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경영성과 평가지표로서 경제적부가가치(EVA)의 정보유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 코스닥등록기업을 중심으로

        강경연 中央大學校 國際經營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While management Indexes based on accounting profit such as EPS, ROE, ROA, CFPS reflects only cost of borrowed capital excluding cost of equity capital, EVA(Economic Value Added) originated by Stern & Stewart is a new performance measurement index which is highlighted recently by using WACC that reflects the opportunity cost of stockholders. The formula that the EVA can be calculated is as follows EVA= Net Operating Profit after Tax(NOPAT) - Averaged Invested Capital(IC)×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WACC)= Averaged Investment Capital ×(ROIC - WACC) EVA performs its part most effectively as an estimation indicator which can measure the value of company and management performances and it becomes a consideration standard of decision making about investment project. Up to the present, the quantity index like EPS, ROE, ROA, CFPS based accounting principle was considered significantly as evaluation, but EVA is an index which considers both quantity and quality in evalua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is study informs usefulness of the EVA by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EVA and stock yield by comparing it with other management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EPS, ROE, ROA, CFPS. Second, this study tests whether EVA has information content as an estimation indicator which can measure management performances and inspects whether the information contents of EVA play a role as an incremental information to management Indexes based on accounting profit. This study is conducted in empirical study to analyze items consisting the EVA. And then I did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model which is set EVA/share, EPS, ROE, ROA and Cash flow/share as independent variables(change variable) and yearly stock yield as a dependent variable. For this study, the data of 114 companies among other Kosdaq listed companies from 1997 to 2000 are adopted in sample. But the analysis period is 1998 through 2000 because change variable is used on this study. The result of empirical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In full data from 1998 to 2000, the variation of EVA/S had not significant relation to yearly stock yield and had very little r2(0.00140). That is to say, EVA had not an incremental information content to management Indexes based on accounting profit. In annual analysis results, the variation of EVA/S had not significant relation to yearly stock yield in 1998, 1999. But in 2000, EVA/S as change variable was positive related to yearly stock yield and had the largest r2(0.20881).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EVA/S is not so better than any other indicators to explain yearly stock yield and measure the value of company and management performances. If Kosdaq stock market is more efficient, stable and the substantial company information is objectively reflected in stock market, it is expected that EVA will be able to perform its part efficiently as an estimation indicator which can measure the value of company and management performances together with management Indexes based on accounting profit such as EPS, ROE, ROA, CFPS.

      • 아파트 욕실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방안 연구 : 치수 및 가구배치계획과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강경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39

        Recently,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population of Korea has been growing rapidly and there is als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lderly households. Therefore, architectural design which can support those with loss of motion and sensory capability among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has surfaced as an important issue. In the aspect of housing welfare of the elderly,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which refers to enabling the elderly to continue living in the community they are familiar with, has become very important. Among these familiar spaces, housing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the bathroom can be seen as the most crucial. It is the usability of the bathroom that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users.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the elderly is affected most by health-related factors, followed by visual function loss, and lastly hearing impairment. In the area of visual function loss, the loss of contrast sensitivity is closely associated with effecting everyday activity, more so than the loss of visual acu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ocusing on spatial dimension, fixture layout, and color schemes, is to deduce the application methods of universal design for bathrooms in apartments, which represents the main form of residential housing in Korea.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universal design and the necessity to support the needs of various bathroom users as much as possible, criteria for design and analysi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mobility of wheelchair users and color perception of the elderly affected by yellowed eye sight. In the aspect of spatial dimension and fixture layout, five criteria were developed on the basi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al design codes and guidelines: (1)clear space, (2)universal reach range, (3)work flow, (4)areas for later use, and (5)safety. In the color scheme phase, three types of color confusion among the elderly were deduced from the results of several studies: (1)hue confusion among colors of similar tone, (2)tone confusion among colors of the same hue, and (3)color confusion with neutral colors. Using these criteria,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seven different bathroom types in dwelling units ranging from 25 to 42pyeong(83~139㎡) were investigated. The level of discernment in the color schemes of seventeen model apartment house bathroo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e problems found are as follows: (1) Constraint factors in using bathrooms: bathroom size, width and opening direction of the door, threshold, width of the path to the lavatory, location of the centerline of the toilet and lavatory, and the clear space under the lavatory. (2) Most frequently used colors in the bathrooms: hues of yellow and yellow-red with high value and low chroma, in other words, very pale, light grayish tones and the color white. These color schemes were difficult to discern for both the elderly and those with normal color vi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application methods of universal design in bathroom design for apartments as seen below: (1) Specialized design that accommodates space especially for users with low capabilities is one method, but a better alternative is to make the environment more accessible, usable, and universal for the most number of people with varied capabilities. (2) This study suggests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spatial dimension and fixture layout in apartment bathrooms, which make the bathroom more accessible and usable for users with diverse motion capabilities including wheelchair users, without altering the current size of the bathroom. (3) This study suggests universal color schemes that are easily discernable for both the elderly and those with normal color vision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mood. And the efficiency of the suggested color schemes were supported by the result of the empirical experiment. (4)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ssibility for designing a more universal bathroom within the current minimal size bathroom area while keeping the current color image scale has been proven. Based on the understandings of user characteristics in mobility and sensory capabilities, a little consideration in the design process can make a difference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users.

