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급성 파라콰트중독환자의 치료지침에 따른 임상적 효과의 평가

        강남여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연구배경 : 파라콰트는 4급 암모늄계의 제초제로 치사량이 20%용액 10mL 정도로 추정되는 치명적인 약물이다. 파라콰트 중독은 위장관, 간, 폐, 신장 등 다발장기손상을 야기하여 사망을 초래한다. 단일 원인에 의하여는 가장 많은 수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성공적인 파라콰트 중독 치료법을 찾고자 많은 시도들이 있지만 아직까지 치료방법이 정립되지 못한 상태이다. 목 적 : 파라콰트 중독 치료를 위한 여러 가지 시도 중 최근 항산화제인 deferoxamine과 N-acetyl-L-cysteine이 추가되어 치료에 사용되고 있어 추가되어진 약물이 급성 파라콰트 중독환자의 사망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임상적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 파라콰트 중독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기존의 치료지침에 의하여 치료를 받은 환자군, 기존의 치료지침에 deferoxamine을 추가하여 치료받은 환자군, 기존의 치료지침에 deferoxamine과 N-acetyl-L-cysteine을 추가하여 치료받은 환자군 등 3군으로 분류하고 환자의 입원 치료 당시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은 환자의 연령, 성별, 노출경위, 노출경로, 약물중독 후 1차병원까지 걸린 시간, 약물중독 후 본원에 도착했을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조사하였다. 파라콰트 노출량,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 입원기간 중 임상증상과 내원 직후와 마지막 follow-up시 시행한 헤모글로빈, 백혈구 수, pH, PaCO2, PaO2, arterial O2 saturation, 혈중요소질소, 크레아티닌,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총 빌리루빈, 아밀라제, 리파제 등의 임상검사를 조사하였다. 치료결과는 회복과 사망으로 나누어 조사하여 사망률을 비교하였으며 사망은 사망 및 임종직전 전원 또는 임종직전 퇴원도 포함하였다. 결 과 : 전체 연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2.3±15.6세였고 파라콰트 평균 노출량은 36.5±36.2mL이었다. 자살을 목적으로 음독한 경우가 74.5%였으며 전체환자 중 2명을 제외하고는 경구로 음독하였다. 파라콰트 노출 후 1차병원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6.9±18.5시간이었으며 파라콰트 노출 후 본원에 도착하기까지 걸린 시간은 평균 22.4±34.8시간이었다. 입원기간동안 나타난 임상증상은 구강내 작열감(65.6%)과 구강내 궤양(62.4%)이 가장 많았고 호흡곤란, 연하곤란, 오심, 구토 등이었다. 모든 군에서 노출량이 증가할수록,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가 증가할수록 사망률이 증가하였다. 초기 임상검사결과는 사망률과 비교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마지막 follow-up시 시행한 임상검사결과는 사망과의 관계가 확실하였다. 기존의 치료법에 항산화제인 deferoxamine, N-acetyl-L-cysteine의 추가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지만 약물이 추가될수록 사망률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 파라콰트 중독시 노출량 및 소변내 파라콰트 검출정도는 중독의 임상적 증상 및 예후를 예견할 수 있어 치료의 방향 및 강도의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자로 평가되었다. 임상검사결과도 파라콰트 중독의 중증도 및 예후를 예측하는데 중요하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치료지침에 항산화제(deferoxamine, N-acetyl-L-cysteine)의 추가치료는 파라콰트 중독시 사망률을 감소시켰으며 앞으로 임상적 활용을 적극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Background: Paraquat(1,1’-dimethyl 4,4’-bipyridium dichloride) is widely used as a potent herbicide of Quaternary nitrogen compounds. It is presumed that ingestion of greater than 10mL of 20% paraquat solution is associated with high mortality. In humans, paraquat poisoning could cause multi-organ failures in kidney, liver, lung and corrosive effects on the gastrointestinal mucosa. Even though many studies focus on successful treatment protocols,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so far. Objective: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cteine, has been administered recentl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rotocol in paraquat intox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outcomes how these additional antioxidants have influence on the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Methods: A total of 157 patients with acute paraquat intoxication were treated with one of three protocols: conventional protocol(Group Ⅰ), conventional protocol with deferoxamine(Group Ⅱ), conventional protocol with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Group Ⅲ). This study was analyzed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or demographics, cause of paraquat exposure, route of paraquat exposure, time intervals between intoxication and first medical treatment, time intervals between intoxication and Soonchunhyang Chunan hospital (SCH), symptoms and signs in admission. Exposure to paraquat was assessed by the amount ingested and the urine paraquat test.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hemoglobin, WBC, pH, arterial blood gas,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transferase, total bilirubin, amylase and lipase were obtained at the time of emergency room visit and last follow-up. Outcomes after acute paraquat poisoning were determined as survival and death. Death included death, hopeless transfer and hopeless discharge. Results: Mean age of paraquat intoxication patients was 42.3±15.6 years old. Mean amount of paraquat exposure was 36.5±36.2mL. Paraquat was used for suicidal purpose in 74.5% of paraquat intoxication. Most of patients ingested paraquat orally. Time to the first medical treatment averaged 6.9±18.5 hours, and time to SCH averaged 22.4±34.8 hours. The major clinical presentations were sore throat (65.6%) and oral cavity ulceration (62.4%), and other symptoms included dyspnea, swallowing difficulty, nausea and vomiting. All groups showed same trends as the followings: the higher amount of paraquat exposure and