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네덜란드인들이 조선 초기 선교에 미친 영향에 대한 고찰 : 하멜의 기록에 나타난 벨테브레를 중심으로
박기현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인조와 효종 당시의 조선 정부 기록을 뒤져 더 이상의 박연에 대한 기록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동일인물일 확률이 높을 것이다. 현재까지 조사한 바로는 심양에 들어가 구류생활을 한 박연이 과연 동일인물인지 확신하기 어렵다.
편마비 환자의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균형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의 목적은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발목관절 전략 운동의 중재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편마비 환자의 30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두 개의 훈련 그룹과 대조 그룹으로 나누었다. 대조그룹(그룹C)에 속한 10명의 환자들은 30분 동안 운동 치료(신경 발달 치료)를 받았다. 운동 치료는 총 6주 동안 주 5회 실시하였다. 훈련그룹(그룹A)에 속한 10명의 환자들은 운동 치료에 추가하여 발목관절 전략 운동을 각 회 당 20분씩 받았다, 나머지 훈련그룹(그룹B)에 속한 10명의 환자들은 운동 치료에 추가하여 균형 운동을 각 회 당 20분씩 받았다. 두 훈련 그룹의 추가 운동은 총 6주 동안 주 3회 훈련을 실시하였다. 균형 평가는 전·후와 좌·우의 무게 중심의 이동거리, Berg 균형 척도 (BBS), Timed Up and Go test (TUG), 기능적 팔 뻗기 검사 (FRT)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 α는 .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든 그룹에서 균형 능력이 향상되었다. 특히, 그룹 A는 FRT를 제외한 대부분의 평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그룹 A의 환자는 그룹 B와 그룹 C의 환자보다 COP의 이동거리와 BBS, TUG에서 좀 더 많은 향상을 보였다. 종합해 보면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균형 운동과 운동 치료 보다 균형 능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발목관절 전략 운동은 편마비 환자의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an intervention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Thirty patients with hemipleg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in two exercise and control groups. Ten patients from the control group(Group C) received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for 30 minutes. Patients performed the session 5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 weeks. Ten patients from the ankle strategy group(Group A) received the same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plus ankle strategy exercises for 20 minutes in one session. Ten patients from balance exercise group(Group B) received the same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plus balance exercises for 20 minutes in one session. Two active groups were performed in the session 3 times a week, for a total of 6weeks. Assessment of balance was performed by the author, using moving distance of center of pressure(COP) in the anteroposterior(AP) and mediolateral(ML) direction, Berg Balance Scale (BBS), Timed “Up and Go” test (TUG) and Functional Reach Test(FRT).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BM SPSS Statistics 18(2010), assuming an alpha level of .05.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groups showed improvements in balance parameters. In especial, the group 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most evaluation items except FRT and patients of Group A showed more improvements in moving distance of COP, BBS and TUG parameters than Group B and Group C. We concluded that ankle strategy exercises had more influence on balance than balance exercises an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Therefore, ankle strategy exercises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balance in patients with hemiplegia.
