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수진의 작품과 작품론 : 구조를 통한 소설 속 환상의 의미

        김수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71

        본 논문에서는 김수진의 창작단편소설 「맛있는 선택」외 9편과 소설론을 통해 소설의 창작이 구조적으로 이뤄지는 과정과 작품에서 중심이 되는 환상의 의미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를 다루었다.

      •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relevant variab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science by analyzing the structural causality among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and science inquiry skills of the students. A total of 450 3rd-year high school students in a college-bound coed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following sources and instruments for respective variables: students' scores from midterm and final academic achievement tests in science, the EBQ for epistemological beliefs of students, the MSLQ for metacognition of students, and the TIPS II for respective science inquiry skill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repared for the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1.0, and AMO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causality among latent variables through parametric estimation, as well as to conduct the goodness of fit testing between models of measurement and structural equations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the epistemological beliefs, metacognition, and science inquiry skills influenc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in science. The order of direct influence of the latent variables on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as follows: science inquiry skills, metacognition, and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students’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would be proportional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inquiry skills, metacognition, and epistemological beliefs. Second,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nd metacognition of the student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ir science inquiry skills, with epistemological beliefs showing the stronger affect. This means that improvement of the science inquiry skills can be improved proportionately to the use of metacognition, with epistemological belief based on constructivism. Third,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students had a direct influence on metacognition. This means that students with constructivistic epistemological beliefs could improve their respective metacognition. Fourth,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the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an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rough metacognition and science inquiry skills. Regarding the influence of epistemological beliefs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e indirect effect through metacognition and science inquiry skills appeared to be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This suggests that constructivistic epistemological beliefs of the student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rough the enhancement of metacognition and science inquiry skills. Fifth, the epistemological beliefs the school students were observed to have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science inquiry skills of the students through metacognition. This suggests that epistemological beliefs of the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cience inquiry skills by improving the metacognition of the students. Sixth, the metacognition of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rough the science inquiry skills, which implies that metacognition of the students positively influenced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by improving their science inquiry skill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inquiry skills, metacognition, and epistemological beliefs of students were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these three variables, the science inquiry skills and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students appeared to have the larges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respectively, on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Thus, improvement of the science inquiry skills should proceed in the education of science in schools. For this purpose, educational programs and teaching methods to develop metacognition and epistemological beliefs of the students are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3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을 측정하기 위해 EBQ를, 메타인지는 MSLQ를, 과학 탐구 능력은 TIPS II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2.0을 이용하여 측정모델과 구조방정식모델의 부합도 및 모수치 추정을 통한 잠재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은 과학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잠재변인들 중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과학 탐구 능력, 메타인지, 인식론적 신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과 메타인지가 향상되고 인식론적 신념이 발달할수록 과학 학업성취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는 과학 탐구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잠재변인들 중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인식론적 신념, 메타인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인식론적 신념을 갖고 메타인지를 많이 활용할수록 과학 탐구 능력이 신장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은 메타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생들이 구성주의적 인식론적 신념을 가질수록 메타인지 능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은 메타인지와 과학 탐구 능력을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식론적 신념이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직접 효과보다는 메타인지와 과학 탐구 능력을 통한 간접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의 구성주의적 인식론적 신념은 메타인지와 과학 탐구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과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고등학생의 인식론적 신념은 메타인지를 통해 과학 탐구 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구성주의에 바탕을 둔 인식론적 신념은 메타인지를 향상시킴으로써 학생들의 과학 탐구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고등학생의 메타인지는 과학 탐구 능력을 통해 과학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생들의 메타인지는 과학 탐구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과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과학 탐구 능력과 메타인지 및 인식론적 신념은 고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한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 가지 변인 중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과학 탐구 능력이, 간접적인 영향력은 인식론적 신념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고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과학 탐구 능력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학업성취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에 대해서도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식론적 신념과 메타인지 및 과학 탐구 능력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가 요구되어 진다.