the higher extent of paraquat detected in urine led to the higher mortality. The results of initial clinical test were more or less correlated with mortality. And clinical tests upon last follow-up were in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rtality. It was found that the more number of added antioxidants would led to the lower mortality though addition of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e, to conventional protocol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The amount of paraquat exposure and the extent of paraquat detected in urine could predic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in acute paraquat poisoning. Thus, those two factors could help to determine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reatment. Clinical laboratory parameter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critical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paraquat poisoning and predict corresponding prognosis. Additional antioxidants, deferoxamine and N-acetyl-L-cysteine, to conventional protocol contributed to decreasing the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so it is positively recommended that these antioxidants should be widely used in clinical aspects. KEYWORDS: paraquat, deferoxamine, N-acetyl-L-cysteine

      • HFC134a 대체 HFC152a, HFC134a, 프로판을 포함한 혼합냉매의 성능평가

        강남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자동차 공조기의 냉매로 널리 사용되어 왔지만 높은 지구온난화 지수 때문에 많은 규제를 받고 있는 HFC134a의 보충냉매와 대체냉매로 HFC152a, HFC134a, 프로판을 포함한 혼합냉매에 대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혼합냉매로는 순수냉매인 HFC152a와 다량(70%∼90%)의 HFC152a에 소량(10%∼30%)의 HFC134a를 혼합한 2원 혼합냉매, 그리고 HFC134a/HFC152a 2원 혼합냉매에 소량(1%,2%,5%)의 HC290(Propane)을 섞은 3원 혼합냉매를 선정하였다. 이 혼합냉매들의 성능을 실험하기 위해 3.5 kW의 냉동용량을 가진 증기 압축식 벤치 테스터를 자체 제작하여 여름철 냉방조건(7℃/45℃)과 겨울철 난방조건(-7℃/41℃) 하에서 성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순수 HFC152a와 HFC134a/HFC152a 2원 혼합냉매는 HFC134a에 비해 최대 9.1∼12.0% 정도의 성능계수 증대와 7%의 냉동용량 증대를 나타냈고 HC290/HFC134a/HFC152a 3원 혼합냉매의 경우 HC290의 조성이 1∼2%일 때 성능계수가 HFC134a 보다 최대 9.5% 높았으며 냉동용량 역시 8.6% 증대를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실험한 모든 냉매들의 압축기 토출 온도는 HFC134a와 비교하여 6∼10℃ 정도 높았으며 냉매들의 충전량은 액체 밀도의 감소로 인해 HFC134a보다 최대 32%까지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을 수행한 모든 혼합 냉매들은 오존층 붕괴를 일으키지 않고 지구온난화 지수가 낮아서 친환경적이므로 지금까지 자동차 공조기의 냉매로 널리 사용되어 온 HFC134a의 장기적 보충냉매와 대체냉매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방법을 활용한 셔츠 디자인 연구

        강남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국문초록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방법을 활용한 셔츠 디자인 연구 현대사회는 심각해지는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제로 웨이스트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구체적인 개념으로 여러 분야에서 점차 확산되고 있으며 패션분야에서도 이런 접근을 지향하는 브랜드가 등장하고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은 창의성과 독창성이 강하며 산업적 생산이 어려운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런 배경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 방법을 활용하여 실용적이면서 트렌드 요소를 반영하는 셔츠 디자인 5점과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완성된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과 패턴의 산업적인 생산과의 연결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의 정의 및 발생 배경, 유형, 패턴 커팅 방식 등을 고찰하였다. 둘째, 셔츠의 역사와 조형성, 최근 셔츠의 디자인 트렌드를 살펴보았다. 셋째,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방법 중 산업적인 연결 가능성이 있는 지오메트릭 커팅(geometric cutting), 퍼즐 커팅(puzzle cutting), 미니멀 커팅(minimal cutting) 방법을 기본 패션 아이템인 셔츠에 적용하여 5가지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넷째, 개발된 제로 웨이스트 디자인 셔츠 5점을 실물로 제작한 뒤 수정, 보완 하여 최종 디자인과 패턴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방법을 셔츠 디자인에 접목한 본 연구는 생산 단계에서 소재의 낭비를 15% 이하로 줄여 제로 웨이스트를 실현하였다. 개발된 셔츠 디자인은 실루엣이나 디테일을 변형할 수 있고 여러 스타일링이 가능하여 의상의 활용도를 늘릴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셔츠 패턴 개발은 필요한 경우 셔츠를 구성하는 각 부분을 쉽게 수정하여 패턴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시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산업적인 의복구성 및 의복생산 방법과 유사하며 제로 웨이스트 패션 디자인의 상품화와 산업적인 적용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의의가 있다. 주제어: 제로 웨이스트, 패턴 커팅, 지오메트릭 커팅, 퍼즐 커팅, 미니멀 커팅, 셔츠 디자인 ABSTRACT Application of zero waste pattern cutting methods into women’s shirts design. JIANG NAN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Modern society is actively conducting discussions on sustainable development to cope with the increasing environmental problems. The fashion industry is also making efforts to develop in a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As a concret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Zero Waste is gradually spreading in various fields, and some fashion brands and research are underway to reduce the burden on the environment by using it. However, until now, zero waste design products in fashion have strong creativity and originality, and industrial production tends to be difficul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hirt designs and patterns that are practical and reflect recent shirt design trend