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수진의 작품과 작품론 : 구조를 통한 소설 속 환상의 의미
김수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논문에서는 김수진의 창작단편소설 「맛있는 선택」외 9편과 소설론을 통해 소설의 창작이 구조적으로 이뤄지는 과정과 작품에서 중심이 되는 환상의 의미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다루었다.
제 1형 당뇨병 동물모델에서 single-chain insulin analog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제 1형 당뇨병은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베타세포의 파괴가 림파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일종의 자가면역질환으로 절대적인 인슐린의 결핍현상을 나타낸다. 제 1형 당뇨병의 주된 치료방법으로는 매일 2회 이상의 인슐린 투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생리적 자극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는 인슐린의 요구량을 정확하게 충족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혈당이나 저혈당상태에 방치되기가 쉽다. 특히 장기간 고혈당이 지속되면 여러 기관에 세포상해를 일으켜 만성 합병증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이렇게 외부의존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슐린의 투여가 제 1형 당뇨병의 완벽한 치료법이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다른 한편에서는 제 1형 당뇨병 환자의 체세포에서 유전자 치료에 의해 인슐린 분비능을 회복시키고자 하는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치료시도는 기존의 혈당강하제와 비교할 때 자체적인 인슐린 분비기능 회복이라는 측면에서 보다 근본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되어지며 장기이식보다 더 광범위하게 적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치료법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유전자치료에 있어서 적합한 대상세포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하고 둘째, 기존의 프로인슐린보다 혈당강하능력이 뛰어난 mutant 프로인슐린이나 인슐린이 치료유전자로 사용되어야 하고 셋째, 이러한 치료유전자의 발현과 분비는 혈당농도에 의해 정확하게 조절되어야 하며 넷째, 생체 내에서 치료유전자의 발현이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는 효율적인 유전자전달체계를 이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인슐린에서 인슐린으로의 효소적 전환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생체 내에서 뛰어난 혈당강하능력을 가지는 mutant 프로인슐린 (single-chain insulin analog, SIA)을 개발하여 치료유전자로 사용하였고, 간세포에서 혈당농도의 변화에 따라 SIA의 발현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조절될 수 있도록 간세포 특이적인 L-type pyruvate kinase(LPK) 프로모터와 재조합 adeno-associated virus (rAAV) vector system을 이용하여 유전자치료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스트렙토조토신의 처리에 의해 인위적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당뇨백서모델이나 자가면역반응에 의해 당뇨병이 발증된다고 알려져 있는 non-obese diabetic (NOD) mice 모델에서 SIA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를 통해 장기간 안정적인 혈당의 교정이 가능하였으며, 췌장에서 분비되는 내재적인 인슐린의 작용을 완전히 배제하고도 간장에서 발현, 분비되는 SIA 만으로 정상혈당이 유지될 수 있었다. 간장에서 LPK 프로모터에 의한 SIA의 발현은 혈당농도의 변화에 따라 엄격하게 조절되었으며, 특히 정상대조백서에 재조합 virus particle을 주입한 경우에도 저혈당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복강내 당부하검사 결과 정상대조군과 당뇨치료군은 서로 상이한 반응양상을 나타내었지만 비공복상태에서는 당뇨치료군이 항상 정상혈당농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SIA의 발현은 생리적 자극에 따라 잘 조절되고 있으며, 이 밖에도 정상혈당의 유지를 위하여 생체내의 다른 homeosta sissystem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정상대조백서와 비교하여 당뇨치료백서에서 당 부하에 따른 당 분해효소들의 전사단계에서의 빠른 양적 변화는 혈당농도의 조절에 어느 정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 1형 당뇨병 실험동물모델에서 SIA를 이용한 유전자치료를 통해 생리적 자극에 따른 정교한 혈당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특히 사람에서의 제 1형 당뇨병과 유사한 발병기작에 의해 당뇨병이 발증된다고 알려져 있는 NOD mice 모델의 경우 간세포에서 장기간 SIA가 발현됨에도 불구하고 별다른 면역반응이 유발되지 않았다는 사실은 SIA를 이용한 유전자치료책이 사람에게도 치료적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앞으로 이러한 개념의 치료를 보다 구체화하고 사람의 당뇨병 치료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좀 더 사람과 유연관계가 가까운 대동물에 적용하여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development of type 1 diabetes results from the almost total destruction of insulin-producing pancreatic 13 cells by 13 cell- specific autoimmune responses. Standard insulin therapy may not maintain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within the relatively narrow range that occurs in the presence of normal pancreatic [3 cells. The cure of diabetes has long been sought using several different approaches, including islet transplantation, regeneration of 13 cells and insulin gene therapy. However, permanent remission of type I diabetes has not yet been satisfactorily achieved. We approached the long-term cure of type I diabetes by using a recombinant adeno-associated virus (rAAV) expressing a single-chain insulin analog (SIA), which possesses biologically active insulin activity without enzymatic conversion from proinsulin to insulin, under the control of hepatocyte- specific L-type pyruvate kinase (LPK) promoter, which regulates SIA expression in response to blood glucose levels. SIA produced from the gene construct (rAAV-LPK-SIA) can remit diabet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and autoimmune non-obese diabetic (NOD) mice for a prolonged time without the action of endogeneous pancretic insulin. SIA expression by LPK promoter could be tightly regulated in response to blood glucose level and the treatment of normal control SD rat with rAAV expressing SIA did not reveal hypoglycemia. Although the difference in kinetics between insulin of normal control group and SIA of rAAV-LPK-SIA-treated group in response to glucose loading, rAAV-LPK-SIA-treated group maintained normoglycemia in non-fasting state. These data indicate that SIA expression was properly regulated in response to physiological stimuli and the other homeostasis system might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normoglycemic state. Especially Glycolytic enzyme of rAAV-LPK-SIA-treated rats was rapidly changed at transciption level in response to glucose loading and it might participate in the regulation of blood glucose level. Through this study, the treatment of both chemically induced diabetes in rats and autoimmune diabetes in mice with rAAV expressing the SIA resulted in the permanent remission of type I diabetes. The treatment of autoimmune NOD mice with rAAV expressing the SIA resulted in the permanent remission of type I diabetes without any detectable adverse effect on the hepatocytes, suggesting that this novel gene therapy may have therapeutic value for the cure of type I diabetes in humans. But to realize this therapy and use for the human, it should be applied to the large animal which is evolutionally close to the human and evaluated its possibility.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항산화 효소 활동 및 호흡순환기능의 차이