      • 국립대학에 재직 중인 공무원의 직무수행능력 및 근무실적 평가 지표에 대한 인식 분석

        김수진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대학에 재직 중인 공무원의 직무수행능력과 근무실적 평가 지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취지와 연구목적에 근거하여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대학에 재직 중인 공무원들의 직무수행능력 평가 지표 항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그리고 근무실적 평가 지표 항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직무수행능력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공무원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그리고 근무실적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행정 직원들의 직종?직급별 인식은 어떠한가? 그리고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행정 직원 전체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설문 조사 대상은 이미 법인화가 된 서울대학교를 제외한 거점 국립대학(강원대학교, 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 경상대학교, 전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남대학교, 충북대학교)에 재직 중인 일반직?기술직?관리운영직 공무원들과 대학회계 직원들이었으며, 조사대상자는 총 1,505명이었다. 이들의 직급은 6급, 7급(상당), 8급(상당), 9급(상당)이였다. 설문지의 배포는 강원대학교 169부, 경북대학교 447부, 경상대학교 248부, 부산대학교 186부, 전남대학교 181부, 전북대학교 211부, 제주대학교 310부, 충남대학교 198부, 충북대학교 330부였다. 설문지 회수는 강원대학교 104부, 경북대학교 357부, 경상대학교 156부, 부산대학교 115부, 전남대학교 112부, 전북대학교 131부, 제주대학교 194부, 충남대학교 124부, 충북대학교 330부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은 66.0%(배포된 2,280부 중에서 1,505부가 회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국립대학에 재직 중인 공무원의 직무수행능력 및 근무실적 평가 지표에 관한 설문지(부록 1)이었다. 설문항은 총 18문항이었다. 설문항을 작성하는데 사용된 기본 자료는 국가공무원법 제51조(근무성적의 평정)와 공무원 성과평가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제7조2(평가항목의 선정)에 근거한 교육부 공무원 성과평가 등 운용 요령 별지 제2호 서식의 직무수행능력 평가 지표와 근무실적 평가 지표 내용이었다. 직무수행능력 평가 지표는 기획력, 의사전달력, 협상력, 추진력, 신속성, 팀워크, 성실성, 그리고 고객?수혜자지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무실적 평가 지표는 단위과제의 업무난이도, 과제의 완성도, 그리고 업무수행의 적시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 응답 자료의 분석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졌다. 직무수행능력 평가 지표 항목에 대한 분석과 근무실적 평가 지표 항목에 대한 분석은 직종별?직급별?성별?대학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배치 분산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직무수행능력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분석과 근무실적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분석은 직종별?직급별?성별?대학별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직종?직급별 평가 지표 영역에 대한 분석과 전체 인식 분석 또한 일원배치 분산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사후검증은 Tukey검증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이었고, 모든 자료 분석의 유의 수준은 α=.05, .01, .001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직무수행능력 및 근무실적 평가 지표 항목에 대한 행정 직원들의 직종별 인식 결과들에 근거하여 제시할 수 있는 결론은 관리운영직 행정 직원들을 제외한 일반직 공무원들과 기술직 공무원들 그리고 대학회계 직원들을 대상으로, 6급 공무원들을 제외한 7급과 8급 공무원 그리고 9급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직원들을 제외한 거점 국립대학교 직원들을 대상으로 공감할 수 있고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교육프로그램과 시스템이 요구된다.

