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며 직무환경 개선에 대한 실천적인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 개인의 복지 향상에 기여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장기요양기관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직무만족으로 하위측면의 직무자체, 감독, 보수, 승진, 동료로 나누어 변수를 설정하였다. 독립변수는 직무환경으로 하위측면의 조직풍토, 역할특성, 비금전적 보상으로 나누어 변수를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서울시 2,227개의 기관과 경기도 3,405개의 기관에서 편의표집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총 205부 중 2부를 제외한 203개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았다. 직무만족도에 대한 수준은 3.26점(표준편차=.35)으로 보통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위변수 중 동료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수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환경에 대한 수준은 평균이 2.97점(표준편차=.16)으로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수 중 조직풍토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역할특성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독립변수 중 조직풍토․비금전적 보상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특성의 하위영역인 역할모호․역할갈등․역할과다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들은 직무만족도의 하위변수인 직무자체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사회복지사 수(많을수록), 감독 만족도에서는 주요업무(행정관리를 하는 사회복지사), 보수 만족도에서는 주요업무(행정관리를 하는 사회복지사), 총체적 직무만족도에서는 주요업무(행정관리를 하는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수가(많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연구대상을 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로 넓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지금까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어져왔다.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장기요양기관의 직무환경을 알아보고 장기요양보험제도 이후 변화된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그동안 소홀했던 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범위를 확대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을 조직풍토, 역할특성, 비금전적 보상으로 구체화하며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직무환경의 조직풍토와 비금전적 보상과는 긍정적으로, 역할특성의 역할모호․역할갈등․역할과다와는 부정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에서는 근무환경을 고용계약, 입사경로, 경력, 근무연수, 전문자격증, 종사업무, 직위, 보수, 교육, 휴가제도 등으로 구분한 일반적 특성에서 도출해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로 구조화된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직무만족과의 연구에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셋째,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도 근속기간이 길고, 편안하고, 도전적이며, 보상이 높고, 승진이 잘되고, 갈등이 적으며 역할이 확실한 경우에 장기요양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이로써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과 직무만족과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의의를 갖는다. 넷째, 사회복지사에 대한 보상체계의 현실화가 필요하다. 연구결과 직무환경 중 비금전적 보상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하위영역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수에 대한 만족도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장기요양기관 사회복지사도 사회복지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을 함께 적용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조직풍토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구 결과 직무환경 중 조직풍토가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사와 직원 간에 우호적이고 협조적인 분위기가 조성되면 직무만족도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자율적인 의사결정권을 인정하고 자족할 수 있도록 격려하며, 지지적이고 교육적인 슈퍼비젼을 제공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직무분석을 통해 직무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장기요양기관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사 ABSTRACT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the Long-term care center Job environment Kim, Hee Kyou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dviser : Prof. Kim, Chan-Wo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job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centers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and to explore down-to-earth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job environments. It's specifically meant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personal welfare of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centers and to give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o boost the quality of service provided to elderly people in want of long-term care service. A selected dependent variable was job satisfaction, which was divided into satisfaction with job itself, supervisor, pay, promotion and colleagues. A selected dependent variable was job environments, which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climate, role characteristics and non -monetary compens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social workers who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from 2,227 long-term care centers in Seoul and from 3,405 long-term 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250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 answer sheets from 203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two on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and the job environments of the long-term care centers were investigated. The social workers got a mean of 3.26(SD=.35) in job satisfaction, which was above average. Out of the subvariables,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colleagues, followed by pay, and they were least gratified with promotion. As for job environments, they got a mean of 2.97(SD=.16), which was a relatively low score. Out of the subvariables, they were much satisfied with organizational climate, and their satisfaction with role characteristics was low. Second, how the job environments of the long-term care centers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organizational climate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at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at was under the negative influence of role ambiguity, role conflicts and role overload,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role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the control variables, satisfaction with job itself that was one of the subvariables of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the number of social workers.