elements by using the zero waste design method. It was also aimed at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linking the finished zero waste design and pattern to industrial production. The flow of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definition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and its background, type, and pattern cutting method were studied. Second, the history of shirts, formativeness, and recent design trends of shirts were examined. Third, five designs were developed by applying geometric cutting, puzzle cutting, and minimal cutting methods among the zero waste pattern cutting methods, to shirts which are basic fashion items. Fourth, five developed zero waste design shirts were produced, modified, and 74 supplemented to present the final design and pattern.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study, which combined the zero waste pattern cutting method with the shirt design, realized zero waste by reducing the waste of material to less than 15% in the production stage. The developed shirt design can change the silhouette or detail according to the wearer's wearing method, and can be used in various style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and use life span of clothe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shirt pattern in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pattern by making it easy to modify each part of the shirt if necessar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milar to the industrial garment construction and garment production metho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related information for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ial application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Key words: zero waste, pattern cutting, geometric cutting, puzzle cutting, minimal cutting, shirt design

      • 매개 현실 공간의 ‘META 신체화’ 특성 연구 : 포스트 현상학 이론을 중심으로

        강남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39

        공간 개념이 전통적인 물리적 환경에 국한되지 않고 가상과 현실의 이분법적 개념이 깨진 새로운 디지털 기술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혁신적 융합의 추세를 보이고 물리적, 가상공간의 연결이 공존하며 시간과 공간의 개념이 재정의되고 신체와 공간의 관계가 크게 변화했다. 매개 현실 미디어는 최근 광범위한 기술 문화 트렌드의 한 측면이다. 이전에는 현실 세계에서 많은 인공물, 활동, 기관 및 관계를 경험했지만 지금은 종종 가상으로 세계와 소통하고 교류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정에서 신체개념의 변화를 탐색하고, 가상현실 공간에서 신체와 디지털 기술의 관계 및 지각적 특성을 연구하고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을 통해 연구함으로써, 향후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의 설계에 대한 포스트 현상학적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돈 아이디(Don Ihde)의 포스트 현상학 이론과 피터 폴 베어벡(Peter-Paul Verbeek)의 기술 매개 이론을 기반으로 현대 매개 현실 공간에서 신체와 공간의 관계를 새롭게 해석하고 논의한다. 이런 상황에서 디지털 기술은 인간과 세계의 만남을 '조정'하고, 디지털 기술은 신체와 공간 사이에 끼어 그들의 관계를 변화시킨다. 기술은 사람들이 세상을 새로운 방식으로 감지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해주며, 이러한 매개 관계를 통해 사용자는 누구이며 세계 자체가 어떤 새로운 개념이 될 수 있는지 부여하였다. 피터 폴 베어벡이 말했듯이, "우리의 기술 문화에서 인간과 기술은 더 이상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서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상학적 신체의 개념은 메타바디(Metabody)로 더욱 진화했으며 다양한 디지털 기술 인터페이스를 통해 공간과 새로운 관계 패러다임을 확립했다. 포스트 현상학적 신체의 가치적 배경을 바탕으로 포스트 현상학적 신체화 개념을 통해 미디어 현실 기술의 맥락에서 META 신체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따라서 미디어 현실 미디어 예술 공간에서의 서로 다른 기술 매개 관계에 대한 인식과 지각방식의 이해가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을 매개하는 매개 관계 설정의 틀, 디지털 시대에 맞는 관계 용어 제정,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을 매개하는 매개 관계 틀과 디자인 유형의 패러다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메타바디의 시각을 통해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을 매개하는 META 신체화 특성과 공간 표현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는 다음과 같은 7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먼저 우리는 포스트 현상학과 신체화의 개념을 연구하고 세로운 시대에 가상현실과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메타 공간이 생기는 추세를 제시하였다. 이후 선행 연구를 통한 연구분석의 기초가 되어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 아트 공간의 연구현황을 논의하고, 매개 현실 공간인 META 신체화 공간의 개념과 META 신체화 매개 관계의 가치를 제시하였다. 둘째, 포스트 현상학의 몸 개념과 매개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포스트 현상학에서 신체화 개념을 분석하여 세 가지 몸 개념과 여섯 가지 인간-기술 관계의 지향구조를 추출하였다. 이후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의 기술적 역사와 개념을 연구하고,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포스트 현상학과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의 상관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미디어 예술 공간은 신체의 역할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포스트 현상학은 신체에 대한 철학의 사고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개념의 변화를 철학적으로 고찰하고, 앞 장의 매개 현실 공간 특성을 바탕으로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에서 재정의되는 새로운 신체개념인 메타바디(Metabody)를 제시하였다. 메타바디 신체 개념의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메타 신체화 공간에서의 기술매개화 지각을 위한 몰입성(Immersion), 코드화 소통을 위한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창조 경험을 위한 초현실성(Hyperreality)을 분석했다. 