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of Domestic Leisure Tourism in Korea : A Qualitative Study

        왕조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International students’ travel market has been identified as the most rapid growing segment in Leisure travel sector. A few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have witnessed a rapid growth in this study broad students market. There are not many research has been done, focusing on international students globally.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international university students’ travel experiences in South Korea, find out what the constraints are for them during domestic trips in South Korea (including the planning part),and their solution; what are the motivations are for them to choose to come to South Korea or such travel destination. By understanding their points of view through long-term stays in South Korea, tourism industry can improve their services so as to attract more youth travelers and improve overall tourist satisfaction. This is a qualitative study in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students’ personal travel experience.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update and accuracy, local transport frequencies are the two main constraints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en they take domestic travel in Korea thus more detail information work are recommended to be done in tourism industries. Based on qualitative approach this study highlighted new findings about travel motivation and constraints then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 go beyond what can usually found by survey methods.

      • 디자인에 있어서 Fun과 선호요소의 관계에 관한 연구

        왕조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This study aims to extract representative factors and samples of ‘Fun Design’ with focus on furniture (chair/bookshelf), building and product design, and figure out their emotional influence factors towards consumer preference. As its first step, emotional influence factors were extracted by collecting their applicable standards to Fun Design as its first step, and influence factors of consumer interest and preference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objectives to understand which external features are connected to realiz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chair/bookshelf), building, and product design, and suggest user-oriented preferred designs in terms of design development based on such understanding. In the 1st test result, furniture design, product design, and building were found to be applied to “Fun Design” through G- “Gaudy(additionally patterned, fancifully/richly decorated)" and H- “ Mimic (figurated animals or humans)" with Decoration (decorative factors). Besides, there was certain differences found in “Fun Design” as furniture and product designs created “Fun Design” by applying Simple (simplicity) to Shape (morphological factor) through A- “Stay (geometric, symmetrical/repeated forms), but buildings did it in Shape (morphological factor) form by applying Add (additional design factors) and Complex (complexity) to E- “Fusion (fusion/combination)” . In the 2nd test, “distinction/uniqueness, joyful/funny factors, humor, and familarity” of consumer’s preferred Fun factors, showed common results in terms of furniture (chair, bookshelf) and product designs and buildings, but “joyful/funny factors and familarity” were shown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targets. Therefore, this study clarified how to apply Fun Design” to furniture (chair/bookshelf), building, and product design, and correlations of “distinction/uniqueness, joyful/funny factors, humor, and familarity” each other, which are factors of “Fun Design”. 본 연구는 가구(의자/책꽂이), 건축물, 제품디자인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펀 디자인’ 요소와 샘플을 추출하고 소비자 선호도와의 관계에 대한 감성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펀 디자인에 적용시킬 수 있는 감성이미지 척도를 수집하여 감성영향요인을 추출하였고, 소비자의 흥미와 선호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가구(의자/책꽂이), 건축물, 제품디자인의 감성적 특징이 어떠한 외형특징과 연계되어 구현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자인 개발에 있어서 사용자 중심의 선호 디자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를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1차 실험결과 가구디자인, 제품디자인, 건축물이 공통적으로 Fun(재미)을 디자인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G-"Gaudy(패턴추가, 장식성/화려하고 복잡함)"과 H-"Mimic(동물 사람 등의 형상화)"을 통해 Decoration (장식적 요소)을 “펀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에 가구디자인과 제품디자인은 A-"Stay(기아학적 형상, 대칭/형태 반복)"을 통해서 Simple(단순)에 Shape(형태적 요소)을 적용하여 “펀 디자인”을 만들고 있지만 건축물에 있어서는 E-"Fusion(융합/결합)"에 Add(디자인요소 추가)와 Complex(복잡)의 요소를 적용하여 Shape(형태적 요소)의 형태로 “펀 디자인”을 만드는 것이 차이가 있었다. 2차 실험에서는 가구디자인(의자, 책꽂이), 제품디자인, 건축물에 있어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Fun(재미)요소인 “차별성/독특성, 즐거움/재미요소, 유머성, 친근성”은 “차별성/독특성, 유머성”은 공통적인 결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즐거움/재미요소, 친근성”에 있어서는 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진행한 가구(의자/책꽂이), 건축물, 제품디자인의 “펀 디자인”의 적용 방법과 ‘펀 디자인’ 요소인 “차별성/독특성, 즐거움/재미요소, 유머성, 친근성”과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혔다.

