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안전사고 보상제도 탐색

        김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school safety accidents and the compensation system of school safety mutual-aid associations, and to suggest whether there was any room for improvement in the new compensation system introduced by the school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compensation act. Fiv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legal foundation for the compensation system for school safety accidents and compensation liability for the accidents? 2. What is the state of compensation made by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s for safety accidents? 3. What are the problems with the lawsuit cases for school safety accidents? 4.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old and new compensation systems? 5.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in the new compensation system?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he relevant law and literature were reviewed, and the state of compensation and suit cases before the new law took effect were investigated to figure out problems with the compensation system. And what changes the new act brought to that system was checked, and workable reform measures that were expected to improve the current compensation system were sugges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mpensation system for school safety accidents was built on the state tort liability right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Civil law and the state tort liability act also laid the foundation for that system, but there weren't clear regulations about the extent of compensation liability since whether a safety accident took place on purpose, by mistake or in the wake of illegal act was primarily taken into account. Second, almost every school joined school safety mutual-aid associations. But the number of school safety accidents was on the rise every year, and they consequently had to pay an enormous amount of compensation, which resulted in waning the compensation system. Third, according to relevant suit cases, school safety mutual-aid associations didn't make enough compensation, which led to frequent suits. And there weren't sufficient efforts to relieve victimized students or to protect teachers concerned, either. Fourth, the new compensation system made progress in quality and quantity in terms of the definition of the nature of school safety mutual- aid association, the form of joining in that association, the range of compensation and compensation criteria. Fifth, the new compensation system should continue to be modified in order to function as a perfect school safety network and make more realistic compensation. Besides, how to provide preventive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new compensation system extended the range of compensation for school safety accidents and applied stricter regulations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However, more discreet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providing efficient preventive education and making the system more prevailing in school communities. Besides, school safety mutual-aid associations should try to reinvent themselves by backing up preventive education and making more reinforced PR efforts about mutual-aid projects. 본 연구는 학교안전사고와 관련된 문제를 학교안전공제회의 보상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시행으로 달라진 새 보상제도를 검토·진단하여 보완할 점은 무엇인지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학교안전사고 보상제도의 법적 근거와 보상 책임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안전공제회의 안전사고에 대한 실제 보상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안전사고와 관련한 소송 사례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무엇인가? 넷째, 신?구 보상제도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새 보상제도의 보완할 점은 무엇인가? 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학교안전사고 보상제도에 대한 법률과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고 새 법률이 시행되기 전의 보상실태와 소송 사례를 통해 보상제도의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그리고 나아가 법률 시행 후 달라진 보상제도를 검토해 보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제기되는 보완점들을 중심으로 현 보상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도 제시해 보았다. 이런 일련의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론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사고에 대한 보상제도는 헌법이 보장한 국가배상청구권에 기초하고 민법과 국가배상법 등에서 실제적인 보상의 근거를 찾을 수 있으나, 고의나 과실, 불법행위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되어 보상 책임의 한계가 불분명하다. 둘째, 학교안전공제회는 가입이 거의 모든 학교로 확대되었으나, 매년 학교안전사고 발생건수의 증가로 막대한 보상금이 소요됨에 따른 보상 체제가 미흡하다. 셋째, 학교안전사고로 인한 소송 사례를 볼 때 학교안전공제회의 보상이 충분하지 못하여 빈번한 소송이 야기되고 피해 학생의 구제와 교원 보호의 측면도 미비하다. 넷째, 새 보상제도는 학교안전공제회의 성격과 가입 형태, 보상금의 범위와 기준 등에서 이전에 비해 질적, 양적으로 확대·강화되었다. 다섯째, 새 보상제도는 학교안전망으로서의 역할 강화와 보상의 현실화를 위해 제도와 운영 면에서 계속적인 보완이 필요하고, 보상제도의 개선과 더불어 예방교육의 방안도 적극 강구되어야 한다. 새롭게 시행된 보상제도가 학교안전사고에 있어서 피해에 대한 보상을 확대하고 교사와 학생의 보호라는 측면을 강화하였음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좀 더 적극적인 자세로 안전사고의 예방교육에 힘쓰고 ‘학교안전사고 예방 및 보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근거하여 학교 현장에서 보상제도의 변화가 체감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리하여 학교안전공제 예방교육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과 공제사업에 대한 교육 및 홍보에도 힘써 진정한 학교안전공제회의 모습으로 거듭 태어나야 할 것이다.