      • 학업을 병행하는 간호사의 자아탄력성,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수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학업을 병행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전문직 자아개념 및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과 전문직 자아개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C지역에 위치한 대학병원 1곳과 종합병원 1곳에 근무하며 학업을 병행하는 간호사 중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1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 24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자아탄력성의 평균은 3.19(0.45)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점수는 활력성 3.25(0.70)점, 대인관계 3.22(0.61)점, 호기심 3.20(0.48)점, 감정통제 3.18(0.68)점, 낙관성 3.08(0.74)점이었다. 대상자의 전문직 자아개념의 평균은 2.61(0.37)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 점수는 기술 2.72(0.42)점, 융통성 2.67(0.49)점, 지도력 2.62(0.47)점, 만족감 2.52(0.71)점, 의사소통 2.52(0.53)점이었다. 직무만족도의 평균 점수는 3.18(0.35)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점수는 필수적 직무 3.57(0.45)점, 직업적 긍지 3.25(0.54)점, 자율성 3.08(0.59)점, 인간관계 3.04(0.50)점, 보수 2.92(0.47)점, 조직적 요구 2.88(0.42)점이었다. 자아탄력성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높은 순상관관계(r=.63, p<.001)를 보였다. 직무만족도(r=.26, p=.001)와는 낮은 순상관관계(r=.63, p<.001)가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은 직무만족도와 낮은 순상관관계(r=.34, p<.001)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별 회귀분석 결과, 유의한 변수는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 연령, 근무기간, 전문직 자아개념으로 나타났으며(F=22.32, p<.001) 설명력은 44.6%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학업을 병행하는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호직에 대한 만족도와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아지고, 전문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을 통해 간호직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높여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과 조직의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주요 용어 : 학업병행, 간호사, 자아탄력성,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도 This paper presents a descriptive survey research to examine relations among the ego resilience,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juggling work and study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ego resilience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m. The subjects include 160 nurses that were working at a university hospital or a general hospital in the C area, were juggling work and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fill out a structu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m on August 24~31, 2015.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2.0 program.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ubjects scored mean 3.19(0.45) points on ego resilience. Of its subareas, their scores were 3.25(0.70) points on vitality, 3.22(0.61)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20(0.48) on curiosity, 3.18(0.68) on emotion control, and 3.08(0.74) on optimism. The nurses scored mean 2.61(0.37) points on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its subareas, their scores were 2.72(0.42) on skills, 2.67(0.49) on flexibility, 2.62(0.47) on leadership, 2.52(0.71) on satisfaction, and 2.52(0.53) on communication. They scored mean 3.18(0.35) points on job satisfaction. Of its subareas, their scores were 3.57(0.45) on essential work, 3.25(0.54) on professional pride, 3.08(0.59) on autonomy, 3.04(0.50) on human relations, 2.92(0.47) on salaries, and 2.88(0.42) on organizational needs. Their ego resilience ha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professional self concept and low positive correlations(r=.63, p<.001) with their job satisfaction(r=.26, p=.001). Their professional self concept showed low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ir job satisfaction(r=.34, p<.001). The study conduc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 age, duration of service, and professional self concept were significant variables(F=22.316, p<.001) with explanatory power of 44.6%.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juggling work and study increased when they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 had higher professional self concept, were older, and had longer duration of service. Those findings raise a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the nursing profession and reinforce the professional self concept of nurses juggling work and study and for organizational administrative supports to establish the conditions to enable their long-term service. Keywords: nurses in schoolwork , nurse, ego resilience, professional self concept, job satisfaction