MCNP6 전산모사를 이용한 베타/감마 이중 검출기 최적화 연구
국내 원자력 산업의 발달에 따라 방사선 검출기의 수요는 계속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방사선의 정확한 측정 및 검출기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1년 11월 2일에 발견된 서울 노원구에서 발견된 방사성 오염 아스팔트와 2012년 1월 16일에 마트에서 식기 건조용 접시꽂이의 방사성 오염 사건 등은 한국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방사선 오염 사례이다. 특히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으로 다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 및 확산되어 전 세계적으로 방사성 물질의 오염물질들이 유입이 됨에 따라 방사선 경고 및 검출기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방사선 검출기의 종류에 따라 섬광 검출기, 반도체 검출기, 기체전리함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방사선을 검출 용도에 따라 제작이 가능 한 섬광 검출기를 다룬다. 섬광 검출기는 직접적으로 수 분 내에 측정 가능한 검출기이며, 비교적 작은 크기, 저 전력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검출기라는 이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섬광체별 광자 검출량과 방사선 스펙트럼을 MCNP6 전산모사 하였다. MCNP6 전산모사 섬광체로는 감마선 검출용으로 CsI(Tl), 베타선 검출용은 CaF2(Eu), YAP(Ce), YAG(Ce)로 총 4가지 섬광체를 사용 하였으며, 교정용 방사선 선원인 1 Ci의 방사선 세기를 갖는 Cs-137과, 0.1 Ci의 방사선 세기를 갖는 Sr-90으로 스펙트럼 MCNP6 전산모사를 진행하였다. MCNP6 전산모사를 통해 적합한 섬광체 종류와 크기, 모양을 선별하고 이를 이용해 베타/감마 이중 검출기를 제작하였다. 실제 제작한 베타/감마 이중 검출기를 통해 측정한 에너지 스펙트럼 데이터와 MCNP6 전산모사를 이용한 에너지 스펙트럼 데이터를 비교한 실험결과로 MCNP6 전산모사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이 데이터는 섬광 검출기 최적화제작 및 선행 연구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Driven by the steadily increasing demand for radiation detectors and the continuing development of the nuclear industry,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research efforts to improve the measurement accuracy and enhance the reliability of radiation detectors. In South Korea, research on 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devices gained traction after a series of incidents of radioactive exposure, such as radioactive contamination of asphalt pavement in Nowon-gu Seoul, discovered on November 2, 2011, and radioactive materials found in the over-the-sink dish drainer racks sold at Mart, discovered on January 16, 2012. At a global level,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in Japan in 2011 and the subsequent spread of contaminated materials kindled interest in research on radiation warning and detecting devices. Common types of radiation detectors are scintillation detectors, semiconductor detectors, and gas-filled ionization chambers. This paper deals with scintillation detectors, which can be manufactured for the purpose of radiation detection and measurement. Advantages of a scintillation detector are rapid detection (within a few minutes), portability (small size/light weight), low power requirement, and semi-permanent service life. In this study, the photon detection rate and radiation spectrum of various scintillators were simulated by Monte Carlo N-Particle 6 (MCNP6). Four different scintillators were used for MCNP6 simulation: CsI (Tl) to detect gamma rays and Ca(Eu), YAP(Ce), and YAG(Ce) to detect beta rays. All MCNP6 spectrum s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Cs-137 and Sr-90, which are radioactive sources with radiation intensities of 1 μCi and 0.1 μCi, respectively. Beta/gamma dual-purpose detectors were then fabricated using different scintillators with appropriate type, size, and shape, as determined from the MCNP6 simulation results. The reliability of MCNP6 simulation was validated by comparing the energy spectrum data measured using the fabricated beta/gamma detector and those computed by MCNP6. The data obtained in this study may be used for optimizing scintillation detector manufacturing and serve as basis for future research.
통신서비스 결합 상품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유선 서비스를 기반으로
박기현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Wired and wireless market saturation of the domestic situation is gradually growing.Especially, Local → VoIP number portability(LVNP) of the Internet phone in effect. Based on customer retention and expansion of the domestic carriers, a variety of Bundling Service Between Fixed and Mobile service release are actively.Until now, bundling service of Telecommunication products were passive in the lower customer response. However, allowed the sale of bundle service, as well as the late starters, for example Hanaro Telecom, KT and SKT will be accelerated competitionExisting studies are establishing the concept of bundling service and the direction of the regulatory trends and