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뇌졸중 운전자의 마비 부위에 따른 운전 인지능력의 비교

        강나리 대구가톨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63

        Objective : The left brain and the right brain have different roles. It was studied if there are differences of driving cognitive ability between the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left brain and the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right brain. Method : The SDSA(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of UK was revised to K-SDSA(Korean Stroke Drivers’ Screening Assessment) to meet the specific traffic environment of Korea. K-SDSA was used to compare the driving cognitive ability between 15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left brain and 15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right brain. Result :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left brain and the group of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right brain. It was found that the driving cognitive ability of the group of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left brain was lower than that of the group of stroke patients with the damage of right brain. Conclusion : This research estimated the driving cognitive ability of drivers with stroke. The therapists can use it as basic data for driving test and training. It could also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if the driving cognitive ability is adequate to actually drive a car when not only the stroke patients but also the brain damaged drivers try to resume driving.

      • 성인애착과 비자살적 자해의 관계 : 거부민감성과 반추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Non-Suicidal Self-Injury :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Rumination.

        강나리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거부민감성, 반추, 비자살적 자해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이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거부민감성과 반추가 이를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1년 7월 1일∼ 7월 31일까지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1회 이상인 전국의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SPSS 27.0, PROCESS Macro 4.0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및 매개 효과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거부민감성, 반추, 비자살적 자해 간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 거부민감성, 반추, 비자살적 자해가 서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불안은 비자살적 자해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애착불안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반추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반추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거부민감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거부민감성과 반추의 이중 매개를 살펴본 결과 순차적으로 매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애착회피가 비자살적 자해로 가는 총 효과 및 간접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애착회피가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과 반추의 매개 효과를 살펴본 결과, 반추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거부민감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거부민감성과 반추의 이중 매개를 살펴본 결과 완전 매개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성인애착을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로 나누어 비자살적 자해를 살펴본바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주고, 이는 반추에 영향을 주며, 결과적으로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을 이해하는 데 이들 변인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 상담 현장에서 애착불안 및 애착회피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을 상담 및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거부민감성과 반추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즉 부정 정서 및 생각에 초점을 지속해서 맞추는 내담자에게 자신이 처한 상황 및 경험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을 돕고, 그 과정에서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반복적으로 주의 집중하지 않도록 정서조절 방법을 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이해와 상담적 개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귀족 후원 제도와 벤 존슨 : 경구와 헌정시를 중심으로

        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7세기 영국 사회에서 귀족들의 후원 행위(patronage)는 각종 예술 분야에서 뿐 아니라 당대 사회 구조의 저변에 자리잡은 기본적인 삶의 양식으로 문인들은 생계와 신변의 안전을 자신의 후원자에게 크게 의존하였다. 따라서 후원제도의 수직적 구도 안에서 글쓰기만으로 생계를 유지하는 영국 최초의 직업 작가의 발판을 마련한 벤 존슨(Ben Jonson)은 그의 작품의 진실성에 대한 의심을 받게 된다. 귀족의 계속적 후원을 보장받기 위해서 그들의 입맛에 맞는 작품들만을 생산하고 이에 따라 전업 작가의 작품은 진실성이 결여되고 아첨으로 점철된 것이라는 시선은 당대 가진 것 없는 문인들이 접하게 되는 비판이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인의 진실성에 대한 논란 속에서 귀족 후원자들의 후원을 받으면서도 아첨을 거부해야 하는 존슨의 딜레마에 대한 고찰에서 출발하여 그가 이를 통해 귀족 후원 제도 안에서 정립하고자 한 시인의 위상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론Ⅰ에서는 아첨에 대한 의혹과 유혹 앞에서 고민하고 자신의 이중성에 대한 공격에 맞서는 존슨의 주장에 대해 논의하겠다. 존슨은 시인에게는 귀족들의 대외적 이미지를 만들어낼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강조하며 그의 창조적 능력을 부각시키고자 노력을 하면서도 결국은 자신이 이들의 그릇된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냄새나는 기생충일지도 모른다는 고민을 하게 된다. 겉모습과 내면의 괴리에 대한 인식은 르네상스 인들의 최대 관심사이기도 하였으며, 존슨 역시 스스로 자신의 작품의 진실성에 대한 우려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귀족의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것이 바로 시인이라는 주장은 단순히 시인의 능력에 대한 과시에서 더 나아가 후원자들에게 반대급부를 요구하는 성향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존슨은 곧 물질에 의해 좌지우지되는 다른 시인들과의 차별화를 공고히 하고 자신이 칭송하는 인물에 대한 착신을 통해 이중성에 패한 공격에 맞서게 된다. 본론Ⅱ에서는 존슨이 주장하는 시인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의 진실성과 궁극적으로 존슨이 형상화하고자 하였던 시인상을 그려보고자 한다. 존슨은 시인이 일방적으로 귀족 후원자에게서 경제적 도움을 받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주는 도덕적 스승의 역할을 수행하는 존재임을 작품 곳곳에서 천명하고 있다. 