuli while revealing a belly. It also uses diverse props such as veil, cane, sword, fan, and wing including Arabic music and rhythms. Performances of a live band mainly use traditional instruments of Arab such as darbuka, nay, oud, bandir, and so on. In South Korea, the belly dance has been introduced in 1998 for the first time when pop cultures were ripening. Leading dancers started to be produced since 2002. From 2002 to 2005, it had been offered and spread over the whole country as one of leisure sports. After 2005, it has been selected by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s a special ability aptitude education. And this education has become a major in universities, even its boundary has widening into the performing arts field. The healthy effects of belly dance are as follows. First, it is an exercise let both aerobic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done at the same time. The dance improves physical strength and increases energy metabolism by age. In terms of mental health, it raises self-esteem and has dance meditation effects. Second, physical, intellectu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s are supported by the dance and, it develops social skills and creativity. Third, belly dance aspires toward popular arts in the artistic side. However, though today requires globalization and professionalism, belly dance has extremely poor in the foundation of academic system and only the fragmentary appearance as a pop art culture has been emphasiz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issues, the author should have targets to development challeng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belly dance teaching, academic education system establishment, ensuring independence and marketing strategy as a performing art organization, cooperation structure between belly dance organizations and desperate needs for the branded Korean belly dance as the cultural businesses. 본 연구는 벨리댄스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특성을 밝히고, 1998년에 한국에 벨리댄스가 최초로 도입된 이래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해 왔는지 생활체육, 학교교육, 대중매체의 측면에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 건강적 효과, 교육적 효과, 대중예술의 지향적 측면에서 벨리댄스의 발전하고 있는 모습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현재 당면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인문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문헌자료와 선행연구, 필자의 경험과 면담자료를 활용하였다. 벨리댄스는 서아시아에서 아프리카 북안에 걸쳐있는 이슬람, 즉 아랍문화권에서 추는 춤이다. 고대의 제의적 춤을 그 원형으로 하며 집시들에 의해서 지중해 지역에 확산되었다. 오스만투르크 시대에는 터키에서 직업댄서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 미국과 유럽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20세기 초에는 이집트에서 벨리댄스 동작 요소가 더 풍부해졌다. 현재는 세계적으로 생활체육과 대중예술로 보급되어 각 나라별 특성에 맞게 다양한 개성을 지니며 관능미, 생동미, 즉흥미, 유희미, 조화미의 미적특징을 드러낸다. 벨리댄스는 맨발로 춤을 추며 기본적인 춤동작으로는 힙푸쉬(Hip-push), 힙리프트(Hip-lift), 힙드롭(Hip-drop), 마야(Maya), 힙롤(Hiproll), 언듈레이션(Undulation), 슈미(Shimmy) 등 이 있다. 기본의상은 브라와 긴치마 혹은 바지, 힙스카프이며, 가슴과 힙의 술이나 징을 달아 청각, 시작적 자극을 주며 복부를 드러낸다. 또한 베일(veil), 케인(cane), 스워드(sword), 부채(fan), 윙(wing)등의 다양한 소도구와 아랍음악과 리듬을 사용하며 공연의 라이브밴드는 다부카(darbuka)와 네이(nay), 우드(oud), 반다르(bandir) 등의 아랍 전통 악기를 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에는 대중문화가 무르익었던 1998년 처음 선보였으며 2002년부터 지도자의 배출을 시작했다 다이어트와 신비한 댄스라는 이미지가 결합하여 각종 매스컴에서 벨리댄스 붐을 일으켰으며 2002~2005년 사이에 전국적 보급되었다. 이 춤은 생활체육의 영영으로 제공되어 2005년 이후부터는 전국적으로 보급이 확산되었고 특기‧적성 교육으로써 학교교육으로 채택되기 시작했다. 이 후 학교 교육으로서 대학과의 전공과목 개설되고 공연예술 영역으로 그 역량이 확대되고 있다. 벨리댄스의 건강적 효능으로 신체적으로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운동으로 모든 세대의 참여자에게 체력 증진과 에너지 대사를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정신적으로는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춤명상 효과가 있다. 교육적 효능으로 신체적, 지적, 심리적 발달을 돕고 특히 사회성과 창의력을 발달시킨다. 예술적 측면으로는 대중예술을 지향한다. 현재의 벨리댄스는 학문적 체계가 없고 수업프로그램이 연령별, 수준별로 다양하지 않다. 또 대중문화에서 단편적인 모습만이 강조되어 있으며 교육, 예술, 체육 등 사업별로 독립성과 전문성이 없어 이는 개선되어야 할 점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민간단체의 협력구조를 확립하고 벨리댄스 교수법의 체계화와 학문적 교육체계 구축해야 한다. 공연예술단체와 생활체육단체는 독립성을 유지하며 마케팅 능력을 확보하고 문화콘텐츠로서의 벨리댄스 역량을 개발해야한다.