      • 박물관의 조직과 기능에 관한 연구-전쟁기념관을 중심으로

        김숙 숙명여자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박물관 조직과 기능에 대한 분석을 하고 외국 전쟁박물관 조직의 특징과 기능을 살펴보고 전문박물관으로서의 전 쟁기념관 조직과 기능의 문제점을 도출함으로써 전쟁기념관 조직의 개선과 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전쟁기념관은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전쟁과 관련된 각종 자 료를 수집 . 조사 . 연구 . 보존하고 전시하는 전문박물관이다. 따라 서, 전쟁기념관은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면서 전쟁기념관 사업의 목 적을 달성하고 전문박물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 록 조직구조가 편성되어야 한다. 박물관을 운영하는 조직은 크게 핵심운영 부문과 지원운영 부문 으로 구성되어 진다. 핵심운영 부문은 관련 자료의 수집 . 조사연구 . 전시 활동을 하는 학예부서이며, 지원운영 부문은 인사 . 재정 . 시설 관리 및 교육 . 홍보 활동을 포함한다. 지원운영 부문은 박물 관의 인적 . 물적 지원, 관리를 함으로써 핵심운영 부문의 활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여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한다. 그러나 전쟁기념관의 조직 . 인적 배치 및 기능 등 현황을 분석 하여 본 바, 전쟁기념관을 운영하는 조직은 전쟁관련 전문박물관으 로서의 조직구조를 갖고 있지 않아 박물관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등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즉 핵심운영 부서 는 학예부 1개 부서인데 반하여 지원운영 부서는 많은 부 . 실로 분 화되어 너무 비대한 조직을 이루고 있어 조직 통합의 어려움을 나 타낸다. 인력배치면에서도 핵심운영 부서와 지원운영 부서의 인적 구성 비율의 불균형이 심하여 핵심운영 부서임에도 학예부의 업무 와 활동이 소홀히 취급된 바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먼 저 전쟁기념관의 목적과 전쟁기념관을 운영하는 조직의 사명을 확 실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목적과 사명을 성취할 수 있도록 전 쟁기념관을 운영할 수 있게 조직구조를 개선하여야 한다. 즉 방만한 조직 운영을 지양하고 조직 운영의 경제성 . 효율성을 고려하여 학 예부서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지원운영 부서의 수를 하나로 통합 하여야 한다. 또한 학예부의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학예직 과 일반 행정 . 기술직을 분리하여 선발 . 임용 . 보직하는 인사 운 용의 원칙이 있어야 한다. 그래서 학예부의 인력이 질적 . 양적으로 충원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전쟁기념관 조직의 개선은 전쟁기념관의 기능을 활성 화시키는 지름길이며 계속 감축되는 국고 보조금 속에서 전쟁기념 관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숙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가를 규명하고,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레질리언스의 조절효과에 대해 검증 하고자 하였다. 사회적 배제는 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사회참여적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 경제적 배제의 하위변수별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으며, 레질리언스는 삶의 의미, 평정, 인내, 독립적 존재, 자기 신뢰로 분류하여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거주 노인과 경기도 의왕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으로 임의표집 하였으며, 김태준(2010)의 사회적 배제 척도, 전겸구・이민규(1992)의 CES-D 우울 척도, 황영석(2014)의 RS(Resilience Scale) 레질리언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조절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노인의 사회적 배제 하위변수인 사회참여적 배제를 제외한 관계적 배제, 문화적 배제, 동네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 경제적 배제 차이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우울도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력이 낮은 집단의 우울 수준이 높았으며, 미혼・사별・별거 등 배우자가 없는 집단의 우울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레질리언스의 하위변수들인 삶의 의미, 평정, 인내, 독립적 존재, 자기 신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이 여성보다 레질리언스 수준이 높았으며, 연령은 적을수록, 학력은 대학교 이상 졸업 집단으로서 학력이 높을수록, 혼인상태는 기혼이면서 자녀와 동거하지 않은 집단의 레질리언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p<.001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우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사회적 배제 하위변수로는 관계적 배제, 사회참여적 배제, 동네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 경제적 배제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레질리언스가 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레질리언스가 노인의 사회적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조절하여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의미는 동네 배제와 기본서비스 배제, 평정은 문화적 배제, 동네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 인내는 동네 배제, 독립적 존재는 문화적 배제, 동네 배제, 기본서비스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여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 신뢰는 동네 배제와 기본서비스 배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여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긍정적인 노년을 살아갈 수 있도록 노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예방적 차원에서의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노인의 주 활동영역인 노인복지시설의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욕구 파악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부정적 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노인에 대한 전문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개입이 요구됨을 제시하였으며, 후속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제언을 제시하여 사회복지서비스 제공에 함의를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 주요어 : 사회적 배제, 우울, 레질리언스, 조절효과