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job itself when there was a larger number of social workers. Satisfaction with supervisor was under the influence of major duties, and the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were more satisfied with their supervisors. Satisfaction with pay was affected by major duties, and the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were more contented with their pay.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influence of major duties, and the social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administration expressed more overall job satisfaction. In general, a larger number of social workers led to better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served to extend the sphere of studies of job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centers. So far,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has been investigated from various angle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job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centers, which lately showed a rapid increase in number, and the influence of the changing job environments affec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plan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us,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extension of the scope of research i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long-term care centers, which has been disregarded. Second, the job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centers were classified into organizational climate, role characteristics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and a structuralized inventory that employed a five-point scale was utilized. And it's found that organizational climate and non-monetary compens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role ambiguity, role conflicts and role overload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that. Existing studies have examined job satisfaction in consider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s that were classified into employment contract, the route of joining a long-term care center, career, the length of service, certification, duties, position, pay, education and leave. But this study made use of a structuralized inventory of five-point scale and provided a rationale on job satisfaction. Third, the job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centers were identified as a variable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And this finding corresponded with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that the employees of long-term care centers could express better job satisfaction when they work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when they felt at ease, when they were challenging, when they were better compensated, when it's not difficult for them to get promoted, when they underwent less conflicts and when their roles were better clarified. Thu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d a rationale about the relationship of job environments and job satisfaction in long-term care centers and offered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the job environments of long-term care centers. Fourth, the compensation system for social workers should be improved. Among job environments, non-monetary compensation was found to exercise the larg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hat was found to have a

      •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희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영유아들에게 제공되는 보육및 교육의 질을 향상시켜고 보다 실질적인 실천 행위로 발현될 수 있도록 영유아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교사효능감을 제고하고, 이를 위한 방안을 계획하여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 영유아권리존중 인식,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교사효능감이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영유아교사의 직업정체성과 영유아권리존중 인식 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자료는 인천광역시,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재직하고 있는 영유아 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2020년 8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2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을 묻는 내용으로‘직업관’,‘전문성’,‘소명의식’3개의 하위요인으로 이루어진 직업정체성(한은희, 2018)도구, 영유아 교사들의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대한‘생존권’,‘보호권’,‘발달권’,‘참여권’4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 된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이은경, 2018)도구, 정수미(2015)의 하위요인을 영유아교사에게 보다 적절하게 해석하기 위해 문항의 내용에 따라 하위요인 명을 박사학위과정을 수료한 유아교육현장 전문가 1인의 안면타당도 검증을 거쳐‘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 3개 하위요인으로 재구성하여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계수,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그리고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이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후, 소벨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분석을 살펴보면, 직업정체성의 평균은 5점 만점에 3.54점이었다. 하위변수별로 살펴보면‘직업관’,‘전문성’,‘소명의식’순으로 나타났다. 영유아권리존중 인식 평균은 5점 만점에 4.02점이었다.