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규보건교육에 따른 중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강경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39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Regular Health Education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Health in June 2012. Kyoung-Hee KANG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Choi, Yeon-Hee)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nd identify the effects of regular health education between two groups of middle school students : those who were implemented by regular health education and those who were not. The regular health education is the 34 lessons, which was operated by school health teacher, using 'health' textbook in March to December 2011. I used the data of 299 students(153 test group, 146 control group) from 2 middle schools in D city and compared, analysed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related 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moting practice scor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ealth promoting practice scores as a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lated factor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perceived self-efficiency, feelings related to health-promoting behaviors, perceived profitability, self-esteem. 2. Group that was implemented by the regular health education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health-promoting practice scores than those who were not. genders. Health-promoting practice score was 95.01 for the test group and 89.83 for the control group. 3.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were perceived self-efficiency(β=.287, p<0.001), a school recode(β=0.150, p<0.01), feeling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β=0.143, p<0.05), school life satisfaction(β=.095, p<0.05).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the regular health educa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erefore, here are the proposals : 1. In order for the regular health education have effective influence on the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students, 'Health' should be a compulsory subject not a selective one and implemented at least 34 lessons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2. Program to increase self-efficiency, feelings related to behaviors associated with health promoting behaviors should be included in health education curriculum for practice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That is to say, if parent role training and in the family way program to increase school life satisfaction, contact with their children are sponsored by school, more effective health education would be achieved. 3. To operate the successful regular health education curriculum, huma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re need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health clinic management. In other words, placement of school health teachers in every school and support staff for health service, installation the health education classroom are recommended. Key words : Regular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ng Behaviors, Middle School Students

      • 플럭스 챔버를 이용한 하수처리장 HAPs 배출 특성 연구

        강경희 서울시립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1839

        가정과 소규모 상업지역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수십 종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Benzene, toluene, trichloroethylene과 같은 휘발성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 등이 포함된다. 지금까지 거의 모든 하수처리장의 관리규정이나 연구들은 유입 하수중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데에만 초점을 맞추고 이러한 유해물질의 대기로의 방출에 대해서는 관심을 갖지 않았다. 그러나 하수가 처리되는 동안 미생물로의 흡착, 생전환, 휘발, 탈기 등의 메카니즘을 통해 휘발성 HAPs의 배출이 일어나게된다.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이러한 하수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HAPs에 대한 배출특성 조사나 emission inventory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되는 HAPs의 배출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플럭스 챔버를 이용하여 하수처리장 수면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HAPs의 농도 및 플럭스를 측정해 보고, 또한 미국 EPA에서 사용되고 있는 하수처리장 HAPs 배출량 산정 프로그램인 WATER 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출량을 추정함으로써 모델 및 실측을 통한 HAPs의 배출량을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수처리장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HAPs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플럭스 챔버를 이용하여 침사지, 수질균등조, 무산소조, 혐기조, 호기조 유입부, 호기조 중간부, 호기침전조 등의 단위 공정별로 배출되는 HAPs의 농도 및 플럭스를 산정하였다. 검출된 모든 물질들의 농도는 침사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특히 toluene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 이후 후단처리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슬러지로의 흡착과 생분해 등의 메커니즘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플럭스도 침사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배출량으로 보면 침사지는 하수처리장에서 차지하는 면적이 작기 때문에 배출율은 낮게 평가되고 반면에 규모가 비교적 큰 수질균등조, 호기조의 유입부, 호기침전조의 폭기시에 배출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덮개가 설치된 수질 균등조의 배출은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호기조나 호기침전조와 같이 덮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단위 공정의 경우 하수 표면이 그대로 대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수면 위로 배출되는 HAPs이 전혀 제어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하수처리장의 단위 공정별로 하수시료와 챔버를 통한 대기시료의 측정결과를 토대로 물질전달에 사용되는 two-film model을 이용하여 수체로부터의 휘발률을 구하고, 각 물질의 헨리상수 및 확산도 자료를 이용하여 총괄 물질전달계수, 액상 및 가스상 물질전달계수를 산정하므로써 하수처리장 수면에서 대기로의 물질전달과정을 고찰하였다. 