      •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인식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강경연 광주여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how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affects young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self‐awareness, self‐control, other‐awareness, and other‐control) and their prosocial behavior (leadership, helping, communication, initiative consideration, approaching, sharing, and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For this purpose, we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Question 1: What effect does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have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Question 2: What effect does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have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Question 3: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resulting from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according to gender? Question 4: Is th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rovement of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sulting from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five‐year‐old children sampled from two child-care cent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with children from C Child-care Center (12 males and 8 females), which had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and a control group with children from K Child-care Center (12 males and 8 females), for which only fairy tale books were read.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homogeneous in terms of parents’ occupation, economic level, living environment, and cultural experience, and their child-care centers were both workplace child-care centers operated in a similar way.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s for 6 weeks and twice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were read fairy tales without story making activity. The pretest was performed to the children of the two groups before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s was started. The post-test was performed to the child-cren of the two groups after 6 weeks’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s for improving the experimental group child-cren’s emotional recognit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te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through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from the research procedure above are as follows. First, after the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n recognizing their own emotion accurately, understanding others’ emotion, expressing emotion clearly, and distinguishing expressed emotions. Second, after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ir improvement in the sub‐factors of prosocial behavior, that is, leadership, communication, initiative consideration, approaching, sharing, and empathy and emotional control. Third, improvement in emotional recognition resulting from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Fourth, improvement in prosocial behavior resulting from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ory making activity using fairy tale books has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and prosocial behavior. This result is considered meaningful in setting desirable directions and making teaching plans for improving young children’s emotional recognit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인식(자기인식,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과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지도성, 도움주기,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정서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 인식 향상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른 친사 회적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는 실험집단 C어린이집(남12명, 여8명)과 동화책을 읽어 주기만 하는 비교집단 K어린이집(남12명, 여8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 및 비교집단은 부모의 직업, 경제수준, 생활환경, 문화적인 경험이 비슷하며 직장보육시설로서 유사한 형태로 운영되는 동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2회씩 6주 동안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였으며, 비교집단은 동화를 듣기만 하고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하지 않았다. 사전검사는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실시하기 전에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후검사는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인식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을 위하여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6주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자료처리 분석방법은 t검증을 이용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절차에 따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책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을 한 실험집단이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타인의 정서를 이해하며,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하고 표현된 정서를 구별하기에서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한 실험집단이 유아의 지도성, 의사소통, 주도적 배려, 접근시도하기, 나누기, 감정이입 및 조절이 비교집단의 유아보다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른 정서인식 향상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따른 친사회적 행동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동화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은 유아의 정서인식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정서인식과 친사회적 행동 향상을 위한 바람직한 방안을 모색하며 유아를 지도하고 계획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 교육요구분석 :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 군집유형을 중심으로

        강경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39

        대학생 시기는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앞둔 시기로서 직업 선택과 실행뿐만 아니라 직업세계에 유연하게 적응하면서 능동적으로 진로를 개발해나갈 수 있는 진로개발역량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대학 진로교육의 대표적인 형태 중 하나인 진로교과목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서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교육요구를 살펴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위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을 도출하는 것이다(연구 1). 둘째, 진로결정수 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을 기준으로 한 대학생 군집유형별로 진로교과목 교육내용 요구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연구 2).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대학생 진로개발역량 관련 문헌분석을 통해 교육내용 초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해 진로교과목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2018년 8월 10일∼9월 14일 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성의 적절성, 표현의 명료성에 대한 내용타당도(CVR)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전국 6개 지역의 4년제 대학생 428명을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전공일치감수준, 교육내용에 대한 중요도와 보유 도를 2018년 10월 1일∼10일 간 조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여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의 두 차원에 따른 군집유형을 도출하고 군집유형별 중요도-보유도 차이, Borich 교육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교육요구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군집유형별로 Borich 교육요구에서 상위 1/3 수준에 해당하는 교육내용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에서 중요도, 중요도-보유도 차이가 모두 평균보다 높은 영역에 속한 교육내용의 중복여부를 확인하여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선정하였다. 연구 1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은 9개 영역 43개 하위내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이해 및 긍정적 자아정체감 확립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 타인과의 긍정적 상호작용 이해 및 실천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생활에 필요한 직업의식과 태도 고취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직업 및 산업동향의 이해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정보 탐색과 활용 영역(하위 6개교육내용), 진로의사결정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평생학습 중요성 인식및 참여 영역(하위 4개 교육내용), 진로계획 수립·실천 및 관리 영역(하위 5개 교육내용), 구직역량 함양 영역(하위 6개 교육내용)’이었다. 이와 같이 대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의 교육내용이 광범위 한 것으로나타나, 한 학기에 모두 다루기는 어렵기 때문에 학생들의 특성별로 도움이 되는 내용을 선별하여 구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 준에 따라 군집을 분류한 결과,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이 모두높은 군집(군집 1),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이 모두 보통인 군집 (군집 2), 진로결정수준이 보통이고 전공일치감수준이 낮은 군집(군집 3), 진로결정수준이 낮고 전공일치감수준이 보통인 군집(군집 4)의 4개 군집 으로 분류되었다. 