넷째, 앞 장에서 제시한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의 META 신체화 특성을 바탕으로 공간 표현의 관점에서 다감각의 몰입(Multisensory Immersion), 공간의 몰입(Space Immersion), 서사의 몰입(Narrative Immersion), 관람자와 인터페이스의 상호작용(Visitor-Interface Interaction), 관람자와 정보의 상호작용(Visitor-Information Interaction), 관람자 간의 상호작용(Visitor-Visitor Interaction), 비물질적 초현실(Immaterial Hyperreality), 상호작용의 초현실(Interactive Hyperreality) 및 장소의 초현실(Place Hyperreality) 총 9가지 공간 표현을 분석하였다. META 신체화 공간 관계 특성을 통해 6가지 매개 관계를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선행 연구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공간특징요소의 1차 범주화를 도출하였고, 2단계는 특성의 빈도분석을 통해 공간특징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META 신체화 공간특징요소와 관련 정의를 정리하였다. 다섯째, 위에서 도출된 메타바디 신체개념, META 신체화 공간 표현요소 및 6가지 매개 관계의 구조에 따라 META 신체화 분석의 틀을 정리하여 사례 분석과 검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META 신체화 특성 분석단계이고, 두 번째 단계는 META 신체화 특성과 매개 관계 검증 단계이다. 먼저 META 신체화 특성 분석단계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3가지 메타바디 신체 유형, 4장에서 제시한 META 신체화 3가지 공간특성과 9가지 공간 표현을 종합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1차 META 신체화 공간 표현요소 지표범위를 분석하였다. 2단계는 4장에서 제시한 6개의 META 신체화 매개 관계를 1단계를 거쳐 제시된 매개 관계와 메타바디 신체유형과 결합하여 매개 현실 공간 사례를 체험적 특성에 맞게 유형화하여 창조탐구형, 현실참여형, 몰입체험형, 정보해석형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프레임워크를 공간 사례에 투입하여 검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META 신체화 공간특성과 매개 관계 개념의 유용성과 연계도를 점검함으로써 이론 제시의 객관성을 높인다. 여섯째, 앞의 분석과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6가지 META 신체화 매개 관계의 형성과 공간적 요소를 설명하였다.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매개 현실 기반 미디어아트 공간의 META 신체화 특성과 매개 관계에 구성 체계도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연구와 분석을 바탕으로 매개 현실 기술을 매개로 미디어아트 공간을 포스트 현상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META 신체화된 공간구성 체계도를 구축하여 향후 미디어아트 공간디자인을 위한 포스트 현상학적 방법 이해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자 할 것이다. The concept of space is not limited to the traditional physical environment, and we are entering a new era of digital technology in which the dichotomous concept between virtual and reality has been broken. Based on digital technology, the trend of innovative convergence has been shown, and the connection of physical and virtual spaces coexists, redefining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and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pace significantly. Mediated reality media is one aspect of the recent wide range of technological and cultural trends. Previously, he experienced many artifacts, activities, institutions, and relationships in the real world, but now he has often communicated and interacted with the world virtually. By exploring changes in body concepts in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tudying the relationship and 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the body and digital technology in a virtual reality space, and studying through a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this study provided a post-phenomenological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design of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in the future. This study newly interprets and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pace in modern mediated reality space based on Don Ihde's theory of technological philosophy and Peter-Paul Verbeek's theory of technological intervention. In this situation, digital technology 'coordinates' the encounter between humans and the world, and digital technology is caught between the body and space and changes their relationship. Technology allows people to sense and manipulate the world in new ways, giving them who they are and what new concepts the world itself can be. As Peter-Paul Verbeek put it, "In our technology culture, humans and technology no longer exist independently but are made of each other in a variety of ways." From this perspective, the concept of the phenomenological body has evolved further into a Metabody and established a new paradigm of relationships with space through various digital technology interfaces. Based on the value background of the post-phenomenological body,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the context of media reality technology through the concept of post-phenomenological Embodiment. Therefore,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the understanding of perceptions and perceptions of different technological mediating relationships in the media reality media art spac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 framework for setting mediating relationships that mediate mediating reality-based media art spaces, establishing relationship terms suitable for the digital era, and a paradigm for mediating relationships and design types that mediate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s. In addition,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s and spatial expression elements that mediate the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through the perspective of the meta body were presented. The study was divided into