improve the regulatory point of view or operators of the market demand and technical research. But, analysis of the survey of customer’s point of view is lacking.Therefore,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use the bundling service will also analyze the factors and verify correlation 점차 심화되어가고 있는 국내 유선(Fixed, Broadband) 및 무선(Mobile 등) 시장의 포화 상황을 맞이한 상황에서 올 10월 이후 진행되고 있는 인터넷 전화 번호이동성에 따라 인터넷전화 서비스가 새로운 변수로 떠오름에 따른 국내 통신사의 고객 유지 및 기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유무선 간 결합서비스 출시가 급격히 진행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국내의 경우 국내 통신사들의 소극적인 상품간 결합 정책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낮은 호응을 불러 왔으나, 2007년 7월 지배적사업자의 결합상품 할인판매가 허용되면서 지금까지 후발사업자들 위주로 출시되었던 결합상품들이 향후 KT와 SKT를 중심으로 더욱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그간 결합상품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통신서비스 결합판매에 대한 개념 정립이나 규제기관 관점에서의 규제동향 및 개선방향 그리고 통신사업자 관점에서의 시장 수요분석 및 기술적 연구에 국한되었으며, 실제 통신서비스의 소비자 관점에서 설문을 통해 소비자들의 수용에 미치는 본질적인 요인에 대한 규명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통신서비스 소비자 관점에서 결합상품 이용의도에 미치는 본질적인 요인들을 분석하고, 요인간 상관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통해 각 통신사업자가 제시하는 결합상품 형태 및 고객의 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해 고찰하고 향후 통신사업자들이 어떠한 변인들에 관점을 맞추어 어떠한 형태의 결합상품을 제공하여 고객 유인 및 Lock-in의 경쟁력을 확보할 것인가를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1872년 지방지도를 통해 본 익산의 역사지리 : - 읍치, 취락, 하천 경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
박기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geography of Iksan-county through an old county map made in 1872. This map was made by local government official. So we can assume that this map well reflected the local people’s understanding on this county at that times.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lements of landscapes in administration center place was examined by identifying the sites in the present time and space. And the meaning of Stone man statue(Seokinsang) was investigated in geographical viewpoint. Second, the location of settlements appeared in this old map was verified by the relative location and place names. And the territory of Iksan-county in 1872 was traced by the searching of the settlements distribution. Third, the historical change of Yogyo-dam site and the confluence alteration of rivers(Iksancheon and Mangyeonggang) from 1872 to present was traced by the comparison with modern maps. The landscap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investigation on the historical change of landscapes we can identify the local people’s understanding on the local geography. And the investigation on the local historical landscapes will be a contribution to regional development planning based on the placeness. 이 논문은 1872년 지방지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익산군의 역사지리를 읍치, 취락, 하천 경관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872년 지방지도는 각 군현에서 그려서 중앙으로 보낸 지도들을 편찬한 것이다. 따라서 주민들의 해당 지역에 대한 인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872년 지방지도에 표시된 읍치경관들에 대해 현재 시점에서 위치를 확인하였다. 또한 크게 강조되어 그려진 석인상의 의미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둘째, 1872년 지방지도에 나타난 10개 면 94개 마을들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를 통하여 과거 익산군의 영역에 대해 추정하였다. 셋째, 1872년 지방지도와 이후 제작된 현대적 지도들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요교제 지역의 변화와 익산천과 만경강의 합류 지점의 변화에 대해 확인하고, 그 원인을 설명하였다. 경관은 지역 정체성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경관변화에 대한 역사적 분석을 통해 주민들이 가진 지역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역사적 경관에 대한 분석은 장소성에 기반한 지역발전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탄ㆍ소성 구성모델에 의한 석탄회의 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박기현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본 연구는 석탄회의 기초지반 거동을 해석하기 위해 탄소성 구성모델로서 흙의 응력-변형 거동특성을 광범위하게 해석할 수 있는 Hyperbolic모델과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을 선정하였다. 재료의 특성과 관계없이 해석 가능한 두 모델의 각각의 토질매개변수를 구하기 위해 배수삼축압축시험과 등방압축팽창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다층의 기초기반을 해석하기 위해 상대밀도에 따른 토질매개변수를 결정한다. 대표적인 상대밀도를 느슨한 경우(Dr=40%), 중간정도 경우(Dr=60%) 그리고 조밀한 경우(Dr=80%)로 나누어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배수삼축압축시험의 경우 각각의 구속압력을 100kPa, 200kPa, 400kPa로 하였으며 등방압축팽창시험의 경우 압밀압력을 50kPa부터 시작으로 600kPa까지 50kPa씩 하중을 재하시킨 다음 50kPa까지 하중을 제하하였다.