이 연구는 빈야사 요가운동 시 요가 숙련여부에 따른 집단간 호흡순환기능을 바탕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강도에 의해 항산화 효소 활동과 과산화지질의 변화정도의 관련성을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년이상의 요가숙련그룹(n=9)과 비숙련그룹(n=8)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요가는 빈야사 플로우 요가(Vinyasa Flow Yoga)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심박수(HR)는 PolarTM시스템 T31송신기(Polar electro Oy, Finland)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산소섭취량(VO2), 에너지소비량(Energy Expenditure), METs는 휴대용무선대사분석기(K4b2 Cosmed, Italy)를 사용하였다. 안정시, 운동직후, 회복기 30분에 채혈을 통하여 SOD, MDA의 활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모든 자료를 Windows용 SPSS/PC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에 대한 평균값(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independent t-test와 2×3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를 사용하여 검증하고,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을 경우 사후검증을 위해 Student Newman Keuls(SNK)를 이용하였다. 이 때 모든 통계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산소섭취량은 요가 숙련그룹이 비숙련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2.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에너지대사량은 요가 숙련그룹이 비숙련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3.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MET는 요가 숙련그룹이 비숙련 그룹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4.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심박수는 요가 숙련그룹이 비숙련 그룹보다 증가하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5.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MDA의 변화는 집단 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집단 간 안정시에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운동직후, 회복기 30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6. 요가 숙련 여부에 따른 SOD의 변화는 숙련집단이 회복기에 감소, 비숙련집단은 증가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지만, 집단내 및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시각문화미술교육(VCAE)에 기반을 둔 중학교 미술교육 연구
김수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우리는 끊임없이 새롭게 등장하는 시각문화를 접하며 생활하고 있다. 매스미디어의 시대가 오고 정보기기의 발달로 인하여 삶 속에 있는 시각정보들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미술교육은 과거의 작품제작만을 위한 활동에서 벗어나 삶 속의 다양한 시각문화를 이해하고 활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능력을 갖추고 또한, 이를 비평할 수 있도록 시각적 문해력을 길러줘야 한다. 21세기의 넘쳐나는 시각문화 속에서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각문화를 비평적으로 수용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시각문화미술교육 연구를 통하여 시각문화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태도를 갖고, 미술교육의 시각문화영역으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현대사회의 패러다임에 맞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문헌자료를 수집, 분석, 검토한 후 현행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과 사례조사를 토대로 시각문화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해 보았다. 연구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론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 및 특징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본론에서 7차 미술과 교육과정, 2007개정미술과 교육과정, 2009개정미술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 8종 내 시각문화 미술교육을 살펴봄으로써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흐름을 알고 시각문화와 미술교육의 연계성 및 개선방안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국내외 시각문화미술교육 사례를 조사한 후 중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지도안을 제안하여 향후 시각미술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한국 미술교육의 흐름은 점차 변화를 통하여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표현위주의 미술교육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창의력 개발을 위한 도구교과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시시각각 변화하는 우리 사회의 시각문화를 미술적 자원으로 활용하고 현대 사회의 생활 속에서 미적 가치를 발견하여 미술을 생활화해야 한다. 미술교육에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포괄하는 확장된 개념으로의 논의들을 통해 미술이라는 장르가 우리삶 속에서 의미 있게 존재하길 바라며 무분별하게 쏟아지는 다양한 시각문화에 대한 분별력과 이를 유연하게 능동적으로 대처하며 즐길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새로운 발전을 기대하여 본다. We experience new visual culture which is constantly emerging. With advent of the era of mass media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equipment, the necessity of accepting visual information in our lives is increasing. Art education should be shifted from leading activities to produce mere artworks in the past to helping students have capabilities to express themselves b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diverse visual culture in their lives and to helping them improve visual literacy for criticism. It is essential to have attitudes of accepting diverse visual culture critically to understand visual culture correctly among overflowing visual culture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aims to have clear understanding and attitudes about visual culture through research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o seek expansion of the existing art education to the field of visual culture, and to present a way of art education which corresponds to a paradigm in modern society. Precedent literature has been collected, analyzed, and organized. Then, a program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has been proposed with a case study and an analysis of textbooks. The research procedure is as follows; The introduction presents concepts for understand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necessity. In the main body, the 7th art curriculum, 2007 revised art and curriculum, and 2009 revised art and curriculum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Als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has been identified through eight current text books in middle school. The stream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has been examined. Its connection to art education, the ratio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proposals for improvement have been presented. Also, cases of domestic and overseas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have been investigated. A lesson plan for middle school students has been proposed to help visual art education in the future. Even though Korean art education is improving through gradual changes, it is still expression-oriented art education and a tool subject to develop creativity. Today's art education should make art into a way of life by utilizing visual culture changing in our times as art resources and finding aesthetic values in modern lives. It is expected that a genre named art exists in our lives meaningfully through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from art education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lso, new development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anticipated while it helps students develop judgment for visual culture which are randomly overflowing and enjoy it actively and flexibly.
