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신여성이 경험하는 목회적 삶에 대한 연구

        김미성 백석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1839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독신 여성목회자가 경험하는 삶의 현상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드러내고자하였다. 참여자는 18년에서 25년 동안 목회사역을 해온 만 53세-55세의 은퇴를 앞둔 독신 여성목회자 8명으로 선정되었다. Colaizzi의 분석절차에 따른 원 자료 분석 결과는 126개의 구성의 의미, 45개의 주제 그리고 16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참여자들은 독신 여성목회자로서의 삶을 보람감과 유익으로 고백하며 목회현장에서는 활력적인 동료관계경험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참여자들은 동역자와의 관계에서 갈등되는 상황으로 스트레스를 받아 질병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동료 목회자와의 경쟁적 상황에 힘들어 하였다. 반면에 참여자들은 성도들의 모습에서 삶의 힘을 얻으며 감사하였으나 목회자로서의 정체성에는 회의감을 호소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독신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한편 참여자들은 독신의 자유로움으로 사역에 몰입할 수 있었고 기혼자들과 비교했을 때 더욱 열정적으로 헌신할 수 있었던 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결혼에 대한 욕구가 있었으나 사역에 몰입함으로 결혼 욕구가 희석된 것으로 진술하였다. 참여자들은 설교에 대해서는 부담감과 또한 직능(職能)적 한계를 경험하였고 성도들에게 진솔할 수 없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였다. 즉 이들은 사역자로서 능력 부족의 부담감과 사역의 한계에 갈등하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교회제도에 대해서는 양가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즉 이들은 교회로부터의 여러 가지 복지 혜택과 은퇴 후 최소한의 기본적인 경제생활의 기반에 대한 배려에는 감사하였다. 하지만 남여 성차별과 불합리한 인사․교무․행정제도의 한계에는 갈등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의 관계적 특성은 사역에서는 친밀한 관계보다는 역할중심의 관계를 지향하는 경향이 많았다. 그래서 이들은 교회 외의 친구와는 연락이 단절되었고 목회자들간의 관계 또한 피상적이었다. 참여자들의 여가에 대한 경험은 목회사역을 감당하기 위한 영성회복의 의미였다. 즉 이들은 취미 활동과 친족과의 만남 그리고 영성관리 등으로 일상의 스트레스를 해소하며 목회활동을 재충전하는 기회로 삼았다. 참여자들은 은퇴를 1년에서 3년 정도 앞두고 있기 때문에 은퇴에 대해서는 불안과 기대감이 공존하였다. 또한 참여자들 모두는 독신이기 때문에 자신의 노후 대책을 스스로 준비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노후에 관한 대비가 소극적 이었다. 참여자들은 노후를 친척과 시설에 의존할 생각을 지닌 이들도 있었지만 사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기도 하였다. 또한 노후를 여유롭게 베풀며 살 것을 기대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주로 아버지 보다는 엄마, 형제와 친밀하게 지냈던 것으로 회상하였고 대부분은 보통의 화목한 가족관계였던 것으로 언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독신 여성목회자들과 상담자들 그리고 목회 관련 사역자들에게 독신 여성목회자들의 목회적 삶의 현상을 풍성하게 이해하는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또한 연구의 결과는 상담학 및 실천 신학분야에서 독신 여성목회자들을 위한 장기적이고도 구체적인 대안 준비의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항공사의 영유아 기내서비스 품질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이미지, 서비스 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성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를 이용하는 만 24개월 미만 영유아 승객과 그들을 동반하는 가족 승객들에게 제공되는 기내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영유아 서비스 차원을 설계하고 서비스가 지향할 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24개월 미만 영유아를 동반하여 국내·외 대형 항공사 또는 저가 항공사를 한 번 이상 이용해 본 내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2016년 3월 12일부터 2월 20일 총 일주일간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는 SNS와 육아 카페를 통하여 온라인에서 진행되었으며 172개의 설문을 수집하여 결측치와 응답이 부실한 자료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159개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의 영유아 기내 서비스 품질 차원과 고객 충성도 간의 관계에서는 영유아를 대하는 승무원의 태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유아 편의시설 및 안전장비, 영유아 맞춤 서비스는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이미지와 서비스 가치는 고객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 첫째, 영유아 기내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항공사 브랜드 이미지와 서비스 가치 그리고 고객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는 영유아 기내 서비스 품질의 중요성을 환기하고 영유아 고객을 위한 기내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관리를 우선순위에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둘째, 영유아를 위한 기내 서비스 품질 차원 중 영유아를 대하는 승무원의 태도는 모든 변수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인적 서비스를 통한 고객 만족을 이루기 위해서는 항공사의 중요한 인적 자원인 기내 승무원의 영유아 기내 서비스에 대한 업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체계화된 교육 매뉴얼의 개발과 관리가 요구된다. 셋째, 영유아를 위한 기내 서비스 품질 차원중 유형적인 서비스 요소는 브랜드 이미지와 서비스 가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때만 고객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와 서비스 가치에 대한 만족을 통하여 고객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적인 마케팅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넷째, 영유아 기내 서비스 품질의 경쟁력을 높이고 마케팅적인 차원으로 접근할 경우 항공사는 영유아 동반 고객으로 하여금 높은 브랜드 이미지 및 서비스 가치를 높여서 영유아를 동반하여 항공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고객들에게 긍정적인 구전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는 영유아와 영유아를 동반하여 항공사를 이용하는 고객들을 위한 기내 서비스 개발에 기여하는 데에 의미가 있으며 영유아 관련 서비스 전략과 항공사의 경쟁력 강화 측면에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의 매개효과

        김미성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과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이 어떠한 매개구조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을 대상으로 부모화 경험, 사회불안, 사회부과 완벽주의, 정서표현 양가성 수준 측정을 위한 온라인 설문지를 배포하여 432명의 설문결과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5와 SPSS PROCESS Macro v4.0을 활용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진행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과 부트스트랩 검증으로 서로 간의 매개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매개해여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둘째,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은 정서표현 양가성도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부모화 경험이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정서표현 양가성을 개별적 및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사회불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근거로 부모화 경험이 있는 대학생이 사회불안을 호소할 경우 그들의 사회부과 완벽주의 성향에 의한 긴장을 완화하고 원활한 정서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향으로 상담적 개입을 한다면 사회불안을 경감시키고 보다 유연하게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 분석

