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 촉각을 중심으로

        조윤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미술교육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발전적인 미술교육의 방법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시각장애학생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감각인 촉각을 이용한 미술교육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삶에 소통의 통로를 열어주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이론적 배경으로 시각장애의 정의와 시각장애학교의미술과 교육에 대한 전반적 문제점과 분석, 또한 외국의 미술교육 사례 등을 문헌연구를 통해 분석해 보았다. 촉각을 중심으로 한 미술교육의 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촉각의 이해와 교육적 필요성, 시각장애교육 관련인들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짧은 시간동안이었지만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경복교회와 서울 맹학교에서 시각장애학생들과 자원봉사로 일주일에 두 시간씩 수업을 해보며 실질적 경험을 통한 효과적 수업방안을 제시해 보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교육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촉각을 이용한 다양한 재료의 탐색은 대․소근육의 발달뿐 아니라 공간과 사물을 판별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둘째, 전문가와 교사, 부모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은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이끌어 나가게 될 것이다. 셋째, 사고, 느낌 등의 창조성을 발전시킬 수 있다. 넷째, 미술 행위가 본인과 이웃에 대한 이해, 더 나아가 현대 사회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다섯째, 시각장애인의 활발한 미술활동은 사회적 인식과 편견을 좁히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촉각 중심의 미술교육은 앞으로 더욱 많은 전문가들과 교사들,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로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적합한 미술교육과정이 수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visually impaired students understand art education and is to look for developmental teaching method for art. Studying art education using the sense of touch, the most important thing to them, will be a great help to open a passageway of understanding in their lif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t this study, I tried to define the concept of 'visually- impaired' and look for the whole point at issue of art in schools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and its education and analyze it. Also, I resolved the examples of art education in foreign schools through documentary records. To present the program of art education focused on the sense of touch, I looked over the role of persons who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In addition, I gave lessons to visually impaired children two hours a week, as a volunteer at Kyoung bok Church, Seoul school for the blind about three months from september even though it was short time and I come up with successful teaching method through i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ing on various kind of material using tactile sensation not only helps to discriminate space and thing but also the development of the muscles. Second, active assistance of experts, teachers, parents can help to lead an effectual lessons. Third, the blinds can develop creativity like, thinking and sensibilty. Fourth, the art itself can help understanding themselves, their neighbors, and modern society. Lastly, lively aesthetical activity of the blind will contribute to narrow down the social recognition and prejudice. The art education made central for tactual sense requires much more effort and study with the active assistance from experts, teachers and of course, parents, continuous and systemized proposals for aesthetical education that fits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have to be established.

      • 니체의 인간상(Übermensch)에 기반한 '삶의 예술가'로서의 교사상 연구

        조윤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839

        This thesis examines Nietzsche's Übermensch based on Amor fati (translated as affirmation of life) and proposes a model of teacher as 'artist of life'. The thesis seeks via Nietzsche's Übermensch a model of teacher who can seize pathos of difference in daily lives with repeated teaching and learning, teacher who can generate life by enhancing humanity. To Nietzsche, Amor fati-based Übermensch is a human that can love the life itself where creation and destruction are continually repeated. Such understanding of Übermensch by Nietzsche was established from his earlier experiences as a teacher concerned about enhancing humanity, and in his later years led to the