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두 모델에 대한 석탄회의 토질매개변수를 결정하였다. Hyperbolic모델의 탄성성분, 항복기준, 파괴기준에 관한 토질매개변수는 상대밀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보이며 소성포텐셜에 관한 토질매개변수는 일정하며 소성일에 관한 토질매개변수는 증감 현상을 보이고 있다. Lade의 단일항복면 구성모델 또한 탄성성분, 파괴기준, 소성포텐셜함수, 항복함수 모두 상대밀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경화함수에 관한 토질매개변수는 증감현상을 보이고 있다. 시험결과를 통해 결정된 토질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석탄회의 응력-변형률 거동을 예측한 결과 시험치와 두 모델의 예측치 모두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응력-변형률 거동 예측에 있어 구성모델의 사용이 신뢰할 수 있고 실용적인 측면에서 토질매개변수의 종류가 작고 초기변형률 2~3% 정도의 변형률 구간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공학적 측면에서 Hyperbolic 모델의 사용이 더 실용적이라 판단된다. In the case of huge coast landfills reclamation, the development of a borrow pit occurs a lot due to the lack of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soils and this in turn not only causes natural damage but also has a negative impact on environmental conservation.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velop the substitutes that can replace conven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s to natural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one of the most appropriate materials is bottom ashes. To interpret the behavior of the improved ground,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bottom ashes by selecting the single work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of Lade and the elasticㆍplastic Hyperbolic model, which are able to broadly interpret the stress-strain behavior of soil. Both the drained triaxial compression tests and the isotropic compression-expansion tests were performed to obtain the soil parameters of those two models, and the soil parameters according to the relative density are determined to interpret the multi-layer foundation. The laboratory tests are conducted by dividing the typical relative density into loose (Dr=40%) and moderate (Dr=60%) and dense (Dr=80%). In case of the drained triaxial compression test, the confining pressure in each density level was set to 100kPa, 200kPa and 400kPa, respectively, whereas the consolidation pressure was loaded up to 600kPa starting from 50kPa with 50kPa increment, then unloaded down to 50kPa with 50kPa decrement in case of the isotropic compression-expansion test. The soil parameters for two models are determined based on those test results. As a result, in the elasticityㆍplastic Hyperbolic model, the soil parameters for elastic components, yield and destruction criteria tend to increase according to an increase of relative density. In addition, the soil parameters for plastic potential are constant and those for plastic date show the increase and decrease pattern. The single work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of Lade also exhibits the increase tendency according to a relative density and the soil parameters for a hardening function show the increase and decrease pattern as well. The stress-strain behavior of the bottom ashes was predicted using the soil parameters determined from the test results, and the test results and prediction values of both two models showed satisfactory results. In case that the dilatancy occurs, the volumetric strain prediction is more satisfactory in the single work hardening constitutive model of Lade, when compared with the elasticㆍplastic Hyperbolic model, but the number of soil parameters is small,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observed in the initial strain.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the elasticㆍplastic Hyperbolic model would be more practical in the engineering perspective.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관한 연구
박기현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테이프는 일상 생활 뿐만아니라 범인들이 납치, 강간, 감금 등에 이용하기 위한 범행 도구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테이프 접착면에 유류된 지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테이프를 사용할 때 다양한 표면과 접촉됨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와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테이프 접착면에서 비다공성 표면으로, 비다공성 표면에서 테이프 접착면으로 잠재지문이 전이가 되는지 확인하고, 전이된다면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의 차이를 이용해 구별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았다.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잠재지문 전이 여부를 확인한 결과 기름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간의 양방향으로 전이가 발생하였고, 땀 지문으로 유류했을 경우에는 비접착면에서 테이프 접착면, 청면 테이프에서 철과 유리로만 전이되었다. 추가적으로 전이된 지문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한지 확인한 결과 청면 테이프와 비다공성 표면 간에 전이된 지문은 대부분 개인식별에 사용 가능할 정도의 품질을 가졌지만 박스 테이프는 그렇지 않았다. 