        김미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Despite the overall reduction in the recent unemployment rate, the ratio of university graduates in specific has shown a gradual increase, emerging as a major social concern. Accordingly, much effort has been put forth not only by the students themselves but at the school and government level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handling the unemployment crisis of university graduates still remains a difficult challenge. In addition, conflicting research results on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job finding efforts fail to provide the students, university, and the government with helpful information for preparing for and supporting the employment. Concerning the current problem of university graduate's unemployment,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finding performance of university graduates. Based on the review and examination on the prior studies, this study first defined two criteria of employment performance;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average monthly wage. Then the factors affecting the employment performance were identified and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gender, university characteristics, university life, a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University characteristics include the school ranking -provided by Joongang daily newspaper in 2012- and location, and university life features include student GPA, double major or minor study, and field of the major. Career preparation features consist of students' experiences of acquiring licenses or certificates, studying abroad for English, getting a career education, having employment consultation, joining career preparation studies, and training for job interviews. This research established four subjectiv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does the gender influence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Second, does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affect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Third, what influence does the university life features have on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Fourth, what influence does the job preparation activity have on the employment of general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The 1st(2007) to the 4th(2010) year data of the "Young Panel" -condu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organization- were combined to verify for the addressed research questions above. Also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homogeneous group of university graduat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only 4-year-course university graduates, and 533 employed people of all participants became the final subjects of study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cross tabu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was able to identify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the gender does not influence the employment of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but it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average monthly wage. Second, in terms of university characteristics, school rank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both the employment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whereas the location does not have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either employment or wage. Third, among the university life features, having double major or minor has negative effect on both the employment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Regarding the field of major, studying in engineering proved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employment of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Other majors and student GPA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 to either employment performance. Fourth, among the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acquisition of licences or certificates showed positive influence on both employment of full time position at major companies, and the average monthly wage. Having employment consulta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employment, and career preparation studies positively affected the average monthly wage. Other activitie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Based on the study results, I would like to make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the employment performance at the student,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 First, at the individual level,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acquiring licenses or certificates, joining career preparation studies, and getting career consultation which prov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ment. Especially, as abroad language study or private career education shows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students are suggested not to rely too much on those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Second, universities must exert every effort to restore the currently fallen trust of society and corporations on