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감상 제재곡에 관한 연구 : 서양 음악을 중심으로

        정유신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음악교육에 있어서 감상교육은 음악미를 체험하고 그 속에서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며, 음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종합적인 능력을 기른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음악 작품과의 만남을 통하여 음악을 느끼고 이해하는 감상교육은 학교 음악교육의 중심적 위치에 있다고 하겠다. 학년별로 구별된 교과서를 사용하는 학교 음악 수업에서 효율적인 감상수업을 위해서는 우선 체계적인 지도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상 학습의 기본 바탕과 자료가 되는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곡들을 분석하여 감상곡의 연계성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 살펴보고, 더 효과적인 음악 감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음악을 분리된 교과서에 의해 본격적으로 학습하기 시작하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서양 음악 부분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문헌을 바탕으로 감상교육의 필요성과 각 발달 단계의 일반적, 음악적 특징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과 함께 교과서에 수록된 감상곡들을 분석·정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의 비율을 분석한 결과 감상 영역이 32%를 이루고 있다. 둘째, 감상 제재곡에 있어서 고학년으로 올라 갈수록 서양 음악 보다 전통 음악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 시대별로 분류해 본 결과 가장 선호되는 시대는 낭만주의 시대였으며 현대의 작품은 그 비중이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넷째, 장르별로 보면 모음곡이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성악곡의 비중이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형식면에서 살펴보면 3학년에서 6학년까지 모두 세 부분 형식을 제시하고 연계성을 통하여 심화 과정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면 대체적으로 제7차 교육과정 내용과 부합함을 알 수 있으나 아직도 낭만 시대와 고전 시대에 편중되고 있으며 성악곡의 비중이 아주 낮음을 알 수 있다.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많이 보완되어 지기는 하나 음악 감상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그리고 발달 특성에 최대한으로 적합한 감상곡을 선정하는 체계화가 앞으로도 여러 방법으로 연구 되어져야 할 것이다. In music teaching, the appreciation of education is quite important in that, through it, students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formulate musical concepts and develop the comprehensive ability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music. Thus the appreciation of education that gives students opportunities for feeling and appreciating music, through enjoying pieces of music, is essential in school music education. For efficient music appreciation classes at school, it is necessary to use a different textbook each year to prepare systematic teaching material. Thus the present study analyzed pieces of music in music textbooks, which are the basic materials of appreciation classes, and examined how they are interconnected, aiming at effective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Western music for 3^(rd)-year students, who begin to study music as a separate subject, to 6^(th)-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arts. First, it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the appreciation of education and general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development step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n, it analyzed and sorted pieces of music in the textbooks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ntage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nd appreciation, the area of appreciation occupied 32%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Second, as for the subject music for appreciation, higher grade students were taught more traditional music than Western music.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by age, the most preferred one was romantic music, and contemporary music was handled relatively less. Fourth, as for music by genre, suites were presented most frequently and vocal music was covered relatively less importantly. Fifth, from the aspect of form, all from the 3^(rd)-year to 6^(th)-year textbooks presented three types of form and showed advanced courses through interconn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ppreciation of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generally accords with the contents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a, but it still overemphasizes romantic and classic music and attaches less importance to vocal music. Though it has been improved at every change of the education curricula, there should be research on selecting and systematizing pieces of music suitable for the ultimate purpos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the system of the contents of education curricula and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 서울시 오피스빌딩의 임대료 결정요인, 지수 및 투자수익률에 관한 연구

