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변천과 사회변동 연구

        복문 국립목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903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은 다양한 형식이 공존하고 지역별 상이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단순히 고고학적 접근만으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변천과정을 설명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고학 자료뿐만 아니라 역사학계의 기존 연구성과를 활용하여, 고고학 자료와 백제의 대외적 및 대내적 환경 등이 어떻게 영향을 주고 받았으며 그 과정에서 고고학 자료가 어떻게 변천하는지 조명하고자 하였다.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백제무덤에 관련된 주요 용어와 함께 백제 한성기의 사회변동에 대한 용어를 정리하였다. 또 한반도 중서부와 서남부에 위치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공간적 범위는 산맥과 수계를 중심으로 한강 권역, 안성천 권역, 미호강 권역,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 영산강 권역 등 6개 권역으로 구분하였다. 다음으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형식분류는 그간 지적된 시기성의 불분명성을 보완하기 위해 주요 구성요소 17개의 속성을 검토하였고, 이 가운데 시기성, 독립성, 대표성, 내구성을 가진 최하단석 축석 형태(Ⅰ/Ⅱ), 배부름 기법의 적용여부(A/B), 평면 형태(a/b) 등 3개 속성을 조합하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을 7개 형식으로 구분하였다. 또 석실 형식의 발생순서배열을 적용하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형식적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편년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부장유물을 토기류와 철기류 그리고 위세품으로 대별하고 이 가운데 부장토기 조합양상을 권역별로 구분하며 토기류 기종별 상대순서를 결합하여 개별 석실의 상대순서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철기류와 위세품을 통해 개별 석실의 구체적인 역연대를 부여하는 한편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시기를 네 시기(Ⅰ∼Ⅳ기)로 구분하였다. 상기 형식분류와 편년수립을 통해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에서는 시기별, 권역별로 상이한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면, Ⅰ기(4세기 중엽∼4세기 후엽) 동안에는 한강 권역에 한정하여 횡혈식석실이 축조되고, Ⅱ기(4세기 후엽∼5세기 초)에는 한강 권역부터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까지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확대된다. Ⅲ기(5세기 초∼5세기 중엽)에는 앞선 시기보다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더 확장되어 기존 토착묘제가 강하게 잔존한 영산강 권역까지 다다르며 Ⅳ기(5세기 중엽∼475년)에는 앞선 Ⅲ기보다 석실유적이 축소되지만, 석실형식과 부장토기 조합양상 등에서 정형화가 이루어진다. 또 권역별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강 권역에서는 평면 형태에 따른 이원화된 축조 경향과 더불어 축조 공간의 확대가 관찰된다. 또 장방형 횡혈식석실에 한정하여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다. 안성천 권역은 한강 권역과 달리 평면 형태에서의 변화상은 관찰되지 않고 방형인 횡혈식석실에서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다. 미호강 권역 역시 안성천 권역과 같이 방형인 횡혈식석실을 중심으로 축조되나, 점진적으로 한강 권역과 같이 장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주류를 이룬다.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은 방형인 횡혈식석실에 배부름 기법이 적용되며 다양한 형식의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나, 점진적으로 방형인 횡혈식석실로 형태적 정형화가 이루어진다.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도 장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주로 축조되다가 점차 내륙방향으로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 변화가 이루어지고 방형인 횡혈식석실의 축조로 전환된다. 영산강 권역은 가장 늦은 시점에 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축조되가가 이후 장방형인 횡혈식석실이 축조된다. 다음으로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기원과 서울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 조영주체 문제를 다루어 보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기원으로 지목되던 고구려, 군현, 중국의 횡혈식 묘제와 관련한 연구성과를 분석한 결과,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은 석촌동 4호분 내 석실을 근거로 고구려 적석총에 기원을 둘 수 있고 축조재료의 전환이 이루어진 군현지역에서 1차 간접영향, 배부름 기법의 적용 및 장제적 측면에서 중국 강남지역으로 부터 2차 간접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서울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 조영주체와 관련하여 그간 연구성과를 토대로 검토한 결과, 우절각·천장형태·바닥시설 등에서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은 한강 권역의 여타 석실과 차이점이 없고, 송파구 일원의 횡혈식석실을 신라고분으로 비정한 주요 근거인 단각고배는 비혈연적 관계에 따른 재사용의 결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변천을 살펴보았다. 출현기에 해당하는 Ⅰ기에는 백제 중앙세력에 의해 새로운 최상위 계층의 묘제로서 횡혈식석실이 도입되고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일부의 집단에 한정하여 우호적 역학관계 아래 횡혈식석실의 전파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백제 중앙의 횡혈식석실 수용은 백제의 성장에 따른 고구려와 갈등이 격화되는 과정에서 빈번한 접촉에 의한 대등 정치체 교호작용이 작동한 결과로 추정된다.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확산기에 해당하는 Ⅱ기에는 인적 및 물적 집산이 용이한 교통의 결절지를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어 지정학적 위치가 횡혈식석실의 전파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 또 안성천 권역 가운데 오산천 일원과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에서 볼 수 있듯이 백제 중앙은 횡혈식석실의 전파에 있어서 지역 내 역학관계도 고려한 것으로 추정된다. 더불어 이 시기 동안 백제가 고구려와 지속적인 전쟁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횡혈식석실이 확산된 점을 고려할 때, 문헌기록과 달리 백제는 내부적으로 상당한 역량을 축적하고 있었으며 고구려와 갈등이 백제 중앙과 지방 간 우호적인 역학관계를 강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발전기에 해당하는 Ⅲ기에는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영산강 권역까지 확대되고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 석실이 한강 권역과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을 중심으로 등장하는 등 석실 형식이 더욱 다양해진다. 이 가운데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 한강 권역의 하남 감일동유적 등은 선행묘제나 생활유적이 불분명한 점에서 상대적으로 백제 중앙의 영향력이 강하게 적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의 배부름 기법이 적용된 횡혈식석실은 선행묘제가 분명한 점에서 백제 중앙과 우호적 역학관계에 있던 토착집단에 의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Ⅲ기는 백제와 고구려 간 갈등관계가 소강상태에 접어든 시기로, 활발한 대외 교섭과 영산강 권역까지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확대되는 점에서 백제의 국력이 빠르게 회복되는 한편 백제 중앙과 지방 간 우호적 역학관계를 바탕으로 지방으로 횡혈식석실의 전파와 수용이 이루어지나 한강 권역을 중심으로 강화된 백제 중앙의 영향력도 관찰된다. 정착기에 해당하는 Ⅳ기에는 유적의 수가 감소되지만 석실 형식과 부장토기 조합양상 등에서 정형화가 이루어져 백제 중앙의 강화된 영향력을 상정할 수 있다. 이는 한강 권역에서 몽촌토성 기점 반경 30㎞까지 횡혈식석실의 축조범위가 확대되며 영산강 권역을 제외한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 및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 등에서 이루어진 지역 내 역학관계의 변화가 관찰된다. 이는 개로왕대 실시된 왕권의 강화와 밀접하게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한편, 이러한 역학관계의 변화는 백제 중앙의 개입 아래 이루어진 결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횡혈식석실의 변천과 역학관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한강 권역에서는 우호적 역학관계 아래 Ⅰ기부터 Ⅱ기까지 거점 확보 및 확대가 이루어지고, Ⅲ기에 이르러 1차 영역화가 이루어지며 Ⅳ기에 이르러 2차 영역화가 이루어져 점진적인 백제 중앙의 영향력이 강화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안성천 권역은 Ⅱ기에 이르러 횡혈식석실이 축조되지만, 이미 수혈식석곽이 축조되던 집단을 중심으로 백제의 거점 확보과정에서 횡혈식석실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된다. 또 Ⅲ기에는 오산천 東岸 등으로 횡혈식석실의 확산이 이루어져 토착적 성격이 강한 오산천 東岸까지 백제의 영향력이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미호강 권역은 Ⅱ기부터 남한강유역과 연결된 교통로의 결절지를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며 거점 확보가 이루어진 후 Ⅲ기까지 유지되다가, Ⅳ기에 이르러 새롭게 목천분지를 경유한 교통로 확보과정에서 지역 내 세력 재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 상류 및 중류 권역은 Ⅱ기에 이르러 거점 확보가 이루어지고 Ⅲ기에 이르러 다수의 토착집단에 의해 횡혈식석실이 수용되어 거점 확대와 더불어 위세품 부장양상 등에서 우호적인 역학관계 아래 지역 내 1차적인 세력 재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Ⅳ기에 이르러 해당 권역은 정형화된 석실이 한정된 유적에 집중되는 점에서, 이 시기 동안 지역 내 2차적인 세력 재편이 이루어졌으며, 위세품 부장이 이루어지지 않는 점에서 백제 중앙의 개입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은 Ⅱ기부터 서해안과 인접한 지역을 중심으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어 거점 확보가 이루어고 Ⅲ기까지 유지된다. 하지만 위세품의 부장과 석실 분포의 변화 등에서 Ⅳ기에 이르러 금강 하류 및 주진천 권역도 백제 중앙의 영향력 아래 지역 내 세력 재편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영산강 권역은 Ⅲ기에 이르러 영산강 권역 내 토착집단 가운데 하나인 나주 복암리에 방형의 횡혈식석실이 전파되며 거점 확보가 이루어지고, Ⅳ기에 이르러 또 다른 토착집단인 영암 내동리일원에 장방형의 횡혈식석실이 축조되며 거점 확대가 관찰된다. 다만 백제 중앙과 물리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하고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의 전파가 상대적으로 늦기 때문에 백제 중앙의 개입에 따른 지역 내 세력 재편까지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고고학 자료인 횡혈식석실의 변천을 통해 백제 사회변동을 살펴보았다. 최근 역사학계에서 제기된 古尒王代 이후 阿莘王代까지 연맹왕국(연맹국가), 腆支王 이후 집권국가로 발전하고, 蓋鹵王代 왕권강화를 시도하였다는 견해가 고고학 자료의 변천과 잘 부합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during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simply by an archaeological approach because various forms coexist and show different patterns by reg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archaeological data and the external and internal environment of the Baekje were exchanged and how the archaeological data changed in the process by utilizing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of the historical academia as well as the archaeological data. Prior to the study, the main terms related to Baekje tombs and the terms of social change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spatial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Kingdom located in the midwest and sou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divided into six region, including the Hangang region, Anseongcheon region, Mihogang region,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and Yeongsangang region, centering on mountain ranges and water systems. Nex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uncertainty of the timeliness revealed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17 attributes frequently used in the existing classification were examined. Among them,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was divided into seven types by combining three attributes: the lowest end stone form (I/II), the application of the Baebureum technique (A/B), and the planar shape (a/b). In addition, by applying the occurrence seriation of the stone chamber type, the typological ch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of the Hanseong period was estimated. And the chronology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of Baekje was considered.