problem of Will that affirms life revealed by self-reflection. This thesis examines such Nietzschean view of humanity in terms of teacher as a human that affirms life of teaching and learning. "Whoever is a teacher through and through takes all things seriously only in relation to his students – even himself." (Nietzsche, 1889) Such an admonition can be understood under the premise that life of a teacher who teaches and learns is linked to life of students. The identity of a teacher is formed in relation to students, and authenticity as a teacher's trait is practiced in daily lives. A teacher who affirms life of teaching and learning not only affirms the changes in students but also exercises the life-affirming Will in order to seize one's own changes influenced by such changes and to maintain healthy relationship. Such a teacher can seize thousands of differences in thousands of situations in a life of repeated teaching and learning. It represents a human being not as someone who passively adjusts to changes under rapidly changing culture, but as an active agent that generates life. An active adjustment to changes goes beyond approving differences to actively generating differences for change. A teacher who approves differences removes conflict before expressing any differences in internal will but a teacher who generates differences recognizes students as the Other that is non-substitutable and unique so can love ("Amor fati") them. A life-affirming teacher not only exercises the arts vitae that utilizes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but also becomes an artist that generates life by being oneself in classroom situations that seem not to admit co-existence. Chapter II examines how Nietzsche came to form the notion of Übermensch and shows that Nietzsche's understanding of Übermensch is grounded in esthetic view of humanity based on Amor fati. The chapter first overviews Nietzsche's position that criticizes the Enlightenment's dualistic form of reasoning as well as the passivity of pessimistic nihilism. It also discusses how modern culture tends to formalize dynamic life into artificial reasoning and neglects human life. Nietzsche does not remain at criticizing modern culture but seeks alternatives in recovering humanity in life's context. Nietzsche explains Übermensch in terms of esthetic awareness in ancient Greece and clarifies that the life-loving human is a prototypical subject that responds to dynamic life and aims at continual growth and changes. Chapter III investigates Perspectivism in view of Nietzsche's Übermensch. Nietzsche's Übermensch is someone who continually enhances oneself in one's own life and is someone who recovers oneself and is "becoming" in relational life. When applied to teachers, a teacher's identity as Übermensch lies in authenticity. This chapter introduces the stages of Übermensch in Thus Spoke Zarathustra and clarifies teacher's authenticity for affirmative will as well as distinguishing the life affirmation into Perspective and Experience. Perspective is a will that faces and attempts to overcome falsity in reasoning that conceptually formalizes life. Experience is a will that recognizes and attempts to generate differences in life's phenomenality. Furthermore, affirmative will required of teachers is a fair interpretation of repetition of differences and is based on corporeality as extended reason. Chaper IV proposes teacher as artist of life who shares the meaning of life and generates life. First, a teacher who exists in sharing life's meaning is not a technician who transmits propositional knowledge but is a subject that waits for interpretation. Such a teacher goes beyond contemplating and appreciating life and affirms that one's own perspective can be perceived differently by the others. Second, a teacher who as an artist of life generates differences of perspectives in life is an artist who expresses esthetic sense in the life of teaching and learning. A teacher's esthetic sense means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that can place the vanishing point on multidimensional relationship by allowing various actions of will in complex network of relationship. In conclusion, Chapter V makes recommendations for education of teachers. The teacher as Übermensch based on Amor fati offers implications for explaining teacher's affirmative will as a human being who continually agonizes over what and how to teach and learn in modern society where various values co-exist. teacher's affirmative will to life is a motivating power to achieve educational objectives together with learners, other teachers and parents. When a teacher recognizes the affirmative will that can be expressed in own life and actively participates in life's sharing activities with students, education will transform into life generation and teachers themselves will be able to enjoy life as a "festival" with learners. 