        정유신 경기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오피스시장과 관련된 세 가지 주제로 임대료 결정요인, 오피스지수 산출을 통한 오피스빌딩의 투자수익률 및 거시경제변수와의 관계를 다루었다. 특히 임대료 결정요인에 있어 기존 연구와 달리 패널분석을 통해 오피스빌딩 특성을 나타내는 속성변수와 거시경제변수를 동시에 분석한 점과 데이터 부족 등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은 오피스지수 산출을 통해 오피스빌딩의 투자수익률을 분석, 시도한 점은 적지 않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선 첫 번째 주제인 임대료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오피스 주변 환경, 입지, 물리적 특성 등 오피스빌딩 속성변수들을 주로 다룬 기존 연구와 달리 속성변수 이외에 거시경제변수도 동시에 다루었다. 속성변수뿐 아니라 거시경제변수 또한 임대료에 큰 영향을 준다고 볼 때, 두 가지 변수를 함께 다룬 것은 임대료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보다 정확히 파악하고 임대료에 대한 설명력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 거시경제변수가 어떤 시차로 임대료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함으로써 미래 임대료의 방향 예측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모형 설정절차를 통해 선정된 변수로는 권역더미, 규모더미, 외국인 소유여부, 전철역과의 거리, 전용률, 건축연한, 연면적 등의 속성변수와 총 고용자수, 회사채수익률, 설비투자지수, 주가지수, 원달러환율 등의 거시경제변수이다. 속성변수가 임대료에 영향을 주는 방향은 선행 연구와 유사하나 민감도에서 차이가 있고 특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장변화를 반영해서인지 기존 연구와 달리 전세더미가 비유의적으로 나왔고 다양한 거시경제변수의 영향이 작용하는 것을 나타났다. 총 고용자수와 설비투자지수는 이전 연구에서도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새로이 주가와 특히 환율의 영향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전후해 내외국인의 최대 관심사였던 데다가, 오피스빌딩 소유 또는 관리에 있어 외국인의 영향이 점증하고 있는 시장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건축연한, 지하철역 거리, 회사채 수익률 등의 회귀계수는 음(-)의 부호로 추정되고 있으며, 통계적 유의성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여기서 계수 값의 부호가 음(-)으로 나타난다는 것은 이러한 특성 값의 변동이 환산임대료와 반대 방향의 영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건축연한은 노후빌딩에 대한 임차인의 선호가 낮아지는 현상을 반영하며, 지하철역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임차인 및 고객 불편이 커지기 때문에 임대료가 낮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회사채수익률은 2분기의 시차가 있기 때문에 회사채수익률 상승 2분기 후에 자금애로가 생길 수 있어 임대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해석된다. 지역더미들의 추정 계수값의 통계적 유의성이 높으며, 양(+)의 값을 갖고 있다. 계수값 크기는 도심과 강남이 높으며, 규모더미 계수값은 크지 않아 지역만큼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징적인 것으로 외국인 소유 여부를 나타내는 더미변수도 계수값이 양(+)의 값을 갖고 유의적으로 나왔다. 이는 IMF 이후 외국인의 오피스빌딩 투자가 늘어난 결과를 말해주며, 외국인들이 투자자산 관리에 적극적이어서 높은 임대료 상승률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거시경제변수로서 총 고용자수, 설비투자지수, 주가지수, 환율 등도 유의적이며 양(+)의 값으로 나왔다. 총 고용자수 증가는 오피스 공간에 대한 수요증가로 연결되어 임대료 상승으로 되며, 설비투자 증가도 경기상승으로 해석되어 기업들의 사무공간 확대, 임대료 상승요인이 된다. 특징적인 것으로 주가와 환율이 유의적으로 나왔으며, 특히 환율은 민감도도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환율에 민감한 경제 및 부동산여건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두 번째 주제로서 오피스빌딩의 투자수익률 분석에서는 오피스시장의 지표로서 오피스지수를 산출한 후 이를 이용해 오피스빌딩 자체의 투자수익률을 분석하고 나아가 다른 자산과 투자수익률을 비교하고, 오피스빌딩 투자를 포트폴리오 운용에 활용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였다. 오피스지수 산출은 선행 연구가 그리 많지 않으며, 특히 오피스빌딩 투자의 capital gain 지표로 쓸 수 있는 가격지수에 대해서는 데이터 부족 등의 이유로 최근에야 연구가 일부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년간의 비교적 많은 412건의 거래매매 데이터를 기초로 반복매매모형을 이용하여 가격지수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실제적이고 유의적인 지수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임대료지수, 가격지수 또한 자본수익률과 소득수익률 개념을 활용한 총수익지수를 산출하여 오피스빌딩의 투자수익률 비교와 여타 자산과의 투자수익률 비교 등을 행하였다. 투자수익률 분석결과 첫째, 가격지수의 변동률 즉 자본수익률이 임대료지수의 변동률 즉 임대료 소득수익률 보다 위험은 크지만 평균수익률은 훨씬 높고 위험을 감안한 위험대비 수익률(Sharpe ratio)도 높게 나타났다. 오피스시장의 하위시장 즉 권역별, 규모별로 보면 총 투자수익률은 권역별로는 여의도/마포, 규모별로는 대형이 높았고, 위험대비 투자수익률(Sharpe ratio)은 권역별 강남이 높았고, 규모별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른 자산과의 투자수익률을 비교하면 절대 투자수익률은 주식이 가장 높지만 위험 대비 수익률은 오피스와 아파트가 주식, 채권보다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또 자산 간의 상관계수를 보면 오피스와 아파트투자가 주식, 채권과 아주 낮은 역의 관계로 나타나 대체투자 수단으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연기금 운용에 있어 오피스빌딩 등 수익형 부동산투자 활용의 의미가 크다고 생각한다. 