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IS를 이용한 무안군 무청지구의 지하수위·수질자료의 변화연구

        鄭燦德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지역은 동쪽에는 산지가, 서쪽에는 바다와 접하는 전형적인 동고서저형의 지형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지하수의 변화가 큰 지역이며, 소규모 지역에 지질의 변화가 크고 단층대가 발달하였다. 총 6개의 소유역으로 나뉘며, 유역 면적은 87.32㎢이다. 추출한 수계망은 1차수부터 4차수까지를 보인다. 지난 30년간의 목포기상대의 기상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연평균 기상현황은 강수량 1,133.4mm, 기온 13.8℃, 증발량 1,114.7mm, 일조량 2,149.6hr, 풍속 4.1m/sec, 습도 72.7%를 보였다. 물수지분석결과 증발산량은 70.0%, 유출량은 10.0%, 함양율은 20.0%로 나타났으며, 총 함양량은 2천백7만4천톤이다. 현장조사결과 갈수기와 풍수기에 평균 수두는 갈수기 13.84m, 풍수기 15.57m로 1.73m의 수두차를 보였다. 또한 pH는 6.2에서 5.9로 감소, EC는 306㎲/cm에서 371㎲/cm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양·음이온분석 결과는 양이온은 Na^(+)>Ca^(2+)>Mg^(2+)>K^(+)순이며, 음이온은 HCO_(3)^(-) >Cl^(-)>NO_(3)^(-)>SO_(4)^(2-) 순으로 나타났다. 배경치로 알아본 조사지역의 수질은 해수의 영향을 받은 지하수는 총 11개로 전체대비 73%로 대단히 높게 나타났다. Variation of water table and water quality are an important parameter in the basin analysis. There are probably more records of precipitation than of most other hydrologic variables. The study of water table height and water quality require a knowledge of the geology and the regions surface. In dry season to rainy season pH values decreased averagely 6.5 to 5.9. But EC values in dry season were averagely 306㎲/cm. Meanwhile, these in rainy season increased 371㎲/cm. Hydrochemistry of the studied normal waters are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ly significantly enrichment of Na^(+), Ca^(2+), HCO_(3)^(-) and Cl^(-). Water quality of study area through the background values are classified into four group. Among the groundwater samples, 73% influenced by sea water. And they strongly influence to the lineament density in situ area. Changes of these are maybe owing to dilute water by heavy rainfalls and water quality are largely controlled by geological settings around the upper regions.

      • GIS 기반 지하수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07

        지표수와는 달리 아직까지는 이들 오염원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한 지하수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중요성은 높아만 가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지하수 기초조사, 전수조사, 농촌지하수관리조사, 관측망 조사와 지자체에서 구축 운영 중인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 지하수관리시스템, 그리고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온 다양한 지하수관리방안 등은 전문가 위주의 성과물로서 복잡하고 난해하여 활용성이 매우 낮은 실정이며, 지하수분야 GIS 표준코드와 유통표준도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로 작성되고 있다. 따라서 지하수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유역(Basin), 수량(Water Quantity), 수질(Water Quality)에 대한 관리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역관리, 수량관리, 수질관리에 대해서 비전문가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고 우리나라 특성과도 잘 맞는 단위유역(Subwatershed) 단위의 관리등급을 부여한 새로운 GIS 기반 지하수관리모델을 제시하였다. 첫째, 유역관리는 우리나라 지형지세와 수계특성에 적합하고 지역주민 등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2.5~25㎢ 규모의 단위유역 단위로 작성하였으며, 연구지역인 함평군을 단위유역 단위로 구분한 결과 21개로 구분되었다. 둘째, 수량관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입증된 함양량과의 관계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쉽게 측정이 가능하고 이해가 쉬운 강수량, 지하수위와 실제 사용하는 지하수 이용량에 대한 관리등급을 부여하였다. 강수량 등급은 목포기상청의 지난 40년간(1972-2011)의 연평균 강수량에 대한 도수분포(Frequency Distribution) 그래프를 작성하여 1,491mm 이상을 1등급(매우 풍부), 1,198~1491mm는 2등급(풍부), 906~1,198mm는 3등급(부족), 그리고 906mm 미만은 4등급(매우 부족)으로 구분하였다. 지하수위 등급은 영산강 권역에 설치된 37개 관측소의 총 444개 수위 변위값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빈도수가 가장 많은 0.42m 미만의 경우를 안심수준(1등급)을 부여하고, 0.84m 미만일 경우를 적정수준(2등급), 2.1m 미만일 경우는 우려수준(3등급), 2.1m 이상일 경우는 대책수준(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이용량 등급은 지하수개발가능량 대비 이용량으로 지하수개발가능 안전율(60%)을 감안했을 때를 보통수준(30~60%)으로 보고 초과수준(60~90%), 과다수준(90% 이상), 적정수준(30% 이하) 등 4개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수질관리는 지하수 오염가능성과 수질성적에 대한 관리등급 분류기준을 마련하였다. 오염등급은 미국 EPA(1987)에서 개발한 지하수오염 가능성 평가시스템을 국내에 적합하게 변형한 Modified DRASTIC 지수를 작성하여 17,029개 지수값들의 빈도수를 파악해 본 결과 빈도수가 갑자기 증가하는 99 이하의 경우를 안심수준(1등급)을 부여하고, 117 이하의 경우를 안심수준(2등급), 급격히 빈도수가 증가하는 135 이하의 경우는 우려수준(3등급), 그리고 135 이상일 경우는 대책수준(4등급)을 부여하여 구분하였다. 수질등급은 환경부(2011)의 지하수 오염등급 기준을 준용해 수질기준의 25% 이상 50% 미만은 청정수질(1등급), 수질기준의 50% 이상 75% 미만은 적정수질(2등급), 수질기준의 75% 이상 100% 미만은 일반수질(3등급), 그리고 수질기준을 초과하면 오염수질(4등급)을 부여하여 구분하였다. 위와 같이 관리등급을 부여한 새로운 관리모델을 함평군에 적용한 성과물을 설문조사한 결과 이해도와 활용성 측면에서 기존모델보다 6.65배나 높게 나타난 것으로 검증됨에 따라 비전문가도 쉽게 지하수관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안트라피라졸 화합물을 이용한 청색 유기전기발광물질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정찬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s been very attractive due to the potential applications in flat panel displays. Also, OLED is being researched worldwide on account of their's low voltage drive, self-lighting, wide viewing angle and fast replying speed. Recently,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and devices are being developed for commercialization of OLED. In this study, new blue emitting materials were designed and synthesized with anthrapyrazole compounds. They were characterized with 1H-NMR and FT-IR spectroscopy. Their thermal properties were analyzed with DSC and TGA. They were copolymerized with Styrene and MMA. It was found that all polymers have similar degradation temperature. However,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styrene copolymers showed clearly higher than those of 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 UV-vis and Spectroflurophotometer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optical characteristics. In the result, anthrapyrazole copolymers absorbed UV visible light ranging from 360 to 410 nm in THF. They showed the fluorescence in blue region ranging from 435 to 477 nm in THF and from 471 to 477 nm in film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