      • 자아정체감 증진이 직무스트레스 및 반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숙 서울신학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counseling at workplace on self-identity(Selenta & Lord, 2005) and job stress (Kahn, 1978) which are one of the main concerns of the counseling based on the Erikson and Marcia's theory of self-identity development (Erikson, 1974; Marcia, 1996). Samples consist of 21 individuals from two different company with 3 to 12 counseling. The results show that self-identity level i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counseling. Relational and collective level of self-identity is notably increased compared to individual level of self-identity, which seem to be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employee expect to advance within the context of relationship between self and organization. Although the level of perception of job stres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ounseling, the reaction to the level of perceived job stress is significantly changed. It implies that individuals' coping ability toward job stress is improved with counseling given that the level of perceived job stress remains unchanged.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how counsel could benefits individuals and performance of organization. These findings help identify the roles of counseling at workpla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성인이 된 이혼가정자녀의 적응경험 : 미술치료를 통한 내러티브 연구

        김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부모이혼을 경험한 성인자녀들이 부모이혼 후의 삶의 적응과정에서 무엇을 경험하며,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부모이혼을 경험한 성인 2명이며,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18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치료를 진행하면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한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이혼가정 자녀들이 부모이혼 후 경험된 삶속에서 드러나는 주제들을 찾고 그것을 바탕으로 삶의 경험의 의미를 기술하였다. 두 명의 연구 참여자들이 이혼가정 자녀로 살아온 개인적인 삶의 이야기에 따라 구성된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김현경의 경험이야기는 <추락한 둥지>, <감출수록 더 커지는 상처>, <버거운 한 사람의 빈자리>, <나의 자리를 되찾다>이며, 이민규의 경험이야기는 <산산조각 난 세상의 중심에서>, <고통스러운 청소년기>, <소매를 걷어 붙이고>, <나를 살게 한 원동력을 발판삼아>로 해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경험의 의미는 총 다섯 가지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이혼가정 자녀들은 한 부모를 잃어버린 상실감과 양가감정으로 혼란스러운 감정에 놓여있었다. 둘째, 이혼가정자녀들은 환경의 변화로 인한 정서적 물리적 불안으로 일탈을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미술치료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인식하지 못했던 억압된 감정들을 확인하고 표출할 수 있었다. 넷째, 이혼가정자녀들은 한 부모의 정서적 지지로 심리적 고통을 이겨내고 성장할 수 있었다. 다섯째, 이혼가정자녀들은 부모이혼으로 인해 일반 또래들보다 더 독립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예술에 기반한 내러티브 연구, 부모이혼 후의 자녀들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와 이혼가정에서의 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adult children who experienced their parents' divorce have gone through in the process of adaptation in their life after parental divorce and what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are. The participants were two adults who experienced parental divorce,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art therapy conducted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17, once a week for 18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8 sessions.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 The themes revealed in the life each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as a child with divorced parents after their parents' divorce were identified, and the meanings of their life experiences were described based on them. The stories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s constructed based on the stories of the personal life each of the two participants lived as a child with divorced parents were as follows. Hyun-kyung Kim's stories of experiences were expressed as 'the falling nest', 'the wounds getting worse as I try to hide them more', 'the burdensome absence of a person' and 'I have found my place again.' Min-gyu Lee's stories of experiences were interpreted as 'in the middle of a shattered world,' 'painful adolescence', 'exerting myself rolling up the sleeves,' and 'with the driving force leading my life as a stepping stone.' In this study, a total of fiv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were confused by feelings of loss and ambivalence result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one parent. Second,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engaged in deviant behavior due to emotional and physical instability and anxiety due to environmental changes. Third,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ir repressed emotions that they did not perceive and express them. Fourth,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were able to overcome psychological pain and grow up through the emotional support of a parent. Fifth, children with divorced parents tended to be more independent than their peers due to parental divor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the narrative inquiry based on art, research on the adaptation process of children after parental divorce, and the role of the single parent in divorced families were discussed.