호기조를 대상으로 유입부와 중간부에서 계절별로 검출되는 주요 HAPs의 종류 및 농도, 온도 및 수온 변화에 따른 HAPs 농도의 변화, 계절별 농도변화 양상 등을 비교하였다. 수온 및 기온이 상승하는 여름철에, HAPs의 배출량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호기조의 유입부에서 더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다. 그 다음으로는 가을철 유입부, 겨울철 유입부의 순으로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특히 chloroform, TCE, PCE 등의 염소계 물질들의 배출이 두드러졌다. 즉, 여름철이나 가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배출비율이 낮게 평가되었던 염소계 탄화수소의 배출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휘발성 HAPs의 배출이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호기조를 대상으로 하루중 수온 및 기온 변화에 따른 HAPs의 플럭스 변화, 배출되는 주요 HAPs의 계절별 플럭스 변화, 호기조내 각 물질별 플럭스비의 변화, 배출되는 총 HAPs의 일변화, 주요 HAPs의 배출분율 등을 조사하여 하수처리장 호기조에서의 HAPs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Toluene 및 휘발성이 큰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등의 염소계 탄화수소물질은 챔버내 온도 변화와 유사한 플럭스 변화 패턴을 나타내었는데, 대부분 챔버내 기온이 상승하는 11~13시 (겨울철)에 53.5~147.4 ㎍/㎡․hr (toluene), 13~15시 (여름철)에 148.9~357.6 ㎍/㎡․hr (toluene)로 플럭스가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 챔버내 기온이 하강함에 따라 점점 낮아지다가 24시에 가장 낮은 플럭스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플럭스 변화를 계절별로 검토해 본 결과, 하수처리장 수면에서 배출되는 HAPs의 플럭스 및 배출량을 산정할 때에는 계절적 요인뿐만 아니라 측정위치 (호기조의 유입부, 중간부, 유출부), 측정시간 (오전, 오후, 야간), 기온, 챔버내 온도, 각 물질의 휘발성이나 생분해성, 미생물에의 흡착성 등도 고려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계절별 주요 배출물질의 배출 비율을 비교해 본 결과 toluene은 겨울철에 33.6~34.2%로 가장 높은 비율로 배출되었지만 여름철에는 25.1~28.6%로 그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 chloroform의 배출비율은 17.2~17.6%로 높게 나타났다. 가을철에는 TCE의 배출 비율이 17.6~18.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CE와 chloroform, toluene이 비슷한 수준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름철이나 가을철에는 겨울철에 비해 챔버내 기온이 상승하기 때문에 겨울철에는 배출비율이 낮게 평가되었던 염소계 탄화수소의 배출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수처리시설의 각 단위공정의 특성에 따른 대기배출량, 생물분해에 의한 제거량, 수계로의 유출량 및 각각의 배출분율을 WATER9 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이를 측정에 의한 배출량과 비교하였다. 모델 수행 결과 하수처리시설로 유입된 총 HAPs중에서 평균적으로 43.6%는 대기중으로 배출되고, 50.5%는 미생물에 의한 생물분해로 제거되며, 5.9%는 배출수역으로 유출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WATER9 모델이 예측한 배출량은 실제 측정에 의해서 계산된 배출량에 비해 약간 높게 추정되었다. 이는 모델의 생분해에 대한 정확한 계산을 수행하지 못하는 모델 자체의 한계점과 1차 슬러지 및 2차 슬러지로의 흡착에 의한 제거 메카니즘 등이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모델 사용시에는 각 물질별 생분해율과 흡착율이 좀 더 현실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국내 환경기초시설에서 HAPs에 대한 배출특성규명이나 emission inventory의 구축이 미흡한 실정에서 하수처리시설을 대상으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휘발성 HAPs의 배출특성을 실질적으로 연구한 것으로 향후 플럭스 챔버를 이용한 하수처리시설에서의 HAPs 배출량 산정방법에 이용되거나 국가 HAPs 배출계수 개발 및 source inventory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유해대기오염물질, 플럭스 챔버, 생분해, 흡착, 물질전달계수, WATER9 프로그램 Until recently, nearly all sewage treatment-related regulations and research have focused on the removal of conventional and toxic pollutants from the liquid effluent. Discharge of toxic compounds to the atmosphere was implicitly regarded as a kind of destruction or removal. During sewage treatment, the fate mechanism of volatilization/stripping, sorption and biotransformation primarily determine the fate of volatile HAPs. Investigation of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emission inventory for HAPs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in Korea.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investigate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APs from liquid surface of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an emission isolation flux chamber; and (2) to estimate HAPs emissions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y using the WATER9 program and to compare these results with the emission data estimated by measurements. In the flux chamber method, the liquid surface within an enclosing chamber is swept by air at a measured rate and gas is analyzed. HAPs concentrations and flux are estimated using an isolation flux chamber by unit processes such as grit chamber, equalization basin, anoxic chamber, anaerobic chamber, aerobic chamber (in & mid) and aerobic/clarifier respectively. Toluene was especially the highest at grit chamber among of the detected compounds. Volatilization rate of each HAP from sewage surface was based on two-film model, and could be calculated by the analysis of headspace samples and gas samples of unit process. Overall mass transfer coefficients, gas-phase and liquid-phase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from Henry's constant and diffusivity of each HAP. Emissions of HAPs increased at the inlet of aerobic chamber in summer due to the relatively high atmospheric temperature. In summer and autumn, emissions of chlorinated hydrocarbons such as chloroform, TCE and PCE were higher than those in winter. Toluene, chloroform and methylene chloride showed the similar pattern of flux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hamber temperature. The time of the highest flux was 11~13 hr (for winter) and 13~15 hr (for summer), and that of the 24 hr showed the lowest flux. It can be said that season, sampling point (eg, inlet, mid, outlet), measurement time (eg, am, pm, midnight), atmospheric temperature, chamber temperature and volatility, biodegradability and of adsorption for HAPs are importan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the flux and emission rates for HAPs from liquid surface of sewage treatment facilities. Percent ratio of flux for toluene showed the highest 33.6~34.2% in winter but decreased to 25.1~28.6% in summer. In autumn, TCE was the highest 17.6~18.1%, and TCE, chloroform and toluene showed the similar level. It seems that the ratio of chlorinated hydrocarbons increase in summer and autumn because the chamber temperature is higher than winter. Emission fractions were predicted as of 43.6% the total loading HAPs emitted to the air, 50.5% was removed by biodegradation and 5.9% included in the outflow waters. Emission amounts predicted by WATER9 model showed higher than those estimated by measurements. It is considered because WATER9 model has the limitation not to afford accurate calculation for biodegradation by itself, and removal mechanism by adsorption can not be considered. Biodegradation rate and adsorption rate of each compound should be, therefore, counted to predict more accurate HAPs emissions. This study seems the initial study to investigat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volatile HAPs emitted from domestic sewage treatment facilities to the air in Korea. It will be, therefore, used as an emission estimations tool of HAPs from sewage treatment facilities using isolation flux chamber, and may be applied to develop the emission factor and national source inventory of HAPs. Key words :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 flux chamber, biodegradation, adsorption, mass transfer coefficient, WATER9 program

      • 개념도를 이용한 공통과학 교수-학습법 연구 : 「영양과 건강」단원을 중심으로

        강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에 따라서 개정한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중 「영양과 건강」 단원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그를 토대로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이 개념도를 바탕으로 하여 여러가지 수업모형에 적용시키므로써 효과적인 교수-학습법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양과 건강」 단원에 존재하는 개념들의 구조·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학습자들의 인지구조에 적합한 형태로 어떻게 조직화·체계화할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개념의 위계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로는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중 4종을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각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개념들을 분석·비교하였다. 그리고 이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작성한 개념도들을 체계적 학습모형과 순환학습과정 모형에 직접 적용한 학 지도안도 제시하므로써 과학수업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교수-학습모형도 모색하였다. 연구 결과 공통과학 교과서에서 「영양과 건강」에 대해 다루고 있는 내용은 대체적으로 유사하였으나 세부 수준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어떤 항목에 대해서는 한 종류의 교과서에서만 다루는 등 내용 편차가 심한 부분도 있었다. 특히 현재 교과서들은 소화, 순환, 호흡, 배설 등의 소단원들을 거의 별개의 과정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생물대사의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을 강조하지 못하고 있었다. 작성한 개념도를 수업모형에 적용시킨 결과 개념도는 도입·전개·진단 단계 학습의 각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컸고 특히 학습 평가 영역의 이용방안 연구는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보여진다. 또한 교사가 작성하는 개념도의 형태뿐만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가 작성하도록 하는 것도 좋은 학습법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개념도 작성 및 수업모형 적용은 주관적 관점에 따른 것이므로 다른 시각을 통한 접근과 다양한 수업모형에 대한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여러가지 개념도 활용방안을 직접 수업현장에 적용시켜 보는 후속작업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This study analyzed the unit 「Nutrient and Health」 in high school general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6th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drew up concept map according to this analyses. This study tried to explored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by applying to instruction models based on concept ma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concepts exiting in the unit 'Nutrient and Health, . This study pursues organization and systematization on concepts by ways of suitable forms to cognitive structure of learners Studying materials were selected four kinds of general science textbooks. Studying method compared and analyzed main concepts dealt in the textbooks. Concept maps were drawn based on this analytical results. Learning guide lines were suggested applying drawn concept map to systematic learning model and Lawson's learning cycle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content dealt in general science was on the whole similiar but was more or less different on the particular level. There were differences of content in a certain item. Especially textbooks didn't emphasize interaction of metabolism to learners because textbooks dealt subunit of digestion, circulation, breathing, and excretion seperately. As a result of applying drawn concept to instruction model, concept map could be used well on each learning stage. Especially the study that concept map applies to instruction estimation is thought to be very important subject. Drawing concept map by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is thought to be effective learning method. Use of concept map suggested by this study seem to be needed following work that applies to real instruction.