또한 존슨은 가르침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상력을 발휘하는 창조자로서 후원자의 이상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이를 따르도록 유도하게 된다. 헌정시에서 드러나는 이상적으로 미화된 후원자들의 모습은 실재가 아닌 그들이 마땅히 따라야 하는 역할 모델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존슨은 시인이란 상상력을 통하여 "공화국"을 창조할 수 있는 "창조자"이고, 이를 통해 "미덕과 이에 반한 모든 것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세상에 전달하는 임무를 지닌 존재임을 명시하게 된다. 즉, 벤 존슨은 현실 세계에서 왕이 '행동하는 자'(doer)라면, 시인은 '현자'(knower)로서 왕에 대한 찬양을 통해 그의 권위를 세우는 데서 더 나아가 그에게 조언과 충고를 아끼지 않는 역할까지 해낼 수 있는 막중한 임무를 지닌 존재로 자신의 위상을 자리 매김하고자 하였다. This thesis examines how Ben Jonson establishes his own position as a poet in the patronage system, focusing on his epigram and epistles written to praise his major patrons. Ben Jonson overcame his status as a stepson of a bricklayer and became the most successful patronage poet in his age. Yet, some of his critics charged that he had adjusted the contents of his works to patrons' tastes in order to ensure the economic support from his patrons. Chapter Ⅱ deals with Jonson's dilemma in the encomiastic poems: getting support from patrons without flattering. Although Jonson believed in the poet's ability to create an ideal picture of a patron, he was also keenly aware of his exposure to attacks as image-maker. Chapter Ⅲ explores the ways Ben Jonson confronted the problem of sycophancy, distinguishing himself from other poets by stressing the moral superiority of his own verse. He claims that he plays a role of poet-teacher who leads his patrons to the exact knowledge of virtue and vice. He creates the idealized images of patrons not to flatter but to suggest a role model for his patrons. As a poet-teacher, he insists the poet's position to be as equal to that of his patrons in that he can give them learning and advice to sustain their power. He stresses that he is a 'feigner of a commonwealth' who can govern it with laws, judgement, and morals with 'exact knowledge of virtue and vice.' Although he is a professional writer who lives on the patrons' support, he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ndependent poets in the patronage system.

      •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비서의 업무 및 개인 생활의 변화에 관한 연구

        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인터넷 시대에 손안의 PC라고 불리며 일반 대중 속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은 과거의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을 넘어 이제는 인터넷, 업무,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기능을 종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매체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이용 환경은 개인이나 조직에 다양한 변화를 불러 오고 있으며 사무, 정보, 계획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비서직 종사자들에게도 업무적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비서직 종사자들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과 기능 활용은 이용동기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으며 그들의 업무 및 개인 생활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양적, 질적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 추후 연구에 실증적,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차 설문 연구는 비서직 종사자 100명을 대상으로 이용동기에 따른 이용 시간과 기능 활용의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으로 기초자료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들의 스마트폰 이용동기는 습관 및 무료함 달래기, 커뮤니케이션, 멀티태스킹, 실시간 검색 및 이메일과 이동성의 요인에서 높은 이용시간 보였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능은 인스턴트 메신저로 나타났으며 음성통화, 카메라/사진, 음악 혹은 라디오, 뉴스 및 날씨, 교통정보 활용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이용동기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피처폰에 비해 모바일 인터넷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기능 활용이 더 다양화 된 것으로 나타났다. 2차 심층 인터뷰는 설문 참여자 100명중에 심층 인터뷰에 자발적으로 응한 1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전사한 뒤 내용을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은 비서 업무에 긍정적과 부정적 측면의 변화를 가져 왔다. 애플리케이션 활용과 모바일 인터넷 사용으로 인해 신속히 업무를 처리 할 수 있게 되어 업무의 즉시성이 향상되었고 절차가 간소화되어 업무의 효율성도 높아졌다. 이로 인해 업무 만족도 역시 향상되었다. 또한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회사내의 사람들과 친밀감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언제 어디서든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은 업무 증대를 가져오고 개인 생활과 회사의 경계가 모호해졌으며 업무의 집중력을 떨어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의 사용은 개인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교통 정보 습득, 인터넷뱅킹과 같은 다양한 기능 활용이 가능해 삶의 편의를 향상 시켰고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으로 대인 관계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개인화된 정확한 맞춤 정보 습득이 가능해 졌다. 반면에 사생활 노출 및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겪었으며 불 필요한 시간을 낭비하고 만남에 있어 대화가 단절되고 신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인 변화도 불러 일으켰다.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어 심리적 안정감이 향상되고 의사소통 방법이 다양해짐에 따라 친밀감이 형성되었지만 스마트폰 중독으로 인한 불암감과 초조함, 스트레스 향상 그리고 소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결과가 갖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서직 종사자들의 스마트폰 이용동기와 기능 활용을 파악함으로써 학교와 회사차원에서의 비서교육과 필요한 지원에 활용될 수 있다. 