충남일부지역 고등학생의 수산물 섭취실태와 인식 및 기호도에 관한 조사
김수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research data in support of increasing the student's intake of seafood by actively using the superior and highly preferred seafood at the time of developing a menu of school food service through an appraisal over seafood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 after investigating the intake statue, cognition and preference over seafood and reporting its results. In a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a normal weight was 55%. In terms of height, weight and BMI average in gender, in case of man students, height 171.8cm, weight 62.59kg and BMI 21.20 were shown and in case of woman student, height 161cm, weight 50.66kg and BMI 19.48 were emerged. As a result,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a meaning level p<0.001. In a result of investigating how much you like the seafood, about 40% "Normal" out of total responses was the highest. Man students liked the seafood more than the woman students (p<0.05).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reason of liking the seafood, "untasty" was about 43.7% out of total respondents and the woman student's response rate in "eating it because it is tas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man students.(p<0.01).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reason of eating the seafood in school food service, about 62.3% of total respondents responded "I want to eat" that was the highest. In case of the man students, 57.3% "I want to eat", 14.7% "friends eat it", 10.7% "parents force eating", 10.7% " known as healthy food in health program on TV", 6.7% "teachers force eating"were shown. In case of the woman students, 67.3% "I want to eat", 17.3% "parents force eating",6.7% "friends eat it", 4.7% "teachers force eating" and 4.0% "known as healthy food in health program on TV" were shown and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n in meaning level p<0.05.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egree of liking the seafood in school food service, about 45.3% " normal" was shown the highest.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 reason of liking the seafood in school food service, about 25.3% "food taken often" was the highest. In a result of investigating a reason of disliking it, about 25.0% "uncomfortable to eat" was the highest.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oughts of a nutrient supplied from fish, about 67.7% "protein" was the highest. In case of the man students, 56.7% "protein", 18.0% "carbohydrate" and 9.3% "vitamin" were shown, in case of the woman students, 78.7% "protein" and 10.0% "mineral" were shown, and i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p<0.001.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oughts of necessity in taking the seafood, about 42.3% "normal" was the highest. In case of the man students, 48.0% "normal", 28.7% "necessary",10.0% "very necessary", 8.0% "unnecessary at all" and 5.3% "unnecessary" were shown. In case of the woman students, 48.0% "necessary", 36.7% "normal", 6.0% "very necessary", 4.7% "unnecessary" and 4.7% "unnecessary at all" were shown. In terms of necessity of taking the seafood, i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p<0.05.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or not educated with the seafood, about 64.7% "not educated at all" was the highest. the man students's experience in being educated was higher than the woman students. I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p<0.01.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referred food out of the seafood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 11.8% "fried shrimp", 5.1% "fried cuttlefish", 5.1% "fried fish" and 4.7% "meat roasted hairtail" showed the higher preference.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unpleasant food, 9.2% "steamed warty sea squirt ", 6.3% "jellyfish with cold dish ", 5.9% "walleye pollock soup", 4.7% "seasoned laver" and 3.5% "frozen walleye pollock stew" were shown.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seaweed and shrimp were preferred the most, and atka mackerel and warty sea squirt were not preferred the most. The man more preferred eel(p<0.001), oyster(p<0.05), atka mackerel(p<0.01) than the woman and the woman more preferred octopus (p<0.05), small cuttlefish(p<0.01), seaweed(p<0.05), as a result, it shows the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preference over the seafood, the preference of the seafood at home was high, however, the preference of the seafood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 was generally low. Thus, the study on improving an uncomfortable method to eat, which is the reason of disking the seafood provided in school food service and getting rid of smell is necessary, al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aste and to raise satisfaction by raising frequency of providing the seafood, which have high preference and developing new recipe for the seafood, which have low preference. Moreover, as the education for forming a right dietary habit is insufficient, it is judged that non-meal providee's cognition over superiority of the seafood was insufficient. As a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a desirable and continuous education of nutrition and food service guidance will contribute to intake promotion for the balanced nutrition intake.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Since research records are of key importance i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this study aims to design a thorough and effective plan for acquiring and managing these records efficiently. In order to fulfill this goal, three tasks were completed, including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n research records management, specific case studies on international research record guidelines and research data management policies, as well as surveying librarians at domestic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In literature review, various ideas on the management o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 record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research records, surveys targeting librarians working at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were conducted through emails and phone calls. 