the quality the university education by developing curricula that embraces the social and corporate demands, implementing fair evaluation and thereby achieving the high qual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education. Third, at the corporate and governmental level, they must acknowledge the existing gender discrimination on female in the labor market, and try to secure the equal opportunity for both genders. Also in order for the corporations to do away with its practice of hiring people according to the ranking of the university, and evaluate on the individual's career capability, an institutional measures must be appli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took the empirical data to analyze the cause of unemployment of university graduates. The study also synthetically examined the career acquiring performance of the university graduate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employment performance, which enabled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influential factors of employment. However, the study used only primary sources and thus made it unable to set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intention. Another limitation is that the study did not entail the quality of education in its consideration on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s, hence its effect on the employment performance.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erform a follow up study in which more qualitative aspects of university education was added, such as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grade evaluation distribution, status of education procedure in connection with industry, and the operation of field experience training. 최근 전반적인 실업률 감소에도 불구하고 대학 졸업자의 실업률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며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은 국가적 차원의 막대한 교육비용 손실을 초래하고, 경제 활동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적 차원의 자신감 상실, 사회부적응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대학생 개인은 물론이고 대학과 정부차원에서도 대학 졸업자의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은 쉽게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취업준비노력의 효과에 대해서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나타나면서, 대학생과 대학 및 정부는 취업준비 및 지원을 위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인하여 본 연구는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취업성과요인을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성별, 대학특성군, 대학생활군, 취업준비활동군으로 나누었다. 대학특성군에는 2012년 중앙일보 대학평가 종합순위를 기준으로 한 대학순위와 대학소재지가 포함되었으며, 대학생활군에는 대학학점 평균, 부(복수)전공여부, 전공계열이 포함되었다. 취업준비활동군에는 자격증취득 여부, 해외연수 경험여부, 취업사교육 경험여부, 취업컨설팅 경험여부, 취업스터디 경험여부, 면접훈련 경험여부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성별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대학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학교생활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취업준비활동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한 청년패널 2007(YP 2007)의 1차년도(2007년)부터 4차년도(2010년)까지의 자료를 결합하였으며 가능한 동질적인 대학 졸업자를 대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로 대상을 한정하여 그 중 취업자 533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과 종속변수의 종류에 따라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첫째, 성별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월평균 임금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임금을 받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특성군에서는 대학순위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학소재지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활군에서는 부(복수)전공 이수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 모두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공계열에서는 공학계열 전공 여부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외 전공계열과 대학학점 평균은 두 취업성과 모두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활동군에서 자격증취득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와 월평균 임금 모두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컨설팅 경험은 대기업 정규직 취업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취업스터디 경험은 월평균 임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그 외 취업준비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없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차원과 대학, 정부차원에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차원에서는 취업준비활동 중에서 취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격증 취득, 취업스터디, 취업컨설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특히, 해외연수나 취업사교육은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무분별한 해외연수나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둘째, 대학차원에서는 대학교육에 대한 사회와 기업의 낮아진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 사회와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는 커리큘럼 개발, 공정한 평가 등을 통해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이루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정부와 기업차원에서는 여전히 존재하는 여성에 대한 노동시장의 차별에 대해서 각성하고 양성 평등한 선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며, 대학서열화에 따른 기업의 고용 관행에서 벗어나 역량중심의 채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자료를 사용하여 대학 졸업자의 취업난에 대한 원인분석과 아울러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대해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1차 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표본의 한계가 있었으며 연구자의 의도에 따라 변수를 설정할 수 없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대학특성군에서 대학순위와 대학소재지만을 고려하여 대학교육의 질적 측면의 효과를 반영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교원 1인당 학생 수, 성적평가 분포, 산업체 연계 교육과정 개설현황, 현장실습 운영현황 등 대학교육의 질적 측면에 대한 요인을 추가하여 후속연구를 진행하여야 할 것이다.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실태 및 교사의 인식조사