향후 기업에서 스마트 오피스를 적극 구현하여 스마트폰으로 처리할 수 있는 업무들이 더 다양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비서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 스마트폰 활용 능력의 기술 역량 역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학교와 회사차원에서 스마트폰을 업무에 더욱 효율성 있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기초 교육이 필요하며, 비서 업무에 유용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거나 공유,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비서직 종사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스트레스와 소외감 같은 심리적 문제에 대해서도 접근해 주의를 환기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조직적 측면에서 주의하여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스마트폰으로 인해 업무가 증대되고 직장과 사생활의 경계가 점점 더 모호해 지고 있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상사의 이해 아래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 업무와 사생활의 경계를 구분 할 수 있도록 지침을 주거나 스트레스나 중독을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식을 교육과 상담의 형태로 방향을 제시해 좀 더 스마트폰을 업무에 효율적으로 쓸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비서직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에 관한 연구는 거의 다루어 지지 않았다. 따라서 양적,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한 다양한 사례를 파악함으로써 비서직 종사자의 스마트폰 이용에 관한 후속 연구의 실증적 이론 토대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e period of wireless internet, smartphones which are called as PC in the hand and spreads general people rapidly are becoming a medium to use generally various functions such as internet, work, multimedia, etc. beyond the simple function of telephone communication in the past. The popularization and using environment of smartphones create various changes for individual or organization and working changes are given to secretaries who play roles as a manager of office works, information and plan.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differences of secretaries’ smart phone using time and functions utilization by using motives and changes of their duties and individual life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and provide basic material preparing empirical and theoretical foundation for following studies. For the first survey, structured survey of base material was conducted so as to measure differences of using time and functions utilization by using motives for 100 secretaries. And, the results of studying are as follows. The first, for the secretaries’ smartphones using motives, the factors,‘habit and boredom relieving’,‘communication’, ‘multi-tasking’, ‘real-time research and email’and ‘portability’ showed much time of using. The second, the function secretaries utilized the mostly was instant messenger. The third, the functions which can be utilized by using motive were diversified by mobile internet and application more than feature phone.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18 people who responded voluntarily among the 100 people participating in the survey. After transcribing collected materials, the contents were divided and analyzed. The results deduced by this studying are as follows. The first, smartphones create changes in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to secretarial duties. Working instantaneity was improved because duties could be rapidly done by application utilization and mobile internet using and working effectiveness was improved because working procedures were simplified, so working satisfaction was also improved. In addition, the sense of closeness with colleagues was improved because of the real-time communication. However, the environment treating work anywhere and at any time increased the quantity of works, the boundary between individual life and company became vague and the concentration of works was decreased. The second, smartphones made a big change for individual life. Various utilizations such as acquisition of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internet banking improved life convenience, real-time communication made positive effects on forming human relations and accurately customized information can be acquired by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damages caused by privacy exposure and data spill, unnecessary time is wasted, conversation is cut for meeting and it makes bad effects on physical health. In addition, it caused psychological changes. Desirabl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ywhere at any time, so psychological stability was improved and method of communication became various. Meanwhile, a sense of closeness was formed, but they felt anxiety, restlessness, stress increase and sense of alienation because of the addiction to smartphones. Implications consider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by grasping secretaries’ smartphones using motive and function utilization, they can be utilized to secretarial education and necessary supports in schools and companies. In the future, companies will actualize smart office aggressively and duties which can be treated by smartphones will be more diversified. Therefore, among the capabilities requested to secretaries, technical capability of smart phones utilizing abilities is also a very important part. Therefore, basic education is necessary so that schools and companies can utilize smart phones more efficiently for works and applications useful to secretarial duties should be developed, shared and provided. The second, it’s significant to approach secretaries’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ddiction to smartphones, stress and sense of alienation and call attention. It must be examined carefully from an organizational angle. Because of the smart phone, works are increased and boundary between company and private life is gradually vague. So, in organization, boundary between work and private life should be clear for using smartphones under senior’s understanding or method to prevent and manage stress or addiction should be suggested by forms of education and counseling so as to use smartphones more efficiently for works. The third, there is few studies on using smartphones for secretaries. Therefore, it’s significant to prepare empirical theory foundation of following studies on secretaries’smartphones using by grasping various examples through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양

