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 특수학교 음악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황현숙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urrent state of music curriculum and level of satisfaction of teachers for music on music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employed teachers for music who are charge for music education in 26 schools for the mentally, keyongsangnam․buk-do. The questionnaire ware mailed to 110 teachers for the retarded, and after calculated Mean, Standard Deviation(SD) according to type of sex, career, and grade, the data were applied to test, and t-test and F test in order to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urrent state of music curriculum for the schools for the retarded, most teachers known well on revised special schools basic curriculum, also they were applying it to their classes, they have practiced teaching-learning goal according to students' level. They have operated their classes as divided to group classes and individual classes, the results analyzed hours of music classes and hours of music classes according to type of grade, showed that elementary and middle, high schools have 2 hours a week, most of classes were utilize by music textbook for special schools. In case of using music text book for special schools, teachers usually use 1 level in elementary to high school, 2 level in middle school, 3 level in high school, also they teach as integrated with perceptive activities, expressive activities, and impressive activities according to materials of music textbook. in materials for classes except textbook, teachers use internet related site, internet accompaniment, when accompaniment, most utilizing score is textbook. Schools have music related circle and performance team, type of music related circle or performance team is instrumental music team, chorus team, rhythm chorus team, traditional percussion quartet in order. Second, i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according to music curriculum,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on time alloted music education activities is average. Many teachers thought that appropriate alloted time on music education activities is 3 times a week. When teaching Guide book for teacher, teachers though that problems are teaching-learning difficul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hortage of superior teachers. Teachers thought that the reason that exclusive charge teachers for music education need are because of music studies' knowledge, functional competency. Most of teachers thought that the reasons that special teachers can teach music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is because basic curriculum for mental retardation need not competency function. Most of teachers thought that training to elevate their competencies in special schools is shortage of contents and opportunity, also they want to receive training appliable music training opportunity for spacial teachers only. For the future studies, the same study should apply to teachers in all special schools for the retarded and comparative study between special schools applying basic curriculum for mental retardation and common curriculum for student without disabilities should do. Also study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ies should do.

      • 유방암 환자의 액와 림프절 절제 정도에 따른 신체적 징후 및 증상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

