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기숙사 건축의 평면유형별 거주 후 평가 : 전남, 광주지역소재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Focusing on College Dormitory in Chonnam, Kwangju Province)

        鄭井甲 全南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7

        대학기숙사는 건물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거주자의 사회적, 심리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건축계획이 요구된다. 하지만, 현재의 대학기숙사는 거주자의 사회심리적 환경을 만족시켜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기숙사 건축물의 단위침실 평면계획에 대한 평면 유형별 거주 후 평가를 통해 대학기숙사 이용자들의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현 기숙사 건축물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전남지역과 광주지역의 전남대학교, 호남대학교, 여수대학교 3개의 대학기숙사를 대상으로 총 360명의 설문을 받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대학교와 호남대학교의 현 기숙사 단위실의 인원 4명은 많기 때문에 단위실 인원을 감소하여야 한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그리고, 단위실에서 사용하는 침대 역시 1층 침대를 사용하기를 원하였고, 여수대학교와 호남대학교는 학생들의 욕구에 맞는 아파트형과 원룸형으로 건축되었으나, 전남대학교는 개실형으로 건축되어 있어 학생들이 원하는 형식과는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위실은 단지 취침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이러한 이유는 학습이나 여가에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들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별 실별의 만족도는 여수대학교, 호남대학교, 전남대학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 실별 중요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즉, 학생들은 현재의 실에 대해서 매우 만족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실에 대해서는 중요하다고 인식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기숙사의 실내환경과 심리적 만족도 역시 여수대학교와 호남대학교는 대체 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나, 전남대학교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남대학교와 전남대학교는 베란다가 없기 때문에 학생들이 베란다를 원하고 있고, 원룸형이나 아파트형에서는 화장실 한곳은 불편함으로 두곳 정도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원룸형에서는 음식물 조리시 환기가 잘 되도록 요구하였다. 결론적으로 호남지역의 대학기숙사들은 학생들의 요구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한채 건축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추후에 건축되어지는 기숙사는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야한다. 즉, 개실형으로 건축하기보다는 아파트형이나 원룸형으로 건축하고, 아파트형이나 원룸형 건축계획시 화장실을 두개 정도, 음식물 조리시 환기가 잘 되도록 하는 것이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나타난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대상이 전남/광주지역 3개 대학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한계를 갖는다. 둘째, 본 연구는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응답자의 주관적인 의견이 포함되어질 수 있다. 추후의 분석에서는 전국지역을 포함하는 대상의 확대와 인터뷰법과 관찰조사 등 다양한 조사가 실시되어 객관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며, 추후에 건축되어지는 기숙사는 학생들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져야 하며, 침실로만 사용되고 있는 대학기숙사를 종합적인 주거공간이 될 수 있도록 건축되어야 할 것이다. Dormitory construction requires systematic architecture design because physical and environmental properties of dormitory have a great impact on social and psychological state of dweller. However, it is true that the present dormitory in college has the problems in satisfying dweller's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this vein, this study was designed to draw current issue related to dormitory construction and to come up with its improvement plan through the fact-finding of students who use it after the dwelling of a unit room in dormitor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researcher put into practice a questionnaire survey of 360 people who use the dormitory in 3 universities, namely Chonnam University, Honam University and Yeosu University located in Kwangju and Chonnam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ents answered that there need to improve the facility promptly because 4 persons who are allowed for a unit room in Chonnam university and Honam university is overcrowded currently. With this, they wanted to use ground level bed in unit room. In addition, Yeosu university and Honam university were well constructed in the form of apartment and one bedroom apartment which are able to attract students' needs, but in case of Chonnam university, the dormitory was built by the type of bedroom which they don't want. Second, most students thought that the present unit room is not suitable for their learning and leisure life. Accordingly, they made use of a unit room with only the aim of their sleeping. Third, this researcher could find that there were satisfied with the dormitory facility in order of Yeosu university -> Honam university -> Chonnam university, and students of each university made much account of the dormitory facility. In other words, considering that most students made much account of the dormitory facility, they were comparatively dissatisfied with the existing dormitory facility. Fourth, students at Honam University and Yeosu Universit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dormitory interior at the aspect of their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But, Chonnam university did not. Fifth, since there wasn't a veranda in the dormitory of Honam university and Chonnam university, students needed a veranda in their dormitory. And they wanted at least two water closets because one water closet in one bedroom dormitory or apartment-type one are too little and difficult to use.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in case of one bedroom dormitory, ventilating system needs to be equipped well in the preparation, conditioning or serving of food.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 college dormitories in the area of Honam were constructed under the circumstances which don't accept students' needs properly. Accordingly, in the future, the college dormitories have to be constructed in the form which can reflect students' needs. In other words, we can say, it is more desirable that college dormitories were constructed in the form of one bedroom dormitory or apartment-type one. With this, there have to secure at least two water closets in case of constructing one bedroom dormitory or apartment-type one, and ventilating system needs to be equipped well in the preparation, conditioning or serving of food. Eventually, these conditions will be helpful to enhancing students' satisfac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has the problem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because this study selected only 3 universities in Kwangju and Chonnam as the objects under investigation. Second, this researcher wants to indicate that their subjective opinion might be included in the answer because the results depended on only questionnaire. Accordingly, there have, in the future, to make an effort to expand the objects under investigation (including all parts of the country) and employ various methods like observation survey and interview to ensure the objectivity. As well, the college dormitory has, in the future, to be constructed in the way that can meet students' needs to the fullest extent. And it has to be designed in the direction which makes much account of the role as a synthetical dwelling space instead of mere bed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