        강나리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에서의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N어린이집과 H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와 5세 유아 총 77명으로 실험집단 39명, 비교집단 38명이고 연구대상의 전체 평균연령은 5년 8개월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수정(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자연친화적 태도 검사 도구를, 정서지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윤영배(2008)의 연구에서 사용한 정서지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검사와 모래놀이 활동 실시 및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모두에게 사전 · 사후검사로 자연친화적 태도검사와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고, 실험집단에게는 본 연구자가 매 회 40분씩 주 3회, 총 9주간 실외놀이 시간을 이용하여 모래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어린이집에서 계획된 활동주제와 관련하여 실외 놀이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비교집단의 경우는 모래놀이의 운영시간이나 운영방법, 놀이자료 등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개입이 전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처리 방법은 t-검증과 공분산분석(analysis of covarience, ANCOVA)이며, 모든 통계처리는 Window용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외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의 하위 영역인 ‘동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F=8.815; p=.005),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F=3.991; p=.049),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F=4.471; p=.038)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교사의 적절한 개입 하에 규칙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외모래놀이 활동이 유아의 ‘동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외모래놀이 활동은 정서지능에서 실험집단유아와 비교집단 유아 간에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33, p<.05). 즉,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충분한 시간동안 이루어지는 유아의 실외모래놀이 활동은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실외모래놀이 활동은 유아들이 자연을 접하고 이해하면서 ‘동물에 대한 애호와 관심’, ‘생명에 대한 존중의식’, ‘자연환경에 대한 선호’를 발달시키도록 돕고, 자신의 정서를 조절하고 자신의 정서를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돕는 활동으로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자녀의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강나리 제주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oduction: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 including child abuse, child neglect, and household dysfunction are known to be risk factors for adult physical illness and mental health problem. In particular, maternal ACE may negatively affect the mental health and development of their offspring. But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effects and mechanisms of maternal ACE on their offspring's psychopathology and psychiatric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maternal ACE and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ental health problems in Jeju Island. Also,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aternal ACE on maternal depression and their offspring‟s mental health problems, psychiatric disorder. And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depression on the effects of ACE and their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was investigated. Method: The subjects included 463 mothers (42.78 ± 5.68 years) with children aged 6-18 years of age and their offspring‟s (13.26 ± 3.90 years). Mothers reported on their ACE before age 18 and Beckdepression inventory-II and also completed Diagnostic Predictive Scales (DPS) an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the screening tool for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and mental health problem. Differences between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scores in K-CBCL and prevalence of psychiatric disorder screened in DPS according to maternal ACE score were compar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odds ratio of mothers‟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offspring‟s mental health problem, psychiatric disorder and maternal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was analyzed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35.42% of subjects had at least one ACE, and 11.0% reported three or more ACE. The psychiatric disorder of offspring wa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4.3%),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12,3%),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11.4%). When one or more psychiatric disorder was screened from DPS defined as a clinical high risk group, the frequency of clinical high risk group was 44.1% of offspring. In the clinical high risk group, the maternal BDI-II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01), and the frequency of sexual abuse, emotional neglect, divorce, domestic violence, and alcohol problems in ACE item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control group. In addition, if the mother had more than three ACEs, the offspring‟s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an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T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subjects who did not have ACE (p<0.001). Maternal depression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ACE and their offspring‟s internalizing (p=0.004), externalizing scores (p=0.002) and number of psychiatric disorder (p<0.00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Maternal household dysfunction (OR=2.995, 95% CI=1.570-5.711) and alcohol problem experiences (OR=4.235, 95% CI=2.034-8.815, p<0.001) is associated with maternal depression. Maternal household dysfunction (OR=2.263, 95% CI=1.406-3.642, p<0.001) and alcohol problem experiences (OR=2.586, 95% CI=1.354-4.941, p=0.004) is also associated with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aternal depression (OR=4.119, 95% CI = 2.101-8.077, p<0.001) is associated with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Household dysfunc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total effect (Effect size=0.515, 95% CI=0.348-0.683), direct effects (Effect size=0.339, 95% CI=0.168-0.510) and indirect effects (Effect size=0.176, 95% CI=0.082-0.289) on increasing the number of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In the mediation model in which the household dysfunction affects the number of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rough the maternal depression was significant. Conclusion: Maternal ACE are important factors in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ental health problems such a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Among ACE items, the mother‟s experience of household dysfunction such as parent‟s alcohol problems before the age of 18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aternal depression and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Maternal ACE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comorbidity of offspring‟s psychiatric disorder through mediated by maternal depres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termine the mediators and mechanisms of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CE and offspirng‟s psychopathology. 아동학대, 아동 방임, 역기능적 가정환경의 경험을 포함하는 부정적 아동기 경험은 성인기 신체질환 및 정신건강에 위험인자로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부모의 부정 적 아동기 경험은 자녀의 정신건강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세대간 전이 양상을 보일 수 있으나 아직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자녀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와 같 은 정신건강문제 및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기전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 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18세 이전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빈도 및 자녀의 정신건 강문제와 정신질환의 빈도를 조사하고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어머니의 우울감, 자녀의 정신건강문제, 정신질환에 미치는 영향 및 교차비에 대해 조사하고, 또한 어머니 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어머니의 우울감을 통해 자녀의 정신질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만 6-18세의 자녀를 둔 463명의 어머니(42.78±5.68세)와 자녀(13.26±3.90세)를 대상으로 18세 이전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을 10개 영역에서 설문하는 부정적 아동기경험척도(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Scale)와 벡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II, BDI-II), 자녀의 정신질환 및 정신건강문제를 선별하기 위해서 DSM-Ⅳ 진단 기준에 근거하여 구성된 Diagnostic Interview Schedule for Children (DISC) Predictive Scales (DPS)와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를 조사하였다.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에 따른 DPS에서 선별된 정신질환 및 K-CBCL의 내재화, 외현화 T점수의 차이를 비교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우울감이 자녀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 및 정신질환에 미치는 위험비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유의한 위험비를 가진 부정적 아동기 경험 영역이 어머니의 우울감을 매개로 자녀의 정신질환 이환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경로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개 이상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을 갖고 있는 대상자는 35.42%였으며, 3개 이상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을 경고한 경우가 11.0%였다. DPS를 통해 선별한 자녀의 정신질환 은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14.3%),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12.3%), 적대적 반항장애 (11.4%), 사회불안장애(7.3%) 순이었다. 1가지 이상의 정신질환이 선별된 경우를 임상 고위험군으로 정의했을 때 임상 고위험군의 빈도는 전체 자녀의 44.1%였다. 임상고위험 군에 속할수록 어머니의 BDI-II점수가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1), 부정적 아동기 경 험 척도 중 성학대, 정서적 방임, 이혼, 가정폭력, 음주문제를 겪었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어머니가 3개 이상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이 있는 경우 자녀의 정신질환의 공존이환율이 더 많았고, 내재화 및 외현화의 T 점수가 부정적 아동기 경험 이 없는 대상자의 자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우울군에 해당하는 대상자는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빈도가 유의하게 많았으며(p<0.001), 우울군에 해당하는 대상자 의 자녀는 내재화(p=0.004), 외현화 문제(p=0.002)의 평균 점수와 이환된 자녀의 정 신질환의 평균 수가 2.11(±1.997)개로 우울군에 해당하지 않는 대상자의 자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 중 역기능적 가정환경이 어머 니 우울감의 유의한 관련요인이었으며(OR=2.995, 95% CI=1.570-5.711, p<0.001), 개별 항목 중 음주문제(OR=4.235, 95% CI=2.034-8.815, p<0.001)가 있을 경우 어 머니가 우울군에 속할 위험비가 높았다. 어머니의 역기능적 가정환경 경험(OR=2.263, 95% CI=1.406-3.642, p<0.001), 음주문제(OR=2.586, 95% CI=1.354-4.941, p=0.004)는 자녀의 정신질환의 유의한 위험비를 보였으며, 우울감(OR=4.119, 95% CI=2.101-8.077, p<0.001)은 자녀의 정신질환에 유의한 위험비를 보였다. 역기능적 가정환경은 자녀의 정신질환의 수가 많아지는 유의한 총 효과(Effect size=0.515, 95% CI=0.348-0.683), 직접 효과(Effect size=0.339, 95% CI=0.168-0.510), 간접효과 (Effect size=0.176, 95% CI=0.082-0.289)를 보였다. 역기능적 가정환경이 자녀의 정신질환의 수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모형을 살펴보면 어머니의 우울감을 통한 부분 매 개 모형이 유의하였다. 결론: 어머니의 부정적 아동기 경험은 자녀의 정신질환과 내재화 및 외현화와 같은 정신 건강문제에 중요한 관련요인이다. 그 중 18세 이전에 가족의 음주문제를 포함한 역기능 적 가정환경을 경험하는 것은 어머니의 우울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녀의 정 신질환의 이환이 높아지는 것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역기능적 가정환경은 어머니의 우울감을 매개하여 자녀의 정신질환의 수가 많아지는 것에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향후 부정적 아동기 경험의 세대간 전이의 매개 요인 및 기전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新羅 法興王代 佛敎公認會議와 大王興輪寺 :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관련하여