        황현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유방암 치료에 있어서 액와 림프절의 전이 여부는 가장 중요한 예후인자로서 인정되어 침습성 유방암에서는 액와 림프절 절제술이 보편적으로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액와 림프절 절제술은 수술 후 합병증과 높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절제된 액와 림프절의 50% ~ 60% 정도에서는 전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액와 림프절 절제술은 어떤 기준 하에 선택적으로 실시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감시 림프절 생검은 액와림프절 절제의 대안으로 덜 침습적인 방법이면서 정확하게 액와부 림프절의 전이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소개되어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관심과 연구의 초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중 감시 림프절 생검만을 시행한 환자군과 액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군 간의 수술 후 어깨관절 기능, 림프부종, 신체적 자각증상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비교·조사 연구이다. 이는 유방암 환자에게 수행할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하는데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구도구는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관절각도기로, 어깨관절의 기능 평가는 Wingate 등(1985)이 개발하고 나영무(1999)가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어깨관절 기능 평가 도구로, 림프부종은 줄자를 이용하여 팔의 둘레를 측정하였다. 신체적 자각증상은 이명화(1995)의 유방절제술 후 신체적 증상 측정 도구를 수정한 유양숙(1996)의 신체적 증상 측정 도구로,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는 Tulman(1991)의 IFS-CA(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 Cancer)를 번안하여 사용한 서은영(1997)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02 년 9 월 12 일부터 11 월 17 일까지 Y 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유방암 수술 후 2 년이 경과하지 않은 여성을 대상으로 총 42 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부적절한 자료 2 부를 제외하고 감시 림프절 생검군 20 명, 액와 림프절 절제군 20 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version 11.0)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t-test 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체적 자각증상의 정도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이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05). 2. 어깨관절의 굴곡과 외전의 가동범위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이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3. 어깨관절의 기능 정도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이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4. 림프부종은 감시 림프절 생검군에서는 발생하지 않았고,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서 2명(10%) 발생하였다. 5.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자기돌봄행위”에 있어서는 감시 림프절 생검군의 기능 상태가 액와 림프절 절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가사 및 가족간의 활동”, “사회적 활동”, “직장생활”의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감시 림프절 생검을 시행한 대상자들이 액와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한 대상자들 보다 적은 수술 후 합병증을 경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생활의 질을 나타내는 일상생활활동 수행 정도에 있어서는 액와 림프절 절제 정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환자의 간호중재를 계획하고 수행할 때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이고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유방암 환자들이 겪을 수 있는 신체적 징후 및 증상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간호를 제공함과 동시에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일상생활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을 개발하여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ostoperative course for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have sentinel lymph node biopsy (SLNB) compared to those who have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AL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of shoulder joint, lymphedema, physical symptoms and functional status for these patients. The participants were 40 women who were being seen in the out patient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Of these 20 women had undergone a total mastectomy with sentinel lymph node biopsy and 20 women had undergone a modified radical mastectom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on physical symptoms developed by Yoo, Yang Sook, a scale measuring 10 elements of shoulder function developed by Wingate (1985) and modified by Na, Young Moo et al (1999) and Tulman’s IFS-CA (Inventory of Functional Status - Cancer) for use with Korean people. Flexion and abduction of both shoulders and circumference of both upper extremities were also measured.