      • 전기자동차 구매의도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친환경적 행동에 관한 연구: 통합적 소비자 행동이론을 기반으로

        왕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9

        중국 친환경 자동차 급성장 환경오염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는 차량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고, 중국의 신에너지 차량시장도 빠르게 성장해왔다. 현재 중국의 전기 자동차 소비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은 중국 소비자의 전기자동차 구매의도에 금전적 요인과 편의성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와 유사하게 보조금 지금과 같은 금전적 지원과 신에너지 자동차충전인프라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지고 있다.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소비자 구매의도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전기자동차 구매결정에 관한 기존 연구결과에 더하여, 중국 소비자의 이기 가치관, 이타 가치관, 생태 가치관 등 심리적인 요소가 전기자동차 구매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국 소비자의 전기자동차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의 폭을 넓히는데 기여하고, 세계 최대 규모인 중국 전기자동차 시장에 진출하는 국내외 기업에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설정했다. (1) NAT이론, VBN이론, TPB이론을 결합하는 새로운 모델 개발, (2) VBN이론 모델, NAT이론 모델, TPB이론 모델과 우리가 제출한 모델을 비교, 제시한 모델 검증, (3) 친환경적 의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제안된 모델내의 구조들의 상대적인 중요성 결정, (4) 전기자동차 소비자의 환경보호 결정 과정에서 변수가 매개하는 역할을 탐구하고 연구.

      • 중국어 범위부사와 한국어 대응표현에 관한 대조 연구

        왕조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이 논문은 한국어를 공부하는 중국인 학습자가 중국어 범위부사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을 올바르게 배우고 사용하는데 도움 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했다. 이를 위해 중국어 범위부사와 한국어 대응 표현을 정리해서 이들에 대하여 주로 의미, 특성에 의한 유형 분류와 통사 기능에 의한 수식 관계, 그리고 이들의 주관량 표현을 대조 분석하여 그 쓰임에 있어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1장에서는 중국어 범위부사와 한국어 대응표현에 관한 대조 연구의 필요성과 이를 위한 연구 방안을 모색했다. 그리고 한·중 양국에 범위부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제시했다. 중국어 범위부사에 대한 연구는 중국에서 많이 진행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에서는 주로 단순한 중국어 범위부사에 대한 연구나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 학습자를 위한 연구들에 한정되어 있다. 범위부사에 대한 대조 연구나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학습자를 위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중국어 범위부사를 바탕으로 중국어 범위부사와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들을 찾아낸 다음에 이들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대조 분석을 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 대상인 중국어 범위부사의 개념과 특성을 설명했다. 언어로 수량이나 범위를 표현할 때 여러 방법을 쓸 수 있는데 그 중에 하나는 부사이다. 이런 부사들은 범위부사라고 할 수 있다. 