본 연구는 '삶에의 긍정'(Amor fati)에 기반한 니체의 인간상을 검토함으로써 삶의 예술가로서의 교사상을 제안하고 있다. 가르침과 배움이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변화와 성장을 포착할 수 있는 교사, 인간다움을 고양하며 삶을 생성할 수 있는 교사의 전형(全形)을 니체의 인간론을 통해 모색하고 있다. 니체에게 있어서 '삶에의 긍정'에 기반한 인간이란 생성과 소멸이 반복되는 삶 그 자체를 자기다움으로 받아들여 사랑할 수 있는 인간이다. 이러한 니체의 인간존재에 대한 이해는 교사시절 인간다움의 고양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정립되었으며 말년에는 인간의 자기성찰을 통해 드러나는 삶을 긍정하는 인간의 의지의 문제로 귀결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니체의 인간에 대한 사상을 가르치고 배우는 삶을 긍정하는 인간으로서의 교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근본적으로 선생이란 모든 일을 자기 학생과의 관계에서만 진지하게 생각한다. 심지어 자기 자신마저도."라고 하였다(Nietzsche, 1889/2007: 107) 이러한 일침은 가르치고 배우는 교사의 삶이 학생의 삶과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교사의 자기다움은 학생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교사의 특성인 진정성(authenticity)은 삶 속에서 실천된다. 가르침과 배움의 삶을 긍정하는 인간으로서 교사란 학생의 변화를 긍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변화의 영향관계에 있는 자기의 변화를 끊임없이 포착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기 위한 긍정 의지를 발휘하는 인간이다. 이러한 교사는 가르침과 배움이 반복되는 삶에서 발생하는 수만 개의 상황에 깃든 수 만개의 차이를 포착할 수 있다. 급변하는 문화적 상황 속에서 변화에 수동적으로 적응하는 인간상이 아니라, 삶을 생성하는 능동적 주체로서의 인간상을 대변할 수 있다.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한다는 것은 변화를 위해 차이를 승인하는 것을 넘어서 차이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계적으로 차이를 승인하는 교사는 내면의지의 차이를 발휘할 틈도 없이 갈등을 사전에 제거하지만, 차이를 생성하는 교사는 자신이 대면하는 낯선 타자로서의 학생을 대체불가능하고 고유한 존재로 알아보고 사랑(Amor fati)할 수 있다. 삶을 긍정하는 교사는 가르침의 방법과 내용을 잘 활용하는 삶의 기예(ars vitae)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공존이 불가능해 보이는 교실상황에서도 자기다움으로 삶을 생성하는 예술가가 되어간다. 제II장은 니체가 위버멘쉬(Übermensch)라는 인간을 형성하게 된 배경을 검토하며, 니체의 인간존재에 대한 이해가 삶에의 긍정(Amor fati)에 기반한 심미적 인간에 근거하고 있음을 하고 살펴보고 있다. 근대 계몽의 이원론적 사유 형식을 비판하고 염세적 허무주의의 수동성을 비판하는 니체의 입장을 살펴보는 한편, 근대 문화는 역동적인 삶을 인위적인 사유로 형식화하여 부정하는 경향성이 있음을 논의한다. 니체의 사상은 근대의 문화를 비판하는 데에만 머무르지 않고 어떻게 하면 삶의 맥락에서 인간다움을 회복할 수 있을지에 대해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니체는 인간다움의 고양을 고대 그리스의 심미적 인식을 통해 설명하고 있으며, 관련하여 삶을 사랑하는 인간은 역동적인 삶에 대해 존재로서 반응하고 끊임없이 성장과 변화를 지향하는 주체의 전형임을 명료화하고 있다. 제III장은 니체의 인간상에 비추어 삶의 주체의 관점과 긍정 의지를 탐색한다. 삶을 긍정하는 인간상인 위버멘쉬란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지속적으로 자기를 고양시켜가는 주체이며, 관계적 삶 속에서 자기다움을 회복하고 되어가는(becoming) 존재이다. 위버멘쉬의 관점을 탐색하기 위해 본 장에서는『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나타난 위버멘쉬로서의 정신의 변화단계를 소개하여 긍정의 의미와 '진정성'을 명료화하고 있다. 또한 삶의 의미를 공유하기 위한 긍정 의지를 사고의 직시와 삶의 체험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다. 긍정 의지는 삶을 개념적으로 형식화하는 사고의 오류성을 투시하고 극복하고자 하는 관점이며, 또한 삶의 현상성 속에서 의미를 공유하는 체험임을 탐색하고 있다. 아울러, 삶의 차이를 생성하는 긍정 의지는 차이의 반복에 대한 해석이며, 확장된 이성으로서의 신체성에 기반한다는 것을 살펴보고 있다. 제IV장은 삶의 의미를 공유하고 삶을 생성하는 삶의 예술가로서 교사를 제안하고 있다. 삶에의 긍정 주체로서의 진정성 있는 교사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의미를 공유하는 교사란 명제적 지식을 전달하는 기능인이 아니라 '해석을 기다리는 주체'이다. 삶을 관조하고 감상하는 차원을 넘어서 교사 자신의 관점이 타자로부터 다르게 인식될 수도 있음을 승인하는 것이다. 둘째, 삶을 통해 관점의 차이를 생성하는 교사란 가르치고 배우는 삶에서 '심미안을 발휘하는 삶의 예술가'이다. 교사의 심미안이란 복잡하게 얽힌 관계망 속에서 다양한 의지작용을 허용하여 다차원적인 관계에 소실점을 둘 수 있는 입체적 안목을 의미한다. 제V장에서는 현대 교사교육을 위한 제언을 하고 있다. 삶에의 긍정에 기반한 니체의 위버멘쉬로서의 교사상은 다양한 가치가 공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가를 끊임없이 고민하고 갈등하는 인간으로서 교사의 긍정의지를 설명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교사의 삶에의 긍정의지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동료교사, 학부모와 함께 교육목적을 이루기 위한 동력이라 할 수 있다. 교사가 자신의 삶의 자리에서 발휘할 수 있는 긍정 의지들을 확인하고 다시금 학생과의 삶의 의미를 공유하는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때, 교육은 삶을 생성하는 것으로 변화할 것이며 교사 역시 그들과 관계 맺는 학습자들과 함께 하는 '축제'로서의 삶을 향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현황 및 향후 적용방안 조사