        강나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에서는 이차돈 순교 관계기사를 정치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여, 의사결정방식을 중심으로 법흥왕 14년의 불교공인회의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6세기 前半, 즉 상고기에서 중고기로 이어지는 시기의 의사결정방식을 검토하는 가운데 법흥왕대 불교공인회의의 전개 과정 속에서 국왕과 군신의 갈등 양상과 그 해소 방식을 주목하고, 불교공인회의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지증왕대에는 部 중심의 정치형태와의 관련 속에서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의사결정과정에는 국왕 혹은 갈문왕과 干群소지자가 참여하고 있었으며, 이들이 공동으로 논의하고 결정한 후에 敎를 내리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敎는 국왕(갈문왕)의 명의로 발표되었으며, 금석문상의 표현은 敎가 회의 주체들의 共論을 통한 것임을 명시하는 것이었다. 또 典事人·使人 등 실무자가 있어 회의 결정 사항을 집행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중성리비」와 「냉수리비」에서 잘 드러난다. 그런데 「봉평비」에서는 기존에 회의 결정 사항을 집행하는 실무자였던 奈麻群이 干群과 함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는 존재로 나타나고 있어, 귀족들이 국왕을 중심으로 한 관료적 성격으로 재편되어 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공동 명의의 敎를 공포하고, 新羅 6部의 이름으로 煞牛儀式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3년 뒤, 법흥왕은 불교공인을 둘러싼 1차 불교공인회의에서 共論을 통한 창사가 불가능해지자 공론을 통한 下敎의 원칙을 깨고 왕 단독의 詔를 통하여 흥륜사 창건 공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군신들의 쟁론이 일자 법흥왕은 여전히 공론의 형식을 따르는 2차 불교공인회의와 이차돈의 희생으로 자신의 무혐의를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차돈의 건의로 시작된 2차 회의에서 회의 주체들 사이의 의견이 대립하여 끝내 수렴되지 않자, 법흥왕은 ‘양 쪽을 모두 따를 수가 없다’고 하며 회의를 마무리 지었다. 이에 따라 당시까지의 흥륜사 창건 공사는 더 이상의 진행이나 철거 없이 그대로 유보되었다. 그런데 이는 결과적으로 흥륜사가 사찰로서 기능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흥륜사는 법흥왕 14년에 창건 공사가 중단되었으나, 부분적으로 시설을 갖춘 상태에서 그대로 창사하고 법흥왕 개인 혹은 왕실의 사찰로서 기능하였다. 법흥왕 22년에는 공사를 크게 再開하며 불교의 공인이 이루어졌으며, 진흥왕 5년에 落成되기에 이른다. 법흥왕 14년에 군신들은 흥륜사 창사와 국왕의 의사결정권 독점 시도를 저지하였고, 법흥왕은 共論을 통한 下敎라는 원칙을 지켰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흥왕은 흥륜사 공사를 유보시킨 이후로 몇 년에 걸쳐 결국은 자신의 뜻을 관철시켜 나갔다. 결과적으로 「봉평비」에서는 살우의식으로나마 담보되었던 6부 합의의 共論이 불교공인회의에서는 그 힘을 잃고, 공론의 형식 속에서 실질적으로는 국왕이 의도한 결과에 따르게 된 것이다. 6부 세력 중심의 共論의 무력화는 국왕을 대신한 귀족회의의 주재자로서 상대등 설치로 연결되었다. 불교공인회의에서 시도되었던 국왕의 의사결정권 독점은 이후 진흥왕대의 「적성비」에서 그 실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자주적인 연호의 사용이 시작되었으며, 재위 초에 牟卽智寐錦王이었던 법흥왕은 聖法興大王・另卽知太王으로 거듭날 수 있었다. 법흥왕 14년의 불교공인회의는 신라 정치의 중요한 화두로 작용하여 의사결정방식의 변화와 불교의 공인, 그리고 왕권의 위상 강화 결과를 가져왔다. 이는 결국 6부 세력 중심의 정치가 이루어지던 上古期에서 국왕의 국정운영권이 강화되어 국왕 중심으로 국가운영체제가 재편된 中古期로의 이행과 맞닿아 있었던 것이다.

      • 新羅 中古期 稅役制度 硏究

        강나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신라 중고기 세역제도의 종합적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해당 주제는 자료의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한계로 오랫동안 답보상태에 머물렀다. 중고기 세역은 현물세인 租稅와 貢賦, 노동력으로 부담하는 力役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자료의 한계로 租稅수취의 양상과 力役동원의 체계 구명에 한정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본고의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자자료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문헌사료는 중고기 세역제도와 관련하여 단편적인 사실을 전할 뿐, 직접적으로 그 내용을 알려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런데 출토・발견된 문자자료를 통해서 중고기 세역제도에 접근이 가능해졌다. 租稅에 관해서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을 비롯한 목간을 주요 검토 대상으로, 力役에 관해서는 주로 築城・築堤와 관련된 금석문의 내용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아울러 문자자료를 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면적인 판독을 실시하였다. 한편, 금석문이나 목간은 당대인이 직접 작성한 1차 사료라는 점에서 높은 사료적 가치를 갖지만, 동시에 보편성을 담보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판독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는 취약점도 존재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뿐 아니라 고구려・백제 및 고대 중국과 일본, 그리고 고려의 사례를 방증 자료로서 함께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중고기 租稅 수취 방식을 검토하였다. 이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하찰목간을 주 분석 대상으로 한다. 먼저 성산산성 하찰목간 전체를 대상으로 내용과 기재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古阤 지역 목간을 분석하여 石・負・發의 의미를, 그리고 奴人목간을 검토함으로써 租稅 수취의 대상과 세액을 파악하였다. 또 복수인명목간과 동일명목간을 검토하여 조세의 수합 관리방식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租稅의 운영 방식과 관련하여 賦稅 감면과 賑貸에 관해 다루었다. 부세 감면은 租稅 수취에 대한 보조장치로, 성산산성 출토 「壬子年목간」의 분석을 통해 신라에서 부세 감면이 이루어졌음을 증명하고, 주변 국가의 세역 감면제와 비교함으로써 신라 부세 감면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賑貸는 租稅를 바탕으로 운영된 것으로, 신라와 고대 동아시아 국가의 진대에 대해 아울러 검토하고, 「배산성목간」을 진대와 관련한 문서로 이해하여 신라 진대의 성격과 운영 방식을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중고기 역역동원체계의 정비 과정과 역역동원방식을 검토하였다. 이 장은 「영천청제비 병진명」에서부터 「경주명활성비」・「경주월지출토명활성비」, 「대구무술명오작비」, 그리고 「경주남산신성비」까지 관련 금석문을 주요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에 해당 금석문의 전면적인 판독과 함께 각 비에 보이는 직명체계 및 동원 단위에 주목하여 중고기 역역동원조직의 체계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 가야5598을 검토하여 금석문에 보이는 역역동원체계의 변화상을 재확인하고, ‘代法’을 비롯한 역역동원방식에 대한 구명을 시도하였다. Ⅴ장에서는 Ⅱ~Ⅳ장에서 살펴본 중고기 세역제도의 내용을 고구려・백제를 비롯한 주변 국가와 비교 검토하고, 중고기 이후의 변화 양상을 아울러 살펴봄으로써 중고기 세역제도의 특징과 역사적 성격의 구명을 시도하였다. 중고기 신라의 세역제도는 賦稅와 역역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부세는 직물과 곡물을 모두 수취하였다. 租는 다양한 곡물로 절납이 가능했으며, 균액의 곡물이 丁男과 奴人에게 부과되었다는 점에서 인두세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풍흉에 따른 부세 감면과 호등에 근거한 부가세적 성격의 의창조의 차등 수취를 통해 형평성을 추구하고 농민의 재생산을 보장하였다. 역역동원조직은 일정한 방향으로 정비되어 6세기 말에 이르면 체계적・일원적인 역역동원조직이 확립되었고, 역역동원에 관한 내용은 ‘代法’은 역역동원의 교대 기간에 대한 규정을 포함하여 율령을 통해 규정하고 있었다. 국가 차원의 역역과 지방 관부 차원의 역역이 존재하였으며, 歲役에 추가적인 역을 포함한 상한은 60일이었고, 代役은 가능했지만, 통일 이후까지도 庸・雇役은 시행되지 않았다. 