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lassified the burial artifacts into pottery, ironware, and prestige goods, divided the burial pottery combination patterns by region, and examined the relative order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by region according to the burial pottery combination patterns. In addition, specific historical dates of individual the corridor stone chamber were given through ironware and prestige goods, and the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hases(I∼IV phas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and each region 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were considered. The scharacteristics of each phase are as follows; During the I phase (the middle 4th century to the late 4th century),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only in the Hangang region, and during the II phase (the late 4th century to the early 5th century) The scope of the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expanded from the Hangang region to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In the Ⅲ phase (the early 5th century to the middle 5th century), the range of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extended more than the previous phases, reaching the Yeongsangang region where traditional local burial practices were strongly prevalent. In the Ⅳ phase (the middle 5th century to 475) the remain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are reduced compared to the preceding III phase, but the standardization is made in the typ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and the combination of the burial potter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re as follow; In the Hangang region,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space is observed along with the tendency of dua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lanar shape, In addition, the Baebureum technique is applied only to the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Unlike he Hangang region, the Anseongcheon region does not observe any change in tthe planar shape, but the Baebureum technique is applied in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The Mihogang region is also built around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like the Anseongcheon region, but gradually the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like the Hangang region is mainstream. In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the Baebureum technique is applied to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and various types of corridor stone chamber are built, but the morphological standardization is gradually made into the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the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mainly constructed, and gradually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changed in the inland direction, and it is converted into the construction of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Yeongsan region, a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built, and then a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built. Next, this study explored the origin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and the issue of the construction agent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Songpa District of Seoul. As result by analyzed the origins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is originated from the Goguryeo's stone-piled tomb on the basis of the stone chamber in Seokchon-dong No. 4 and the Gunhyeon region where the conversion of the construction material is made, was the first indirect influence and It was judg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Baebureum technique and the funeral aspect were influenced by the second indirect influence from the Gangnam area in China. Furthermore, regarding the constructors of the tombs in the Songpa District of Seoul, based on existing research, inferred that these tombs, given their similar corner angles, ceiling forms, and flooring structures to other tombs in the the Hangang region, do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that the short-mounted cups, previously considered key evidence for Silla-style tombs, are likely results of reuse due to non-blood relations. And the transi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of Baekje was considered. It is judged that the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introduced as a new top-class tomb by Baekje central power in the I phase corresponding to the emergence phase, and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carried out under the favorable mutual relationship limited to some geopolitically important groups. In addition, the acceptanc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center of Baekje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equal politics through frequent contact in the process of intensifying conflict with the Goguryeo due to the growth of Baekje. It is presumed that the geopolitical location ha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because it was built around the nodule of traffic which is easy to collect human and material in the II phase corresponding to the diffusion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the Hanseong period. In addition, as can be seen on the Osan stream area in the Anseongcheon region and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Baekje central area is presumed to have considered the dynamics in the area in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Baekje continued to wage war with the Goguryeo during this period, the Baekje had accumulated considerable capacity internally, unlike the documentary records, and the conflict with the Goguryeo strengthene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Baekje central and local areas. In the III phase, which corresponds to the expansion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the range of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expanded to the Yeongsangang region, and the corridor stone chamber with the Baebureum technique appears around the Hangang region and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Among them, it is presumed that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enter was strongly applied to the Hanam Gamil-dong remains of the Hangang region where the Baebureum technique was applied. However, it is presumed that the corridor stone chamber to which the Baebureum technique of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was applied was built by the indigenous group which ha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Baekje central in that the preceding tombs were clear. In addition, in the Ⅲ phase, the conflict between Baekje and Goguryeo was in a lull, and Baekje's national power was rapidly restored in terms of active foreign negotiations and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to the Yeongsangang reg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agation and acceptance of 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carried out in the provinces based on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Baekje central, but the influence of the the Baekje central strengthened around the Hangang region was also observed. In the Ⅳ phase, which corresponds to the fixed phas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Hanseong period, the number of sites is reduced, but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strengthened influence of the Baekje center by being stereotyped in the typ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and the combination of burial pottery. This is seen in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range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from the Hangang region to the 30km radius of MongchonTosung,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forces in the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and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excluding Yeongsangang region. This is pre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kingship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Gaero, while the reorganization of power within the region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intervention of the Baekje Central. Finally, the dynamic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areas and the change of the Baekje society during the Hanseon period of the Baekje in relation to the transi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ere examined. In the Hangang region, the base is secured and expanded from the Ⅰ phase to the Ⅱ phase under the friendly mutual relationship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Baekje central is gradually strengthened by the first territorialization and in the III phase and the second territorialization in the IV phase. In the Anseongcheon regi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in the Ⅱ phase,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base of Baekje centered on the group where the pit-style stone burial chamber was already built. In addition, in the III phase, the spread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made by the Osan stream east, and it seems that the influence of Baekje central was extended to the Osan stream east, which has a strong indigenous character. In the Mihogang regi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around the nodule of the traffic route connected to the Namhan River basin from the Ⅱ phase. After securing the base, it was maintained until the III phase. In the Ⅳ phase, It is judged that the power reorganization took place. In Geumgang upstream and midstream region, the base was secured in the Ⅱ phase, By the III phase, it is estimated that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constructed by a large number of indigenous groups, and the primary reorganization of the power in the region was carried out under favorable mutual relations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the base and the appearance of the prestige goods. In addition, the scope of construc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concentrated in the Ⅳ phase, and it is possible to assume the second reorganization of the power in the region. In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around the area adjacent to the west coast from the II phase, and the base was secured and maintained until the III phase. However, it is judged that the power in the area was reorganiz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Baekje central in the Geumgang downstream and Jujincheon region in the Ⅳ phase due to the change of the aspects of prestige goods and the distribu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n Yeongsangang region, in the III phase, a square-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propagated to Naju Bokam-ri, one of the indigenous groups in the Yeongsangang region, and a base was secured. By the Ⅳ phase, a rectangular-shaped the corridor stone chamber was built in Yeongam Naedong-ri, another indigenous group. However, it is presumed that it has not reached the reorganization of the forces in the region because it is located physically far from the center of Baekje and the propaga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is relatively late. In addition, the changes of Baekje society through the transition of the corridor stone chamber were considered. The view that the Baekje stayed the kingdom of the Federation from the King Koi to the King Asin, and entered the centralized state from King Geonj, and attempted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during the King Gaero was confirmed to be consistent with the archaeological data.