      • 텔레비전 멜로드라마의 장르 관습과 변화에 관한 연구 : <청춘의 덫>의 텍스트와 수용자를 중심으로

        강경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대중 문화의 원형으로서 멜로드라마에 주목을 하고, 멜로드라마가 여성 장르로서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현상을 장르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텔레비전 드라마 또는 멜로드라마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텍스트에 대한 이데올로기 분석이나 수용자의 즐거움을 강조하는 연구로 양분되어 있다. 이는 텍스트와 수용자 사이를 분리시키는 것으로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텍스트에 대한 장르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장르 연구는 장르의 관습(convention)과 변화(invention)를 통해 텍스트와 수용자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특정 장르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유지되는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제기와 연구목적에 따라 구체적인 멜로드라마 텍스트로서 <청춘의 덫>이 가지고 있는 장르 관습은 무엇이고, 주부들의 멜로드라마 관습에 대한 지식은 멜로드라마 수용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한 연구문제를 각각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에 따라 <청춘의 덫>이 가지고 있는 장르 관습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텍스트 분석을 하였다. 텍스트 분석 결과 <청춘의 덫>은 서사 전개 방식, 인물, 갈등, 가정, 도덕적 정의, 다중적 동일시, 비극적 정서, 결말 등 여덟 가지 측면에 있어서 관습적 요소를 그대로 가지고 있었으며, 인물, 갈등, 가정, 도덕적 정의, 결말 등에 있어서는 멜로드라마적 관습과 장르 변화적인 요소가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장르 변화적인 측면을 살펴 본 결과 결말을 제외한 인물, 갈등, 도덕적 정의 등에 있어서는 여성에 대한 묘사가 관습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대체적으로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시각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측면이 여성 수용자들을 끌어 들일 수 있는 한 요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 2는 주부들에 대한 인터뷰라는 수용자 해독을 통해 설명해보고자 했다. 수용자 해독 결과 주부들은 <청춘의 덫>이 가지고 있는 멜로드라마적 관습으로 서사 형식, 여성 중심성과 다중적 동일시를 지적하였으며, 장르 변화적인 요소로는 신세대적인 여성 인물의 등장을 지적하였다. 반면에 결말과 공간에 대해서는 주부들의 시청 맥락과 문화적 능력에 따라 관습적으로 보는 시각과 장르 변화적인 요소로 보는 시각이 양분되어 있었다. 주부들의 수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장르 관습과 즐거움 사이의 관계를 밝혀보았다. 결과적으로 서사 형식, 다중적 동일시, 결말 등과 같은 멜로드라마 관습을 알고 있는 것은 추론의 즐거움이나 멜로드라마적 상상력과 같은 일정한 즐거움을 만들어 내면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하지만 가족에 대한 묘사에 있어서는 관습을 알고 있는 것이 오히려 멜로드라마의 즐거움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결국 멜로드라마 관습에 대한 지식은 수용자들이 멜로드라마로부터 얻는 즐거움과 일정 정도 관련되어 있었지만 그것이 반드시 즐거움을 배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일정한 방향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해독을 통해 분석해낸 멜로드라마 장르 관습과 창조의 측면이 가지는 의미는 텍스트와 수용자를 연결하는 매개 요인으로서 중요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멜로드라마 장르 관습과 창조의 측면은 멜로드라마가 전적으로 여성적이고 사적인 것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시대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측면에서 계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장르로 위치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멜로드라마의 장르 관습과 변화가 텍스트와 수용자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관습을 사이에 두고 행해지는 텍스트와 수용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수용자의 의미와 즐거움 생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멜로드라마라는 한 장르를 매개로 텍스트 분석과 수용자 해독을 통해 한 장르가 어떻게 지속이 되고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텍스트와 수용자를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사회․문화적인 맥락 속에서 멜로드라마 장르의 인기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TE)에 대한 교사인식도 및 실태 연구

        강경희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세계화, 개방화의 물결 속에서 국제 언어인 영어는 의사전달의 주된 수단으로서 우리 생활 속에서 필수 도구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영어 의사소통 능력은 국제 경쟁력의 지표가 될 만큼 그 비중이 점차 확대 되어 가고 있으면,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체하기 위하여 영어 교육 현장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제7차 교육 과정은 영어를 구사할 수 있는 인재의 양성을 영어 교육의 기본 방향과 목표로 설정하고, 생활 영어와 실용 영어를 중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0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영어로 진행하는 수업(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TETE)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개선 가능한 한계점들을 밝히고 지역 간 격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설적인 영어 교육의 활성화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문헌 연구, 선행 연구를 하고 설문지를 통해 전주시 소재 중학교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TETE의 실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정도를 조사하였다. 설문의 결과를 통해TETE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를 통해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ETE의 실시에 대해 교사들이 어느 정도 불안감을 가지고 있지만 교사들은 TETE에 필요한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실 영어를 활성화 하기위해서 학생들과의 실제적인 의사소통을 이끌어야 한다. 따라서, 교사들은 교실 상황을 좀 더 다양하게 반영하는 표현들을 제공하고 좀 더 많은 상호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TETE의 실행이 교사와 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에 대체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에 근거하여 학생의 학업 성취도, 학습의욕 및 태도를 향상시키고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교육 평가를 개선하여 보다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교사들의 연수 체제 개선의 필요에 의해 연수 기회의 확대를 통해 교사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 과정의 개선을 통해 미래의 영어 교사들에게도 실질적인 영어 구사 능력을 갖출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입시제도에 일정 언어 실력을 성적에 반영하고 입시 제도에 있어서는 의사소통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을 평가에 반영하거나 영어 성적 반영 비율을 상향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영어 교사로서의 영어 교과 전문성을 갖춘 유능한 교사를 양성하고 영어 교과 전문성을 향상, 교사 양성 과정을 개선, 시험 및 평가 방법의 개선. 교사의 평가에 있어서 자율성 보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level of awareness among Korean teachers of English toward Korea’s new approach to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TETE), specifically endeavoring to understand the degree to which English teachers are ready to implement the TETE initiative as well as what is still required for them to prepare furthe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is new teaching approach. A survey was conducted on 50 junior school teachers in Jeonju.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nineteen questions covering such areas as: teachers’ English proficiency, teachers’ instructional language preference, teaching experience, the amount of classroom English use, pros and cons of TETE, and others.