      • 유아교육기관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김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대해 파악하여 부모들의 다문화 교육 필요성을 고취 시키고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교육 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어린이집 15곳을 임의로 선정하고 그곳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수거된 211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SPSS 20.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인식을 확인한 결과, 보편적 차원에서 ‘이중적 평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고 ‘세계시민행동의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다. 다양성 차원에서 ‘문화개방성’, ‘고정관념 및 차별’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부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며, ‘국민정체성’을 묻는 문항을 통해서는 학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국민정체성은 뚜렷한 편이었다. 관계성 차원에서 ‘일방적 동화기대’ 정도를 묻는 문항은 일방적 동화기대 경향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거부 회피정서’ 정도를 묻는 문항을 통해 이주민에 대한 학부모들의 거부 회피정서 정도는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상호교류행동의지 정도를 묻는 문항에서는 긍정적인 응답이 많았으며, 이주민과 가까운 관계를 맺고자 하는 의지는 보통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평균의 차이를 학력과 경제적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편성, 다양성, 관계성 차원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보편성 차원의 수준에서 대학원을 졸업한 학부모가 4년제 대학을 졸업한 학부모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제적 수준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편성, 다양성, 관계성 차원의 하위변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하위변인인 관계성 차원에서 하층의 학부모가 중층, 상층의 학부모보다 다문화 수용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부모들의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을 확인 한 결과 어린이집의 학부모들은 다문화 교육이 편견 없는 긍정적인 태도와 긍정적인 정체감을 발달시키고, 국제화 시대에 유능한 인재 양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의 평균 차이를 학력과 경제적 수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학부모의 학력과 경제적 수준에 따른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어린이집 부모들의 다문화 수용성 정도와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 간에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다문화 보편성 차원과 다문화 관계성 차원이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다문화 보편성 차원이 다문화 관계성 차원보다 다문화 교육 필요성 인식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청소년의 개인요인, 부모요인, 친구요인 및 지역사회요인이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김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학교적응이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발달궤적을 규명하고, 이러한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다차원적 요인들이 동시에 고려될 수 있도록 개인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부모요인으로 부모애착‧부모감독‧과잉간섭‧자녀학대, 친구요인으로는 의사소통‧소외, 지역사회요인으로는 지역사회인식‧공동체의식들이 고려되었다. 그리고 영향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요인들에 대한 강화와 부정적 요인들은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청소년의 역동적인 성장 즉 신체적‧정신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 개인의 변화와 개인 간 변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종단적 연구방법은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개인요인과 부모요인, 친구요인, 지역사회요인들을 검증한다는 것은 청소년과 상호교류하고 있는 체계들 중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여 실증적 자료를 보여줌으로써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본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성공적으로 학교적응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함의를 보다 풍부하게 이끌어 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구성은 우선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대한 선행연구들과 선행이론을 검토한 후 영향요인들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ry: KCYPS) 데이터를 활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나타났는지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먼저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분석절차는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주요변수들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를 확인하고, 일변량 정규성 검토를 위해 왜도와 첨도를 산출하였다. 셋째, 주요 변수들의 다중공선성 확인을 위해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넷째, 청소년의 학교적응 발달궤적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확인하기 위해 먼저 잠재성장모형의 분석을 위해 분석자료의 결측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결측치가 존재하는 불완전 자료에 해당하므로 최대가능법을 활용하였다. 그런 다음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1단계에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학년이 높아지면서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변화모형을 설정하여 모형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2단계에서는 예측모델을 설정하여 모형 적합도 확인과 학년 증가에 따라 학교적응의 변화 정도가 개인요인, 부모요인, 친구요인 및 지역사회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그런 다음 개인 간 초기값과 변화율 값의 변량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 한 후 독립변수들을 투입하여 조건모형을 분석하였다. 모든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 RMSEA, CFI, TLI 등의 지수를 사용하였다. SPSS 23.0 프로그램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인 성별은 4차 년도(중1) 기준으로 남학생 1,100명(52.6%0, 여학생 992명(47.4%)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적응 평균이 4차 년도(중1) 2.98, 6차 년도(중3) 3.02, 7차 년도(고1) 3.06으로 학년이 높아지면서 학교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 변화양상을 보이는지 탐색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무변화 모형, 1요인 자유모수 변화모형, 선형변화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한 결과 카이제곱 값은 모형1보다 모형2의 값이 낮아졌으며, 모형2의 값보다 모형3의 값이 낮아졌으므로 적합도가 좋아졌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CFI값이 모형3으로 갈수록 소폭이지만 높아졌으므로 적합도가 좋아졌다는 것도 확일 할 수 있었다. RMSEA 값도 모형3이 .05보다 작은 .041로 측정변수변수 간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모형3 선형변화모형의 적합도 지수가 이들 모형 중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선형변화모형을 학교적응 발달궤적의 최종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예측변인을 투입한 조건모형(conditional model)의 분석에도 선형변화모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학교적응 발달궤적의 추정값을 확인한 결과 초기값과 변화율의 상관이 -.025(p<.