      • 중국 송나라 시대의 사조 음악 연구 : 강기의 작품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71

        Kang,Ki was a famous litterateur and Sajo musician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of China. His 17 Sajo works are the only collection of Sajo works of Song Dynasty with music score that has been handed down to this day. It is regarded as “a rare treasure in the history of music”and an extremely important and precious cultural heritage in the music Treasury of China and even the world. Kang,Ki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in Chinese academic circles.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Kang, Ki’s Sajo works, combined with the analysis of examples, starting from Kang, Ki’s life, times and cultural background, and in the context of music theory that modern people can understand, the author makes an in-depth analysis of the words, tu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nd tunes, and the aesthetic features embodied in the lyrics and tunes of the 17 Sajo works, Through exploring the creative skills of Kang, Ki’s Sajo works, we hope to better understand the creative style and artistic characteristics of Sajo music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시각 표현에 관한 연구 : 실험성이 강한 타이포그래퍼들의 조형언어를 중심으로

        모란 경희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71

        오늘날과 같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커뮤니케이션의 도구인 문자는, 정보를 전달하는 언어적 기능 이상으로 시각적 표현과 조형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발달로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를 좀더 쉽고 편리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달 매체인 문자를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 타이포그래피에 있어서 실험이라는 의미는 시각적 매개체를 표현하는 새로운 가능성이며, 이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또한 실험성이 강한 새로운 타이포그래피를 추구하려면 전통적으로 내려온 규범이나 관습 등을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하며, 그것이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접근이나 시도를 추구함에 있어서 관습이나 규범의 틀을 뛰어넘는 창의력을 발휘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실험 타이포그래피의 시각표현을 전제로 현재 활동하고 있는 실험성이 강한 타이포그래퍼인 프랑스의 로베르 마쌩(Robert Massin), 독일의 볼프강 바인가르트(Wolfgang Weingart), 미국의 에이프릴 그레이만(April Greiman), 영국의 네빌 브로디(Neville Brody), 미국의 데이비드 카슨(David Carson), 한국의 안상수(Ahn, Sang-Su)와 원유홍(Won, You-Hong)등의 조형언어를 비교, 분석하여 그들이 가지고 있는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디자인 철학, 문자의 접근방식, 작품의 영감, 디자인 사조를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실험의 의미를 숙지하고, 더 나아가 실험적 타이포그래피의 무한한 창조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21세기의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타이포그래퍼는 적극적이고 넓은 안목을 갖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타이포그래피에 과도한 “멋 부리기” 보다는 작품의 의도나 표현에 대한 인식, 정보의 전달이 애매 모호해 지지 않도록 좀더 신중한 판단을 해야만 한다. 또한 새로운 시각표현의 자유로운 창조 활동을 위한 무한한 시각적 표현방법으로서 문자 정보에 다양한 가능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타이포그래피의 진정한 실험을 위해 여러 가지 타이포그래피 요소들과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이나 선입견을 버리는 것이 중요하며 그것을 신선한 관찰력과 접목시킴으로써 진취적이며 도전적인 방향으로 그 능력을 키워야만 하겠다. 앞으로의 실험적 타이포그래피는 기존의 원리들이 충분히 이해된 가운데 변화하는 시대감각에 맞는 실험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새로운 조형언어로무한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증폭시켜나가야 하겠다. Today, The character as tools for communication in the flooding of the information must be more than linguistic functions and has another function, such as visual expression and formative language. And we can access lots of information easily, conveniently and transfer it more quickly, as being growth of the computers. The meaning of the experiments in Experimental Typography is new possibility to present visual mediation and a kind of tool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dditionally we are supposed to keep traditional customs sufficiently to pursue experimental new Typograph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part to overcome limitation of traditional customs. This case will be having experimental typography's discussion about the concept, design philosophy, access method of character, inspiration, and trends and presenting creative possibilities based on Robert Massin, Wolfgang Weingart, April Greiman, Neville Brody, David Carson, Ahn Sang-Su, Won You-Hong. To fulfill the needs for the 21st century we should concentrate on getting objective views and careful judgment not to transfer ambiguous information. We should take responsibility to make various possibilities about character information as visual expression and throw prejudice away, and raise progressive and challengeable possibilities by merging fresh observation. Consequently, we must attempt to new approach on th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experimental typography and increase continuing possibility and implication of formative language.

