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問題 解決力 伸張을 爲한 段階別, 水準別 數學 問題 類型 開發에 關한 硏究

        강경의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에게 수학 교과를 가르치는데 있어서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단계별, 수준별 문제의 유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하기 위해서 먼저 제7차 교육 과정의 구성 방침인 수준별 교육 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수학 교과의 모든 영역에서 강조되고 있는 문제 해결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문제 해결의 지도 목표와 선행 연구 사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위에서 알아본 이론을 바탕으로 수학과 평가의 특성과 좋은 평가 문항의 개발을 위한 단계와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 수준별 교육과 문제 해결력 신장을 위한 문제 유형을 수학 교과의 내용 영역별로 구체적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제 유형들을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수학 교사들이 교육 과정이 제시하는 내용과 함께 지도함으로써 중학교 학생들의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ke as referred at the prologu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to suggest a new theory on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each level curriculum but to purpose the theoretic background which is needed to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develop the problem types compatible with each level curriculum by reviewing prior theory. In other words, the problem types to be adequate for student's ability and level are developed as materials for teacher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then the problem types must be variously utilized as materials for study to carry out the lesson type by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f mathematics. The production of the mathematics problem types for improving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s made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problem types must be developed for middle school student to improve the ability of reasonably solving a problem according to each part of the contents for 7, 8, 9th grade. Second, the problem developed by this research must be suitable to each level curriculum by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divided into primary, further and complement process. Third, as the target of teaching method on problem solving is to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various problems must be proposed in order not to inform a plain knowledge by finding various solution. Fourth, the strategy of problem solving to be properly utilized at the level of middle school is to propose expecting and checking, drawing, charting, formulating, finding rules, simplifying, solving reverse, making content, logical reasoning, testifying by thinking reverse, indirect testifying, and specializing. This thesis deals with the strategy of mathematics problem solving. Fifth, as the utmost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problem types which can improve the ability of problem solving, it is principal to develop the obvious structure's problems that the given condition and target is well defined and multistage should be developed as far as possible. It is the importance of problem solving training that the applicable and genuine knowledge can be found in the process to settle the problem. Not only can student certainly understand mathematic knowledge and function through the problem solving process, but can improve the function of higher spirit and experience studying mathematics by avoiding plain application repetition of algorithm or simple memory. Also, by studying applicable mathematics, let student know the necessity and usefulness of mathematics and then obtain the mathematic interest, concern and positive attitude. This thesis is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ability of problem solving and to be developed for mathematics teachers to use this program together with each curriculum in their class by developing the mathematics problem types according to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of mathematics.

      • 美·日 新 防衛協力指針과 「韓半島 有事」 : 關聯 內容 및 問題點

        강경의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의 목적은 (1) 냉전 이후 미국과 일본의 안보전략 분석을 통해 기존 미·일 안보체제의 개정 필요성을 설명하고, (2) 그 대안으로 기존 지침을 개정한 미·일 신방위협력지침과 실효성 확보를 위해 제정된 관련법안의 내용을 분석하고, (3) 구체적으로 한반도사태에 적용했을 때 예상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4) 그 보완을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는데 있다. 냉전 이후에도 동아시아에서는 사회주의를 고수하고 있는 중국이 대만에 대하여 통일위협을 계속하고 있고, 2000년 6월 15일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하여 화해에 합의하였다고 하나 남북한은 이념차를 극복하지 못하고 계속 대립하고 있으며,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의 확산과 군비경쟁 등으로 안보문제에 있어서는 여전히 불안정한 정세가 계속되고 있다. 1989년 구소련의 붕괴 등 동아시아 전략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미·일 양국은 새로운 방위정책을 정비할 필요성에 직면하였다. 미국은 "참여와 확대전략"을 통해 냉전이후에도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리더십을 유지하려하고, 일본은 경제력에 맞는 국제적 역할 증대라는 전략적 의도를 갖고 있어 양국의 국익이 맞물려 탈냉전기에도 미·일안보협력체제는 냉전시대 이상으로 강화시킬 필요가 생겼다. 그러나 기존의 미·일안보조약은 소련이라고하는 특정한 공동적을 전제로 한 것이어서 탈냉전기의 "동아시아지역 안정 확보"라는 미국과 일본의 새로운 공동목표 달성에는 적합하지 않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미국과 일본은 새로운 안보협력틀을 모색하게 되었다. 1997년에 발표된 新미일방위협력지침은 바로 이러한 상황에서 출현한 것이다. 