군집유형별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공통적요소와 차별적 요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든 군집유형에 공통하여 우선적으로 교육해야 할 내용은 7개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 직업과 관련한 강점 파악, 직업생활 및 진로개발과정에 도움이 되는 자기관리법 습득, 전공 분야 직업세계 정보 수집 및 해석, 관심 직업 분야의경력개발 방법 이해, 관심 직업분야 인적 네트워킹 형성, 삶의 목표와 장기적 진로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수준을 갖추기 위한 전략 수립, 구인정보 요소 수집 및 평가 방법’이었다. 한편, 군집유형별로 특징적으로 우선 고려해야 할 교육내용은 다음과같았다.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이 모두 높은 유형(군집 1)은 특히 ‘관심 직업분야 인적 네트워킹 형성’과 ‘삶·장기적 진로목표 도달 계획’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인적 네트워킹을 통한 현실적인 입직준비와 체계적인 진로개발 계획을 중점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수준과 전공일치감수준이 모두 보통인 유형(군집 2)은 ‘진로 정보’와 ‘구직기술’에 관련한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효율적인 정보 활용과 구직준비에 대한 교육이 특히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진로 결정수준이 보통이면서 전공일치감이 낮은 유형(군집 3)은 ‘다양한 진로정보 탐색방법 파악‘과 ’취업정보기관 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진로정보 탐색과 적극적인 진로·취업기관 활용 실습을 중점적으로 교육할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결정수준이 낮고 전공일치감수준이보통인 유형(군집 4)은 특히 ‘일·직업과 관련한 강점 중심의 자기이해’와 ‘진로목표’ 관련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나, 다양한 경험 속에서 자신의 강점을 이해하고 진로목표와 연결하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진로개발역량을 위한 진로교과목에 대한 관심이 시작된데 비해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한 교육요구분석 연구가 매우 부족하고, 특히 교육요구를 조사하기에 적절한 구체적인 교육내용에 대한 연구를 찾아보기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실정에서 본 연구는 델파이조 사를 통해 진로교과목 교육내용을 구체적인 수준으로 도출했다는 점, 대학생의 대표적 진로문제인 진로결정과 전공불일치를 고려하여 진로결정수 준과 전공일치감수준에 따른 군집유형의 교육요구 특징을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더욱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진로교과목 수업내용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College life is the period of transition that precedes professional life, so it is important to develop competency that can actively develop their careers while helping them adapting flexibly to the professional world as well as in job selection and execution. In order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rough career course,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college care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on the educational need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d a twofold structure. Study 1 aimed to create a career course contents list for develop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undergraduates. Study 2 aimed to examine cluster types based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ngruence level that would be utilized for predicting different educational needs regarding career course contents. To this end, in Study 1, the draft of the career course contents list was created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Next, exper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wice between August 10 and September 14, 2018. Using the data collected from Delphi, analyzed the content validity ratio(CVR) of composition and clarity of expression; this helped in determining the final list of the proposed career course contents. In Study 2, a survey about career decision level, major congruence level, and the importance and retention level of career course contents was administered to 428 college students between October 1 and 10, 2018. The data were used to confirm cluster types in term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ngruence level, and to analyze educational needs of each cluster type through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inally, each cluster type's priority educational needs were determined overlapping contents that correspond to the top one-third level in the Borich Model and where both the importance, importance-retention difference were higher than the average in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results of Study 1 were as follows: The finalized college career course contents regardi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onsisted of 43 components across 9 categories. There were 6 in self-nderstanding and the establishment of a positive self-identity; 4 in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positive interactions with others; 4 in the building of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4 in the understanding of vocation and industry trends; 6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and use; 4 in career decision; 4 in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and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5 in the establishment, implementation, and anagement of career plans; and 6 in the cultivation of employment competency. It was suggested that career course content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were wide in range, and that in order to structure an effective course of study, it was necessary to select elements that would be more beneficial to individual students. The results of Study 2 were as follows: Four cluster types (high career decision-high major congruence, average career decision-normal major congruence, average career decision-low major congruence, and low career decision-average major congruence) were identified. An analysis of the priorities of educational needs by cluster type revealed both common and distinctive factors. Seven contents were ranked as priority educational needs in all cluster types: identifying one’s own strength in relation to a vocation, learning self-management methods to aid one’s professional life and career development processes, collecting and interpreting information respecting occupational world that is linked to one’s own major, understanding how to develop one’s career in the occupational fields of interest, forming human networks in occupational fields of interest, establishing strategies for gaining education levels necessary to achieve one’s life goals and long-term career goals, and learning how to collect and evaluate elements of hiring information.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that should be considered distinctively by each cluster type were as follows. The cluster type with both high career decision and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high-priority needs for “forming human networks in occupational fields of interest and long-term career goal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focus on educating realistic planning and systematic career planning through human networking. The cluster type with both average career decision and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priority needs for contents related to “career information and employment technique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regarding the efficient use of career information and employment techniques. The cluster type with average career decision and low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especially priority needs for “understanding ways to search career information and using employment agencie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focus on educating utilize actively career information and employment agencies. The cluster type with low career decision and average major congruence levels showed priority needs for contents related to “self-understanding based on one’s own strength related to vocation and career goals”, so it was found out necessary to educate to understand own’s strengths in various experiences and connect them with career goals. Compared to the recent emerging interest in career course designed to cultivat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re is a significant lac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studies on specific career course contents that suit the examination of educational needs are rare. In this context, the present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Delphi-based empirical study derived career course contents specifically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needs based on types depending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ngruence level; career decisions and major mismatch, which are typical career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were considered.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produce data useful for designing career course curriculums that will be more practical for college students.