      • 영산강 수계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 분석

        선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71

        본 연구는 영산강 수계 내 10개 지점의 이화학적 수질에 관한 시공간적 변이상태를 분석하기 위해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용된 수질 변수는 전기전도도 (Conductivity),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B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 용존산소량 (Dissolved oxygen), 총인 (Total phosphorus), 총질소 (Total nitrogen) 및 총부유물 (Total suspended solids)의 7개 항목으로서 계절별, 연별, 조사지점별 농도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강 수계 내에서의 이화학적 수질측정값은 계절 강우에 따라 수질 측정값의 변동 폭이 심하며, 대부분의 수치 농도변이는 7-8월에 집중되는 하절기 몬순 강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장마기에 이온희석의 지표로 사용되는 전기전도도와 총인, 총질소와 같은 영양염류들의 경우 강우량과 역 상관관계 (|r|>0.32, p<0.01, n=119)를 보였으나,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과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경우에는 강우분포와 통계학적 유의성 (p>0.05, n=120)을 보이지 않았다. 총인, 총질소, 전기전도도는 대부분 장마중인 7-8월에 최소값을 보였는데, 이는 강우에 의해 오염물질이 희석되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반면, 총부유물의 유입은 하절기 몬순 동안에 최대치를 보여 이온 감소와는 대조적인 특성을 보였다.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의 계절적 변화 패턴은 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유사한(r=0.592, p<0.01) 양상을 보였으며, 마찬가지로 총질소의 변화패턴 또한 총인과 유사한(r=0.529, p<0.01) 양상을 보였다. 용존산소량의 계절별 변화에 따르면, 수온이 낮은 겨울에 최대값을 보이며 온도가 높은 여름에 최소값을 보여 수온과의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점별 변화 패턴 분석에 따르면, 전기전도도를 제외한 총인, 총질소,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 총부유물은 상류 및 하류역 보다 중류역에서 높은 농도를 보인 반면, 전기전도도의 경우에는 하류역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특히, 총인, 총질소,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수질값은 지점 4(광주 2)에서 급격히 악화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광주 도심으로부터 유출되는 가정하수 및 인접한 공단에서 배출하는 폐수유입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영산강의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이런 도심지역의 오염부하 저감을 통한 효율적 수질관리가 요구된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longterm temporal trends of water chemistry and spatial heterogeneity for 10 sampling sites of the Yeongsan-River watershed using water quality dataset during 1995-200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quality, based on multi-parameters of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conductivity, dissolved oxygen (DO), total phosphorus (TP), total nitrogen (TN) and total suspended solids (TSS), largely varied depending on the sampling sites, seasons and years. Largest seasonal variabilities in most parameters occurred during the two months of July to August and these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large spate of summmer monsoon rain. Conductivity, used as a key indicator for a ionic dilution during rainy season, and nutrients of TN and TP had an inverse function of precipitation (absolute r values>0.32, p<0.01, n=119), whereas BOD and COD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p>0.05, n=119) with rainfall. Minimum values in conductivity, TN, and TP were observed during the summer monsoon, indicating an ionic and nutrient dilution of river water by the rainwater. In contrast, major inputs of total suspended solids (TSS) occurred during the period of summer monsoon. BOD values varied with seasons and the values was closely associated (r=0.592, p<0.01) with COD, while variations of TN were had high correlations (r=0.529, p<0.01) with TP. Seasonal fluctuations of DO showed that maximum values were in the cold winter season and minimum values were in the summer seasons, indicating an inverse 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 The spatial trend analyses of TP, TN, BOD, COD and TSS, except for conductivity, showed that the values were greater in the mid-river reach than in the headwater and down-river reaches. Conductivity was greater in the down-river sites than any other sites. Overall data of BOD, COD, and nutrients (TN, TP) showed that water quality was worst in the Site 4, compared to those of others sites. This was due to continuous effluents from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ithin the urban area of Gwangju city. Based on the overall dataset,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is required in the urban area for better water quality.