미국과 일본은 미·일안보협력의 영역 및 대상의 변화 그리고 일본의 역할 확대에 대한 협의를 거쳐 1996년 4월에 1차로 미·일 新안보공동선언을 발표했으며, 1997년 9월에는 다시 1978년의 미·일 방위협력지침을 개정하여 "일본 주변 유사시" 미일간의 안보협력 내용을 40개 항목에 걸쳐 구체화 시켰다. 新방위협력지침과 舊방위협력지침의 큰 차이는 전자가 소련의 일본침공을 전제로 미일공동방어에 역점을 둔데 비하여 후자는 미일간의 방위협력 내용과 범위를 좀 더 포괄적으로 구체화 및 세분화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은 이어서 新방위협력지침의 원활한 이행을 위한 법적 제도적 정비를 목적으로 관련법안을 마련하여 1999년 5월 24일 참의원에서 가결함으로써 미국의 지역분쟁에 대한 증원 기반을 구체화시켰으며, 지역 안보문제에 일본도 개입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관련법안은 물품역무상호제공(ACSA)개정안, 자위대법 개정안, 주변사태법안 등 세가지 법으로 일본의 대미군 지원이 요구되는 주변사태 활동을 합법화하는 법들이다. 그러나 관련법안에서 일본은 '주변국 유사'조항과 관련, 주변국의 범위와주변사태의 정의를 모호하게 처리함으로써 일본의 주변국에 해당되는 중국, 한국, 러시아, 북한 등이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한반도 유사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미·일안보협력은 한국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있다. 한·미 동맹에 따라 미군이 한국전쟁에 참전하게 될 것인데, 일본 역시 <주변사태법안>에 의거하여 미군을 지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긴급한 사태가 발생하거나, 지역분쟁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하여 미군의 개입 능력에 한계가 있을 경우에는 일본의 직접, 간접 개입 가능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한·미, 미·일간은 각각 안보협력체제가 확립되어 있어 서로의 역할과 범위가 확실하게 규정되어 있으나, 한·일간에는 어떠한 협정도 마련되어 있지 않아서 한국의 주권 침해, 한·일간의 군사 활동 마찰이 예상된다. 한반도 유사시에 미국의 작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3국간 협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우리는 한반도 유사시 일본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인가를 분석하여 한반도 유사시 군사작전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한편, 한·일간의 마찰이 생기지 않도록 사전에 일본의 역할에 일정한 제한 내지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상호협력이 필요한 경우 신속히 협조할 수 있도록 협력체제를 미리 구축하여 둘 필요가 있다. 한국과 일본의 국민감정등을 감안할 때 한·일간에는 동맹이 아니면서 현실적으로 필요한 협력을 할 수 있는 체제 즉 미·일 방위협력지침처럼 '韓·日 防衛協力指針'을 마련하여 둔다면, 한·일간의 불필요한 마찰을 줄일 수 있고, 한반도 유사시 한·미 연합군의 군사작전상의 效率性을 增大하기 위해 필요한 일본의 지원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사안에 따라서는 우리쪽에서 적극적으로 일본의 협력을 요구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current shift in the U.S.-Japan Security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changing defense strategies of the two countries in the post-Cold War era. In doing so, the new "U.S.-Japan Defense Guidelines" and the contents of the related bill submitted to the Diet for guaranteeing the applicability of the new guidelines are analyzed. And as a conclusion, the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that might arise when the revised guideline is applied to situations in Korean peninsula, and finally suggest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It has been more than ten years since the Cold War order collapsed, but East Asia is still subject to political unstability: China is keep benting on communism threatening to forcefully absolve Taiwan; the two Koreas have yet to overcome ideological dispute although they agreed upon reconciliation at the Summit meeting on June 15, 2000; issues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nuclear proliferation, and transfer of missile technology are some of other issues threatening peace in the region. The abrupt change in the East Asian strategic environment, including the sudden fall of Soviet Union, obligated the U.S. and Japan to adjust to the situation by setting new defense policies. The U.S. attempts to maintain its leadership in the region through engagement and enlargement, while Japan aims to expand its political rol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commensurate of its already achieved economical prowess. With such interests, the two countries had to strengthen, even more strongly than during the Cold War, their security cooperation system. On the other hand, the U.S.-Japan security alliance, the rationale of which was the Soviet threat, became obsolete and did not reflect the two countries' new aim of establishing a regional stability. Thus, a new set of rules was required between the U.S. and Japan. With this background, the Guidelines for U.S.-Japan Security Cooperation (new Guidelines hereafter) was consigned in 1997. On April 4, 1996, the U.S. and Japan announced the Joint Declaration reflecting the changed scope and focus of the new security cooperation. In August of 1997, the two countries revised the 1978 Defense Cooperation Guidelines, and set forty items of their security cooperation in contingencies in and around Japan. Compared to the former one, the new Guidelines is much more comprehensive and includes specific "guidelines" for cooperation. The Japanese Diet passed a related bill in May of 1999 to prepare a legal and systematic basis for the Guidelines. The related bill includes Acquisition and Cross-Servicing Agreement (ACSA), the revised bill for Japan's Self-Defense Force, and the bill for contingencies in areas surrounding Japan, which provide legal basis for the U.S. and Japan to interfere in regional crisis. The related bill, however, has been viewed with suspicious eyes, particularly from China and North Korea, because it avoids clarifying the scope and definition of the contingencies around Japan. Should a major crisis break out in the Korean peninsula, the U.S.