      • 數學史를 活用한 方程式 指導方案에 관한 硏究

        강경연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에서는 수학사를 활용한 방정식 지도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교과서에 실린 방정식의 해법보다 훨씬 더 다양하다. 그리고 수학사적인 입장에서 볼 때 그 변화과정은 매우 흥미롭다. 그러므로 방정식 단원 지도에 있어 수학사를 이용한 지도는 학생들에게 수학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자연스럽게 유발하고, 수학교육의 진정한 목표를 달성하게 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이 논문은 방정식의 해법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얻어진 것인지를 수학사적인 입장에서 살펴봄으로써 방정식의 다양한 해법을 살펴보고, 또 실제 7차 교육과정의 방정식 단원에서의 수학사를 활용한 효과적인 수업지도안을 만들어 보았다.

      • 여성의 空間과 夢想을 표현한 작품연구 : M. 메를로 퐁티의 스타일 개념을 중심으로

        강경연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study focuses on the research of reverie within female spaces as an analytical observation on an individual's expression in ceramic art. The interest for the research began in 2006 with the intention of creating a series of work for the "Blue Hair Woman" exhibition. The majority of work made proved that the female figures had dreamlike facial expressions and since then upon realizing this, the research continued as an investigation on female spaces and the notion of reverie. What began as a study of female figures transformed into a research and an expression on female spaces through the exhibition <Feminine Spaces, Three Chambers> in 2007. Later this subject coincided with <Daydream> and therefore began to address the subject confronted in this study today. As a result, the study focuses on ≪Female Space and Reverie≫, an individual expression in ceramic art. The main theoretical research for this study is based on Maurice Merleau-Ponty's theories on phenomenology and art. For the first chapter, backgrou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Merleau-Ponty's philosophical perception on phenomenology and art. Based on this the study examines how Merleau-Ponty developed his theory on style. Through this he actualized his notion on body phenomenology and art - the background to which he developed the concept on different style. This study examines such basic perception of Merleau-Ponty before applying to the work made for ≪Female Space and Reverie≫. Merleau-Pont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world" and the study refers to this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on style. This notion takes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 and the subject/object. Furthermore such a relationship is made possible through "expressing". Seen from such an angle a style in terms of expression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rson who expresses and the person who perceives it. Art ultimately has the objective of expressing, especially visual art. Merleau-Ponty actualized the concept between the artist and the work,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viewer. He not only addressed the external values of a subject/object but also the internal psyche, with concentration on meanings and significances as "an indicator of consistent transformation". In the second chapter, based on Merleau-Ponty's perception on body phenomenology, the study looks at works made by feminist artists, simultaneously as analyzing their style and expressions. The analysis has been aligned with the context of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Developing further from Merleau-Ponty's concept, the study also examines Elizabeth Grosz theories on feminism and the female body, a central theorist in this field of study. Works related to Grosz's theories have also been studied. In relation to her concept, stereotyping of the female has been examined in understanding different tendencies in expressing the female.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and space has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by looking at works that understand these two notion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different symbols. The analysis on style relate directly to the visual construction of the creative work in order to discuss the subjects in question. The process of making work often neglect theoretical and academic importance, which results to eliminating such discussions. However they are crucial in delivering a certain notion and a concept as a way of creating new styles and expressions in art. Based on the main subject the study divides into three parts - "Composing Female Images", "Constructing Female Spaces", and "Reverie Compositions". The works made for the study fall into these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ir visual expressions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accordingly. The main focus for the three pieces made for the <Blue Hair Woman> series are blue, shadow cat. The work oscillates between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terpretations with a fairy-tale like expression. Through analysis it is possible to state