      • 청년기의 상태분노, 행동 억제 체계, 익명성이 플레이밍에 미치는 효과

        강다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년기의 상태분노가 플레이밍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상태분노와 플레이밍의 관계에서 행동 억제 체계와 익명성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국적의 만 18세 이상 30세 미만에 해당하는 147명을 대상으로 분노자극을 이용하여 유발된 상태분노를, BIS 척도를 통해 행동 억제 체계를, 가상의 플레이밍 문항으로 플레이밍을 측정하였다. 또한 집단을 익명집단과 비익명집단으로 구분하여 익명성에 따라 플레이밍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태분노는 플레이밍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태분노는 행동 억제 체계와도 정적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상태분노, 행동 억제 체계와 익명성의 삼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지 검증하였다. 비익명조건에서는 행동 억제 체계의 점수가 높은 경우, 상태분노가 높을수록 플레이밍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다르게 익명조건에서는 행동 억제 체계의 점수가 낮을 경우, 상태분노가 높을수록 플레이밍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환경적 조건과 개인내적조건에 따라 플레이밍 발생의 변화가능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하였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tate anger on flaming in youth was investigat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and anonymity was explo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ger and flaming. To this end, 147 people aged 18 to 30 of Korean were tested for state anger caused by anger stimulation, a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through a BIS scale, and flaming with virtual flaming items. In addition, the group was divided into an anonymous group and a non-anonymous group to se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flaming according to anonym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tate ang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flaming. In addition, state ange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Next, it was verified whether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state anger,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and anonymity was significant. In non-anonymous conditions, when the score of the behavioral inhibition system is high and the higher the state anger, the more flaming was performed. On the other hand, in anonymous conditions, when the score of the bohavioral inhibition system is low and the higher the state anger, the more flaming was performed.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flaming occurrence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personal internal conditions using the Internet. Finally,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예방적 미술치료 차원에서 COVID-19 상황에 처한 소상공인의 미술활동 체험

        강다영 차의과대학교 미술치료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의 사회적 재난 속에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소비 관계 속에서 관계적 소외를 겪는 소상공인이 예방적 미술치료 차원의 미술 활동을 어떻게 경험하였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연구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는 예방적 차원의 미술 활동을 긍정적 정서와 새로운 일상으로 생각의 전환을 체험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 활동을 통해 감정의 변화와 평온함,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일상과 다른 경험, 몰입의 경험, 미술 재료를 활용하고 자기 의지대로 표현하는 경험을 색다르게 체험하며 평소의 생각에서 벗어나는 체험을 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에게 예방적 차원의 미술 활동은 자기를 인식하고 타인과의 소통을 확장하는 데 의미가 있었다. 과거의 자기를 되돌아보고 현재의 자기 마음을 알아차리며 전체적 삶 안에서의 자기를 인식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예방적 차원의 미술 활동을 통해 자기의 생각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삶의 방향을 설계하며 긍정적으로 자기를 인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연구 참여자는 표현한 미술 작품을 통해 지역주민과의 관계적 소통을 확장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COVID-19로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게 시각, 촉각의 감각적 자극을 통한 예방적 미술치료 차원의 미술 활동이 정서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였음을 밝혔다. 또한, 고정된 자리에서 국한되어 판매만 하는 소상공인에게 더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자 하는 욕구를 해소하여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 활동으로 스스로 자기의 마음을 인식할 수 있었고 앞으로의 삶의 방향을 설계할 수 있었으며 이는 사회적 재난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이 심리적 면역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나타내었다. 자기표현으로서의 작품은 지역주민과 공감대를 더 형성할 수 있는 장(場)을 마련하여 소비 관계 속 소외의 문제를 치유하였다. 본 연구는 예방적 미술치료로서의 미술 활동이 COVID-19 상황의 소상공인의 관점에서 어떻게 경험되었고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재난과 사회적 구조 속에서 겪을 수 있는 심리적 문제를 연구 참여자들이 미술 활동을 통해 어떻게 치유를 경험하였는지 드러내었고 추후 예방적 미술치료의 사회 속 미술 치유의 방향을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핵심 되는 말 : 예방적 미술치료, COVID-19, 예술 치유, 소상공인