        조윤주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현황과 관련 종사자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발전을 위한 전략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비행 및 일탈 예방의 필요성이 있는 위기 청소년과 관련한 기관의 담당자와 위기 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경험이 있는 음악치료사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자료 110건, 치료사 자료 75건, 총 185건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해 첫째, 각 기관에서의 음악치료 현황 및 의견을 조사하고, 둘째, 음악치료사를 대상 향후 위기 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실행과 발전 방향에 대한 일반적인 의견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 청소년 관련 기관의 음악치료 시행률의 현황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으며,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기대 및 인식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치료를 시행한다고 응답한 기관과 시행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기관에서 향후 위기 청소년 대상 음악치료 기대효과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사들은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지만, 대상군에 대한 낮은 이해도가 나타나며, 위기 청소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기관에서의 음악치료는 아직 음악치료사들에게도 생소한 영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치료사들은 대상군의 특성에 맞는 음악치료 프로그램 구성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향후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의 적용방안 제시와 관련하여 기관과 음악치료사 모두 위기 청소년의 다양한 위험 요인 중 가족적 요인을 크게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의 어려움에 대해 치료사와 기관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응답이 나타났으나, 향후 위기청소년 대상의 음악치료 개선 및 필요사항과 관련한 문항과 치료사의 중요 역량과 관련한 질문에서는 기관과 치료사의 응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 및 일탈 예방이 필요한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분야의 홍보 및 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며,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 적용 시, 기관과 음악치료사의 의견을 반영하여 실질적으로 고려할 점에 대해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herapy and to collect the opinions of the experts who directly work for at-risk adolescents who need supporting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cy and deviation. Furthermore, the research results can suggest more practical and explicit methods to improve the music therapy field. The study targets were the experts in institutions and the experienced music therapists at front whose main responsibilities is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support at-risk adolescents. A total of 185 cases were analyzed including 110 cases from institutions and 75 cases from music therapists. The study methods wer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opinions in the institutions as a first step. As a second step, holistic opinions from music therapist were collected regarding the current situ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music therapy.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execution rate of music therapy in institutions for at-risk adolescents was very low in overall. The expectations and awareness of music therapy for them were low as well. (2)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how institutions perceived the beneficial effects of music therapy for at-risk adolescents depending on whether each institution used the music therapy or not. (3) Unlike the fact that the institutions directly related to at-risk adolescents were still unfamiliar with music therapy, music therapists showed high awareness for its need even though they didn’t have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ubjects. However, they strongly appealed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music therapy program for the subjects. (4) Both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considered that family is the most critical that affects to the subjects among the various factors. (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in difficulties in executing music therapy between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m in the specific questions such as music therapy improvement, its needs, and therapists’ skills. The present study results can raise public awareness and provide program development for at-risk adolescents who need supporting to prevent them from delinquency and deviation. And also it can suggest the practical considerations that need to be taken account by applying the institutions and music therapists’ valuable opinions.