that this category shows "females who appear content". In order to travel between what is real and what is ideal, the two contrasting factors were put to experimentation expressing duality. For the "Constructing Female Spaces" works derived from <Whiter than White>, <Another World>, <Feminine Spaces, Three Chambers>, <Secret Garden> series were included. Inspiration on space has been included from the point of "creating the female image" to "thinking about space for installing works" to "experiencing the space". In the case of <Whiter than White>, uniform three dimensional images existing in particular spaces have been actualized. For <Another World>, <Feminine Spaces, Three Chambers> and <Secret Garden>, the female space was perfected as a means to expand the concept behind the works. For "Reverie Compositions", the dreamlike interpretations of every work has been analyzed. For <Bird> focus on "linear expressions" were crucial. For <Flying in the Sky>, "interpretation on the installation space" as a means for imagination was important. <Whiter than White> concentrated on "vision and visual placing of works". Reverie or dreamlike interpretation of the female oscillated between the feminine restriction, reality and compromise. The cross point of the different feminine issues in terms of phenomenology related to the subconscious notion on healing. The visual composition of the works made for the study ≪Female Space and Reverie≫ endeavors to surpass all boundaries in order to proceed forward in the world. The study enabled the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process in creating work", "the application of theory and the method of delivery", "understanding of space", "ways of expressing art" and more. Other theories and researches further investigated on concepts on body phenomenology. This is only the beginnings to many researches to take place in similar subjects for making art work. I sincerely hope that it can contribute to many more studies to come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여성의 공간과 몽상≫을 표현한 작품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여성의 공간과 몽상을 주제로 작품을 진행하기 시작한 것은 2006년 Blue Hair Woman을 발표했을 때로 그간 제작해왔던 여성상(像)들이 대부분 꿈꾸는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 동기가 되었다. 여성상으로부터 출발한 작품연구는 2007년에 발표했던 <여성적 공간, 세 개의 방>을 계기로 여성 공간의 표현으로까지 옮겨가게 되었고, 이후 꿈꾸는 여성의 공간은 <Daydream>이라는 주제로 통일되었다. 이를 근거로 연구의 대 주제를 ≪여성의 공간과 몽상≫을 표현한 작품으로 설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의 스타일 개념을 작품분석의 토대로 삼고 있다. 이에 Ⅰ장에서는 작품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메를로-퐁티의 철학 연구인 몸 현상학과 예술론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의 스타일 개념이 나오게 된 배경에는 몸 현상학 연구와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해 전개했던 예술론이 있다. 따라서 메를로-퐁티의 스타일 개념을 ≪여성의 공간과 몽상≫작품분석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의 철학과 예술론을 고찰하는 과정은 필연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철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 중 ‘세계’에 대한 부분은 스타일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단초이다. ‘세계’라는 개념은 나와 대상과의 관계를 전제하고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관계를 가능하게 만드는 것은 ‘표현’을 통해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 따를 때, 스타일은 표현되어진 것이며 표현자와 대상이 소통하기 위한 매개체인 것이다. 예술은 궁극적으로 표현을 목표로 한다. 특별히 시각예술에서 보이는 표현의 특징에 집중했던 메를로-퐁티는 작가와 작품, 감상자와의 관계 안에서 스타일 개념을 구체화해 나갔다. 그가 말하는 스타일이란, 단지 어떤 대상의 외양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들을 집중시킬 수 있는 ‘일관된 변형의 지표’이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Ⅰ장에서 고찰한 내용들에 근거하여 몸 현상학의 관점에서 여성주의 미술에서 나타나는 작품의 스타일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은 연구 작품의 스타일 분석에 앞서, 연구 작품의 주제와 연계되어 있는 여성 미술작품들의 양상을 분석, 기술해 나간 것이다. 여성과 여성 몸의 논의에서는 메를로-퐁티의 연구에 영감을 받아 페미니즘 담론의 중심에서 여성 몸을 논의한 엘리자베스 그로츠의 이론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된 작품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여성적 스테레오 타입의 발생과정과 내용들을 살펴보고 기술 내용에 따라 작품의 스타일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몸을 공간적인 기초로 삼아 상징화한 작품들을 분석하여 여성과 공간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연구 작품의 스타일분석은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구성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하여 그 안에 담겨있는 의미의 층에 도달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은 작품제작 시 주제에 매몰되어 간과하기 쉬운 사용 매체나 작업행위가 지니는 중요성을 환기시키며 작품이 함의하고 있는 본연의 기능에 주목하게 한다. 이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공간과 몽상≫을 표현한 작품을 분석하기에 앞서 대 주제를 ‘여성상의 구성’, ‘여성 공간의 구성’, 그리고 ‘몽상의 구성’ 등 3개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이에 해당하는 작품을 선정하고, 각 작품에서 나타나는 시각적인 특징들에 따라 기술(記述)의 방향을 정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Blue Hair Woman>연작 중 3점을 통해 추출한 시각적인 특징은 Blue, shadow cat, 입체형상과 평면드로잉으로 전체적인 구성에서 동화적인 표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를 분석한 결과 <Blue Hair Woman>연작은 ‘행복해 보이는 여성상’이라는 시각적인 동일성을 유지하기 위해 동화적인 스타일로 조형 전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상과 현실의 이중적인 양상을 표현하기위해 각각의 대비되는 요소들을 여성상 안에 배치하고 있었다. ‘여성 공간의 구성’에서는 <Whiter than White>연작, <Another World>, <여성적 공간, 세 개의 방>, <비밀정원>전시에서 보이는 시각적인 특징들을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각 작품 및 전시의 시각적인 구성은 ‘여성상의 제작단계’부터 ‘작품이 설치되는 공간의 구조’, 그리고 체험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이어지는, 즉 작업당시의 공간에 대한 관심이 반영된 것이다. 