      •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을 통해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강다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경로에서 학교적응의 하위요인으로서 교우관계·학업·교사와의 관계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의 6~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총 9년간 국내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구축한 종단 패널데이터이다. 본 연구에서는 6차년도(2016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7차년도(2017년)의 교우관계, 학업, 교사와의 관계, 8차년도(2018년)의 진로태도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은 6차부터 8차년도까지의 모든 조사에 참여하고 주요변수에 성실히 응답한 1,158명이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에 앞서 SPSS 25.0을 통해 주요변수들의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AMOS 25.0을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과 팬텀변수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교우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청소년의 교사와의 관계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종합해보면,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진로태도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매개변수인 교우관계와 학업을 통해 진로태도에 간접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 다른 매개변수인 교사와의 관계를 통해서는 유의미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아 학교적응의 하위 영역 중 교우관계와 학업만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진로태도 간의 경로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 전문 인력의 다문화 역량과 우리 사회의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다문화이해교육의 확대 및 활성화, 문화적응과 학교적응, 진로발달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의 서비스 제공, 진로 기초역량 강화를 위한 개인별·맞춤형 한국어능력 및 학습지원 강화, 긍정적 교우관계 경험이 가능한 실질적인 통합적 진로 프로그램 마련 등의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cculturative stres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career attitude and to empirically verify whether the school adjustment sub-factors, such as friend relation, learning, and teacher relation, have mediation effect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longitudinal data of 1,158 respondents from the 6th to the 8th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carried out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NYPI). Prior to verifying the research hypothesis, a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key variabl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AMOS 25.0.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ping and phantom variable modeling.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ly, it was demonstrated that acculturative stress does not directly affect career attitude. Secondly, it was proved that friend rel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has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attitude. Thirdly, it was proved that learning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has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attitude. Fourthly,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 relation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does not have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attitude. Therefore, the study demonstrates acculturative stress does not directly affect career attitude, but has an indirect negative effect through friend relation and learning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teacher relation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career attitude. Based on the finding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e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programs to relieve acculturative stress, expansiv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education to prevent acculturative stress, services based on an integrated perspective on acculturation,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development, strengthening individual learning support for Korean ability and basic academic skills as fundamental competencies for career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integrated programs beneficial to both friend relation and career attitude.

      • 정보 유형, 해석 수준, 정보처리 유형이 광고 평가에 미치는 영향