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English use was measure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s. 50 English teachers were asked to rank on a scale of 1-5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English use for each of 14 tasks that they perform in the English classes. The data showed that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eachers' English use varied widely depending on the tasks, indicating that some tasks are better suited for TETE than others. The data, which were analyzed using a centesimal scale, show that the teachers are in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of TETE and that a more systematic method of teacher training is required. In most areas, they responded positively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ETE. Based on the data analysis, this study makes its suggestions from the pedagogical perspective of TETE of the EFL situation in Korea. After analyzing the participants' response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s some more feasible and more effective way of implementing TETE in EFL contexts. Facing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some teachers may feel disillusioned and puzzled about TETE. Although the teachers also seemed to believe in the benefits of TET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se perceptions were found to vary according to their teaching experience. Through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better TETE classes. First,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communicate more frequently in English in a comfortable classroom setting. Second, teachers should try to use English most of their time in class. However, it is desirable for them to use Korean to build up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English. Third, teacher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develop teaching methods suitable for TETE classes, maximiz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 so that they can develop their communication skills in English.

      • 영아전담·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운영 및 교사의 인식 비교

        강경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영아전담 어린이집과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과 운영의 실태를 파악하고, 어떻게 다른지 비교함으로써 영아들을 위한 실외놀이 환경 구성과 실외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전담 어린이집과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공간과 시설, 안전도) 실태는 어떠한가?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전담 어린이집과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운영 방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실태는 어떠한가?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에 있는 영아전담 어린이집, 영유아통합 어린이집 각각 20개 기관과 각 기관에서 근무하는 어린이집 교사 중 0세반을 제외한 영아반 담임 교사 139명이며, 연구방법으로는 현장 관찰과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두 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검증과 t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실태에서 공간과 시설을 보면 1기관을 제외한 모든 어린이집이 실외놀이 공간을 갖추고 있고, 공간의 위치는 두 기관 모두 마당이 가장 많았다. 두 기관은 영아를 위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에서 5점 만점에 평균 2.45점과 1.90점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는 두 기관 모두 영아들을 위한 실외놀이 공간과 고정·이동놀이 시설이 부족하고, 실외놀이 영역의 질도 매우 낮음을 알 수 있다. 이 중에서 복합놀이 기구와 고정놀이 시설, 역할놀이를 위한 구조물과 도구, 식물을 키우는 장소와 도구에서는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아반의 실외놀이 환경 실태에서 안전도를 보면 두 기관은 5점 만점에 4.16점과 3.46점으로 실외놀이 공간과 시설보다 양호한 점수를 받았다. 영아전담 어린이집의 경우 놀이 기구의 연령 적합성, 높이와 공간의 크기, 유해 물질 및 햇볕 노출에서 영유아통합 어린이집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고,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에서 운영 방법을 보면 일과 중 실외놀이 시간 계획 여부, 계획안 작성 방법, 계획한 놀이 실행, 실외놀이 시간, 실외놀이 시간이 충분한지에 대한 만족도, 고정·이동놀이 시설 이용도, 교사의 역할, 실외놀이 운영시 어려운 점에서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아반의 실외놀이 운영 실태에서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보면 영아전담 어린이집이 영아의 실외놀이가 발달에 적합한지와 영아전용 공간과 시설의 필요성 인식 정도가 영유아통합 어린이집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두 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e research aims at providing fundamental data for forming an outdoor play environment and operating an outdoor play for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s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by grasping their outside play environments and operation statuses. The following are selected research purposes in accordance with the aim of the research. 1. What is the status of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space, facilities, stability) for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2. What is the status of the outdoor play operation (operation method, teachers' recognition on the operation) for infant nurseries and the infant group of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Is there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two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20 infant nurseries and 20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and 139 teachers in charge of infants at nurseries except teachers in charge of 0-year-old infants in Daejeon. The research methods were on-the-spot observations and a questionnaire survey. The research performed frequency and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multiple response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using an SPSS win 12.0 program. In order to analyz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the two institutions, it used -test and t-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when seeing the spaces and facilities in the outdoor play environment for infant groups, all nurseries, except one nursery, had outdoor play spaces. Most institutions used garden for the spaces. The two institutions gained low scores, average 2.25 and 1.90 out of 5 each, in the spaces and facilities for infants. They had not enough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fixed·movable facilities for infants, and the quality of their outdoor plays was very low. Among the researched contents,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in the areas such as combined play tools, fixed play facilities, structures and tools for role playing, and places and tools for growing plants. In the stability of outdoor play environments for infant groups, the two institutions obtained 4.16 and 3.46 out of 5, respectively, and the scores are higher than those of the spaces and facilities of outdoor play. In the suitability of play facilities according to ages, the height and size of spaces, and exposure to harmful substances and sunlight, infant nurseries gained higher scores than infant and toddler nurseries,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stitutions. Second, when seeing the operation methods in the outdoor plays for infants, the two institutions show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heir types in the plans of outdoor play during their daily routines, methods to draw up plans, fulfillment of planned plays, times of outdoor play, satisfaction in the time of outdoor play, use of fixed·movable facilities, the roles of teachers, and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The survey of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operation of outdoor play for infants shows that teachers of infant nurseries have higher recognition than those of infant and toddle nurseries in the suitability of outdoor play according to infant's development and the necessity of spaces and facilities for infants. Also, the two institutions have a meaningful difference.