      • 「感情」の比喩表現の研究

        이등강미 濟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박사

        RANK : 1855

        비유는, 언어학 분야에서 정보 전달의 수단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것을 언어화할 때 우리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인지언어학에서는 표현에 주목하는 것이 아닌, 언어의 인식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문학 작품 속의 언어 가운데, 감정을 나타내는 비유 표현을 대상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감정이 무엇으로 대체되어 인식되고 있는지를 인지언어학의 연구 방법에 따라 논의를 전개하겠다. 연구 대상으로 전쟁문학을 선정하고, 러일전쟁 작품에서 전후 작품까지(1906~1969)를 전쟁 배경별 다섯 시기로 나누어 고찰한다. 다섯 시기의 감정의 개념, 감정과 신체와의 관계를 분석·고찰하여 감정의 표현 방법, 언어화된 감정으로부터 우리가 가지고 있는 인지 구조를 밝힌다. 그리고 그 표현 방법이나 인지 구조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통시적 고찰을 하겠다.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이 되는 감정은 18종류이다. 긍정적 감정은 ‘기쁨, 애호, 안도, 즐거움’의 4종류, 상황에 따른 긍정・부정적 감정은 ‘추억, 흥분, 긴장, 놀람’의 4종류, 부정적 감정은 ‘슬픔, 분노, 공포, 불안, 절망, 원한, 혐오, 회개, 후회, 수치’의 10종류로 분류했다. 러일전쟁을 무대로 한 세 작품의 고찰에서, 군국주의의 작품은 전쟁에 대한 ‘흥분’이 많이 그려져 있고, 반군국주의의 작품은 ‘슬픔’이 많이 그려져 있었다. 표현에서는 <흥분은 공격성이 있는 것>이라는 개념 메타파(은유)가 많이 보였다. 전투에 대한 흥분이 많이 그려져 있어 러일전쟁 시대의 군국주의적 사상이 작품 표현에도 나타났다. 또한, 신체 부위를 이용한 표현에서는 ‘눈’이 포함된, ‘눈물’을 이용한 표현이 풍부하게 나타난 것도 하나의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신체 부위의 표현에서는 ‘원한’이 주로 ‘입’에서 삼키거나 ‘치아’로 표현되는 등 ‘입’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일 전쟁을 무대로 한 네 작품의 고찰에서, 정부가 파견한 글쓰기(펜)부대가 썼기 때문에, 슬픔의 감정에서는 동료의 죽음에 대한 한탄뿐만 아니라 외로움과 불쌍한 생각의 표현도 많이 나타났다. 전쟁터라 할지라도 긍정적 감정이 18%나 차지할 정도로 많이 표현되어 있는 것도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표현에서는 <불안은 생물이다>라는 개념 메타파가 많이 보였다. ‘불안’한 감정이 ‘기어서 접근하다’나 ‘좀먹다’ 등과 함께 사용되어 왠지 불쾌한 기분으로 그려져 있었다. 또한 불안에 빠져 있는 상황을 신체 이상(異常)으로 표현된 것이 많았던 것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태평양 전쟁의 네 작품의 고찰에서, 전쟁터로 향하는 흥분보다는 병사를 보고 마음이 흔들리는 보도원의 감정, 그리고 죽음으로 향하는 병사에 대한 슬픔 감정이 주로 그려져 있었다. 표현의 특징으로는 ‘공포’와 ‘불안’에서는 <감정은 생물이다>라는 개념 메타파가 눈에 띄고, 이것은 감정이 체내에서 발생한다는 인식 이외에 외부에서 오는 것으로, 제어할 수 없는 것이라는 인식이 강함을 보여주었다. 또 <감정은 고체이다>라는 개념 메타파도 많아, 각 감정과 사물의 유사성에서 도출한 비유가 풍부하게 그려져 있어 폭넓게 표현되었다. 신체 부위에서 ‘분노’와 ‘회개’, ‘원한’ 등의 부정적 감정은 ‘입’과 깊은 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자기 신체 일부를 자신과 분리해서 다루는 서양적 표현이 보인 것도 이 시기의 특징 중 하나이다. 전후 바로 발표된 세 작품의 고찰에서는 종전 가까이까지 전투가 없는 대기 상태였기 때문에 전쟁터에서 보내는 불쾌한 감정이 많이 그려졌고, 전투에 임하는 흥분은 적었다. 표현의 특징은 많은 감정에서 <감정은 생물이다>라는 개념 메타파가 많아, ‘감정은 컨트롤 할 수 없는 것’이라는 인식보다 감정의 의인화나, ‘감정은 소유물이 아닌 외부의 미지의 것’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었다. 또 <감정은 고체이다>라는 개념 메타파도 많아서 감정을 다양한 시점에서 보고 그리는, 즉 폭넓게 표현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신체 부위에서는, 신체의 상태뿐만 아니라 놓여 있는 상황을 문장 전체의 비유로 나타낸 예문이 몇 개 보였다. 단순히 감정을 유사한 것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것이 아닌, 문장 전체를 이용한 비유 표현이 보이는 것이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신체 부위와 감정의 관계에서는, ‘마음’을 신체 일부로 파악하는 것보다 용기나 물체로 파악하고 있는 표현이 많아, ‘시대가 흐르면서 감정이나 신체 부위가 몸에서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으로서 인식되고 있음이 분명하게 표현되고 있다. 종전 때 10대였던 작가의 작품 고찰에서는 GHQ에 지배되고 있다는 억압된 감정 때문에 ‘분노’의 사용 빈도수가 아주 많았다. 또, 작가가 정한 주제에 따라 감정의 편향이 보인 것, 알기 쉽게 표현하는 것보다 문장을 꾸미기 위한 수사적인 표현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감정과 신체 부위의 관계에서 ‘분노’는 여섯 부위가 사용되었으며 ‘배’뿐만이 아닌 많은 부위와 관계있는 감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비유 표현의 양도 늘어나 창작 수준도 높고, 감정을 다양한 시점으로 파악하는 등 표현의 폭도 매우 넓어졌지만, ‘슬픔’을 나타내는 울음의 행위는 이 비유 대상에서는 적어지는 등, 관용적인 표현을 좋아하지 않는 경향이 보였다. 통시적 고찰에서는 총 730개 예문을 가지고 연구하였다. 그 중 가장 많았던 것은 ‘슬픔’, 다음으로 ‘흥분’, ‘혐오’, ‘공포’, ‘분노’ 순으로 이어졌다. 감정의 사용횟수는 내용이나 시대 배경과 관련이 있었다. 직유·은유에서는 <고체>에 비유한 것이 가장 많고, <용기 안의 액체>, <생물> 순으로 이어졌다. 긍정적 감정과 긍정・부정의 양 감정은 전체적으로 <액체>라는 인식이 강하고, <공격성이 있다>는 인식은 약했다. 부정적 감정은 ‘슬픔’만이 <공격성이 있다>는 인식이 강했고, ‘불안’은 <생물>이라는 인식이 강했다. 그 이외는 <고체>의 인식이 강하고, 부정적 감정이라도 <공격성이 있다>라는 인식은 약한 것도 있었다. 특히 ‘분노’의 감정은 <공격성>을 별로 없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액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 감정에도 적용되지만, ‘공포’와 ‘불안’에서는 그 인식이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념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감정 종류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지만, 감정을 신체 외부의 것으로 파악하려는 표현이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 부위를 이용한 환유에서는 ‘얼굴’의 사용 빈도수가 가장 많았고, ‘눈’, ‘몸’으로 이어졌다. 감정과 신체 부위가 강하게 연결되는 것은 ‘기쁨·즐거움·혐오’와 ‘얼굴’ 특히 ‘미소’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슬픔’과 ‘눈’이며, 이 대부분은 ‘눈물’이 차지했고, 나머지는 ‘색’과 ‘빛’이 많았다. 그리고 ‘공포’와 ‘몸’인데, 체온 저하나 떨림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원한, 회개’와 ‘입’은 ‘치아’와 ‘입술’ 등으로 표현되었다. 이러한 환유 표현은 시대와 함께 줄었고, 신체의 일부를 본체에서 떼어내는 표현이 늘어났다. 이 논문에서는 감정을 나타내는 비유 표현을 대상으로 감정의 개념, 신체 부위와 감정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감정이 어떤 개념, 어느 부위를 사용하여 표현되는 경향이 있는지를 고찰하여 다양한 감정에 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표현의 통시적 고찰에서 감정의 사용횟수는 시대 배경과 내용에 좌우되지만, 감정의 개념 메타파는 시대가 변해도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유사(喩辞)는 변화한다. 은유도 시대의 변화와 함께 복잡한 표현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 문장에 색을 입히기 위해서 거친 표현을 사용하게 되었다. 앞으로의 연구 과제에서, 유사를 중심으로 자세히 분석한다면 감정에 대한 인식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용례 수집을 늘려 고찰하면서 일본어의 독특한 표현을 발견하는 연구로 연결해 나가고 싶다. 比喩は言語学の分野では情報伝達の手段として重要な役割を果たすものとして注目されており、目に見えない抽象的なものを言語化する際、我々の理解の手助けをしている。その中で認知言語学では、表現に注目するのではなく、言語の認識に焦点がおかれ研究が行われている。 本論文では、文学言語の感情を表わす比喩表現を対象に、目に見えない感情が何に置き換えられ認識されているのかを認知言語学での研究方法に沿って議論を展開していく。研究対象として戦争文学を選定し、日露戦争の作品から戦後の作品まで(1906~1969)を戦争の背景別に5つの時期に分けて考察を行う。5つの時期の感情の概念と感情と身体の関係を分析・考察し、感情の表現方法および言語化された感情から我々の持つ認知構造を明らかにする。そして、その表現方法や認知構造は時代の流れによって違いがみられるのか通時的考察を行う。本論文での対象となる感情は18種類である。正の感情は「喜び・愛好・安堵・楽しさ」の4種類、状況によって正にも負にもなる感情として「追憶・興奮・緊張・驚き」の4種類、負の感情は「悲しみ・怒り・恐怖・不安・絶望・恨み・嫌悪・悔しさ・後悔・恥」の10種類である。 日露戦争を舞台にした3作品の考察では、軍国主義の作品は戦争への興奮が多く描かれ、反軍国主義の作品は悲しみが多く描かれていた。表現では<興奮は攻撃性のあるもの>という概念メタファーが多くみられた。戦いに対する興奮が多く描かれており、日露戦争時代の軍国主義的思想が作品の表現にも表われていた。また、身体部位を用いた表現では「目」の項目に含まれる涙を用いた表現が豊富にあったのも特徴のひとつとしてあげられる。身体部位の表現では「恨み」が主に口から呑み込むものであったり、歯で表現されたりと、口との関係が深い感情であることも明らかになった。 次に、日中戦争を舞台にした4作品は政府が派遣したペン部隊によって書かれているため、悲しみの感情では、仲間の死への嘆きでだけでなく、寂しさや哀れに思う気持ちも多く見られた。戦場であっても正の感情が18%と多く描かれているのもこの戦争作品の特徴といえよう。表現では<不安は生物である>という概念メタファーが多くみられた。不安の感情が「這いよる」や「蝕む」などと共起し、気味の悪いものとして描かれていた。また、不安に陥っている状況を身体の異常で表現したものが多かったことも特徴として挙げられる。 太平洋戦争の4作品では、戦いへ向かう興奮よりも兵士を見て心が動かされる報道員の感動の気持ち、そして、死へ向かっていく兵士に対する悲しみの感情が主に描かれていた。表現の特徴としては、「恐怖」と「不安」では<感情は生物である>という概念メタファーが目立ち、これは、感情が体内で生じるという認識以外に、外部からやってくるもので、制御できないものという認識が強いことを示している。また、<感情は固体である>という概念メタファーも多く、各感情と物の類似性から導き出した比喩が豊富に作られており、表現の幅に広がりがみられた。身体部位からは、怒りや悔しさ、恨みなどという負の感情は「口」との関係が深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そして、自分の身体一部を自分と切り離して扱う西洋的表現がみられたのもこの時期の特徴のひとつである。 戦後すぐに発表された3作品では、終戦間近の戦闘がない待機の状態であるため、戦地で過ごす不快な感情が多く描かれ、戦いへ挑む興奮は少なかった。表現の特徴は、多くの感情で<感情は生物である>という概念メタファーが多く、「感情はコントロールできないもの」という認識よりは、感情の擬人化であったり、「感情は所有物ではなく外部の未知のもの」として捉えられていることが特徴であった。また、<感情は固体である>という概念メタファーも多く、これは感情を様々な視点からみて描くという表現の幅の広がりを表わしている。身体部位では、身体の状態のみならず置かれている状況を文全体を用いた比喩で表わしたものが数例みられた。これは今までのように単に類似しているものや状況に置き換えて表現するのではなく、文章全体を使った比喩表現が用いられるようになったことを示している。身体部位と感情の関係では、「心」を身体の一部として捉えるより、容器や物体として捉えている表現が多くあり、時代が流れるにつれ、感情や身体部位が体から切り離されて存在するものとして認識されていることが表現にはっきりと表われていた。 終戦時10代であった作家の作品の考察では、GHQに支配されているという押さえ込まれた感情として怒りの使用数が抜き出ていた。また、作者が定めたテーマに沿って感情の偏りがみられたことと、分かりやすさより文を飾るための修辞的な表現が多くみられたのが特徴であった。感情と身体部位の関係では、「怒り」は6個所の部位が用いられ、「腹」のみならず多くの部位と関係がある感情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全体的に比喩表現の量も増え、創作レベルも高く、感情を多視点で捉えるなど表現の幅も非常に広がっていたが、「悲しみ」を表わす泣く行為は本対象では少なくなるなど、慣用的な表現を好まなくなっているという傾向がみられた。 通時的考察では全730例の用例を用いて行った。その中で最も多かったものは「悲しみ」で、次に「興奮」、「嫌悪」、「恐怖」、「怒り」と続いた。感情の使用数は内容や時代背景と関係していた。直喩・隠喩からは<固体>に喩えたものが最も多く、次に<容器の中の液体>、<生物>と続いた。正の感情と正負の感情は全体的に<液体>の認識が強く、<攻撃性がある>の認識が弱かった。負の感情は悲しみのみ<攻撃性がある>の認識が強く、不安は<生物>の認識が強かった。それ以外は<固体>の認識が強く、負の感情であっても<攻撃性がある>の認識は弱いものもあり、特に怒りの感情は<攻撃性>をあまり持っていな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また、<液体>の認識はどの感情にも当てはまるが、恐怖と不安ではその認識は弱いことが分かった。これら概念は時代の流れによって種類の変化はみられなかったが、感情を身体外部のものとして捉える表現の増加はみられた。 身体部位を用いた換喩では、顔の使用数が最も多く、次に目、そして、体と続いた。感情と身体部位の強いつながりがみられたものは、「喜び・楽しさ・嫌悪」と「顔」、特に笑顔で表わされていた。次に「悲しみ」と「目」であり、これは涙が大部分を占め、それ以外では色や光が多かった。次に「恐怖」と「体」であり、体温低下や震えで表わされていた。最後に「恨み・悔しさ」と「口」であり、歯や唇などを用いて表わされてた。これらの換喩表現は時代とともに減少していき、身体の一部を本体から離して捉えている表現が増加した。 本論文では感情を表わす比喩表現を対象に、感情の概念、そして身体部位と感情の関係を中心に考察を行った。特に感情がどの概念を用いて表現される傾向があるのか、どの部位を用いて表現される傾向があるのか、様々な感情に関しての結果を示すことができた。表現の通時的考察では、感情の使用数は時代背景と内容に左右されるが、感情の概念メタファーは時代が移り変わっても変化がないことがわかった。しかし、喩辞(喩える語)は変化していき、比喩も時代とともに複雑な表現が好まれ、文章に彩りを沿えるための工夫を凝らした表現が使われるようになっていた。今後は喩辞を中心に細かく分析することで、感情に対する我々の認識もさらに解明できると考える。そして、用例を増やし考察を行うことで日本語独特の表現の発見につなげていきたい。