        김미성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자료 분석을 통하여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으며 유아가 바른 경제개념을 갖고 경제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기르기 위해 유아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관심이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연간계획안이 미비한 실정이지만 가게놀이, 바자회 등의 행사를 통해 유아경제교육을 실시하는 등 유아교육 현장에서 체험을 통한 다양한 경제교육을 실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연간계획안을 통하여 계획적인 유아경제활동이 이루어진다면 더욱 효과적인 유아경제교육이 될 것이다. 유아경제교육의 목표를 살펴보면 경제와 관련된 기본적인 생활습관의 형성, 경제와 관련된 기본개념의 습득, 일상생활에서 경제문제의 합리적인 의사결정능력 배양, 경제현상과 문제에 대한 올바른 이해,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민주시민 양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경제교육의 담당자로는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이 연계하여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내용이나 방법의 경험 기회를 살펴보면 배운 적이 없음이 75명(38.1%)로 나타난 것을 보면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이 시급하게 이뤄져야 함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정보습득 방법을 살펴보면 교육과학기술부 지도 자료집을 활용하는 경우가 64명(32.5%)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앞으로 다양한 교재, 자료의 연구, 개발이 필요하겠다.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면 필요하다가 102명(51.8%)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경제교육 연수 시 참석하겠다는 의견이 131명으로 경제교육에 대한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경제교육을 실시할 때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사의 지식이나 정보부족 71명(36.0%)로 전문가의 협조와 지도서 및 교재지원에 대한 요구가 큰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이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근무하는 교사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전국적인 결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조금 더 광범위한 지역의 대상을 포함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유아경제교육의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대한 연구이므로 이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경제교육에 대한 다양한 실험연구와 프로그램의 개발, 유아경제교육의 효과에 대하여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 간호사의 교대근무가 수면의 질, 주간졸음 및 간호업무 중 인지한 오류 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미성 경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shift work on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and perceived errors in nursing work among hospital nurses.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209 hospital nurses working in two general hospital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in May 2013. Sleep quality was measured with Korea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 daytime sleepiness with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and perceived errors in past 6 months in nursing work with the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Results: The sleep quality was significantly worse in rotating shift nurses than fixed day nurses. However, the odds ratio (OR) of 1.92 [95% confidence interval(CI): 0.58-6.37] adjusted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health behaviors, and working environment in logistic regression was not significa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aytime sleepiness between rotating shift nurses and fixed day nurses in both simple and multivariabl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ly more perceived errors in rotating shift nurses than fixed day nurses. However, the OR of 1.26 (95% CI: 0.38-4.21) adjusted for sociodemographic variables, health behaviors, working environment,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in logistic regression was not significant. Depression (OR=3.31, 95% CI: 1.11-9.84) and daytime sleepiness(OR=1.18, 95% CI: 1.07-1.30)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ceived errors in logistic regressio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shift work among hospital nurses had no independent influence of sleep quality, daytime sleepiness, and perceived errors. However, daytime sleepiness had independent influence of perceived errors. More studies are warranted to get more reliable conclusion. Key words: Rotating shift nurses, Nursing work, Clinical nurses, PSQI-K

      • 재문화화를 통한 문화정체성 형성 내러티브 탐구 : 재 이탈리아 한국계 입양인을 중심으로

        김미성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이탈리아 내 한국계 입양인들이 성인이 된 이후 한국문화를 학습하고 경험하는 재문화화한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문화정체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현재 청소년으로 성장 중이거나 향후 이탈리아에 입양될 한국계 입양인들이 한국인으로서의 문화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지원과 교육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landinin과 Connelly (2000)이 제시한 다섯 단계의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연구 절차를 계획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질적 면담으로, 이탈리아에 거주하는 한국계 성인 입양인 여섯 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7년 3월과 4월 사이에 일대일 질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면담은 녹음 후 빠짐없이 전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5단계 순환 과정을 따랐다. 전체 자료를 내용에 따라 단락별로 구분한 뒤 각 단락의 내용을 압축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코드를 부여하는 1차 코딩을 진행한 후, 본문을 삭제하고 코드만 남긴 다음에 다시 한 번 비슷한 내용끼리 분류하고 재배열하는 2차 코딩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 분석 과정에서 총 5개 주제와 20개의 범주를 확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는 재문화화 과정 이전과 재문화화 과정, 재문화화 과정 이후 3단계로 구분하였다. 