the following seven stages. First, we studied the concepts of post-phenomenology and Embodiment and presented a trend of meta-space due to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virtual real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in the age of three. Since then, the research status of the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has been discussed as the basis for research analysis through prior research, and the value of the META-Embodiment space and the META-Embodiment mediated relationship has been presented. Second, prior research on the body concept and mediating relationship of post-phenomenology was conducted, and the concept of Embodiment was analyzed in post-phenomenology to extract the orientation structure of three body concepts and six human-technical relationships. Since then, the technical history and concept of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have been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have been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ost-phenomenology and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has been discussed based on this. Third, the media art space is inseparably related to the role of the body, and post-phenomenology stems from the philosophy of the body. Therefore, this study philosophically examined the changes in body concepts and presented Metabody, a new body concept redefined in the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based on the mediated reality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vious chapter. Based on the framework of the Metabody concept, we analyzed Immersion for technology-mediated perception in the Metabody space, Interactivity for coding communication, and Hyperreality for creative experience. Fourth, based on the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s of the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presented in the previous chapter, multisensory immersion, space immersion, narrative immersion, viewer-interface interaction, viewer-information interaction, viewer-visitor interaction, immaterial hyperreality, A total of nine spatial expressions were analyzed: Interactive Hyperreality of interactions and Place Hyperreality of places. Six mediating relationships were proposed through META-Embodiment spati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the first categoriz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was deriv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second stage was deriv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finally, META-Embodiment spati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definitions were summarized.. Fifth, case analysis and verific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organizing the framework of META body analysi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meta body concept, META-Embodiment spatial expression element, and six mediating relationships derived above. The first step is the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 analysis step, and the second step is the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 and mediating relationship verification step. First, in the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 analysis stage, the first META-Embodiment spatial expression element index range was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by combining three metabody body types presented in Chapter 3, three spatial characteristics of META-Embodiment presented in Chapter 4, and nine spatial expressions. In the second stage, the six META-Embodiment mediating relationships presented in Chapter 4 were combined with the mediating relationship and meta-body body type presented through the first stage, and the mediating reality space cases were categorized into creative exploration type, reality participation type, immersion experience type, and information interpretation type. Verificat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putting the analysis framework into spatial cases. The objectivity of the theory presentation is enhanced by checking the usefulness and linkage of the META-Embodiment spatial characteristics and mediating relationship concept presented above. Sixth,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and verification results, the formation of six META-Embodiment mediating relationships and spatial factors were explaine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compositional system diagram were derived for the META-Embodiment characteristics and mediating relationship of the mediated reality-based media art space. Finally, based on the above research and analysis, we will reinterpret the media art space from a post-phenomenological perspective through mediating reality technology and establish a META-Embodiment spatial composition system diagram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post-phenomenological methods for future media art space design.