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10 to November 17, 2002. The SPSS for Windows (version 11.0) was used for analyses of the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overall physical symptom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 2) The mean score for flexion and abduction of the ipsilateral should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 3) The mean score for overall function of the ipsilateral shoulder joi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 4) Of all of the women in both groups, Lymphedema was identified in only 2 of the 20 women who had ALND. 5) The mean score for functional statu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two groups, but the “personal care activities” subscale score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LNB group compared to the ALND group (p<.05). In conclusion, postoperative sequelae after breast cancer surgery were much lower following sentinel lymph node biopsy when compared to axillary lymph node dissection. But the type of axillary surgery had no impact on the functional statu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focus on improving functional status as well as reduction of physical signs and symptoms. Also, nurses must be knowledgeable about these results and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nd support to patients.

      • 경북 일부 지역주민의 어류섭취와 혈중 수은 농도의 관련성

        황현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어류 섭취가 혈중 수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경상북도 영천시에 소재하는 일개 종합병원 직원 63명과 그 가족 37명을 대상으로 2009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제사와 상어고기의 특성, 대상자의 수은 노출 관련 특성, 지난 1년간 식품(혹은 음식) 평균 섭취 빈도 및 평균 1회 섭취량 등을 조사하였다. 총 혈중 수은 농도는 골드 아말감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중 수은 농도 기하평균은 8.19 ㎍/ℓ로 그 동안 보고된 바탕값인 ‘국민 생체시료 중 유해물질 실태조사’의 혈중 수은 농도 기하평균 4.34 ㎍/ℓ(2005년), 3.80 ㎍/ℓ(2007년)에 비해 높았고,21) 미국 환경청(EPA)의 혈액 수은 농도 참고수준인 5.8 ㎍/ℓ을 초과한 사람은 63명(63%)이었고, 독일 인체모니터링 위원회(CMBM)가 부작용의 위험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되는 HBMⅠ 5.0 ㎍/ℓ을 초과한 사람은 74명(74%), 민감한 사람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으로 권고하고 있는 HBMⅡ 15 ㎍/ℓ을 초과하는 사람은 16명(16%)이었다. 이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혈중 수은 농도는 연령이 증가 할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증가(P<0.05) 하였으나 영천시 거주기간에 따른 혈중 수은 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치과아말감과 한약 복용은 혈중 수은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해성 어류인 상어고기를 섭취하는 군에서 혈중 수은 농도가 섭취하지 않는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1), 상어고기 섭취량이 상위 50%인 군에서 하위 50%군에 비해 혈중 수은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1). 영천지역에서는 상어고기가 필수 제수음식임으로 제사를 지내는 사람일수록 혈중 수은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영천지역 주민들의 혈중 수은 농도에 상어고기 섭취량이 가장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어고기가 수은의 주된 인체 유입경로로 추정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상어고기 섭취가 혈중 수은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수은에 민감하고 취약집단인 임산부 및 수유부, 가임기여성, 소아 등에 심해성 포식어종의 섭취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마련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o evaluate the effect of fish consumption on blood mercury cont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64 staffs of a general hospital in Yeongcheon-city Gyeongsangbuk-Do and their 37 family members from May 1 to 31, 2009 ab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ancestral rites and shark meat, the characteristics concerning objects' exposure to mercury, the average frequency of food intake and average quantity of food intake per time for the last year. Total blood mercury content was measured using gold amalgam method. The geometric average of blood mercury content was 8.19 ㎍/ℓ that is higher than the geometric average of blood mercury content 4.34 ㎍/ℓ(2005) and 3.80 ㎍/ℓ(2007) in 'survey of reality of harmful material among national body sample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7), the ground value so far reported. There were 63 people(63%) who exceeded 5.8 ㎍/ℓ, the reference level of blood mercury in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EPA) in the USA, 74 people(74%) who exceeded HBMⅠ 5.0 ㎍/ℓ that Committee of Body Monitoring in Germany(CMBM) judged as having almost no side effect and 16 people(16%) who exceeded HBMⅡ 15 ㎍/ℓ recommended as the level that can have an effect on a