        강다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보처리 유형과 해석수준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심리적 거리, 정보유형, 정보처리 유형이 광고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메시지를 어떤 정보유형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할 것인가는 중요한 이슈이다. 정보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시각적 정보이고, 다른 하나는 문자와 같은 언어적 정보이다.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제시하더라도, 어떤 정보유형을 통해 전달하는지에 따라 소비자는 이를 다르게 해석한다. 정보유형이 광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해석수준이론을 통해 설명하는 기존의 연구들이 있다. 사진이나 그림과 같은 시각적 자극은 구체적이고 맥락적인 하위 해석수준과, 언어적 자극인 문자는 추상적이고 탈맥락적인 상위 해석수준과 연합된다(Amit, Algom, & Trope, 2009; Amit, Wakslak, & Trope, 2013; Rim, Amit, Fujita, Trope, Halbeisen, & Algom, 2015). 또한 정보처리 유형의 차이가 해석수준에 영향을 준다는 기존 연구가 있다(Yan, Sengupta, & Hong, 2016). 시각화(시각심상)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시각적 표상은 하위 해석수준을, 언어적 표상은 상위 해석수준을 가져온다(Amit & Greene, 2012; Yan et al., 2016). 그러나 기존 연구 중 정보처리 유형이 해석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개인차 변수로 확인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처리 유형과 해석수준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정보처리 유형에서의 개인차(시각처리자/언어처리자)와 해석수준 개인차 간의 상관을 연구하고, 정보유형과 시간적 거리의 효과가 광고에 미치는 영향이 정보처리 유형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개인차 변수인 정보처리 유형이 성향으로서의 해석수준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연구 2에서는 시간적 거리와 정보유형, 정보처리 유형이 광고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 정보처리 유형과 해석수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정보처리 유형을 측정하는 Style Of Processing Questionnaire(SOP)점수와 해석수준 성향을 측정하는 The Behavior Identification Form(BIF) 점수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SOP와 BIF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각처리 선호가 강할수록 하위해석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설 1을 지지하는 결과이며, Yan 등(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연구 2에서는 시간적 거리와 정보유형, 정보처리 유형이 광고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간적 거리를 1주일 후와 6개월 후로 시나리오를 통해 조작하였고, 정보유형은 같은 내용의 광고물을 사진 자극과 문자 자극으로 각각 제시하는 것을 통해 조작하였다. 정보처리 유형은 SOP 점수를 사용하여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적 거리와 정보유형 간의 이원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이전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이다(Amit, et al., 2009; Amit et al., 2013; Rim et al, 2015). 시간적 거리가 가까울 때, 문자보다 사진을 더 선호하였다. 또한 이는 정보유형이 다른 해석수준을 가져온다는 Yan 등(2016)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시간적 거리, 정보유형, 정보처리 유형 간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시각처리자에게 문자 정보는 시간적 거리가 멀 때와 가까울 때 광고평가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언어처리자에게서 사진 정보가 제시되었을 때, 시간적 거리가 멀 때, 가까울 때보다 선호되었다. Message can be presented by two different information types: word and picture. The information type by which message is presented can lead to different level of construal, and this can has an influence on judgment and decision. According to the previous research(Amit, Algom, & Trope, 2009; Amit, Wakslak, & Trope, 2013; Rim, Amit, Fujita, Trope, Halbeisen & Algom, 2015), while pictures include concrete representations that physically resemble objects, which a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 of construal, words cause abstract representations, which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construal. Moreover, Style of processing also has an influence on the construal level(Yan, Sengupta, & Hong, 2016). According to the visualization studies, the visual presentation leads to the lower level of construal, and verbal presentation causes the higher level of construal(Cheema & Bagchi, 2011; Amit & Greene, 2012; Yan et al., 2016).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yle of processing and construal level, and probed the influence of temporal distance, information type, style of processing on advertisement evaluation. For these purposes, two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we perform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OP(Style of Processing) and BIF(Behavior Identification Form). The first study revealed that there is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strual level as a indivisual difference and style of processing(visualizer vs. verbalizer). Visualizers are more likely to use lower level of construal, while verbalizers are more likely to utilize higher level of construal. This result supports the study of Yan et al.(2016). Then, we did experiment to discover whether SOP moderates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types on construal level in second study. We conducted three-way ANOVA.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emporal distance and information type. Word was more suitable for the distal things, and picture was more suitable for the proximal things. This is congruent with the previous studies(Cheema & Bagchi, 2011; Amit & Greene, 2012; Yan et al., 2016). The other effects including three-way interaction effect were not significant. When the visualizers received words, there was no effect of temporal distance. However, when the verbalizer received pictures, they prefer pictures in proximal distance to those in distal distance.