범위부사는 어떤 동작이나 성질 및 사물의 수량이나 범위를 나타낸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어 범위부사의 목록을 설정하고 범위부사를 총괄성 범위부사, 유일성 범위부사, 개량성 범위부사와 한계성 범위부사 4가지로 나눴다. 3장에서는 중국어 범위부사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들을 찾아내 대응 목록을 정리했다. 중국어 범위부사에 대응하는 한국어 표현은 주로 단일 어휘, 문장 성분과 통사적 구성 3가지 경우로 나누었다. 단일 어휘로 대응되는 경우는 중국어 범위부사와 한국어 부사, 보조사, 관형사, 명사, 형용사 등으로 대응될 수 있다. 문장 성분으로 대응되는 경우는 주로 부사격 조사가 붙은 부사어로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뿐만 아니라, 만은 아니다’ 등 범위부사의 성질을 나타나는 통사적 구성으로 대응될 수도 있다. 4장에서는 본격적으로 중국어 범위부사와 한국어 대응표현에 대해서 비교 분석을 했다. 먼저 범위부사가 문장 안에서 수식하는 범위를 연구했다. 범위부사가 수식할 수 있는 품사는 주로 동사, 형용사와 명사이다. 범위부사는 동사를 수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범위부사와 피수식 동사 사이에 부사나 부사어만이 들어갈 수 있다. 범위부사가 형용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주로 문장 주체의 수량도 같이 나타난다. 수량이 나타나지 않은 경우에도 범위부사가 의미 지향하는 대상은 문장 주체의 수량이나 범위이다. 또는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항상 ‘是’와 ‘이다’를 사용해서 문장 주체의 성질이나 수량, 자격 등을 서술한다. 범위부사의 의미 지향에 대해서 먼저 범위부사가 의미 지향하는 문장 성분은 주어, 목적어, 부사어, 관형어 등이 해당된다. 또는 범위부사가 의미 지향하는 대상은 범위부사 앞이나 뒤에 나타날 수 있다. 중국어는 대부분 경우에 의미 지향하는 대상의 위치에 따라 문장의 뜻이 다르다. 반면에 한국어의 경우는 부사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자유롭다. 그리고 범위부사가 의미 지향하는 대상의 수량이 하나 이상이 될 경우 문장의 중의성이 생길 수 있다. 5장에서는 범위부사의 주관량 표현에 대해서 연구를 했다. 주관량은 양범주의 한 종류로서,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 화자가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양을 말한다. 주관량을 표현하는 여러 가지 수단 중에 하나는 범위부사이다. 의미적으로 보면 중국어 범위부사 주관량 표현의 의미 지향이 한국어 보다 더 다양하다. 그래서 중국어 범위부사로 주관량을 표현할 때 문장의 중의성이 더 많이 발생한다. 반면에 문법적으로 보면 한국어 주관량 표현 수단이 더 다양하다. 단일 표현만으로 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표현을 함께 사용해서 주관량을 표현할 수도 있다. 그리고 ‘都’와 ‘벌써’, ‘才’와 ‘겨우’, ‘不過’와 ‘불과’, ‘불과하다’ 등 구체적인 예를 통해 범위부사의 주관량 표현에 대해서 비교 분석했다. 범위만 표현할 때보다 주관량도 함께 표현할 때에는 범위부사의 뜻과 문장 전체의 뜻이 더 복잡하게 된다. 원래 대응할 수 있는 문장들이 주관량 표현 때문에 문장의 주관성이 생기고 중의성도 생겨서 학습자가 대응할 때 화용적 오류를 쉽게 범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전반적으로 범위부사에 대하여 기존 논의와 함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고, 이에 근거하여 범위부사를 다시 분류하고 한국어와 중국어 범위부사를 대응시켜 다시 정리해 본다. 이 글은 한국어와 중국어 대조 연구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려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아울러 이로써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들과 한국어 교사들에게 기초자료가 되어 범위부사를 올바르게 사용하거나 더 잘 가르치는 데 다소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 Influence of environmental and weather factors on seasonal surveillance of foodborne virus in irrigation water in Gyeonggi province 