예컨대 오피스빌딩 투자를 고려한 연기금 투자의 효율적 자산분배를 살펴보면 현재 극히 낮은 비중의 오피스빌딩 투자를 상당히 올릴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오피스빌딩과 같은 실물자산은 유동성이 크게 떨어지기 때문에 이는 별개의 위험요인으로 고려해야 한다. 향후 노령화사회를 대비하여 연기금의 오피스빌딩투자 검토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거시경제변수와 오피스빌딩 투자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우선 VAR모형을 이용하여 거시경제변수와 오피스가격지수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 이어서 거시경제변수가 오피스가격지수에 주는 충격반응함수를 분석하였다. 거시경제변수로서 실질GDP, 통화량(M2), 이자율(BOND), 종합주가지수(KOSPI), 원달러환율(FOREX)를 구성하여 VAR모형을 구축하였는데, 이자율(3년만기 국채수익률)을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단위근 검정결과 단위근이 존재한다는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여 1차 차분한 값을 사용하였고, VAR모형은 SBC(Schwartz Bayesian Criterion)에 의해 1차 시차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거시경제변수와의 관계를 보면 우선 실질GDP의 상승충격이 발생할 경우 오피스가격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며, 그 충격은 약 4분기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량 증가나 종합주가지수 상승 등의 영향도 오피스가격에 (+)의 방향의 충격을 주고 있으나 그 지속기간은 실질GDP보다 짧은 기간(2~3분기)에 소멸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결과적으로 보면 경기회복과 시중 유동성이 증가할 경우 투자수요가 증가하면서 오피스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일반적인 전망과 부합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반면, 이자율은 상승할 경우 오피스가격이 하락하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고는 있으나 그 충격의 크기가 크지 않고 지속기간도 2분기에 그치고 있어 오피스가격이 금리 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추정결과는 기대 자본이득이 워낙 컸던 기간이었기 때문에 투자에 따른 금융비용에 대해 투자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던 우리 부동산시장 특징 중의 하나라는 해석도 가능해 보인다. 한편 원달러환율이 상승할 경우 오피스시장은 하락하는 역방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원화가치가 하락하면 외국인투자가는 환차익과 부동산투자수익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발생하기 때문에 원달러환율 상승시 외국인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일반적 관념과 배치되는 것으로 오히려 원화가치하락이 우리 경제에 대한 불안요인을 반영하여 외국인 투자를 저해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국 부동산투자, 특히 임대소득을 목적으로 한 오피스투자의 경우 외국인은 단기적인 환차익 목적의 투자에 민감하지 않으며, 보다 중장기적인 경제여건 변화에 따라 의사 결정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임대료 결정요인모형을 이용하여 임대료 예측모형을 설정한다든지 보다 시장을 잘 반영하는 지수를 산출하는 방안을 다양하게 강구함으로써 투자수익률 분석의 유의성을 높이는 연구, 나아가 유동성 위험을 감안한 오피스빌딩 투자의 효율성 분석 등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서울시 오피스 빌딩의 임대료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정유신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오피스 임대료 결정요인을 분석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오피스 임대료는 주로 오피스 주변 환경, 입지, 물리적 속성 등 미시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된다. 따라서 경기와 관련된 거시적 요인이라 할 경제변수들은 임대료 결정요인에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 임대료 결정요인으로 속성변수와 거시경제변수를 함께 다룬 기존연구는 거의 없었으며 속성변수 없이 별도로 일반 부동산가격 또는 임대료와 거시경제변수의 상관관계를 다룬 연구가 일부 있을 뿐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논문들과 차별화되는 새로운 시도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Glascock 등의 임대료 결정요인 구분 및 선행 연구 등을 기초로 속성변수들을 선정함과 동시에 일정 모형 설정절차에 따라 거시경제변수를 선정하여 임대료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또 이에 따라 구축된 임대료 결정모형을 통해 임대료와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특히 거시경제 환경변화에 따른 임대료 변화를 판단하기 위한 합리적 정보제공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모형 설정절차를 통해 선정된 변수로는 권역더미, 규모더미, 전세더미, 외국인 소유여부, 전철역과의 거리, 전용률, 건축연한, 연면적 등의 속성변수가 있으며, 거시경제변수로는 총 고용자수, 생산자물가지수, 설비투자지수, 회사채수익률 등을 설정했다. 통계분석의 특성으로는 횡단면자료의 속성변수와 시계열자료의 거시경제변수를 동시에 다루기 위해 시차검정과 다중공선성 검정을 포함한 패널데이터분석을 행한 점과 속성변수와 거시경제변수를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임대료와 설명변수와의 상관계수가 상당히 높게 나온 점을 들 수 있다. 상관계수가 높게 나온 것은 거시경제변수를 추가함으로써 설명력이 높아진 측면과 설명변수가 증가함으로써 상관계수가 높아진 두 측면이 있다고 판단된다. 속성변수의 경우 선행 연구에서 이미 많이 다루어진 변수이나 본 논문의 경우 데이터베이스의 기간을 장기로 늘려 분석했기 때문에 그 결과의 차이 여부도 관심 대상이었다. 분석 결과, 속성변수가 임대료에 영향을 주는 방향은 대체로 선행 연구와 유사하게 나오고 있으나 민감도에서 차이가 있었고 특히 전세더미, 건축연한 등은 일부 선행 연구와 그 결과에서 차별성을 보였다. 