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예측변인들이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계수 추정치 값을 확인한 결과 초기값에서는 개인요인으로는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부모요인으로는 부모감독, 부모애착, 자녀학대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친구요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요인으로는 지역사회인식, 공동체 의식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화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개인요인으로는 자아탄력성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요인으로는 부모감독, 친구요인으로는 의사소통, 지역사회요인으로는 지역사회인식, 공동체 의식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탄력성, 부모감독, 의사소통, 지역사회인식, 공동체 의식으로 확인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험적 근거에 대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의 방안과 유의하지 않은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차원에서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청소년은 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된 바와 같이 개인요인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뿐만 아니라 현대인은 전 생애에 걸쳐 인간은 타인과 관계하고,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분노, 좌절, 스트레스 등 부정적인 여러 상황들에 직면할 수 밖에 없다. 이처럼 부정적인 상황들이 전 생애에 걸쳐 발생하는 과정에서 극복하지 못한다면 청소년기에는 비행, 일탈로 이어지고 성인기에는 범죄로 이어져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예방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을 강화 시켜 환경과 상황의 변화에 대해 자기통제 및 조절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성공적인 학교생활을 통해 성공적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자아탄력성이 낮은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자아탄력성을 강화 할 수 있는 전문적인 프로그램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제공하여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함은 극명한 사실이다. 그리고 지역사회 내 연계기관인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지역별 청소년수련관과도 연계하여 전문적으로 자아탄력성 강화 프로그램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는 점도 매우 용이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물론 청소년들에게는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에게 지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모든 일련의 과정들을 기획하고 계획함에 있어 학교와 연계기관들이 적극적인 협력체계가 우선 구축되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둘째, 사회복지실천 측면에서의 개입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사회복지제도로 학교사회복지로 볼 수 있다. 모든 청소년들이 성공적으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성장하기를 목표로 하는 학교는 자유학기제를 활용한 중1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과 사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학교사업복지사업을 확대 실시하여,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사업의 확대와 강화로 모든 청소년이 서비스의 소비자가 될 수 있도록 정책적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본다. 셋째, 학교부적응이 심각한 취약계층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공적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사업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다. 학교부적응이 심각한 취약계층의 청소년은 부모감독이 반드시 필요한 개입대상으로, 맞춤형 사회복지서비스가 제공되어야 만이 성공적인 성인기를 맞이하여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교육부 지원사업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적극적으로 대상자를 발굴하여 전문적인 맞춤형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학교 내에서 사업이 운영된다는 점이 대상자 발굴에 대한 접근성이 용이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은 학교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취약계층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전략적 개입과 계획을 수립함에 청소년 단일 개입이 아닌 부모-자녀-지역사회와 연계하여 개입하였을 때 효과성과 효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연구의 한계점을 밝혀 후속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학교적응의 발달궤적을 검증함에 있어 생태체계적 관점에서의 요인들로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하지만 후속연구에 있어 학교생활에 적응하고 있는 집단과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는 두 집단 간의 원인을 규명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도 있다고 본다. 두 집단 간에 차이를 통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변화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여 본 연구에서 확장된 차원의 제시라고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역동적인 성장 즉 신체적‧정신적으로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발달단계 특성을 고려하여 청소년 개인의 변화와 개인 간 변화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한 종단적 연구방법은 의의가 있다고 본다. 또한, 개인요인과 부모요인, 친구요인, 지역사회요인들을 검증하여 실증적 자료를 보여줌으로써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이 성공적으로 학교적응을 할 수 있도록 실천적 함의를 보다 풍부하게 이끌어 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velop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on how their school adaptation changes, as they go to higher grade and to investigate the prediction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trajectory. Towards this end,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as individual factors,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supervision’, ‘over-intervention,’ and ‘child abuse’ as parental factors,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as friend factors, and ‘community perception’ and ‘community spirit’ as communication factors are considered so that multilevel factors can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ed of measures to consolidate positiv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and reduce negative factor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stage when adolescents’ dynamic growth occurs, namely rapid physical and mental changes occur, a longitudinal study on what change aspects of individual adolescents and between individual adolescents are shown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is regarded as meaningful. The verification of individual factors, parental factors, friend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may have some implications by showing empirical data through the verification on what factors have effects on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among the systems interacting with adolesc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rawing richer practical implications for adolescents to successfully adapt to school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factors, after investigating the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on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Following the review, this study analyzed what changes occur and what aspects of these changes are revealed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using the data of Korea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In order to test study hypotheses, SPSS 23.