분석의 결과는 <Whiter than White>의 경우, 단일한 입체 형상 내에 존재하는 공간이 여성이미지들로 인해 구체화되어져 여성 공간을 구성하고 있으며 <Another World>, <여성적 공간, 세 개의 방>, <비밀정원>전시에서는 시각적인 구성이 주제의 확장을 유도하며 여성 공간을 완성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몽상의 구성’에서는 각 작품마다 몽상을 가시화하기위해 시도된 시각적인 특징들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새>에서는 ‘선(線)의 표현’을, <하늘을 날다>에서는 상상력에 기반하고 있는 ‘설치공간의 해석’을, <Whiter than White>전시 display에서는 ‘봄(vision)과 보임의 작품 배치’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각각의 작품이 표현하고자 하는 몽상의 의미는 여성의 지향적인 의식과 현실의 관념적인 경계와의 타협점이자 여성이 자신내면과의 교점을 형성하는 계기로 현실 치유의 잠재성을 의미하고 있다. 연구 작품의 스타일분석에 따르면, ≪여성의 공간과 몽상≫을 표현한 작품의 시각적인 구성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는 인식의 경계를 허물고 세계를 향해 나아가고자 하는 여성의 모습이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메를로-퐁티의 스타일 개념은 ‘작품 제작과정의 중요성’과 ‘사용매체와 구현방법에 대한 이해’, ‘공간에 대한 인식’, ‘작품의 표현기능’ 등을 재조명해볼 수 있는 계기를 주었다. 또한 풍부한 기술(記述)의 도구들이 되어 준 몸 현상학을 통해 작품의 이론적인 근거를 세울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실들이 작품제작에 있어 또 다른 동기를 부여해 줄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하며, 이를 기반으로 연구를 이어감으로써 향후 제작할 작품의 실질적인 발전과 변화를 모색하고자 한다.

      •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악골괴사(BRONJ)에 관한 서울시 치과위생사의 인식도 조사

        강경연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has drawn the following conclusion from a survey of dental hygienists who are working at the dental institutions in Seoul now in case history study for medically compromised patients and recognition and condition research about necrosis of jaw bone related to bisphosphonate. The survey in who did fill out the case history study showed the majority that 24.88%(54 patients) did by themselves at universit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10.60%(23 patients) at dental hospital, and 21.66%(47 dental hygienists) did by themselves at dental clinic. And among 5 questions, the point of question 'matters relating to taking Bisphosphonate medications were checked' was 3.42, and it was shown to be relatively low. Average point was shown to be 21.53 on the basis of the maximum 25 points, and standard deviation was shown to be 3.273. The average of university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was 23.14. And this was the highest. Also, it was possible to check that average point became lower in the order of 21.68 for dental hospital and 19.64 for dental clinic.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hether it is BRONJ or not, 20.3%(44 of them) did not recognize BRONJ and 79.7%(173 of them) did recognize it. Those who at the age at 25-35 did recognize BRONJ at most in the groups of age under 25, 25-35, and over 35,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5). Those who has service career of 5-10 years recognized it the most in the groups of service career under 5 years, 5-10, and over 10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dental clinic had lower recognition than the service agencies of university·general hospital and dental hospital (P<0.05). 55.3% of the dental hygienists of the survey target had educated about BRONJ. Those who at the age at 25-35 had the most chances to be educated in groups of age under 25, 25-35, over 35,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5). And in terms of the service career, there was general distinction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groups. In comparison with working places, dental clinic had less education chance than dental hospital and university·general hospital,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P<0.05). As of 0 for the minimum and 10 for the maximum of BRONJ understanding, the average was 6.14 and it was not affected by age, service career, working place. From the result of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here should b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education program about BRONJ for the whole dental hygienists since those who work at university·general hospital relatively have more chance to be educated it but those who work at dental clinic have less chance of it. 본 연구는 골다공증 및 암환자에 사용 중인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여로 인한 비스포스포네이트 관련 악골괴사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 BRONJ) 발생 위험도에 대하여 치과위생사들의 인식도 파악과 전신병력조사의 실태를 평가하여 치과위생사들의 BRONJ에 대한 인식의 범위를 넓히고, 병의 예방에 기여하는 기초자료가 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서울지역에 소재한 치과병의원 중에서 무작위 추출한 대학병원․종합병원 12기관, 치과병원 10기관, 치과의원 35기관 총 57기관에서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중에서 설문조사에 응답한 2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설문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에 관한 질문 9문항, 전신병력 조사 실태 관련된 질문 7문항, BRONJ 인식도에 관한 질문 21문항으로 구분하여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전신병력 조사 실태파악, BRONJ 인식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카이제곱검정을 사용하여 근무기관에 따른 전신병력 조사 작성방법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BRONJ 인지여부, BRONJ 교육 유무의 유의성을 분석하였고 사후검정을 위해 Bonferroni를 사용했으며, BRONJ 이해도에 영향을 주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대해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P<0.05). 