예컨대 본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선행 연구와 달리 전세 환산율이 높은 강남의 영향으로 전세더미가 임대료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고, 건축연한의 임대료에 대한 영향은 허진호(1998) 등과 같이 최근 빌딩일수록 높게 나오고 있으나 오래된 빌딩일수록 임대료가 높은 김관영, 김찬교(2006)의 결과와는 대비된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모델에 의하면 전체 분석의 경우 속성변수에 있어 우선 권역변수로는 도심 및 강남이 임대료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고 여의도/마포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용률이 권역 다음으로 임대료에 영향을 크게 주고 있는데, 특히 여의도/마포와 도심이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시경제변수의 임대료에 대한 영향은 대부분 선행 연구들과는 다른 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했으므로 일의적으로 비교하긴 어려우나 금리, 물가 등이 선행 연구와 공통적으로 유의적인 변수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는 거시경제변수 중 경기변동을 민감하게 반영하는 총 고용자수가 임대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권역으로는 여의도/마포가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가 활성화되면 기업들이 채용을 늘리고 사업 확장을 위한 오피스 수요가 높아지므로 임대료 상승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 진다. 그 다음으로 외국인 소유 여부가 임대료에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변수들은 상대적으로 영향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규모별, 권역별 분석결과를 보면 앞서 언급한 대로 각 변수별로 몇 가지 의미 있는 특징을 보였다. 첫째, 전세의 경우 임대료에 대한 영향은 크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정(+)의 관계를 갖고 있었고 이는 강남, 여의도/마포의 전환율이 높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고는 했지만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 건축연한, 연면적, 지하철과의 거리, 이자율 등은 이론 및 선행연구와 대체로 일치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회귀계수의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선행 연구에서 검토가 거의 없었던 설비투자와 임대료가 정(+)의 관계로 나타난 점 등은 다소 의미가 있었고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넷째, 규모에 따른 영향력을 보면 대형 건물일수록 위치한 지역의 임대료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목할 가치가 있는 것은 중소형 건물일수록 총 고용자수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이었다. 이는 중소형 건물이 상대적으로 경기변동에 취약함을 보여준다. 다섯째, 권역에 따른 영향력을 보면 금융, 증권업종이 많아 경기에 민감한 여의도/마포가 총 고용자수, 전용률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Previous researches on office rents have found that the rental rates are determined based on attributes like location, surrounding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property and microeconomic variables. Although macroeconomic variables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 overall economy and ultimately have sizeable impact on the rental rates, which are sensitive to the economic conditions, themacro variables have not been analyzed thoroughly in the past.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es that studied both attribut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while there are a few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croeconomic variables and rental rates/unit price. This research, therefore, used findings from the research on the office market rents by Glascock J. L. et al.(1990), and other previous studies as the basic foundation. Attributes, which were identified previously as the determinants of the office rental rates, and macroeconomic variables, which were selected through the modeling process, were analyzed simultaneously in this research. Using the resulting pricing model, the research attempt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ntal rates and the variables used while focusing on gathering statistically sound data and information that could lead to more accurate forecasts in rental rates in response to the changing macroeconomic landscape. Some of the attributes used during the modeling process include location, size, deposit-based rental, exclusive area ratio, time-passed since construction, and floor area, while the macroeconomic variables used include employment numbers, producer price index, corporate investment index and corporate bond yields. Observations from the statistical analysis are as follows: To analyze attributes in the cross sectional data and macroeconomic variables in the time series data simultaneously, panel-data analysis with multi-collinearity and time-series testing were used. The analysis involving attributes and macro variables together resulted in a fair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ntal rates and the variab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turned out to be high presumably due to additional macroeconomic variables having further strengthened the explanation behind the relationships