      • Design and fabrication of fully biodegradable secondary battery for eco-friendly energy storage systems

        강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oduction of the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LIB) has exponentially increased with advent of mobile and personal electronics, and this trend is being accelerated further in the era of electronic vehicles and large-scale energy storage systems. Since most of LIBs consist of chemical components hazardous to human and nature, dramatic increase of their production can cause critical environmental and biological issues in disposal of used batteries. Here, this paper propose a novel strategy to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 of the battery waste by using the biodegradable material and device technology. The eco-friendly and fully biodegradable sodium-ion secondary battery (SIB) was succesfully developed through the careful survey and synthesis of biodegradable electrodes and their seamless fabrication with the biodegradable separator, electrolyte, and package. Each component of the developed SIB is well decomposed into non-toxic compounds or elements in nature by hydrolysis and/or fungal degradation mechanism. All biodegradation products are biocompatible and eco-friendly. The assembled full-cell exhibits comparable performance to the SIBs of conventional non-degradable materials, and I demonstrate the operation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n a moving vehicle by using the developed SIB pouch cell. The fully biodegradable SIB strategy presents a new eco-friendly paradigm for the next generation large-scale rechargeable battery systems.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생산량은 모바일 및 개인 전자 제품의 출현으로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전자 차량 및 대규모 에너지 저장 시스템 시대에 더욱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인체 및 자연에 위험한 화학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면 사용된 배터리를 처리할 때 환경 및 생물학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일으킬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생분해성 소재 및 장치 기술을 사용하여 배터리 소비의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전략을 제안합니다. 친환경적이고 완전히 생분해 가능한 소듐 이온 이차 전지는 생분해성 전극의 신중한 조사 및 합성과 생분해성 세퍼레이터, 전해질 및 패키지의 완벽한 제조를 통해 성공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개발 된 소듐 이온 이차 전지의 각 성분은 가수 분해 및 곰팡이 분해 메커니즘에 의해 무독성 화합물 또는 원소로 분해됩니다. 모든 생분해성 제품은 생체친화적이며 환경친화적입니다. 조립된 전체 셀은 기존의 비분해성 물질의 소듐 이온 이차 전지와 비교 가능한 성능을 보여 주며, 개발 된 생분해성 파우치셀을 사용하여 이동 차량에서 GPS의 작동을 시연합니다. 완전 생분해성 소듐 이온 이차 전지 전략은 차세대 대규모 재충전 전지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친환경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 BIM 도구 활용을 통한 건축공학설계교육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강다영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BIM은 최근 공공 및 민간 발주자에 의해 활용이 점차 확대 시행 되고 있으며, 설계사무실에서도 BIM을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이처럼 급변하는 건축정보모델 활용환경에 미리 대처하고 실무와 건축공학 교육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하여 BIM 교육은 대학의 건축공학 설계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중요 요소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건축공학교과과정과 긴밀히 연계되고 보다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만들기 위하여 BIM 도구의 장점을 중심으로 한 건축공학설계의 교육프로세스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방법은 기존 연구문헌을 고찰하고, 건축공학설계교육과 BIM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고찰을 한 후 K대학교에서 이루어진 BIM 교육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BIM 교육 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손도면 활용, CAD 활용, Revit 활용에 대한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모델링 사레분석을 통하여 Revit의 활용기능을 살펴보고 CAD와 Revit 설계 프로세스를 비교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의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건축공학과의 건축공학설계교육 프로세스로 한정하였으며, 활용된 BIM 도구는 Autodesk 사의 Revit Architecture S/W로 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BIM 교육 중 2011년 5월 이전까지의 대표적인 교육과정을 조사하여 커리큘럼과 특징을 분석하였고, 공학교육인증을 받은 일부 건축공학과의 건축공학설계교육 사례들을 분석하여 필요한 BIM 교육 내용을 도출하는 것을 범위로 하였다. 이론적 고찰로는 건축설계교육, BIM 교육, BIM과 관련된 국내연구와 BIM과 관련된 국외 연구 등의 기존 연구문헌 고찰과 공학교육인증 하에서의 건축공학설계와 BIM의 개요 및 적용, BIM과 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또한 공학교육인증을 받고 있는 국내 K대학의 건축공학설계교육 과정에서 BIM 교육을 실시한 사례를 분석하고 설문을 통하여 BIM 교육의 이해의 정도와 활용능력에 대한 Data를 분석하였다. 또한 BIM 도구를 활용하여 스미요시 나가야 주택의 모델링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설문분석의 결과로 손도면과 CAD, Revit의 활용능력을 비교하였고, 손도면과 CAD, Revit을 모두 활용하여 설계가 가능하지만 CAD를 활용한 도면작성은 명령어를 통한 작도로 선중심의 평면적 작도나 치수를 가지는 도형의 작도가 용이하며, Revit을 활용한 설계는 3차원으로 시각화되므로 수정이 용이하고, 평면-단면에 대한 이해가 편리한 장점을 가진다고 분석되었다. 설문결과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손도면, CAD, Revit을 비교분석하였고, BIM 도구 활용에 대한 장점을 다음과 같이 6가지로 도출하였다. 