      • Random Forest 모델을 이용한 경상북도 상주 지역과 강원도 진부 지역의 산사태 취약성 분석

        강경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 predicts the possibility of a landslide occurrence by training the causal factors. Generally, in machine learning approach,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is considered as a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and the approach shows the good performance when the classification model is constructed using training data with balanced class distribution. Therefore, in many previous studies, the same number of non-landslide locations as landslide locations has been randomly selected as training samples. However, the training data with balanced class distribution has negative effects on the model performance if the number of landslides is small in the study area. Thus, in this study, the authors examined the effect of the sample number of training data in landslide susceptibility analysis. For that, several training data scenarios with imbalanced class distributions were set up and then,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was analyzed with imbalanced class distribution using Random Fores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Random Forest were compared with Frequency Ratio which has been used to analyz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in many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Sangju and Jinbu areas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to analyze the landslide susceptibility using the suggested approach. The Random Forest model showed the highest AUC in both of study areas when the number of training data for the non-landslide locations were twice more than the number of the training data for landslid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Random Forest was more effective than Frequency Ratio approach because Random Forest model was not influenced by the scale of features for landslide conditioning factors.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은 산사태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학습을 통해 연구 대상 지역 내의 산사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대부분 위험 영역과 안정 영역을 구분하는 이진 분류 문제로 다루어진다. 분류 모델의 경우, 모델 설계에 사용되는 훈련 데이터의 클래스가 균형을 이룰 때 분류 성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어 왔다. 이에 따라 기존 연구들에서는 산사태 발생부 자료 개수와 1:1 비율을 갖도록 미발생부 자료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훈련 샘플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산사태 발생 이력이 연구 지역의 규모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경우, 산사태 발생부 샘플과 미발생부 샘플 수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은 예측 성능의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클래스가 불균형한 다수의 훈련 데이터를 구축하여 Random Forest 모델을 학습시킨 후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고, 샘플의 비율과 개수가 예측 모델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았다. 그리고 통계적 기법 중 현재까지도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Frequency Ratio와의 비교를 통해 Random Forest의 성능과 분석 효율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상주 지역과 강원도 진부 지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여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지역에 따라 예측 성능에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두 지역 모두 산사태 미발생부 샘플이 발생부 샘플 개수의 2배인 훈련 데이터로 예측 모델을 학습시킨 경우에 가장 높은 AUC를 보였다. 또한 Frequency Ratio 기법과의 비교를 통해 산사태 영향 인자들의 값의 범위에 영향을 받지 않는 Random Forest 모델이 좀 더 효율적으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육아상담 실태 및 요구도 조사

        강경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육아상담에 대한 실태와 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육아에 필요한 정보를 찾을 수 있는 방법과 양질의 상담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이용은 어떠한가? 2,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육아상담 활용 정도는 어떠한가? 3,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육아상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4,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육아상담 내용은 어떠한가? 5,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인터넷 육아상담에 대한 요구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인천시에 거주하는 5세 이하에 해당하는 자녀를 둔 아버지 206명과 어머니 250명이다.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주리아(2001)의 「인터넷에서의 부모교육 관련 사이트 현황분석」과 정문자/어주경(1997)의 「저소득층 어린이집 교사와 유아 어머니의 자녀 양육에 대한 부모 교육 요구도 비교」그리고 조인경(2006)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인터넷을 통한 육아상담 실태 및 인식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를 연구자가 연구 자료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카이검증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는 98.8%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아버지는 97.6%가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부모 모두 자녀 양육 및 교육 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 중 인터넷 육아상담을 이용해본 어머니는 93.6%, 아버지는 74.3%로 나타나 인터넷에서의 육아상담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담을 위해 주로 이용하는 사이트는 포털사이트의 커뮤니티, 포털 사이트의 검색창, 유아 포털 사이트 순으로 전문가를 상담자로 위촉하여 상담 콘텐츠를 운영하는 여성/육아 전문 사이트보다는 비전문가인 육아 경험이 있는 선배나 또래 부모와의 육아상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들은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얻기 위해 2~3개 이상의 육아상담 사이트를 이용하지만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에 상담하는 부모들은 월등히 적었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의 홈페이지에서 부모 상담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기관 홈페이지에서의 상담방 활성화 등을 통해 상담 서비스의 접근 용이성과 전문성을 높이는 방법이 요구된다. 부모들은 자녀의 문제점이나 궁금한 바를 특별한 일이 있을 때 질문 하며, 검색을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을 위해 어머니는 회원 등록을하고 있으나 아버지는 회원 등록 없이 상담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들은 상담자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은 하고 있지만, 상담자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지는 않고 있다. 상담자를 찾아본 경우 어머니는 소아과의사, 육아경험이 있는 분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는 육아 경험이 있는 분, 소아과 의사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들은 상담자의 답변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며,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의 부모들은 인터넷 육아상담이 자녀를 양육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인터넷 상담을 이용하는 이유로 어머니는 육아와 관련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원하는 시간에 접속할 수 있고, 상담 방법이 편리하다로 나타났다. 