지문의 전이 여부를 확인한 이후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 사이에 차이점을 알아본 결과, 청테이프를 사용했을 때 특수한 문양이 나타났다. 이 문양을 이용해 전이된 지문과 유류된 지문을 구별했을 때 비다공성 표면보다 청면 테이프에 있던 지문을 잘 구별하였고, 비접착면을 제외한 나머지 표면에서는 전이된 지문보다 유류된 지문을 잘 구별하였다. 현장에서 테이프가 부착된 표면이나, 부착된 것으로 예상되는 표면이 있다면 테이프 접착면과 비다공성 표면 모두 지문 현출을 시도해야 하며, 청면 테이프가 부착됐을 경우 생성되는 특수한 문양을 유류된 지문과 전이된 지문을 구별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Since tape is used not only in daily life but also as a crime tool for criminals to use for kidnapping, rape, and confinemen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fingerprints left on the adhesive side of tape. However, despite contact with various surfaces when using tape,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transfer of latent fingerprints between adhesive side of tape and surfaces. Therefo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whether fingerprints we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tape to non-porous surface and from non-porous surface to adhesive side of tape, and if they were transferred, it could be distinguished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is transferred between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the non-porous surface,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in both directions when sebaceous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s. and when eccrine prints are deposited on surface, they are transferred from adhesive side of duct tape to iron and glass and from non adhesive side of tape to adhesive side of tape. Additionally, i investigated that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were available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found that most of the transferred fingerprints between the duct tape and non-porous surfaces were of sufficient quality for personal identification, but the box tape was not. After investigating whether the fingerprint was transfer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transfer fingerprint was found to have a unique pattern when using the duct tape. When trying to distinguish using this unique pattern,, the duct tape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non-porous surface, and the original fingerprint was better distinguished than the transferred fingerprint except for the non-adhesive side of tape. If there is a surface with tape attached or expected to be attached in the surface, both the adhesive side of tape and non-porous surfaces should be attempted to develop fingerprints, and unique patterns formed when the duct tape is attached can be used to distinguish between original and transferred fingerprints.
무릎신전근의 피로수준과 성별이 수직점프에 미치는 영향 : 무릎신전근의 피로수준과 성별이 수직점프에 미치는 영향
박기현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Abstract Effects of Knee Extensor Fatigue Levels and Gender on Vertical Jump by Park, Ki-Hyu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Directed by Chang-Hong, Youm, Ph. 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knee extensor fatigue levels and gender on vertical jump. A group of 21 healthy men and 20 healthy women aged 20–30 years with no orthopedic medical history of the lower limb joints within the previous 6 month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The vertical jump was conducted to ensure that all possible motions were restricted by fixing the hands to the hips upon riding on a force plate according to the experimenter’s instructions. During the vertical jump, data of five jump operations were obtained for each of three cases: before fatigue, after 50% fatigue of the maximum knee joint extension torque, and after 30% fatigue of the maximum knee joint extension torque. Three successful jumps in each case were then averaged and analyzed. The fatigue induction method of the knee joint muscles was performed by the setting of the angular velocity and range of motion of an isokinetic dynamometer to 60°/s and 90°, respectively. The maximum height of the center of mass for the men’s group in each of the three cases of before fatigue, after 50% fatigue, and after 30% fatigue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the women’s group. The elapsed time in each phase indicated that the jumping phase of the men’s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the women’s group, whereas the landing phase of the women’s