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의 하위변수별 평균은‘보호권’,‘참여권’,‘생존권’,‘발달권’순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5점 만점에 3.79점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수인‘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순으로 모두 5점 척도의 중간 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직업관’,‘전문성’,‘소명의식’), 교사효능감(‘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생존권’,‘보호권’,‘발달권’,‘참여권’)의 상관관계에 대한 결과는 직업정체성, 교사효능감, 영유아권리존중 인식 수준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수인‘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가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의 하위변수‘생존권’에 미치는 영향력은‘놀이 및 학습지도’와‘교수방법’은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었고,‘행동지도 및 통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수‘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가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의 하위변수‘보호권’에 미치는 영향력은‘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이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미쳤고,‘행동지도 및 통제’는 유의미한 부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수‘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가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의 하위변수‘발달권’에 미치는 영향력은‘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 모두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의 하위변수‘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행동지도 및 통제’가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의 하위변수‘참여권’에 미치는 영향력은‘놀이 및 학습지도’,‘교수방법’은 유의한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행동지도 및 통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독립변수인 직업정체성의 하위변수‘직업관’과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독립변수인 직업정체성의 하위변수‘전문성’과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는 독립변수인 직업정체성의 하위변수‘소명의식’과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영유아권리존중에 대한 인식을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살펴보았고, 그동안 보육정책으로 영유아권리존중을 위해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교육을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하고 있음에도 실제적인 보육 및 교육 현장에서 영유아권리존중 문화가 아직 자리매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영유아 교사의 직업정체성과 교사효능감이 영유아권리존중 인식의 선 과제임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들이 교사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교사로서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지원과 노력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teacher efficacy of childcare teachers so that the quality of childcare provided to infants and toddlers in the field can be enhanced to be expressed as a practical action, and to provide information to plan and practice measure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To this end, the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of childcare teachers on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was examin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was examined in this relationshi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childcare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and teacher efficacy? Research question 2. How do childcare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and teacher efficacy affect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Research question 3.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between occupational identity of childcare teachers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To collect data, a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on 318 childcare teachers in Incheon, Seoul, and Gyeonggi-do from August 1st to August 14th, 2020. Research tools consisted of occupational identity (Han, 2018) scale consisting of three sub-factors of occupational view, professionalism, and perceiving a calling,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Lee, 2018) scale consisting of four sub-factors of rights to survival, protection,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In addition, in order to appropriately apply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 efficacy of Jung (2015) to childcare teachers, the facial validity of on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expert who completed the doctoral degree was verified. Thus,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 efficacy were reconstructed into three sub-factors of play and study guidance, teaching methods,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0.0 Win program. Frequency and percentage, Cronbach's α coefficien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method of Baron and Kenny (1986) was applied and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after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identity of childcare teachers on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major variables, the average of occupational identity was 3.54 out of 5 points. The order of the averages of the sub-factors were occupational view, professionalism, and perceiving a calling. The average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was 4.02 out of 5. The average of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by sub-factors was in the order of right to protection, right to participation, right to survival, and right to development. Teacher efficacy was 3.79 out of 5 points. The average of each sub-factors of teacher efficacy was higher than the median value of the 5-point scale, in the order of play and study guidance, teaching methods, and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Second, childcare teachers' occupational identity (occupational view, professionalism, perceiving a calling), teacher efficacy (play and study guidance, teaching methods,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rights to survival, protection,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show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overall.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play and study guidance and teaching method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wareness of right to survival.