-Japan cooperative system will have direct effects on the situation. The U.S. armed forces will be mobilized according to the ROK-U.S. security treaty, and the Japanese Self-Defense Forces, supported by the bill for contingencies in areas Japan, will support the American troops. If several regional contingencies occur at the same time and the U.S. alone cannot manage the situation, the possibility of Japan's involving in the case will by far increase. Designated roles and boundaries for each country in contingencies are specified in the ROK-U.S. and the U.S.-Japanese security cooperation systems. But there is no such arrang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which leaves the possibility of Japan's violating Korean sovereignty and confli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conducting military operation jointly. For efficient crisis management in Korean peninsula, a solid trilateral cooperative system among the U.S., Japan, and Korean needs to be established. Efficiency in combined military operation may be achieved by specifying the roles (possible and limited) to be taken by Japan. It is also important to establish a consultative system between ROK and Japan so that they will be able to respond quickly when such cooperation is needed. Considering the public sentiments of Korea and Japan, the pace and degree of South Korea's security cooperation with Japan should be carefully managed. It would be desirable to establish a sort of guidelines for b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rather than an alliance. By doing so, they will be able to prevent unnecessary conflict between Korea and Japan in managing crisis, and bilaterally assume a coordinating role regarding security cooperation among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의 관계에 대한 연구

        강경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의 관계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사립 중학교 교사들의 자아 실현 이상도와 실제도 간의 수준은 어느 정도인가? 둘째, 공·사립 중학교 교사들의 직무 만족 수준은 외재적·내재적·보조적 요인에 따라 어떠한 관계와 차이를 갖는가? 셋째, 공·사립 중학교 교사들의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은 어느 정도의 상관성을 갖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설문 조사 및 통계 자료 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는데, 표집 대상은 제주도 내 공·사립 중학교 교사 25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자아 실현 욕구 수준을 알아보기 위하여 성별, 연령별, 학력별, 근무 경력별, 학교 설립별, 담임 여부별로 상위·중위·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한 후 중위 집단을 제거하여 상위 및 하위 집단의 직무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자아 실현의 실제도에서는 남교사보다 여교사가, 연령·학력·근무 경력 등이 높을수록, 사립보다 공립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공립보다는 사립에서 자아 실현의 이상에 비해 실제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자아 실현 욕구와 직무 만족에 대한 차이를 분석함에 있어 공립의 내재적 보상에서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자아 실현 이상도가 높은 집단이 내재적 보상에 대해서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아 실현에 대한 실제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내재적 보상 또한 높고 이에 대해 만족도 또한 높은 점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상관 관계에서도 정적의 관계를 보이는 점에서 입증되었다. 이에 교사들의 원활한 교류와 직무 개선을 통한 자아 실현 증대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lationship based on three research questions that as following. First, what is the level of difference idealization and actual realization of personal goals between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and difference between external, internal and supplementary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Third,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in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 analysis of survey and statistical resources was conducted and 254 public and private middle school teachers in Jeju Island were selected as subjects. To examine the level of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of teacher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sex, age, level of education, level of experience and school establishment) and they were put into low, middle and high groups. After the grouping, scores of the middle group were discarded and the scores of low and high groups were used to compar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ctual realization of personal goals was lower, relative to idealization, in male teachers more than female teachers, with higher age, level of education and level of experience and in public more than private schools. In addition,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sir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we onl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minent compensation of public schools and the group with a higher rat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had a higher rate of satisfaction of imminent compensation. Also, groups with a higher rate of personal goal realization showed to have a higher imminent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of that imminent compensation. These above results have been verified by the fact that they showed a regular relationship in mutual relations and efforts to implement supplementary education through the smooth exchange of teachers and the improvement of one's duties and increase in personal goal realization is necessary.