      •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

        조윤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적 지원이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중재 효과를 지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세 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으로 남아 155명, 여아 126명, 총 281명이었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 (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최정아(1996)가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이 경험하는 일상생활 중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한미현과 유안진(1995)이 개발한 한국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1985)의 사회적 지원 척도를 이은해(1991)가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그리고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각 변인의 구체적인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중재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원의 상호작용 변수(interaction terms)를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특히 부모와의 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가정환경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원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사회적 지원 중 부모지원과 친구지원이 많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원 중 친구지원은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간의 중재 변수로서 역할이 시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o children's self-esteem. The subjects were 281 sixth grader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hildren's self-esteem was assessed by Self-Esteem Iventory (Rosenberg, 1965). To assess children's stress, children responded to Daily Stress Scale(Hahn & Yoo, 1995). Perceived support was assessed by revised version of Harter's Social Support Scale(Rhee, 1991).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s, stepwise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self-esteem and children's self-esteem was explained most by stress from home environment and parents. Seco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self-esteem, and children's self-esteem was explained most by support from parents and friends. Third, social support from friends implied moderating variable between children's stress and self-esteem.

      • 官司銘 粉靑沙器 硏究 : 慶尙道 地域을 중심으로

        조윤주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분청사기에는 관사명과 지명을 印花 또는 象嵌技法으로 표현한 예가 많은데 이것은 분청사기의 제작연대 및 지방의 특질 등을 연구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이 된다. 특히, 官司銘 粉靑沙器는 관사의 존속기간이 있어 어느 정도 그 시기를 추정할 수 있으므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관사명을 새기게 된 동기는 太宗 17년(1417)의 기록을 통해, 관물을 훔쳐 사용하는 것을 막기 위해 각 관사에 상납되는 그릇에는 그 관사의 이름을 새기게 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중에는 일정 기간 동안 존속되다가 없어지는 관사가 있기 때문에 분청사기 연구의 편년 기준이 되며, 또한 당시의 요업 상황을 잘 알려준다. 그러나 지금까지 관사명 분청사기에 관한 연구는 관사명의 종류와 특징만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을 뿐 구체적인 연구는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는 분청사기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관사명 분청사기의 시기 설정과 지역성을 밝혀내는데 논점을 두고 있다. 특히,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진한 慶尙道 지역을 중심으로 관사명 분청사기를 연구한 점에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경상도 지역에는 수많은 요지가 분포되어 있으며 다종다양한 분청사기가 제작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世宗實錄地理志』慶尙道에는 磁器所 29개 지역에 37개소, 陶器所 27개 지역에 33개소로 총 70개소가 표기되어 있다. 더욱이 上品 자기를 굽던 자기소가 전국 3개 지역의 4개소가 모두 경상도에 있었던 사실은 조선시대 경상도에서의 요업이 매우 발달했음을 시사한다. 경상도 지역 관사명 분청사기는 문양과 장식기법에 있어서는 시기차가 있으며, 관사명 또는 지명의 시문 위치에 있어서는 지역차가 드러나 제작지의 특색을 나타낸다. 또한 관사명 분청사기의 편년을 통하여 그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장식기법에 의한 선후시기를 파악한 뒤 유물의 변화과정을 살펴본 결과 관사명 분청사기는 크게 네 시기로 나눌 수 있었다. 시문된 지명 중에는 경상도 지명이 특히 많은 것과 경상도에는 集團連圈文이, 전라도에는 集團菊花文이 발달한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경상도와 전라도가 비슷한 시기에 인화기법의 절정기를 맞이하여 그릇 가득히 장식하였는데 최근 가마터에서 출토한 유물을 보면 경상도는 여러 개 도장이 한 단위인 집단연권문이 발달한 반면, 전라도는 단독인화문을 기면 가득히 시문하여 좋은 대조를 이룬다. 경상도 지역 관사명 분청사기의 운영기에 있어 문제가 되는 하한시기는 여러 문헌기록과 남아있는 자료를 통하여 추정하였다. 관사명 분청사기를 생산하는 가마는 경기도 廣州를 중심으로 世祖年間에 司饔院의 分院이 설치되면서 급격히 줄었으며, 지방의 일부 가마에서만 지방 관아에 공급할 공납자기를 소량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분원이 관요적 성격을 띠면서 더 이상 토산공물로서의 분청사기가 필요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하여 1481년 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경상도 지역 가마와 여기서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는 粉靑沙器印花文「東來長興庫」銘대접과 粉靑沙器印花文「義興長興庫」銘대접, 그리고 1477년까지 長興庫가 존속한 기록을 통하여 관사명 분청사기의 하한시기는 1481년경으로 파악하였다. There are many examples of the Punchong ware engraved the official and region name by floral design stamped or inlaying techniques, it is very useful to study the production age and the local characteristic of the Punchong ware.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the Punchong ware engraved the official name can be assumed to check the age. The purpose to engrave the official name on the Punchong ware is to prevent stealing the wares that is paid to the authorities according to a record of Tae-Jong 17 years (1417). However it is useful to study a chronological standard because an official residence continued to exist at the regular time, sometimes disappeared. It provide with a information about the ceramic industry in that time. It is not examined concretely, but a study on the Punchong ware has just focused on the kind and characteristic up the present. This thesis concentrate upon the subject that is examined about a time establish and local characteristic of Punchong ware engraved the official name among the rest. Especially it is very significant to study it because it is weakly researched in Gyeong-Sang province by comparison. A great many kilns are distributed in it, it is known that the various Punchong wares are produced. The Punchong wares in Gyeong-Sang province have the time difference in the patterns and decoration techniques, the characteristic of the