첫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전 ‘입양 이후 성장 과정 중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은 ‘입양인으로서의 나’, ‘한국인으로서의 나’ 그리고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본인이 입양되었다는 사실과 한국인이라는 사실을 자연스럽게 알았으며, 한국인이라는 이유로 차별과 놀림을 당했다고 한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어릴 때 한국문화를 접한 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두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전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 동기’는 ‘뿌리 찾기’,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영향’ 그리고 ‘정부 및 교육 기관의 지원’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뿌리 찾기는 친부모 찾기, 떠나 온 나라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 한국계 이탈리아인들과의 만남 시도 등으로 구분되었으며, 친구 또는 주변 사람의 영향으로는 우연히 만난 한국인, 학교에서 만난 한국인, 입양인 친구의 권유, 교포 소녀와의 만남으로 구분되었다. 정부 및 교육 기관의 지원 범주는 무료 고국 방문 프로그램 이용, 국내 대학 한국어 연수 시 입양인 학비 감면, 이탈리아 현지 한국대사관의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중 ‘이탈리아 내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은 ‘이탈리아 내 한국인들과의 교류’, ‘이탈리아 내 한국계 입양인들과의 교류’, ‘이탈리아 내에서 경험한 한국문화’ 의 세 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한국인들과 있으면 편안함을 느낀다고 하였다. 또한 입양인들과 같이 있으면 갈등과 긴장감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결국 ‘입양’이라는 경험을 공유하는 가족과 같은 관계라고 하였다. 이탈리아에서 경험한 한국문화는 한국식당 가기, 한국드라마, 영화 보기, 음악 듣기 등이었으며 한국의 정치, 경제, 시사 문제에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중 ‘한국에서의 한국문화 학습 또는 경험’은 ‘친숙한 느낌’, ‘일상생활 경험’, ‘학교생활 경험’, ‘사회 문화적 어려움’, 마지막으로 ‘입양인에 대한 한국인의 의식 및 태도’의 5가지 범주로 구분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에서의 생활 중 한국문화와 한국인들에게 좋은 인상을 받았으며 친숙한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사회 문화적 차이로 어려움을 겪기도 하였으며 한국의 입양문화에 대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였다. 다섯 번째 주제인 재문화화 과정 이후 ‘개인적 변화와 문화정체성’ 은 ‘한국인에 대한 이해’, ‘개인적 변화’, ‘문화정체성’, ‘입양에 대한 생각’, ‘한국문화 교육 필요성 유∙무에 대한 의견’, 그리고 ‘앞으로의 계획’의 5가지 범주로 나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게 된 것에 대해 만족하며, 자신감과 자기에 대한 더 확신하게 되었다는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고 하였다. 문화정체성은 Baden 외(2012)가 제시한 5가지 문화정체성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이중문화정체성과 복합문화정체성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입양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인 의견이었는데 반대하는 주된 이유는 문화 차이와 인종 차별이었다. 한국문화와 한국어 교육에 대해서도 모두 필요하다고 하였다. 앞으로의 계획은 한국과 관련된 일을 하거나 입양인들을 돕는 일, 그리고 아이와 함께 한국에 가고 싶다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탈리아의 한국계 입양인들의 문화정체성 형성을 위한 지원을 위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먼저, 이탈리아 현지에서는 한국대사관의 주도 하에 이탈리아인 양부모들과 자녀에게 한국인 사회와의 교류 기회를 제공할 것, 이탈리아 입양기관에 한국문화와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는 전문 교사를 파견, 지원 할 것을 제안하였다. 한국 내에서 한국정부의 지원으로는 해외입양인들을 위한 1:1 상담 지원, 다양한 문화 교육·교류 프로그램 제공, 장학금 혜택과 숙소지원을 제안하였다. 또한, 양부모와 아이를 위한 한국문화 교재 개발이 절실하며 교재에 포함되어야 할 주제는 다름에 대한 가치, 자신의 입양 배경, 친부모 이해 등 정체성 탐구에 도움을 되는 주제들이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입양인들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가 필요하며 입양인들의 문화정체성을 있는 그대로 존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ltural identity established by reculturation of Korean Italian adoptees after adulthood. The study will help proposing education plans and support programs to develop native cultural identity for young adoptees in Italy who were adopted after 2008 and for prospective adoptees from Korea.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existing studies on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nternational Adoptees were examined. Furthemore,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for this study were briefly described. In chapter 2, the main ideas which com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and methodology were examined. To begin with, cultural identity, reculturation, and relevant theories were explored. After that, the concept and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one of several methods used in a qualitative research, were discussed. In chapter 3, the procedure and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data analysis method of this study were explained. The procedure of this research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narrative inquiry procedure in five stages by Clandinin & Connelly (2000). The participants included six adult Korean Italian adoptees.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were performed three times per person between March and April 2017.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coded for the analysis process. In chapter 4,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in chapter 3 were described. The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recuturation. The first stage (before reculturation) was categorized into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after adoption” and “motivation to study or experience the Korean culture”, and the second stage (during reculturation) into “study or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in Italy” and “study or experience of the Korean culture in Korea”, and the third stage (after reculturation) into “individual development and cultural identity after studying and experiencing the Korean culture”, that formed total five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stages. Each subject, again, was classified into three to four categories. The researcher examined in detail the significations of each experience through the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stages and