49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librarians working in 13 institutes under the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13 institutes under the Korea Research Council for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23 institutes under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 total of 43 (87.7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ith the results described below. First,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record management, there were no regulations at most of these institutes.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record acquisition by the research institutes revealed that research records were only collected at the completion stage, but not during the planning, contracting, and executing stages.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management plan of research records, detailed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on the various aspects of research records, including collection, systems, human resources, facilities, and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an improvement proposal, consisting of a collection plan and a management plan, is devised for the management of research records i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Second,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 researchers about the types of research records in each project through publications of new research records and annual meetings. Third, a data collection manual needs to be developed with specific directions and guidelines to ensure the compliance of both the researcher and records manager. The researcher is required to verify the submitted research records using the manual, and the manager is required to validate the collected research records for accuracy. The management plan consist of five parts. First, current regulations for research records management need to be revised. Second, the interests of senior managers should be procured, and a budget for improvement should be provided. Third, a research records management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and managed. Fourth, a preservation facility for research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The facility should be equipped with a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a storage system suitable for all different types of records. Fifth, a dedicated division for research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appropriate human resources assigned. If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follow the recommendations on collection and management of research records proposed in this study, then these important national assets-the research records-will not only be well-preserved but also efficiently utilized. 연구의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산물인 연구기록물의 가치는 매우 크다. 특히 정부출연금에 의해 운영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생산되는 연구기록물은 국가적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부출연연구기관 연구기록물의 국가적 차원의 가치를 고려하여, 연구기록물의 수집과 관리 실태를 파악하고, 효율적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연구기록물의 수집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조사는 이메일을 통한 설문조사와 전화조사를 병행하였으며, 전화조사는 설문조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정부출연연구기관인 과학기술연구회 연구기관의 기초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 산업기술연구회 소속 13개 기관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23개 기관으로 총 49개 기관이었다. 설문지 회수율은 총 43부로 87.72%였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현황과 개선방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연구기록물 수집 혹은 관리와 관련된 규정이 없었다. 또한 절반이상의 기관이 연구기록물의 관리와 관련된 담당부서와 담당자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록물 담당부서와 담당자가 있는 기관은 행정부서나 도서담당부서에서 관리를 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기록물의 수집에 있어서는 종료단계의 연구기록물은 비교적 수집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나머지 기획, 협약, 수행단계의 연구기록물은 수집이 거의 안 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연구기록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안내용은 과학기술연구회 연구기관과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기관 간 큰 차이가 없었다. 수집적 측면에서의 제안내용으로는 홍보 및 협조 공지를 하는 방법이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다. 제도적 측면에서의 제안내용으로는 고위관리자의 관심과 의리와 전담부서의 설치가 가장 시급하다고 하였다. 시설적 측면에서의 제안내용으로는 관리를 위한 설비가 필요하다고 대답한 기관이 많았다. 관리적 측면에서의 제안내용으로는 과학기술연구회 연구기관에서는 수집이 잘 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연구기관은 기록물관리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수집 및 관리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효율적 수집 및 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연구기록물의 수집적 측면에서의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기록물의 의무적 제출을 제안한다. 연구기록물의 종류에 따라서 보안등급을 정하고, 등급에 따른 제출규정을 명시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연구프로젝트마다 제출 담당자를 지정하여 연구기록물을 받고, 업무를 맡은 제출담당자는 책임감을 가지고 일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연구기록물 수집의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신간 연구기록물 리스트를 통하여 연구기록물의 가치를 적극 홍보하고, 연구기록물에 해당하는 기록물의 종류와 유형을 연구원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기록물 수집 매뉴얼을 만들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제출자는 매뉴얼을 통해서 제출해야 할 연구기록물을 확인하고, 연구기록물 담당자는 수집해야 하는 연구기록물을 파악하여, 업무를 정확하고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수집 절차를 간소화 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전자시스템을 통해 장소에 제약 없이 연구기록물 제출 과정이 이루어지고, 결재선 단계를 줄임으로써 행정절차의 단순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구기록물의 관리적 측면에서의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기록물 관리규정의 정비가 요구된다. 연구기관별로 연구기록물 관리규정을 별도로 제정할 수 있지만, 가장 좋은 방법은 국가에서 법령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규정을 제정하고, 이를 개별 연구기관에서 실천하는 방안이다. 