sensitive person. In this researc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lood mercury content of subjec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P<0.05) as age was increased and academic background was decreased, but the blood mercury content according to the residing period in Yeongcheon-cit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dental amalgam and herbal medicine intake did not have an effect on blood mercury content. The group that takes the meat of shark, a deep-sea fish,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lood mercury content than the group that does not take(p<0.01) and the upper 50% group concerning shark meat intak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lood mercury content than the lower 50% group(p<0.01). In Yeongcheon area where shark meat is an essential sacrificial food, person who performs the ancestral rite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blood mercury content. It was found out that the quantity of shark meat intake contributed the most to the blood mercury content of residents in Yeongcheon area. Consequently, it is estimated that shark meat is a main passage of mercury inflow into human body.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 of fish consumption on blood mercury content. Especially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preparing an active countermeasure against the intake of deep-sea predatory fish by pregnant women and nursing mothers, childbearing aged women and young children, the groups especially sensitive and vulnerable to mercury.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 도시를 주제로 한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황현숙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839

        1960년 미국과 프랑스에서 시작된 포스트모더니즘은 70년대와 80년대를 거치면서 세계적으로 널리 일반화되었다.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에는 이성을 도구로 합리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모더니즘이 주된 흐름을 구성하고 있었으나 두 번에 걸친 세계대전을 통한 참혹한 살상의 경험 그리고 대중적인 지지를 받는 인사들의 암살이나 개발에 따른 환경의 무분별한 급속한 파고, 환경 파괴에 기인하는 구지적인 기아의 발생 등 개인적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혼돈과 혼란, 충격이 누적되면서 인류는 기존의 전통적인 가치를 부정하기 시작했으며 그러한 반동으로 탄생한 것이 포스트모더니즘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의 역사적인 기원이나 그것의 정의에는 많은 이론과 의견이 있으나 중요한 것은 소위 포스트모더니즘 적인 현상이 알게 모르게 우리 사회에 나타나고 있으며 초기에는 다소 어색하고 생경한 느낌을 갖던 그런 현상들이 이제는 그리 큰 화제가 되지도 않으면서 자연스럽게 우리 사회의 한 문화 형태로 자리잡았다는 점이다. 따라서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고 그것에 기인한 제반 사회현상을 살펴보는 것은 바로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한두마디로 정의할 수 없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의 전반적인 특성은 기존의 모더니즘에 대한 반발로부터 찾아볼 수 있으며 탈 합리, 탈 형식, 탈 권위, 탈 논리 등 기존의 가치로부터 탈피하고자 하는, 현존의 질서와 가치를 부정하고 파괴하는 문화 형태로 나타난다. 원래 포스트모더니즘의 시작은 건축으로부터 시작되었으나 이제는 문학, 연극, 영화, 음악, 미술을 비롯한 특정 전문가 영역은 물론 대중의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텔레비전이나 비디오와 같은 영상 매체에서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텔레비전이나 잡지와 같은 매스미디어에서의 포스트모더니티의 등장은 그런 매체의 선도적인 역할이 있었다기보다는 사회의 전반적인 현상에 대한 반영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런 관점에서 보면 우리 사회의 포스트모더니티는 별도로 구분할 필요도 없이 생활 그 자체를 형성해가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부지불식간에 우리 생활의 일부가 되어 버린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 탄생의 역사적 배경과 관련 학자들의 견해를 연구하고 기존의 모더니즘과의 차별성, 포스트모더니즘 자체의 특성을 다각도로 정의할 것이다. 또한 현실에 반영된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프리즘을 통해 우리 사회의 새로운 문화 형식을 이해하기 위해 대중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TV 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을 살펴보고 뮤직 비디오와 영향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을 살펴볼 것이다. 작품 진행에 있어서는 20세기 후반 즉, 고도의 테크놀러지가 주도하는 현대의 포스트모더니티를 “도시”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애니메이션 화하여 작품으로 구성하였다. 이 작품에서 주제로 삼은 “도시”는 “Technology City"라는 환경적인 파트와 그 환경을 인식하는 주체로서의 “나”를 표현한 파트로 구성된다. 이 두 프로젝트를 통해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와 포스트모더니티를 가진 인간을 압축적으로 표현하고자 했다. 