        왕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23

        물은 식인성 바이러스 전염의 중요한 경로 중 하나로서, 일단 오염되면, 신선한 농산물 식중독의 위험을 일으킬 수 있다. 저수지의 물은 중요한 농업용수 자원으로 환경적 요인 (유역면적, 가축 농장, 낚시터)에 의해 오염되고 날씨 요인 (습도, 강우,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수지 농업용수 중 식인성 바이러스 노로바이러스 GI, GII, GIV, 아스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A형 간염바이러스 및 환경지표바이러스인 콜리파지를 검출하고 환경요인 및 날씨요인과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2017년 봄부터 2018년 가을까지 안성지역 농업용수 저수지 10개소와 안성천을 대상으로 총 192개 샘플이 수집되었다. 농업용수 96 개 샘플 중에 노로바이러스 GII 검출율이 27.1% 가장 높고, 다음으로 아데노바이러스와 로타바이러스가 각각 10.4%로 검출되었다. 아스트로바이러스는 3.1%로 낮게 검출되었다. 노로바이러스 GIV와 HAV는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아데노바이러스는 계절과 상관없이 연중 검출되었다. 콜리파지가 분리된 농업용수 중 82.6%에서는 식중독 바이러스가 동시에 검출되었으며, 바이러스 검출과 콜리파지 검출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환경요인 분석 중에서, 방갈로 낚시터 수상 화장실 안의 배설물은 의심된 오염원으로 간주되었으며, 이러한 오염된 지역에서 기상 요인, 특히 강우량이 저수지의 지표 농업용수 중의 식인성 바이러스 유행에 영향을 주었다. 바이러스 검출과 누적 강수량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20~50 mm 누적 강수량이 노로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검출과 상관성이 높았다. 농업용수 중 바이러스 오염도는 누적강수량과 저수지 주변의 환경요인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rrigation water in the surface reservoir is an important resource for agricultural producti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catchment area, livestock farm, fishing place) and the weather factors (humidity, rainfall, temperature) are associated with the contamination of irrigation wat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weather,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valence of the foodborne virus in the irrigation water. Human norovirus genogroup GI, GII, and GIV (HuNoV), hepatitis A virus (HAV), adenovirus (AdV), astrovirus (AstroV), rotavirus (RotaV) from the irrigation water were recovered by adsorption-elution (VIR-AD-EL) technique and detected by Realtime RT-PCR or PCR. Male-specific coliphage was isolat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method 1601. Data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weather factors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 total of 192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0 reservoirs and the Anseong river from the spring of 2017 to late autumn of 2018. HuNoVs GII (27.1%, 26/96) was detected in the irrigation water most frequently and then followed by adenovirus and rotavirus (10.4%, 10/96), respectively. The detection rate of astrovirus (3.1%, 3/96) was low. HuNoV GIV and HAV were negative in all irrigation water samples. Among the viruses, adenovirus showed non-seasonal characteristic. Male-specific coliphage (23.9%, 23/96) was isolated and 82.6% of coliphage-positive sampl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tection of foodborne virus.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human excreta from the toilet in bungalow fishing place was considered as the suspicious cause of contamination factor and in these contaminated sites, the weather factors, especially rainfall may enhance the prevalence of the foodborne virus in the surface irrigation water in the reservoir. The 20-50 mm cumulative precipitation was correlated with the detection rate of norovirus and adenovirus. It was confirmed the environmental and the weather factors that caused the risk of virus prevalence in surface irrigation waters in the reservoir in Korea in this study.

      • 한·중 FTA 원산지규정에 있어서 누적기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왕조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1992년 한·중 양국의 외교 관계 수립 이래, 양국의 무역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최근 20년 동안, 중국은 한국의 가장 큰 무역 파트너가 되었고 한국도 중국의 세 번째 무역 파트너가 되었다. 한·중 FTA는 2004년부터 추진하기 시작하였고 2015년 2월 타결되었다. FTA 중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원산지 결정기준이다. 본 논문은 원산지결정기준 중 누적기준이 중심으로 사례를 통해서 누적기준의 효율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 토대로 중국 입장에서 앞으로 누적기준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학술 논문, 학위 논문, 양국의 기 체결한 FTA 누적기준 등을 기초로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5장으로 구성된다. 제1장 서론은 연구 배경, 연구 목적과 연구방법을 서술한다. 제2장에서는 원산지결정기준의 정의, 누적기준의 정의와 선행연구 등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중 FTA 현황을 살펴보고 또한 기존 FTA 누적기준의 사례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는 중국 입장에서 한·중 FTA 누적기준에 대하여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역이익을 최대화하고 무역 분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중 FTA의 누적기준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검토가 요구된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한·중 무역거래 앞으로 더욱더 커질 것이다. 그리고 다자FTA 증가하면서 누적기준의 중요성도 갈수록 보일 수 있다. 중국은 한·중 FTA토대로 누적기준을 활용을 향상시키고 더 다원화의 무역환경에서 무역 강국의 자리를 지킬 수 있다.