subjects. Furthermore, the course of support programs and education plans to develop the native cultural identity of the Korean Italian adoptees was suggest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talian adoptees, and in that the study suggested a support program and an education plan required to develop the birth cultural identity of Korean Italian adoptees an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 COVID-19시대의 지각된 사회적 위험과 스트레스가 화장품 신소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 -보상소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성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소비는 문화적 현상이자 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로 금전적으로 환원될 수 없는 상징적 가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현대인들은 소비를 통해 자신들의 개성이나 사회적 지위를 보여줄 수 있고 자신이 갖고 있던 욕망이나 꿈을 실현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COVID-19의 장기화로 인한 사회적 위험요소와 불안한 심리에 대한 이해, 개인을 둘러싼 사회구조 및 사회 심리적 요인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소비행위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20-30대 여성들의 소비심리와 새로운 소비 트렌드와의 연결점을 찾아보고 중⋅장기적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0년 12월 10일부터 12월 30일까지이며, 온라인 전문패널과 네이버 설문을 통해 총 540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20-30대 성인 여성이 지각하고 있는 사회적 위험요인이 경제적 위험, 심리적 위험, 인간 관계적 위험, 사회·환경적 위험, 신체적 위험의 5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사회·환경적 위험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 신소비 행동 유형은 명품 소비, 녹색 소비, 공동구매 소비, 한정판매 소비, 작은사치 소비의 5 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작은사치 소비 행동유형의 평균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위험과 화장품 신소비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경제적 위험은 녹색 소비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였고, 심리적 위험은 명품소비, 작은사치 소비, 한정판매 소비에서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인간 관계적 위험은 명품 소비, 한정판매 소비, 공동구매 소비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였고 신체적 위험은 모든 신소비 행동유형에 유의미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사회·환경적 위험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스트레스와 화장품 신소비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스트레스가 명품소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작은사치 소비, 공동구매 소비, 한정판매 소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녹색 소비와는 영향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다섯째, 사회적 위험과 보상소비와의 관계에서는 인간 관계적 위험과 심리적 위험은 부정적 보상소비를 증가시키고 사회·환경적 위험은 부정적 보상소비를 감소시키는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위험과 신체적 위험은 긍정적 보상소비와 유의한 영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여섯째, 스트레스와 보상소비와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상대적인 영향력은 부정적 보상소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부정적 보상소비와 화장품 신소비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한정판매 소비, 명품 소비, 작은사치 소비, 공동구매 소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녹색 소비에서는 영향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긍정적 보상소비와의 관계에서는 작은사치 소비, 명품 소비, 녹색 소비, 한정판매 소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였다. 공동구매 소비에서는 영향 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여덟째, 사회적 위험, 스트레스와 화장품 신소비 행동과의 관계에 있어서 보상소비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경제적 위험, 심리적 위험, 인간 관계적 위험요인과 스트레스에서만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 활동은 심리적 위협을 피하기 위한 도구로써 사용되기도 하며,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되기도 함이 확인되었다. 특히, 2030 세대는 오프라인 활동 제한으로 온라인에 더욱 몰입해 있는 상황이며, SNS 활동을 활발하게 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 시대의 소비행동은 단순히 물질주의나 쾌락적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내재 되어 있는 다양한 불안 심리와 이를 해결하고 정서적 안정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소비 행동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공동구매 채널을 확대의 필요성과 셀프 뷰티족을 겨냥한 고급화 전략, 그리고 무해성, 친환경, 녹색 소비가 인류 전체의 관심사가 되었다는 점을 고려한 화장품 기업의 브랜드 신뢰, 아이덴터티 구축에 이를 적용하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사료된다. Consumption is a cultural phenomenon and acts in social relationships that reveal symbolic values that cannot be returned financially. Modern people can show their individuality or social status through consumption and realize their desires or dream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consumers' understanding of social risks and anxious psychology due to prolonged COVID-19, the social structure surrounding individuals and consumption behavior that is very closely related to sociopsychological factors. In addition,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and empirical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a link between consumer sentiment and new consumption trends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in the cosmetics industry during the post-corona era.