and also due to the fact that these additional macro economic variables increased the fit (R-squared). Attributes have been analyzed in the past, but the volume of data used for this research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used in the past, which led us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 final results. The overall direction of the findings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with varying degree of sensitivity. Also findings on the deposit-based lease and time-passed since construction variables turned out to be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Unlike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deposit-based lease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rental prices due to Kang-Nam area’s high conversion ratio between deposit-based to rent-based leases. Also impact that the year of construction has on rental prices were in line with study done by JH Huh (1998) as buildings that were recently constructed charged higher rates, however, this finding was in contrast with study done by KY Kim, CK Kim(2006) where older buildings charged higher prices. With reference to the final pricing model, location attribute was amo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moving rental rates in areas like the city center & Kang-Nam area (South of the River), while it did not really influence the rental rates in locations such as Yeouido and Mapo areas. The exclusive area ratio [Jeon-yong-yul] was the next important attribute following the location. This element became especially important in areas such as the city center and in Yeouido & Mapo areas. Out of the macro-economic variables, employment numbers, which are highly sensitive to the overall market conditions, seeme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nd locations such as Yeouido & Mapo areas were high affected by it. It seemed that when the economy is in the expansionary phase, corporations tend to increase their workforces, which then create the need for additional office space eventually pushing the prices of the rental units higher. Lastly, the rental prices were influenced by the nationality of the owner (whether a company is owned by a foreigner/foreign company or not) while the rest of the variables did not make any substantial differences on the rental prices. On the other hand, review of the analysis of the size and the location attributes revealed that several meaningful and statistically importa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variables studied. First, deposit-based lease (Jeon-sae) did not make much of an impact on the rental rates, however, unlike the commonly held belief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Kang-Nam, Yeouido /Mapo had high turnaround rates but this finding should be probed further. Secondly, age of the buildings, distance from the subway station and interest rates seemed to have followed the conventions and the findings were in line with the ones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Thirdly, random variabl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rates but at the same time,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uctural investments and the rental rates was significant and should be researched later on. Also in terms of the size and its influence on the rental rates, the pricing model revealed that size of the buildings mattered and that larger buildings made large impact on the rates in the area. It is important point out that small to medium building rates had tendency to react sensitively to the employment numbers. Lastly, in terms of location attributes, Yeouido and Mapo areas turned out to be sensitive to the employment numbers and exclusive area ratio as these areas are primarily known for housing fi

      • 大學校 學校社會事業 活性化를 위한 發展方案硏究