      • 포스트휴먼으로서 인간-기계 캐릭터 연구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39

        인간-기계 캐릭터는 현대 사회 인간의 기술력과 상상력이 통합된 산물로서 동시대의 문화적 가치를 반영한다. 인간-기계 캐릭터란 인간으로 대변되는 유기체와 비인간으로 대변되는 기계 두 항이 경계 없이 하나의 단일 개체로 합쳐진 인물 유형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과학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간-기계 캐릭터가 실제 현실로 등장하고 있는 현재적 상황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를 사실에 근거한 공학적 예측이 아닌, 상상력에 근거한 인문학적 예측을 시도해보려 한다. 본 연구에서는 포스트휴먼 담론이 생성되기 시작했던 1980년대를 기점으로 하여 그 이후에 사이언스 픽션 장르를 통해 재현된 인간-기계 캐릭터들에 주목한다. 그리고 인간-기계 캐릭터의 포스트휴먼으로서의 정체성과 문화적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인간과 기계를 결합시키는 상상력에 내포된 근원적 욕망을 도출하기 위해 인간-기계 캐릭터의 지형도를 새롭게 작성하려 한다. 가로축은 인간-기계가 지닌 신체적 존재 양태를 기준으로 하며, 세로축은 상호작용 역량을 기준으로 한다. 이에 따라 인간-기계 캐릭터들을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캐서린 헤일즈는 포스트휴먼의 유형으로서 물질성(materiality), 극실재(hyperreality), 정보(information), 돌연변이(mutation)를 제시한다. 앞서 분류한 4유형의 캐릭터들은 캐서린 헤일즈(Katherine Hayles)의 포스트휴먼 유형들과도 일치한다. 이와 같은 사실은 인간-기계 캐릭터들이 포스트휴먼의 잠재적 형태임을 뒷받침한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추출한 네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인간-기계들이 정체성을 형성해나가는 방식을 고찰한다. 포스트휴먼 담론에서 몸은 자연적인 개념이 아니라 문화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인간-기계 캐릭터들의 몸은 위치한 사분면에 따라 각각 결합, 절합, 상징화, 형상화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인간-기계 캐릭터의 몸은 우연성을 기반으로 하여 끊임없는 진화의 과정을 거친다. 이는 들뢰즈가 말한 ‘되기(becoming)’의 과정을 형상화하는 것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인간-기계 캐릭터는 인간과 기계 사이의 경계지대에 서서 주체성을 스스로 확립해 나가고자 한다. 기계성을 경험하고 있던 인물이 어떤 사건을 계기로 기계성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되고 나는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물음을 찾아 나서게 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하지만 인간-기계가 획득하게 되는 것이 모방적 자아이냐, 혼종적 자아이냐에 따라 서사는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 인간-기계는 친구, 연인, 조력자, 적대자가 되는 등 근대 휴머니즘의 위계질서를 그대로 답습한다. 반면, 후자의 경우 인간-기계는 인간도 기계도 아닌 제3의 하이브리드적 존재로서 위계질서를 전복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3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기계 캐릭터의 존재 양식이 함의하는 바를 포스트휴먼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먼 담론 중에서도 로지 브라이도티의 유목적 주체성, 변위, 조에적 관계 개념에 근거해 인간-기계 캐릭터의 의미를 도출한다. 인간-기계는 변용되는 몸(affected bodies)을 가지고 끊임없이 인간과 기계 양 극단을 횡단한다. 이와 같은 변위의 과정을 통해 인간-기계는 유목적 주체로 거듭난다. 유목적 주체는 인간과 비인간의 네트워크를 이끌어낸다는 점에서 포스트휴먼 시대의 새로운 주체라 할 수 있다. 포스트휴먼 담론은 근본적으로 탈경계적 성격을 가진다. 휴머니즘의 규범으로는 설명될 수 없는 현상들이 생겨나고 있는 지금, 필요한 것은 다른 미래들과 존재들 간의 관계를 상상할 수 있는 능력이다. Human-Machine characters, which combined with human technology and imagination, reflect contemporary cultural values. In other words, it can be easily called as a special combination, organic body and machine without any borderline. Nowadays, with drastic science technology development, human-machine characters show up in the real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rue identities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human-machine characters. With these approaches, the study is conducted especially based on fictional imagination, not on industrial engineering factors. In second chapter, new categorization of human-machine characters is made to express original ambition from the imagination. Horizontal axis refers corporeal presence as human-machine characters while vertical axis refers interactive capacity of human-machine characters. According to this feature, 4 different criteria for each human-machine characters can be set. Meanwhile N. Katherine Hayles suggests 4 features that posthuman beings can have. Those features can be conceptualized as materiality, hyperreality, information, and mut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4 categorized characters correspond with N. Katherine Hayles’s posthuman features. This result supports the fact that human-machine characters are the potential form of posthuman beings. In chapter 3, the way human-machine characters set their own identities is studied based on 4 categories. In posthuman discussion, body is not the concept of Mother Nature but the cultural location to affect crucial role in identity formation. The body of human-machine characters consists of combination, articulation, symbolization and figuration according to quadrant part of the body. In addition, human-machine characters’ body continuously evolves based on contingency. This can be interpreted as forming, so called “Becoming” by Gilles Deleuze. While standing on a borderline of human and machine, human-machine characters start to establish their own identities. It can be summarized as the machinery seek for humanity based on the doubts of machinery. However, epic story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human-machine characters acquiring either imitative self or hybridism. The former follows Humanism hierarchy which can be translated as friend, lover, supporter or enemy. At this point, human-machine characters only represent the Cartesian conception of the human subjects. However, the latter human-machine characters transform into a hybrid, which mainly focus on subverting the former hierarchy system. In chapter 4, human-machine characters’ value based on the chapter 3’s background information as posthumanism perspective is reconsidered. Based on Rosi Braidotti’s transposition and zoe concept, true meaning of the human-machine characters can be defined. With affected bodies, human-machine characters continuously traverse between human and machine. With these transforming procedures characters enable to evolve into a nomadic subjectivity. Nomadic subjectivity can be an uprising power in posthumanism era because of its special feature which keeps the connection in between human and machine network. Some unexplained phenomenon is happening these days around the world and posthumanism basically have the boundless features. What people need right now is the ability to imagine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utures and the other creatures.