조사에 답한 치과위생사 총 217명을 근무기관별로 조사한 결과 대학병원․종합병원은 43.3%(94명), 치과병원이 18.4%(40명), 치과의원 근무가 38.2%(83명)였다. 전신병력조사 작성방법을 설문한 결과 환자 직접작성이 대학병원․종합병원 24.88%( 54명), 치과병원 10.60%(23명)으로 많았으며 치과의원에서는 치과위생사가 21.66%( 47명)로 높게 나타났다. 전신병력 조사 실태 파악에 대해서 조사하기 위해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5문항 중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 복용과 관련된 사항을 체크한다.’항목이 3.42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최고 25점 기준으로 평균점수 21.53점, 표준편차 3.273점으로 나왔다. 대학병원․종합병원의 평균이 23.14점으로 점수가 가장 높고, 치과병원이 21.68점, 치과의원 19.64점 순으로 평균점수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BRONJ 인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20.3%(44명)이 BRONJ를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79.7%(173명)이 BRONJ를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대부분의 치과위생사들이 BRONJ를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RONJ 연령에 따른 인지여부에 25세 미만과 25-35세 미만, 35세 이상을 비교했을 때 25세-35세 미만에서 가장 인지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근무경력을 5년 미만과 5-10년 미만, 10년 이상을 비교했을 때 5년-10년 미만이 가장 인지가 높았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근무기관에서는 치과의원이 대학․종합병원, 치과병원에 비교하여 낮았다.(P<0.05). BRONJ에 관한 교육을 조사대상 치과위생사들의 55.3%가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RONJ 교육유무에 25세미만과 25-35세미만, 35세 이상을 비교했을 때 25-35세 미만이 가장 교육기회가 많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근무경력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는 차이가 있었으나(P<0.05) 각 그룹 간으로 나누었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근무기관에서는 치과의원에서 대학․종합병원, 치과병원을 비교했을 때 교육기회가 적었다고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BRONJ 이해도를 최저 0점, 최고 10점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평균 6.14점으로 분석되었으며 연령, 근무경력, 근무기관은 BRONJ 이해도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학병원․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에서는 BRONJ 교육을 받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높으며 치과의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에서는 BRONJ 교육을 받은 응답이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전체 치과위생사들을 위한 BRONJ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경남 김해지역 분묘출토 자기 연구

        강경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targeting the porcelain excavated from the tomb of Korea, Chosun era surveyed in Kimhae area, KyungNam Province, its objective is to establish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through the analysis for the attribute and the classification of formality. The comprehens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for Kimhae area are easy as the data for the remains of tombs and the excavated antiquity are being accumulated constantly through the existing survey for the excavation survey. The meaning capable of accumulating the data may be granted from an angle of history for the local porcelain in the area where there is no result of study at all. The analysis targeting 16 remains of tombs in Korea, Chosun era has been carried out, first, the characteristic of remains has been checked through the form of tombs, the location of burial, the act of formality, etc. The concept of type used with mixed without the criteria in the excavated remains has been clarified and the classification of form by dividing the dishes of bon and wan according to the times has been tried. The aspect of change and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for the excavated porcelains from the tombs have been established through this. The majority of tombs of wooden coffin are found in the tombs of Korea era. The tombs of wooden coffin comprise a majority in Korea era, the burial location of porcelains has been highly inclined to be divided into two places. There had been many cases of burial of the porcelains in the side except of the central part together with the copper spoon. The tombs of wooden coffin comprise the majority in the tombs of Chosum era. The tabernacles in comparatively many tombs are identified and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grave goods (a dead person’s belongings buried with his corpse) in the tabernacle is excavated. Many burial location of porcelain kinds found to be in one part different from the Korea era.