      • 환경재의 가치평가 적용을 위한 자연휴양림 보전가치 추정방법비교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855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with the purpose of estimating the value of recreation through conservation of recreation forests, one of forest recreation resources, verifying estimation methods through comparison followed by presentation of various methods to estimate environmental goods and reaching finally comparison between CVM(Contingent Valuation Methods). To secure reliabilit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has been drawn by the process of several steps. Firstly, as spade work for balanced survey, recreation forests for population studies across the country were analyzed by the cluster and classified according to physical, environmental features. The cluster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statistical relevance were verified through varianc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cluster. This process of work can provide basic materials for other researchers' survey selection. Secondl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ch five cluster. More than 20% of survey was performed randomly in the clusters which have more than 10 recreation forests and more than 50% of survey was performed randomly in the clusters which have more than 20 recreation forests. Of 1132 questionnaires collected, 1115 were used for analysis of customer satisfaction of each cluster. Customer satisfaction difference, factors which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ranking of the factors were examined. The ranking of the factors can provide the standard of allocation of resources in managing recreation forests. Despite their quantitative expansion, Korea's recreation forests have structural difficulties in meeting customers' demand for quality due to management problems, limited use period, concentration of users in vacation season and weekends. The allocation of resources according to this ranking of the factors can be one of methods of how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out increasing the physical space. Thirdly, valuation method of recreation value through conservation of recreation forests was suggest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application of CVM, one of the most widely known and used methods to measure the value of environmental goods.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applied from SBDC(Sing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with relative simplicity. Binary logistic regression is analyzed to extract coefficients for application of utility function estimation equation. Mean, median, and truncated mean a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utility function. The questionnaire is devised adhering to the recommendations of NOAA(National Ocean and Atmosphere Administration) PANEL. The process is like this: selection of object place, questionnaire for estimation of suggest amount, revision of preliminary questionnaire, and analysis. Regression equation model for estimating coefficients is verified by Hosmer-Lemeshow for reliability. The estimated amount is extracted much according to the order of mean, truncated mean, and median. Extracted amount from the previous studies show shade of difference in mean and truncated mean but low median with large variation. This is considered because median is not extracted by integral of particular area but by using center numbers on distribution function as coefficients. The value of annual value of recreation which Korea's recreation forests as designated population samples provide for customers is estimated ₩2,300 billion by the method of truncated mean, a standard suggested by Duffield and Patterson. It is meaningful in that the recreation value of recreation forests, which is estimated by binary logistic analysis, lets people know the preciousness of the value and have better satisfaction by presenting current monetary price. In addition, it can be basic material for researchers to compare the estimated amount because it presents differences of estimated amount according to distribution of three functions. Fourthly, probability function at CVM is devided largely into logit and probi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pattern. It is estimated SBDC and DBDC(Double Bounded Dichotomous Choice) according to the phase of response, and estimated mean, median, and truncated mean according to integration area of estimated function. In this study, by establishing the sample of logit and probit at SBDC and DBDC each were established, coefficients for valuation were extracted and mean, median, and truncated mean were calculated. The compatibility of the sample was verified by log likelihood and Wald Test. It is known from the extracted estimation based on verified model that at both SBDC and DBDC means estimated most high and that mean DBDC probit is estimated most high. The most conservative estimation is logit median at SBDC. Truncated mean turns out to have less variation. Among the application of various methods, logit sample at DBDC turns out to be the method to present stable estimation. At both SBDC and DBDC probit turns out larger than logit. At aby method estimation was extracted by the order of mean, truncated mean, and median. About application CVM, McConnell(1990) said that which methods were to be applied is not the matter of right and wrong but the researcher's choice. This study, however, suggest based on comparison the valuations of environmental goods by applying various methods above that cutoff value is the best method to estimate environmental goods. That's because it is considered that logit truncated mean at DBDC is most appropriate methods when it comes to appropriateness of estimated amount and measure method and stability of estimated amount. It is not easy, however, to judge which method is right or wrong. That is because although the amounts are extracted by the methods of logit, probit, SBDC, and so on, they are not really existing market value but estimation value without any trade. This study is only compare which method is conservative or which method has less variation with the hope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ers.