      • 초등학교 저학년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안 설계 및 효과성 분석

        김수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우리나라에서는 2018년부터 「2015년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5~6학년과 중·고등학교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시작된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저학년부터 실시하면 창의력과 논리력 향상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선진국들에서는 만 5세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지침을 마련하여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이 사용할 컴퓨팅 사고력이 반영된 ‘스크래치 주니어’와 ‘Code.org’를 활용한 교육과정안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이 교육과정이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상남도 양산에 있는 S 초등학교 1~2학년 30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이와 동질적인 B 초등학교 30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설계한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5가지의 주제를 4주간 16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동질집단 및 컴퓨팅 사고력 검증의 검사지는 해외 여러 국가에서 정보 교과의 새로운 교육 모델로서 주목받고 있는 비버 챌린지 UK Bebras Computational Challenge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에 해당하는 컴퓨팅 사고력의 세부 구성 요소를 이용하여 사전․사후 검사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설계한 교육과정으로 학습한 실험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교해 컴퓨팅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임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 저학년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연구가 계속해서 필요함을 시사하며, 본 연구에 적용된 연구 대상과 주제는 한계가 있으므로 좀 더 세밀한 실험설계와 표본 집단 확보 및 다양한 주제를 통하여 초등 저학년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In Korea, software education will be started in primary schools of grades 5-6 and middle and high school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from 2018. However, If software education is carried out from the lower grades, It has advantages that improved creativity and logical power. Therefore, in developed countries, software education guidelines for software education are prepared from 5 years old. In this studies, we designed and applied the curriculum proposal using 'scratch junior' and 'Code.org' which reflects Computational Thinking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verified the effect on the learner 's Computational Thinking. We were used thirty students of the S primary schools as experimental groups and used thirty students of the B primary schools as comparative groups , in Yangsan, Gyeongsangnam.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designed curriculum to teach 5 themes over 16 hours in 4 weeks. The UK Bebras Computational Challenge (2014, 2015, 2016)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educational model for information curriculum in other countries. The homogeneous group and the Test of Verific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in it provides detailed compon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the lower grade students of primary school. And it were used as pre-test and post-test sit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through the newly designed curriculum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utational Thinking than the comparative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continuing need to study curriculum design for elementary and lower grades and there are limits to the subjects and subjects applied in this study. Therefore, through more detailed experiment design, sample collection and various topics, Continuous research on curriculum design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is needed.

      • 초등학생의 중학교 진학 시 타협과정

        김수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중학교 진학 시 겪게 되는 의사결정과정에서 나타나는 타협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타협과정에서 어떤 측면을 좀 더 고려하여 진학을 결정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첫째, 진학 할 중학교를 선택한 동기가 성별, 학업성적, 만족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 둘째, 중학교 선택에 영향을 주는 고려 측면들이 성별, 학업성적, 만족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구와 서구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7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이 중 276명의 응답을 이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조윤지(2003)의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과 진학생들의 진로결정요인 분석을 위해 실시한 척도를 사전 인터뷰를 통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적합한 문항으로 수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해석을 위하여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자료,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진학할 중학교를 결정할 때 가장 큰 진학 동기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진학 동기는 =16.760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중학교 진학 동기 별 만족 정도의 경향은 =62.007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1).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고려 측면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대부분 평균 2~3점의 점수 분포를 보이고 있어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학생은 본인, 흥미 등의 측면에서 3점 이상의 평균으로 나타나 진로 결정에 자기 의사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여학생은 흥미, 적성 등 개인적 특성을 선호하고 남학생은 직업의 명예와 사회적 지위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학업성적에 따라 진로의사결정에서 선호하는 측면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평균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진학하는데 개인적인 측면으로 지능과 성적(M=3.06)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 이외의 학생들은 지능과 성적의 평균은 부정적인 방향에 가깝게 나타났다. 학업 성적 집단 역시 성별 집단과 마찬가지로 진로의사결정에 본인의 점수가 높았고 상위권 학생에게 교사는 1점대의 평균으로 진로 의사 결정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응답에 가깝게 나타났다. 초등학교에서부터 폭넓은 진로 교육으로 교사가 진로교육의 주체가 되어 학생들이 진로 의논 상대로 교사를 선택할 수 있는 믿음과 역량과 갖추어져야 하겠다. 진로의사결정의 직업 관련 측면은 대체로 3점 이상의 세부 측면들이 많이 존재했다. 성별에 따른 비교와 마찬가지로 모든 집단에서 적성과 능력발휘를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만족 정도에 따라 고려 측면들을 살펴본 결과 만족 정도가 낮은 학생은 흥미와 적성을 별로 고려하지 않음의 응답에 가까운 반면 만족 정도가 높은 학생은 흥미와 적성을 약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에서도 자신의 흥미를 개발할 수 있는 진로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이 진로 선택에 있어서 흥미를 반영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주어야 한다는 것이 논의되었다.