      • 칸트의 정언명법을 적용한 토의식 수업이 도덕적 판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강경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요즘 학교 교육의 수업 방법으로 토론 수업이 대세이다. 정보화 사회에서 일방적인 지식 중심의 수업은 이제 더 이상 효과를 발휘하기가 어렵고, 미래 사회에는 창의적이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수업이 가치가 있다는데 동의하기 때문이다. 중학교에서 도덕 교과의 목표는 학생들이 살아가면서 겪게 될 여러 갈등 상황에서 도덕적 판단력을 기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덕 수업에서도 토의 수업으로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다. 초등학생 보다는 어느 정도 사고력이 발달한 중학생들에게 여러 갈등 상황을 제시해 주고 토의를 거쳐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을 내려 규범의 내면화를 갖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중학교 도덕 교사로서 토의 수업을 진행해 오면서 다음과 같은 점을 생각하게 되었다.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자신의 행동을 선택할 경우에 상황에 따라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는데, 때로는 어떤 상황에서도 달라질 수 없는 절대적 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현대에 올수록 복잡해지는 도덕적 상황은 우리의 도덕적 판단력을 흐리게 하고 판단을 어렵게 한다. 이 때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양심의 기준이 판단을 내리게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의문에 대하여 필자는, 여러 철학자 중 칸트의 정언명법은 도덕적 갈등 상황에서 보다 자신의 분명한 도덕적 선택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칸트의 정언명법을 적용한 토의 수업을 연구하여 적용하게 되었다. 교육학자 중 인지발달론자인 콜버그는 사람에게는 6단계의 도덕발달단계가 있으며 점차 단계가 높을수록 도덕판단수준이 높다고 보았다. 이 단계 중 6단계는 옳은 행동을 할 때, 구체적인 원리가 아니라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원리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나의 행동이 보편적으로 적용되어도 괜찮은지를 묻고 행동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행동 원리는 칸트의 정언명법의 원칙과 일치한다. 콜버그의 최고의 도덕성의 단계가 정언명법의 내용과 일치하므로 정언명법에 근거하여 행동할 때 도덕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정언명법을 적용한 토의식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도덕판단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고 기대하였다. 그래서 필자가 근무하는 ○○중학교 2학년 학생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수업 전·후의 결과를 통계로 비교하여 학생들의 도덕판단능력이 향상되었는지를 보려고 하였다. 연구 결과는 사용한 2개의 검사지가 서로 다른 결과가 나왔다. 레스트(Rest)의 도덕판단력 검사지(DIT)는 23~34점수대 학생들의 도덕판단능력의 향상이 있었다. 이와 달리 필자가 제작한 갈등사례 검사지로는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다. 이런 상이한 결과가 나온 이유를 분석해 보면, 필자가 제작한 검사지가 정답이 눈에 보이는 답을 요구하는 문제들이 많아 신뢰도와 타당도에 있어서 부족한 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한계를 감안하고 결과를 보면, ‘정언명법을 적용한 토의식 수업’이 모든 학생들의 도덕판단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결론을 얻기는 어렵지만, 22~32점수대의 학생들의 도덕판단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토의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여준 반응이나 검사지에 응답한 학생들의 답변을 볼 때, 중학생 시기의 학생들이 갈등 상황에서 일관된 도덕판단을 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하여, ‘칸트의 정언명법을 적용한 토의식 수업’이 학생들의 도덕판단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과 학생들의 상황에 따른 도덕판단내용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민족정체성, 리더십 유형, 다문화접촉이 군(軍) 장교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강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최근 한국군이 급속히 다문화군으로 변모해 감에 따라 다문화수용성 문제는 군이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군이 그간 다문화군을 추진하기 위해 진행해왔던 다문화병사의 수용과 관리차원의 각종 제도 및 정책을 확인함과 아울러 장교들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확인하여 고찰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독립변수로 민족정체성은 주관적 소속의식과 객관적 특성, 리더십 유형은 과업지향형 리더십 유형, 관계지향형 리더십 유형, 변화지향형 리더십 유형, 다문화접촉은 군관련접촉과 일반접촉을 선정했고, 종속변수로 다문화수용성,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상사 지지와 동료 지지를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육군 위관 장교(중‧소위)와 영관 장교(중‧소령) 그리고 지역 향토예비군 지휘관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등을 통해 군장교의 다문화수용성 영향 요인을 검증하였으며, 이후 상사 지지와 동료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수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민족정체성의 하위변수인 객관적 특성과 주관적 소속의식은 모두 종속변수인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 유형에서는 하위변수인 관계지향형 리더십 유형이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과업지향형 리더십 유형과 변화지향형 리더십 유형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다문화접촉의 하위변수인 일반접촉은 종속변수인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군관련접촉은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한 결과, 동료 지지의 조절효과는 주관적 소속의식, 과업지향형 리더십 유형, 군관련접촉에서 확인되었다. 