      • Jasper Johns의 드로잉 오브제 작품 연구

        강남 동아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1839

        The art of object have taken an important position in a modem art, and have been changing as varying its meaning by each times. This object art come into the drawing object to joining with object, again returning picture to the screen of plane through the experience of limits for the action of an abstract expressionism after the second world war. Drawing object set up to another main flow as the object of new conception that joined three-dimensional object to plane picture in a modem a d of 21 centries, drwaing actual thing in two-dimensional plane, not the object of former sculpture notion Jasper Johns is a front-running artist of the drawing object. and he clearly explaines the equivalent relationship between real and image having drawing object. His image is not the former plane picture and the cubic sculpture, but have the space. Especially, the works of Flag and Taget themselves has pictural image and the same time the object of real. Because it can not find anyhting except 『Flag』 in his works, it come into directly real world to image promoting fictitious world He completely removed the meaing of expression itself, continuing it on the two-dimensional plane just as it is. Also he extended the width of thing, cognition and expression by returing the dimension of expression as image. The Johns' drawing objects, therefore, show the equivalent relationship between real and thing, present the matters of "see" that most interested in modern art. and have the important meaning in the modern art called the history of object development

      • 유가「親親相隱」윤리 논쟁에 관한 재고찰

        강남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은 중국 학계에서 ‘親親相隱’이란 명제를 중심으로 벌어졌던 유가 윤리에 관한 논쟁을 다시 고찰하여 기존 논쟁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親親相隱’은 주로『論語』에서 공자의 ‘父子相隱’과『孟子』에서 舜의 ‘竊負而逃’, ‘封之有?’ 사례들을 가리키며 그 속에서 공자와 맹자는 친족의 不義 행위에 마주했을 때 모두 친족을 두둔했다는 혐의가 보였다. 이런 까닭으로 중국 학계에서 ‘親親相隱’ 행위는 정당한 것인가 부정부패인가, 社會公德(仁義)과 家庭私德(孝)이 부딪칠 때 공맹유가는 정말로 어떻게 주장했었는지 등 의문을 둘러싸여 많은 논쟁을 펼쳤다. 그 가운데 郭齊勇과 劉淸平을 비롯한 철학계의 두 차례의 논쟁이 가장 이목을 끈다. 이 두 차례의 논쟁에서 찬반 양측은 다양한 관점과 견해를 밝혔으나 정론이 제시되지 못했고 여전히 여러 부족함과 쟁점을 남겼다. 그런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첫째, 텍스트에 대한 과도한 표면화 해석과 해독 착오 문제. 둘째, 공맹유가 ‘親親相隱’의 사례는 미덕인가 부정부패인가의 판단 문제. 셋째, 공맹유가 윤리사상 속에서 孝와 仁의 상충 관계가 존재하였는지의 문제다. 먼저 텍스트에 대한 誤讀이라는 문제점은 주로 ‘父子相隱’ 사례를 해석하는 데 드러난다. 논쟁 양측은 텍스트 해석의 관건인 글자 ‘直’을 모두 正直함으로 해석하였으나 劉淸平은 ‘子爲父隱, 直在其中’을 근거로 아버지가 攘羊을 하더라도 공자는 ‘子隱父’이어야 ‘正直’이라고 했던 반면에 葉公의 ‘子證父’에 드러난 ‘正直’을 도리어 부정했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直’의 함의와 텍스트를 다시 고찰하여 필자는 공자가 葉公이 칭찬한 ‘子證父’의 ‘直’의 행위 원칙을 부정하지 않았으며 오로지 葉公의 ‘子證父’의 행위 구현을 동의하지 않았다고 본다. 그리고 ‘親親相隱’의 사례가 미덕이나 부정부패 행위라는 주장에 대하여 필자가 ‘父子相隱’과 ‘竊負而逃’를 다시 검토해본 바 그 사건의 맥락에서 공자와 맹자는 모두 형법의 정당성을 부정하지 않았으며 친족의 위법 행위를 긍정하거나 칭찬하지도 않았다. 다만, 그들은 사회정의와 효도의 갈등 문제를 해결하려 했기보다는 단순히 그런 문제를 회피하였고 도덕적 딜레마에서 선택만 했을 뿐이다. 그러므로 ‘親親相隱’ 사례는 어떤 미덕이나 부정부패도 아니고 단지 사람 마음속에서 자연히 우러나온 ‘진실한 감정’의 반응에 의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필자가 기존의 논쟁 관점에서 새로운 깨달음을 얻었고 공맹유가의 윤리사상을 재차 검토하여 공자의 ‘孝爲仁本’과 맹자의 愛有差等, 施有親始’라는 사상을 따져 볼 때 공맹유가에서는 ‘推愛’의 기점인 ‘親親’을 絶代化ㆍ優先化한 잠재적인 결점이 있다는 것을 감지했다. 다시 말하면 공맹은 자신들의 윤리사상에서 孝와 仁 사이에 생길 수 있는 잠재적인 긴장이나 상충을 자각하지 못했다. 이런 까닭으로 공맹유가는 ‘父子相隱’과 ‘竊負而逃’ 같은 도덕적 딜레마 속에서 불가피하게 ‘親親(孝)’을 ‘愛人(仁)’보다 가장 우선으로 인식하여 무조건 실천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유가 ‘親親相隱’ 윤리 논쟁에 관한 재고찰이지만 매우 초보적인 단계의 연구로서 미진함을 드러내고 있다. 다만, 이 연구를 통해 공맹유가의 ‘父子相隱’과 ‘竊負而逃’ 행위는 도덕적 딜레마 속의 선택임을 규명하며 공맹 사상에서 잠재적인 ‘孝’와 ‘仁’의 긴장과 상충의 실마리를 제시하며 기존의 논쟁 양측의 지적을 조금이나마 논파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병무행정 시스템 구축 방안

        강남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1. 목적 병무행정 정보체계 시스템 구축 사업은 병무 정보의 공개 및 공유를 통한 병무비리의 발생을 예방하고, 대국민 병무 서비스 개선과 국내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조직 능력의 극대화를 위하여 병무혁신 차원에서 추진하는 병무행정 정보화 사업이다. 급변하는 행정 환경변화와 업무의 정보화 의존도 심화로 정보화요구를 신속히 수용하지 못하는 현 정보화 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며, 정보관리가 아닌 정보활용의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며, 정보처리와 행정으로 이원화된 업무와 조직이 융합되어야 하며, 중앙집중식 정보자원 운영으로 정보화의 효율성을 극대화하여 내․외부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야 한다. 2. 