        鄭惟信 대전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오늘날 한국의 사회뿐만 아닌 지구촌의 모든 사회가 급격하게 변해가고 있다. 이런 중에 한국의 교육 환경도 말 할 수 없는 질고 와 질책을 받으면서 급격히 변해갔다. 또한 사회의 초 관심분야인 청소년 중, 고등 학생의 문제는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시행착오를 거치면서도 개선하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지만 대학이라는 공간만은 많은 면죄부를 받으면서 그 틀이 흐트러지고 있다. 대학은 이미 그 특성을 잃어버린 지 오래이다. 사회에서 어른으로 대접받고 어른취급을 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던 지성의 대명사인 대학도 이젠 청소년의 연장선상으로 보는 시각으로 인하여 평준화되어 졌다는 것은 대학생 사회에도 사회복지의 개념이 활발히 적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대중문화에 노출되고 길들여진 신세대들이 대학에 진학하면서 대학은 다양한 문화가 공존체가 되었다. 또한 한국의 사회가 부유해지면서 학구열이 높은 한국사람들이 대학에 진학하는 꿈을 자식세대에서 이루려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대학 또한 중, 고등학교를 졸업하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식되면서 대학만이 가졌던 고유의 문화들이 흐트러지기 시작했으며 청소년에게만 보여진다고 생각했던 "타인의존성"이라든지 "주체성의 부족" 등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모습이 대학생에게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틀이 잡히지 않은 청소년이 갑자기 어른이라는 신분을 받으며 완전한 독립인으로서 대우를 받다보니 급격한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사람들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어느덧 대학가의 주변은 오색찬란한 유흥가의 모습으로 변한 것이다. 술 문화도 엄연한 대학의 문화라고 생각할 수 도 있지만 대부분 지나치다 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사회에서 큰문제로 생각하지 않는다 이는 어른이라는 면죄부를 대학생들에게 모두 들려주었기 때문이다. 또 이러한 방향으로 대학이 흐르는 데에는 대학의 복지문제에도 책임이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대학생을 위한 대학생다운 공간이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렇기 때문에 학생은 이미 다원화되어 여러 가지의 공간과 장소를 요하고 있는데 정작 필요로 하는 대학생 문화는 다원화되지 못하여 이젠 한계에 다다른 것이다. 이제 대학은 스스로 변하는 길을 모색하고 있고 다양한 실험들이 도처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변해야 된다란 인식을 이젠 하고 있다. 무조건 어른으로 대하여 그들에게 갑작스런 부담을 주기 보다는 성인으로 인정하여 자유 함을 얻을 수 있게 하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항상 열려있는 교육의 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학교와 가족, 지역사회에 영향을 주고, 이러한 노력들이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하는 학교사회사업의 목적에 입각하여 청년의 주변인으로 그냥 방치되는 대학저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복지의 개념이 도입되어야 한다 는 전제하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청소년 적 성향을 가지고 있으나 청년취급 받는 대학생들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을 마련하고, 둘째, 이들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얼마만큼 사회복지의 개입이 필요한가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하며, 셋째, 현재의 대학교내에서 실행되고있는 대학생 대상의 학교사회사업 현주소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긍정적인 대안이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좀더 적극적인 시각에서 의 실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함과 동시에 실증적인 분석을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의 대상은 현재 대전시에 위치한 3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학교의 학교사회사업(학생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의식과 현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복지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함으로서 학교사회사업의 대학교로의 의미확장을 꾀하고 학생복지 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질문지는 일반적 사항을 살펴보는 5문항, 학생복지 문제에 대한 사전 인식도를 점검하는 8문항, 학생복지 프로그램의 현황 및 그 인지도를 살펴보는 20문항, 학교사회사업(학생복지사업)의 경험을 살펴보는 6문항, 학생의 사회참여를 살펴보는 4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조사되어진 설문지 290부는 자료의 수정작업을 거쳐 SPSS P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단순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대학생도 학생복지서비스의 수혜자로 인식되어야 한다는 것과 이를 위하여서는 대학과 사회가 가지고 있는 대학생에 관한 인식의 틀을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첫째, 변해버린 사회의 모습에 비추어 대학생을 생각하지 않아 그들이 어떤 서비스도 누리지 못하고 방치되어 자아정체성 및 정서에 막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사회의 변화와 시대의 변화에 적응하여 대학을 발전시키려는 방향이 시설이나 눈에 보이는 효과에만 치중하여 학생의 인성과 성격 등 자아형성을 위한 학교의 제도적 재정적 지원이 미비한 실정이다. 셋째, 이러한 학교의 변화와 다양한 학생의 욕구에 부흥하여 학생복지를 전문적으로 추진하고 발전시키고 정착시킬 전문인력의 부족이다. 넷째, 대학에 적응하기 위하여 가장 힘든 시절을 보내고 있는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부족이다. 다섯째, 현재 대학에 있는 학생복지기관 즉 상담봉사센터, 학생생활연구소, 상담소 등의 의지부족으로 인한 홍보의 부족으로 그나마 갖추어져 있는 서비스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선 이러한 대학교내에서의 학생복지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하여서는 앞서서 이야기한 바와 같이 시대의 변화 학교와 학생 모두 바르게 인식하여 이에 적절한 서비스를 실현해야 하며 이에 따라 학교는 제도적, 재정적, 인적인 지원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을 강구하며 특히 신입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의 개발 등 학생의 구미에 맞고 현실적인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지며 학교간의 정보교환 및 현재의 제도적인 정비가 가장 필요하다.