관리규정을 지정할 때는 공공기관에서 적용되는 분류표를 토대로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는 분류 및 편철에 대한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할 경우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관리의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고위관리자의 관심과 예산확보가 필요하다.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연구기록의 생산 및 수집현황과 연구기록물이 연구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상관관계에 대한 표준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충분한 예산확보를 통해 연구기록담당인력을 확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설 마련에 대한 내용을 명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연구기록물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연구기록물관리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기록물관리시스템은 일반적인 기록물관리시스템이나 전자문서시스템과는 성격이 상이하기 때문에 기존의 프로그램에 연구기록물의 특성을 반영한 프로그램을 추가하거나 별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보존시설 및 접근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보존시설은 관리를 위한 장비와 시스템, 형태에 따라 보관을 할 수 있는 시설물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영구보존을 위한 항·온습도시설 보관시스템은 별도로 구비해야 하며,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별도의 보존공간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보안 상태를 구분하여 연구기록물을 관리해야 하고, 편리한 보존 장소가 요구된다. 다섯째, 연구기록물 관리를 위한 전담부서 설치와 인력배치가 필요하다. 각 부서마다 연구기록물과 관련된 중복된 업무를 구분하여 연구기록물 담당부서에 넘기고, 담당자가 연구기록물과 관련된 연구와 전체업무를 하는 시스템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구기록물 담당부서와 담당자를 의무적으로 배치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지침을 명시할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을 바탕으로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기록물 수집 및 관리방안이 마련된다면, 국가 자산을 보존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단일식물인 나팔꽃(Pharbitis nil)의 개화 유전자를 찾아보기 위해서 나팔꽃의 꽃 원기(floral primordia) 에서 cDNA Library를 제작하고 207개 EST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이 중 90개(43%)의 클론이 기존의 단백질과상동성이 있었으며, 4개의 클론 (1.9 %)은 보고된 바 없으므로 식물에서 새롭게 규명되었다. 207개의 EST중, 전사와 해독에 관련된 클론이 가장 많았고, 당분해와 광합성 등의 대사과정에 관련된 클론이 그 다음 순서로 많았다. PnFP66은 애기장대 (Arabidopsis thaliana)의 ERECTA와 104개의 아미노산을 비교했을 때 77 %의 상동성이 있었고, 꽃의 형태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PnFP72는 토마토 (Lycopersicon esculentum)의 COPI 상동체로 예상되며, 광형태발생 유전자의 개화과정 관련성은 흥미로운 주제가 될 것이다. PnFP3은 grapefruit(Citrus x paradisi) 에서 발견된clock-regulated gene과 상동성을 보였으며 Southern 분석결과 한 copy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PnFP3는 단일 처리한 잎에서 연속 광처리 한 잎보다 더 강한 발현을 하였다. 개화에 관련된 유전자를 규명하기 위해 꽃 원기와 잎 원기의 cDNA를 탐침으로하여 reverse northern을 수행한 결과, 보리 (Hordeum vulgare) 의 a -tubulin 과 90%의 상동성을 가진 PnFP180 만이 꽃 원기에서 발현이 더 우세하였다. PnFP9는 담배 (Nicotiana tabacum) 의 phosphate-induced gene-1과 81 %의 상동성이 있었는데, 잎 원기에서 발현이 더 우세하였고 이것의 기능은 더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잎의 원기와 꽃의 원기의 hybridization 패턴이 비슷한 것은 아마도 둘의 조직이 비슷하거나 빛에 의해 유도되는 유전자의 발현이 매우 약하기 때문일 것이다. To identify genes involved in flowering of Pharbitis nil, a short day plant, we have constructed a floral primordia cDNA library and 207 randomly selected cDNA clones were partially sequenced. This expressed sequence tag (EST) analysis identified 90 clones (43 %) that had a significant homology to known protein sequences in the NCBI database. Of these clones four are related to genes not from the plant kingdom, indicating that 1.8 % of the ESTs were newly identified in plants. Functional categorization of these clones revealed that the genes involved in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are most abundant, and genes in metabolic pathways such as glycolysis and photosynthesis ranked next in abundance. It is interesting that the photomorphogenesis-related COP1 orthologue, PnFP72, is present in the floral primordia. Southern blot analysis of PnFP3, a putative clock-regulated citrus ccr orthologue, showed that the gene was encoded by single gene. The transcript of the PnFP3 was more abundant in short-day treated leaves than in continuous light treated leaves. To define the functional identities of ESTs, we performed reverse northern analysis using floral primordia and leaf primordia cDNAs as probes. Only PnFP180, which has 90% identity to Hordeum vulgare a -tubulin, was expressed preferentially in floral primordia.
이 연구는 참여정부에서 박근혜 정부까지의 학자금 지원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적 신제도주의 이론을 적용하여 체계적 과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자금 지원 정책의 변화 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학자금 지원 정책 변화에 영향을 미친 제도적 맥락은 무엇인가? 셋째, 학자금 지원 정책은 제도변화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주요 연구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정부에서 박근혜 정부까지의 학자금 지원 정책은 몇 번의 비약적인 규모의 증가를 거치며 발전해왔다. 학자금 지원 정책의 정책기조는 학자금 대출 중심에서 장학금 지원 중심으로 변화하였고, 장학금 지원의 기조는 우수학생에 대한 지원에서 저소득층 학생에 대한 지원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학자금 지원 정책은 다른 정책들과 결합하는 방식으로 변화해왔는데, 이는 특정 시기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대안의 성격으로 학자금 지원 정책이 변화해온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때문에 학자금 지원 정책으로서의 뚜렷한 방향성에 근거하지 못하고 산만한 구조로 형성되고 변화해온 측면이 있다. 둘째, 학자금 지원 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제도적 맥락을 구조‧제도‧행위자 수준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여기서 구조 수준 요인으로는 정권변화, 정치적 사건, 경제위기, 대학진학률, 학령인구 감소를, 제도 수준 요인으로는 국정이념, 고등교육에 대한 인식, 고등교육체제, 대학 등록금 정책을, 행위자 수준 요인으로는 정부, 국회, 시민단체, 언론, 학계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각 맥락의 개별 요인들은 학자금 지원 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학자금 지원 정책의 제도적 맥락 간 상호작용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구조는 제도와 행위자 수준에 영향을 미쳤고, 제도와 행위자는 양방향의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구조가 행위자에게 영향을 미치고 행위자가 다시 제도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학자금 지원 정책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제도적 맥락은 독립적인 수준일 수도 있으나, 맥락 간 상호작용을 통한 복합적 성격의 영향일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셋째, 학자금 지원 정책은 큰 틀에서 학자금 대출 제도와 장학금 제도의 지원 형태를 유지해왔다는 점에서 경로의존적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학자금 대출 제도와 장학금 제도의 구체적인 내용 변화에 있어서는 경로진화의 양상을 보였는데, 학자금 대출 제도의 경우 경로진화 유형 중 수정(revision)의 형태로, 장학금 제도의 경우 주로 가겹(layering)의 형태로 진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경로진화 유형 중 가겹을 제도변화의 관성적 측면, 즉 경로의존의 특징이 강하게 드러나는 경로진화의 유형이라고 논의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장학금 제도의 변화가 저소득층 장학금의 지원 규모 및 대상 