1) 3D 모델링 통한 평면/입면/단면의 연계 2) 여러 개의 대안 생성 및 비교가 보다 용이함 3) 3D를 통한 프레젠테이션으로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4) 3D 모델링을 통한 설계변경 및 간섭체크가 보다 용이함 5) 3D 객체정보모델이므로 일람표 및 물량산출이 도면에서 직접 가능 6) 조기 일조분석 등 친환경적 통합고려가 보다 편리함 기존 공학설계교육 프로세스에 더하여 이러한 BIM 도구를 활용한 장점을 중심으로 한 프로세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하여 BIM 도구를 활용한 개선방안으로 다음의 5가지 교육내용을 도출하였다. 1) 건축공학 요소설계와 연계된 설계교육 가능 BIM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S/W 활용방안 중심의 교육이 아닌 건축공학 요소설계와 연계된 교육으로 구조·시공·설비에 대한 공학적 이해가 향상 될 수 있다. 그 내용으로 구조 모듈과 프레임 모델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며, 건설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와 공정 및 적산 연계가 가능하도록 하며, 친환경 조기 분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2) 3D 중심의 정보모델 개념에 대한 교육 가능 3D 중심의 정보모델 개념에 대한 교육을 통해 공간에 대한 이해와 정보모델을 활용하는 설계능력을 쉽게 할 수 있다. 3) 설계단계별 BIM 도구의 활용에 대한 교육 가능 설계단계별 BIM 도구의 활용을 통해 Mass study와 같은 초기설계부터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보다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4) 3D 활용을 통한 의사소통 및 협업에 대한 교육 가능 BIM은 설계 초기단계에 친환경검토, 구조시스템검토 등과 같이 협업을 통한 종합적 설계검토를 가능하게 하므로 3D 활용을 통한 의사소통 및 협업에 대한 교육을 통해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5) BIM 도구의 자동 산출기능 활용에 대한 교육 가능 BIM 도구의 자동 산출기능 활용에 대한 교육으로 일람표, 면적표, 부재물량 등을 자동으로 도출할 수 있으며, 객체 정보를 가지므로 물량산출까지 가능하므로 설계 이후 건설과정과의 종합적 연계가 가능하다. 개선방안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BIM을 교육 받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계 S/W 활용에 대한 비교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개선방안 중에 건축공학 요소설계와 연관된 설계교육, 3D 중심의 정보모델 개념에 대한 교육, BIM 도구의 자동 산출기능 활용에 대한 교육의 효율적이며 필요한 교육임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한계는 현행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분석을 중심으로 1개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여 설문결과를 통한 프로세스의 개선에 대한 개선방안의 제시에 한정된 점이다. 이 제시된 개선방안은 추후 연구를 통해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한 교육결과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거쳐서 보다 구체화 될 필요가 있으며, 설계와 IT가 연계된 설계교육은 후속 연구를 통하여 계속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다. 또한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기존의 건축공학교과과정과 긴밀히 연계되고 보다 효율적인 교육과정이 될 수 있도록 건축공학설계교육을 위한 커리큘럼을 작성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BIM 교육을 도입하고자하는 교육내용에 참고할 수 있는 실증적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the design process in architectural engineer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dvantages of the BIM tool. As public institutions and owners have been introduced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ools, BIM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sign process in undergraduate university programs. First, literature on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BIM education, literature of BIM-related issues, domestic and overseas, was analyzed as well as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under ABEEK, summary of BIM, use of BIM, and BIM education. Second, a case study of BIM education was conducted at Keimyung University under the ABEEK. Students did a survey about the understanding of BIM and the use of BIM tools. Furthermore, there was a case study of BIM modeling with the subject of the Sumiyoshi nagaya house (Architect: Ando, Tadao) where the 2D design process was compared with the 3D design proc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ix advantages of the use of BIM tools were found: 1) Connection of plans, elevations and sections by 3D modeling 2) Making several comparative alternatives 3)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through 3D modeling presentation 4) Ability of change of design, interference check through 3D modeling 5) Ability of making building component list, calculating quantities 6) Ability of eco-friendly integrated the analysis of solar exposure Thir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following five issues are found about BIM education through advantage of using BIM tools. 1) The design education associated with design elements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2) The education of the BIM concept focussed on 3D modeling 3) The education of the use of BIM tools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4)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using 3D modeling 5) The education of the automatic calculation skills of BIM tools Fourth,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survey on the use of BIM software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 study of only a single university. This proposed improvement requires a continuing study of quantitative analysis and design associated with IT.