producing place in the position engraved the official name and area. Besides Punchong wares engraved the official name are divided with four chronological times after I examined orders in the decoration techniques, change processes of these. It is a main point that there are most name of Gyeong-Sang province among the wares engraved, patterns of lotus flowers group are advancd in Gyeong-Sang province and it of chrysanthemums group in Jeon-La province too. when Gyeong-Sang province and Jeon-La province have a peak of techniques stamped floral design in the similar time, all Punchong ware is filled with it. Recently when I look into the materials excavated in the kiln, patterns of lotus flowers group, a unit of stamps, are developed in Gyeong-Sang province, on the other side all surface of ware is filled with single floral design stamped in Jeon-La province. That is a good contrast. A problem relating to the lowest time limit of Punchong ware under operation is solved with documentary records and materials. After the 1469, it is written on the Sejoyeongan(世祖年間) that a branch building of a Saongwon(司饔院) is founded with the center of Kwangju in Kyoungki province, the kiln producing Punchong ware engraved the official name decreases and a little tribute porcelains are just made in some provincial kiln. In this point this branch building has a distinguishing mark of the official kiln, I think, any more Punchong wares as the local tribute porcelains don't need. I suggest that a bowl engraved is produced till this time. Because a bowl engraved Dongraejangheunggo(東萊長興庫), and a bowl engraved Uiheungjangheungg(義興長興庫), Punchong stamped floral design are made in the records of Seongjong's true record(成宗實錄) about Jangheunggo(長興庫) in 1499 and Dongkukyeogiseungrok(東國輿地勝覽) in 1481. The others, when the official and regional name of floral design painted with iron and kwiyal mun technique remain, it is concluded that the Punchong ware engraved the official name continues before Bunjang technique appears in 1540s.

      • 유아 교통안전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른 차이

        조윤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유아 교통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유아를 통솔하고 지도하는 교사의 올바른 인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철저한 안전 교육도 중요하다고 판단,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를 중심으로 유아 교통안전교육을 제대로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유아 교통안전사고 실태는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교통안전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유아 교통안전교육의 실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아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유치원과 어린이집 간에 차이가 있는가?본 연구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하고 있는 국공립어린이집교사, 민간어린이집교사, 병설유치원교사, 사립유치원교사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10곳, 국공립 어린이집 7곳, 사립유치원 7곳, 병설유치원 9곳의 교사 30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226부(회수율 75%)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연구 도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이뤄지고 있는 유아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과 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는 공립유치원의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현황 연구(정영희, 2004) 논문을 토대로 작성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총 3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교사의 인식을 다루는 문항은 5문항이고, 유아교통안전교육 실태에 관련된 문항은 25개 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각 문항에 대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항목에 따라 집단 간의 차를 알아보기 위해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대상의 교통안전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해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유아의 교통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연수 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육 역시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보행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대체로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이 유아 교통안전교육이 더 활발히 시행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우선,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통안전교육 횟수 역시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이 더 많았으며, 유치원과 어린이집 연간 교통안전교육 시간 역시 유치원보다 어린이집이 교통안전교육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따라 지난 1년 동안 유아의 교통안전교육과 관련된 교사연수경험을 조사한 결과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더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유아 교통안전교육 실태와 유아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비교한 결과, 대체로 교사들은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들은 대부분 유아들의 생명을 위해 교통안전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에 의견을 같이 했으며, 안전교육에 관한 교사연수 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육내용에 대해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도록 한 결과, ‘보행안전’이 가장 높아 교사들 대부분이 보행안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태는 교사들의 연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고, 보행안전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넷째, 유아 교통안전교육 방법 중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육 방법에 따른 순위를 살펴본 결과 이야기나누기, 시청각자료, 현장학습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교통안전교육 자료의 활용도가 미미했을 뿐만 아니라 각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유아의 교통안전사고에 대비해 학부모에게 가정에서 교육해야 할 내용에 관해 얼마나 자주 가정통신문을 보내는지 알아본 결과, 교사의 3분의 2 이상이 규칙적으로 배포하지 않고 때때로 배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섯째, 교통안전시설의 확충과 정비, 전문가 섭외 등의 필요성이 드러났다. 