확대라는 자기강화적 과정을 거쳐 왔다고 분석하였으며, 향후 장학금 제도의 변화도 이와 유사한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학자금 지원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자금 지원의 범위 및 기준에 대한 철학적 관점의 논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공평성, 충분성, 효율성과 같은 준거에 입각하여, 누구에게, 얼마를, 어느 범위 내에서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통해 학자금 지원의 방향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둘째, 학자금 지원의 목적 및 대상에 따른 지원 규모의 조정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우수학생에 대한 지원 및 근로장학금의 비중을 확대할 필요성과 대학원생에게까지 학자금 지원 정책의 외연을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셋째, 학자금 지원의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중하고 합리적인 정책 결정 노력이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policy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financial aid policy from Participatory government to Park Guen-hye gover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systematic process analysis was performed by applying the new-institutionalism theory. Specific research subjects of the present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ow have the changes in financial aid policy been progressed? Second, What is the institutional context influenced on the change in financial aid policy? Third, how has the financial aid policy been changed when viewed in terms of institutional change? Conclusions based 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inancial aid policy from Participatory government to Park Guen-hye government has developed while taking several stages with significant increase in magnitude. The Keynote of the financial aid policy has changed from Student-Loans-oriented policy to Scholarship-oriented policy, and the keynote of the scholarship aid has changed from merit-based aid to need-based aid. In particular, the financial aid policy has changed in a way that is combined with other policies, which caused the financial aid policy to have an aspect of being an alternative to social problems at a certain time in the process of its development. Therefore, the policy has not been based on a clear orientation as the financial aid policy and has been formed and changed into a complicated structure. Second,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ndividual factors in contexts of each levels influences the changes in policy.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affected the changes in financial aid policy was analyzed by classifying the institutional context into structural level, institutional level, behavioral levels. Here, regime change, political events, economic crisis, college entrance rate, decline in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like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structural level, ideology of the Government, awareness of higher education, higher education system, college tuition policy, and the like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institutional level, and the Government, national assembly, NGO, media, academia, and the like were taken into account for the behavioral le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factors in each context were affecting changes in the financial aid policy. In addition, when aspects of interaction between the institutional contexts around the financial aid policy were reviewed, interaction between the levels was confirmed such that the structural level influenced on the institutional level and the behavioral level, the institutional level and the behavioral level influenced on each other bilaterally, the structural level influenced on the behavioral level, and the behavioral level again influenced on the institutional level. Therefore, what was discussed in the present research was that, although the institutional context that affects the changes in financial aid policy may be at an independent level, it can be due to influences by complex characteristics thereof caused by contextual interactions. Third, the financial aid policy has showed a path dependence characteristic in that it maintained assistance forms of student loans and scholarships in an overall viewpoint. However, changes in detailed contents of the scholarship showed an aspect of path evolution. In types of the path evolution, the student loans have evolved in a form of revision and the scholarships have evolved in a form of layering. Particularly, in this research, the layering among the path evolution types was discussed as a path evolution type in which an inertial aspect of the system, that is, the path dependence is significantly characterized, and, by applying the above-described layering, the scholarship system has gone through a self-reinforcing process of expanding the magnitude and scope of the assistance for need-based scholarships, and it is anticipated that changes in the scholarships from now on will be similar.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suggestions for the financial aid policy are as follows. First, discussion of philosophical viewpoints on the scope and criteria of financial aid are necessary. That is, it is suggested that a philosophical discussion about how much, to whom, and in what scope to assist needs to be preceded on the basis of the criteria such as adequacy, efficiency, and equ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magnitude of assistance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target of the financial aid. Particularly, it was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creasing proportions of merit-based aid and work-study aid, and the necessity of extending the financial aid policy to include graduate students. Third, careful and reasonable policy-making efforts are necessary to achieve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financial aid. With reflection if the financial aid policies up to date have changed through rational decision processes and from the perspective in that an institution once formed is inevitably supposed to constrain options of current and future behavioral levels, it was suggested that careful policy-making efforts are required.