      • 중학생의 성격 유형에 따른 사고 경험의 차이 : MBTI를 중심으로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산업 및 교통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각종 사고가 증가하였다. 사고 발생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데 인적 요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인적 요인 중에서도 제일 큰 사고원인으로 밝혀진 개인의 부주의는 성격 유형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이명선, 2002). 이에 본 연구는 일반적 특성과 안전교육 경험, 성격 유형을 파악하고 사고 경험 실태를 조사하여, 성격 유형이 사고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1개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6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내용이 부실한 19명을 제외하고 311명의 자료만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은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등ㆍ하교 방법으로 도보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다. 아버지 직업과 어머니 직업은 ‘있다’가 많았으며, 아버지와 어머니 교육정도는 모두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많았다. 형제수는 2명인 경우가, 주택형태는 아파트가 가장 많았다. 성적은 반에서 1~10등인 경우가 89명, 반에서 11~20등인 경우가 89명이었으며, 용돈은 1만원~3만원 미만인 경우가 가장 많았다. 2. 지난 1년 동안의 안전교육 경험에 대해서는 안전교육을 학교로부터 받은 학생이 대다수였으며, 학습한 안전교육으로는 성폭력, 왕따 및 학교폭력, 교통안전, 학교안전, 놀이 및 운동 중의 안전 순이었다. 지난 1년 동안 받은 안전교육 횟수는 평균 2.1번이었다. 3. 성격 유형을 MBTI로 검사한 결과, 외향형(E) 190명, 내향형(I) 121명, 감각형(S) 177명, 직관형(N) 134명, 사고형(T) 158명, 감정형(F) 153명, 판단형(J) 103명, 인식형(P) 208명이었다. 4. 지난 1년 동안의 사고 경험 실태에 대해서는 사고경험이 없는 학생이 사고경험이 있는 학생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사고 유형으로는 학교사고가, 사고 원인으로는 다른 사람의 부주의 또는 위험한 행동이, 손상 부위로는 사지, 사고 후 증상으로는 골절 및 근육손상이 가장 많았다. 사고 후 가장 먼저 치료를 받은 장소로는 병ㆍ의원이 학교보건실보다 조금 많았다. 손상 정도로는 ‘학교 보건실 또는 병ㆍ의원에 1~2번 방문하여 치료받은 가벼운 정도’의 손상을 입은 학생이 가장 많았다. 지난 1년 동안 사고 경험이 있는 학생의 사고 횟수는 평균 1.9번이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고 경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성별과 등ㆍ하교 방법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고,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아버지의 교육정도, 어머니의 교육정도, 형제수, 주택형태, 성적, 용돈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6. 안전교육 경험에 따른 사고 경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안전교육이 가정에서 이루어진 경우보다 학교에서 이루어진 경우의 사고 발생률이 현저히 낮아졌고, 교육 횟수가 1회 증가했을 때 사고를 경험할 가능성이 이전에 비해 30% 감소하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7. MBTI의 4가지 성격 유형에 따른 사고 경험과의 관련성을 살펴보면, 사고형(T)이 감정형(F)보다 사고 경험이 많았으며 사고 유형과 손상 정도 간에서도 차이를 보였고,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사고형(T)과 감정형(F)만 손상 정도를 성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여학생의 경우만 손상 정도 간 차이를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Recently, as our society has become more complex resulted from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raffic and population growth, various accidents are increasing. Accidents may be caused from various factors. Among others, human factor occupy the most. And among human factors, carelessness of an individual examined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accidents was regarded to have higher relation with the personality type. This study aims at graspi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safety education experience, personality type and accident experience and analyzing if the personality type influences on the accident experience. For 330 third-year students at one middle school located at Gyeonggi-Do,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n 16th, October, 2010. Excepting data of 19 students poor in contents, 311 students' dat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like followings. 1. As for the respondents' socio-demographic variable,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similar distribution and most students went to school on foot. For parents, the rate of 'having a job' and 'graduating from high school' was the highest. And the rate of 'having 2 brothers and sisters' and 'living in a apartment' was the highest. As for school records, the number of 1~10 and 11~20 in class was 89. In allowance, '1~3 ten thousand won below' was the highest. 2. As for safety education experience for the last 1 year, most of students got safety education from school. They got safety education about sexual violence, bullying and school violence, traffic safety, school safety, safety during playing and exercising in order. For the last 1 year, the mean of safety education frequency was 2.1 times. 3. As the result of testing personality types through MBTI, the number of each personality types was Extraversion(E) 190, Introversion(I) 121, Sensing (S) 177, iNtuition(N) 134, Thinking(T) 158, Feeling(F) 153, Judgement(J) 103 and perceiving(P) 208. 4. As for the accident experience for the last 1 year, students having no accident experience were more than 2 times than those having accident experience. The highest was school accident for accident type, others' carelessness or dangerous behaviors for accident cause, the limbs for injuried parts, fracture and muscle injury for symptoms after accident. After accident, they went to hospitalsㆍclinics than school infirmary. As for degree of injury, the highest was 'light injury which required 1~2 times visiting to school infirmary or hospitalsㆍclinics'. For the last 1 year, the mean of students having accident experience was 1.9 times. 5. As for relation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accident experience, i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sex and how to go to school.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parents' job,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residential type, school record and allowance. 6. As for relation between safety education experience and accident experience, safety education doing school than family lowered accident incidence outstandingly. When safety education frequency increased one time, possibility to experience accident decreased to 30%. 7. As for relation between 4 personality types of MBTI and accident experience, Thinking(T) experienced accident more than Feeling(F). Moreover, it showed difference in accident type and injuried degree. This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juried degree by sex only in Thinking(T) and Feeling(F), female student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 만4세 유아의 인형극 놀이에 대한 질적연구