그런데 통일전쟁 과정에서 호구 증가와 계층 분화에 따라 중고기의 3개 연령등급은 6개로, 3등호제는 9등호제로 세분화되었다. 이에 따라 통일신라에서는 人丁을 중심으로 가축, 토지 등을 포함한 자산에 기초한 호등을 근거로 租가 부과되었고, 각종 역역 사업에 군단을 투입하는 사례가 중고기보다 증가하고, 일반 요역의 동원은 그 비중이 줄었으며, 호등을 기준으로 그 선후가 결정되었다. 人丁 중심의 세역 수취는 신라 전 시기를 관통하는 특징이지만, 세부적으로 중고기와 통일신라 사이에는 人丁의 노동력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파악과 그 외 경제적 요소의 반영이라는 차이가 존재했던 것이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와의 차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라 중고기 租稅 수취의 대상과 단위의 문제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신라 중고기에 戶主를 대상으로 균액의 쌀 및 비단・베를 부과한 人稅를 실시하였으며, 노비도 과세 대상으로 이해하였다. 본고에서는 함안 성산산성 하찰목간을 분석하여 당시 신라에서는 戶가 아니라 외위소지자를 비롯한 丁男과 奴人에게 균액의 곡물이 부과되었으며, 납부한 세물은 1石 단위로 수합하여 관리되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둘째, 조세의 운영 방식과 관련하여 부세 감면과 賑貸의 시행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는 󰡔삼국사기󰡕에 보이는 재해시 긴급 구호 형태의 賦稅 면제 기사와 고구려의 賑貸를 근거로 신라에도 유사한 제도가 존재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통해 두 제도가 시행되었다는 이해 아래 진휼로서의 성격만 강조되어왔다. 본고에서는 함안 성산산성 출토 ‘壬子年’ 목간과 「배산성목간」을 주요 자료로 활용하여, 신라에 흉년에 따른 부세 감면 및 진대가 시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하고, 주변 국가와의 비교를 통해 그 성격을 추정해보았다. 셋째, 중고기 역역동원체계의 정비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간 축성과 축제의 역역동원은 서로 성격이 다른 것으로 이해하고 양자간 비교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들이 모두 축조 공사를 위한 역역동원이라는 공통점에 주목하고 4종의 축성・축제비와 함안 성산산성 출토 문서목간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중고기 역역동원조직이 일원화・체계화의 방향으로 정비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taxation system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This subject has remained in a static state due to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a lack of data.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 the taxation system consisted of Jo-se(租稅, tax paid in grain) and Gong-bu(貢賦, tax paid in textiles), which together comprised Bu-se(賦稅, tax paid in kind), along with Yŏk-yŏk(力役, labor tax), which was paid through labor.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discussion has been limited to aspects of the collection of Jo-se tax and explanations of the Yŏk-yŏk labor mobilization system.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or used excavated text materials as the main source of data. The historical literature provides only fragmentary facts about the taxation system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with nothing that directly explains its contents. However, it has become possible to access information on the Middle Ancient Silla tax system through written records discovered through excavations. With regard to the Jo-se tax, this study used wooden tablets based on those unearthed at Seongsansanseong Fortress. For the Yŏk-yŏk labor tax, the study mainly used the contents of epigraphs related to fortress and embankment construction. A full-scale decipherment of these was conducted to yiel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On the one hand, the epigraphs and wooden tablets are highly valuable historical data because they are primary source data written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at the same time, it is impossible to guarantee their universal applicability, and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depending on how researchers decipher the materials could present a weakness. Therefore, the cases of Goguryeo and Baekje, ancient China and Japan, and Gorye were also reviewed as supporting evidence. In Chapter II, the author reviews tax collection methods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 Wooden tablets used for baggage tags of supplies excavated from the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were us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First, the author reviews the contents and writing methods for the Seongsansanseong Fortress baggage tag wooden tablets as a whole. The author analyzed the wooden tablets from the Gota(古阤) region.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meanings of lexemes like seok(石), bu(負), and bal(發), as well as the Noin(奴人) wooden tablets, the author identified the subjects and amounts of tax collection.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d wooden tablets that contained multiple names and tablets that contained the same name to investigate the tax collection management method. In Chapter III, this study examines Bu-se reduction and Jin-dae(賑貸) relief policies related to the taxation operation methods. Bu-se reductions are a supplementary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Jo-se tax.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ja Year wooden tablet” unearthed at Seongsansanseong Fortress, it can be shown that Bu-se tax reductions took place in Silla, and that compared to the tax reduction systems of neighboring countries, Silla showed a distinction with its Bu-se tax reduction system. Because Jin-dae tax relief operated based on Jo-se, the Jin-dae of Silla and ancient East Asian countries were also reviewed. By understanding the wooden tablet unearthed at Baesanseong Fortress as documents related to Jin-dae relief,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haracter and methods of operation of Jin-dae in Silla. In Chapter IV, this study reviews the maintenance process and methods of the labor mobilization system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In this chapter, the subjects of analysis include epigraphs related to area ranging from the Byeongjinmyeong