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did not affect awareness of right to survival. Play and study guidance and teaching method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wareness of right to protection, and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ll of play and study guidance, teaching methods,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wareness of right to development. Play and study guidance and teaching method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awareness of right to participation, and behavior guidance and control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Fourth, it was verified that teacher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view, one of the sub-factors of occupational identity,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Next, it was verified that teacher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Finally, it was verified that teacher 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ing a calling and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Despite advocating for childcare that respects infants and toddlers' rights and actively implementing teacher education for this, a culture that respects infants and toddlers' rights in the actual childcare and education field is not yet established. At this poi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d the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for childcare teachers, and suggested that occupational identity and teacher efficacy are a prerequisite for awareness of respect for infants and toddlers' righ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childcare teachers will be supported to demonstrate their competency through practical programs that can improve teacher efficacy.

      • 초등학교 1학년을 위한 음악 감상 방법 연구

        김희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39

        Music education in school bears an objective of allowing the students to nurture sensitive sentiments toward music as well as developing attitudes for expressing and experiencing music. This goes beyond simply singing well or being able to play an instrument in a skillful manner, to include seeking musical growth and aesthetics that consist of ability to distinguish musical elements, engage in imagination and insight to enhance the aesthetic attitude reflected on ones life.In order to nurture the musical development and aesthetic attitude, every music class must include the process of allowing the students to appreciate the beauty of a musical piece and its artistic significance. In order to make such class feasible, each individual student must be sensitive toward hisher musical receptivity, which can be nurtured through learning. Being trained to listen carefully to the sound and becoming familiar with the attitude of appreciating a musical piece are very important for bringing sensitivity to musical receptivity. Appreciation activity is what is related to such process among various fields of music education. Apprecia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music education, should always be incorporated into the music education curriculum, and it also has a profound 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Correct appreciation activity will greatly contribute toward achieving the fundamental aspect of music education, namely musical development and nurturing of aesthetic attitude.It is best to experience a correct appreciation approach at an early age. Today, there is an increasing recognition for childrens music appreciation. However, music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first and second graders relies mainly on textbooks, and music is included in the Joyous Life subject of their curriculum along with physical education and art. The subject only has two musical piece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implement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This study seeks means for active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for musical development and nurturing of aesthetic attitude within the integrated Joyous Life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proposing teaching methods for enhancing music listening skills and appreciation methods for diversifying appreciation activities with the Joyous Life subject for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In order to develop a correct approach to appreciation, it is important to teach first graders to sufficiently practice listening attentively to various sounds and bearing an attitude of feeling toward sound. Such practice is referred to as listening activity in this study, and a program is proposed for intensifying listening activities during Joyous Life classes where music is involved. Moreover, music pieces outside the textbook appropriate for first graders are suggested as well as their application methodology and there are also proposition for musical piece appreciation activities that integrate playing, listening activities and rhythmic instrument playing.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have much curiosity and display very energetic activities. They like to sing, play musical instruments and at the same time, enjoy and eager about listening to and expressing music. If children can learn how to listen to and feel music at such an energetic, active age when they can easily absorb things around them, it will contribute significantly toward embracing musical development and a loving attitude for music. 학교에서의 음악 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기르고, 음악을 표현하며 음악을 느낄 수 있는 태도를 기르는 데 목적을 둔다. 이것은 단순히 노래를 잘 부르거나 악기를 능숙하게 연주하는 기능을 연마하는 것이 아니라 음악적 식별력과 상상력, 음악적 통찰력을 포함한 음악성의 성장과 미를 추구하며 자신의 삶에 투영시키는 심미적 태도를 기르는 것을 의미한다.음악성의 성장과 심미적 태도의 육성을 위하여 매 시간 음악 수업은 악곡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의미를 음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음악 수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개개인의 음악적 감수성이 예민해야 하며 음악적 감수성은 학습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 음악적 감수성을 예민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음을 주의 깊게 듣는 훈련과 악곡을 감상하는 태도를 몸에 익히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과 관련된 것이 음악의 여러 부분 중 ‘감상 활동’이다. 