        김수진 성신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문화기술적 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을 사용하여 자연적인 맥락 하에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인형극 놀이의 과정을 연구하려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인형극 놀이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놀이특성은 무엇인가? 2. 인형극 놀이의 성립과 지속을 위한 요건들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S 유치원의 만4세 진달래반 유아 28명(남아 15명, 여아 13명) 중 언어 영역에서 인형극을 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2002년 9월 24일부터 11월 1일까지 6주동안 자유선택활동 시간 중에 인형극 놀이를 관찰하였다. 관찰한 내용은 현장노트에 기록하고, 녹음기로 유아들의 대화를 녹음하였으며, 연구 보조원 1명을 동원하여 유아의 활동 장면을 비디오카메라로 촬영하였고, 유아 및 담임교사와의 비형식적인 면담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녹음 자료 및 비디오 자료에 대한 전사본과 현장기록지, 교사와 유아와의 면담 및 문서 수집, 사진을 중심으로 하여 질적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형극 놀이의 전개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놀이특성은 무엇인가? 첫째, 인형극 놀이의 주제는 유아의 일상적인 생활경험, 교사가 제안한 교육적 경험, 부정적 정서를 표현하는 정의적 주제로 나타났다. 둘째, 인형극 놀이는 배우와 관객, 즉흥적 시나리오, 연출가, 무대가 존재하는 연극의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인형극 놀이에서 유아들은 손동작을 통해 인형을 조정하면서 인형의 움직임을 만들어 내는 동시에, 자신의 목소리를 통해 대사를 하며 인형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인형극 놀이에서 유아들은 인형의 종류에 따라 가작화 연기의 신체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즉 손인형의 경우 유아의 가작화 연기에서 동작성이 가장 증진된 반면, 손가락 인형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형극 놀이에서 유아들은 놀이의 시작과 끝을 알리기, 역할결정 및 재결정, 역할의 전형적인 연기행동 결정 및 수정, 가상적 상황 설정과 공고, 사물의 가작화 설정과 수정, 갈등해결 등의 상황적 맥락에서 상위의사소통을 사용하였다. 2. 인형극 놀이의 성립과 지속을 위한 요건들은 무엇인가? 첫째, 인형극 영역에 제공된 인형의 구조성, 인형의 종류, 인형의 조종방법이 인형극 놀이의 성립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형극 놀이에서 유아의 놀이참여와 갈등 해결, 또래의 단계별 지지가 인형극 놀이의 성립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형극 경험 제공하기, 격려해주기, 지원해주기, 놀이자로 참여하기와 같은 교사의 적절한 개입은 유아들의 인형극 놀이의 성립과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chieved on purpose to study the process of puppetry play that happens in the kindergarten classroom under natural situation by the method of study Qualitative Research. For this object, it was established following research topics. 1. What is the play special quality of young children showed in the process of puppetry play? 2. What are essential factors for organization and continuance of puppetry play? Taking young 28 children (15 boys, 13 girls) who play the puppetry in language area among 4-year-olds Azalea class of S kindergarten as a research, it was observed puppetry play in process of free-choice play in preschool during 6 weeks from September, 24, 2002. to November, 1, 2002. Contents observed was written in the note. Children's dialogue was recorded. Children's activity was also recorded by video-camera with 1 assistant. And we had unformed meeting with young children and teacher. Qualitative research was done with transcription of collected the visual and auditory information, the record of field, teacher and young children's interview, documents collected, and photo.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What is the play special quality of young children showed in the process of puppetry play? First, the subject of puppetry play is young children's usual life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teacher intended, the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Second, puppetry play has theatrical special quality that actor, audience, an extemporary scenario, a producer, and the stage exist. Third, while young children control the puppet in puppetry play, they could inspire the puppet with life through their voice. Fourth, young children have a difference with the corporality of make-believe depending on the kind of puppet during the puppetry play. In the case of hand puppet, the most increased young children's the corporality of make-believe, in other case of finger puppet the least increased it. Fifth, young children used meta-communication in puppetry play to inform beginning and ending, to decide and re-decide the roles, to decide typical pretended action and correct the roles, to establish imaginary contexts and solidity, establish and modify the object of make-believe and to resolve the conflicts. 2. What are essential factors for organization and continuance of puppetry play? First, puppet of structure, kinds, and control method affect the organization and continuance of puppetry play. Second, in puppetry play,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resolution of conflicts, support step by step affect the organization and continuance of puppetry play. Third, teacher's intervention such as providing the experience of the play, encouragement, support, participation in the capacity of the play affects the organization and continuance of puppetry play.