      • 강 미리의 대금,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 "잠못이루는 밤"의 분석

        미리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3 국내석사

        RANK : 1855

        20세기의 작곡가들은 풍부해지고 다양해진 음악언어로 20세기 정신을 대변하고 또 자신들이 살고 있는 현재를 표현하기 위해 새로운 음악적 효과를 찾아 끊임없이 연구, 노력하고 있다. 강미리 작곡의 <대금,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를 위한 "잠못이루는 밤">은 12음 기법을 기초로 하는 현대적 기법과 다양하고 자유로운 어법들을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악기편성에 국악기, 대금을 조화시켜 한국적 정서를 표현한 작품이다. 1) 음계(scale) 12음계(Twelve-tone scale)를 자유로이 사용하였으며 부분적으로 5음음계(pentatonic scale)가 사용되었다. 2) 화성 음열의 선율적·대위법적 움직임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한 협화적, 불협화적 화성과 조성적 협화음을 기초로 구성된 부가화음, 복합화음 등으로 긴장과 이완을 적절히 배합하였다. 3) 리듬 리듬은 세가지의 특징적 요소로 구성되는데 첫째로 쉼표와 붙임줄에 의한 강약의 이동으로 변화를 준 것, 둘째로 부분적 변박 사용과 복합리듬으로 긴장감을 고조시킨 것, 셋째로 세로줄을 사용치 않음으로써 박절적 액센트를 피한 것 등이 특징이다. 4) 형식(Form) 단악장의 곡으로서 크게 3부분(A, B, A')으로 나누어진다. 5) 음색(Timbre) 음색을 음악구조의 한 독립적 구성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세가지 특징적 효과가 사용되었다. 첫째 느린 화성적 리듬내에서 강조된 각악기의 온화한 음색, 둘째 현악기의 Pizzicato기법과 대금의 반복 음표군에 의한 음색, 셋째 점묘주의적 음색 선율이다. 6) 기보법(Notation) 전통적 기보법과 리듬. 화성, 선율, 음색 등이 자유롭게 전개될 수 있는 도표기보법이 부분적으로 사용되었다. The Composers in the twentieth Century face the widely expanded musical resources. Twentieth Century Spirt is represented in various, rich musical languages by them. They continuously research and try to find the new musical effects do that they can express the contemporary in which they are living now "A Sleepless night" for Taegum, Violin, Viola and Violin cello by Milee Kang uses modern the compositional techniques bases on twelve tone method with various free musical languages used systematically. Taegum is added to the regular group of the string trio in order to express intrinsic Korean sentimentality, Also, the composer tries to modernize the whole work through the organized new sounds. This thesis mainly deals with the following important aspects of the piece. 1)Scale Twelvetone scale is freely used. Pentatonic Scale is also used in some places. 2)Harmony Consonant and dissonant harmonies accidentally resulted by melodically and contrapuntally moving rows and added chords, compound chords based on tonal consonances creat a proper combination of tension and release. 3)Rhythm Consists of three characteristic factors ; shift of accent caused by the use of rests and ties results in rhythmic change ; to avoid regular pulse, measure lines are not used ; and change of meter increases tension level. 4) Form This work is in one movement form begins with three-measure introduction, largely divided in three sections. 5) Timbre Timbre is used as an independent compositional factor. Three timbreal features used in this piece are ; soft timbre emphasized in slow harmonic rhythm ; string pizzicatto and Taegum's repeated notes creat special timbre ; and Klangfarben melodic timbre. 6) Notation Besides the traditional notation, graphic notation is used in several places for freer development of rhythm, timbre, harmony and melody.

      • 자연휴양림 숙박시설 만족도 모형연구 : 대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강기래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A good deal of changes has been brought in the whole life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he level of income, which is accompanied by rapid development of domestic economy, and the transition toward high industrial society by technology innovation. The most outstanding change seems to be seen in the perception of leisure to look for comforting time and mind and in leisure activities. The meaning of leisure is on the transition from the concept of time dimension excepting labor hour and required time for life to the concept of mental, physical, psychological dimension searching for leading a life worthy of human. The types of leisure would be diversified and the leisure activities would be popularized by the spare time lengthened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the five-work-day-a-week which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04. The operation of five-work-day-a-week would give rise to change in the way of thinking from job oriented to family and self-development oriented as well as in the pattern of life. Due to the elevation of national economy and the 80.8% progress of citification 2005 present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human desire of return to forest and public interest in rest have beenincreasing. As forest has been most highlighted as the place to meet the demand on rest, the importance of the space of forest rest complex has been increasing, too. Thus, the Office of Forest made 117 recreation forests reaching about 134,295ha at the end of 2005 present starting from Yu-myong mountain recreation forest in 1988. As building recreation forests was been mainly by supplier-centered not by user-centered, the change in quality has less improved compared with expansion in quantity, however. Recreation forests were made without any individualities on the basis of design standard although they have differences noy only in geograph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lso in user's characteristics. As the pattern of leisure has been changed into visit-and- stay travel and time spending on self-developme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five-work-day-a-week, the need on forest rest space of recreation forests has been rising. Accommodations are necessary condition for stay-travel and main facilities in recreation forests at the same time. Also they take the largest rate of income and affects mainly to user's satisfaction. Change toward qualitative efficiency for user-centered is not much compared with quantitative expansion of supplier-cent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ontent model expression to maximize user's satisfaction basing on research after the level and factors of user's satisfaction with the accomodations. Four recreation forests located in the suburbs of Daegu and Gyongsangbuk-do and visitors using accommodation facilities of them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The content model would be presented as basic materials to improve the facilities and services recently emerging problems of recreation forests so that this model would contribute users to offering higher level of rest. Recreation forests are well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to keep up with increasing demands on relaxation in forests that they are providing users with intensive and comfortable rest. Accommodations are core facilities of them, taking 80% of benefit and affecting user's satisfaction much more than any other facilities do. This study has come to conclusion resulting from the research after the content model of four recreation forests in the suburbs of Daegu and Gyongsangbuk-do. First, in the recreation forest accommodation usage pattern in terms of population statistics, usage with families, relatives, friends for one night-two days in summer is most frequent and most preferred duration for desirable relaxation is one night-two days or two nights-three days. In expenses, ₩100,000~200,000 is spent most and is thought to be as usual when it comes to burden. Secondly, in the differences of visiting motives to recreation forests, there is no particular difference in visiting for relaxation and rest, for which recreation forests were built up. In terms of resource and location, however, there is some meaningful differences. This means each recreation forest has to be converted to individual recreation forests which have characteristics along with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resources. Thirdly, in choosing accommodations, the item of tidiness and space for joining others takes higher position than that of quietness and conveniences. This means that because the most frequent usage is visit with family, relatives and friends, visitors need some space to communicate and get along with each other apart from room for sleeping. The item of tidiness indicates to systematize maintaining and administrating the facilities. Fourthly, Six factors decid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are extracted, classified and nam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m: factor 1 (outer recreation factor), factor 2 (inner recreationfactor), factor 3 (indoor space satisfaction factor), factor 4 (time satisfaction factor), factor 5 (activity satisfaction factor), and factor 6 (non-activity satisfaction factor) Fifthly, the content model expression affect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accommodations in recreation forests is like this: Y = 3.588 + 0.307X1 + 0.264X2 + 0.202X3 + 0.143X4 + 0.116X5 Y = total level of satisfaction X1=inner recreation factor X2=indoor space satisfaction factor X3=outer recreation factor X4= time satisfaction factor X5=activity satisfaction factor Factor 2 and factor 3 have high force of explanation, which means the improvement of services to meet the purpose of visiting recreation forests, effective facilities administration, and reasonable business management are required.