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identify research problems, and a total of 540 people were surveyed. The main verific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social risk factors perceived by adult women in their 20s and 30s were five factors: economic risk, psychological risk, human relational risk, social and environmental risk, and physical risk. Among them, the average of social and environmental risks was the highest. Second,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for new consumption types of cosmetics: luxury consumption, green consumption, joint purchase consumption, limited sales consumption, and small luxury consumption, with the highest average of small luxury consumption behavior types. Third, the relationship of social risk's influence on cosmetic new consumption behavior showed that economic risk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green consump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risk had a significant impact on luxury consumption small luxury consumption, and limited sales consumption. In the case of physical risk, a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has been shown for all new consumption behavior types. Human relational risk has shown significant impact on luxury consumption, limited-sale consumption and co-purchase consumption. Fourth, the impact of stress on the behavior of new consumption of cosmetics showed that stress had the highest impact on luxury consumption followed by small luxury consumption joint purchase consumption and limited sales consumption. The impact of green consumption has not been identified. Fifth, social and psychological risks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compensation consumption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risks were shown to be influential factors in reducing nega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Physical risk has been shown to be a factor in reducing posi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Sixth, the impact of stress on compensation consumption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nega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and posi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and relative influence showed high nega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Seven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nsation consumption and cosmetics consumption showed that nega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had the highest impact on limited sales consumption followed by luxury consumption, small luxury consumption and joint purchase consumption. No impact relationship has been identified in green consumption. Positive compensation consumption showed the highest influence on small luxury consumption followed by luxury consumption, green consumption and limited sales consumption. The impact relationship has not been identified in joint purchase consumption. Eighth, the mediating effects of compensation consump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risk, stress and cosmetic new consumption behavior were found only in economic risk, psychological risk, human relational risk factors and stress. Through this study consumption activities are sometimes used as a tool to avoid psychological threats and they are also a means of communication to express one's feelings and thoughts. In particular the 2030 generation is characterized by active SNS activities and is currently more immersed in online due to restrictions on offline activities. The types of consumption in this era are not simply for materialism or hedonic purposes but for various inherent anxiety psychologies and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m and finding emotional stability. It is also worth considering the need to expand joint purchase channels in the cosmetics industry advanced strategies aimed at self-beauty people and the brand trust of cosmetics companies and the establishment of items considering that harmlessness, affinity and green consumption have become human interests.

      • 조음치료적 접근을 통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김미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program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was developed. Subject for the study is a foreigner who is studying Korean through foreign language, so six Chinese students are selected. They are under 35 years old and have been living in Korea over 5 years and their Korean language skill is above mid level of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Six Chinese women are divided into two groups randomly. Experimental group had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and controlled group maintained their existing Korean training. Experimental group had a 40 minutes of training during 10 weeks from March 3rd, 2~3 times a week, 18 sessions in total. Pronunciation improvement status is measured by 4 language test ; before training, after 10 sessions of training, right after 18 sessions completed, 10 days after training completion. Test before training and 10 days after training were conducted to both group and checke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 see the improvement of overall language pronunciation, articulation accuracy in word level, articulation accuracy in sentence level, rate of speech intelligibility, and correct response rate of in phonological rules are considered as evaluation standards. As a result of study, all of 3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ho had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showed improvement in articulation accuracy, rate of speech intelligibility , and rate of correct response in phonological rules. T-test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level of group in articulation difference in word level and sentence level, and rate of correct response in phonological rules excluding speech intelligibility. Thus, effectiveness of Korean pronunciation training approached by articulation instruction is confi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