in the Cheongjebi Monument in Yeongcheon, the Myeonghwalseongbi Monument in Gyeongju, the Myeonghwalseongbi Monument from Wolji Pond in Gyeongju, the Okjabi Monument with the “Musul Year” Inscription in Daegu, and the Namsaninseongbi Monuments in Gyeongju. In addition to a full reading of the corresponding epigraphs, the author examined the job title system and mobilization unit of each epigraph to investigate the systematization of the organization of the labor mobilization system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In addition, the author examined documents and wooden tablet(Gaya no. 5598) unearthed at Seongsansanseong Fortress to reconfirm changes in the labor mobilization system shown in the epigraphs and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thods of the labor mobilization system, including Dae-beop(代法). In Chapter V, this study compares the Silla Middle Ancient Period taxation system to those of Goguryeo and Baekje and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diosyncrasies and historical character of changes that occurred after the Middle Ancient Period. The tax system of Silla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consisted of Bu-se reductions and Yŏk-yŏk labor, and Bu-se was collected through both grain and textiles. It was possible to pay Jo-se in a variety of grains, and because a uniform amount of grain was levied on both Jeongnam(丁男) and Noin, it had the characteristics of a head count tax. Equity was pursued and farmers’ reproduction was guaranteed through reductions that fluctuated depending on whether the harvest was good or bad and the differential receipt of value-added tax based on household class. The organization of labor mobilization was structured in a certain direction, and by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 systematic and unified labor mobilization organization had been established. Regarding labor mobilization, the Dae-beop was stipulated through the law, including regulations of shift periods for labor mobilization. There was Yŏk-yŏk at both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levels, and the upper limit was sixty days, including additional labor added for age-dependent Se-yŏk(歲役). However, during the war for unification, the three age grades used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were split into six, and the three household class grades were split into nine. As a result, in unified Silla Jo-se tax was imposed primarily on In-jeong(人丁) in the form of livestock, land, and other assets. Instances of military corps being used in various service projects became more frequent than during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the mobilization of regular labor sources decreased in proportion. Precedence was determined on the basis of household rank (hodŭng). The collection of tax centered on In-jeong is characteristic also of the entire period of Silla,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 Ancient Period and Unified Silla lies in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manpower of the In-jeong and the reflection of other economic factors. Factors that differentiate this study from previou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s the matter of subjects and units for the collection of Jo-se tax in the Middle Ancient Period of Silla. In previous research, an In-se(人稅) “person tax” was levied by imposing a uniform amount of rice, silk, and hemp, and slaves were also understood to be subject to taxation. By analyzing the wooden tablets containing baggage tag of supplies found at the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this study shows that a uniform amount of grain was levied based not on Ho(戶), but on Jeongnam and Noin based on surrounding holders. It also identified the fact that taxes paid were collected and managed in units of Seok. Second,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implementation of Bu-se reductions and Jin-dae relief in relation to the methods used for tax management. Based on Bu-se exemption articles in the form of emergency relief in the case of disaster and Goguryeo-era Jin-dae, it has been assumed until now that a similar system existed in Silla. Because of this, only the relief nature of the two systems has been emphasized. By using the “Imja Year wooden tablet” unearthed at the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and the wooden tablet unearthed at Baesanseong Fortress, this study confirmed that Bu-se tax reductions and Jin-dae were implemented in times of famine and estimated their character through comparison with neighboring countries. Third, this study reviewed the maintenance process of Middle Ancient Silla’s labor mobilization system. This study found that the labor mobilization systems for fortress and embankment construction differed from each other. Comparisons between labor mobilization for fortress and embankment construction have rarely been conducted.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commonalities between different types of labor mobilization for construction work and reviewed four types of documents and wooden tablets related to fortress and embankment construction unearthed at the Seongsansanseong Fortress in Haman. By doing so, this study found that the organization of labor mobilization in Middle Ancient Silla was reorganized in the direction of uniformization and system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