      • 플라스틱 의자의 재질에 관한연구

        왕조 가천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국 문 초 록 의자는 인간의 앉는 활동에서 필수적인 가구이다. 실용적 속성에 따라 의자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재료, 구조 등의 차이 때문에 많은 방식이 형성될 수 있다. 의자 디자인의 시작은 정확한 의자 디자인의 개념화에서 시작한다. 즉 이념과 취지에 따른 의자에 대한 개념화 설정 과정의 단계이다. 의자의 디자인은 기능, 조형, 재료, 구조, 기술, 예술 등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하고 깊은 이론적 기초와 광범위한 실용 가치가 존재한다. 또한, 이는 가구 디자인 수준의 가장 좋은 구현이다. 최초 고대 이집트의 황금 안락의자부터 현재에 다양한 의자까지, 의자는 긴 발전 과정을 거쳤다. 상징성과 장식성에서 실용성과 편안함까지 발전되어왔다. 여태까지의 발전과정에서 의자의 디자인 스타일 한계가 그렇게 분명하지 않았지만 우리는 다음의 몇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팝에서 현대까지의 스타일, 간소한 스타일, 유기적 스타일, 첨단 기술 스타일. 이런 다양한 스타일의 의자는 각각의 시대의 대표성을 갖고 있다. 의자의 디자인은 의자의 형태, 기능, 재료를 통해서 의자 디자인 목표에 잘 맞출 수 있다. 초기의 의자 제작은 나무에서 금속까지 이루어졌는데 어느 정도의 한계가 있었다. 플라스틱의 출현까지, 의자의 기능, 형태, 편안함이 큰 혁신을 겪었다. 동시에 금속과 플라스틱 복합 재료로 만든 의자도 나타났다. 이때 플라스틱 의자의 디자인 가치가 그 재료 특성에서 나타났다. 사용 효과가 높을 뿐만 아니라 현대 가구의 특성도 갖고 있다. 안정적, 편안, 안전, 좋은 외관. 더 중요하게는 인체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의자를 만들 수 있었다. 인체의 생리와 심리 요구를 결합한 합리적인 가구 범위와 공간 분할 간격이 있는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편안함, 편리함, 안전감, 시각적 미 등을 만들어 줄 수 있다. 결국, 실용 효과의 목표도 실현될 수 있다. 만약에 디자인은 물질 생산 영역과 의식 형태 영역을 포함한 인간 사회 발전의 부호와 언어라면 같은 의자의 디자인은 한 사람의 독특한 생각이 아니라 인간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다. 이러한 디자인 중에 사용된 재료는 디자인 범위 중에서 제외하지 않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출현은 의자 디자인 역사 중에 불가결 일부분이다. 본 연구는 플라스틱 의자 재질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배경에 따라 목적과 방법에서는 플라스틱의 정의, 발전 배경과 그의 재료 분류와 특성을 소개하고 설명한다. 다음으로는 플라스틱의 형성과 플라스틱 의자의 형성, 그리고 그에 따른 가구 디자인 역사 중의 변화를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시간을 순서로 하여 큰 공간 범위에 몇 가지의 의자 디자인을 예로 들면서 플라스틱 재질 의자의 현대적 디자인 구현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 Detection and inactivation of norovirus and hepatitis A virus from washing water

