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初等學校 英語敎育에 對한 初等敎員들의 認識 調査硏究

        강계원 동덕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이 실시되고 있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 대해서 '현재 초등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나'를 알아보고, 보다 바람직한 정착 방안을 교사의 입장에서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한다. 둘째,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영어 교육의 실태를 영어교육의 필요성, 교육의 여건과 필요조건, 교육과정, 교육방법과 지도내용, 교사의 변인, 영어전담교사, 영어연수, 영어교육의 효과 면으로 나누어 조사한다. 셋째,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더욱 바람직한 영어교육의 정착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현재 농촌지역 초등교사도 정규교과로서의 초등영어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습 교재와 시설개선은 별문제가 없으나 영어연수 방법 개선은 절실히 필요함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초등 영어 교육과정이 잘 짜여 있음을 알 수 있고 높은 만족 도를 보이고 있다. 7차 영어 교육과정과 목표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교제에도 충실히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모든 교사들이 놀이중심 학습을 선호하고 있으며, 쉽고 재미있게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교실에 영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활동자료가 부족한 것으로 답하고 있어 계속적인 자료 개발과 인터넷 활용(tnara . net) 등의 다양한 물량 공급이 요구된다. 다섯째, 듣기지도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으며 주로 멀티미디어와 시청각 기자재를 적극적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말하기 지도는 언어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 상황에 따라 문장 전체의 의미를 제시하는 것과 단어를 제시하는 경우에도 중요하다. 이는 언어의 본질과 기능이 의미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 전달이 배제된 학습활동은 무의미하다는 것을 뒷받침 해준다. 읽기 지도는 간단한 단어와 배운 문장을 읽을 정도까지만 지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초등학생들에게 부과되는 영어 학습의 양적 제한성에서 오는 것과 교육과정 편성에서 말하기, 듣기 후 읽기, 쓰기로의 적용순서가 옳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다. 어휘지도는 그림과 실물을 통한 지도, 예문과 직접 뜻을 설명하면서 지도하는 것이 초보적 단계의 초등학생의 영어 지도 과정에서 더 효과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는 학습 참여 도를 통한 평가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심리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린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평가보다는 참여의욕, 태도, 의사소통능력 등의 관찰, 과업수행 방법으로 서술식 평가를 함으로 참여 자체가 지니는 학습효과를 고려해야한다는 초등영어 교육의 제한성을 보여주고 있다. 여섯째, 영어를 지도할 때 어려운 점은 자유로운 회화 구사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교사 스스로 자기연수를 통해 회화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영어를 처음배우는 초등학교 수준의 학생들에게도 보다 소그룹의 지도가 타당하다는 점을 보여 주고 있으나 학급규모의 축소와 강의 시설은 농촌에 서는 문제가 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초등 영어 전담교사는 꼭 필요하지만 중등교사의 선발을 원치 않는것은 초등교원의 지위의 상실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교사지위 확보에 대한 것과 초등영어 지도라 하더라도 초등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초등교육에 대한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생각할 수 있다. 여덟째, 영어연수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는 외국어 교수법이라는 특수한 교육방법의 습득이 절실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연수과정을 통하여 장기적인 안목에서 언어 교수법의 이론적인 무장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타당함을 알 수 있다. 단 시간 내에 극복되는 일은 아니더라도 실제적으로 교수능력이 훌륭한 원 어민 강사를 구하여 영어 구사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교수방법 의현장성을 높이는 것이 이중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영어 연수는 교수법과 회화력 신장에 중점을 두고 실시해야 한다. 아홉째, 초등영어 교육이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효과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영어에 대한 홍미와 자신감을 갖게 한다고 느끼고 있다. 이상의 재고를 통하여 정규교과로서의 영어교육에 농촌 교사들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사연수를 통한 교사들의 의사소통능력을 높이고 어휘력을 향상시켜 의사소통의 학습으로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영어 교육이 이루어질 때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더욱 발전할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what teachers think of the 7th curriculum reform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to investigate reasonable solutions for improving the reform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literature review of theoretical backgrounds fo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ll be done in the first chapter. The second chapter will deal with the results and analyses of the survey regarding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which was conducted in 11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s of Kyunggi-do.The last chapter will explore reasonable suggestions and solutions for better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in rural area schools accept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s a regular subject more affirmatively than teachers in urban area schools. Second, while teachers have no serious problems concerning facilities and teaching materials, they feel the desperate need for getting more advanced teaching methods. Third, teachers show relatively high satisfaction for the 7th curriculum reform. They think its study goals and contents are well established and well organized as expressed in the textbooks. Fourth, all teachers prefer teaching materials based on activities and games. They prefer easier and more enjoyable classes. Still, they answered that they would need more multimedia related teaching materials to be fully utilized in the classrooms. Fifth, as far as a listening skill is concerned, the role of a teacher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eachers are eager to try new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s. Listening is being taught beyond phrases and sentences levels, while reading is maintained at the level of understanding simple words and sentences. It tells us that time is limited for English classes and also that they go from listening to reading and writing as advised in the 7th curriculum reform. Teachers put more emphasis on performance in evaluating students than on test score. While it minimizes mental stress that students might get from the evaluation, it shows the limit of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at performance should tell everything in classes. Sixth,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teachers have is that they don't feel confident of their speaking fluency.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fluency by participating in training sessions and by practicing English more. Seventh, they want more teachers who are specialized in English, but they don't want high school teachers to be hired by elementary schools, as suggested by the government. They want more job security and they also think that understanding elementary students is required in advance of having English teaching skills. Eighth, they need more practical and more well organized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their fluency as well as to get more theoretical backgrounds of language teaching. It cannot be done in the near future, but it should be don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Ninth and last, they are aware of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in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confid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first thing we should do to improve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particularly in rural areas, is to organize good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n which they can improve their fluency as well as confidency. By participating in these programs more actively and more often, teachers can teach English to students more effectively and more efficiently.