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were used. Analysis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in order to identify key variables’ characteristics, and skewness and kurtosis were calculated to review univariate normality. Third, coefficients were examined to confirm key variables’ multicollinearity. Fourth, the missing values of the data to analyze the latent growth model(LMG) were examined so as to identify the prediction factors affecting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As a result, a full maximum information likelihood(FIML) method was used, since the data were incomplete data in which missing values existed. In step 1, model’s goodness of fit was confirmed by setting a change model to ascertain whether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changed as they went to higher grade. In step 2, the model’s goodness of fit was confirmed through setting a prediction model, and whether the change level of school adaptation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individual factors, parental factors, friend factors, and community factors, as adolescents went up to higher grade, was verified. After identify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ariates of intercepts and slopes between individual adolescents, the conditional model was analyzed through the input of independent variables. Concerning all models’ goodness of fit, the indexes such as Chi-Square, RMSEA, CFI, and TLI were used. The results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AMOS 21.0 program are presented below: First, regarding gender, a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respondents, male students were 1,100(52.6%) and females students were 992(47.4%), based on the fourth year(first year of middle school). As the mean scores of school adaptation were 2.98 in the fourth year(first year of middle school), 3.02 in the sixth year(third year of middle school), 3.06 in the seventh year(first year of high school), each; therefore, school adaptation level went up, as students’ grade went higher. Second, the Chi-Square value of model 2 was lower than that of model 1, and the Chi-Square value of model 3 was lower than that of model 2, and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goodness of fit became better,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no change model, 1 factor free parameter change model, and linear change model to identify whether school adaptation change aspect was shown in an exploratory manner. Because CFI value increased in model 2 and model 3, compared with model 1, despite a slight increase, it was ascertained that the goodness of fit became better. It was grasped that model 3’s RMSEA value was .041 smaller than .05.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relations between measuring variables can be effectively explained. Consequently, the goodness of fit index of model 3, namely linear change model was analyzed to be best among the models. In conclusion, the linear change model was set as the final model of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In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al model to which prediction variables were inputted, the linear change model was used as well. According to examining the estimated values of the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cept and slope was -.025(p<.001), which was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estimated path coefficient values to verify whether the prediction variables set in this study affect the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self-esteem and ego resilience as individual factors and parental supervision, attachment, and child abuse as parental factors were significant in the intercept. As friend factor, communication was revealed to be significant, and community perception and community spirit as community factor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The individual factor significantly affecting the slope in statistical terms was ego resilience. Likewise, the parental factor affecting the slope in statistical terms was parental supervision, the friend factor was communication, and the community factors were community perception and community spirit. Based on the study results confirming ego resilience, parental supervision, communication, community perception, and community spirit as affecting the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this study presented measures to be used in social welfare practice sites on the empirical evidence and suggestions on the insignificant factors at exploratory level. Firstly, as confirm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go resilience of individual factor had an effect on the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Modern people have relations with others throughout life cycle, as well as during adolescence, and face various negative situations, such as anger, frustration, and stress. If adolescents cannot overcome negative situations in the process where these negative situations occur throughout life cycle, adolescents may commit misdeeds and deviate from normal life in adolescence and may be connected with crimes, and may cause social problems during adulthood. Consequently, universal programs targeting all adolescents should be offered, and ego resilience needs to be bolstered at prevention level. As such, these programs need to be offered so that adolescents can lead a life as successful social members through successful school life by letting them demonstrate self-control and adjustment on the changes of the environment and situations. Specialized program services that can fortify the ego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low ego resilience need to be intensively offered for them to adapt to school life. Ego resilience consolidation program services that can also be offered in linkage with adolescent counseling welfare centers and youth training centers, which are linkage institutions within communities, may function very easily. There