        왕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823

        The reports of foodborne illness outbreaks associated with the expanded consump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have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Among these outbreaks, related viral foodborne illnesses have been growing worldwide. Viral contamination may be caused by direct water irrigation, or internalization via soil nutrient supply and cut incision at the pre-harvest stage. In contrast,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regarding agricultural produce contamination, especially root vegetables before market, and about washing conditions and effectiveness. Rapid, efficient, and simple approach of surveillance are essential for the safety of produce at post-harvest stage. In this study, a method was first developed to recover and detect typical murine norovirus 1 (MNV-1, a surrogate of human norovirus) and Hepatitis A virus (HAV) in simulated soil-rich washing water. The performance of virus recovery and detection by the ultrafiltration (UF), the virus adsorption elution (VIRADEL), and the paper filtration coupled ultrafiltration (PFC-UF)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compared by seeding 105 – 102 PFU of MNV-1 and HAV into the washing water. As a result, a recovery rate of 78.8 ± 13.3% for MNV-1 and 44.4 ± 25.2% for HAV were successfully achieved from 0.5 L of soil-rich washing water (turbidity >800 NTU) with 2 log PFU inoculated viruses. However, the washing water may differ in the type of fresh produce, such as root vegetables containing PCR inhibitors like humic substances from soil and plants, saccharides, polyphenols, etc.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optimize the PFC-UF to establish a more exact and scientific approach to overcome the false negatives caused by these PCR inhibitory substances. By adding different concentrations of humic acid, pectin, starch, and gallic acid into the simulated washing water, the polyaluminum chloride (PAC, m/V) coagulant, pectinase (Aspergillus niger), precipitation, polyvinylpyrrolidone (PVP) RNA extraction method, and different commercial PCR removal kits (OneStep PCR Inhibitor Removal Kit, RNeasy® PowerClean®, and Pro CleanUp Kit) were combined with PFC-UF to optimize the detection of MNV-1 and HAV at a low titer. Eventually, by combining the PFC-UF with Zymo OneStep PCR Inhibitor Removal Kit, 17.58 ± 7.28% of MNV-1 and 7.37 ± 4.06% of HAV were recovered in the condition of high soil concentration (5%) and various PCR inhibitory substances. Nevertheles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foodborne viruses in the post-harvest stage produced during the washing process, the efficiency of chlorine dioxide and PAA against approximately 7.5 log of MNV-1 or HAV was evaluated in simulated washing water containing black soil and clay loam. Chlorine dioxide inactivated at least 6 log PFU of MNV-1 and approximately 5 log PFU of HAV at a concentration of 2.5 ppm for 1-10 minutes. Despite PAA is considered an environmentally friendly disinfectant with no disinfectant by-products (DBPs), the inactivation of typical foodborne viruses was accomplished at the recommended low concentration of ClO2 which is an effective and reliable protocol. Overall, this study provides an approach to detect low-concentrated viruses in washing water and a solution to disinfect foodborne viruses at high concentrations. 최근 농산물 소비가 확대되면서 식인성 질병 발생에 대한 보고가 최근 증가하였다. 이러한 발생사례 중 위장병, 입원, 그리고 바이러스 식인성 질병과 관련된 사망에 대한 보고가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식중독바이러스는 분변 배출을 통해 여러가지 유형의 수원을 오염시킨다. 바이러스 오염은 수확 전 단계에서 관개용 또는 토양유래 성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농산물, 특히 근채류의 오염 실태, 세척과정에 바이러스 교차오염 현황에 대한 연구보고가 많지 않았다. 공급망에서 농산물 안전을 위해 빠르고 효율적이며 간단한 병원체 검출은 특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고농도 모래가 함유한 시뮬레이션 세척용수에서 뮤린 노로 바이러스(MNV-1)와 A형 간염 바이러스(HAV)를 회수하고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토양 함량 (1,2,3,5%의 농도)을 포함하는 세척용수에 105-102 PFU의 MNV-1 및 HAV를 접종하여, 한외여과, 바이러스 흡착 용출법,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종이 필터링과 한외여과 결합법(PFC-UF)으로 바이러스 회수 및 검출 성능을 평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종이 막을 통해 토양 불순물을 제거하고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0.5 L의 토양 함유 세척용수(탁도 >800 NTU)에서 MNV-1의 78.8±13.3%와 HAV의 44.4±25.2%가 회수되었다. 그러나, 세척용수 중 근채류 등 작물의 경우에는 흙과 식물에서 유래한 휴믹산(humic acid), 다당류, 폴리페놀 등 PCR 간섭물질이 함유될 수 있다. 따라서 PCR 간섭물질을 제거하여 PFC-UF법을 최적화하였다. 시뮬레이션 세척수에 휴믹산, 펙틴, 전분및 몰식자산을 서로 다른 농도로 첨가하여, 폴리알루미늄 염(PAC), 펙티나아제 (Aspergillus niger), 침전, 폴리비닐피롤리돈(PVP) RNA 추출법과 3종의 상용 PCR 간섭물질 제거 키트(OneStep PCR Inhibitor Removal Kit [Zymo Research. Irvine, CA, USA] 및 RNeasy® PowerClean® Pro CleanUp Kit [13997-50; QIAGEN, Germantown, MD, USA])등과 PFC-UF를 결합하여 2 log PFU의 MNV-1 및 HAV의 검출을 최적화하였다. 결과적으로, 고농도 토양 (5%), 그리고 다양한 PCR 간섭물질과 함께 있는 세척용수에서 PFC-UF와 Zymo OneStep PCR Inhibitor Removal Kit를 결합하여 MNV-1의 17.58 ± 7.28%와 HAV의 7.37 ± 4.06%를 안전하게 회수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확 후 세척과정에서 식중독 바이러스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흑토과 점토로 이루어진 세척용수에서 MNV-1과 HAV에 대한 이산화염소와 과초산의 효능이 평가되었다. 이산화염소는 농도 2.5 ppm에서 1-10분 동안 MNV-1을 최대 6 log PFU 이하로, HAV를 약 5 log PFU 이하로 불활성 시켰다. 이 연구는 복잡한 세척용수에서 저농도(2 log PFU)의 식중독 바이러스를 안정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고농도(5-6 log PFU)의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불활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