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rial of porcelains and its location, the arrangement of articles, etc. is different by era in the tombs of Korea, Chosun era like this. The classification of form and the arrangement order in the excavated porcelains of tombs had been progressed by separating the celadon, the grayish-blue-powered celadon and the white porcelains. The aspect of change by the stage of 1 to 5 according to the era and the kinds is found to be identified, the study for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in the Youngnam district as the center and the era by each stage based on its results has been identified. The all excavated celadon has been applied in the 1st stage.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has been arranged between the first half of 12 century and 13 century in light of the fact based on the antiquity of early times such as hill of solar halo sleeve are not observed and the excavation of important dishes. 2, 3 stage are the stages the grayish-blue-powered celadon are appeared 2, 3 stage. the fuselage are tingled with the form of curved important dishes, the technique of the print, the inlaid work, the paste brush, etc. are observed in the stage 2 also, the meaning of uncertain showing the engraved X letter well written of public imposts Gong letter, Kimhae Jangheung storage purpose is identified. The development period of the grayish-blue-powered celadon (about 1432 ~ 1469), 15 century are seen through the external form of the design, the inscription, the kinds. The stage 3 is tingled with the fuselage, the technique of the paste brush comprise the majority. The period of change, decline (about 1469~1510)has been applied in the end of 15 century of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4, 5 stage are the stages the white celadon is appeared. 4 stage are applied in the end of 15 century ~ 16 century, it is understoo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of period mainly. Also, the antiquity engraved with the letter “Kwa” and “Kwabang” is identified. The antiquity engraved with the stipple method showing “Kimhae Upper, Middle” in the stage 5. It is understood middle of 16 century ~ 17 century through the aspect of deformity, poetry and prose well written.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 the fact has revealed that tombs excavated from the Korea, Chosun era were generally grouped in a certain area. Also through the fact that porcelain was used as daily or grave goods, the dead were seemed to be people who had financial power or were dominant classes. Porcelain excavated from tombs seems that there are not specific ceramic culture in terms of types or malformation morphologically in Yeongnam area. However, from the cases that it was observed inscription like name of area was engraved on the white porcelain and grayish-blue-powered celadon, and gwiyal was ordered in the area near Japan, it can be estimated that there were their own base and a process of development. 본 연구는 경남 김해지역에서 조사 된 고려·조선시대 분묘 출토 磁器를 대상으로 하며, 속성분석 및 형식분류를 통해 편년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김해지역은 기존의 발굴조사를 통해 분묘유적과 출토유물에 대한 자료가 꾸준히 축적되어있어 종합적인 분석 및 검토가 용이하다. 그리고 연구 성과가 부족한 지역에 대한 기초자료 및 연구성과를 확보하는 의미가 있다. 분석은 김해지역 고려·조선시대 분묘유적 16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분묘의 형식, 유물의 부장위치, 의례행위 등을 통해 유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器種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리하고 시대에 따라 鉢·碗·접시로 구분하여 형식분류를 시도하였다. 고려시대 분묘는 목관묘가 다수를 차지하며, 자기류는 두 곳에 나누어 부장하는 경향이 높다. 磁器는 중앙부를 제외한 측면에, 銅匙와 함께 부장하는 경우가 많다. 조선시대 분묘도 목관묘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비교적 많은 묘에서 감실이 확인된다. 감실 내에서 부장품이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자기류의 부장은 한 곳에만 시행한 것이 많다. 이와 같이 고려·조선시대 분묘는 자기류의 부장과 위치, 器物配置 등이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름을 알 수 있다. 분묘 출토 자기는 청자·분청사기·백자로 구분되며, 각각 형식분류 및 순서배열을 진행하였다. 시대와 器種에 따라 Ι~Ⅴ단계로 변화가 확인되며,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한 편년연구 및 성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로 연대를 비정하였다. Ⅰ단계는 출토된 청자 모두가 해당된다. 해무리굽 완과 같은 이른 시기의 유물이 관찰되지 않고 후기의 절요접시가 출토되는 점 등을 통해 12세기 전반~13세기로 편년하였다. Ⅱ·Ⅲ단계는 분청사기가 출현하는 단계이다. Ⅱ단계는 동체부가 곡선·절요의 형태를 띠고, 인화·상감·귀얄 등의 기법이 관찰된다. 또한 의미가 불분명한 ‘X’字·공납용임을 말해주는 ‘公’字·‘金海+長興庫用’字가 새겨진 명문이 확인된다. 문양 및 명문·기종의 외형적인 형식을 통해 분청사기 발전기(1432년~1469년경)인 15세기 중반으로 설정하였다. Ⅲ단계는 동체부가 직선적인 형태를 띠며, 대부분 귀얄기법이 사용되었다. 분청사기의 변화·쇠퇴기(1469년~1510년경)인 15세기 말로 편년하였다. Ⅳ·Ⅴ단계는 백자가 출현하는 단계이다. Ⅳ단계는 15세기 말~16세기에 해당되며, Ⅲ단계와 크게 시기차이를 가지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果’字와 ‘果方’字가 陰刻으로 새겨진 유물이 확인된다. Ⅴ단계에는 ‘金海上·中’字가 點刻으로 새겨진 유물이 확인되며, 기형 및 명문의 시문 양상을 통해 16세기 중반~17세기로 파악하였다. 종합해 살펴보면, 자기가 출토되는 고려·조선시대 분묘는 완만한 사면부에 등고선과 직교하는 형태로 상호간의 중복관계 없이 조성되었다. 이는 집단의 공동묘역으로 이전에 조성된 분묘를 인지한 상태에서 후대의 분묘가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기는 피장자가 일상생활 및 부장유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제력·사회적 위치에 있었음 증명하는 유물이다. 이러한 양상을 통해 피장자는 경제력이 있는 양인 혹은 양반이상의 계층으로 볼 수 있다. 분묘출토 자기는 기종이나 기형을 통해 영남지방 내에서 특별히 다른 도자문화를 가지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분청사기와 백자에 지역명을 새긴 명문이 확인되고, 인접한 일본에서 귀얄 분청사기를 주문했다는 점 등을 통해 김해지역 내에서의 자체적인 기반과 발전과정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