is a merit that continuous services can be offered to the adolescents who cannot adapt to school well in that accessibility of adolescents is easy. However, an active cooperation system between schools and linkage institutions needs to be built in planning a series of these processes. Secondly, school social welfare can be seen as a social welfare system that can sufficiently intervene from social welfare practice aspect. The school welfare project needs to be expanded and specialized, and systematic services should be able to be offered so that schools aiming for all adolescents to grow as successful social members can cope with new situations and incident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rough the utilization of a free semester system. Policy support should be expanded so that all adolescents can become the consumers of the services through the expansion and fortification of the school social welfare project. Thirdly, a project that can support intensive public services targeting the adolescen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whose non-adaptation to school is serious, is the preferential support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These adolescents are regarded to play a role as social members in successful adulthood, if only customized social welfare services are provided to them as the target requiring the intervention of parental supervision. The preferential support project for educational welfare, a support projec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ffers the easy accessibility for target search in that the project is operated within schools to offer specialized and customized social welfare services by finding the target actively. The project can maximiz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when intervention in linkage with parents, children, and communities is conducted, not in the form of a single intervention in adolescents, in establishing strategic intervention and plans targeting the adolescents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experiencing non-adaptation to school. Lastly, this study presents some suggestions for the invigoration of further studies by identifying limitations in this study. This study verified with the factors from the ecosystem perspective to verify the school adaptation development trajectory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further study to examine the causes between the group adapting to school and the other group experiencing non-adaptation to school. Throug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presenting empirical evidence on how change aspects of protection and risk factor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can be the presentation at the expanded dimension of this stud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 longitudinal study method on what aspects are shown by the changes of individual adolescents and between individual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elapse of time, is regarded as meaningful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stage, in which adolescents’ dynamic growth, namely rapid physical and mental changes occur. Presentation of empirical data through the verification of personal, parental, friend, and community factors offers implications. Based on such implic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drawing more practical implications so that adolescents can successfully adapt to school.

      • 승용차 휘발유 가격변화가 가계수지 및 소비지출 비율에 미치는 영향

        김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8607

        가계의 소비지출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소비지출 비목의 가격변화는 소득 다음으로 중요한 변인이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 비해 가격변화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고 가격이 소비지출 비목들간의 상호관련성에 미치는 연구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이 연구는 소비지출 비목의 가격변화와 소비지출의 내재적 구조와의 관련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가계소비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재화의 가격변화가 가계소비지출 비율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분석한다. 동일한 가계에서 승용차 연료비(휘발유)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자체 비목의 지출규모 및 지출비율을 증가시키고, 구매력의 제약으로 인해 타 비목의 소비 지출 비율을 감소시켜 소비지출 비목들 간에 상충작용(trade-off)이 발생하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소득이 소비지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가계소득의 크기 및 가계소득의 증감이 소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인들로 분류된 가계유형에 따라 가계수지 및 비목별 소비지출 비율의 변화 및 비목들 간의 상충작용(trade-off)을 살펴보았다. 도시가계연보의 1996년도 1분기와 1997년도 1분기의 동일한 근로자가계 중에서 두 시점 동안에 승용차의 연료비를 지출한 651가계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가계수지항목은 가계소득, 가계지출(소비지출, 비소비지출), 월말현금잔고이다. 소비지출에는 10개의 소비지출 비목이 있고 비소비지출은 조세, 공적연금, 사회 보험, 기타비소비지출이 있다. 비목별 소비지출 비율은 총소비지출액에서 각 비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을 말한다. 휘발유 가격변화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전도시 소비자물가지수를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쌍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쉐퍼검정, 군집분석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토대로 집단별 가계수지 및 비목별 소비지출 비율이 유의하게 변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소득이 높은 집단은 소득과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다. 광열비, 교통통신비, 연료비의 비율이 증가하고 기타소비의 비율이 감소하여 비목들간에 상충관계가 나타났다. 가계소득이 낮은 집단도 소득과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으며, 식료품, 외식비, 연료비 비율이 증가하고, 교육비와 기타소비의 비율이 감소하여 비목 간에 상충관계가 나타났다. 가계소득 크기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는 가계수지 및 비목별 소비지출 비율의 변화에서 유의한 차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둘째, 가계소득이 증가한 집단은 소득과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으며, 식료품, 광열비, 연료비 비율이 증가하고 외식비, 교육비, 기타소비 비율이 감소하였다. 가계소득이 감소한 집단은 소득이 감소하였고, 광열비, 연료비 비율은 증가하고 외식비, 교육비, 기타소비 비율이 감소하여 상충관계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가계 소득의 증감에 따른 집단간의 차이는 가계소득과 외식비 비율의 변화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연료비가 증가한 집단은 소득,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고, 외식비, 교통통신비, 연료비 비율이 증가하고 기타소비 비율이 감소하여 상충관계가 발생하였다. 