감상은 음악 교육 활동의 출발이며 음악 교육의 과정 속에서도 항상 스며있어야 하고, 결과 부분에도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 올바른 감상 활동은 음악성의 성장과 심미적 태도의 육성이라는 음악 교육의 본질적 측면을 성취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올바른 감상 활동은 어렸을 때부터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요즈음은 유아 음악 감상에 대한 인식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주로 교과서에 만 의존하여 수업이 이루어지는 초등학교 1, 2학년의 경우 음악이 ‘즐거운 생활’ 교과로서 체육, 미술과 통합되어 있고, 감상곡이 2곡만이 실려 있기에 음악을 감상하는 활동이 매우 미흡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즐거운 생활’이라는 통합 교과 속에서 음악성의 성장과 심미적 태도 육성을 위한 적극적인 음악 감상 활동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서 음악 듣기 능력을 신장하는 교수 방법 ․ 감상 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감상 방법 구안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올바른 감상 태도를 기르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시기에는 먼저 다양한 소리를 귀 기울여 듣는 활동, 소리에 대한 느낌을 가지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충분히 연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것을 ‘듣기 활동’이라 칭하고, 즐거운 생활 교과 시간 중 음악과 관련된 수업 활동에서 듣기 활동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또한 교과서 외에 1학년에게 적합한 감상곡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방법상 1학년 어린이들에게 놀이와 결합한 듣기 활동, 리듬 악기 연주와 결합한 악곡 감상 활동을 제안하였다.초등학교 1학년 어린이들은 호기심도 많고 활동도 왕성하다. 노래를 부르는 것도 좋아하지만 악기를 연주하는 것, 음악을 듣고 표현하는 것도 즐거워하고 적극적이다. 왕성한 활동력으로 주변의 사물과 현상을 흡수하는 어린 시기에 음악을 듣고 느끼는 법을 몸에 익힌다면 음악성의 성장과 음악을 애호하는 태도 함양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치매 태도에 대한 영향요인 비교 : -남해군 시범 치매안심마을과 일반마을 대상으로-

        김희경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개선 및 치매친화적 환경조성을 위해 지역사회 기반을 활용한 마을형 치매 안전망 구축 추진 사업을 시범적으로 운영 중인 남해군 치매안심마을의 사업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안심마을에서 시행 중인 치매 예방교육과 치매 파트너 활동 등이 치매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치매안심마을 113명과 일반마을 142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25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치매 태도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치매에 대한 지식과 치매관련 특성,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SPSS Ver.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안심마을과 일반마을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과 학력, 취업 여부, 경제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연령이 치매안심마을은 70세 이상이 92.9%인 반면, 일반마을은 78.1%였고, 학력은 치매안심마을은 초촐 이하가 94.7%인 반면, 일반마을은 90.1%였다. 또한 취업하고 있는 경우가 치매안심마을은 8.0%인 반면, 일반마을은 36.6%였고, 경제만족도가 낮은 경우가 치매안심마을은 58.4%, 일반마을은 46.8%였다. 둘째, 치매안심마을과 일반마을의 치매 지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 평균 안심마을 7.15/15점과 일반마을 8.01/15점으로 일반마을의 지식 수준이 높았다. 셋째, 치매안심마을과 일반마을의 치매 태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안심마을은 3.33/5점, 일반마을은 3.32/5점으로 태도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치매안심마을과 일반마을의 치매 관련 정보 습득 경로는 차이를 보였다. 안심마을은 보건소 프로그램 및 홍보자료가 가장 높은 반면, 일반 마을은 대중매체가 주요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에 대한 도움 요청은 안심마을은 보건소(74.3%)를 가장 선호한 반면, 일반마을은 보건소(52.5%)와 병원(42.6%)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다섯째, 치매안심마을과 일반마을의 치매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치매안심마을은 치매에 대한 지식 수준(=0.438)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초졸(=0.215), 중졸(=0.203)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마을의 경우에는 중졸(=0.294)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보였고, 여자(=0.273), 치매환자를 접한 경험((=0.222)과 초졸((=0.222), 연령(=-0.194) 순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치매에 대한 정확한 지식은 치매에 대한 태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성별, 연령별, 교육수준별 대상자 맞춤식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안심마을에 제공되는 지식 전달을 위한 전문적인 인력 양성과 배치가 필요하다. 셋째, 보건소 중심 치매안심마을에서 제공되는 치매에 대한 서비스는 치매 태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므로, 서비스 전략과 모델을 지역 특성에 맞게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dementia relief village in Namhae-gun, which is piloting the development of a village-type dementia safety net using the community base to improve the negative awareness of dementia and to create a dementia-friendly environmen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and dementia partners' activities on dementia attitudes, this study examined 113 dementia and 142 general villages from October 25, 2019 to 10.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by March 31. In order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dementia attitudes, knowledge of dementia, dementia-related characteristic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used as variables. SPSS Ver.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24.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relief villages and general villag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status, and economic satisfaction (p <0.05). The age of dementia-insured villages was 92.9% for those over 70 years old, 78.1% in general villages. In addition, 8.0% of dementia-safe villages were found to be employed, while 36.6% were of general villages, and 58.4% of dementia-safe villages and 46.8% of ordinary villages had low economic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dementia knowledge between dementia relief village and general village, the average knowledge level of general village was 7.15 / 15 and 8.01 / 15 general village.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dementia attitude between dementia relief village and general village,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itude level between 3.33 / 5 points for security village and 3.32 / 5 points for general village.