      • 재활전문병원 물리치료사의 뇌졸중 환자 상담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경험 및 요구에 관한 연구

        강계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재활전문병원 물리치료사의 뇌졸중 환자 상담에 대한 환자와 보호자의 경험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물리치료사를 통한 재활치료 경험이 있는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사와의 상담에 대한 경험 및 요구 사항들을 개별면담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물리치료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 확장과 상담을 통한 뇌졸중 환자들의 빠른 회복과 상담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또는 그 보호자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1명은 심층 면담 질문지를 작성하기 위한 예비면담을 실시하고, 나머지 8명은 본 심층 면담에 참여하였으며, 면담은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답변할 수 있도록 반 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면담 실시 전 참여자의 연구 참여 동의서를 작성하고, 면담은 30~60분 정도 진행하였다. 모든 면담 내용은 휴대전화 녹음기능을 활용하여 녹음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청취하여 녹음한 내용을 문서화하였으며, 개인 정보를 삭제한 후 사례번호를 붙여 통합본을 만들었다. 연구자는 통합본을 다시 검토하여 수정본을 만들어 코딩화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 및 결과 도출은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 4개의 연구문제에 따른 9개의 범주와 2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뇌졸중 환자 5명과 보호자 3명을 대상으로 개개인의 상담의 경험과 요구, 상담의 내용과 방법을 조사하고 병원 및 치료기관에서 물리치료사가 행하는 상담의 제한점과 환자와 보호자들의 요구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대다수의 환자나 보호자들은 치료사와의 상담경험이 없었거나 짧은 시간을 통한 의사전달 수준의 대화만 경험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상담 요청의 가장 큰 제한점으로 치료사의 상담 진행 시간 부족을 꼽았다. 셋째, 환자나 보호자들이 치료사에게 가장 알고 싶어하는 내용은 본인의 몸 상태와 앞으로의 치료 방향성, 치료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치료적 예후에 대해 가장 궁금해하고 있었다. 넷째, 대다수의 연구 참여자들이 원하는 상담 방법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대면 상담 시스템의 적용이었다. 다섯째, 상담을 경험했던 연구 참여자들은 치료사와 환자(보호자)간의 긍정적인 라포 형성과 정신건강, 심리적 안정감, 동기부여 등을 상담 후에 느꼈던 긍정적 효과로 꼽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 환자들의 치료사 상담 지원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활 전문 물리치료사 인력의 양적, 질적 확대가 필요하며 전문치료사의 부족은 상담 시스템 적용에 있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둘째, 현재 법에서 물리치료사는 의료기사의 직종으로 의료법상 의사의 지시와 감독을 받게 되어 있어, 물리치료사의 독립된 치료사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셋째, 치료사의 전문적인 상담자로서의 자질 개선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내에서의 상담 관련 교육 과목이 개설되어야 한다. 넷째,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체계적인 대면 상담 시스템이 필요하다. 다양한 질환으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의 고충을 이해하려 노력하고 그에 맞는 상담 시스템과 프로그램이 연구되고 개발 되어지길 희망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체계적인 대면 상담 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한 환자, 치료사, 병원 및 의료기관의 실질적인 협력방안에 대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