group was longer than that of the men’s group. Furthermore, after 50% fatigue, the total elapsed time was longer in the men’s group than in the women’s group. Therefore, it can be inferred that gender affects the elapsed time in each phase and the total elapsed time. Furthermore, in the jumping phase, the men’s group showed greater flexion angles of the ankle, knee, and hip joints than the women’s group. On the other hand, in the landing phase, the women’s group showed greater flexion angles than the men’s group. The women’s and men’s groups showed abduction and adduction, respectively, of the knee joints during the jumping phase. In the jumping phase, the women’s group showed greater degrees of external rotation of the ankle joints than the men’s group, whereas in the same jumping phase, the men’s group showed greater degrees of internal rotation in the knee joints than the women’s group. Furthermore, the women’s and men’s groups showed external and internal rotation, respectively, in the landing phase. The results based on fatigue levels indicate that during the vertical jump according to fatigue levels, the men’s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maximum height of the center of mass of 8% and 15% after 50% fatigue and 30% fatigue, respectively, whereas the women’s group showed a decrease in the maximum height of the center of mass % and 5% after 50% fatigue and 30% fatigue, respectively. The elapsed time in each phase and the total elapsed time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fatigue increased, both groups showed smaller flexion angles of the ankle, knee, and hip joints during the landing and jumping phases as well as significant external rotation of the knee joints during the jumping phase. Furthermore, as the fatigue increased, both groups showed a small flexion angle as well as abduction and external rotation of the hip joints during the jumping and landing phases. During the vertical jump, gender and the 50% and 30% fatigue levels of the knee extensors can decrease the vertical jump height, decrease the elapsed time for the jumping phase, and change the angular positions of the sagittal,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of the lower limb joints. In addition, the 50% and 30% fatigue levels of the knee extensor affect the angular positions of the sagittal, frontal, and transverse planes of the ankle and hip joints. Keywords: knee joint, vertical jump, muscle fatigue, quadriceps, kinematics 국문초록 무릎 신전근의 피로수준과 성별이 수직점프에 미치는 영향 체육교육전공 박 기 현 지도교수 염 창 홍 이 연구는 무릎 신전근의 피로 수준과 성별이 수직점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최근 6개월 내 하지 관절에 정형 외과적 병력이 없는 20-30세 사이의 건강한 남성 21명과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직점프 동작은 실험자의 지시에 따라 지면반력판위에 올라가 손을 엉덩이에 고정시켜 가능한 움직이지 않도록 제한하여 실시하였다. 수직점프 동작 수행은 피로 전, 최대 무릎관절 신전토크의 50% 피로 후, 30% 피로 후 각 5회의 점프 동작 자료를 수집하여 그 중 3회의 성공적인 점프를 평균하여 분석하였으며, 무릎관절 근육의 피로 유발방법은 등속성 동력계의 각속도 60 °/s와 가동 범위 90°로 설정하여 수행하였다. 성별에 따른 결과, 질량중심점 최대 높이의 경우, 피로 전, 50% 피로 후, 30% 피로 후 모두 남성 그룹이 여성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구간별 소요시간에서 점프 구간에서 남성 그룹이 여성 그룹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착지 구간에서 여성 그룹이 남성 그룹보다 길게 나타났으며, 총 소요시간의 경우, 50% 피로 후 남성 그룹이 여성 그룹보다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성별이 구간별 소요시간과 총 소요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남성 그룹이 여성 그룹보다 점프 구간에서 발목관절, 무릎관절, 엉덩관절 모두 굴곡각이 크게 나타났으며, 착지 구간에서 여성 그룹이 남성 그룹보다 굴곡각이 크게 나타났다. 점프 구간의 무릎관절에서 여성 그룹은 외전, 남성 그룹은 내전이 나타났으며, 점프 구간의 발목관절에서 여성 그룹이 남성 그룹보다 외회전이 크게 나타났으며, 무릎관절에서 남성 그룹이 여성 그룹보다 내회전이 크게 나타났으며, 착지 구간에서 여성 그룹은 외회전, 남성 그룹은 내회전이 나타났다. 피로 수준에 따른 결과, 피로 수준에 따라 수직점프 시 질량중심점 최대 높이에서 남성 그룹은 50% 피로 후 약 8% 감소, 30% 피로 후 약 15% 감소, 여성 그룹은 50% 피로 후 약 4% 감소, 30% 피로 후 약 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간별 소요시간 및 총 소요시간에서 소요시간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 그룹과 남성 그룹 모두 점프 시와 착지 시, 피로가 증가함에 따라 발목관절, 무릎관절, 엉덩관절의 굴곡각이 작게 나타났으며, 무릎관절에서 점프 구간에서 피로가 증가함에 따라 외회전이 크게 나타났으며, 엉덩관절에서 점프와 착지 구간에서 여성 그룹과 남성 그룹 모두 피로가 증가함에 따라 굴곡각, 외전, 외회전이 작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별과 무릎 신전근의 50%와 30% 피로 수준은 수직점프 시 높이의 감소, 점프 구간에서의 소요시간 감소, 하지 관절의 전후면, 좌우면, 수평면상에서의 각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무릎 신전근의 50%와 30% 피로는 발목관절과 엉덩관절의 전후면, 좌우면, 수평면상에서의 각위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무릎관절, 수직 점프, 근피로, 대퇴사두근, 운동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