      •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터보 컴파운드의 자동차 배기 에너지 회수 성능 예측 및 최적 작동 조건에 관한 연구

        정유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재 온실가스에 의한 환경 문제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CO2에 대한 규제가 Fig. 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강화되고 있다. 유럽 연합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차량 판매 규제 방안을 확정하였고, 2030년까지 CO2 배출량을 2021년 대비 50%를 감축해야 하는 법안을 제정하였다. 그 외에도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에서 기존 규제 대비 10~50%정도의 CO2 배출량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Fig. 2와 같이 환경부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30년까지 소형화물차량 CO2 배출량 기준을 평균 146g/km, 연비 기준을 17.3km/L까지 점차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국내 및 해외 규제 강화로 인하여 자동차 산업은 이에 맞춰 준비를 해야 하며, 특히 기존 내연기관 차량과 같은 경우 CO2 규제의 핵심이 되는 차량이기에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 자동차 산업은 탄소 규제에 대응하는 방법으로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 및 연구들을 진행 중이고 그 결과, Fig. 3에 나타낸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국내 친환경 자동차 등록대수 그래프와 같이 2016년 친환경 차량 등록 대수는 하이브리드 차량 23만대, 전기 차량 1만대, 수소 전기 차량 87대로 총 24만대였다. 하지만 2021년 친환경 차량 등록 대수는 하이브리드 104만대, 전기 차량 30만대, 수소 전기 차량 2만대로 총 136만대까지 5년 사이에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Fig. 3의 전체 자동차 대비 친환경 자동차 비율을 살펴보면 2016년 기준 1.1%에서 2022년 상반기 기준 5.4%로 5배 이상의 높은 성장을 이뤄낸 것은 맞으나, 아직까지는 내연기관 차량이 9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결국 온실 가스 문제 해결과 탄소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자동차의 개발 및 연구와 더불어 내연 기관의 CO2 배출 저감을 위한 연구도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 중등학교의 기독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과정 연구

        정유신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39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기독 교사들의 기독 교사로서의 정체성 확립과 기독교적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 과정 연구 논문

      • 張愛玲 소설 연구

        정유신 조선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Jang Ae-Ryong(1920〜1995) was a famous female writer that appeared in the 1940s. Sh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Chines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has been loved by readers so much that most of her works have been made into movies. However, because of ideological restrictions, it was not until the 1980s and 1990s that she was recognized by the literary world and now research on her writing and life has become active. As she was outstanding in describing the social aspects of the culture of her time and, in particular, female psychology, there has been specific research on that, but there have been only a few studies on the aspects of the men of the time that she describ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images of women as a result of previous studies to complement the insufficiency in research on men's images and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s of women and me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pecifically described: the author's life, the descriptive characteristics of her representative writings, the representative images in her writing where her consciousness is reflected, the female points of views on marriage centering on the home, ideal males, and the female image. This was an attempt to complement what was lacking in previous research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image and the psychological descriptions in her novels. Also this study looked at the tragic family history of the author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materials and themes in her novels including the following: the influence of her father who spent his life with drugs and betrayed his wife even though he came from a noble family, her mother who had animosity toward the differentiation of men and women, The unhappy marriage and divorce of her parents, the authors' unhappy marriage, exile in the U.S., and her horrible life. Thanks to the crises in her life , she was more attached to creative writing, and her life became a background to her writing. Because of the sense of betrayal she felt from her father whom she could not help but depend on, she showed a negative image of men in her writing. Also she had an uneasy life with her mother although she missed her mother very