추진배경 병무행정 업무는 1984년부터 전산화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으며 현 정보화 시스템은 병역자원을 통합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병역자원 종합 관리체계로 전환하여 자원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인터넷/인트라넷 기술을 이용하여 법무부, 행자부 등 유관기관과의 업무처리체계를 강화하고, 24시간 민원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중단 체계이며, 데이터웨어하우스 등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통계분석 자료를 포함한 최적의 의사결정지원 자료를 제공하는 통합정보관리체계이다. 또한, 현 병무행정 정보체계는 지방청 및 본청을 연계한 징․소집 및 동원 자원관리 외 업무전반에 걸친 자동화를 지원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병무행정의 투명성 및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인터넷을 통한 민원처리 및 각종 병역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전자결재 및 EDMS를 포함한 사무자동화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종이 없는 사무실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체계이다. 하지만, 표준화된 업무절차가 부족하고 다양한 현업의 수작업으로 인해 업무처리시기가 지연되거나 미처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원관리에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또한, 현행 시스템은 본청 및 13개 지방청에 시스템이 운영되는 분산시스템이며 분산자료로 되어있어서 업무처리의 성능이 저하되고, 장애추적 및 관리의 어려움이 있으며 청간 자원불일치로 인한 자원누수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현행 시스템은 징병검사와 나머지 12개 업무가 동일서버, 동일 어플리케이션 및 동일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어서 특정시간 업무 집중시 징병검사 업무로 인하여 나머지 12개 업무의 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세스 경영기반의 병무행정 시스템 구축, 지방청 분산자료의 안정적인 통합 및 재설계, 무중단 안정성을 고려한 징병검사 시스템 분리 구축이라는 방안을 제시하여 병무행정 종합정보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 발전시키는데 있다. It needs to improve the current information system that is unable to promptly answer the demand of the creation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due to the severer dependency on the creation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of works along with the rapidly changing administration environment. Also, it needs to constitute a system not for information management but for information utilization, incorporate tasks and organization which were dualized as information processing and administration, and enhance the satisfac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users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creation of information opportunities with the operation of center intensive information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etails of the implementation of a process operation-based conscription administration system, the stabilized integration and re-design of data distributed by local offices, the separated implementation of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incessant stability for consistently improving and developing the conscription administration comprehensive information system. When summarizing and articulating the plans for implementing a conscription administration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the system is aimed to secure transparency in the work by registering, disclosing, and managing work processing procedures after implementing a process operation-based conscrip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to prevent the omission of the duties of a person in charge and to control and manage process deadline by preparing the time of data processing and all work procedures as information by preparing work innovation-based system through the acceleration of work procedures and the real-time confirmation and management of the processing of work. Second, this system is aimed to resolve the problems of inefficiency such as duplicated duties pursuant to distributed management, and the occurrence of errors in resource management pursuant to the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among local offices by pursuing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military service resources that are managed by 13 local offices through the stabilized integration and re-design of data distributed by local offices. Third, this system is aimed to secure the capability at the peak time by excluding mutual intervention by logically dividing the composition of conscription administration database into conscription administr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as details of constituting a physical examination for conscription system in consideration of incessant stability after the data separation, and to remove inefficiency in the use of resources with the concentration on works in a specific time zone. Hopefully, the advanced conscription administration can be implemented by extending the administrative service through the stabilization of a conscription administration comprehensiv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uited to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ystem proposed in this thesis, implementing the tailored service by individual information user, and consistently expanding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e for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 HisCoM-PCA : Hierarchical structural Component Model for Pathway analysis of Common vAriants