아버지는 원하는 시간에 접속할 수 있으며, 육아와 관련한 정보와 지식을 쉽게 찾을 수 있고, 상담 방법이 편리하다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부모들이 더욱 적극적으로 인터넷 육아상담을 활용할 수 있도록 상담 전문사이트의 활성화를 통한 빠르고 쉬운 답변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인터넷에서 질문을 하거나 검색을 하는 내용으로 자녀가 2세인 어머니는 자녀의 건강 진단과 간호, 자녀의 영양에 대한 지식과 좋은 식사습관 지도, 자녀의 신체발달로 나타났고, 자녀가 3세인 어머니는 자녀의 건강 진단과 간호, 자녀의 나쁜 행동과 습관 고치기, 자녀의 영양에 대한 지식과 좋은 식사습관 지도, 자녀가 4세인 어머니는 자녀의 나쁜 행동과 습관 고치기, 나들이나 현장학습에 대한 정보, 자녀가 5세인 어머니는 나쁜 행동과 습관 고치기, 자녀의 성격과 사회성발달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가 2세인 아버지는 자녀의 건강 진단과 간호, 자녀의 안전사고와 응급조치로 나타났으며, 자녀가 3세인 아버지는 자녀의 건강 진단과 간호, 자녀의 나쁜 행동과 습관 고치기, 자녀가 4세인 아버지는 자녀의 건강 진단과 간호, 자녀의 나쁜 행동과 습관 고치기, 나들이나 현장학습에 대한 정보, 자녀가 5세인 아버지는 나쁜 행동과 습관 고치기, 자녀의 두뇌발달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는 인터넷 육아상담에서 개선해야할 점으로 전문가에 의한 자세하고 쉬운 답변, 연령에 따른 사이트의 체계적인 구성, 빠른 답변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들은 전문가에 의한 자세하고 쉬운 답변, 빠른 답변, 연령에 따른 사이트의 체계적인 구성을 개선해야할 점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되기를 바라는 정보로는 어머니는 자녀의 안전 사고와 위급한 상황에 조치하는 방법, 자녀의 나쁜 행동과 습관을 고치는 방법, 자녀의 성격과 사회성발달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각 항목에 대해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는 자녀의 안전사고와 위급한 상황에 조치하는 방법, 자녀의 나쁜 행동과 습관을 고치는 방법, 자녀의 건강진단과 아플 때 간호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각 항목에 대해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예비 부모교육과 유아교육 현장의 부모교육의 내용을 선정할 때에 부모들의 요구를 참고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rvey various aspects of internet use of preschooler's parents and need assessment for child care counseling. Based on this, the study explore the effective ways to provide helpful information and good counseling service.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the followings: 1. How do preschooler's parents generally use the internet? 2. How do preschooler's parents use internet for child care counseling? 3. What level of recognition do preschooler's parents have on internet child care counseling? 4. What kinds of problems are mainly dealt with in internet child care counseling? 5. What are the needs and expectancy of preschooler's parents for internet child care counseling?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06 fathers and 250 mothers with children aged 5 and under, both of whom lived in Seoul, Kyunggi Province, and Incheon City. Study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modifying the tools used in the existing research studies done by Li-A, Ju(2001), Chung, Moon Ja and Eo, Joo-Kyeong(1997), and Cho, In-Kyung(2006).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with SPSS 14.0 program to calculate the statistic. Chi-square test was used to see the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th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98.8 percent of mothers with preschooler's reported to use the internet, whereas 97.6 percent of fathers with preschooler's did. Web sites that offered the information on child rearing and education were found to be most preferable both to preschooler's parents. Second, among the subjects in this study who used the internet, 93.6 percent of mothers and 74.3 percent of fathers with preschooler's responded to have experiences of the internet counseling for child rearing, which indicated that most of the subjects appeared to use the internet when they needed for child care counseling. Among web sites used for counseling for child rearing, the internet communities of portal sites were found to b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the computer search services of the portal sites, and the portal sites for preschooler's, in order. Furthermore, the subjects were more likely to use the internet sites that were taken care of by non-professionals such as their peers having child care experiences than by professionals in counseling. The subjects appeared to use 2 to 3 web sites for child rearing, on the average, to gain necessary information. However, they seldom used the web sites provid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implied that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s revitalize their internet services so that preschooler's parents could have easier access to the system and gain more professional help on child care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most likely to solve their problems with child rearing through the computer search system only when special problems or questions with child rearing occurred to them. Whereas mothers were more likely to register on the computer services, fathers used the services without registration. Third, although the subjects perceived the counsellors' qualifications important, they would not search for what kinds of qualifications the counsellors had. Among the counsellors for whom the subjects searched, pediatricians were most frequently searched by mothers, followed by someone who had experiences of reari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someone having experiences of rearing children was most frequently searched by fathers, followed by pediatricians. Most of the respondents appeared to be satisfied with the answers given by the counsellors as well as to trust them.