UX디자인에 기반한 모바일 블로그 App의 사용성 개선에 관한 연구 : 네이버 블로그 앱을 중심으로
Today, by the development and propagation of mobile phones, communication media has been diversified. As a consequence, people’s daily lives are being digitalized. Unlike the past, when people only acquired information from the media, people started to make and distribute information themselves and enabled interactive communication. Therefore, the new form of communication has been developed. The exchange of information without time and space limi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and possibility of future growth of the mobile phone industries. As a result, the need and importance of mobile phone application are getting higher, and services mainly worked in PC platform before are getting modified to work in a mobile application. Especially, “blog”, the service which has the nature of one-person media and journalism, had many drawbacks after it was modified into a mobile application form. Plenty of services and functions are not working properly in a mobile application, so users find it uncomfortable to use it, and felt low satisfaction while using i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dvancing utility and satisfaction of existing application by investigating the problems of blog app, and building a utility-improved prototype using UX design. This study’s study range is, first to analyze the “NAVER blog”, which has the highest share of the mobile blog and percentage of the tasks, by using UX design methodology and second, to propose the prototype. As a research method, studying concept and process of the UX design was necessary. And, settlement of case analysis object by the understanding of blog and understanding of mobile was also necessary. Afterward, usability test of existing NAVER blog application was conducted using task deduction by VOC and survey, one of the methods explained in UX design methodology. Based on usability test result, th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the in-depth interview, with implications deducted and added task, persona was made. Based on persona and by benchmarking the prototype was made. The prototype proved the existing NAVER blog applications’s satisfaction rate and improvement factor through usability test. The result of NAVER blog application analysis using UX methodology was these: lack of expression of complex functions, lack of accessibility of navigation, lack of universality, lack of manufacture and usability of mobile contents, lack of expression of information diversity, lack of links between tasks, lack of recognition of the function. To resolve these problems of existing app, users’ attitude towards the app, feeling of inconvenience, and implications were spotted by persona and in-depth interview. Based on those facts, the task was re-analyzed and based on the analysis, the way of solution of tasks of each display of the app was deducted. Also, the improvement was made by making second prototype, which has advanced functions compared with the first one. Therefore overall satisfaction rate and usability improvement were way better than the existing one. This study has comprehended the problems and the shortcomings of the NAVER blog application, considering user characteristic and mobile characteristic based on UX design, therefore resolving the problems with the aspect of design. Based on the NAVER blog application prototype suggested by this study, other blog applications’ improvements are seemed possible. If needed, the difference between NAVER blog app and other blog apps can be analyzed, and also specific UX design analysis can be possible. 오늘날 모바일의 발전과 보급으로 인해 커뮤니케이션 매체가 다양해지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 방식도 디지털화되고 있다. 미디어를 통해서만 정보를 얻을 수 있던 과거와 달리 정보를 생산, 배포함으로써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지고 그로 인해 소통의 형태가 발전되었다. 이후 모바일의 발전으로 인해 시간적, 공간적 제약 없이 정보를 주고받게 되면서 모바일의 발전성과 중요성이 더욱 주목받았다. 그에 따라 모바일에서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PC에서 이루어졌던 서비스 또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변형되고 있다. 그중 PC에서 1인 미디어적 성격을 가지고 저널리즘적인 성격이 짙은 블로그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변형되었을 때 PC에서 이루어졌던 많은 기능과 서비스들이 모바일에서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느끼고 그에 따라 만족도가 낮아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모바일 블로그 앱의 문제점에 대해 연구, 분석하고 프로토타입을 제작함으로써 UX디자인을 통한 사용성 개선을 통해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과 만족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모바일 블로그 중 점유율과 태스크의 비율이 가장 넓은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UX디자인 방법론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프로토타입 제안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먼저 UX디자인의 개념과 과정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블로그에 대한 이해와 모바일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사례 분석 대상을 정하였다. 그 이후 UX디자인 방법론 중 VOC를 통한 태스크 도출과 서베이를 통해 기존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사용성 테스트 결과를 토대로 인댑스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인댑스 인터뷰 후 도출된 시사점과 태스크를 추가하여 퍼소나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퍼소나를 토대로 벤치마킹을 통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이후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기존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에서의 개선도와 만족도 향상을 입증하였다. UX방법론을 토대로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을 분석한 결과 복합적인 기능의 표현 부족, 내비게이션의 접근성 부족, 보편성의 부족, 모바일 콘텐츠 제작 사용성의 부족, 정보의 다양성 표현의 부족, 태스크별 연결성 부족, 기능의 인지 부족 등의 문제들이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존 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댑스 인터뷰와 퍼소나를 통해 사용자들이 어플리케이션에 갖고 있는 태도와 불편의식, 시사점을 토대로 태스크를 재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별 태스크에 따라 해결방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프로토타입을 총 2회 실시하여 1차 프로토타입에서의 부족함을 한번 더 개선하였다. 그에 따라 전반적인 사용성 개선과 만족도가 기존 어플리케이션에 비해 상당히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UX디자인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특성과 모바일적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의 문제점과 부족한 사항들을 파악하였고, 그에 따라 디자인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해결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 프로토타입을 기준으로 다른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 개선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앞으로 더 연구된다면 네이버 블로그 어플리케이션과 타 블로그 어플리케이션의 차이점과 세부적인 UX디자인 비교분석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초등 영어 수업 정리 단계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분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importance of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at the elementary school. Unlike the other subjects like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English department doesn't have a study on closing stage of English lesson. And most of the studies have investigated on many activities about introduction and presentation stage, especially ‘PPP' stage. So,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both teachers' and learners' perceptions and to investigate on actual conditions of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class. This study was also aimed to investigate on which activities are preferred by the learners and how they perceived the effects of closing stage. These will provide effective method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apply to their future planning for closing stage in English class. This study researched the followings: First, actual conditions