much after they parted, and she described this in her novels. Chapter 4 analysed the images of men and women in her novels. Her negative image of men appeared consistently in her novels. This study looked at men's images in her novels and how she described them in her novels. The negative image on men in her writing worked in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her family and the people surrounding her. In summary, this study first analysed the male image and then the female image which was created due to the image of males in her novels. Then this study explained that the image of females influenced other female's images. Through such analysis on male and female images,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another perspective of her writing. 張愛玲(1920〜1995)은 1940년대 혜성처럼 나타나 인기를 누린 여성작가이다. 그녀는 중국 현대문학의 대표 여류작가 중 한명으로서 대부분의 작품이 영화화 되었을 정도로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고 있다. 다만 사상적 제약으로 인해 8-90년대에 접어들어 비로소 재평가를 받으며 작품과 생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여러 작품을 통해 혼란했던 당시의 사회상과 여성형상, 특히 여성의 심리에 대한 묘사가 탁월하여 이를 중심으로 세분화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남성 형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張愛玲 소설 속 남성형상’에 대한 연구 공백을 메꾸기 위해, 기존 연구 결과인 여성형상을 정리하고 남성형성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려 시도했다. 이를 위해 우선 작가의 생애와 대표 소설들의 묘사특징, 여류작가의 의식이 반영된 작품 속 대표형상과 ‘집’을 중심으로 한 여성들의 결혼관, 그리고 남성상과 여성상 등으로 세분화하여 정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그동안 여성형상 특징과 심리묘사 분석에 치우친 張愛玲 소설 연구의 부족했던 남성형상 부분을 채울 수 있는 시도였다. 그녀의 작품 소재 및 주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요소인 작가 개인의 비련한 가족사를 살펴보았다. 특히 귀족 출신이지만 당당하게 사회에 나서지 못하고 아편과 첩질로 생을 살아간 아버지의 영향, 반쪽 귀족 출신으로 여성 차별을 당해 이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던 어머니의 영향, 불행했던 부모님의 결혼 생활과 파경 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작가의 불행했던 결혼생활과 미국망명생활과 이로 인한 처철했던 그녀 생애를 살펴보았다. 그녀의 인생의 위기로 인해 더욱 문학에 애착을 가지고 창작활동을 하게 되었다. 또한 그녀의 인생은 창작 배경이 되었다. 이상적이지는 않았지만 의지할 수 밖에 없었던 아버지에게서 느끼 배신감으로 인해 그녀는 작품 전반에 부정적인 남성상을 형상하게 되었다. 또한 그리워하지만 떠나기만 하던 어머니의 빈자리, 아버지를 떠나 어머니에게 갔지만 결국 어머니와의 생활에 적응하지 못한 인생의 경험을 그녀를 정신적인 고독감에 빠지게 했고 작품을 통해 드러나게 했다. 4장에서는 작품속 남·녀형상을 분석하였다. 그녀는 부정적인 남성상은 작품에 일정한 형상으로 나타나게 했다. 본 논문에서는 작품에서 나타나는 남성상을 살펴보고 작품내에서 어떻게 묘사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작가가 만들어낸 부정적인 남성은 남성 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가족과 주변인물의 특징을 만들어내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남성형상을 먼저 분석하여 살펴보았고 또한 이러한 남성형상으로 인해 만들어진 여성형상을 살펴보았다. 이 여성형상은 또 다른 여성형상에 영향을 준다는 것도 살펴보았다. 작품속 남·녀 형상 분석을 통해 張愛玲 작품에 대한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하고자 했다.

      • 공동주택의 실내공기 환경에 대한 재실자들의 주관적 반응조사에 관한 연구

        정유신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현대인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변하고 있다. 경제적인 문제보다는 건강에 대한 문제에 관심을 더 기울이고 있으며, 실내활동 시간이 점점 증가하며, well-being 문화의 확산에서처럼 현대인들은 삶의 질적인 문제를 더 중요시고 있다. 또한 산업발달과 더불어 합성물질들이 실내 마감재료등에 사용됨으로써, 자연스레 유해물질이 실내로 스며들어 재실자의 건강에 위협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포름알데히드, VOC와 같은 유해물질로 인한 구토감, 메스꺼움, 눈의 충혈, 어지러움 등과 같은 증상에서부터 아토피와 같은 증상에 이르기까지 재실자들의 건강을 위협하여 ' 새집 증후군 '이라는 단어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 시점에서 실내환경(I.A.Q)에 관한 연구와 관심은 당연하다고 하겠다. 2004년 5월 30일 다중시설공기질관리법이 개정되었고, 최근에는 실내 등급제를 만든 사례도 있었다. 외국에서는 벌써부터 실내 건축자재에 대한 등급제를 마련하기도 하였고, 실내 공기질에 관한 등급제를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고, 법적으로도 아직 그 체계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제는 대기오염이나 환경오염 못지않게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The life style of people in these days is haying changed. They are care of more health than economic, the time of indoor activity is having increased, well-being culture is haying spreaded. These points express that they think life's quality is important. Moreover, because composition material is used in indoor finish-materials, toxic materials are spreaded indoor, they threatened resident's health. Thirtith May. 2004. law related I.A.Q is revised, recently, indoor-grade is made. Abroad, grade-law is made about indoor-architecture-materials and indoor air quality. In Korea, survey about indoor air quality and law-system are week. It is time that we are care of the indoor environment, much survey is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