연료비 변화가 없는 집단은 소득이 증가하였고, 비목별 소비지출의 변화가 없어 상충관계가 발생하지 않았다. 연료비 감소집단은 가계소득이 증가하였고, 광열비 비율이 증가하고 교육비, 연료비 비율이 감소하여 상충관계가 발생하였다. 넷째, 가계유형은 4개로 유형화되었다. 유형1은 소득과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다. 광열비 비율이 증가하고 연료비 비율이 감소하여 두 비목 간에 상충관계가 있었다. 유형2는 소득과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다. 외식비, 교통통신비, 연료비 비율이 증가하였고 주거비 비율이 감소하여 상충관계가 발생하였다. 유형3은 소득과 비소비지출이 증가하였다. 광열비, 교통통신비, 연료비 비율이 증가하고 기타소비 비율이 감소하여 상충관계가 발생하였다. 유형4는 소득과 소비지출이 감소하였으나 소비지출에서 뚜렷한 비율의 변화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소득의 크기, 가계소득의 증감에 관계없이 연료비 비율의 증가는 교육비, 기타소비의 비율을 감소시켜 상충관계(trade-off)가 발생하였다. 특히 가계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교육비 비율이 감소한 것은 다른 비목이 삭감 할 수 없는 최저하한선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교육 현실에서 볼 때, 교육비의 감소는 이들이 저소득의 악순환올 지속하게 될 것을 예고한다. 이 계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휘발유 가격상승은 가계소득이 낮은 집단, 승용차가 필수재로 사용되는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러한 가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줄일 수 있는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가계소득이 감소하고 총소비지출액도 감소하게 되면 소비지출 비목들간의 대폭적인 재조정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소비지출 비목들간의 상호관련성을 볼 때는 가계소득 뿐만 아니라 총소비지출액도 중요한 변인으로 인식해야 된다고 본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dynamic interactions among the price change of auto gasoline and income, expenditure and expenditure share. Therefore, This study will encourage us to improve our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insic structure of expenditure items and expenditure price change. The rapid price increase of gasoline for automobiles in the same household has increased auto fuel expense and its expenditure share(the percentage of total expenditure) in households and therefore has decreased the expenditure share of other items because of income restrictions.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trade-off between the auto fuel expense share and the other expenditure shares. Increase or decrease of household income greatly influences expenditure share. Therefore, I have included those variables in my research. Expenditure share is the percentage to total expenditure. Raw data was acquired between the first quarter of 1996 and 1997 with auto fuel expense of Household in the salary and wage earners' annual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level, percentile, the Pearson chi-square, the one way ANOVA, Scheffe' test and a K -means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in the highincome group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the fuel, light and water charges share and a decrease in the miscellaneous share.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in the low-income group,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the fuel, light & water charges share and auto expense and a decrease in the miscellaneous share. Second,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in the increased-income group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food, fuel, light & water and the auto fuel expense share. There was also a decrease in eating out, education, and in the miscellaneous share. With an income decrease in the decreased-income group, a trade off occurred between the increase of fuel, light & water charges and auto fuel expense and a decrease in eating out, education and in the miscellaneous share. Third,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in the increased auto fuel expense group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eating out, transportation & communication, and auto fuel expense share and a decrease in the miscellaneous share. In the group with no change of auto fuel expense, no trade off occurred in the expenditure items share. Income increase in the decreased auto fuel expense group and a trade off occurred between the increase of fuel, light & water charges share and a decrease in the education and auto fuel expense share. Household typ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ncome size (low and high income groups) and recent income increase or decrease. Also, auto fuel expense(increase or decrease) were classified into four clusters. In the first cluster,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fuel, light & water charges share and a decrease in the education and auto fuel expense share. In the second cluster,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eating out, transportation & communications, and auto fuel expense share and a decrease in the housing share. In the third cluster, income and non-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and there was a trade off between the increase of fuel, light & water charges, transportation & communications, and auto fuel expense share and a decrease in the miscellaneous share. In the fourth cluster, incom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increased and no trade off occurred in the expenditure items share. In conclusion, the following assumptions can be made. First, as the auto fuel expense share increases, education, and the miscellaneous share decreases regardless of income size, increase and decrease of Household. Especially, the decrease of the education share in the low income group means that it was a bubble consumption and discretionary item. the miscellaneous means that it was a discretionary item. Second, if the increase of gasoline prices is great, there also is a great influence on expenditure interdependencies of the household. Therefore, in building consumer price policy, the low income household group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by policy-maker. Third, if the total expenditure decreases and income decreases, the tremendous readjustment of expenditure share happens. Therefore, We can say it that total expenditure is also major variables like income in the study on the expenditure interdependencies of househo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