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formation acquisition paths between dementia relief villages and general villages. Relief villages have the highest public health center programs and promotional materials, while the average villages receive the mai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quest for help on dementia was found to be the most preferred among health centers (74.3%), whereas those in general villages prefer public health centers (52.5%) and hospitals (42.6%) (P <0.05). Fifth, there were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dementia attitudes between dementia-safe and general villages. In dementia care villages, knowledge level of dementia (= 0.438) was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 0.215) and middle school (= 0.203). On the other hand, middle school (= 0.294) wa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general villages, with women (= 0.273), experiences with dementia patients ((= 0.222), elementary school ((= 0.222), and age (= -0.194). ) (P <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accurate knowledge of dementia has been shown to increase attitudes toward dementia. Therefore, a personalized education program by gender, age, and education level is required. Second, it is necessary to train and arrange professional manpower for the knowledge transfer provided to the dementia relief village. Third, services for dementia provided by dementia relief villages centered on public health centers are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dementia attitud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rive service strategies and model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 경찰의 집회․시위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김희경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the fundamental rights of a constitution that have realized to democratic government for the profit and purpose of union with group form that builds up communication with others takes the shape expression. The promoter and attendance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have made use of the struggle to build one's claim that prefer to public opinion than the justice and legality of the method, whinh the illegal violence demonstration has actually spreaded with extreme operation. But,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and surrounding. The rec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culture is doing changed to the illegality violence that is effected with the future site of u.s. military headquarters in the Pyeong-tack, in 2006, the Korea and America FTA demonstration, the big candlelit rally. The illegality and violence demonstration has charged the society over common sense to loudspeaker, labor loss increase and then the fall of the national foreign image and reliability, increase of domestic economy distrust. There are in danger of that the social expense is increasing to 12 billion 3 thousand million with the illegal assembly.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so weak that the illegality and violence is growing activity. So, It should be strictly justical punishment for the illegality and violence protesters with mask for identity disguise so that will be come to the peaceful violence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the assembly and violence with development will be attribute to the peace of public and preserve order that come to reshape with a social analysis with correspondence to issue for search of foreign legislation, the assembly and violence to the limit of the police authority. So, in this study the present countermeasure of the police has empasised with theoretical which has changed with the field importance and field management spot whic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recently we are going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and issu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going to indicate at the efficient improvement program. Eventually, in this study I have arranged with settle down in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at has aroused weekend downtown traffic jam and several noise arouse, social curtail expense, physical preservation of collision between the police and demonstrator,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law is necessary for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that will be consist the 'Law Equipment Plan and Assembly Demonstration Law" to the long term subject 집회 및 시위는 타인과 의사를 형성․표현하기 위해 집단적인 형태로 공동의 이익과 목적을 추구함으로써 민주정치를 실현하는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이지만, 집회․시위의 주최자나 참석자들은 그 방법의 정당성․적법성 보다는 사회적 여론을 형성하여 다중의 위세를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관철시킬 수 있을지 우선시하는 투쟁적 성격으로 집회․시위가 남발되고 다양화되면서 과격 돌출행동으로 불법폭력시위가 만연되고 있는 현실이다. 반면, 경찰은 이러한 불법․폭력 시위로부터 일반 시민의 생명․신체․재산․그 밖에 기본권을 지켜야 할 의무 또한 있다고 할 것이고, 합법적인 집회․시위의 자유를 적극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의무와 법과원칙에 따라 엄격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와 환경에 따라 최근 집회 및 시위문화가 평화적인 기조 양상에서 2006년 평택 미군기지 이전, 한미FTA 반대 시위, 촛불집회를 비롯한 도심 집회에서 불법․폭력 시위가 도를 넘어 인명손실 및 상해, 재물파괴, 교통채증 등 직접적인 피해 이 외도 국가 대외 이미지와 신인도 하락으로 국내 경제 불안정성 증가 등 다양한 형태의 피해를 유발시켜 법․질서의 정비 및 준수 정도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고, 비용 또한 12조 3천여억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처럼 집회․시위와 관련된 정치적․사회적 여건 변화 추이에 정부, 경찰, 언론, 시민단체 모두는 시위에 대한 인식과 역할이 바뀌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새로운 페러다임을 구축하고, 경찰은 법률상 집회․시위 관리에 있어 제도적 재정비 및 점검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고, 언론이나 시민단체도 역할인식을 새롭게 하여 공정한 보도와 집회․시위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 인식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경찰은 집회․시위 관리에 있어 불법․폭력 시위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등 현행 처벌 규정이 미약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복면 및 마스크 등을 착용한 신분위장 행위자 등 불법․폭력 시위자들은 철저한 채증․판독을 통해 사후 엄정한 사법처리를 함으로서 건전한 평화시위 문화를 정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화적인 집회․시위 문화의 형성을 구축하는데 있어 현재의 경찰대응방식은 이론적 방법에 치중하였다면 현장중심과 사안별 현장관리 중심으로 최근 우리나라 집회․시위 실태 및 현황,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으며, 궁극적으로는 평화적인 집회 및 시위문화 정착을 위해 실무적인 입장에서 정리하였으며, 주말 도심 교통채증과 반복적인 소음야기, 사회적 비용절감, 경찰과 시위대간 물리적 충돌 방지, 평화적 준법시위문화 정착에 따른 대외신인도 제고를 위해 장기적인 과제로 관련 ‘법령 정비방안과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