      •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정서에 미치는 영향

        강다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Modern society is an age when creativity and diversity are emphasized. It is important to create results by selectively selecting and using innovative science and technology and content that meets the goal to be reached. Therefore, an essential element of good talent in modern society is STEAM ability. STEAM ability is the ability to judge and converge helpful ideas in various fields such as science, mathematics, technical engineering and art to solve problems and create their own creations. For this reason,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long developed STEAM programs that can cultivate STEAM ability and has continued to provide institutional and financial support to help students experience STEAM education effectiv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using AR(Augmented Reality) and VR(Virtual Reality), which have been in the spotlight recently, on th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order to cultivate STEAM ability,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nvergent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by properly using knowledge and skills in various areas in a problem situation. In addition, since emotion is a sub-element included in the affective attitude and is closely related to scientific attitude, this study has set two research elements. One is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e cognitive aspect and The other is science academic emotion of the affective attitude in science learni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STEAM program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by Hye-Sook Han and Hyun-Ju Park (2015), a science-oriented STEAM program using AR and VR was developed and instructional plans and activities were proposed. The developed STEAM program was reviewed by education experts consisting of one doctor, two doctoral students, one master, four master's student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 students in 4th grade who were selected as gifted in seoul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And a total of 12 times was applied from May 22 to June 19, 2019.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on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this study used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Sim Jae-ho and 3 others (2017).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science academic emotion, we used test tool developed by Kim Dong-hyun and Kim Hyo-nam (2013). The results of pre and post test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f the I-statistics program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research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ce academic emo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using AR and VR improves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consists of three factors: thinking ability, design-execution and convergence. All had significant effect at p <0.001 level. Therefore the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using AR and VR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alyzing the reasons for these results, through activities to organize various terrains in students' own language, students can cultivate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Also through devising and selecting the optimal ideas with high efficiency, students can cultivate creative and economic thinking skills. In addition, when producing their own submarine topography exploration robot, through reflecting science and technology principles and experiencing a problem-solving process, factors of design-execution and converge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the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using AR and VR has a positive effect on science academic emotion of gif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academic emotion is composed of seven factors: joy-satisfaction-excitement, boredom, shame, dissatisfaction, anger, anxiety and annoyance.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six factors: joy-satisfaction-excitement, boredom, dissatisfaction, anger, anxiety and annoyance. In particular, factors of anger, dissatisfaction and annoyance showed high significance at p <0.001 level. Therefore, the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using AR and VR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cience academic emotion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alyzing the reason for these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ors of joy-satisfaction-excitement, boredom, annoyance because they explored using a new medium called AR·VR. By using self-adjustable devices, students performed activities and applied element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science, mathematics, technical engineering and art. So they can develop their ability to control emotional states such as anger and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e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was not a class aimed at outcomes or test results. So, STEAM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factors. From the above results, I think that the science-focused STEAM program using AR and VR i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 to improve STEAM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ce academic emotion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이 논문은 최근 각광받는 과학 기술인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과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혜숙과 박현주(2015)가 개발한 STEAM 프로그램 분석틀을 기반으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수업 지도안 및 활동지를 제쟉하였다. 개발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초등과학교육 박사 1명, 박사과정 1명, 석사 1명, 석사과정 4명으로 구성된 교육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A교육지원청 수·과학융합부문 영재로 선발된 4학년 39명이며 2019년 5월 22일부터 6월 19일까지 총 12차시를 적용하였다.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심재호 외 3인(2017)이 개발한 초·중등학교 학생의 융합적 문제해결력(STEAM) 평가도구를 사용하였고 과학 학습정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김동현과 김효남(2013)이 개발한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결과는 서울교육대학교가 개발한 I-statistics 통계프로그램의 종속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정서에 미치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킨다.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은 사고력, 설계 및 실행, 융합적인 소양의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전·사후에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사고력, 설계 및 실행, 융합적인 소양 요인 모두 p <.001 수준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의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 향상에 기여한다. 둘째,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들의 과학 학습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사전·사후에 과학 학습정서 검사를 실시한 결과 즐거움·만족·흥미, 지루함, 불만, 분노, 불안, 귀찮음의 6가지 요인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특히 분노, 불만, 귀찮음 요인은 p <.001 수준의 높은 유의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의 과학 학습정서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초등 영재학생의 융합적(STEAM)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수학습활동이며 과학 학습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용한 교수학습활동이라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