이런 연구를 통해 우리의 시간과 공간을 재 의미함으로써 현재 우리가 역사의 어느 시점쯤에 와 있는가를 재인식할 수 있으며 특히 급변하는 시대 환경 속에 흔히 나타나는 식구 계층간의 심각한 갈등과 몰이해의 봉합 점을 찾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ostmodernism has been begun in US and France from 1960 and generalized worldwide through the 70´s and the 80´s. Before the postmodern- ism, the modernism was the main stream that pursues rationality and efficiency with reason. But personally insuperable chaos, confusion and collision - the experience of the miserable killing and wounding during the two times of World War, the assassination of the leading people who were supported by the public, the rapid destruction of the environment, the local starvation caused by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 have been accumulated, human beings has come to deny the traditional merit. The postmodernism is the counteraction against of those. There are lots of theories and opinions of the definition of the postmodernism and its historical origin, but the importance is the fact that the postmodern phenomena are happened to our society and considered a sort of cultural form at present that were regarded odd or strange at first. So to understand postmodernism and to study the general social phenomena owing to the postmodernism could give us chance of looking-back ourselves who live the 21th century.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postmodernism in one or two words, but its general characteristic can be found as the counteraction against the modernism and tends to be appear as the cultural form pursues irrational, informal, non-authorable and illogical The origin of the postmodernism was the architecture, yet now can be found easily on TV or video that influence the life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the special fields like literature, act, movie, music and art. The appearance of the postmodernity on TV or magazines are the reflection against the general social phenomena rather than their leading role. On this point of view, postmodernism is said to be building up the life itself so it doesn´t need to be classified. So this paper, with the postmodernism that has been part of our life unconsciously, is going to show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opinions of the associated scholars and define its characters multilaterally. This paper is also going to handle the postmodernism appears on TV advertisings that the public accesses easily and the postmodernism on music vedios and movies. And the processing of the work shows the present postmodernity by the animation with the subject of ‘City’. The ‘City’ of this work is consist of the two part. -‘Technology City’ is the environmental part and "I" the chief object who recognize the environment - With this two project, the paper intends to describe the postmodern society and the human who possesses the postmodernity. With this study, we could re-recognize where we are in history now through the remeaning of the time and the space. Especially, it also can seek the coordination between the new generation and the old that oftenly appears during the rapidly changing era.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시간 표현 사용 양상 연구 : 어휘적 실현을 중심으로

        황현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국인 학습자의 시간 표현 사용 양상을 살펴 한국어의 시간 표현 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을 돕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시간 표현은 초급 단계에서 학습해야 하는 내용으로 문법적인 내용뿐만 아니라 시간명사와 시간부사도 시간을 표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시간부사와 시간명사에 대한 연구는 품사론적 연구가 진행되었을 뿐 시간 표현 어휘라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인 관점에서 시간명사와 시간부사를 통해 어휘적으로 시간 표현이 실현되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중국인 학습자들이 어떤 시간 표현 어휘를 학습하였으며, 어느 정도나 제대로 알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우선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시간 표현 어휘 목록을 추출하였고, 이 목록을 바탕으로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시간 표현 어휘와 문법적 제약이 있는 시간 표현 어휘 항목을 선정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또한 실제로 학습자들이 작성한 쓰기 자료를 가지고 시간 표현 어휘의 사용 빈도와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오류를 나타내는 시간 표현 어휘와 그 원인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시간부사를 시간명사에 비해 적게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지만 오류를 일으킨 어휘는 시간부사 시간명사보다 많았다. 