      • 강경호 시에 나타난 휴머니즘에 관한 연구

        나루 동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강경호 시에 나타난 휴머니즘에 관한 연구 강나루 동신대학교 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지도교수 노병호) 본 연구는 강경호 시에 나타난 휴머니즘에 관한 고찰을 통해 서정시의 전통을 계승하면서 자신만의 목소리로 서정시의 위의(威儀)를 열어가는 그의 시세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강경호가 천착한 시적 주제는 두 가지로 밝혀졌다. ‘생명성으로서의 휴머니즘’과 ‘성찰과 염결성의 시학’ 등이 그것들이다. ‘생명성으로서의 휴머니즘’은 ‘욕망의 질주와 원시로의 환원’에서, 강경호의 시적 출발이 ‘문명에로의 질주로 인해 인간의 본성이 훼손되는 것을 경계하고자 하는 욕망’임을 시를 통해 보여준다. 더불어 인간의 본성이 훼손되지 않은 ‘원시’로의 환원을 추구함을 밝힌다. 여기에서 원시는 문명으로 인한 제약과 인위적인 제약이 없는 원초적이고 순수한 근원에 복귀함으로써 문명의 해악과 폐해, 비인간적인 구속으로부터의 해방됨을 말한다. 현대 문명사회에서 원초적이고 순수한 세계를 만나기는 어려운 일이지만, 그럼에도 시인은 이러한 세계를 꿈꿈으로써 보다 인간다운 세계를 지향하고자 한다. ‘원시로의 환원’에서 시적 공간으로 삼은 것은 ‘알타미라 동굴’이다. 인류 역사에서 알타미라 동굴은 원시인이 그린 최초의 그림인 소와 멧돼지 등 자연적인 요소는 때 묻지 않은 인간의 모습으로 인간이 자연의 일원으로 순수성을 간직한 존재이다. 이러한 시대는 자연과 인간이 일체를 이룬 동일성이 적용된 시대임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므로 원시를 떠나 문명 세계를 이룩한 시대를 인간과 자연, 인간과 인간의 분열로 인식하고 끊임없이 동일성을 추구하는 서정시의 원리를 추구하고자 하는 강경호의 시는 문명으로 인해 피폐해지고 파괴된 현실을 비판하고 성찰하는데, 그의 이러한 비판과 성찰은 시적 자아를 밖으로 표출되지 않고 자신의 내부로 향하는 독특한 개성을 보여준다. 즉 시인의 시적 자아의 비판과 성찰만이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타자와 세계를 배제하고 자아에만 집중하는 90년대 이후 일련의 시가 서정시의 본질을 훼손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된다. 문명으로 인한 삶의 파괴의 주된 이유가 그에게 생명성에 대한 관심과 혈연으로 이어진 가족에 대한 사랑으로 나타나게 된다. 생명성을 탐구하는 시에서 생태환경 문제뿐만 아니라 생명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는데, 보다 깊은 생명의 존엄성과 생명의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생명을 가진 것에 대한 경외심을 깊이 천착한다. 생명성의 공동체인 가족의 희로애락과 함께 육친에 대한 원초적인 친화감과 정서적 일체감을 서늘한 언어로 형상화한다. 더불어 근현대사의 질곡과 맞물려온 가족사를 통해 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자신의 삶을 갈무리한다. 강경호의 시는 자본 문명으로 훼손된 인간의 삶을 복원하고자 하는 노력은 끊임없이 왜곡되고 모순된 현실을 바라보며 인간의 탐욕에 대해 환멸을 느끼고 저항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성찰과 염결성의 시학’을 보여주는 작품에서, 현실에서 부딪치는 삶을 통해 생의 형식을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형식을 담아낸다. 이러한 그의 시는 오랜 시간 축적해온 경험적 진실을 바탕으로 서사적 온축(蘊蓄)을 통해 표현하려는 시적 자아의 욕망과 의지가 일관성 있게 담겨있다. 자신이 살아온 세계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주체의 정신 태도에 대하여, 근원적으로 생의 형식을 묻는 그의 시학은 온전히 자기 개진을 통해 현실의 변화를 이끌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다시 말해 근대 이후 자연을 정복 대상, 물질적 가치로 여겨 충족 대상으로 삼아온 인간에 대한 성찰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는 철저하게 자신의 내면에 깃든 욕망과 타성에 젖은 일상을 반성하고 성찰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이처럼 삶의 형식과 존재 방식을 추구해온 강경호의 시에서 중요한 가치는 ‘정신의 깊이와 염결성을 실천하려는 의지의 표현’으로 나타난다. 정신의 깊이를 나타내는 시에서 자주 등장하는 ‘나무’를 자신의 정신적 표지(標識)로 삼으며 정직하고 올곧은 나무의 생태적 특징을 통해 인간다운 삶을 표출한다. 그의 정신적 깊이를 잘 나타내고자 하는 시적 욕망은 오랜 시간 속에 깃든 지극한 정신을 읽어내는 시, 약하지만 강한 것에 맞서 끈질긴 정신력을 보여주는 시, 극한의 상태에서 강한 의지를 드러내는 시에서 그가 추구하는 정신의 깊이를 모색한다. 순수하고 죄가 없는 어린아이 같은 정신세계인 염결성을 추구하는 경향의 시들은 그가 삶의 방식으로 고수하는 견인주의와 맞닿아 있다. 이들 작품의 절제된 언어 구사는 염결성을 강조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그의 시는 평이하지만, 삶과 세계에 대한 예지와 통찰이 시종 시를 끌고 가는 동력으로 작용한다. 더불어 독특하고 개성 있는 시적 형식이 높은 문학성을 견지하고 있다. 강경호의 시의 특징은 정제된 언어 구사에서 긴장이 도출된다. 이 긴장이 발견의 깊이를 더욱 강조하며 대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신선하다. 더욱 절제의 미학 또한 형식과 표현에 머물지 않고 고요와 냉정에 이른, 그래서 시의 관능과 사유를 조절하는 균제미를 성취하고 있다. 한편 그의 시는 시적 대상을 마음으로 느끼고 대상과 일체가 되려는 마음의 움직임을 보여준다. 즉 그의 시는 대상을 시화(詩化)하려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체험적 시각으로 인식하는데, 다시 마음을 통해 느낌으로써 가시적 대상에 내재된, 그러므로 보이지도 않고 들리지도 않고 만질 수도 없는 본질적인 것을 시로 형상화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보여준다. 대상을 감각적으로 이미지화시켜 변용하려는 시를 쓰지 않는다. 내면의 풍경을 그려내는 마음의 시를 쓴다. 형상에 내재된 본질적인 것을 마음으로 느끼고 그것과 일체가 되려는 것이 강경호 시쓰기의 전략이다. 90년대부터 전통 서정시를 파괴하고 왜곡시킨 이른바 미래파 시인들의 출현으로 서정시의 정체성에 일대 혼란을 야기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강경호의 시는 전통 서정시의 본질과 위의(威儀)를 지키며 휴머니즘 구현을 시적 방향으로 설정하여 시적 출발에서부터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왔다. 이러한 그의 시는 진정성 있는 휴머니즘을 탐구하고 서정시의 새로운 영토를 확장해오고 있어 한국 시사적 맥락에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가고 있다고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