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internet child care counseling helpful. For mother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searching the computer counseling programs was because it was easy of access to necessary information, followed by the fact that they could access the web sites whenever they wanted, and that methods of counselling were convenient, in order. On the other hand, for fathers, the convenience in time, easy to access, and convenience in methods of counseling, in ord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omputer search systems on child rearing counseling be the ones that were run by the professionals to provide the fastest and easiest, but reliable information for preschooler's parents. Fourth, as far as the contents of the web site counseling programs the respondents searched for were concerned, mothers with children of age 2 asked the question of children's health care and medical diagnosi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nutritional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well-balanced diet for their children, and children's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in order. Mothers with children aged 3 asked children's health care and medical diagnosi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and nutritional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well-balanced diet, in order. Mothers with children of age 4 asked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information on children's field trips or picnics. Mothers with children of age 5 asked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nd sociality. On the other hand, fathers with children of age 2 asked children's health care and medical diagnosi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hildren's safety accidents and emergency care. Fathers with children of age 3 asked children's health care and medical diagnosi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Fathers with children of age 4 asked children's health care and medical diagnosi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and information on field trips or picnics, in order. Fathers with children of age 5 asked the question of their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most frequently, followed by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As far as recommendations for the better counseling services were concerned, mothers suggested having professionals who could provide more detailed and easier answers on internet as the most important request, followed by the systematic internet services organized by age level, and quick responses to their questions, in order. Fathers responded to have counseling professionals give more detailed and easier answers, followed by quicker responses, and organization of the sites by age level, in order. Finally, for information the subjects expected to access on internet, mothers wanted to gain better information on children's safety accidents and emergency care, children's bad behavior and change it for the better, and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nd sociality. On the other hand, fathers wanted to have better information on children's safety accidents and emergency care, children's bad behavior and behavioral change for the better, and children's health care when they were sick. O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data for internet counseling programs that targeted not only parents with children but also would-be parents in organizing and including content areas that were most appropriate for them.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성어․의태어 교육 방안 연구

        강경희 선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의성어·의태어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사람은 관계를 가지며 산다. 언어를 사용해 관계를 맺고, 정보를 주고 받으며 살아간다. 그러나 우리는 정보만을 주고 받으며 살아가지 않는다. 자신의 감정과 정서를 다른 사람과 교류하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감정이나 정서를 표현할 때 좀더 정확하고 섬세하게 표현해 주는 것이 의성어·의태어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의성어·의태어의 효과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의성어와 의태어의 공통적인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의성어·의태어가 어떠한 기준을 통해 하위 구분되고 있는지 살펴 보았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능력시험에서의 의성어·의태어의 현황을 알아보았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의성어·의태어의 인지, 사용 현황, 학습에 관한 인식 등에 관해 살펴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학습에서의 유의미한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선정하고 효과적인 교육 방안의 고안을 위해 의성어·의태어 목록을 무엇을 표현하는가를 기준으로 하여 하위 구분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의성어·의태어의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의성어·의태어의 특징에 따른 교육 방안과 실제 자료를 통한 교육 방안으로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보았으며, 의성어·의태어가 무엇을 표현하는가에 따른 분류와 형태 변화에 따른 교육방안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교육 방안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나타날 수 있는지 실제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on effective and systematic method to teach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o Korean students. People use language not only to share information with others, but also to express feelings and emotions. These emotions and feelings can be expressed in a more perfect and detailed way by u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The relevance of this research should be recognized by educators, and that is the objective of this project. This research is discussed into three chapters. In chapter two, we engage in a study of the common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and how we choose and employ them. In chapter three, I tried to study the use of the on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Korean textbooks, TOPIK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and also through posing questions concerning the cognitive abilities of Korean students when it came to choosing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Lists of these words and expressions are presented for further study. In chapter four, I attempt to find a scheme for making effective use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in Korean education. The objective would be to develop an educational method of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and to develop practical materials to support this activity. Our objective is to study the best way to express oneself while using these kinds of words, and the morphogenesis of these words in the context of changing tenses and other grammatical situations. I suggested that these educational schemes can be useful and effective in the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