학습자들이 오류를 일으킨 어휘들은 시간명사 ‘지금, 이제, 현재, 때, 동안, 처음’과 시간부사 ‘또, 다시, 항상, 자주, 자꾸, 계속, 지금, 이제, 현재, 벌써, 이미’로 나타났다. 오류 원인은 의미를 변별하지 못하는 경우와 문법적 제약을 모르는 경우,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 불일치, 사용상의 차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to know how they use the expressions of time in order to provide materials necessary in teaching how to express time in Korean and also help learners better acquire Korean. Time expressions are needed to be learned in the beginners’ level, and they have to learn not only grammatical contents but temporal nouns as well as temporal adverbs which also function as time expressions. However, researches on temporal adverbs and temporal nouns have only dealt with the theory of parts of speech, but they have not been conducted from an integrated viewpoint with regard to words for expressing tim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from an integrated point of view how time expressions are realized lexically through temporal nouns as well as temporal adverbs. First of all, to figure out what words to express time Chinese learners have learned and to what degree they know about them properly, the study analyzes Korean textbooks and extracts the list of words to express time. And based on that list, it selects the time-expressing words with similar meaning and also those having grammatical restrictions and tested Chinese learners with them. Next, with the materials actually written by the learners, the study analyzes the frequencies and aspects of using time-expressing words and examines the words that the learners are making errors with in expressing time and the reasons for tha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earners tend to use temporal adverbs less than temporal nouns. However, they show more errors in using temporal adverbs than temporal nouns. The words that the learners make errors with include temporal nouns like ‘jigeum, ije, hyeonje, ddae, dongan, or cheoeum’ and temporal adverbs like ‘ddo, dasi, hangsang, jaju, jaggu, jigeum, ije, hyeonje, beolsseo, or imi’.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 errors, for example, not being able to distinguish their meanings, not knowing their grammatical restrictions, discordance or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황현숙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미숙아를 출산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어머니와 아동 특성에 따른 양육스트레스 영향요인 확인을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2년 11월 1일부터 2012년 11월 20일까지 서울소재 Y대학병원에서 미숙아로 태어나 신생아집중치료실 치료를 받고 퇴원한 교정연령 4개월 이상 12개월 이하 영아 어머니 36명을 대상으로 최종분석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로 연구자의 문헌 고찰을 통해 개발된 어머니와 아동의 일반적 특성, 아동의 발달 상태를 평가하기위한 K-ASQ(Ages and Stages and Questionnaires),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측정을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PSI를 김동희(1997)가 수정 보완한 도구를 이용하였다. 우울정도 측정을 위해 Beck과 Rush(1967)의 우울척도(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를 한홍무(1986)가 번역한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미숙아 어머니 평균 연령은 34.5세이고 초산이 52.8%, 대학교 졸업 이상 88.9%, 전업주부 55.6%이었다. 종교를 가진 대상자가 50%, 평균 결혼기간은 4.7년 이었다. 월수입 만족도 보통이 61.1%, 주거상태 전세가 55.6%를 차지했으며, 동거 가족수 2~3명이 47.3%이었다. 동거가족과의 관계에서 부부가 83.3%, 건강상태 보통이하가 44.4%, 결혼에 만족한다가 72.2%이었다. 양육조력자로 남편이 72.2%를 차지했으며 양육지원정도 보통이하가 55.6%, 사생활 여유에서 “아니오“가 86.1%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정보지원을 받는지에 대해 ”아니오”라고 대답한 대상자가 86.1%이었으며, 경한 우울상태에 있는 대상자가 41.7%이었다. 아동 평균 교정연령은 7개월 3주 5일, 평균 재태기간 8개월, 평균 출생시 체중 1777gm이었다. 여아 58.3%, 출생순위 첫째 58.3%, 단태아가 80.6% 이었다. 또한 평균재원일수는 53일 이었으며 입원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69.4%이었다. 교정 연령에 따른 현재 체중의 백분위수에서 발육지연을 의심하는 10 Percentile 미만이 전체의 11.1%이었으며, K-ASQ에의한 발달지연 의심아동은 22.2%이었다. 그중 개인-사회성 영역에 있어서의 발달지연의심이 13.9%이었다. 2. 