상사 지지의 조절효과는 주관적 소속의식에서만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장교들의 다문화수용성 향상을 위한 교육이 시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영관장교와 예비군 지휘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컸으며, 교육 진행 간에도 신분별 다문화수용성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전투병과 장교들이 비전투병과장교에 비해 다문화수용성이 미약하여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반면, 다문화장병 지휘 및 관리경험이 있는 장교가 다문화장병 지휘경험이 없는 장교보다 다문화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다문화군 추진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고 있다. 셋째, 다문화군 지휘에 가장 적절한 리더십 유형은 관계지향적 리더십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장교들의 관계지향적 리더십 확보를 위해서 신분별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군접촉 보다 일반접촉이 다문화수용성 향상에 비교적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군접촉에 대한 다문화수용성 향상대책을 수립함과 아울러 일반접촉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다문화수용성은 동료 지지의 조절효과가 상사 지지의 조절효과보다 더 유효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장병들의 다문화활동과 교육 등은 지휘관에 의해서 주입식으로 진행하기보다는 학교기관 등에서 동료관계 차원에서 진행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 발아조건이 다양한 발아현미의 항산화 및 Am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강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현미, 찹쌀 현미, 흑미, 찹쌀 흑미의 발아 조건에 대해 연구 하였다. 먼저 다양한 침지수 발아에서는 모든 발아 현미들이 증류수에서 가장 잘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아 4일부터 증류수에서 자란 싹들의 줄기가 가늘어 지기 시작하였고 수돗물과 알칼리수에서 발아 된 것은 증류수에서 자란 것에 비하여 길이는 짧았으나 통통하게 생장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발아는 발아 길이가 0.5 cm 자라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0℃에서는 발아 후 1.3일 정도였으며 25℃에서는 4일, 20℃에서는 평균 10일 정도가 걸림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쌀의 종류에 따른 발아는 찹쌀 흑미가 모든 조건에서 가장 잘 생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찹쌀 흑미 > 흑미 >찹쌀 현미 > 현미 순으로 자랐다.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발아는 30℃ 항온에서 가장 잘 자랐으나 물갈이를 너무 자주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실험에서 발아 조건에 관한 결과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수돗물 침지로도 충분한 발아가 가능하며 상온 25℃에서 4일 정도면 사용하기에 적절한 발아 현미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발아 현미들의 항산화 소거능을 보면 30℃ 수돗물에 침지한 찹쌀 흑미가 12시간 시료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 전반에 걸쳐 큰 변화는 없었다. 발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찹쌀 흑미가 현미보다 약간 떨어진 것은 찹쌀 흑미의 주 항산화 요인이라고 알려진 안토시안 색소가 물갈이로 인하여 거의 소실되어 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발아 현미의 경우 다른 베리류에 비해 항 산화능이 높지 않으나 매일의 식사로 섭취가 가능하여 쉽게 섭취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발아 현미의 Amylase 효소 활성에서 현미에서 처음에 낮게 나타났으나 24시간 이후 효소 활성이 높아져 흑미와 큰 차이가 없었다. 찹쌀 흑미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높게 나타났으며 흑미의 경우 발아 전 높게 나타났으나 발아가 진행 된 후 큰 변화가 없었다. 찹쌀 흑미가 전반적으로 amylase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항온 30℃ 발아 후 12시간 시료에서 모든 발아 현미가 높게 나타났으나 그 중에서 찹쌀 흑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 12 시간 전 후에는 찹쌀 현미 > 찹쌀 흑미 > 흑미 > 현미 순으로 당이 측정 되었다. 발아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환원당 함량은 급격히 감소되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가정에서 쉽게 발아 현미를 만들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특히 유아를 위한 이유식과 청소년들, 군부대, 등 단체 급식에 발아 현미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높은 발아 현미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법이 모색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