유아의 교통안전정착을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분야에 대해 알아본 결과 ‘교통안전교육 내용의 내실화’, ‘교통안전시설의 확충과 정비’ 순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아 교통안전교육에 활용하는 자원의 형태 중 어떤 형태가 가장 유용한지 살펴 본 결과 ‘외부 안전교육 전문가’가 1순위를 차지해 외부 안전교육 전문가의 필요성을 많이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전문가에 의한 강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교통안전교육에 대한 교사 연수 방법 중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모두 선택하도록 한 결과 ‘전문가에 의한 강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유아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실습’이 그 뒤를 이었다. Considering that correct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leading and instructing infants comes before anything else to prevent infant traffic safety accident and thorough safety education is important to prevent accidents,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infant traffic safety education is being perceived properly and actual condition of infant traffic safety education around nursing teacher and kindergarten teachers. 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2) Is there difference i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3) What is teacher's view o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4) Was there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 o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his study selected teachers from national daycare center, private daycare center, affiliated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si and Kyunggi-do.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teachers from 10 private daycare centers, 7 national daycare centers, 7 private kindergartens, and 9 affiliated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si and Kyunggi-do and used 226 collected copies(collect rate 75%) on the analysis. A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perception of teachers and actual condition of infant safety education conducted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s was prepared based on 'A Study on Perception of Teachers and Present Condition of Safety Education of Public Kindergartens'(Chung, Young Hee, 2004). The questionnaire was comprised of total 30 questions, 5 questions of perception of teachers and 25 questions actual condition of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The collected data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of each question, and conducted x2 test to investigate differen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categ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ason why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infants is needed, teachers from both daycare center and kindergarten answered that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is needed because there is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For education that needs to be conducted most importantly during teacher training on safety education, it was identified that both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considered the pedestrian safety most importantly. Secondly, it was identified that daycare center conducted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more actively than kindergartens. First, the number of times of traffic safety education was higher for daycare center tha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was receiving more annual traffic safety education than kindergartens as well. Also,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teacher training experience related to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of the past year by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it was verified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d more experience than daycare center teachers. Thirdly, as a result of comparing actual condition of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and teacher's perception o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in general perceived traffic safety education to be necessary, and most teachers had a same opinion that traffic safety education is needed for life of infants. As a result of asking teachers to select every item that they consider to be most appropriate to teach during the teacher training on safety, most teachers perceived pedestrian safety to be most important but the teacher training was not being conducted properly and the rate of pedestrian accident was highest. Four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rder of mostly used traffic safety education methods, it was in the order of story sharing, audio-visual data, and field trip, and as traffic safety education data was used insignificantly i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how often school newsletter on areas to be educated in family in preparation for traffic safety accidents is sent to each family, it was identified that over 2/3 of teachers did not distribute newsletter regularly. Fifthly, it was identified that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traffic safety facilities and casting experts are necessar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preferentially for the settlement of traffic safety, it was in the order of 'substantiality of traffic safety education contents' and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traffic safety facility,' a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ich type among resources used in the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to be most useful, 'external safety education specialist' was ranked highest that teachers perceived high necessity for external safety education specialists.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eachers most preferred lecture by specialists. As a result of asking teachers to select every item that they consider to be most necessary for the teacher training o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the highest answer was 'lecture by specialists' and was followed by 'practice for traffic safety education of inf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