        강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전장 유전체 상관성 분석 연구 (Genome-Wide Association Study, GWAS)에서 이미 많은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표현형과 관련된 대립유전자 빈도가 비교적 큰 변이(common variant)를 발굴 했다. 그러나 발굴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이들로 추정된 유전력의 일부만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전적 결실’ (missing heritability) 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전자(gene) 기반 및 패스웨이(pathway) 기반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GWAS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 기작 및 관련된 패스웨이를 찾았다. 하지만 사용된 많은 방법들은 유정자 간 및 패스웨이 간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간 및 패스웨이 간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는 계층적 구조 모형 기반으로 GWAS 데이터를 이용하는 새로운 패스웨이 기반 분석 방법을 개발 했음. 이 방법의 이름은 HisCoM-PCA(Hierarchical structural Component Model for Pathway analysis of Common vAriants)이다. HisCoM-PCA는 우선 동일한 유전자에 속하는 common variants를 한 통계량으로 요약하고, 계산된 통계량을 이용하여 유전자 기반 분석과 패스웨이 기반 분석을 릿지 회귀분석 방법을 통하여 동시에 진행한다. 그리고 순열검정법(permutation test)을 통해서 유전자와 패스웨이의 유의성 검정은 진행 한다. 본 연구에서 GAW17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진형 표현형과 연속형 표현형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HisCoM-PCA는 제 I 형 오류를 잘 통제하고 여러 가지 방법보다 더 높은 검정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 했다. 그리고 HisCoM-PCA를 한국인 유전체 분석사업(KARE) 자료에 적용하여 4가지 인체 표현형: (1) 2형 당뇨병; (2) 고혈압; (3) 수축기 혈압, (4) 이완기 혈압에 대하여 분석 했을 때, 분석 결과를 통하여 HisCoM-PCA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고 생물적인 의미 있는 패스웨이를 발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 됐다. 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 (GWAS) have been widely used in identifying phenotype-related genetic variants by many statistical methods, such as logistic regression and linear regression. However, the identified SNPs with stringent statistical significance just explain a small portion of the overall estimated genetic heritability. To address this ‘missing heritability’ issue, gene-based and pathway-based analysis have been developed in many studies. The biological mechanisms and some related pathways have been reported using pathway-based methods in GWAS datasets. However, many of these methods often neglecting the correlation between genes and between pathways. Here, we construct a hierarchical component model with considering of the correlation existing both between genes and between pathways. Based on this model, we propose a novel pathway analysis method for GWAS datasets, named Hierarchical structural Component Model for Pathway analysis of Common vAriants (HisCoM-PCA). HisCoM-PCA first summaries the common variants in each gene into the gene-level statistics and then analyzes all pathways simultaneously by ridge-type penalization on both gene and pathway effects on the phenotyp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gene and pathway coefficients can be examined by permutation tests. Through simulation study for both binary and continuous phenotypes using GAW17 simulation dataset, HisCoM-PCA controlled type I error well and showed a higher empirical power than several comparison methods. In addition, we applied our method to SNP chip dataset of KARE for four human physiologic traits: (1) type 2 diabetes; (2) hypertension; (3) systolic blood pressure; and (4) diastolic blood pressure. Those results showed that HisCoM-PCA could successfully identify signal pathways with superior statistical and biological significance. Our approach has an advantage of providing an intuitive biological interpretation for the association between common variants and phenotypes through the pathway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