      • 인터넷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흡연예방교육 효과

        김수진 全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초등학생의 흡연경험과 흡연률이 높아져 흡연예방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이용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이고, 연구대상은 J시의 한 초등학교 6학년 4개 반 총 123명이었으며, 무작위에 의해 2개 반은 실험군에, 2개 반은 대조군에 배정하였다. 중간 탈락자와 자료에 대한 응답이 불성실한 자를 제외하고 최종 자료분석에 포함된 학생은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57명 이었다. 연구기간은 2004년3월 15일~2004년 6월 18까지였다. 흡연예방교육 실시 전에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일반적 특성, 흡연 지식, 태도 점수를 측정하였고 대조군은 사전조사 후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게는 2004년 05월 10일부터 5월 28일까지 17일 동안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였다. 사후조사는 사전 조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흡연예방교육 종료 3주 뒤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흡연에 대한 지식,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0.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Kolmogorov- Smimov test, x^(2)-test, Mann-Whitney U 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흡연예방교육 후 두 집단간 흡연 지식 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흡연 지식 점수가 더 높았다(F=901.17, p=.000). 그러므로 제 1가설인 "인터넷을 이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초등학생은 흡연예방교육을 받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흡연에 대한 지식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2) 흡연예방교육 후 두 집단간 흡연 태도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흡연 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F=1588.87, p=.000). 그러므로 제 2가설인 "인터넷을 이용한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초등학생은 흡연예방교육을 받지 않은 초등학생보다 흡연에 관한 태도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이상과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흡연예방교육은 초등학생들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인터넷을 이용한 흡연예방교육은 초둥학생의 흡연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smoking afte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by using internet.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The subjects of study included 114 students of 4 classes 6th ade at an primary school in J city. Among them, 57 students of 2 classes wer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educated and 57 students of 2 classes wer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educated.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April 15 to June 18 of 2004. Befor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general character, knowledge, attitude on smoking for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were pretested. After pretest there was nothing management to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hen offered the chance to get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17days. Posttest was also conducted after 3 weeks when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was finished. The methods of study was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0.0 program.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knowledge of smoking(F=901.17, p=.000).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 there knowledg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first hypothesis, that the level of knowledge on smoking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accepted. 2)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attitude on smoking(F=1588.87, p=.000).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in there attitude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e second hypothesis, that the score of attitude on smoking of experimental group will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accepted. Thus,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for primary school students by using interne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rimary students increasing knowledge, attitude on smoking. Therefore,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by using internet is recommended for prim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