미숙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평균은 175점 만점에 74.639±17.570로 양육스트레스가 있는 수준이었으며, 양육스트레스 하위 영역중 부모 스트레스 영역 32.417±8.580,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영역 21.667±6.928, 부모-자녀 역기능적 상호작용 영역 20.556 ± 6.610 순으로 나타났다. 3. 어머니에게 사생활 여유(t=2.684, p<.05)가 있을때 양육스트레스가 통계적으 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주거상태가 자택(t=-2.288, p<.05)일 경우, 지역사회로 부터 자녀양육에 대한 정보지원을 받은 경우(t=2.885, p<.05) 아동의 까다로운 기질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동의 특성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어머니 우울 정도와 양육스트레스(r=.569, p< .01), 부모 스트레스(r=.669, p< .01),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r=.590, p< .01)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숙아 어머니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어머니 사생활 여유 증가를 위한 대책 마련, 지역사회 정보지원과 우울 정도 감소를 위한 사회적 지지 확보, 아동의 건강관리에 대한 정보제공 및 발달상태 평가를 위한 부모 교육 등의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 가족 결손 성장 서사물 연구

        황현숙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이 논문은 가족 결손하의 미성숙한 아동이 자기정체성을 확립하여 성숙의 세계로 나아가는 과정을 연구한다. 시련과 고통의 문턱을 넘어 자아를 형성하고, 자기 역할을 깨달아 가는 과정에서 인적ㆍ물적 환경이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는 내용이 중심을 이루며 성장의 이야기를 진행으로 하는 소설과 동화를 Ⅲ장과 Ⅳ장에서 각각 연구한다. 먼저 성장 서사물의 개념에 복합되어 있는 교양소설(Bildungsroman)과 입사소설(Initiation story)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이 두 개념을 포함하는 폭 넓은 용어인 성장 서사물의 주인공은 주위세계와 접촉하는 것과 동시에 사회와 갈등을 일으키고, 사회와 화해하며 자신의 길을 찾아 성숙해 간다. Ⅱ장에서는 성장 서사의 특징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주제, 서술, 구조의 세 가지 측면으로 재정리 하고, 구조적 특징을 그레마스가 제시한 여섯 개의 행위항을 바탕으로 하여 J. 꾸르떼의 기호학적 시각으로 제시한 도식을 시작으로 연속적, 탐색적인 서사 진행과정의 모형을 이끌어 내었다. 그리고 성장기에 나타나는 부적응 특징들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Ⅲ장은 소외와 어둠 속의 성장-『새』, 성체험과 내면의 성숙-『눈보라 콘』, 부재와 혼돈 속의 성장-『홍어』를 통하여 가족이 부재한 현실에서 유년의 주인공이 정신적으로 성숙해 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새』에는 과거 속의 ‘나’와 현재의 ‘나’가 병치되고 있다. 13살 소녀 ‘우미’의 기억 속의 일들이 현재의 사건들과 구분되지 않고 병존한다. 『눈보라 콘』의 주인공 용수는 아버지의 부재로 인해 어머니에 대한 성적 동경이 열 살이 넘은 나이에도 이어지고 있는 성장 장애를 겪고 있다. 『홍어』의 주인공 세영은 이성으로서 삼례를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어머니는 세영을 통해 자유로운 존재로 표상되는 삼례를 찾지만 결국 아버지를 찾는 것이 된다. 아버지의 부재의 상황에서 주인공은 어머니와의 거리 좁히기를 간절하게 원하지만 어머니에 대한 욕망 충족은 유예되거나 은폐된다. 세 작품을 분석한 결과 성장 모티프 〈새의 자유〉, 〈길의 발견〉, 〈성숙의 체험〉, 〈아버지 찾기〉, 〈죽음의 인식〉등의 ‘찾는 행위’와 ‘잃어버림’의 원리를 발견하였다. Ⅳ장은 결손의 아픔과 새로운 출발-『너도 하늘말나리야』, 재혼 가정의 시련과 극복-『마음이 자라는 소리』, 도덕적 정체성의 회복-『자전거 도둑』등의 세 편의 동화를 통하여 가족의 변화 가운데 놓인 유년의 주인공이 자신의 자아를 찾아 정체성을 형성해 가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부모의 이혼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미르, 할머니와 단 둘이 살며 철저히 자신을 규제하는 소희, 엄마의 죽음으로 말문을 닫아버린 바우가 시련의 한 해를 겪고 새로운 출발을 한다. 아버지의 죽음과 엄마의 재혼으로 새로운 가족을 이룬 후 방황하는 『마음이 자라는 소리』의 성은이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은 가족회의 이후 새가족을 받아들인다, 야학진학을 꿈꾸며 전기수리공으로 열심히 일하는 『자전거 도둑』의 수남이는 도덕적 판단에 회의를 느끼며 자신을 견제해 줄 아버지에게로 돌아간다. 주인공들은 부적응의 갈등과 불안으로 인하여 자아를 방어하는 기제들로 대처한다. 세 주인공이 새로운 출발을 맞이하는 서술 단락을 프로프의 기능으로 재구성하였다. 재구성의 결과 준비→ 분규→ 귀환의 인지 단위로 정리 할 수 있다. 이는 세 편의 동화가 시련의 과정을 통해 육체적으로 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단련되어 성숙해짐으로써 존재적 전이(transformation)를 경험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결국 자아의 발전과 확장은 필연적으로 자기 해체의 경험을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이는 통과제의 절차를 기층에 깔고 있는 이야기로 입사식담(initiation story)의 형태를 갖춘 입사동화라 할 수 있다. 소설과 동화 여섯 작품을 분석한 결과 모두 일인칭 화자인 ‘나’에 의해 서술되고 있다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소설과 동화에 있어 조력자의 개입에는 차이를 보인다. 소설은 간접적이고 소극적으로 동화는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전자는 인식적 차원의 성장 소설 모형으로 정리할 수 있고, 후자는 실천적 차원의 성장 소설 모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미성숙한 어린아이가 주인공인 소설과 동화의 차이점을 여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주인공의 차이점, 둘째, 삶의 초점, 셋째, 주변 인물의 차이점, 넷째, 언어의 차이, 다섯째, 독자의 차이, 여섯째, 미학적 형성과 효용성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 문학 세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세계의 그림자라고 할 수 있다. 유년기를 거치면서 겪는 육체적ㆍ정신적 성숙의 과정은 성인사회로 통합되거나, 사회의 구성원과 조화를 이루는 데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