of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lesson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at and second, effects and preference of closing stage activities for learners. A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given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ix-grade students to conduct the answers to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of the teacher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losing stage in lesson, they neglected to plan and proceed due to limited time, lack of references and their will. So closing stage was not a part of the lesson plan anymore. Many teachers, specifically, mentioned that because most of time the last activity was incomplete at the end of the class, they usually didn't have time to wrap up the lesson. Meanwhile,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need time to summarize the important content of the lesson. Students, Especially, low-level students and those who didn't pay attention to the lesson realized that lesson closure is very worthwhile in that they can review the key expressions they missed out. Second, teachers perceived the meaning and the purpose of the lesson closure as a chance to check the key expressions related to the lesson again and the achievement. So, in the closing stage, a regular activity like a main activity is irrelevant in that it causes the difficulty for the learners. Checking the content of the lesson and the achievement, and let the learners know those are desirable. Also, the students need opportunity to practice the key expressions on the different circumstances and context to apply them in the real world. Third, most teachers orally wrapped up and summarized the lesson only using the speaking function.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showed that many teachers agreed that the way of the lesson closure has to be different in accordance with the language functions. But, they didn't carry out for many reasons. One of the reasons is that because there are not enough references for the lesson closing activity, teachers quickly lose their will to develop lesson closing activities and have difficulty in developing those. Last,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suggest to have the lesson closure in Korean. To prevent the accumulation of learning deficits and to learn the new concept or grammar, the lesson closure in Korean is necessary. And considering recommendations from TEE, it also needs to be applied in lesson closing stage. Students responded that when teachers summarized the key expressions in Korean, they could complement the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lesson and had a long memor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should conduct the lesson closure. Not only the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lesson closing stage, but also students realized the effect of that. Second, lesson closing stage in elementary English class should be a review in repeated practice of the key expressions rather than extension of the contents. Third, there need to be effective guidelines for the lesson closing stage and develope activities. Fourth, subsequent research is needed to discover the effective ways for the lesson closing in Korean. Fifth, through further research, it is necessary to prove whether or not the existence of lesson closing can actually reflect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chievement.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this study states the importance and the worth of the lesson closure, not being reported before. Most of studies on elementary English was focused on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stage. So,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help developing lesson closure in elementary Englis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 단계의 중요성을 부각하여 그것을 알리고자 하는데 있다. 다른 교과와 달리 영어과에서는 수업 정리 단계에 대한 연구 사례가 없으며, 그 중요성에 대해 밝히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도입 및 제시 단계의 다양한 활동에 대해 다루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업 정리에 대한 초등 영어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어떠한 정리방법을 선호하고 그 효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수업 정리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함과 동시에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 정리의 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수업 정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영어 수업 정리의 효과 및 학생들의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 영어 교사와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가 수업 정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계획 및 실행을 하는데 소홀히 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인식이 직접적인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한 것은 정리 시간 마련의 어려움, 참고 자료 부족, 교사의 노력 및 의지 부족, 수업 정리에 대한 소홀한 계획에 따른 행동 부재 등이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많은 교사들이 마지막 활동이 수업이 끝나기 직전까지 진행되어, 정리하지 못한 채 수업을 끝내는 경우가 많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모든 수준의 학생 대부분이 수업이 끝나기 전 본시에 학습했던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수준이 낮은 학습자나 여러 이유로 본 수업에서 집중하지 못하여 수업의 흐름을 놓친 학생들은 다시 한 번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정리 시간이 매우 값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초등 영어 수업에서의 정리의 의미와 목적은 학생들에게 학습 목표와 관련한 중요한 표현들을 다시 확인하고 더 나아가 성취도를 점검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초등 영어 수업에서는 정리 활동이 또 다른 활동의 시작이 아닌, 본시에서 다루었던 목표 구문을 점검하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파악할 수 있는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목표 구문을 실생활에서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정리 단계에서 상황과 맥락에 따라 표현들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대부분의 교사가 음성 언어, 특히 말하기 기능을 중심으로 수업을 정리하고 있었다. 설문과 면담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차시별로 수업 정리 방법을 다르게 해야 한다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 영어에서 정리 활동으로써 개발된 것이 현저히 부족하고, 이에 따라 교사들이 기능에 맞는 정리 활동을 개발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려는 의지가 부족함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가 참고할 수 있도록 기능 별로 정리로써 유용하게 교수·학습 될 수 있는 활동의 개발이 필요하며, 똑같은 활동이라도 기능 별로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정리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과 면담 결과는 한국어 수업 정리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 학습 결손의 누적을 방지할 수 있고 새로운 개념이나 문법 등은 한국어 정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TEE에서의 권고사항은 정리 단계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이유들이 정리 단계에서의 한국어 사용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학생들도 활동 시 어렵고 이해가 가지 않았던 부분을 보충할 수 있고 교사가 중요한 표현들을 한국어로 정리해주니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고 했으며, 애매하게 짚고 넘겼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정리는 반드시 실행되어야 한다. 많은 교사들과 학생들은 수업 정리의 중요성과 필요성 및 그 효과를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 영어 수업의 정리 단계는 내용의 심화·확장 보다는 기본적인 내용의 반복 및 연습 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효과적인 다양한 정리 활동과 초등 영어 수업의 정리 단계에 대한 교수 지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한국어 사용을 통한 효과적인 수업 정리 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영어 수업 정리의 유무가 실제로 학생들의 성적 향상을 반영할 수 있는지 후속 연구를 통해 증명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그동안 영어과에서 다루지 못했던 수업 정리 단계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그동안의 연구를 돌이켜봤을 때, 대부분의 연구들은 도입 및 전개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들에 주목하여 이에 대한 것을 연구 주제로 한 것이 많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초등 영어 교육에서의 수업 정리 발전에 조금이나마 일조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